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898B1 -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898B1
KR101887898B1 KR1020160158276A KR20160158276A KR101887898B1 KR 101887898 B1 KR101887898 B1 KR 101887898B1 KR 1020160158276 A KR1020160158276 A KR 1020160158276A KR 20160158276 A KR20160158276 A KR 20160158276A KR 101887898 B1 KR101887898 B1 KR 101887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rones
information
access control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102A (ko
Inventor
강장묵
김신곤
이상원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8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B64C2201/1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use as communications relays, e.g. high-altitude platfo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보안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은 입주자 정보가 저장되는 입주자 데이터베이스, 미리 설정된 경비 구역을 이동하며 상기 경비 구역 내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의 입주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이 획득한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출입통제를 수행하는 출입통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통제 장치는 상기 공동주택의 경계 내로 상기 출입자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출입허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SECURITY SYSTEM OF APARTMENT COMPLEX USING DR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출입을 통제하고 안전귀가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보안 시스템은 입주민의 출입 시에는 미리 지급된 카드나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출입을 허가하고, 외부인의 경우에는 건물 1층이나 로비에 설치된 인터폰을 통해서 세대나 경비실의 확인을 거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출입자가 일단 아파트 공동 구역을 통과하여, 건물까지 접근할 때까지 아무런 통제수단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상 취약할 수밖에 없고, 택배기사를 가장하거나 출입이 허가된 자를 따라서 건물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등록특허 10-067281(RFID 태그를 이용한 아파트 출입문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서도 나타난다.
또한, 이와 같이 건물의 출입통제만 제공하는 경우 입주민이 귀가할 때까지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는데, 예를 들면 공개특허 10-2016-0116178(스마트폰 앱과 경보기를 통한 안전귀가시스템)에 개시된 안전귀가 시스템은 귀가자의 스마트폰을 통해서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어서 물리적인 위험상황에 대처할 수 없으며, 각 지역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안전귀가 도우미는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이 있어서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통상적인 위치추적 방법은 GPS에 기초하거나 WiFi의 위치값을 보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그 오차 범위는 5-10미터 이상이므로 건물 외벽이나 실내 측위가 제한되고, 특히 음영지역의 경우에는 그 오차범위가 상당히 큰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 구역의 출입통제와 입주민 안전귀가를 제공하는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정 구역의 출입통제와 입주민 안전귀가를 제공하는 공동주택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입주자 정보가 저장되는 입주자 데이터베이스, 미리 설정된 경비 구역을 이동하며 상기 경비 구역 내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의 입주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이 획득한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출입통제를 수행하는 출입통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통제 장치는 상기 공동주택의 경계 내로 상기 출입자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출입허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통제 장치는 상기 출입자를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드론을 통해 출입자의 방문목적지를 확인하여, 상기 출입자를 상기 방문목적지에 연결시키고, 상기 출입자의 방문목적지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론에게 명령하여 상기 출입자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촬영하거나 경고신호를 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출입통제 장치는 상기 출입자를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외부의 지명수배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출입자가 지명수배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찰서로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드론으로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내리는 안전귀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상기 안전귀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드론은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거나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드론은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 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은, 미리 설정된 경비 구역을 이동하며 상기 경비 구역 내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출입통제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의 제어에 의한 공동주택 보안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 장치가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경비 구역의 경계 내로 접근하는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통제 장치가 입주자 데이터베이스의 입주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입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통제 장치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자의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보안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자를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출입자의 방문목적지를 확인하여, 상기 출입자를 상기 방문목적지에 연결시키고, 상기 출입자의 방문목적지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론에게 명령하여 상기 출입자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촬영하거나 경고신호를 발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자를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외부의 지명수배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출입자가 지명수배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찰서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은 안전귀가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귀가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드론에게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귀가 명령에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안전귀가 명령에는 상기 드론이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거나, 상기 사용자와 주변을 촬영하도록 하는 명령이 더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안전귀가 명령에는 상기 드론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도록 하는 명령이 더 포함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드론을 이용한 사용자 안전귀가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사용자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드론으로 사용자 위치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내리는 