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647B1 -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647B1
KR101833647B1 KR1020160174284A KR20160174284A KR101833647B1 KR 101833647 B1 KR101833647 B1 KR 101833647B1 KR 1020160174284 A KR1020160174284 A KR 1020160174284A KR 20160174284 A KR20160174284 A KR 20160174284A KR 101833647 B1 KR101833647 B1 KR 101833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munication unit
information
signa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국
황재용
김태호
김중원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2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resistors, thermistors or semiconductors sensitive to radiation, e.g. photoconductiv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8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using properties of piezo-resistive materials, i.e. materials of which the ohmic resistance varies according to changes in magnitude or direction of force applied to the mater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01L41/11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10N30/302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 저항 고무센서 및 적외선센서의 융합을 통한 시설물 감시와 통신망 및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인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제적 안전조치 개념이 적용된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DISASTER PREVENTION SYSTEM TO WHICH PRESSURE SENSOR REGISTER, SENSOR ADAPTIVE HUMAN BODY DETECTION TECHNOLOGY IS APPLIED}
본 발명은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압 저항 고무센서 및 적외선센서의 융합을 통한 시설물 감시와 통신망 및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인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제적 안전조치 개념이 적용된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설이나 신변보호를 비롯하여 각종 자연재해 및 강력범죄의 증가로 인하여 방재산업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위한 각종 물적, 인적 투자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주요 시설물이나 가정, 사무실, 매장 등에 적용되는 방재시스템은 감시카메라를 활용하여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방법과 각종 감지센서를 활용하여 출입이나 사고상황을 감시하는 방법 등이 채용되고 있으며, 출입자 인식용 전자카드 및 전자식 잠금장치 등을 통한 보안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 화재 감지를 위한 열 서나 연기감응센서 또는 동작감지센서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각각의 센서를 서버와 연결하고 서버는 각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화재 경보 발생 또는 침입 발생 경보를 하며, 서버는 연결된 외부 연결망을 이용하여 외부로 재난이 발생했음을 알리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방재시스템에서는 정형화된 센서를 사용함에 따라 정형화된 패턴의 감시만 이루어져 다양한 사고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및 예방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선제적 예방이 아닌 사고발생 후 조치에 국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례로 학교, 가정의 베란다 및 난간이나 유아 또는 노인의 추락이나 침대 낙상 위험성이 있는 환경에서 이를 경고하기 위해서는 맞춤형으로 센서를 별도제작해야 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시스템 세팅까지 부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많은 비용부담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방재시스템에서는 주변의 온도, 밝기, 진동이나 노이즈 등의 외란에 따른 신호변화에도 센서의 판단기준이 고정됨에 따라 오인지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인위적인 세팅을 통해 조절하게 됨에 따라 상시 전문가의 도움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8485호(2007.02.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 저항 고무에 원적외선 센서를 결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압력과 열에너지 및 적외선 변화를 감지하여 분석하고, 환경변화에 따라 판단기준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원격의 관리자로 하여금 상황의 즉각적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쿠션부재와, 압축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며 상기 쿠션부재를 덮는 도전성 고무층과 상기 도전성 고무층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된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과 상기 도전성 고무층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접촉감지모듈과, 상기 접촉감지모듈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ID가 부여되며 상기 접촉감지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구비하는 압저항센서부;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설정 구역내 침입자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모듈과, ID가 부여되며 상기 온도감지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2통신부를 