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953B1 -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953B1
KR101545953B1 KR1020150015066A KR20150015066A KR101545953B1 KR 101545953 B1 KR101545953 B1 KR 101545953B1 KR 1020150015066 A KR1020150015066 A KR 1020150015066A KR 20150015066 A KR20150015066 A KR 20150015066A KR 101545953 B1 KR101545953 B1 KR 10154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ation
access
access control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주)엘트정보기술
(주)채널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트정보기술, (주)채널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엘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5001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11
    • G07C9/00031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은 출입자의 인증 장치로부터 위치 인식을 위한 제1 신호 또는 출입 권한 획득을 위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인증 장치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출입자의 출입 권한, 출입자의 이동 경로 및 출입자의 제1 보안 레벨을 확인하고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인증 장치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출입자의 출입 권한을 확인하고, 출입자가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 출입자가 출입을 요청한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The method for admission control and location recognition and recoding medium recoding the method for admission control and location recognition}
본 발명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로 인한 정보 보호 및 출입 통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정부 기관 및, 연구소, 회사의 중요 보안 지역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출입 통제가 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smart phone)의 성능 향상에 따른 보안의 약화(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이용한 사진 촬영, 음성 녹음)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폰의 보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출입자의 스마트 폰의 카메라에 스티커가 부착되고 출입 권한 등이 부여되어 통제되고 있지만, 이러한 아날로그적인 방법만으로는 출입자에 대한 보안 통제가 완벽하지 않다.
1970년 대에는 바코드, 1980년 대에는 마그네틱(자기 띠), 1990년 대에는 수동형 근접(radio frequency identifier, RFID), 2000년도에는 능동형 RFID의 시대가 열렸다.
바코드나 비밀 번호를 사용하는 기존의 출입 인증 시스템에서는 바코드의 복사 및 비밀번호의 노출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후 보안을 위해 RFID 기반의 보안 시스템, 지문 인식 기반의 보안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RFID 기반의 보안 시스템 및 지문 인식 기반의 보안 시스템은 내부에서 사람이 나오기를 기다렸다가 문이 닫히기 전에 외부인이 건물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출입 정보의 확인을 위해 누가 들어오고 나갔는지에 대해 매순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 개별 출입 인증 시스템이 필요하다.
KR 10-2009-0116039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은 출입자의 인증 장치로부터 위치 인식을 위한 제1 신호 또는 출입 권한 획득을 위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자의 출입 권한, 상기 출입자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출입자의 제1 보안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자가 상기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 상기 출입자가 출입을 요청한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은 상기 인증 장치로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장치로 상기 인증 장치의 기능에 대한 제한을 요청하는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카메라 기능, 음성 녹음 기능, 통신 기능 및 USB(universal serial bus)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은 상기 출입문의 열림 또는 닫힘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출입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이 센싱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은 상기 출입문을 정상 운영 모드, 비상 운영 모드, 소방 운영 모드 및 동행 인증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운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상 운영 모드는 상기 출입문에 대해 출입 권한을 가진 출입자의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비상 운영 모드는 출입자가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에도 관리자에 의해 추가로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지정횟수에 한하여 상기 출입문을 통한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문을 통한 재입실을 제한하고, 상기 소방 운영 모드는 소방 화재 수신반과 연동하여 상기 출입문이 출입 통제 소방 ZONE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강제 개방 또는 강제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동행 인증 모드는 복수의 인증 정보의 조합이 이루어졌을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은 모니터링하는 지역별, 층별 모니터링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모니터링 맵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위치, 복수의 출입문 각각의 위치, 상기 출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출입자의 인증 장치로부터 위치 인식을 위한 제1 신호 또는 출입 권한 획득을 위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자의 출입 권한, 상기 출입자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출입자의 제1 보안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자가 상기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 상기 출입자가 출입을 요청한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인증 장치로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 상기 인증 장치로 상기 인증 장치의 기능에 대한 제한을 요청하는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카메라 기능, 음성 녹음 기능, 통신 기능 및 USB(universal serial bus)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출입문의 열림 또는 닫힘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센싱하고, 상기 출입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이 센싱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출입문을 정상 운영 모드, 비상 운영 모드, 소방 운영 모드 및 동행 인증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운영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정상 운영 모드는 상기 출입문에 대해 출입 권한을 가진 출입자의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비상 운영 모드는 출입자가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에도 관리자에 의해 추가로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지정횟수에 한하여 상기 출입문을 통한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문을 통한 재입실을 제한하고, 상기 소방 운영 모드는 소방 화재 수신반과 연동하여 상기 출입문이 출입 통제 소방 