안전귀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드론은 상기 사용자 안전귀가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가이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안전귀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에는 상기 드론이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거나, 상기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 주변을 촬영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드론은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 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위험신호는 사용자의 수신호, 음성신호,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한 미리 정해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신호는 경보음, 조명신호, 불꽃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드론을 이용한 안전귀가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안전귀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드론에게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귀가 명령에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사용자 안전귀가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귀가 명령에는 상기 드론이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 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거나, 상기 사용자와 주변을 촬영하도록 하는 명령이 더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안전귀가 명령에는 상기 드론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도록 하는 명령이 더 포함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위험신호는 사용자의 수신호, 음성신호,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한 미리 정해진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신호는 경보음, 조명신호, 불꽃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시스템을 이용할 경우에는, 드론이 정찰하면서 일정 구역 내의 출입자에 대하여 출입통제를 강화할 수 있어서 외부인이 건물까지 진입한 후 택배를 가장하거나 입주민을 따라서 출입하거나, 또는 건물 외벽을 타고 침입하는 시도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드론이 입주민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귀가하도록 조명을 비추거나, 위험 상황 발생시 경보를 발함으로써 공동주택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보호 대상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입주민이 요청할 경우, 공동주택 외에 인근 지역(버스나 지하철에서 하차)까지 드론이 이동하여 입주민의 안전한 귀가를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보안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통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통제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안전귀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안전귀가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안전귀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안전귀가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예를 들면 GPS 좌표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드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고도계, 레이저 고도계, 초음파 거리계 및 소냐 등을 구비하여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을 판독하는 이미지 판독기능이 구비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하고 이에 따라 대응하는 신호를 발하거나 조치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버나 사용자 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은 무인 비행을 하면서 제어되거나 자체적으로 구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알려진 드론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은 드론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출입통제와 입주자 안전귀가조치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출입자의 출입통제를 수행하는 출입통제 장치(10), 입주자의 안전귀가를 수행하는 안전귀가 장치(20), 미리 설정된 경비 구역을 이동하며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30) 및 입주자 정보가 저장되는 입주자 데이터베이스(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드론(30)은 경비구역을 이동하면서 경비구역의 경계로 접근하는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거나 입주자가 보유한 입주민 카드(근거리 통신 가능한 송수신 칩 내장)를 통해 입주민 관련 정보 등을 수집하여, 출입통제장치(10)로 전송한다.
출입통제장치(10)는 드론(30)으로부터 출입자 영상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 받으면 입주자 데이터베이스(80)를 검색하여, 출입통제를 수행하고, 외부의 지명수배자 데이터베이스(90)와도 연결되어 출입자가 지명수배자라고 판단되는 경우 경찰에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출입통제장치(10)는 드론(30) 자체 내에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떨어진 별도의 서버에 구현될 수도 있다.
안전귀가장치(2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하여 드론(30)에게 사용자를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가이드 하도록 하는, 즉 사용자를 엄호하면서 안내하도록 하는 안전귀가 명령을 내리고, 드론(30)은 명령에 따라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가이드 하면서, 조명을 비추거나 위험상황을 인식하여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공동 주택 내 시설의 수리, 도로 이동 여부, 밀집도 등을 파악하여 입주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돕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은 복수의 드론(30), 출입통제장치(10), 안전귀가장치(20)가 사용자와 연결되어, 경계구역 내의 출입을 통제하고, 입주민의 안전귀가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의 구성과 방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통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통제장치(10)는 드론(30) 및 입주자 데이터베이스(80)와 유선이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동작하며, 출입자 정보 수신부(110), 출입자 정보 분석부(120), 출입허가여부 결정부(130) 및 출입통제 명령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출입자 정보 수신부(110)는 드론(30)이 미리 설정된 경비 구역을 이동하면서 획득한 출입자(60)의 영상정보 및 주변 정보를 수신한다. 출입자(60)의 영상정보에는 출입자(60)의 얼굴의 정면, 측면의 클로즈업 영상, 전신영상, 출입자(60)가 이동한 주변을 촬영한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출입자 정보 분석부(120)는 드론(30)으로부터 전송받은 출입자(60)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출입자(60)를 식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출입자(60)의 얼굴을 식별하기 위하여 영상정보로부터 출입자(60)의 얼굴 영역을 분리하고, 특징부를 추출하여 눈, 코 입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얼굴을 인식하여 식별하는 방법은 이미 여러 가지 방법이 알려져있으므로 부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출입허가여부 결정부(130)는 출입자 정보분석부(120)에서 식별한 출입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입주자 데이터베이스(80)의 입주자 정보와 비교하여 허가된 출입자 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입주자 정보에는 공동주택 입주민 외에도, 사전에 출입이 허가된 비 입주민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주자 정보에는 입주민을 영상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면, 얼굴의 정면, 측면 사진, 전신사진이나 신체의 특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결과 출입자가 입주자 데이터베이스(80)의 입주자정보와 일치하고 출입이 허가된 상태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출입을 허가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화된 비 입주자 중 상시 출입(주변 음식점 배달 직원 등)자의 경우에도 그 특징을 추출하여 매칭할 수 있다.
