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0169B1 -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0169B1
KR101630169B1 KR1020150132421A KR20150132421A KR101630169B1 KR 101630169 B1 KR101630169 B1 KR 101630169B1 KR 1020150132421 A KR1020150132421 A KR 1020150132421A KR 20150132421 A KR20150132421 A KR 20150132421A KR 101630169 B1 KR101630169 B1 KR 10163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vehicle
mobile terminal
scanner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하
배정수
임성찬
노지희
Original Assignee
(주)중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중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5013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169B1/ko
Priority to PCT/KR2016/010422 priority patent/WO20170481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6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08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한 비콘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 건물이나 구역을 출입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의 시스템은 차량 내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비콘(beacon)과,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차량 비콘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서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는 비콘 스캐너, 및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대하여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를 설정해 두고, 모바일 단말로부터 비콘 신호에서 식별된 비콘 정보를 전달받고 비콘 스캐너로부터 출입 게이트에 출입하는 차량 비콘 ID가 수신되면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에게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는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MISSION CONTROL SERVICE BASED ON BEACON}
본 발명은 비콘(beacon)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대기업이나 검찰청 등 보안이 필요로 하는 건물 또는 구역에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이의 모니터링을 통해 내/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또한, ID(IDentificaion)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 방법들은 단순히 사용자들의 출입만을 통제할 뿐,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즉, 스마트 폰을 이용한 정보 유출을 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특정 건물이나 구역 출입구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 카메라에 보안스티커를 부착하여 사진 촬영을 제한하고 있다.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에 보안 관련 솔루션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자동으로 중지시키거나, 마이크 또는 인터넷의 사용을 제한하여 음성 녹음, 데이터 전송 기능을 차단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특정 건물이나 구역을 퇴실할 때 퇴실 여부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으면 방문 시 적용되었던 보안 설정이 해당 건물이나 구역을 퇴실한 이후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스마트 폰 사용에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보안 영역으로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차량의 이동성 때문에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식 오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출입 및 보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14-0067358호(발명의 명칭: 보안 이벤트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의 관리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공개일: 2014년 06월 05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최근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보급으로, 시간적 또는 공간적인 제약없이 자유롭게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비콘 서비스를 이용하여, 특정 건물이나 구역을 출입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고 이를 통해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 내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비콘(beacon);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상기 차량 비콘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서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여 차량 비콘 ID를 인식하는 비콘 스캐너; 및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대하여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를 설정해 두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비콘을 통해 수신한 비콘 신호에서 식별된 비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출입 게이트에 출입하는 차량 비콘 ID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에게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비콘 스캐너는, 상기 스캔을 통해 인식한 차량 비콘 ID를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대하여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와 함께 상기 MDM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MDM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비콘 정보를 전달받으면 차량 비콘 ID별로 매칭해 두고,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차량 비콘 ID와 함께 상기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되는 통제 서비스를 조회하여 조회된 통제 서비스의 신호를 상기 식별된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한다.
또한, 상기 MDM 서버는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수신한 차량 비콘 ID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인원 파악이 가능하며,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MDM 서버는, 상기 통제 서비스로서,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보안 설정을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보안 해제를 위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콘 스캐너는 상기 출입 게이트의 출구 및 입구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차량 비콘의 출입 여부를 각각 스캔한다.
또한, 상기 비콘 스캐너는,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 차량 이동방향의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시간 차를 두고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는 2개의 비콘 스캐너이며, 상기 MDM 서버가 상기 차량 비콘 ID가 수신된 비콘 스캐너의 순서에 따라 출차인지 입차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상기 차량 비콘은 차량 내측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비콘은 상기 차량이 버스인 경우 상기 버스의 승차문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을 탑승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차량에 설치된 차량 비콘(beacon)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 상기 차량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서 식별된 비콘 정보를 MDM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서 비콘 스캐너가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여 차량 비콘 ID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 비콘 ID를 상기 MD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DM 서버가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출입 게이트에 출입하는 차량 비콘 ID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에게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의 신호를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된 차량 비콘 ID를 상기 MD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대하여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스캔을 통해 인식한 차량 비콘 ID와 함께 상기 MDM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차량 내 모바일 단말에게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MDM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비콘 정보를 전달받으면 차량 비콘 ID별로 매칭해 두고,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차량 비콘 ID와 함께 상기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되는 통제 서비스를 조회하여 조회된 통제 서비스의 신호를 상기 식별된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한다.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서 출구 및 입구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차량 비콘의 출입 여부를 각각 스캔한다.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 차량 이동방향의 전후로 각각 이격되게 구비되어 시간 차를 두고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며, 상기 MDM 서버는 상기 차량 비콘 ID가 수신된 비콘 스캐너의 순서에 따라 출차인지 입차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건물이나 구역 등 출입 통제가 필요한 영역의 출입 게이트에서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제어할 수 있어 출입 여부에 따라 관련 서비스를 자동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차량에 설치된 비콘과 이를 감지하는 비콘 스캐너를 통해 출입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보안 설정 및 해제하기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어 원격으로 출입 통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퇴실 여부를 체크하지 않아도 출입 게이트에서 자동 인식하여 퇴실과 동시에 자동으로 해당 서비스가 적용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출입 게이트에 구비되는 비콘 스캐너를 통해 출입 차량 또는 그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인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위치 기반 서비스를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콘 스캐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시스템에서 비콘 스캐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콘 스캐너가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비콘(beacon)(120), 모바일 단말(130), MDM 서버(1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건물이나 존(zone)과 같이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170)에 차량 비콘(120)을 스캔하는 비콘 스캐너(110)를 더 포함하여, 출입 통제 영역(150)으로 출입하는 차량 및 그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인원, 위치까지 파악이 가능하다.
