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28B1 -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28B1
KR101594428B1 KR1020140060451A KR20140060451A KR101594428B1 KR 101594428 B1 KR101594428 B1 KR 101594428B1 KR 1020140060451 A KR1020140060451 A KR 1020140060451A KR 20140060451 A KR20140060451 A KR 20140060451A KR 101594428 B1 KR101594428 B1 KR 10159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rones
predetermined
dangerous situ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536A (ko
Inventor
송민우
채유영
정재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6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42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는 드론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단계와 상기 드론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으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ity service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영상 촬영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비행 모드 별 다양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출시되는 모바일 기기는 단순한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웹 브라우징, 채팅, TV 시청, 네비게이션, 게임,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 제조 회사들은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다.
또한,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에는 모바일 뱅킹, 모바일 쿠폰, 교통 카드, 게임, 보안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응용 소프트웨어들이 탑재되고 있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고사양의 프로세서와 고해상도의 터치 스크린 화면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사용자의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써,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착용감과 활동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컴퓨팅 기술 및 센싱 기술을 제공하는 휴대용 정보 기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최근에는 삼성전자에서 손목 시계 타입의 갤럭시 기어라는 제품이 출시되었으며, 해당 제품은 시계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은 통신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드론(drone)은 사전적으로, "낮게 웅웅대는 소리"라는 의미를 갖는다. 여기서, 다양한 뜻이 파생되어 "수벌" 또는 "악기가 내는 저음"등의 뜻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소형 무인항공기(무인기)를 지칭하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드론(drone)은 탑재된 복수의 초소형 프로펠러(로터:Rotor)를 이용하여 기체 균형을 유지하고, 카메라 등을 탑재하여 주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종래의 드론은 주로 무인 정찰, 전투 지원 등 군사 용도로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물품 배달 등과 같은 상업적인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드론을 이용한 보안 및 관제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험 상황 감지 기능 및 촬영 수단이 탑재된 드론을 이용하여 위험 발생 시 실시간으로 위험 상황을 촬영하고 미리 지정된 단말 또는 관제 센터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행 모드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로부터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고, 고도 변화에 따라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카메라 촬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보안을 위한 CCTV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움직임 감지 및 생체 정보 수집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실시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행 모드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는 드론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단계와 상기 드론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드론의 비행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상기 비행 중인 드론과 상기 단말 사이에 유지되는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행 모드는 보디 가드 모드, 재난 관제 모드, 관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모드 별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상기 제2 단말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이벤트 식별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지시하는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단말에 더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구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이 편집되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드론의 비행 고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행 고도의 변화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드론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드론에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에 의해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라 상기 드론의 비행 고도가 제어되어 상기 드론과 상기 단말사이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SNS(Social Network Sevice)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은 무선 근거리 통신, 이동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드론의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위된 위치 정보가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은 보호자 모바일 기기, 관제 센터, 댁내 TV, SNS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드론과 연동되는 단말에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소정 사용자 메뉴 선택을 통해 상기 드론의 비행 모드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드론과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행 모드를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단계와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상기 드론이 상기 단말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에 구비된 생체 정보 수집 센서를 통해 상기 단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집된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위험 상황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정보는 맥파, 체온, 혈압,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에 구비된 움직임 감지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위험 상황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이벤트 식별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지시하는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과 연동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단말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수단과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수단과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장치의 비행 모드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상기 비행 중인 장치와 상기 단말 사이에 유지되는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행 모드는 보디 가드 모드, 재난 관제 모드, 관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 모드 별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상기 제2 단말이 미리 설정되어 상기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이벤트 식별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지시하는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단말에 더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구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이 편집되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비행 고도 변화를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행 고도의 변화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치에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단말에 의해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라 상기 장치의 비행 고도가 제어되어 상기 장치와 상기 단말사이의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SNS(Social Network Sevice) 서버에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통해 드론과 연동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소정 사용자 메뉴 선택을 통해 상기 드론의 비행 모드를 입력 받는 수단; 상기 드론과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비행 모드를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수단과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상기 드론이 상기 장치와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에 탑재되는 소정 리모콘 