만일, 출입자(60)를 입주자 데이터베이스(80)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드론(30)을 통해 출입자(60)의 방문목적지를 확인하여, 출입자(60)를 방문목적지에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방문지 주소에 전화나 인터폰, 영상중계를 통해 출입자(6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드론은 출입자와 의사소통 하기 위해서 출입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인식이나 미리 정해진 신호나 소통체계를 방문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출입자의 영상이나 음성을 보안 담당자에게 연결하여 상호 의사소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출입통제 명령부(140)는 출입자(60)의 방문목적지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방문목적이나 목적지를 알려주지 않고 회피하거나, 거짓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드론(30)에게 명령하여 출입자(60)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촬영하거나 경고신호를 발하도록 할 수 있다. 경고 신호는 소리, 빛, 근접 비행과 비행의 전후좌우(진동식 이동) 등의 경로의 모양을 통해 위험 신호 전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배자 데이터베이스(90)를 조회한 결과 출입자(60)가 지명수배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찰서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통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출입 통제 방법은 미리 설정된 경비 구역을 이동하며 경비 구역 내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출입통제 장치(20)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면, 드론으로부터 경비 구역의 경계 내로 접근하는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면(S110), 입주자 데이터베이스의 입주자 정보를 기초로 출입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한다(S120).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자의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S140), 만일 출입자를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다면, 드론을 통해 출입자의 방문목적지를 확인하여, 출입자를 방문목적지에 연결할 수 있다(S150).
그러나 출입자의 방문목적지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드론에게 명령하여 출입자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촬영하거나 경고신호를 발하도록 명령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S170). 또한, 외부의 지명수배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출입자가 지명수배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찰서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할 수도 있다(S190).
이때, 드론은 출입자와 의사소통 하기 위해서 출입자의 휴대폰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인식이나 미리 정해진 신호나 소통체계를 방문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출입자의 영상이나 음성을 보안 담당자에게 연결하여 상호 의사소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안전귀가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안전귀가장치(20)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귀가장치(20)는 드론(30)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동작하며, 안전귀가요청 수신부(210), 안전귀가요청 처리부(220) 및 안전귀가상황 분석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귀가요청 수신부(210)는 사용자(50)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한다. 안전귀가요청에는 사용자(50)의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안전귀가요청은 음성통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앱(어플리케이션), 문자, 인터넷, 무선접속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스마트폰의 앱이라면 GPS와 같은 위치추적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음성통화나 문자 등을 통해 안전귀가 요청이 접수되었다면 사용자가 직접 전송한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안전귀가요청 전달부(220)는 안전귀가요청 수신부(210)가 수신한 안전귀가요청을 기초로 드론(30)으로 안전귀가명령을 전송한다. 안전귀가명령에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50)가 보내온 안전귀가요청에 사용자 식별정보가 없거나 불명확하다면 입주자정보 데이터베이스(80)나 별도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사용자 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안전귀가명령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정보에는 사용자의 얼굴이나 신체에 관한 특징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드론(30)은 안전귀가명령을 받으면 사용자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기초로 사용자(50)를 식별하여 사용자(50)가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갈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예를 들면, 드론(30)은 사용자(50)를 가이드하는 동안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어서 주변을 환하게 만들거나,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 앞을 빛으로 비추어서 갈 길을 안내하거나, 사용자의 주변을 테두리로 표시함으로 사용자를 안심시킬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와 그 주변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길 수도 있다.
