WO2021194136A1 -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94136A1
WO2021194136A1 PCT/KR2021/003008 KR2021003008W WO2021194136A1 WO 2021194136 A1 WO2021194136 A1 WO 2021194136A1 KR 2021003008 W KR2021003008 W KR 2021003008W WO 2021194136 A1 WO2021194136 A1 WO 20211941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or
distan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30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플랜
Publication of WO20211941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941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8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4Access control involving a hierarchy in access righ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cal idea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on/off of a door by sensing an approach to a tag device.
  • an on/off or lock operation is performed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fingerprint or tag is recognized in an initial automatic door that has been opened by identifying a pers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n/off of a door accessible through the tag device when the tag device is possess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ation of a resident and a parking location of a vehicle using a portable tag device.
  • the access automation system includes a tag device that transmits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 wakeup signal is received, at least three antennas, and is fixed to one side of a door divided by grade to control on/off, and A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specific antenna among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and when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wake-up signal,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using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lculates, determines whether the tag device enters within a certain distance, a control device that transmits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server when enter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receives the transmitt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receiv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n-off authority for the door is granted to the grade identified from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nly when on-off related is gran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or control is approved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ccess control server that returns a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when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proved.
  • the control device calculates a time from when 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until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alculates a first distance to the tag device using the calculated time, , calculates a three-dimensional first vector with respect to a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ime sections in whic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is measured by an adjacent control device, and Receives a three-dimensional second vector for a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calculates a second distance to the tag device by using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vector and the second vector, the calculated first distance and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may be finally calculated using the second distance.
  • the control device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and calculate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s a distance to the tag device.
  • the access control server further returns an elevator control signal together with a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and when the control device receives the elevator control signal, the elevator is controlled by the elevator control signal.
  • the elevator may be controlled to move to the floor number where the door is located, which is controlled by the door control signal, and the elevator may be controlled to move to the floor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after boarding the tag device.
  • the grade of the door is a first grade corresponding to an entrance door that can enter the interior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 second grade corresponding to an entrance door of a passage that can move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upper or lower floors. It must include at least one of a grade, a grade 3 corresponding to a door that can enter and exit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into a private space, and a grade 4 that corresponds to a door that can enter the non-parking space from the parking space of the building.
  • th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include a first antenna, a second antenna, and a third antenna, wherei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ar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third antenna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of the first antenna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ontrol device includes the tag device on a first two-dimensional plane from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 a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calculating a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calculating a direction from the first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to the tag device on a second two-dimensional plane, and combining the directions from the first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toward the tag device on the first and second two-dimensional planes
  • a three-dimensional first vector with respect to a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may be calculated.
  • the access automation system includes a tag device that transmits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 wakeup signal is received, at least three antennas, and is fixed to one side of a door divided by grade to control on/off, and A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specific antenna among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and when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wake-up signal,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using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control device that calculates , determines whether the tag device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s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o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oor when the tag device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 a repeat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on/off authority for the door is granted to the identified class, and transmits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side only when the on/off authority is granted, and approval of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 access control server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nd transmits a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when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proved
  • the control device when collecting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a location storage request from the tag device, requests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to record the contro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 the contro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read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arking lo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user setting, and that the vehicle match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arked in the read location information It can be provided to the generation wall pad.
  • An operating method of an access automation system includes: transmitting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a wake-up signal is received from a tag device; having at least three antennas; transmitting a wake-up signal at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specific antenna among th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and when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wake-up signal, using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tag device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t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server when the tag device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in the access control server, receiving the transmitt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on/off authority for the door is granted to a grade identified from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access control server, the Determining whether to approve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ly when ON/OFF related is give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replying the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when the door control with respect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proved may include.
  •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may include calculating a time from when 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until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using the calculated time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calculating a first distance to , calculating a three-dimensional first vector for a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ime sections in whic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th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and receiving a three-dimensional second vector for a direction from the adjacent control device to the tag device, and a second distance to the tag device by using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vector and the second vector. and finally calculating a distance to the tag device using the calculated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 the tag device when the tag device is posses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n/off of a door accessible through the tag device.
  • a location of a resident and a parking location of a vehicle may be provided using a portable tag device.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ccess autom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automatic access system that controls the door and interlocks with the wall pad.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of an automatic access system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oor or an entrance door of an elevator.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automatic access system that provides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and the parking location of the vehicle.
  •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between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and the tag device.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ontrol device to the tag device through a vector directed to the tag device from the second control device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control device.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utomated acce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named as a second elem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ccess autom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access automation system 100 can automatically control on/off for a door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tag device when the tag device is in possession, and can provide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and the parking location of the vehicle. have.
  • the automated access system 100 automatically controls the common entrance door when an apartment resident possesses a tag device to enter and exits the common entrance, or when a resident who enters the apartment approaches the elev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functions such as automatically performing an input for calling an elevator, inputting the number of floors, automatically controlling an elevator door,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front door.
  • the access autom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tag device 110 , a control device 120 , and an access control server 130 .
  • the access automation system 100 may provide various IoT services by interworking with the home network server 140 .
  • the tag device 110 may transmit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a wake-up signal.
  • the wakeup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 device 120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period or sensing, and may be a low frequency (LF) type signal.