구비하는 원적외선센서부; 상기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로부터 송신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3통신부와, 상기 제3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시간 흐름에 따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제3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부와, 상기 저장부에 누적저장되는 감지신호의 변화를 반영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패턴정보생성부와, 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정상상태에 감지신호 변화를 반영한 기준신호의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판단부의 기준신호에 반영하는 보정부와, 상기 상황정보를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지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황전파부와, 요청에 따라 수신된 감지신호를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공유부를 구비하는 관제서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4통신부와, 관리자로부터 상황전파 대상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와, 상기 대상정보를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지정부와, 상기 제4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지정된 압저항센서부의 위치 및 감지결과와 원적외선센서부의 온도 변화값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확인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행수단을 구비하되,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설정 구역내 침입자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모듈과, 설정 구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온도감지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감지신호 및 상기 영상을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5통신부를 구비하는 드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판단부의 상황정보를 반영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부로 송출하는 드론제어부와, 상기 드론부에서 전송된 감지신호 및 영상을 통해 상황세부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황전파부는 상기 상황세부정보를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지정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방식의 후 조치가 아닌 선제적 안전 조치를 통해 사고발생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정형화된 방식의 센서가 아닌 다목적의 압 저항 고무센서와 원적외선 센서를 접목하여 상황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가정뿐만 아니라 국가 보안지역 및 전시장소, 학교 및 학원 안전지대, 유아시설의 위험구역 등에 적절한 형태로 간편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념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장소에 쉽게 설치 가능한 압 저항 고무센서와 원적외선 센서를 접목하여 감시 구역의 상황을 원격의 관제서버(3)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여 지정된 단말기(4)로 전파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드론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의 모니터링이나, 상황의 확인/검증, 인력접근이 어려운 장소에 대한 수색을 할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압저항센서부(1)와, 원적외선센서부(2)와, 관제서버(3)와, 단말기(4)의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압저항센서부(1)는 사람의 접촉을 감지함에 따라 침입이나 추락 등 각종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핵심 구성 중 하나로 문, 창문, 난간 등 사람이 통행하거나 생활 중 사고 가능성이 있는 곳에 부착되는 테이프 매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며, 세부구성으로 제1통신부(11)와, 전원부(12)와, 쿠션부재(13)와, 접촉감지모듈(14)를 구비하게 된다.
먼저, 상기 접촉감지모듈(14)은 기본적으로 일부 탄성을 갖고 휘어지는 능력이 뛰어난 섬유재질의 쿠션부재(13)를 구비하게 되며, 상기 쿠션부재(13) 상측면 즉 대상자와 접촉하는 면으로 접촉감지모듈(14)이 부착된다.
상기 접촉감지모듈(14)은 섬유재질에 가까운 플렉시블 특성이 있도록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압력감지가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감지모듈(14)은 압축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는 도전성 고무층(141)을 기반으로 얇게 구성되어, 바닥의 카펫이나 장판, 쿠션 테이프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래 고무는 절연재료이지만 제작시 금속이나 탄소 등 도전재료를 배합함으로써 도전성(導電性)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도전성 고무층(141)은 천연 라텍스와 같은 재료에 도전성 카본 블랙이나 금속 섬유 등을 섞어 전기가 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늘어남에 따라 해당 영역의 저항이 감소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가해지는 압력 및 위치를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전성 고무층(141)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제1전극층(142) 및 제2전극층(143)이 매우 얇게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고무층(141)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다이오드(144)가 매입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도전성 고무층(141)은 인가된 압력으로 인해 늘어나면서 저항이 감소하므로, 상기 제1전극층(142)의 일부 영역이 눌리게 될 경우 그 아래에 위치한 영역의 도전성 고무층이 늘어나며, 그 늘어나는 정도에 따라 저항이 감소한다.