앱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구비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상기 제1 단말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드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보안 및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위험 상황 감지 기능 및 촬영 수단이 탑재된 드론을 이용하여 위험 발생 시 실시간으로 위험 상황을 촬영하고 미리 지정된 단말 또는 관제 센터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함으로써, 실시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된 비행 모드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의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고, 고도 변화에 따라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카메라 촬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단말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개인 보안을 위한 CC TV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사용자 움직임 감지 및 생체 정보 수집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실시간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드론을 이용하여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보안 관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CC TV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 박동수에 따른 감정 지수가 정의된 감정 지수 테이블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박 다양성에 따른 감정 지수가 정의된 감정 지수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감 활성도 및 부교감 활성도에 따른 감성 상태가 정의된 감정 지수 테이블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상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상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예로, 손목 밴드 형태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음-는 터치 패널을 통해 탑재된 응용 소프트웨어의 구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탑재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휴대용 정보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와 연동되거나, 내부에 이동 통신 모듈이 탑재된 경우 직접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생체 정보 감지, 사용자의 터치 입력 감지 등을 위한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에 의한 센싱 정보에 따라 특정 위험 상황이 감지된 경우, 소정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드론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비이스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를 통해 드론에 의해 실시간 촬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단말 또는 관제 센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손목 밴드 형태의 모바일 기기는 본 발명에 개시되는 사상에 따라 실시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 중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한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는 손목 밴드 형태뿐만 아니라 반지 형태, 목걸이 형태, 밸트 형태, 머리 밴드 형태, 의복 형태, 안경 형태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댁내 디스플레이 기기는 IP TV, 스마트 TV, 미디어 보드,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멀티미디어 재생 기기 등의 제품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제어 가능한 디지털 가전 제품-예를 들면, 냉장고, 인터폰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이 탑재된 기기이면 충분함-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기능은 후술할 도면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바일 기기 등과 같은 디지털 정보 기기에 탑재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앱”이라 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용 소프트웨어와 “앱” 또는 "어플"을 혼용해서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감정 지수 판단 모듈(125), 출력부(130), A/V(Audio/Video)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입력 키 모듈(160),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사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연동되는 다른 모바일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통신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Guide) 등의 정보가 방송 관련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RRH(Radio Remote Head)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이 연결을 통해 다른 모바일 기기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7)을 통해 모바일 기기로부터 보안 관제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근거리 통신 연결된 모바일 기기를 핫스팟으로 테더링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도 있다.
GPS 수신 모듈(119)은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위험 상황을 감지한 경우, GPS 수신 모듈(119)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소정 제어 신호를 통해 드론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드론은 실시간 촬영된 영상과 함께 수신된 위치 정보를 미리 지정된 단말 및(또는) 관제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사용자의 보호자 및 시민의 안전 및 재난 구조를 담당하는 관청-예를 들면, 119 소방대, 경찰서, 해경, 중앙 안전 대책 본부 등을 포함함-은 위험 상황 발생 사실 및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GPS 수신 모듈(119)이 탑재되지 않은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위험 상황 발생을 감지하면, 소정 제어 절차를 통해 근거리 통신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현재 위치 정보 전송을 요청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모바일 기기는 탑재된 GPS 수신 모듈(119)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사용자 위치를 지도상에 매핑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부(120)에 의해 수집되는 센싱 정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위치 정보, 사용자 접촉 유무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방위 및 고도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회전 및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속도/가속도/감속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외부의 온도/습도/광도 정보, 주변 기기 연결 감지 정보-예를 들면, 이어폰 연결 및 제거-, 주변 소리 정보, 외부 통신 기기와의 연결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배터리 잔량 정보, 무선 충전을 위한 송신기 신호-예를 들면, 비콘 신호, 자기 유도 신호, 공진 주파수 신호 등을 포함함- 감지 정보 등과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내/외부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부(12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0)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20)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 모듈(121) 및 사용자의 맥파, 체온, 혈압, 심박수 등을 감지하여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 정보 수집 센서 모듈(1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감지 센서 모듈(121)은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시작한다. 만약, 사용자의 움직임이 미리 정의된 기준을 벗어나는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 속도 변화가 미리 정의된 기준을 초과(차량 납치), 사용자의 움직임이 소정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음(외부 충격, 건강상 등의 이유로 쓰러짐), 미리 설정된 이동 경로를 소정 범위 이상 벗어남 등의 위험 상황을 포함함-, 움직임 감지 센서 모듈(121)는 사용자에 위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연이어, 제어부(180)는 위급 상황 발생을 미리 설정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비행중인 드론에 전달하고, 드론은 실시간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보호자 단말 및(또는) 관제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수집 센서 모듈(123)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탑재된 생체 감지 센서-일 예로, 맥파 센서, 체온 센서, 혈압 센서 등을 포함함-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집된 생체 정보는 제어부(18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수신된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체온 및(또는) 혈압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맥파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맥파 분석을 통한 사용자 심리 상태의 판단 방법은 후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상에서는 맥파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제어부(18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감정 지수 판단 모듈(125)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감정 지수 판단 모듈(125)은 생체 정보 수집 센서 모듈(123)에 의해 수집된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 즉 감정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감정 지수에 따라 위험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위험 