  • LF low frequency
  • the control device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tag device 110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ontrol on/off of a specific door based on this.
  • control device 120 may includ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for communication with the tag device 110 .
  •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basically transmit or receive signals. That is,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select and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a specific frequency band or radiate a signal according to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the air. For exampl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may transmit and/or receive a UWB signal.
  • UWB refers to wireless communication that operates in a wide frequency band (eg, 3.1 to 10.6 Ghz), and at least three antennas have a low frequency band 3.1, which is a frequency band allowed in Korea among the frequency bands provided by UWB. It may receive and/or transmit ⁇ 4.8Ghz and a high frequency band of 7.2 ⁇ 10.2Ghz,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roller 120 may transmit a wake-up signal at a predetermined period using a specific antenna among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 control device 120 may calculate a distance from the tag device 110 using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 control device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tag device 110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using the calculated distance from the tag device 110 . Also, when the tag device 110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
  • the control device 120 may use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methods to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110 .
  • control device 120 may calculate a time from when 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until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an ACK signal for the wakeup signal, is received.
  • the first distance to the tag device 110 may be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speed of radio waves in the calculated time.
  • control device 120 may calculate the second distance by calculating a three-dimensional vector using time sections in whic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 control device 120 may calculate a three-dimensional first vecto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120 in consideration of time sections in whic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 control device 120 is measured by an adjacent control device, receives a three-dimensional second vector for the direction from the adjacent control device to the tag device 110,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vector and the second vector can be calculated. Since the control device 120 is fixed around the door, the location of the control device 120 may be fixed. Accordingly, the control device may calculate the second distance from the control device 120 to the intersection point by using the positions of the two different points.
  • control device 120 may finall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using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distances.
  • control device 120 may finall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by averaging the calculated first and second distances.
  •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may receive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120 and control the on/off of the door based on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may preferentially determine whether the on/off authority for the door is granted to the grade identified from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 control device may match at least one or more doors in advance.
  • control device A may match and register the door of the common entrance
  • control device B may match and register the door of the elevator
  • control device B may include the door of the entrance that can enter the customer's house. These can be matched and registered.
  •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determines the authority first before determining whether to approve for efficient use of resources.
  •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o approve the access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ly when ON/OFF is give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may refer to a database in which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uthority information, or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grade information are recorded.
  •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may return a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120 when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proved.
  • control device 120 receiving the door control signal may control on/off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door.
  • the evaluation of the grade may be processed by a repeat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device 120 and is disposed in an adjacent position.
  • the repeater may determine whether the on/off authority for the door is granted to the grade identified from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so, the repeater can transmit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only when the on/off authority is granted to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access control serv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o approve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a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120 when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proved.
  • one control device 120 includes all of th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 the total number of antennas included in adjacent control devices should be at least three.
  • adjacent control devices must be synchronized so that each antenna can be linked with each other.
  • the adjacent control devices transmit a wake-up signal at a certain period through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that are provided in each control device adjacent to them, and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wake-up signal,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 control devices synchronized in proximit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using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determine whether the tag device enters within a certain distance, and return within a certain distance. When entering,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 the distance between the tag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if several control devices are synchronized and operated,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a specific control device and the tag device among the control devices, or the center point of a triangle formed by the control devices, etc.
  •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may be calculated by using as a reference distance.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200 of the automatic access system that controls the door and interlocks with the wall pad.
  • the grade of the door is a first grade corresponding to a door that can enter the interior adjacent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a second grade that corresponds to an entrance door of a passage that can move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upper or lower floors , a third grade corresponding to an entrance that can enter and exit from the inside of a building into a private space, and a fourth grade that corresponds to an entrance that can enter a non-parking space from the parking space of the building.
  • the door may be controll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tag device 210 approaching, but the door may be controlled only when additional conditions or operations are satisfied together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occupant.
  • additional conditions or actions such as a specific gesture of the resident, tagging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tagging device 210, input of a password, and a specific time period must be transmitted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to enable on/off of the door. .
  • the access control server 250 may approve the door control according to the class of the matching door 230 even if it is a previously registered tag device 210 .
  • reference numeral 230 denotes a door 230 for entering the common entrance from the outside, through which all pre-registered tag devices can freely enter and exit. Accordingly, the access door 230 may be given a first level of authority, and when the tag device 210 approaches the control device 220 and approaches the control device 22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device 220 sends the access control server 250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250 .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 the access control server 250 may determine whether to approve the door control with respect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proved, the access control server 250 may return a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220 .
  • the switch 240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signals to various servers or transmitting signals from various servers to the control device.
  •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with a resident, information such as the movement route and location of the resident can be provided to other registered occupants or their families.
  • control device 220 or the access control server 250 may provide related information to the home network server 260 .
  • the home network server 260 may provide a movement line or a current location to the occupants through the wall pad 270 or the like.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300 of an automatic access system for controlling an external door or an elevator door.
  • the control device 320 may transmit a wake-up signal and return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ag device 310 that is clos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request approval of the door control from the access control server 360 .
  • the access control server 360 may further reply the elevator control signal together with the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320.
  • control device 320 may transmit an elevat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340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while controlling the door 330 .