ZONE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강제 개방 또는 강제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동행 인증 모드는 복수의 인증 정보의 조합이 이루어졌을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 매체는 모니터링하는 지역별, 층별 모니터링 맵을 생성하는 상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모니터링 맵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위치, 복수의 출입문 각각의 위치, 상기 출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기반으로 입체적인 건물 보안 체계를 구축하여 출입자의 위치 및 출입자의 출입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의 소방 운영 모드에서의 출입문 제어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의 출입문 제어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자의 스마트 폰의 기능 제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출입 보안 시스템 상에서 출입 통제, 출입자(또는 방문자)의 위치 확인, 방문자의 사용자 장치 제어 및 방문자 확인, 방문자 예약, 주차 관리 등을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이하, 사용자 장치는 스마트 폰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스마트 폰이 아닌 다른 장치도 사용자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입 보안 시스템은 메인 서버, 출입 통제 서버, 위치 확인 서버, 방문자 서버 및 차량 통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는 출입 통제 서버, 위치 확인 서버, 방문자 서버 및 차량 통제 서버와 같은 출입 보안을 위한 복수의 서버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출입 통제 서버는 출입 통제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출입 통제 시스템은 인증 정보 수신 장치, ACU(access control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 수신 장치는 더미 리더(dummy reader), LCD(liquid crystal display) 리더, 지문 리더 등과 같은 출입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출입자는 카드, 신체 일부(예를 들어, 지문), 사용자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을 기반으로 인증 정보 수신 장치로 인증 정보를 입력하고 출입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구현된 통신 모듈(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 fidelity))을 기반으로 인증 정보 수신 장치와 통신하여 출입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출입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인증 ID(identifier)는 CARD ID, APPLET ID, NFC ID, WIFI ID, 지문 이미지 등일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 수신 장치는 인증 정보 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화재 감시용 온도 감지 기능, 인증 정보 수신 장치에 대한 방화를 감지하는 기능, 동작 상태 표시 기능(녹색: 전원 상태 및 출입문 닫힘 표시, 빨간색: 카드 인증 정상 및 출입문 개방 표시, 노란색: 장치 에러 및 통신 이상 표시), 스피커에 의한 카드 인식 알림 및 강제 개방 기능, 설정 시간 이상으로 개방될 경우 통보 기능, 근접 센서 감지 후 음성 출력 기능(인식 거리 조절 가능), 단말기 동작 상태 확인 기능, 자체 진단 및 입/출력 보호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인증 정보 수신 장치는 후술할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인증 정보 수신 장치는 ACU(access control unit)에 연결되고 ACU는 인증 정보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 통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출입자에게 인증 권한의 부여할지 여부를 결정하여 출입자에게 인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ACU는 후술할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더미 리더, LCD 리더, 지문 리더와 같은 인증 정보 수신 장치는 ACU로부터 출입 및 보안과 관련된 음성 신호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 신호 또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정보 수신 장치는 출입 통제 서버, ACU 등을 통해 출입 및 보안과 관련된 메시지, 공지사항, 음성 안내 텍스트, 음성 파일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ACU는 복수의 채널(예를 들어, 최소 2채널, 최대 34 채널)로 확장되어 운영될 수 있다. 복수의 ACU 각각은 마스터, 슬레이브 형태로 운영되거나 독자적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또한, ACU는 복수의 보안 체계를 가지고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보안은 카드(NFC)와 키패드, 2차 보안은 카드(NFC), 키패드와 지문, 3차 보안은 카드(NFC), 키패드, 지문 및 무게 감지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ACU는 필요한 보안의 정도에 따라 보안 체계를 선택하고 선택한 보안 체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각 서버(또는 PC)(출입 통제 서버, 위치 확인 서버, 방문자 서버, 차량 통제 서버 등)와 ACU 간에는 RS-422,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 기반의 통신이 듀얼 포트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RS-422 기반의 통신이 사용될 경우, PORT1을 기반으로 사용자 ID 등록, PORT2를 기반으로 EVENT LOG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TCP/IP(UDP) 기반의 통신이 사용되는 경우, PORT1: USER ID 등록, PORT2: EVENT LOG 모니터링, PORT3: I-O CONTROL, PORT4: 소방 신호, PORT5: ACU(기기) 상태 LOG, PORT6: ANTI PASS 중계, PORT7: Firmware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서버(또는 PC)와 ACU 간에는 암호화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ACU에는 디폴트로 ID 저장 건수 500,000건 이상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고, ID 로그 및 RTLS LOG 건수는 1,000,000건 이상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고, 확장 보드가 사용되는 경우, 2배 이상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ACU는 인증 ID(CARD ID, JAVA CARD APPLET ID, SMARTPHONE NFC ID, WIFI ID, 지문 IMAGE, 소방 신호 접수, 소방 신호 해제)를 구분하여 출입자에게 출입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위치 확인 서버는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위치 확인 시스템은 위치 확인 장치 및 ACU 등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치 확인 장치는 건물 내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위치 확인 장치는 인증 정보 수신 장치와 단일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입자의 이동에 따라 출입자의 스마트 폰과 위치 확인 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거리 이하가 되면(즉, 스마트 폰이 위치 확인 장치의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 폰의 통신 모듈과 위치 확인 장치는 통신을 수행하고 이러한 스마트 폰의 통신 모듈과 위치 확인 장치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출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주기적으로 ACU로 전송될 수 있다. ACU는 위치 확인 장치에 의해 전송된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위치 확인 서버로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방문자 서버는 방문자 예약 시스템, 방문자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 및 방문자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방문자 예약 시스템은 방문자의 방문 예약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방문자는 방문자 예약 시스템을 통해 사전 방문 예약 절차를 진행하거나, 현장 접수를 통해 방문 예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방문 예약 절차를 수행한 방문자는 ACU를 기반으로 출입 허가를 받고 건물 내에 진입할 수 있다.