여기서, MDM이라 함은 Mobile Device Management를 칭하는 것으로, 모바일 단말의 잠금, 데이터 삭제 등 원격에서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MDM 서버(140)는 출입 통제 서비스와 연계되어 출입 여부에 따른 보안 설정 및 해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 제어 솔루션을 제공한다. 보안 서비스 외, 특정 분야의 정보 제공 관련 서비스, 모바일 단말의 펌웨어 업데이트,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는 삭제와 관련한 서비스 등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차량 비콘(120)은 일반적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기반으로 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일정 범위(반경 50~70m) 안에 있는 비콘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콘 단말은 모바일 단말이 되며, 일정 범위는 차량 내부로 한정하여 이해할 수 있다.
차량 비콘(120)은 차량에 설치되어 일정 주기마다 비콘 신호를 송출한다.
또는, 차량 비콘(120)은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170)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비콘(120)은 차량이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170)로 진입하면 해당 관리자가 차량 비콘(120)을 직접 조작하거나 리모콘 등을 통해 원격으로 조작하여 비콘 신호를 송출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비콘(120)은 차량 내 전방 유리창문에 설치되어 차량 내 탑승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모두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량이 대형 버스인 경우 차량 비콘(120)은 버스의 승차문 입구측에 설치되어 탑승하는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정확하게 탐색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 비콘(120)을 통해 누가 어떤 차량을 탑승하였는지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콘 신호는 기본적으로 차량 비콘 ID를 포함한 식별 코드이다.
모바일 단말(130)은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이다. 사용자는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출입하는 내/외부인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직원, 관리자, 방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30)은 차량 비콘(120)과의 통신이 가능한 일정 반경 내에 근접하게 되면 차량 비콘(120)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비콘 신호에 포함된 정보(이하, 비콘 정보)를 식별한다. 비콘 정보에는 차량 비콘 ID가 포함된다. 모바일 단말(130)은 식별된 비콘 정보를 MDM 서버(140)로 전달하고, 이후에 출입 게이트를 출입하게 되면 MDM 서버(140)로부터 비콘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 신호를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130)이 출입 게이트로 출입하는지 여부는 비콘 스캐너(110)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즉, 비콘 스캐너(110)가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170)에 설치되어, 출입 게이트(170)로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 비콘(120)을 스캔한다.
다시 말해, 차량이 출입 게이트(170)로 진입하게 되면 비콘 스캐너(110)가 차량 비콘(120)을 스캔하여 비콘 ID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 비콘 ID를 MDM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때, 비콘 스캐너(110)는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비콘 ID와 함께 MDM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비콘(120)이 출입 통제가 필요한 영역(이하, 출입 통제 영역)(150)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인(in)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고, 인 이벤트 신호를 차량 비콘 ID와 함께 MDM 서버(140)로 전송한다. 역으로, 차량 비콘(120)이 출입 통제가 불필요한 영역(이하, 출입 통제 해제 영역(160))으로 진입하는 경우 아웃(out)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비콘 ID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MDM 서버(140)는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대하여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를 사전에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통제 서비스는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여부에 따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 관련 서비스에 있어서, 차량이 출입 통제 영역(150)으로 진입한 입차 시 입차와 동시에 보안 설정을 위해 카메라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통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매칭하고, 이와 반대로 출입 통제 해제 영역(160)으로 출차 시에는 출차와 동시에 보안 해제를 위해 카메라의 동작 중지를 해제하는 통제 서비스를 적용하도록 매칭할 수 있다.