  • the control device 340 When the control device 340 receives the elevator control signal, it can control the elevator by the elevator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340 may control the elevator to move to the number of floors in which the door 330 controlled by the door control signal is located. As a specific example, if the number of floors on which the door 330 is located is the first floor, the elevator may be controlled to descend or ascend to the first floor.
  • control device 340 may control the elevator to move to the number of floors registered to the resident when the tag device is boarded, that is, when a resident with the tag device boards the elevator.
  • the switch 340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signals to various servers or transmitting signals from various servers to a control device.
  • the access control server 360 may transmit only the door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320 , and may directly reply the elevator control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server 370 .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400 of the automatic access system that provides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and the parking location of the vehicle.
  • the tag device 410 may transmit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storage request to the at least one control device 420 fixed and installed at an adjacent location through the repeater 430 .
  •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cation storage request may be performed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button provided in the tag device 410 .
  • it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according to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he location and state of the tag device 410 .
  • it may be transmitted in conjunction with a signal generated from another device, for example, a lock/open signal transmitted from a smart key of a car.
  • At least one control device 420 may request to transmit and record the contro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uniquely identifying itself to the access control server 450,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460, and the like.
  • the control device 420 may transmit contro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 CCTV system or a disaster prevention room server.
  •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460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occupant with reference to the recorded contro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460 read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arking lo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user setting, and determines that the vehicle matching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arked in the read location information. It can also be provided on a wall pad.
  •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iodically transmitted from the tag device 410 is input to the control device 420 and then the access control server ( 450).
  • the tag device 410 may be provided with an emergency button.
  • the tag device 410 may generate an emergency cal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device 420 .
  • control device 420 may transmit an emergency call signal to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or the CCTV system through the repeater 430 to take measures such as a siren alarm.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between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521 , 522 , 523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520 and the tag device 510 .
  •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521 , 522 , and 523 basically transmit or receive signals. That is, at least three antennas 521 , 522 , and 523 select and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a specific frequency band or radiate a signal according to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the air. For exampl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521 , 522 , and 523 may transmit and/or receive a UWB signal.
  • UWB refers to wireless communication operating in a wide frequency band (eg, 3.1 to 10.6 (Ghz)), and at least three antennas 521, 522, 523 are provided in Korea among the frequency bands provided by UWB It may receive and/or transmit the allowed frequency band of 3.1 ⁇ 4.8 Ghz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7.2 ⁇ 10.2 Ghz in the high frequency ba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Ghz 3.1 to 10.6
  • At this time,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521 , 522 , 523 are parallel to a first direction (eg, a lateral direction) and two or more antennas 521 , 522 are disposed,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eg, One or more antennas 523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521 and 522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third antenna 523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antenna 52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 At least one of the three or more antennas 521, 522, 523 may be implemented as a fat dipole antenna, a bow-tie antenna, a monopole antenna and a slot antenna, etc., At this time, each antenna may be implemented as a so-called “intenna" mounted in the case of the control device 520 or implemented as an external antenna.
  • the control device 520 may calculate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of the tag device 510 by using the arrival angles of signals detected by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521 , 522 , and 523 .
  • the control device 520 uses the time difference and the arrival angle difference between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521 and 522 arranged in parallel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first two-dimensional plane (eg, the XY plane).
  • the direction of the tag device 510 is calculated, and the tag device (eg, YZ plane) on the second two-dimensional plane (eg, YZ plane) using the time difference and the arrival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and third antennas 521 and 523 . 510) can be calculated.
  • the controller 520 may calculate a three-dimensional direction (ie, an X-axis angle, a Y-axis angle, and a Z-axis angle) by combining the directions on each two-dimensional plane.
  • the third antenna 523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antenna 521 , so that the control device 520 compensates for an angula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tenna 521 and the third antenna 523 . By doing so,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can be calculated more accurately.
  • the control device 520 uses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and the reference plane of the tag device 510 to locate the tag device 510 . can be identified. However, when the height of the tag device 510 is not constant, the control device 520 ma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tag device 510 by calculating a distance value between other control devices or the tag devices 510 .
  • the control device 520 may obtain the three-dimensional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tag device 510 and calculate a distance value to the tag device 510 .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alculating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ontrol device to the tag device through a vector directed to the tag device from the second control device 620 located adjacent to the first control device 610.
  • the first control device 610 tags the distance value from the first control device 610 to the intersection point P by using the intersection P between the first virtual vector 611 and the second virtual vector 621 . It can be calculated from the distance value of the furnace.
  • the intersection point P may be a value in which the error ranges of the first virtual vector 510 and the second virtual vector 520 are reflected.
  • the first control device 610 may correct its own 3D direc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3D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tag device. That is, the first control device 610 may us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cond control device 620 installed at an adjacent position to correct errors due to signal crosstalk or obstructions.
  • the first control device 610 may calculate a distance value with the tag device based on a two way ranging (TWR) technique.
  • TWR two way ranging
  • the device receiving this signal from the other side transmits the signal again, calculates the round trip time of the signal between the two devices, and excludes the signal processing time of the device.
  • a method of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devices That is, when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ag device, the first control device 610 transmits a marker signal to the tag device, operates a timer, and calculates a timer value after a response signal to the marker signal is detected. Then, the distance value to the tag device may be calculated by excluding the preset signal processing time.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automated acces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control device may transmit a wake-up signal at a predetermined period by using a specific antenna among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step 701).