방문자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은 방문자의 스마트 폰의 제어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방문자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은 보안을 위한 목적으로 방문자의 스마트 폰의 일부 기능(카메라 기능, 녹음 기능, 인터넷(또는 통신) 기능, USB 기능 등)에 대한 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 스마트폰 제어 시스템에서는 방문자의 스마트 폰으로 보안 프로그램이 전송될 수 있다. 보안 프로그램을 수신한 방문자의 스마트 폰은 보안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일부 기능을 제한받을 수 있다. 또한, 보안 프로그램을 수신한 스마트 폰은 인증 ID를 수신하고 인증 ID를 기반으로 출입 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동작은 방문자 스마트 폰 제어 시스템의 ACU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방문자 위치 확인 시스템은 방문자로 부여된 인증 ID를 기반으로 방문자의 위치 확인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방문자 위치 확인 시스템에서는 건물 내의 위치 확인 장치를 사용하여 방문자의 이동에 따라 방문자의 스마트 폰과 위치 확인 장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한 거리 이하가 되면(즉, 스마트 폰이 위치 확인 장치의 통신 가능 범위에 포함되면), 스마트 폰의 통신 모듈과 위치 확인 장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의 통신 모듈과 위치 확인 장치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방문자의 위치 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차량 통제 서버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단기, RFID 리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카메라 등과 연계된 ACU를 기반으로 주차 관제를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차량이 접근하는 경우, 차량과의 RFID 통신을 기반으로 특정 차량의 접근 가능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LPR 카메라를 통해 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출입문이 다양하게 그룹핑되어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U는 출입문에 레벨을 부여하여 출입자가 부여된 레벨 순서로 입실하고, 퇴실시에는 부여된 레벨의 역순으로 퇴실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CU는 일정한 시간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 여부가 결정되는 출입문 그룹, 화재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 여부가 결정되는 출입문 그룹 등으로 출입문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CU는 복수의 운영 모드를 기반으로 출입자의 출입 및 출입문의 개폐 등을 제어할 수 있다. ACU는 복수의 운영 모드(정상 운영 모드, 비상 운영 모드, 소방 운영 모드 등) 중 설정된 운영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ACU가 정상 운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출입 권한을 가진 출입자에게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ACU가 비상 운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출입 권한뿐만 아니라 관리자에 의한 추가적인 제어에 따라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ACU가 소방 운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화재와 같은 상황이 발생시 소방 그룹으로 설정된 특정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ACU가 마스터 및 슬레이브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우, 마스터 ACU가 메인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슬레이브 ACU는 마스터 ACU에 의해 제어되거나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마스터 ACU와 슬레이브 ACU는 주기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마스터 ACU와 슬레이브 ACU 간의 통신이 두절된 경우, 슬레이브 ACU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출입문을 개방/폐쇄하고 출입 LOG를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슬레이브 ACU와 마스터 ACU 간에 통신이 재개될 경우, 슬레이브 ACU는 각 이벤트 데이터를 마스터 ACU로 전송하고 마스터 ACU와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보안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서 개시된 출입 보안 시스템의 동작 중 출입자에 대한 출입 권한의 부여 및 출입자에 대한 위치 탐색을 수행하는 출입 보안 시스템의 동작이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입 보안 시스템은 메인 서버(100), 중간 통신부(), 데이터 처리 장치, 통신 처리 장치,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서버는 중간 통신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저장 장치, 통신 처리 장치,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 및 출입 위치 인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중간 통신부는 메인 서버와 데이터 저장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허브 또는 RS-422 컨버터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직렬 데이터 통신(RS-422)를 기반으로 메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출입자 인증 정보, 출입자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는 메인 서버, 통신 처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처리 장치는 데이터 처리 장치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 간에 LAN을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고, TCP/IP(UD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데이터 처리 장치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에서 생성되는 데이터가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하고 출입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전술한 ACU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이 개시된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의 인증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Java Card, 수동형 RF Card)와의 통신을 기반으로 출입자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전술한 인증 정보 수신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장치 간의 통신은 기본적으로 유니캐스트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통신 시간 절약을 위하여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기반의 통신도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위치 추적 및 출입 통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단계 S30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스마트 폰, 능동형 RF Card, Java Card, 수동형 RF Card와 같은 출입자의 인증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출입자에게 출입 권한을 부여하거나 출입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에 의해 위치 추적 및 출입 통제 모드로의 동작을 설정받을 수 있다.