상황이 감지된 경우, 감정 지수 판단 모듈(125)은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31), 음향 출력 모듈(133), 알람부(135) 및 햅틱 모듈(13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보안 관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투명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바디 중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3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3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 모듈(13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센서와 터치 패드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33)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음향 출력 모듈(133)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이 감지된 경우, 주변 사람들에게 해당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소정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 신호는 사이렌 소리 및 "도와 주세요", "살려 주세요" 와 같은 음성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3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33)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알람 모듈(135)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위험 상황 발생, 제어 신호 수신,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배터리 상태 등이 있다. 또한, 알람 모듈(135)은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 소자 또는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31)이나 음향 출력 모듈(13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3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3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37)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햅틱 모듈(137)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3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37)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한 기능의 햅틱 모듈들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햅틱 모듈(137)은 위험 상황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 발열, 정전기력 등의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의식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141)와 마이크(1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3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4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 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반면, 음성 인식 모드의 경우, 수신된 음성 신호가 센싱부(12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센싱부(120)는 탑재된 음성 인식 수단을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주소록, 수신된 문자 메시지, 일정 정보, 알람 및 모닝콜 설정 정보, 메뉴 설정 정보, 정지영상,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5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키 모듈(160)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 키 모듈(160)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널(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7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소정의 포트를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무선 인터넷 연결, 근거리 통신 연결 등을 포함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위험 상황 감지에 따른 드론 제어 기능, 출력부(130) 제어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하부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모듈은 상술한 무선 통신부(110), 센싱부(120), 감정 지수 판단 모듈(125), 출력부(130), A/V 입력부(140), 메모리부(150), 입력 키 모듈(160), 외부 인터페이스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배터리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제1 모바일 기기(20), 드론(30), 관제 센터(40), 무선 근거리 통신망(50), 댁내 TV(55), 인터넷망(60), 이동 통신망(70), 제2 모바일 기기(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바일 기기(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직접 연동되는 사용자 모바일 기기이고, 제2 모바일 기기(8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통지하기 위한 미리 지정된 보호자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50)을 통해 드론(30)과 직접 통신하거나 제1 모바일 기기(20) 및 무선 근거리 통신망(50)를 통해 드론(30)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제1 모바일 기기(20)와 통신 채널이 설정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드론(30)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제어 신호를 제1 모바일 기기(20) 및 무선 인터넷 공유기(50)를 통해 드론(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제1 모바일 기기(20)를 통해 이동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이동 통신망(70)으로의 직접 통신에 필요한 이동 통신 모듈(113)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이동 통신망(70)으로의 직접적인 통신은 제1 모바일 기기(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제1 모바일 기기(20)는 이동 통신 망(70)을 통해 수신된 정보 및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전달하거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이동 통신 망(7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이동 통신 모듈(113)이 탑재되어 모바일 기기(2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이동 통신망(70)에 접속하거나 드론(3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드론(30)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 리모콘 앱이 탑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외부 입력 키 등을 통해 해당 리모콘 앱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리모콘 앱을 이용하여 드론(30)의 동작을 On/Off 시키거나, 드론의 비행 모드를 설정하거나, 드론의 영상 촬영 주기를 설정하거나, 위험 발생 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단말 및 관제 센터(40)의 접속 정보를 설정하는 등의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탑재된 움직임 감지 센서 모듈(121)에 의해 수집된 센싱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판단 결과를 소정 제어 신호를 통해 드론(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 센서가 탑재될 수 있으며, 해당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소정 제어 신호를 통해 드론(3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바일 기기(20)는 상술한 도 1에 개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기기(2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 공유기(50)를 통해 드론(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모바일 기기(20) 사용자는 미리 탑재된 리모콘 앱을 통해 드론(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와 무선 근거리 통신망(50)을 통해 연동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이 감지되면, 실시간 촬영된 영상 및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 등을 이동통신망(70)을 통해 미리 지정된 단말-예를 들면, 제2 모바일 기기(80), 댁내 TV(55), 관제 센터(40) 등을 포함-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 센터(40)는 119 구조대, 경찰, 해경, 중앙 재난 대책 본부 등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한 도 2에서는, 드론(30)이 이동통신망(70)을 통해 위험 상황 발생 시 촬영된 영상 및 위치 정보를 미리 지정된 단말에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드론(30)은 무선인터넷망, 미리 지정된 RF 주파수 채널 등을 통해서도 촬영된 영상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육지로부터 먼 해상과 같이 이동 통신망 서비스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미리 지정된 RF 주파수 채널을 통해 위험 상황 발생 시 촬영된 영상 및 위치 정보를 관제 센터(40)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제1 모바일 기기(20)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이동 경로를 메모리에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현재 이동 경로가 기 설정된 사용자 이동 경로를 소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경우,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위치 정보 및 실시간 촬영된 주변 영상을 미리 지정된 단말 및(또는) 관제 센터(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디바이스(100) 또는 제1 모바일 기기(20)는 사용자의 퇴근 시 이동 경로를 소정 보안 이동 경로 설정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밴드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목 밴드형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탑재되는 센서 모듈(31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손목 밴드의 일측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센서 모듈(310)에 의해 센싱된 정보는 내부 회로 연결에 의해 제어부(180)에 직접 전달되거나, 