또한, MDM 서버(141)는 차량이 출입 통제 영역(150)으로 입차 시 입차와 동시에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통제 서비스를 적용하도록 매칭하고, 출입 통제 해제 영역(160)으로 출차 시에는 출차와 동시에 이전에 차단된 통신 기능을 해제하는 통제 서비스를 적용하도록 매칭할 수 있다. 이 외, 모바일 단말의 녹음기, 외장메모리, GPS 기능을 차단하거나, 앱 스토어, 브라우저, 유투브 등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는 통제 서비스를 출입 여부에 따라 매칭하여 설정해 둘 수 있다. 또, 펌웨어 업데이트 관련 통제 서비스를 매칭할 수 있으며, 또 본 발명의 출입 통제 서비스와 관련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삭제를 유도하는 서비스를 설정해 둘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기초하여, MDM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차량 비콘(120)을 통해 수신한 비콘 신호에서 식별된 비콘 정보가 전달되고 비콘 스캐너(110)로부터 출입 게이트에 출입하는 차량 비콘 ID가 수신되면,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에게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130)을 관리한다. 이의 동작과 관련해서는 하기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MDM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비콘 정보가 전달되면 비콘 정보에는 차량 비콘 ID가 포함되기 때문에 차량 비콘 ID별로 수집이 가능하다. 따라서 MDM 서버(140)는 해당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인원 파악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원격으로 출입 통제가 가능하다.
비콘 스캐너(110)는 출입 게이트(170)에 하나의 장치만으로 구현되는 경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스캔 동작 및 이벤트 신호의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차량이 출입 게이터(170)로 진입하면 출입 게이트(170)로 진입한 차량의 차량 비콘(120)을 스캔하는 동시에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인 이벤트 신호 또는 아웃 이벤트 신호를 생성한다. 입차의 경우 인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고, 출차의 경우 아웃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콘 스캐너(110)가 출입 게이트(170)에서 출구 및 입구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비콘 스캐너(100)는 차량 비콘(120)이 출입 통제 영역(150)으로 입차하는지, 출입 통제 영역(150)을 벗어나 출입 통제 해제 영역(160)으로 출차하는지 여부를 각각 구분하여 스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비콘 스캐너(110)는 인 이벤트 신호 또는 아웃 이벤트 신호만을 발생한다. 예를 들어, 출입 게이트(170)의 입구측 비콘 스캐너(110)는 인 이벤트 신호만 발생하고, 출입 게이트(170)의 출구측 비콘 스캐너(110)는 아웃 이벤트 신호만 발생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비콘 스캐너(110)가 출입 게이트(170)에 차량 이동방향으로 전, 후에 각각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비콘 스캐너는 차량의 이동 방향에 따라 비콘 스캐너 #1 - #2 순으로 또는 비콘 스캐너 #2 - #1 순으로 시간 차를 두고 차량 비콘(120)을 스캔하게 된다. 이후 두 비콘 스캐너는 스캔한 순서에 기초하여 스캔한 차량 비콘 ID를 MDM 서버(140)로 전송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콘 스캐너(110)를 출구 및 입구 각각에 2개씩 구비할 수도 있다. 이는 출구 및 입구 각각에서 출차인지 또는 입차인지 여부를 각각 스캔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스캔 동작을 이중으로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출입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와 같이 동작한다.
차량이 출입 게이트(170)로 진입하면 출입 게이트(170)에 위치한 비콘 스캐너(110)가 차량의 차량 비콘(120)을 스캔하고 스캔한 차량 비콘 ID를 이벤트 신호와 함께 MDM 서버(140)로 전달한다.
한편,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30)은 차량 비콘(120)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비콘 신호로부터 식별된 비콘 정보를 MDM 서버(140)로 전달한다. 위 과정들은 차량이 출입 게이트(170)로 진입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개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테면, 모바일 단말(130)이 출입 게이트(170)로의 진입과 별개로 일정 주기마다 차량 비콘(120)으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식별된 비콘 정보를 수시로 MDM 서버(140)로 전달한다. 비콘 스캐너(110)는 차량 비콘(120)이 출입 게이트(170)로 진입하게 되면 즉시 인식하고 인식한 차량 비콘 ID를 MDM 서버(140)로 전달한다.