위치 추적 및 출입 통제 모드로 동작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인증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수신한 RF 신호가 위치 추적을 위한 RF 신호인지 출입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출입 인식 RF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치 추적 모드 또는 출입 통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가 위치 추적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출입자에 대한 위치 추적을 수행하고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가 출입 통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출입자에 대한 출입 권한 할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인증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RF 신호를 검출(또는 모니터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31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또는 방문자)의 인증 장치(또는 인증 수단)인 스마트 폰, 능동형 RF 카드, Java Card, 수동형 RF Card 등에 의해 전송되는 RF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RF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RF 신호가 출입자의 위치 추적을 위한 RF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320).
또한, RF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RF 신호가 출입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RF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3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수신한 RF 신호가 위치 추적을 위한 RF 신호인지 출입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출입 인식 RF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할 수 있다. RF 신호가 위치 추적 RF 신호인 경우 및 출입 인식 RF 신호인지 여부에 따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가 수신한 RF 신호가 출입자의 위치 추적을 위한 RF 신호인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와 출입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S40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와 출입자 정보를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로부터 직렬 통신(RS-485 또는 위겐드 통신)를 기반으로 획득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출입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에 의해 전송된 위치 인식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위치 인식 데이터는 출입자의 인증 장치에 의해 전송된 위치 추적을 위한 RF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위치 인식 데이터는 출입자의 식별 정보 및 출입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와 위치 인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출입자의 특정 장소에 대한 출입 권한, 출입자의 이동 경로 정보와 출입자의 보안 레벨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직렬 통신부를 기반으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로 확인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의 출입 권한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단계 S41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자의 출입 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출입자가 출입 권한이 있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의 보안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40).
보안 레벨은 보안을 위한 설정된 단계로서 보안 레벨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지역(또는 개폐 가능한 출입문)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보안 레벨(보안 레벨1, 보안 레벨2 및 보안 레벨3)이 정의되고 보안 레벨에 따라 출입자의 출입 권한에 차등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레벨에 맞는 기능 제한 명령을 출입자의 인증 장치(또는 인증 수단)(예를 들어, 스마트 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능 제한 명령을 수신한 출입자의 스마트 폰은 일정한 기능상 제한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출입자의 출입 권한의 존재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출입자의 출입 권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아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 권한을 가지지 않은 출입자에게 경고 음성을 출력하고 출입 권한을 가지지 않은 출입자가 접근하였음을 관리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단계 S42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43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로부터 출입자 정보를 획득하여 출입자 정보를 정보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입자가 출입 권한이 있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의 보안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4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가 수신한 RF 신호가 출입자의 위치 추적을 위한 RF 신호인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이 개시된다. 특히, 보안 레벨에 따라 출입자의 인증 장치에 대한 제한의 수행 방법이 개시된다. 출입자의 인증 장치는 스마트 폰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의 인증 장치의 보안 레벨이 낮은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단계 S500).
출입자의 인증 장치의 보안 레벨이 낮지 않은 경우, 출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단계 S530), 출입자의 위치 추적을 위한 RF 신호를 기반으로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단계 S540).
반대로 출입자의 인증 장치의 보안 레벨이 낮은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의 스마트 폰과 통신을 수행하고(단계 S510), 출입자의 스마트 폰의 일부 기능(예를 들어, 카메라, 전화 통화)을 제한할 수 있다(단계 S520).
이후,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단계 S530), 출입자의 위치 추적을 위한 RF 신호를 기반으로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단계 S54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서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가 수신한 RF 신호가 출입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출입 인식 RF 신호인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동작이 개시된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출입 인식 RF 신호를 기반으로 출입자 인식 정보를 획득하고(단계 S600), 인식 타입을 분류할 수 있다(단계 S61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 인식 RF 신호를 전송한 출입자에게 출입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S620).