이와 함께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 중 도전성 고무층이 늘어난 부분에 형성된 다이오드와 상기 제2전극층(14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고, 임계거리 이하가 되는 경우 저항 감소에 따라 해당 다이오드와 상기 제2전극층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이를 감지하여 압력감지 및 위치인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압력에 의해 눌러지는 다이오드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다이오드와 상기 제2전극층(143) 사이의 거리변화를 통해, 각각의 다이오드와 제2전극층 사이의 전류가 독립적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도전성 고무층은 수평방향으로 큰 저항이 유지되고,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압력을 받은 일부 영역만이 늘어나면서 저항이 감소할 뿐 다른 영역의 저항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압저항센서부(1)에는 상기 접촉감지모듈(14)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30)와, ID가 부여되며 상기 접촉감지모듈(14)가 압력 및 위치를 감지함에 따라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11)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전원부(12)는 상기 접촉감지모듈(14)의 크기가 카펫과 같이 클 경우 가정용 상용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접촉감지모듈(14)의 설치 위치가 상용전력을 사용하기에 곤란할 경우라도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특성이 있음에 따라 소형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상당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11)는 기본적으로 압저항센서부(1)의 설치 위치 및 유형에 따라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통신모듈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루어지되, 실내 환경의 감시 및 인터넷망을 통한 신호전송을 위해 WI-FI를 활용한 감지신호의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구성된 압저항센서부(1)는 다양한 위치에 다수 설치됨으로 설정 구역에 대한 보다 정확인 상황인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센서부(2)는 상기 압저항센서부(1)와 협응하여 감시구역 내의 온도차에 의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간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압저항센서부(1)와 달리 설치 위치가 천정이나 벽 등으로 다소 제한이 있으며, 온도감지모듈(22)과 제2통신부(21)의 세부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온도감지모듈(22)은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설정 구역내 침입자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센서 자체로부터는 아무것도 방출되고 있지 않고 온도차를 검출하는 패시브 센서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2통신부(21)는 상기 온도감지모듈(22)을 통해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이다.
역시 원적외선센서부(2)의 설치 위치 및 유형에 따라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통신모듈을 적절히 선택하여 이루어지되, 실내 환경의 감시 및 인터넷망을 통한 신호전송을 위해 WI-FI를 활용한 감지신호의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3)는 원격지에 위치하여 상기 압저항센서부(1) 및 원적외선센서부(2)에서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 구역에 설치되는 다수의 압저항센서부(1) 및 원적외선센서부(2)의 감지신호는 물론, 다수의 구역에 분산 설치되는 압저항센서부(1) 및 원적외선센서부(2)의 모든 감지신호를 통합 관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관제서버(3)는 기본적으로 제3통신부(31)와, 저장부(32)와, 판단부(33)와, 패턴정보생성부(34)와, 보정부(35)와, 상황전파부(36)와, 정보공유부(37)의 세부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제3통신부(31)는 상기 제1통신부(11) 및 제2통신부(21)와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인터넷망 및 상용이동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제1통신부(11) 및 제2통신부(21)에서 송신된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망에 연결된 타 단말기로의 신호송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32)는 대용량의 메모리로서, 상기 제3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가 시간 흐름에 따라 저장된다. 이때, 다수의 감지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감시 지역 및 압저항센서부(1)의 제1통신부(11) 및 원적외선센서부(2)의 제2통신부(21)에 각각 할당되는 ID 별로 구분하여 저장된다.
상기 판단부(33)는 상기 감지신호를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황정보를 생성한다. 즉 전송된 감지신호를 분석하되 미리 설정되어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인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일치비율을 파악함으로 정상상태 또는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상황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패턴정보생성부(34)는 상기 저장부(32)에 저장된 감지신호를 읽되, 감지신호의 변화를 분석하여 패턴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패턴정보는 감시구역의 온도, 습도를 비롯한 시간흐름에 따른 각종 환경변화를 분석하여 정리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냉방 또는 난방시간이 정해져 있어 온도차가 큰 환경에서는 전도성 고무층(141)의 수축팽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원적외선센서부를 통한 판단 결과에도 영향을 받게 되므로, 침입이나 사고상황이 아닌 단순 환경변화의 경우 상기 패턴정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화를 정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정부(35)는 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정상상태에 감지신호 변화를 반영한 기준신호의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판단부(33)의 기준신호에 반영하는 구성으로, 정상적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기준정보를 보정함으로 환경변화에 따른 오작동 가능성을 현저히 줄이고 정확한 상황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황전파부(36)는 상기 상황정보를 선택적으로 출력 및 지정단말기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관제서버(3)를 통해 다수의 구역을 감시함에 있어 상기 판단부(33)를 통해 이상 상황 발생판단시 이를 별도의 모니터나 경보수단 등을 통해 즉각적으로 출력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지정된 단말기(4) 즉 휴대전화나 또 다른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 등 미리 정보가 저장된 단말기로 상기 제3통신부(31)를 통해 상황전파가 되도록 하여 즉각적인 구호조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정보공유부(37)는 외부의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3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요청한 단말기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원격의 관리자가 자신이 보유한 단말기를 통해 현장의 감지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말기(4)는 관리자 즉 대상자의 감시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가 원격에서 일부 동작설정 및 상황확인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 무선통신기능을 갖고 데이터연산처리가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세부구성으로 제4통신부(41)와, 인터페이스(42)와, 지정부(43)와, 동작확인부(44)를 구비한다.