또한 드론(30)은 사용자를 가이드 하는 동안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연락처는 경찰서, 사용자의 지인, 안전귀가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수신호를 보내거나, 비명을 지르거나, 또는 단말을 통해 미리 정해진 긴급신호를 송출하면 위험상황을 알리는 신호라고 인식하고 이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론(30)은 경보음을 발하거나, 조명으로 위험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거나, 폭죽 등을 이용하여 불꽃신호를 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보내는 위험신호는 사용자와 미리 약속한 신호일 수 있고, 위험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비명이나, 몸짓과 같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신호나 경고신호는 본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입주민의 신체적 위협이 다급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입주민의 가슴 또는 얼굴 앞에 드론이 내려와 입주민을 보호할 수 있다. 또는 연기, 가스총 등 여타 안전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안전귀가상황 분석부(220)는 드론(30)으로부터 안전귀가시작부터 종료까지 일정한 이벤트에 따라서 상황을 전달받으면서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5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한 드론(30)으로부터 영상정보 및 상황정보를 수신하면, 현장상황을 분석하고 위험상황이라고 판단되면 경찰이나 보안담당업체에 통보할 수 있다. 만일 분석결과 안전귀가조치가 완료된 것이라고 판단하면 관련 영상을 모두 전송받고 저장 후 상황을 종료할 수 있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안전한 귀가를 확인 후 관련 영상 등을 삭제하거나 일정 기간 보관 후 삭제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안전귀가장치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안전귀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안전귀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안전귀가 방법은 드론을 이용한 안전귀가 장치에서 수행되며, 사용자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하면(S210),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확인하여(S220),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사용자를 안전하게 가이드 하도록, 드론에게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내릴 수 있다(S230). 안전귀가 명령에는 드론이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동안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거나, 상기 사용자와 주변을 촬영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론은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동안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어서 주변을 환하게 만들거나,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 앞을 빛으로 비추어서 갈 길을 안내하거나, 사용자의 주변을 테두리로 표시함으로 사용자를 안심시킬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와 그 주변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길 수도 있다.
또한, 안전귀가 명령에는 드론이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도록 하는 명령이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보내는 위험신호는 사용자와 미리 약속한 신호일 수 있고, 위험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비명이나, 몸짓과 같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입주민의 신체적 위협이 다급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입주민의 가슴 또는 얼굴 앞에 드론이 내려와 입주민을 보호할 수 있다. 또는 연기, 가스총 등 여타 안전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론이 안전귀가명령을 수행하는 동안 안전귀가장치는 드론으로부터 현장상황을 수신하고(S240), 수신한 현장상황을 분석하여(S250)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했는지, 목적지까지 무사히 잘 도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경찰이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할 수 있다(S270).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드론은 안전귀가 명령을 수신(S310)하면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확인하고(S320),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자를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안내하게 된다(S330). 또한, 드론은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동안 명령에 따라서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거나, 사용자와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S340, S350).
만일, 드론이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S360),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조명의 조도를 높이고 경보음을 발할 수도 있다(S370, S380).
이때, 사용자의 위험신호는 사용자의 수신호, 음성신호,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한 미리 정해진 신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경고신호는 경보음, 조명신호, 불꽃신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내는 위험신호는 사용자와 미리 약속한 신호일 수 있고, 위험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비명이나, 몸짓과 같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신호나 경고신호는 본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는다. 입주민의 신체적 위협이 다급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입주민의 가슴 또는 얼굴 앞에 드론이 내려와 입주민을 보호할 수 있다. 또는 연기, 가스총 등 여타 안전 장비를 활용할 수 있다.
위험상황이 종료되거나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무사히 도착하면 드론은 임무를 완성하고 원위치로 돌아가거나 다음 명령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10 출입통제장치
20 안전귀가장치
30 드론
80 입주자 데이터베이스
90 수배자 데이터베이스

Claims (22)

  1.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입주자 정보가 저장되는 입주자 데이터베이스;
    미리 설정된 경비 구역을 이동하며 상기 경비 구역 내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 및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의 입주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드론이 획득한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출입통제를 수행하는 출입통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통제 장치는 상기 공동주택의 경계 내로 상기 출입자가 접근하는 경우 상기 드론이 획득한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출입허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사용자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드론으로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내리는 안전귀가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나 신체에 관한 특징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드론은 상기 안전귀가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한 후 상기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가이드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드론은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 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고,
    상기 위험신호는 사용자와 미리 약속한 사용자의 수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위험신호는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한 미리 정해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 장치는 상기 출입자를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드론을 통해 출입자의 방문목적지를 확인하여, 상기 출입자를 상기 방문목적지에 연결시키고, 상기 출입자의 방문목적지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론에게 명령하여 상기 출입자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촬영하거나 경고신호를 발하도록 구성되는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 장치는 상기 출입자를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외부의 지명수배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출입자가 지명수배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찰서 또는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도록 구성되는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거나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의 주변을 촬영하도록 구성되는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6. 삭제