소정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를 들면, RFID, NFC 등을 포함함-을 통해 무선 통신부(110)에 수신되어 제어부(18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310)은 움직임 감지 센서, 체온 센서, 맥파 센서, 혈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맥파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맥파 정보는 맥파 다양성 정보, 심박수 정보, 혈류 지수 정보, 교감활성 정보, 부교감활성 정보 등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교감활성 정보 및 부교감활성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심리 상태 및 스트레스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도 3에는 센서 모듈(310)이 손목 밴드의 일측에 탑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모듈(310)은 그것의 용도 및 그것이 탑재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에 따라 그 탑재되는 위치가 상이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움직임 감지 센서 및 체온 센서는 본체(300)의 일측에 탑재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관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보안 관제 모드(410)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4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제1 모바일 기기(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보안 관제 모드(410)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400)상에서 보안 관제 모드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 화면(400)상에서 드론(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 화면(400)상에서 드론(30)의 비행 모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행 모드는 CC TV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중에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단말-예를 들면, 댁내 TV 등을 포함함-에 전송하고, 위험 발생 시 미리 지정된 단말-예를 들면, 제2 모바일 기기(80) 및 관제 센터(40)를 포함함-에 실시간 촬영 영상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보디가드 모드, 사용자에 위험 상황-여기서, 위험 상황은 추락 사고, 해난 사고, 화재 사고, 갑작스런 건강 이상, 납치 사고 등을 포함함-이 발생되었음이 감지되면,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 및 실시간 촬영된 주변 영상을 미리 지정된 보호자 단말 및(또는) 관제 센터(40) 등에 전송하는 재난 관제 모드,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및(또는) 제1 모바일 기기(20)에 전송하는 관광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 화면(400)상에서 위험 상황 감지를 위해 사용될 센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센서는 혈압 센서, 체온 센서, 맥파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는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CC TV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퇴근 시 전철역을 나와 집으로 귀가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기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음-의 소정 메뉴 선택을 통해 보안 관제 모드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리모콘 앱을 통해 드론(30)을 구동시킬 수 있다(S510). 이때, 사용자가 CC TV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보디가드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자.
귀가 중, 드론(30)은 사용자 단말과 일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비행하며, 탑재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실시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영상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미리 지정된 댁내의 TV 또는 보호자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S520).
보호자는 댁내의 TV 또는 보호자 단말을 통해 드론(30)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S530).
만약, 귀가 중, 사용자에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이 확인된 경우, 드론(30)은 현재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주변의 상황이 녹화된 영상 정보를 미리 지정된 보호자 단말 및 관제 센터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론(30)은 제어부(600), 무선통신부(610), 충격 감지 센싱 모듈(620), 고도 변화 감지 모듈(630), 비행 제어 모듈(640), 구동 모듈(641), 카메라 제어 모듈(650), 저장 모듈(660), 출력부(670), 거리 산출 모듈(680), 전원 공급 모듈(690), 영상 편집 모듈(69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 드론(3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드론(30)과 외부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로서, 드론(30)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위험 발생 감지 시 위험 발생 사실을 통보하기 위한 관제 센터(40), 제2 모바일 기기(80), 댁내 TV(55) 등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망(70)으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무선 근거리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드론(3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 중계기, 리피터, 펨토셀, RRH(Radio Remote Head)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및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송/수신 모듈을 의미하며, 무선 인터넷 모듈은 드론(30)에 내장되거나 소정의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해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30)은 근거리 통신 연결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설정된 비행 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드론(30)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황 발생 시에 통보할 보호자 단말 및 관제 센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정보는 보호자 단말의 전화 번호, 관제 센터의 IP 주소 또는 전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GPS 수신 모듈은 측위 위성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드론(3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거나, 획득하기 위한 모듈이다.
충격 감지 센싱 모듈(620)은 드론(30)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를 감지하는 모듈로서, 미리 지정된 수준 이상의 충격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고도 변화 감지 모듈(630)은 드론(30)의 비행 고도 변화를 감지하는 모듈로서, 단위 시간 동안의 비행 고도 변화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론(3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로부터의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메시지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단말에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탑재된 각종 위험 상황 발생 감지 모듈-예를 들면, 충격 감지 센싱 모듈(620), 고도 변화 감지 모듈(630) 등을 포함함- 등에 의해 생성되는 이벤트 신호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비행 제어 모듈(630)은 제어부(6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듈(641)을 제어하여 드론(30)의 비행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비행 제어 모듈(630)은 드론(30)과 사용자 단말이 일정 거리 유지하도록 구동 모듈(641)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 모듈(641)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펠러와 해당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 해당 전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회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드론(30)에 탑재되는 프로펠러의 개수는 드론(30)의 형태 및 구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안정적인 평형 유지 및 부드러운 방향 유지를 위해 적어도 4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제어 모듈(650)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653)와 야간 촬영을 위한 후레쉬(65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 모듈(650)은 카메라(653)의 일측에 연결된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카메라(653)의 촬영 방향 및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 모듈(650)은 카메라(653) 줌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카메라 제어 모듈(650)은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 줌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자 주변의 보다 근접된 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 모듈(650)은 위험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주기적으로 스냅 사진을 찍고, 위험 상황이 발생되면, 동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드론(3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카메라 제어 모듈(650)은 촬영된 동영상 또는 스냅 사진을 저장 모듈(6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 모듈(660)은 카메라(653)에 의해 촬상된 동영상 및 사진, 위험 상황 발생 시 통보할 단말 또는 관제 센터(40)의 접속 정보, 드론(30)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각종 파라메터 정보-예를 들면, 비행 모드 등을 포함함-, 및 소프트웨어 정보, 위험 상황 발생 시 출력부(670)를 통해 송출할 음향 파일 및 음성 메시지 등이 유지될 수 있다.