  • the tag device may transmit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the wake-up signal.
  • control device may receiv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ag device in response to the transmitted wakeup signal (step 702), and calculate a distance to the tag device using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703).
  • control device may calculate the time from when the wakeup signal is transmitted until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lso, the first distance to the tag devic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time.
  • control device may calculate a three-dimensional first vector with respect to a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ime sections in which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by at least three or more antennas.
  • control device receives a three-dimensional second vector measured by an adjacent control device and a direction toward the tag device from the adjacent control device, and uses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vector and the second vector to obtain a control for the tag device. 2 distances can be calculated.
  • control device may finally calculate the distance to the tag device by using the calculated first distance and the second distance.
  •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tag device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tep 704),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tag device ent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control device may transmit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server (step 705). ).
  • step 70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704 that the tag device does not ent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wake-up signal may be repeated without controlling the door.
  • the access control server receives the transmitt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on/off authority for the door is granted to the grade identified from the received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ferentially. may (step 706).
  • the access control server determines whether to approve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707), and when the door control for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pproved, the access control device controls the door A signal may be returned (step 708).
  •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n/off of the access door through the tag device, and the convenience of providing the location of the resident and the parking location of the vehicle by using the portable tag device is improved. can do it
  • 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 OS operating system
  •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 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apparatus,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 Examples of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Abstract

본 발명은 태그장치에 대한 접근을 감지하여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하는 태그장치,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하고,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관제장치, 상기 전송된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상기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온오프 관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하는 출입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본 발명은 태그장치에 대한 접근을 감지하여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홈오토메이션과 같이 일상생활에서의 많은 기능들이 자동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출입문의 경우 사람을 식별하여 오픈되었던 초기 자동문에서 지문이나 태그 등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경우에 온오프(on/off) 또는 락(lock) 동작을 수행한다.
근래에는 지그비 방식을 통해 태그를 소지한 사용자가 접근하면, 태그를 리딩하고 태그식별정보가 인증되는 경우에 도어를 오픈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제공하고 있다.
Io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출입의 편의를 제공하거나 거주지에서 태그를 활용한 다양한 자동화 서비스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는 추세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 제10-1187917호 "출입문 제어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0917718호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태그장치를 소지하는 경우에 태그장치를 통해 접근이 가능한 출입문에 대해서 온오프를 자동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의 태그장치를 이용하여, 입주민의 위치 및 차량의 주차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하는 태그장치,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하고,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관제장치, 상기 전송된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상기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온오프 관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하는 출입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송출된 후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까지의 제1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시간 구간들을 고려하여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하고, 인접한 관제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인접한 관제장치에서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2 벡터를 전달 받고, 상기 제1 벡터 및 상기 제2 벡터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에 대한 제2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산출된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로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입제어서버는,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와 함께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더 회신하고,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되, 상기 출입문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출입문이 위치한 층수로 상기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태그장치의 탑승 이후 사전에 등록된 층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입문의 등급은, 건물의 외부와 인접하여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1 등급, 건물의 내부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2 등급, 건물의 내부에서 사유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3 등급, 및 건물의 주차 공간에서 주차외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4 등급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등급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평행하여 일정거리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안테나의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제1 이차원 평면 상에서의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로부터 제2 이차원 평면 상에서의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차원 평면 상에서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을 조합하여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하는 태그장치,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하고,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태그식별정보와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문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관제장치,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상기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오프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상기 서버측으로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출입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제장치는, 태그장치로부터 위치 저장 요청과 함께 태그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관제장치식별정보 및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기록하도록 주차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상기 관제장치식별정보 및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사용자 설정을 참고하여, 관제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장 내 위치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위치정보에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세대 월패드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태그장치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하되,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관제장치에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출입제어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상기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입제어서버에서, 상기 판단 결과 온오프 관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송출된 후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까지의 제1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시간 구간들을 고려하여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인접한 관제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인접한 관제장치에서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2 벡터를 전달 받는 단계, 상기 제1 벡터 및 상기 제2 벡터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에 대한 제2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태그장치를 소지하는 경우에 태그장치를 통해 접근이 가능한 출입문에 대해서 온오프를 자동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의 태그장치를 이용하여, 입주민의 위치 및 차량의 주차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출입문을 제어하고, 월패드와 연동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외부 출입문 또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입주민의 위치 및 차량의 주차위치를 제공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관제장치가 구비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와 태그장치 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관제장치와 인접한 위치의 제2 관제장치로부터 태그장치로 향하는 벡터를 통해 제1 관제장치에서 태그장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100)은 태그장치를 소지하는 경우에 태그장치를 통해 접근이 가능한 출입문에 대해서는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고, 입주민의 위치 및 차량의 주차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100)은 아파트 입주자가 태그장치를 소지하여 공동 현관을 출입하는데 있어서 공동 현관 출입문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아파트 내부로 진입한 입주자가 엘리베이터에 근접하는 경우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입력, 층수 입력을 위한 동작을 자동으로 하거나,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을 자동 제어하거나, 현관 출입문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자동화 시스템(100)은 태그장치(110), 관제장치(120), 출입제어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입자동화 시스템(100)은 홈네트워크서버(140)와 연동하여 다양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태그장치(11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웨이크업 신호는 관제장치(120)가 일정 주기나 센싱에 대한 응답으로 송출하는 신호로서, LF(Low Frequency) 형태의 신호일 수 있다.