출입자에게 출입 권한이 있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문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단계 S630).
출입자에게 출입 권한이 없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는 출입문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고 출입 권한이 없음을 지시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S640).
이후 출입자에게 출입 권한을 부여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단계 S650),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단계 S6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또는 ACU)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근태 관리 기능 및 식수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또는 출입 통제 서버)와 연동하여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에 의해 전송되어 수집된 출입 정보를 기반으로 직원들의 출/퇴근 상황 및 식당 이용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로부터 수집된 출입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자 및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보고서로 검색 및 출력할 수 있다. 보고서는 인증 장치(예를 들어, 출입 카드 및 스마트 폰)에 의한 출입 이력, 출입 등급, 출입 기간, 출입 구간, 카드 소지자 상세 및 목록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자 및 방문자에 대한 정보는 파일화되어 획득할 수 있으며, 파일은 암호화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신규 입사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퇴사자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출입자의 출입 이력을 기반으로 출입자의 출입 장소나 각 게이트의 출입 현황을 취합하여 출입자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개인 이동 경로 보고서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웹 기반으로 관리하여 방문자의 개인 정보 관리, 방문자의 방문 예약, 방문자의 출입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방문자의 위치는 RTLS(real time locating system)을 기반으로 추적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출입문을 복수의 운영 모드를 기반으로 운영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출입문을 정상 운영 모드, 비상 운영 모드, 소방 운영 모드, 동행 인증 모드 중 하나로 운영할 수 있다.
정상 운영 모드에서는 기본적인 출입문의 운영 모드로서 특정 출입문에 대해 출입 권한을 가진 출입자의 출입문에 대한 출입이 허용될 수 있다.
비상 운영 모드에서는 출입자가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에도 관리자가 추가로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을 부여했을 때 지정횟수(예를 들어, 1회)에 한하여 출입문을 통한 입실/퇴실이 가능하고 재입실할 경우 출입 불가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소방 운영 모드에서는 소방 화재 수신반과 연동하여 출입 통제 소방 ZONE에 따라 출입문이 강제 개방 및 강제 폐쇄되도록 운영될 수 있다. 동행(이중) 인정 모드에서는 필요에 따라 ID/CARD 또는 지문 인증과 같은 인증 정보의 조합이 이루어졌을 경우, 출입문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경보 기능 및 경계 모드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필요시 경계 모드의 설정 및 해제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보안 카드를 인식하여 경계 모드를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다. 경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일반 출입자의 출입이 불가능해야 한다. 경계 모드가 설정된 경우, 화면을 통해 운영자에게 경계 모드로 시스템이 운영됨을 알리고 E-MAIL, SMS와 같은 수단을 통해 경계 모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지역별, 층별 평면도를 생성할 수 있다.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지역별, 층별 평면도에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위치, 설정 값, 출입문의 위치, 출입자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추가 또는 제거, 출입문의 추가 또는 제거에 대한 정보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지역별, 층별 평면도에 반영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지역별, 층별 평면도는 다른 표현으로 모니터링 맵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모니터링 맵 상에서 출입자의 출입문에 대한 출입 여부, 경계 모드의 발생 여부, 출입자(또는 방문자)의 위치, 출입자(또는 방문자)의 신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운영자는 이러한 모니터링 맵을 기반으로 출입자의 출입 여부, 경계 모드의 발생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출입문 개폐와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이미지 또는 사운드와 같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기반으로 이벤트의 발생이 모니터링 맵 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RTLS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출입자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자의 위치가 실시간을 추적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출입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출입자의 이동 경로에 따라 출입문을 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자가 제1 지역에서 제2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지역에 대한 출입자의 출입 권한을 판단하여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모니터링 맵 상에서 출입자의 이동 경로 및 실시간 위치가 표시되고, 필요한 경우, 출입자의 이동 경로 상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한 경우, 해당 위치에 출입자가 위치했었던 시간에 대한 정보가 모니터링 맵 상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방문자(또는 출입자)의 스마트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방문자의 방문시 방문자의 스마트 폰으로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방문자의 스마트폰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의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방문자의 스마트 폰의 카메라 기능, 음성 녹음 기능, 인터넷(또는 통신) 기능, USB 기능 등이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방문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방문자가 보안이 필요한 위치에 위치한 경우, 방문자의 스마트 폰으로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방문자의 스마트폰은 카메라 기능, 음성 녹음 기능, 인터넷(또는 통신) 기능, USB 기능 등의 사용을 자체적으로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다. 