출력부(67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 저장 모듈(660)에 저장된 음향 파일-예를 들면, 싸이렌 소리- 또는 음성 메시지-예를 들면, "도와 주세요"-등을 독출하여 이를 재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식이 없는 상태이거나 구조를 요청할 상황이 아닌 경우, 드론(30)은 출력부(670)를 통해 자동적으로 주변에 위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거나,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다.
거리 산출 모듈(68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소정 파일롯 신호 또는 비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신호 세기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드론(30)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신호는 전파 거리에 따라 신호의 감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리 산출 모듈(680)은 사용자 단말에서의 전송 파일롯 세기와 드론(30)에서의 수신 파일롯 세기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드론(30)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거리 산출 모듈(680)에 의해 산출된 거리에 따라 비행 제어 모듈(640)은 구동 모듈(641)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비행 고도를 미리 지정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과 드론(30) 사이의 비행 고도는 비행 모드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관광 모드의 경우는 10m, 보디가드 모드의 경우는 3m, 재난 관제 모드의 경우는 20m 등으로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단말에 탑재된 리모콘 앱의 소정 메뉴 설정을 통해 수동으로 드론(30)의 비행 고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은 사용자에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자동으로 비행 고도를 낮추어 보다 근접된 영상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 모듈(690)은 드론(3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로서, 태양열 집열판 등이 구비되어 내부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모듈(690)은 공진 방식의 무선 충전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소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즉, 공진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사용자 단말 또는 특정 무선 신호 전송 장치-예를 들면, 위성 또는 기지국 등을 포함함-로부터 수신하면, 정류기를 통해 DC 전류를 생성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물론, 전원 공급 모듈(690)은 탑재된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내부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영상 편집 모듈(695)는 카메라(653)에 의해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편집된 영상은 무선 통신부(610)를 통해 외부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영상 편집 모듈(695)은 위험 상황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만을 추출하여 편집할 수도 있다. 또한, 영상 편집 모듈(695)은 얼굴 인식 기능이 탑재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경우, 촬영된 영상 중 얼굴 인식이 가능한 영상을 추출하여 편집할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드론(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드론(30)의 하부 모듈들을 제어하거나, 내부 생성된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 박동수에 따른 감정 지수가 정의된 감정 지수 테이블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감정 지수 테이블은 분당 심장 박동수(BPM:Beats Per Minute)에 따른 감정 지수가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BPM이 50이하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우울"함을 의미하고, BPM이 120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매우 흥분"된 상태임을 의미한다. 단, 상기한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BPM 레벨 별 대응되는 감정 지수는 당업자에 의해 다르게 정의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상기한 감정 지수 테이블은 사용자 단말에 유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탑재된 맥파 센서에 의해 수집된 심장 박동수를 감정 지수 테이블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정 지수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감정 지수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맥파 다양성에 따른 감정 지수가 정의된 감정 지수 테이블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정 지수 테이블은 맥파 다양성에 따른 감정 지수가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맥파 다양성이 20이하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매우 긴장"임을 의미하고, 맥파 다양성이 50이상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매우 좋음"임을 의미할 수 있다.
맥파 다양성은 맥파 변화도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맥파 변화도는 심장 박동의 변화를 기록한 그래프로서 심장 박동의 변화가 다양할수록 현재의 기분이 좋음을 의미하고, 심장 박동의 변화가 적을수록 매우 긴장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맥파 다양성은 심장 박동의 변화를 기록한 그래프의 복잡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심장 박동 형태의 다양성을 나타내며, 현재 심리 상태 및 스트레스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극도의 공포감을 느끼고 있는 경우, 심장 박동의 변화가 적을 수 있으며, 이때의 맥파 다양성은 낮은 수치일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정상 상태인 경우 심장 박동의 변화가 많을 수 있으며, 이때의 맥파 다양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일 수 있다.
단, 상기한 도 8에 도시된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맥파 다양성 레벨 별 대응되는 감정 지수는 당업자에 의해 다르게 정의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감 활성도 및 부교감 활성도에 따른 감성 상태가 정의된 감정 지수 테이블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정 지수 테이블은 교감 활성도 및 부교감 활성도에 따른 감정 지수가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교감 활성도가 6이하이거나 8이상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긴장 및 흥분"인 것으로 정의되고, 부교감 활성도가 4이하이거나 8이상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분노/근심/공포'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 상기한 도 9에 도시된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교감 활성도 및 부교감 활성도에 따른 감정 지수는 당업자에 의해 다르게 정의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센싱부(120)에 의해 수집된 생체 정보 및 상기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감정 지수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현재 감성 지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위험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제어 신호를 드론(3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소정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드론(30)의 비행 모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S1001).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드론(30)과의 통신 채널을 설정되면, 입력된 비행 모드를 소정 제어 신호를 통해 드론(30)에 전송할 수 있다(S1003 내지 S1005).