상기 제4통신부(41)는 무선통신모듈로서, WI-FI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제3통신부(31)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제어명령의 전송 및 감지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다.
상기 인터페이스(42)는 관리자로부터 상황전파 대상정보 즉 긴급상황 발생시 상황전파가 이루어져야 할 대상으로 전화번호나 사이트 주소를 입력받고, 각종 처리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수단으로서, 최근 대부분의 개인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을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상기 지정부(43)는 상기 인터페이스(42)를 통해 입력된 대상정보를 상기 관제서버(3)로 전송하는 구성으로, 관리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나 사이트 주소를 상기 제4통신부(41)를 통해 관제서버(3)로 전송되고 상기 상황전파부(36)에 저장되어 상기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대상으로 지정하게 된다.
상기 동작확인부(44)는 관리자가 구역에 설치된 압저항센서부(1) 및 원적외선센서부(2)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나 현재 상황을 확인하거나, 칼리브레이션 등 보수업무를 수행시 활용되는 구성으로, 요청을 통해 상기 제4통신부(41)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지정된 압저항센서부(1)의 위치 및 감지결과와 원적외선센서부(2)의 온도 변화값을 상기 인터페이스(4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더불어 관리자가 현장에 설치된 압저항센서부(1) 또는 원적외선센서부(2)에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정상적으로 감지신호가 발생하여 제1통신부(11) 및 제2통신부(21)를 통해 감지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신되는지와 함께, 정확한 위치에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 시스템적인 인지가 이루어지는지 등을 상기 인터페이스(42)를 통해 파악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감시 인력을 대체할 수 있는 드론을 활용함에 따른 각종 부가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드론부(5)는 공지의 드론의 구성으로 기본적인 비행수단(52)을 구비하며, 온도감지모듈(22)과, 카메라(54)와, 제5통신부(51)가 탑재된다. 비행수단(52)을 비롯한 드론부(5)의 기타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모듈(53)은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설정 구역내 침입자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실질적인 원리는 상기 원적외선센서부(2)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모듈(22)과 동일하며 드론부(5)의 비행시 설정범위를 감지범위로 한다.
상기 카메라(54)는 설정 구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구성으로, 소형의 고해상도 카메라로 구성되어 비행중 상기 온도감지모듈(53)의 감지범위와 동일한 범위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5통신부(51)는 상용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3통신부(31)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상기 온도감지모듈(53)을 통해 생성되는 감지신호 및 상기 영상을 상기 관제서버(3)로 송신하고, 상기 관제서버(3)에서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행수단(52)을 비롯하여 탑재된 온도감지모듈(53) 및 카메라(54)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드론부(5)의 구성이 부가됨에 따라 상기 관제서버(3)에는 상기 판단부(33)의 상황정보를 반영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부(5)로 송출하는 드론제어부(38)와, 상기 드론부(5)에서 전송된 감지신호 및 영상을 통해 상황세부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39)가 더 구성된다.