다음으로 관제장치(120)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면서, 태그장치(110)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제장치(120)는 태그장치(110)와의 통신을 위해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는 기본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신호를 수신한다. 즉,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하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신호를 공중(air)으로 방사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는 UWB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UW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넓은 주파수 대역(예컨대, 3.1~10.6Ghz)에서 동작하는 무선통신을 일컫는 것으로서,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는 UWB 가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대한민국에 허용된 주파수 대역인 저주파 대역 3.1~4.8Ghz와, 고주파 대역 7.2~10.2Ghz을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제장치(120)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120)는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태그장치(110)로부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태그장치(110)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120)는 산출한 태그장치(110)와의 거리를 이용해서 태그장치(110)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태그장치(110)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태그식별정보를 출입제어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장치(120)는 태그장치(110)와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먼저, 관제장치(120)는 웨이크업 신호가 송출된 후 웨이크업 신호에 대한 ACK 신호인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시간에 전파의 속도를 반영하여 태그장치(110)까지의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120)는 태그식별정보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시간 구간들을 이용하여 삼차원의 벡터를 산출하여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제장치(120)는 태그식별정보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시간 구간들을 고려하여 태그장치(120)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120)는 주변의 인접한 관제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인접한 관제장치에서 태그장치(110)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2 벡터를 전달 받고, 제1 벡터 및 제2 벡터의 교차점을 산출할 수 있다. 관제장치(120)는 출입문의 주변에 고정된 형태이므로, 관제장치(12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관제 장치는 서로 다른 두 지점에 대한 위치를 이용하여 관제장치(120)로부터 교차점까지의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관제장치(120)는 산출된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관제장치(120)는 산출된 제1 거리 및 제2 거리를 평균하여 최종적으로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출입제어서버(130)는 관제장치(120)로부터 전송된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제어서버(130)는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상기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관제장치는 사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문이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관제장치에는 공동 현관의 출입문이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고, B 관제장치에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이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으며, B 관제장치에는 고객의 집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현관의 출입문이 매칭되어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인력이나, 관리 인력에 제공된 태그장치는 집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권한이 없으므로, 출입제어서버(130)는 효율적인 자원의 사용을 위해 승인여부를 판단하기 이전에 권한을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출입제어서버(130)는 판단 결과 온오프 관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제어서버(130)는 태그식별정보와 권한정보, 또는 태그식별정보와 등급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할 수 있다.
출입제어서버(130)는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관제장치(120)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할 수 있다.
이에 출입문 제어 신호를 수신한 관제장치(120)는 사전에 등록된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출입제어서버(130)에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그러나, 등급에 대한 심사는 관제장치(120)와 통신하고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중계기에서 처리할 수도 있다.
즉, 관제장치(120)가 출입문에 대한 출입문식별정보를 중계기에 전송하면, 중계기는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는 수신된 태그식별정보에 온오프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비로소 출입제어서버(130)로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출입제어서버(130)는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관제장치(120)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활용하기 위해, 명세서 전반에서는 하나의 관제장치(120)가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일실시예에에 해당되며, 하나의 관제장치가 하나의 안테나를 구비하거나, 하나의 관제장치가 두 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도 있다.
다만, 전체적으로 근접한 관제장치들에 포함되어 있는 안테나의 수는 적어도 셋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근접한 관제장치들은 각각의 안테나를 서로 연동할 수 있도록 동기화 되어야 한다.
근접한 관제장치들은 동기화된 상태에서 각각의 관제장치에 구비되어 근접해 있는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태그장치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근접한 상태로 동기화되어 있는 관제장치들은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태그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태그장치와 관제장치와의 거리를 위해, 관제장치들이 여러 개 동기화되어 동작하는 경우라면, 관제장치들 중에 특정 관제장치와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거나, 관제장치들로 형성되는 삼각형의 중심점 등을 기준 거리로 하여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도 2는 출입문을 제어하고, 월패드와 연동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2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문의 등급은, 건물의 외부와 인접하여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1 등급, 건물의 내부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2 등급, 건물의 내부에서 사유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3 등급, 및 건물의 주차 공간에서 주차외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4 등급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등급에 해당하는 출입문의 경우 태그장치(210)가 근접하는 동작 만으로 출입문이 제어될 수도 있지만, 입주자의 설정에 따라서 추가 조건 또는 동작이 함께 만족되어야만 출입문이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주자의 특정 제스쳐, 태그장치(210)의 태깅 또는 움직임의 방향, 비밀번호 입력, 특정 시간대 등의 추가 조건 또는 동작이 출입문제어서버로 전달되어야 출입문의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출입제어서버(250)는 사전에 등록된 태그장치(210)라고 하더라도 매칭되어 있는 출입문(230)의 등급에 따라서 출입문 제어를 승인할 수 있다.