사용자는 드론(30)의 원격 제어가 가능한 소정 리모콘 앱이 실행하여 드론(30)을 구동시킬 수 있다(S1007).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내부 탑재된 센서를 통해 위험 상황 발생이 감지되면, 해당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드론(30)에 전송할 수 있다(S1009). 여기서, 제어 신호는 발생된 위험 상황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이벤트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위험 상황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 혈압이 떨어짐, 혈당 수치가 높음, 심장 박동이 빨라짐, 미리 지정된 경로 이탈, 고도의 급격한 변화, 감정 지수 변화, 체온의 급격한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위험 상황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 탑재된 맥파 센서, 움직임 센서, 고도 센서, 혈압 센서, 혈당 센서, 체온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드론(30)은 사용자 단말-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제1 모바일 기기(20)일 수 있음-과의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선택된 비행 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S1101 내지 S1103).
이후, 드론(3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비행을 시작하고, 사용자 단말과 일정 거리를 일정하며 유지하며 비행할 수 있다(S1105 내지 S1107). 여기서, 비행 중 사용자 단말과의 이격 거리는 사용자 단말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 또는 파일롯 신호의 수신 세기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의 이격 거리는 비행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비행 모드가 보디 가드 모드인 경우, 비행 이격 거리는 2m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비행 모드가 재난 관제 모드인 경우, 비행 이격 거리는 10m로 설정될 수 있다.
드론(30)은 소정 이벤트 식별자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제어 신호-예를 들면, 영상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주변의 영상 및(또는) 사진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S1109 내지 S1111).
연이어, 드론(30)은 비행 모드 별 미리 지정된 단말로 촬영된 영상 및(또는) 사진과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13). 여기서, 미지 지정된 단말은 IP 주소, 전화 번호, e-mail 주소 등으로 식별될 수 있으며, 관제 센터(40), 댁내 TV(55), 제2 모바일 기기(8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내부 탑재된 GPS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 경우, 드론(3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론(30)은 사용자 단말-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또는 제1 모바일 기기(20)일 수 있음-과의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선택된 비행 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S1201 내지 S1203).
이후, 드론(3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비행을 시작하고, 사용자 단말과 일정 거리를 일정하며 유지하며 비행할 수 있다(S1205 내지 S1207). 여기서, 비행 중 사용자 단말과 드론(3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사용자 단말이 송출하는 비콘 신호 또는 파일롯 신호의 수신 세기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만약, 비행 중 비콘 신호 또는 파일롯 신호의 수신 세기 변화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드론(30)은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단말 주변의 영상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S1209).
연이어, 소정 시간 동안의 영상 촬영이 완료되면, 드론(30)은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S1211).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30)은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소정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비행 중 비콘 신호 또는 파일롯 신호의 수신 세기 변화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 저장된 영상을 편집하여 미리 지정된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에서의 관광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드론(30)은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선택된 비행 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S1301 내지 S1303). 여기서, 비행 모드는 관광 모드일 수 있다.
드론(3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비행을 시작하고,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변 풍경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S1305 내지 S1307).
드론(30)은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여 지정된 SNS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1309 내지 S1311).
따라서, 사용자는 관광 모드에서 상공에서 촬영된 주변 풍경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 중 공유하고 싶은 영상을 SNS 서버 등에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소정 사용자 메뉴 화면을 통해 비행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 있다(S1401). 여기서, 사용자 선택된 비행 모드는 재난 관제 모드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드론(30) 사이의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선택된 비행 모드를 소정 제어 신호를 통해 드론(30)에 전송할 수 있다(S1403 내지 S1405).
이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미리 정의된 일정 세기의 비콘 신호를 무선상에 송출할 수 있다(S1407).
드론(30)은 수신된 비콘 신호의 세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비콘 송출 신호 세기에 비해 얼마만큼 감쇠하였는지를 비교하여 드론(3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사이의 현재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드론(30)은 산출된 현재 이격 거리가 재난 관제 모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와 상이한 경우, 기준 이격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비행 고도를 제어할 수 있다(S1409).
드론(30)은 비행 고도의 급격한 변화 등에 따른 위급 상황 발생이 감지되면,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주변의 영상 촬영을 개시하고,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S1411 내지 S1413).
드론(30)은 촬영된 영상 및 측위된 위치 정보를 관제 센터(40) 및 보호자 단말인 제2 모바일 기기(80)에 전송할 수 있다(S1415 내지 S1417).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서비스 제공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소정 사용자 메뉴 화면을 통해 비행 모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 받을 수 있다(S1501). 여기서, 사용자 선택된 비행 모드는 보디 가드 모드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드론(30) 사이의 통신 채널이 설정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선택된 비행 모드를 소정 제어 신호를 통해 드론(30)에 전송할 수 있다(S1503 내지 S1505).