MDM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비콘 정보를 차량 비콘 ID별로 매칭해 두고, 비콘 스캐너(110)로부터 차량 비콘 ID과 함께 출입 여부에 따른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130)을 식별한다. 그리고 비콘 스캐너(12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출입 여부를 파악하고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를 조회하여 해당 모바일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예컨대, 차량이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여 출입 통제 영역으로 입차하는 경우, MDM 서버(140)는 해당 모바일 단말(130)에게 보안 설정을 위한 서비스, 특정 존에 관한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펌웨어 업데이트 관련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유도하는 서비스 중 하나의 통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대로, 차량이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여 출입 통제 해제 영역(160)으로 출차하는 경우, 해당 차량 내 모바일 단말(130)에게 보안 해제를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삭제를 유도하는 서비스 중 하나를 포함하는 통제 서비스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이 특정 건물이나 존 등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로 진입한다.
진입 시, S1 단계와 같이 출입 게이트의 관리자가 차량 비콘(120)을 직접 또는 원격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비콘 신호는 차량 내 탑승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130)에게 전송된다. 이 외, 차량 비콘(120)은 일정 주기마다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콘 신호의 송출은 차량이 출입 게이트로 진입할 때로 국한되지 않는다.
S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30)은 차량 비콘(12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로부터 비콘 정보를 식별한다.
S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30)이 식별된 비콘 정보를 MDM 서버(140)로 전달한다.
S4 단계에서, 차량이 출입 게이트로 진입 시 비콘 스캐너(110)가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 비콘(120)을 스캔하여 차량 비콘 ID를 인식한다. S4 단계는 설명의 편의상 S1 단계와 별개로 도시하였으나, 차량이 출입 게이트로 진입할 때 S1 단계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S1 내지 S3 단계를 수행하는 동안, S4 단계 내지 S5 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S5 단계에서, 비콘 스캐너(110)는 스캔을 통해 인식한 차량 비콘 ID를 출입 여부에 따른 인 이벤트 신호 또는 아웃 이벤트 신호와 함께 MDM 서버(140)로 전달한다.
S6 단계에서, MDM 서버(140)가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비콘 정보와, 비콘 스캐너(110)로부터 수신한 차량 비콘 ID 및 이벤트 신호를 매칭시키고, 차량 비콘 ID 및 이벤트 신호에 따른 서비스 신호를 조회한다.
S7 단계에서, MDM 서버(140)가 조회한 서비스 신호를 해당 모바일 단말(130)에게 전송한다.
S8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30)은 MDM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신호를 단말에 적용하여 출입 통제 서비스를 실행한다.
또한, MDM 서버(140)는 S6 단계의 매칭을 통해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 및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에 대하여 인원 등을 파악할 수 있고, 게다가 차량 및 사용자의 위치까지 추적이 가능하여 차량의 위치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 게이트를 통과하는 경우 이외에도 특정 위치에 차량 또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보안 프로그램 설치, 보안 정보 제공 등 위치 기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콘 스캐너가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참고로, 비콘 스캐너가 출입 게이트에서 차량 이동방향으로 이격된 구조이다.
S11 및 S12 단계에서, 비콘 스캐너 #1(112)가 주변의 차량 비콘(120)을 스캔하여 획득한 차량 비콘 ID를 MDM 서버(140)로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S13 및 S14 단계에서, 비콘 스캐너 #2(114)가 주변의 차량 비콘(120)을 스캔하고 이로부터 획득한 차량 비콘 ID를 MDM 서버(140)로 전달한다.
또한, 비콘 스캐너 #2(114)에서 먼저 스캔하고 다음에 비콘 스캐너 #1(112)에서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이 출입 게이트에서 출입 통제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또는 퇴실하는 경우에 따라 비콘 스캐너를 통한 스캔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S15 단계에서, MDM 서버(140)는 두 개의 비콘 스캐너(112, 114)로부터 전달받은 차량 비콘 ID의 수신 시간 차에 의해 출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6 단계에서, MDM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비콘 정보와 이전 단계에서 판단한 출입 여부에 따라 해당 서비스 신호를 조회하고 해당 모바일 단말(1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차량 비콘이 모바일 단말에게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이 비콘 신호로부터 식별된 비콘 정보를 MDM 서버에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은 도 5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수행되는 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비콘 스캐너 120: 차량 비콘
130: 모바일 단말 140; MDM 서버
150: 출입 통제 영역 160: 출입 통제 해제 영역
170: 출입 게이트

Claims (14)

  1. 차량 내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차량 비콘(beacon);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상기 차량 비콘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서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여 차량 비콘 ID를 인식하는 비콘 스캐너; 및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대하여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를 설정해 두고,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비콘을 통해 수신한 비콘 신호에서 식별된 비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출입 게이트에 출입하는 차량 비콘 ID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에게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서버
    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스캐너는,
    상기 스캔을 통해 인식한 차량 비콘 ID를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대하여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와 함께 상기 MDM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DM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비콘 정보를 전달받으면 차량 비콘 ID별로 매칭해 두고,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차량 비콘 ID와 함께 상기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되는 통제 서비스를 조회하여 조회된 통제 서비스의 신호를 상기 식별된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MDM 서버는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수신한 차량 비콘 ID에 기초하여 차량의 게이트 출입 여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인원 파악이 가능하며, 상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DM 서버는