실시예(20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부호 230은 외부에서 내부의 공동 현관으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문(230)으로서 사전 등록된 모든 태그장치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이에 출입문(230)에는 제1 등급의 권한이 부여될 수 있으며, 태그장치(210)가 관제장치(220)로 접근하여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관제장치(220)는 출입제어서버(250)로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이에, 출입제어서버(250)는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관제장치(220)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240) 다양한 서버로 신호를 송출하거나, 다양한 서버로부터의 신호를 관제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태그식별정보가 입주자에 등록된 경우, 입주자에 대한 동선, 위치 등의 정보는 등록된 다른 입주자나 가족 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주자가 특정 출입문을 출입하는 경우 관제장치(220) 또는 출입제어서버(250)는 관련 정보를 홈네트워크서버(26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홈네트워크서버(260)는 월패드(270) 등을 통해 입주자에 대한 동선이나 현재 위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외부 출입문 또는 엘리베이터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관제장치(320)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태그장치(310)로부터 태그식별정보를 회신하여 출입제어서버(360)로 출입문 제어의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태그식별정보가 출입문(330)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고,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면, 출입제어서버(360)는 관제장치(320)로 출입문 제어 신호와 함께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더 회신할 수 있다.
이에, 관제장치(320)는 출입문(330)을 제어함과 더불어, 엘리베이터를 관제하는 관제장치(340)에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관제장치(340)가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제장치(340)는 출입문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출입문(330)이 위치한 층수로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출입문(330)이 위치한 층수가 1층인 경우라면, 엘리베이터를 제어하여 1층으로 내려오거나 올라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340)는 태그장치의 탑승, 즉 태그장치를 소지한 입주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경우에 입주자에 등록된 층수로 이동하도록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340) 다양한 서버로 신호를 송출하거나, 다양한 서버로부터의 신호를 관제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출입제어서버(360)는 관제장치(320)에는 출입문 제어 신호만을 송출하고, 엘이베이터 제어서버(370)로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직접 회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입주민의 위치 및 차량의 주차위치를 제공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4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400)에 따르면, 태그장치(410)는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장치(420)로 위치 저장 요청과 함께 태그식별정보를 중계기(43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저장 요청과 함께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태그장치(410)에 구비된 버튼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서 동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태그장치(410)의 위치, 상태 등의 외부 조건에 따라서 자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장치에서 발생하는 신호, 예를 들면 자동차의 스마트 키로부터 송출되는 잠금/열림신호와 연동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제장치(420)는 자신을 고유 식별할 수 있는 관제장치식별정보와 태그식별정보를 출입제어서버(450), 주차관리서버(460) 등에 전송하여 기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관제장치(420)는 CCTV 시스템이나 방재실 서버 등에 관제장치식별정보와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주차관리서버(460)는 기록된 관제장치식별정보와 태그식별정보를 참고하여, 입주자에게 차량의 주차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관리서버(460)는 사용자 설정을 참고하여, 관제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장 내 위치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위치정보에 태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세대 월패드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의 실시예를 통해 가능한 동작시나리오로는 입주자에 대한 위치확인서비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태그장치(410)를 소지하는 입주자가 관제장치(420)를 지나가는 경우, 태그장치(410)로부터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태그식별정보가 관제장치(420)에 입력된 후 출입제어서버(45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태그장치(410)에는 비상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입주자(또는 사용자)가 비상버튼을 일정 시간(예: 2초)이상 누르는 경우 태그장치(410)는 비상 호출 신호를 생성하여 관제장치(4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제장치(420)는 중계기(430)를 통해 방재실이나 CCTV 시스템에 비상 호출 신호를 전송하여 싸이렌 경보 등의 조치가 취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관제장치(520)가 구비하는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521, 522, 523)와 태그장치(510) 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521, 522, 523)는 기본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신호를 수신한다. 즉,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521, 522, 523)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하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신호를 공중(air)으로 방사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521, 522, 523)는 UWB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UW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넓은 주파수 대역(예컨대, 3.1~10.6(Ghz)에서 동작하는 무선통신을 일컫는 것으로서,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521, 522, 523)는 UWB 가 제공하는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대한민국에 허용된 주파수 대역인 저주파 대역 3.1~4.8 Ghz 와, 고주파 대역 7.2~10.2 Ghz 을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521, 522, 523)는 제1 방향(예컨대, 횡 방향)으로 평행하여 두 개 이상의 안테나(521, 522)가 배치되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예컨대,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52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521, 522)는 횡 방향으로 일정거리 간격으로 평행하여 배치되며, 제3 안테나(523)는 종 방향으로 제1 안테나(521)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521, 522, 523)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팻 다이폴(Fat Dipole) 안테나, 보우타이(Bow-tie) 안테나, 모노폴(Monopole) 안테나 및 슬롯(Slot) 안테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때 각 안테나는 관제장치(520)의 케이스 내에 실장 되는 소위 "인테나(intenna)"로 구현되거나 외장형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관제장치(520)는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521, 522, 523)에서 검출된 신호의 도착 각도를 이용하여 태그장치(510)의 삼차원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관제장치(520)는 제1 방향으로 평행하여 배치된 제1 및 제2 안테나(521, 522)로부터 수신된 신호 간의 시간차 및 도착 각도차를 이용하여 제1 이차원 평면(예컨대, XY 평면) 상에서의 태그장치(510)의 방향을 산출하며, 제1 및 제3 안테나(521, 523)로부터 수신된 신호 간의 시간차 및 도착각도차를 이용하여 제2 이차원 평면(예컨대, YZ 평면) 상에서의 태그장치(510)의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관제장치(520)는 각 이차원 평면 상의 방향을 조합함으로써 삼차원 방향(즉, X축 각도, Y축 각도, Z축 각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3 안테나(523)는 제1 안테나(521)와 일직선 상에 배치됨으로써, 관제장치(520)는 제1 안테나(521)와 제3 안테나(523) 간의 높이 차이에 따른 각도차를 보상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삼차원 방향이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태그장치(510)가 기준면(예컨대, 바닥 등)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관제장치(520)는 태그장치(510)의 삼차원 방향과 기준면을 이용하여 태그장치(51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나, 태그장치(510)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관제장치(520)는 다른 관제장치나 태그장치(510) 간의 거리값을 산출하여 태그장치(51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관제장치(520)는 태그장치(510)의 삼차원 방향 정보를 획득하여 태그장치(510)로의 거리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제1 관제장치(610)와 인접한 위치의 제2 관제장치(620)로부터 태그장치로 향하는 벡터를 통해 제1 관제장치에서 태그장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관제장치(610)는 제1 가상 벡터(611)와 제2 가상 벡터(621) 간의 교차점(P)을 이용하여 제1 관제장치(610)로부터 교차점(P)까지의 거리값을 태그장치로의 거리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교차점(P)은 제1 가상 벡터(510)와 제2 가상 벡터(520) 각각의 오차 범위가 반영된 값일 수 있다.