방문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방문자가 보안이 필요하지 않은 위치에 위치한 경우, 방문자의 스마트 폰으로 기능 제한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방문자의 스마트 폰은 기능 제한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고 카메라, 음성 녹음, 인터넷(또는 통신) 기능, USB 기능 등에 대한 제한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화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출입문을 강제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메인 서버와 연동하여 건물 내 조명 관리 및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건물 내 출입자가 없는 지역에 대해서는 조명이 켜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건물 내 특정 지역에서 출입자가 모두 퇴실한 경우, 출입문의 개폐가 관리자 권한에 의해서만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받지 못한 출입자가 다른 인증받은 출입자의 엘리베이터의 탑승시 함께 탑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출입자의 동선, 엘리베이터에 현재 탑승한 인원 등을 기반으로 인증받지 못한 출입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인증받지 못한 출입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경우, 중앙 통제실에 인증받지 못한 출입자가 탑승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하고 인증받지 못한 출입자가 침입자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의 소방 운영 모드에서의 출입문 제어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건물 내에 화재 발생 위치를 판단하고 건물 내의 화재 발생 위치 및 출입자의 건물 내의 위치에 따라 출입문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건물 내의 출입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고 현재 건물 내의 출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화재 센서와 연동되어 건물 내의 특정 위치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위치(700)에 따라 건물 내의 출입문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내의 제1 구역에 위치한 화재 센서를 통해 화재가 센싱된 경우 가정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화재 발생 위치(700)인 제1 구역 내에 출입자의 위치 여부를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를 통해 획득하여 제1 구역과 관련된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화재 발생 위치(700)에 인접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로 출입자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출입자 위치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기반으로 전송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출입자 위치 요청 메시지는 출입자의 인증 장치로 출입자의 위치 판단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출입자 위치 요청 메시지는 출입자의 응답 메시지의 전송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브로드캐스트된 출입자 위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출입자의 인증 장치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응답 메시지를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를 통해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지역에 출입자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화재 센서를 기반으로 판단된 화재 발생 위치(700)과 연관된 출입문 및 화재 지역으로부터 건물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을 강제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위치(700)에 출입자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구역의 출입문을 차단할 수 있다. 화재 센서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위치(700)에 대해 블록(block)(화재 방지 블록(750))을 형성하기 위해 화재 발생한 지역에서 출입문을 닫고 화재 지역으로부터 건물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을 강제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연기로 인한 질식사를 막을 수 있고, 화재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장치의 위치(즉, 출입자의 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위치를 구조 위치로 결정하여 소방소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소방서에서는 출입자의 인증 장치의 위치를 소방 업무에 반영하여 인명 구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전술한 모니터링 맵을 출입자의 인증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 맵 상에는 탈출 경로 및 개방된 출입문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출입자는 모니터링 맵을 참조하여 건물 외부로 피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의 출입문 제어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서는 출입자의 위치를 판단하여 출입자에게 출입문을 개방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출입자가 건물 내의 제1 지역(800)에서 제2 지역(850)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출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출입자의 제1 지역(800)에서 제2 지역(850)으로의 이동이 예측되고 출입자가 제1 지역(800)에서 제2 지역(850)으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과 임계 거리 이하이고, 출입자가 제2 지역(850)으로의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제2 지역(850)으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을 추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바로 개방할 수 있다. 즉, 출입자의 직접적인 인증 절차 없이도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지역(850)으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이 위와 같은 절차로 개방된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제2 지역(850)으로 이동하기 위한 출입문을 개방시킨 출입 권한을 가진 출입자만이 이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입자의 직접적인 인증 절차 없이 출입문을 개방할 경우, 출입 권한이 없는 다른 출입자도 개방시 들어올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출입문을 개방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를 기반으로 이동되는 출입자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의 전송을 명령하고 바로 출입문의 개방으로 이동되는 출입자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출입자가 출입문의 개방을 기반을 이동하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출입문을 이동한 복수의 출입자 각각에 대한 인증 권한을 재판단할 수 있다.