이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미리 정의된 일정 세기의 비콘 신호를 무선상에 송출할 수 있다(S1507).
웨어러블 디비이스(100)는 탑재된 생체 정보 수집 센서 및 움직임 감지 센서를 구동시켜, 사용자에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9).
드론(30)은 수신된 비콘 신호의 세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비콘 송출 신호 세기에 비해 얼마만큼 감쇠하였는지를 비교하여 드론(30)과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사이의 현재 이격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드론(30)은 산출된 현재 이격 거리가 재난 관제 모드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이격 거리와 상이한 경우, 기준 이격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비행 고도를 제어할 수 있다(S1511).
드론(30)은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 촬영을 개시하고,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미리 지정된 단말-예를 들면, 보호자 단말인 제2 모바일 기기(80), 댁내 TV(55) 등을 포함함-에 전송할 수 있다(S1513 내지 S1515). 여기서, 제2 모바일 기기(80) 사용자는 소정 메뉴 선택을 통해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댁내 TV(55) 사용자는 미리 지정된 특정 채널을 통해 수신된 영상을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비이스(100)는 위험 상황 발생에 따른 이벤트가 감지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위험 상황에 대응되는 소정 이벤트 식별자가 포함된 제어 신호를 드론(30)에 전송할 수 있다(S1519). 여기서, 제어 신호는 해당 위험 상황 발생이 감지된 시각 정보-즉,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드론(30)은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구간 동안 촬영된 영상을 편집하고, 편집된 영상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위험 상황이 발생이 감지된 시각 정보 등을 관제 센터(40) 및 제2 모바일 기기(80)에 전송할 수 있다(S1521 내지 S1525).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0: 모바일 기기 30: 드론
40: 관제 센터 55: 댁내 TV
50: 무선 근거리 통신망 70: 이동통신망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20: 센싱부
125: 감정 지수 판단 모듈 620: 충격 감지 센싱 모듈
630: 고도 변화 감지 모듈 640: 비행 제어 모듈
650: 카메라 제어 모듈 680: 거리 산출 모듈
695: 영상 편집 모듈

Claims (38)

  1. 단말과 무선 통신을 통해 연동되는 드론에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단계;
    상기 드론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이벤트 식별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지시하는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드론의 비행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상기 비행 중인 드론과 상기 단말 사이에 유지되는 거리가 결정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는 보디 가드 모드, 재난 관제 모드, 관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 별로 상기 제2 단말이 미리 지정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단말에 더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구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이 편집되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비행 고도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행 고도의 변화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드론에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라 상기 드론의 비행 고도가 제어되어 상기 드론과 상기 단말사이의 거리가 유지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SNS(Social Network Sevice)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은 무선 근거리 통신, 이동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드론의 위치를 측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위된 위치 정보가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보호자 모바일 기기, 관제 센터, 댁내 TV, SNS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7. 무선 통신을 통해 드론과 연동되는 단말에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을 통해 상기 드론의 비행 모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드론과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비행 모드를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단계; 및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상기 드론이 상기 단말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도록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구비된 생체 정보 수집 센서를 통해 상기 단말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집된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위험 상황 발생 여부가 판단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맥파, 체온, 혈압,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구비된 움직임 감지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위험 상황 발생 여부가 판단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이벤트 식별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지시하는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3.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과 연동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
    상기 단말과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수단;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수단; 및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제어 신호가 상기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는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이벤트 식별자,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지시하는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장치의 비행 모드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상기 비행 중인 장치와 상기 단말 사이에 유지되는 거리가 결정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는 보디 가드 모드, 재난 관제 모드, 관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 별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상기 제2 단말이 미리 설정되어 상기 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유지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실시간 촬영된 영상을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29. 삭제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감지 시점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단말에 더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된 시각을 기준으로 전후 소정 구간 동안에 촬영된 영상이 편집되어 상기 제2 단말에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비행 고도 변화를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행 고도의 변화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치에 충격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제2 단말로 상기 촬영된 영상이 전송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3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비콘 신호의 수신 세기에 따라 상기 장치의 비행 고도가 제어되어 상기 장치와 상기 단말사이의 거리가 유지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3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SNS(Social Network Sevice) 서버에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36. 무선 통신을 통해 드론과 연동하여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 사용자 메뉴 선택을 통해 상기 드론의 비행 모드를 입력 받는 수단;
    상기 드론과 무선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
    상기 비행 모드를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수단; 및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소정 제어 신호를 상기 드론에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비행 모드에 따라 상기 드론이 상기 장치와 소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에 탑재되는 소정 리모콘 앱을 이용하여 상기 드론의 구동이 제어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장치.