    상기 통제 서비스로서,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으로 진입하는 경우 보안 설정을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보안 해제를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스캐너는,
    상기 출입 게이트의 출구 및 입구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차량 비콘의 출입 여부를 각각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스캐너는,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 차량 이동방향의 전후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차량 비콘을 시간 차를 두고 스캔하는 2개의 비콘 스캐너이고,
    상기 MDM 서버는 상기 차량 비콘 ID가 수신된 비콘 스캐너의 순서에 따라 출차인지 입차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비콘은 차량 내측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비콘은
    상기 차량이 버스인 경우 상기 버스의 승차문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을 탑승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차량에 설치된 차량 비콘(beacon)이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 상기 차량 비콘으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서 식별된 비콘 정보를 MDM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서 비콘 스캐너가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여 차량 비콘 ID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 비콘 ID를 상기 MD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DM 서버가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출입 게이트에 출입하는 차량 비콘 ID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에게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의 신호를 전송하여 모바일 단말을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차량 비콘 ID를 상기 MD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출입 게이트에서 인식한 차량 비콘 ID를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와 함께 상기 MDM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모바일 단말에게 출입 여부에 따른 통제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MDM 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비콘 정보를 전달받으면 차량 비콘 ID별로 매칭해 두고,
    상기 비콘 스캐너로부터 차량 비콘 ID와 함께 상기 출입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비콘 ID와 매칭되는 차량 내 모바일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에 대응되는 통제 서비스를 조회하여 조회된 통제 서비스의 신호를 상기 식별된 모바일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서 출구 및 입구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차량 비콘의 출입 여부를 각각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스캐너가 상기 출입 통제가 필요한 구역의 출입 게이트에 차량 이동방향의 전후로 각각 이격되게 구비되어 시간 차를 두고 상기 차량 비콘을 스캔하며,
    상기 MDM 서버는 상기 차량 비콘 ID가 수신된 비콘 스캐너의 순서에 따라 출차인지 입차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32421A 2015-09-18 2015-09-18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3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421A KR101630169B1 (ko) 2015-09-18 2015-09-18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6/010422 WO2017048102A1 (ko) 2015-09-18 2016-09-19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421A KR101630169B1 (ko) 2015-09-18 2015-09-18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169B1 true KR101630169B1 (ko) 2016-06-14

Family

ID=5619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421A KR101630169B1 (ko) 2015-09-18 2015-09-18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0169B1 (ko)
WO (1) WO20170481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44B1 (ko) 2016-08-19 2017-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기, 원격 제어 서버 및 비콘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6863A (ja) * 2008-05-13 2009-11-26 Hitachi Ltd 入退門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194A (ja) * 1998-11-12 2000-05-30 Toshiba Corp 駐車管理システム
JP4608914B2 (ja) * 2004-03-10 2011-01-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入退場管理システム
JP5173530B2 (ja) * 2008-03-31 2013-04-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庫システム、および該車庫システムにおけるゲート開閉制御方法
KR101274617B1 (ko) * 2012-04-30 2013-06-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6863A (ja) * 2008-05-13 2009-11-26 Hitachi Ltd 入退門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44B1 (ko) 2016-08-19 2017-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단말기, 원격 제어 서버 및 비콘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8102A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560B1 (ko) 방문자에게 건물로의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N110494898B (zh) 具有无线及面部识别的进入监控系统
US20120169461A1 (en) Electronic physical access control with remote authentication
US201300159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authorization
US11049346B2 (en) Visitor access control system with radio identification and facial recognition
KR20180027707A (ko) 관제센터 중심의 키오스크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KR102162943B1 (ko)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KR101545953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방법 및 출입 제한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373453A (zh) 具有无线电和人脸识别机制的入口监控系统
KR101887898B1 (ko)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101547489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62369A (ko) 출입 인증 시스템 및 그 인증 방법
KR101716382B1 (ko) 실내 위치추적을 통한 출입문 개방 자동화방법과 자동화시스템
KR101630169B1 (ko)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43716B1 (ko) Rf-card 기반의 출입통제시스템
KR101944753B1 (ko)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
US20210269280A1 (en) Intelligent elevator control system utilizing wireless user location awareness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CN113556740B (zh) 身份认证系统及方法
KR100400454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221446B1 (ko) 클라우드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641953B1 (ko) 서로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출입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