출입 권한이 없는 출입자가 존재하는 경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경고 신호의 발생을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로 명령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자의 스마트 폰의 기능 제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서는 스마트 폰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에 설치된 보안 프로그램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기능 제한 명령을 기반으로 스마트 폰의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우선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복수의 출입자 각각의 스마트 폰에 대해 식별 정보를 부여할 수 있고, 이러한 식별 정보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와 복수의 출입자 각각의 스마트 폰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폰에 설치된 보안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스마트 폰의 각 모듈의 대한 제한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스마트 폰이 기능 제한 위치에 위치한 경우, 기능 제한 메시지(900)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능 제한 메시지(900)에는 기능 제한 대상이 되는 스마트 폰의 식별 정보와 기능이 제한되는 모듈(녹음 모듈, 촬영 기능 모듈, 통신 모듈, USB 모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기능 제한 메시지(900)를 수신하고 기능 제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지시된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기능 제한을 완료함을 지시하는 기능 제한 완료 메시지(920)를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는 스마트 폰의 일부 기능에 대한 제한이 해제되는 위치(또는 스마트 폰의 전체 기능에 대한 제한이 해제되는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기능 제한 해제 메시지(940)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기능 제한 해제 메시지(940)에는 기능 해제 제한 대상이 되는 스마트 폰의 식별 정보와 기능이 제한이 해제되는 모듈(녹음 모듈, 촬영 기능 모듈, 통신 모듈, USB 모듈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기능 제한 해제 메시지(940)를 수신하고 기능 제한 해제 메시지(940)를 기반으로 지시된 제한된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기능 제한 해제을 완료함을 지시하는 기능 제한 해제 완료 메시지(960)를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메인 서버
120: 출입 통제 서버
140: 위치 확인 서버
160: 방문자 서버
180: 차량 통제 서버
200: 메인 서버
210: 중간 통신부
220: 데이터 저장 장치
230: 통신 처리 장치
24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제어 장치

Claims (14)

  1.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에 있어서,
    출입자의 인증 장치로부터 위치 인식을 위한 제1 신호 또는 출입 권한 획득을 위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자의 출입 권한, 상기 출입자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출입자의 제1 보안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자가 상기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 상기 출입자가 출입을 요청한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출입자의 상기 인증 장치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출입자의 식별을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출입자의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장치로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장치로 상기 인증 장치의 기능에 대한 제한을 요청하는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카메라 기능, 음성 녹음 기능, 통신 기능 및 USB(universal serial bus) 기능을 제한하고,
    상기 출입문의 열림 또는 닫힘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이 센싱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입문을 정상 운영 모드, 비상 운영 모드, 소방 운영 모드 및 동행 인증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운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상 운영 모드는 상기 출입문에 대해 출입 권한을 가진 출입자의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비상 운영 모드는 출입자가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에도 관리자에 의해 추가로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지정 횟수에 한하여 상기 출입문을 통한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문을 통한 재입실을 제한하고,
    상기 소방 운영 모드는 소방 화재 수신반과 연동하여 상기 출입문이 출입 통제 소방 ZONE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강제 개방 또는 강제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동행 인증 모드는 복수의 인증 정보의 조합이 이루어졌을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며,
    모니터링하는 지역별, 층별 모니터링 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 맵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위치, 복수의 출입문 각각의 위치, 상기 출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출입자의 예측 이동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출입자의 제1 지역에서 제2 지역으로의 이동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상기 제2 지역의 출입문에 대한 상기 출입자의 출입 권한을 미리 판단하여 상기 제2 지역의 상기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미리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상기 출입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2 신호의 주기적인 전송을 요청하는 출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를 기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자의 위치 정보 및 건물에 출입한 다른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지역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재 발생 지역에 연결된 출입문을 폐쇄하고, 건물 외부로 상기 출입자 및 상기 다른 출입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출입문은 강제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방법.
  8.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출입자의 인증 장치로부터 위치 인식을 위한 제1 신호 또는 출입 권한 획득을 위한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자의 출입 권한, 상기 출입자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출입자의 제1 보안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인증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 권한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자가 상기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 상기 출입자가 출입을 요청한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며,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인증 장치로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고, 상기 인증 장치로 상기 인증 장치의 기능에 대한 제한을 요청하는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보안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기 인증 장치는 상기 기능 제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카메라 기능, 음성 녹음 기능, 통신 기능 및 USB(universal serial bus) 기능을 제한하며,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출입문의 열림 또는 닫힘을 확인하고 상기 출입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을 센싱하고, 상기 출입문의 비정상적인 열림이 센싱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출입문을 정상 운영 모드, 비상 운영 모드, 소방 운영 모드 및 동행 인증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운영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정상 운영 모드는 상기 출입문에 대해 출입 권한을 가진 출입자의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비상 운영 모드는 출입자가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진 경우에도 관리자에 의해 추가로 상기 출입문에 대한 출입 권한이 부여된 경우에만 지정 횟수에 한하여 상기 출입문을 통한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허용하고 상기 출입자의 상기 출입문을 통한 재입실을 제한하고,