즉 상기 판단부(33)를 통해 사고나 위급상황이 판단시 본래는 감시인원이 현장으로 이동하여 구체적인 상황파악이나 조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감시인원이 접근하기 어렵거나 이동에 따른 시간적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반영한 드론부(5), 즉 비행수단(52)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3통신부(31)를 통해 전송하게 되며, 즉각적으로 드론부(5)가 비행하여 현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현장에 도착한 드론부(5)는 탑재된 온도감지모듈(22)을 통한 감지결과와, 카메라(54)를 통한 촬영 영상을 제5통신부(51)를 통해 관제서버(3)로 전송하고, 상기 검증부(39)를 통해 이를 분석하여 감지상황 및 영상을 포함한 상황세부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상황전파부(36)는 상기 상황세부정보를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지정 단말기(4)로 전송하도록 구성하되, 구체적으로 별도의 모니터를 통해 즉각적으로 출력하여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지정된 단말기 즉 휴대전화나 또 다른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 등 미리 정보가 저장된 단말기로 상기 제3통신부(31)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여 즉각적인 세부 상황의 파악 및 구호조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압저항센서부 11: 제1통신부
12: 전원부 13: 쿠션부재
14: 접촉감지모듈 141: 도전성 고무층
142: 제1전극층 143: 제2전극층
144: 다이오드 2: 원적외선센서부
21: 제2통신부 22: 온도감지모듈
3: 관제서버 31: 제3통신부
32: 저장부 33: 판단부
34: 패턴정보생성부 35: 보정부
36: 상황전파부 37: 정보공유부
38: 드론제어부 39: 검증부
4: 단말기 41: 제4통신부
42: 인터페이스 43: 지정부
44: 동작확인부 5: 드론부
51: 제5통신부 52: 비행수단
53: 온도감지모듈 54: 카메라

Claims (3)

  1. 쿠션부재(13)와, 압축에 따라 저항이 감소하며 상기 쿠션부재(13)를 덮는 도전성 고무층(141)과 상기 도전성 고무층(141)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된 제1전극층(142) 및 제2전극층(143)과 상기 도전성 고무층(141)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다이오드(144)로 이루어지는 접촉감지모듈(14)과, 상기 접촉감지모듈(14)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2)와, ID가 부여되며 상기 접촉감지모듈(14)을 통해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통신부(11)를 구비하는 압저항센서부(1);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설정 구역내 침입자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모듈(22)과, ID가 부여되며 상기 온도감지모듈(22)을 통해 생성되는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2통신부(21)를 구비하는 원적외선센서부(2);
    상기 제1통신부(11) 및 제2통신부(21)로부터 송신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제3통신부(31)와, 상기 제3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시간 흐름에 따라 저장하는 저장부(32)와, 상기 제3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된 감지신호를 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판단부(33)와, 상기 저장부(32)에 누적저장되는 감지신호의 변화를 반영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패턴정보생성부(34)와, 상기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정상상태에 감지신호 변화를 반영한 기준신호의 보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판단부(33)의 기준신호에 반영하는 보정부(35)와, 상기 상황정보를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지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황전파부(36)와, 요청에 따라 수신된 감지신호를 지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공유부(37)를 구비하는 관제서버(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통신부(31)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4통신부(41)와, 관리자로부터 상황전파 대상정보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42)와, 상기 대상정보를 상기 관제서버(3)로 전송하는 지정부(43)와, 상기 제4통신부(41)를 통해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지정된 압저항센서부(1)의 위치 및 감지결과와 원적외선센서부(2)의 온도 변화값을 상기 인터페이스(42)를 통해 출력하는 동작확인부(44)를 구비하는 단말기(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비행수단(52)을 구비하되, 원적외선을 사용하여 설정 구역내 침입자의 표면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모듈(53)과, 설정 구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54)와, 상기 온도감지모듈(53)을 통해 생성되는 감지신호 및 상기 영상을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5통신부(51)를 구비하는 드론부(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제서버(3)는 상기 판단부(33)의 상황정보를 반영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부(5)로 송출하는 드론제어부(38)와, 상기 드론부(5)에서 전송된 감지신호 및 영상을 통해 상황세부정보를 생성하는 검증부(3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황전파부(36)는 상기 상황세부정보를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지정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KR1020160174284A 2016-12-20 2016-12-20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KR101833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84A KR101833647B1 (ko) 2016-12-20 2016-12-20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284A KR101833647B1 (ko) 2016-12-20 2016-12-20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647B1 true KR101833647B1 (ko) 2018-02-28