한편, 제1 관제장치(610)는 태그장치로의 삼차원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삼차원 방향 정보를 보정할 수도 있다. 즉, 제1 관제장치(610)는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제2 관제장치(620)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의 혼선이나 방해물 등에 따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제장치(610)는 TWR(two way ranging) 기법을 기초로, 태그장치와의 거리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TWR 기법은, 하나의 장치에서 신호를 전송한 후, 반대편에서 이 신호를 수신한 장치가 다시 신호를 전송하여 두 장치 간의 신호의 왕복 시간을 계산한 뒤, 장치의 신호 처리 시간을 제외하고 장치 간의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즉, 제1 관제장치(610)는 태그장치로부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태그장치로 마커(marker) 신호를 전송하고, 타이머를 동작시켜 마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검출된 후의 타이머값을 계산한 뒤, 기 설정된 신호 처리 시간을 제외하여 태그장치로의 거리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이용하면, 관제장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단계 701).
이에, 태그장치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는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태그장치로부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하고(단계 702),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단계 703).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서, 관제장치는 웨이크업 신호가 송출된 후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태그장치까지의 제1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관제장치는 태그식별정보가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시간 구간들을 고려하여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는 인접한 관제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인접한 관제장치에서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2 벡터를 전달 받아 제1 벡터 및 제2 벡터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태그장치에 대한 제2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장치는 산출된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제장치는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단계 704)하고, 판단 결과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태그식별정보를 관제장치에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705).
만약 단계 704의 판단 결과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지 않았다면 출입문을 제어하지 않고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출입제어서버는 전송된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우선적으로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706).
만약, 온오프 권한이 부여된 경우라면, 출입제어서버는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단계 707)하고,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단계 708)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태그장치를 통해 접근이 가능한 출입문에 대해서 온오프를 자동 제어할 수 있고, 휴대용의 태그장치를 이용하여, 입주민의 위치 및 차량의 주차위치를 제공하는 등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출입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하는 태그장치;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하고,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관제장치;
    상기 전송된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상기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온오프 관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하는 출입제어서버
    를 포함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송출된 후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까지의 제1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시간 구간들을 고려하여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하고, 인접한 관제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인접한 관제장치에서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2 벡터를 전달 받고, 상기 제1 벡터 및 상기 제2 벡터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에 대한 제2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산출된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평균값을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로 산출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제어서버는,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와 함께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더 회신하고,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되,
    상기 출입문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출입문이 위치한 층수로 상기 엘리베이터가 이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태그장치의 탑승 이후 사전에 등록된 층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등급은,
    건물의 외부와 인접하여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1 등급, 건물의 내부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의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2 등급, 건물의 내부에서 사유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3 등급, 및 건물의 주차 공간에서 주차외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는 출입문에 상응하는 제4 등급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등급을 포함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는,
    제1 안테나, 제2 안테나 및 제3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평행하여 일정거리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3 안테나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안테나의 일직선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관제장치는,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제1 이차원 평면 상에서의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3 안테나로부터 제2 이차원 평면 상에서의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을 산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차원 평면 상에서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을 조합하여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7. 출입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하는 태그장치;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하고,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태그식별정보와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문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관제장치;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상기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온오프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상기 서버측으로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중계기; 및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출입제어서버
    를 포함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장치는,
    태그장치로부터 위치 저장 요청과 함께 태그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관제장치식별정보 및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기록하도록 주차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상기 관제장치식별정보 및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서버는
    사용자 설정을 참고하여, 관제장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주차장 내 위치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위치정보에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세대 월패드에 제공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10. 태그장치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태그식별정보를 송출하는 단계;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등급별로 구분되는 출입문의 일측에 고정되어 온오프를 관제하되,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 중에서 특정 안테나를 이용해서 일정 주기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태그장치가 일정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에 상기 태그식별정보를 관제장치에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출입제어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태그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로부터 식별되는 등급에 상기 출입문에 대한 온오프 권한이 부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입제어서버에서, 상기 판단 결과 온오프 관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의 승인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태그식별정보에 대한 출입문 제어가 승인되는 경우에 상기 관제장치로 출입문 제어 신호를 회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가 송출된 후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까지의 제1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태그식별정보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시간 구간들을 고려하여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1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인접한 관제장치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인접한 관제장치에서 상기 태그장치로 향하는 방향에 대한 삼차원의 제2 벡터를 전달 받는 단계;
    상기 제1 벡터 및 상기 제2 벡터의 교차점을 이용하여, 상기 태그장치에 대한 제2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태그장치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의 동작 방법.