    상기 소방 운영 모드는 소방 화재 수신반과 연동하여 상기 출입문이 출입 통제 소방 ZONE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강제 개방 또는 강제 폐쇄되도록 하고,
    상기 동행 인증 모드는 복수의 인증 정보의 조합이 이루어졌을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며,
    상기 기록 매체는 모니터링하는 지역별, 층별 모니터링 맵을 생성하는 상기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상기 모니터링 맵은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송수신 장치의 위치, 복수의 출입문 각각의 위치, 상기 출입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출입자의 예측 이동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예측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출입자의 제1 지역에서 제2 지역으로의 이동이 예측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상기 제2 지역의 출입문에 대한 상기 출입자의 출입 권한을 미리 판단하여 상기 제2 지역의 상기 출입문의 개방 여부를 미리 결정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 상기 출입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2 신호의 주기적인 전송을 요청하는 출입자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를 기반으로 전송하고,
    상기 출입자의 위치 정보 및 건물에 출입한 다른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화재 발생 지역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재 발생 지역에 연결된 출입문을 폐쇄하고, 건물 외부로 상기 출입자 및 상기 다른 출입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출입문은 강제 개방하는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50015066A 2015-01-30 2015-01-3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54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66A KR101545953B1 (ko) 2015-01-30 2015-01-3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066A KR101545953B1 (ko) 2015-01-30 2015-01-3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953B1 true KR101545953B1 (ko) 2015-08-21

Family

ID=5406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066A KR101545953B1 (ko) 2015-01-30 2015-01-30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95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555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16368B1 (ko) * 2017-12-28 2018-11-07 이계정 출입 통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9050244A1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20190027062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KR102212678B1 (ko) * 2020-03-26 2021-02-05 주식회사 지오플랜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13658356A (zh) * 2021-08-10 2021-11-16 北京首钢自动化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门禁管理方法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CN115131907A (zh) * 2022-08-30 2022-09-30 湖南海讯供应链有限公司 智能门禁系统及其通讯方法
CN117746645A (zh) * 2024-02-19 2024-03-22 深圳市捷易科技有限公司 车辆识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7746645B (zh) * 2024-02-19 2024-05-31 深圳市捷易科技有限公司 车辆识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031A (ja) * 2005-11-09 2007-05-31 Yamatake Corp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031A (ja) * 2005-11-09 2007-05-31 Yamatake Corp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退室管理方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555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804086B2 (en) 2015-11-23 2023-10-31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KR102369077B1 (ko) * 2015-11-23 2022-03-03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332325B2 (en) 2017-09-05 2019-06-25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27062A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WO2019050244A1 (ko) * 2017-09-05 2019-03-14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1386733B2 (en) 2017-09-05 2022-07-12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2473184B1 (ko) * 2017-09-05 2022-12-05 주식회사 슈프리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US11651638B2 (en) 2017-09-05 2023-05-16 Suprema Inc.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101916368B1 (ko) * 2017-12-28 2018-11-07 이계정 출입 통제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12678B1 (ko) * 2020-03-26 2021-02-05 주식회사 지오플랜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WO2021194136A1 (ko) * 2020-03-26 2021-09-30 주식회사 지오플랜 출입문의 온오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출입자동화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N113658356A (zh) * 2021-08-10 2021-11-16 北京首钢自动化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门禁管理方法
CN115131907A (zh) * 2022-08-30 2022-09-30 湖南海讯供应链有限公司 智能门禁系统及其通讯方法
CN117746645A (zh) * 2024-02-19 2024-03-22 深圳市捷易科技有限公司 车辆识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7746645B (zh) * 2024-02-19 2024-05-31 深圳市捷易科技有限公司 车辆识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953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538002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RU2672515C2 (ru)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используя портативные электр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KR101547489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20170004958A (ko) 주거 시스템
US10134255B2 (en) Digital future now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220058297A (ko)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09601B2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JP200905908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8025278A (ja) 出入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84545B1 (ko) 씨씨티비 및 IoT를 이용한 입출입 관리 시스템 구동 방법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JP5095191B2 (ja) 共連れ検知システム
KR20180008132A (ko) 지하철 환기구 출입 통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WO2013094022A1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040045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276936B1 (ko) 추적 대상 통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지능형 로봇 감시서비스 시스템
KR101630169B1 (ko)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29551B1 (ko) 위치 기반 구역 제어 서비스 장치
KR102602862B1 (ko) 모바일출입증 기반 방문자-방문차량 통합 출입보안관리시스템
JP7374399B1 (ja) 入場許否判定システム、入場許否判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入場許否判定方法
KR102604069B1 (ko) 번호판 도용 차량의 차단이 가능한 차량 입출차 관리 시스템
KR20240003793A (ko) 사물인터넷 기술 및 rtls를 이용한 cctv 연계 출입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7965A (ko) 근거리 통신 및 패스워드 브로드캐스팅 기반의 출입보안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