  7. 미리 설정된 경비 구역을 이동하며 상기 경비 구역 내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드론, 출입통제장치, 안전귀가장치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의 제어에 의한 공동주택 보안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통제 장치가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경비 구역의 경계 내로 접근하는 출입자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통제 장치가 입주자 데이터베이스의 입주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출입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출입통제 장치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자의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안전귀가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안전귀가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의 목적지까지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드론에게 사용자 안전귀가명령을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귀가 명령에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식별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나 신체에 관한 특징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안전귀가 명령은 또한, 상기 드론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위험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경고신호를 발하거나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도록 하는 명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험신호는 사용자와 미리 약속한 사용자의 수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되, 상기 위험신호는 사용자 단말에서 송신한 미리 정해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보안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자를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드론을 통해 상기 출입자의 방문목적지를 확인하여, 상기 출입자를 상기 방문목적지에 연결시키고, 상기 출입자의 방문목적지가 특정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론에게 명령하여 상기 출입자의 이동경로를 지속적으로 촬영하거나 경고신호를 발하도록 명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 보안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입자를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할 수 없는 경우,
    외부의 지명수배자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출입자가 지명수배자라고 판단하는 경우, 경찰서 또는 미리 정해진 연락처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동주택 보안 방법.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귀가 명령에는 상기 드론이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 주변에 조명을 비추거나, 상기 사용자와 주변을 촬영하도록 하는 명령이 더 포함되는 공동주택 보안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60158276A 2016-11-25 2016-11-25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101887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76A KR101887898B1 (ko) 2016-11-25 2016-11-25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76A KR101887898B1 (ko) 2016-11-25 2016-11-25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02A KR20180059102A (ko) 2018-06-04
KR101887898B1 true KR101887898B1 (ko) 2018-08-13

Family

ID=6262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276A KR101887898B1 (ko) 2016-11-25 2016-11-25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8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80B1 (ko) 2019-04-04 2019-07-09 정일 시각 교란형 폭력 진압용 드론 및 이에 따른 드론 콘트롤 시스템
KR102020913B1 (ko) 2019-07-01 2019-09-16 정일 시각 교란형 폭력 진압용 드론 및 이에 따른 드론 콘트롤 시스템
KR20220021190A (ko)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코맥스 사회적 오픈데이터 기반의 로비폰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863B1 (ko) * 2018-06-29 2019-09-10 주식회사 새론다이내믹스 드론을 이용한 사용자 안전 확보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2467814B1 (ko) * 2020-10-30 2022-11-16 주식회사 대림 인공지능 영상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공동주택단지 통합 보안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719B1 (ko) * 2010-03-09 2012-06-15 (주)셈투유 바이오 인식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40088004A (ko) * 2012-12-31 2014-07-09 안헌일 자동 알림 방식에 기반한 양방향 안전 관제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방법
KR101541359B1 (ko) * 2013-10-21 2015-08-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배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594428B1 (ko) * 2014-05-20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0626A (ko) * 2015-04-24 2015-06-03 롯데건설 주식회사 능동형 무인 경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80B1 (ko) 2019-04-04 2019-07-09 정일 시각 교란형 폭력 진압용 드론 및 이에 따른 드론 콘트롤 시스템
KR102020913B1 (ko) 2019-07-01 2019-09-16 정일 시각 교란형 폭력 진압용 드론 및 이에 따른 드론 콘트롤 시스템
KR20220021190A (ko)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코맥스 사회적 오픈데이터 기반의 로비폰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102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898B1 (ko)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CN107851348B (zh) 具有电梯系统的建筑物的疏散方案
US100742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AV-based digital escort drones in visitor management and integrated access control systems
EP35030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hotel room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US201203272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uiding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US11423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access and intent identification using mobile phones
US104460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hen a mobile device is left in a room
CN111373453A (zh) 具有无线电和人脸识别机制的入口监控系统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JPWO2018016022A1 (ja) セキュリティゲート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10402590B (zh) 用于至少部分自主的车辆的鉴权系统
KR101002130B1 (ko) Rfid와 네트워크cctv의 연동을 이용한 영상 기반이동체 위치 확인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체 휴대용rfid 태그
WO2021029086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ガイド・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79255B1 (ko) 자동항법 및 정보전달 가능한 무인비행시스템
US11244528B2 (en) System of conditional access where access is granted to other users when primary accessor is present in room
WO2020213058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ディフェンス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20308556A1 (en) Delivery robot and notification method
KR101630169B1 (ko)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6496A (ko) 침입자 식별 시스템 및 방법
WO2021084612A1 (ja) デジタルセフティ・レスポンス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22970A (ko) 주차위치 자동 인식방법과 이를 이용한 주차위치 안내시스템
US20220381577A1 (en) Directional guidance for a space
CN112638809B (zh) 用于控制电梯设备的维护模式的方法和电梯控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