Family

ID=6140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284A KR101833647B1 (ko) 2016-12-20 2016-12-20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2569A (zh) * 2021-05-24 2021-09-07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土木工程用护坡滑坡监测方法及检测系统及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32Y1 (ko) 2004-11-12 2005-02-03 김성일 홈 보안 시스템
JP2006133156A (ja) 2004-11-09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保安装置
KR101390708B1 (ko) 2012-10-17 2014-05-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도전성 고무 및 다이오드를 이용한 압력감지장치, 위치인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43542B1 (ko) 2014-11-06 2015-08-10 김경숙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KR101594428B1 (ko) 2014-05-20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37549B1 (ko) 2015-05-21 2016-07-07 주식회사 네모블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KR101702783B1 (ko) 2015-11-04 2017-02-0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압 저항 터치매트를 이용한 원격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3156A (ja) 2004-11-09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保安装置
KR200374832Y1 (ko) 2004-11-12 2005-02-03 김성일 홈 보안 시스템
KR101390708B1 (ko) 2012-10-17 2014-05-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도전성 고무 및 다이오드를 이용한 압력감지장치, 위치인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4428B1 (ko) 2014-05-20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43542B1 (ko) 2014-11-06 2015-08-10 김경숙 지능형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KR101637549B1 (ko) 2015-05-21 2016-07-07 주식회사 네모블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KR101702783B1 (ko) 2015-11-04 2017-02-03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압 저항 터치매트를 이용한 원격 감시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2569A (zh) * 2021-05-24 2021-09-07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土木工程用护坡滑坡监测方法及检测系统及方法
CN113362569B (zh) * 2021-05-24 2022-12-06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土木工程用护坡滑坡监测方法及检测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598B1 (ko) 설비용 화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96175B1 (ko) 천장 레일형 IoT 기반 감시 로봇 장치
KR101185083B1 (ko) 중앙 통제가 가능한 통합 환경 감시 시스템
KR20070029760A (ko) 감시 장치
KR101909024B1 (ko) 다기능 복합펜스센서를 이용한 외곽 침입 감지 시스템
US20150077566A1 (en) Method of Installing PIR Sensor with Camera
TWI616850B (zh) 異常行為監控系統及方法
CN105825644A (zh) 基于场所中的安全守卫的实时位置信息的集成安全系统
JP4430027B2 (ja) 画像処理装置、監視カメラ及び画像監視システム
KR20200079001A (ko) 통합 환경 감시를 통한 관제시스템 및 방법
KR102026434B1 (ko) 영상분석을 통한 화재 오탐률 최소화 시스템
KR101833647B1 (ko)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KR102299704B1 (ko) 재난환경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스마트 딥러닝 영상감시 시스템
CN205847426U (zh) 基于物联网的楼宇监控系统
JP2008181293A (ja) オペレータ監視制御システム
WO2018156275A1 (en) Occupant position tracking using imaging sensors
KR101629219B1 (ko) 얼굴인식을 통해 이용을 제한하는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KR101497107B1 (ko) 건물 안전도 측정시스템
KR101735203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및 통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7993A (ko) 경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5517130A (ja) 木造伝統建築物の災難状況の早期警報システム
KR20220089446A (ko) 화재 감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KR101083811B1 (ko) 침입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로봇
KR101702783B1 (ko) 압 저항 터치매트를 이용한 원격 감시시스템
KR20150134500A (ko) 힘 기반 스마트 테이프, 스마트 매트, 이를 이용한 안전 감지 시스템 및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