  38.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구비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위험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위험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비행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미리 지정된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드론
    을 포함하는, 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40060451A 2014-05-20 2014-05-20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9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51A KR101594428B1 (ko) 2014-05-20 2014-05-20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51A KR101594428B1 (ko) 2014-05-20 2014-05-20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536A KR20150133536A (ko) 2015-11-30
KR101594428B1 true KR101594428B1 (ko) 2016-02-16

Family

ID=5486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451A KR101594428B1 (ko) 2014-05-20 2014-05-20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4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47B1 (ko) 2016-12-20 2018-0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KR101841432B1 (ko) 2016-07-19 2018-03-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123763A (ko) * 2017-05-10 2018-11-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정보를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드론의 구동 방법
KR20190052833A (ko) * 2017-11-09 2019-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고 분석 시스템
KR20190120968A (ko) 2018-04-17 2019-10-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위반 단속 시스템
KR20200094385A (ko) * 2019-01-3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드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11513515B2 (en) 2018-11-27 2022-11-29 SparkCognition, Inc. Unmanned vehicles and associated hub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29B1 (ko) 2016-01-14 2018-09-0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Rtls 기반 드론 자율 비행 시스템 및 드론 자율 비행 방법
CN205345332U (zh) * 2016-01-22 2016-06-29 江苏数字鹰科技发展有限公司 警用多功能无人机
US10262289B2 (en) 2016-02-02 2019-04-16 Mikko Vaananen Social drone
KR101887898B1 (ko) * 2016-11-25 2018-08-1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보안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20180080892A (ko) 2017-01-05 2018-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341049A (zh) * 2017-01-22 2018-07-31 昊翔电能运动科技(昆山)有限公司 家庭智能无人机
KR101869023B1 (ko) * 2017-03-02 2018-06-2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을 이용한 관광지 안내 방법 및 관광지 안내 시스템
KR102049599B1 (ko) 2017-11-22 2019-11-27 수상에스티(주)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KR20190073970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호그린에어 Sns에서 드론 촬영 영상의 생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007955B1 (ko) * 2018-01-12 2019-08-06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안전 귀가용 드론 및 안전 귀가 시스템
KR102069844B1 (ko) * 2018-10-24 2020-01-23 주식회사 오조 소방관 안전 시스템 및 소방 안전용 드론
KR20200064555A (ko) 2018-11-29 2020-06-08 수상에스티(주) 수상환경분석시료 채집용 드론
KR102092602B1 (ko) * 2019-06-12 2020-03-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드론을 이용한 보행자 안전 보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803532B (zh) * 2021-01-13 2023-09-22 新疆西北星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有源电子标签的电源管理系统及方法
KR102300348B1 (ko) * 2021-04-13 2021-09-09 주식회사 프로펠 실시간 이미지 분석을 기반으로 현장 상황을 공유하는 무인 항공기, 및 제어 방법
KR102300349B1 (ko) * 2021-04-13 2021-09-09 주식회사 프로펠 탐지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무인 항공기, 및 운용 방법
US11328582B1 (en) 2021-07-07 2022-05-10 T-Mobile Usa, Inc. Enhanced hazard detection device configured with security and communications capabilities
CN116080903A (zh) * 2021-11-04 2023-05-09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一种配送无人机、配送无人机预警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3821A (ja) * 2012-09-07 2014-03-20 Sogo Keibi Hosho Co Ltd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43B1 (ko) * 2010-05-26 2012-05-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3821A (ja) * 2012-09-07 2014-03-20 Sogo Keibi Hosho Co Ltd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432B1 (ko) 2016-07-19 2018-03-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833647B1 (ko) 2016-12-20 2018-0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KR20180123763A (ko) * 2017-05-10 2018-11-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정보를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드론의 구동 방법
KR102001620B1 (ko) * 2017-05-10 2019-07-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정보를 이용한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드론의 구동 방법
KR20190052833A (ko) * 2017-11-09 2019-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고 분석 시스템
KR102095255B1 (ko) 2017-11-09 202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사고 분석 시스템
KR20190120968A (ko) 2018-04-17 2019-10-2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위반 단속 시스템
US11513515B2 (en) 2018-11-27 2022-11-29 SparkCognition, Inc. Unmanned vehicles and associated hub devices
KR20200094385A (ko) * 2019-01-30 2020-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드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2598964B1 (ko) 2019-01-30 2023-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드론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536A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428B1 (ko)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3112989B1 (en) Mobile terminal
US9918002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760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움직임 기반의 저전력 구현 방법
CN105894733B (zh) 驾驶员监控系统
US1108458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77642B1 (ko) 스마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모니터링 방법
KR1016881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56196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41043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471860B (zh) 移动终端和用于控制其的方法
US20180194455A1 (en) Dron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drone and mobile terminal
KR20140017735A (ko)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601452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2979A (ko) 영상 공유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900197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8211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0053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18024905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5012010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US20190132711A1 (en)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sharing image files
US20160320839A1 (en) Wearabl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same
KR102251710B1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외부디바이스 내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KR10158226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정보 표시 제어 방법
KR20170060324A (ko) 소형 비행 물체,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