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549B1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549B1
KR101637549B1 KR1020150071275A KR20150071275A KR101637549B1 KR 101637549 B1 KR101637549 B1 KR 101637549B1 KR 1020150071275 A KR1020150071275 A KR 1020150071275A KR 20150071275 A KR20150071275 A KR 20150071275A KR 101637549 B1 KR101637549 B1 KR 101637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measuremen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최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모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모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모블루
Priority to KR102015007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weight of a known volu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3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using flow properties of fluids, e.g. flow through tubes or aper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된 위치에서 수분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일괄 전송받아 수분발생 여부를 비롯하여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SYSTEM FOR MEASUREMENT OF MOISTURE AND RESULT MANAGEMENT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설치된 위치에서 수분발생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로 일괄 전송받아 수분발생 여부를 비롯하여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각종 센서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을 조합함으로 종래에 인력을 통해 이루어졌던 감시작업들이 자동화되는 추세에 있다.
대표적으로 수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하여 특정 장소의 수위를 파악하거나 침수 등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거동이 어려운 환자나 유아의 기저귀 등에서 배뇨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단일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결과를 즉각적으로 전송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적 단순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었으므로, 감시해야할 대상이 많아지게 될 경우 각각의 센서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려웠고, 감지 결과가 불규칙한 대상에 있어서 결과분석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거동이 어려운 다수의 노약자나 유아들을 돌봐주는 시설에서 기저귀의 관리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 단순하게 수분의 감지결과만을 통보하는 기능만을 하게 되므로 관리자가 감지결과를 관리하기 위한 리포트를 수기로 별도 작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91612호(2010.08.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수분감지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집하되 감지결과 분석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효율적인 시설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전원부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전원부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원측정부와, 외부로 돌출한 한 쌍의 전극부 사이의 전류량 측정을 통해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센서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분센서의 감지결과 및 전원측정부의 측정결과를 고유ID와 함께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1제어부를 구비한 센서부; 상기 제1통신부와 신호를 주고 받는 제2통신부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제1제어부로 측정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측정요청부와,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감지 및 측정결과를 고유 ID와 함께 임시저장하는 저장부와, 관리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관리자가 상기 수분센서로부터 감지된 전류량에 대한 알림 레벨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정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감지결과를 상기 보정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한 단말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관리자로부터 측정대상에 대한 대상정보와 측정일시 및 장소에 대한 시간장소정보와 서명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저장부에 누적 저장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대상정보와 시간장소정보 및 서명을 취합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분감지된 패턴에 따라 예상 패턴을 형성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측정데이터와 산출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지정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를 상기 제3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통신부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 통신망에 접속가능한 제4통신부와, 상기 제4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4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분석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데이터생성부와, 상기 제4통신부와 데이터베이스와 분석데이터생성부를 제어하며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상기 제4통신부를 통해 지정된 단말기로 송출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한 관리서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센서부의 제1통신부에 동시에 접속되어 전송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단말기의 제2통신부로 일괄 전송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수분센서에 형성되는 핀 형상의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의 일단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기 전극부를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되 중간에 돌기부가 형성된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돌기부를 손잡이 측으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상기 돌기부가 접촉하는 마찰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속적인 수분의 감지를 요구하는 시설에서 용이한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측정결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특정 시설에서의 침수상황 감시나 넘침 경보를 위해 활용하거나, 습도나 수분이 많은 작업환경에서 전기 작업등이 요구되는 경우 또는 수분을 함유한 유해 물질 존재하에서 작업자가 물질의 접촉 여부 및 접촉 정도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기저귀의 사용빈도가 높은 요양병원이나 영아를 돌보는 기관에서 관리자가 환자 및 영아들의 배뇨상태를 종래와 같이 직접확인하지 않고 근처에 지나가는 것만으로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감지결과의 정리와 수분이 제거를 자동으로 인지하여 감지 결과를 리셋하는 등 기존의 수기로 작성되었던 리포트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며, 작성 결과에 대한 임의의 수정을 방지하는 등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수분발생을 감시하는 대상이 되는 장소나 물품에 설치되는 센서부(100)가 구비되어 각각 수분을 감지하되 감지결과를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송출하며,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기(200)를 통해 감지결과를 전송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단말기(2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관리서버(300)를 구비하여 복수의 단말기(200)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센서부(100)는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센서부(100)에 고유의 ID가 부여됨으로 복수로 구비되더라도 각 센서부(100)에 대한 감지 결과를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복수의 센서부(100)와 단일의 단말기(200)로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먼저 상기 센서부(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부(110)와, 제1통신부(120)와, 전원측정부(130)와, 수분센서(140)와, 제1제어부(150)를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원부(110)는 센서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 센서부(100)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현되므로 수은전지와 같은 소형의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관리자가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통신부(120)는 상기 단말기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서 다양한 무선통신모듈의 적용이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인 개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통신모듈과 동일하며 가용 통신범위와 안정적인 신호전송 특성을 만족하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전원측정부(130)는 상기 전원부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 관리자가 필요시 상기 전원부(110)의 잔량을 손쉽게 확인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 전원부(110)의 전원 소진으로 수분감지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분센서(140)는 수분을 전기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한 쌍의 전극부(141)가 센서부(100)의 외부로 돌출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전극부(141) 사이의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전극부(141) 사이에 수분이 발생할 경우 전극부(141) 사이의 전류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수분의 존재 및 수분량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1제어부(150)는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통신부(120)와, 상기 전원측정부(130)와 상기 수분센서(14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특히 상기 제1통신부(120)를 통해 측정요청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수분센서(140) 및 전원측정부(130)를 통해 각각 수분 및 전원 잔량을 감지하고, 수분센서(140)의 감지결과와 전원측정부(130)의 측정결과를 센서부(100)에 부여된 고유ID와 함께 상기 제1통신부(120)를 통해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기(200)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컴퓨터 기반의 휴대형 단말기로서 최근 활발히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 등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센서부(100)에서 전송된 신호를 받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인 앱(APP)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200)는 제2통신부(210)와, 측정요청부(230)와, 저장부(240)와, 인터페이스부(250)와, 보정부(260)와, 제2제어부(290)를 구비한다.