PCT/KR2021/003008 2020-03-26 2021-03-11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WO202119413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590A KR102212678B1 (ko) 2020-03-26 2020-03-26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020-0036590 2020-03-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94136A1 true WO2021194136A1 (ko) 2021-09-30

Family

ID=7455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3008 WO2021194136A1 (ko) 2020-03-26 2021-03-11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2678B1 (ko)
WO (1) WO20211941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0793A1 (en) * 2020-06-10 2021-12-16 FlashPark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touchless parking facility
CN116177330A (zh) * 2021-11-29 2023-05-30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进入和调度的精确乘客位置跟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678B1 (ko) * 2020-03-26 2021-02-05 주식회사 지오플랜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78B1 (ko) * 2009-12-30 2010-07-20 (주)서광시스템 주차위치 안내 및 방범기능을 갖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1331833B1 (ko) * 2012-10-10 2013-11-22 국방과학연구소 도래시간차를 이용한 위치 탐지방법
KR101545953B1 (ko) * 2015-01-30 2015-08-21 (주)엘트정보기술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47489B1 (ko) * 2015-01-30 2015-08-27 (주)엘트정보기술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902715B1 (ko) * 2017-12-26 2018-09-28 주식회사 지오플랜코리아 Uwb 신호를 이용하는 태그 위치 식별 방법 및 그 태그 위치 식별 장치
KR102212678B1 (ko) * 2020-03-26 2021-02-05 주식회사 지오플랜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18B1 (ko) 2007-07-25 2009-09-21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87917B1 (ko) 2011-02-07 2012-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출입문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278B1 (ko) * 2009-12-30 2010-07-20 (주)서광시스템 주차위치 안내 및 방범기능을 갖는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1331833B1 (ko) * 2012-10-10 2013-11-22 국방과학연구소 도래시간차를 이용한 위치 탐지방법
KR101545953B1 (ko) * 2015-01-30 2015-08-21 (주)엘트정보기술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47489B1 (ko) * 2015-01-30 2015-08-27 (주)엘트정보기술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902715B1 (ko) * 2017-12-26 2018-09-28 주식회사 지오플랜코리아 Uwb 신호를 이용하는 태그 위치 식별 방법 및 그 태그 위치 식별 장치
KR102212678B1 (ko) * 2020-03-26 2021-02-05 주식회사 지오플랜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0793A1 (en) * 2020-06-10 2021-12-16 FlashPark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touchless parking facility
CN116177330A (zh) * 2021-11-29 2023-05-30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进入和调度的精确乘客位置跟踪
EP4186839A1 (en) * 2021-11-29 2023-05-31 OTIS Elevator Company Precise passenger location tracking for elevator access and dispat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678B1 (ko)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94136A1 (ko)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9878874B2 (en) Elevator-landing device with destination floor establishment
CN101506077B (zh) 用于在目的地登记调度操作中执行安全跟踪的匿名乘客标引系统
JP2009509887A (ja) 建物区域内のエレベータ使用者を移送するエレベータ装置
JP4677875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2008065763A (ja) 生体認証とロボット装置を組み合わせた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および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のプログラム
WO2017048067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thereof
CN111373452B (zh) 具有无线电身份认证机制和口令检测机制的入口监控系统
KR101545953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14129804A1 (ko) 환자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노드 및 서버
KR101305371B1 (ko) 영상 전송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추적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EP3351023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thereof
WO2021125626A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출입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96517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CN110400396B (zh) 使用移动电话来进行无缝进入和意图识别的系统和方法
WO2016064116A1 (ko)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행선층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행선층 등록 방법
KR101547489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WO2024043755A1 (ko) 개선된 통신 방식을 활용한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30125828A1 (en) Stay management apparatus, stay management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and stay management system
US118467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in a building
KR101414960B1 (ko) 자동출입통제 시스템 및 이를 운영하는 방법
WO2022114594A1 (ko) 사용자 체온 감지 및 식별을 위한 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329035B1 (ko) 스마트 도어 제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1172391A1 (ja) 情報処理装置、顔認証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2284545B1 (ko) 씨씨티비 및 IoT를 이용한 입출입 관리 시스템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745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30/01/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745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