상기 제2통신부(210)는 상기 제1통신부(120)와 동일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 통신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제1통신부와 상호 신호를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블루투스 통신모듈끼리 1 대 1로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페어링 개념이 아닌 브로드 캐스팅 개념을 적용하여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제2통신부(210)가 감지하여 수신하므로 센서부가 다수로 구비되어 신호를 발신하더라도 단일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정요청부(230)는 관리자가 센서부(100)와의 통신 가능범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2통신부(210)를 통해 각각의 센서부(100)로 측정요청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관리자가 단말기(200)를 소지한 상태로 센서부(100)의 근처 즉 근거리 무선통신 가용 범위 내 위치한 상태로 필요시에만 수분측정과 전원측정을 요청하는 측정요청신호를 송출하도록 함으로 상기 센서부(100)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측정요청신호를 수분측정을 위한 요청신호와 전원측정을 위한 요청신호로 구분하여 설정함으로 센서부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상시 감시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필요에 따라 측정요청신호를 송출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1제어부(150)를 통해 주기적으로 수분센서(140)가 작동하여 감지 결과를 송출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240)는 상기 제2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감지 및 측정결과를 고유 ID와 함께 임시저장하는 메모리로서, 감지 및 측정경과를 시간순으로 누적하여 저장함으로 추후 분석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는 관리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240)의 데이터를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입력 및 출력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구현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는 단말기(200)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음향 및 진동출력 수단을 포함함으로 필요에 따라 수분이 감지됨에 동시에 즉각적인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260)는 관리자가 상기 수분센서(140)의 감도를 조절하거나 수분양에 대한 알림 레벨을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분센서(140)에서 감지된 전류량에 대한 수분량 및 알림 레벨을 관리자가 직접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유아용 기저귀의 배뇨감지에 적용할 경우 소변의 양의 적을 경우 알림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므로 수분센서(140)의 전류량이 특정 레벨 이상에서만 수분을 감지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매우 민감한 수분 감지가 필요한 경우 적은 전류량으로도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290)는 단말기의 중앙제어장치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통신부(210)와 측정요청부(230)와 저장부(240)와 인터페이스부(250)와 보정부(260)를 제어하되,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감지결과를 상기 보정부(26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복수의 단말기(200)가 구비되는 등 다량의 측정결과의 관리 편의를 위한 구성인 관리서버(300)를 비롯한 단말기에 부수적인 구성이 부가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를 통해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200)는 지정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통신부(220)를 더 포함하며, 이는 상용 휴대전화통신 망인 CDMA, 3G, 4G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통신부(220)를 상용 휴대전화통신망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통상 유선 통신망이나 별도의 통신수단을 부가하는 것을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므로, 별도의 통신망 설치 없이도 사용이 편리한 상용 휴대전화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말기(200)가 원격의 관리서버(30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함이며, 이때 상기 제2제어부(290)는 상기 저장부(240)의 데이터를 상기 제3통신부(220)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입력부(270)와, 산출부(280)의 구성을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27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50)와 연동되는 구성으로서, 관리자로부터 측정대상에 대한 대상정보와 측정일시 및 장소에 대한 시간장소정보와 서명을 입력받는다. 측정대상이라 함은 어떤 액의 넘침이나 누설 등을 감시하고자 하는 경우 시설에 대한 정보가 될 것이고, 병원이나 요양시설에서 환자의 기저귀 등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 환자에 대한 정보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시간장소정보와 서명의 경우 통상적으로 관리자가 작성하게 되는 감시결과에 대한 보고서에 포함되는 항목으로서 이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280)는 상기 저장부(240)에 누적 저장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입력부(270)에서 입력된 대상정보와 시간장소정보 및 서명을 취합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분감지된 패턴에 따라 예상 패턴을 산출하는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측정데이터 또한 관리자가 작성하게 되는 감시결과에 대한 보고서에 포함되는 중요 항목이 되며, 감지 결과가 주기적인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 패턴의 평균값을 통해 이후의 주기를 예측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요양보호시설에서 환자의 과거 배뇨 패턴을 분석하여 평균적인 주기를 산출함으로 이후 예상되는 감지시간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제어부(290)는 상기 측정데이터와 산출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리자는 별도의 수기 리포트 작성을 하지 않고도 손쉽게 감지 및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측정데이터와 산출데이터는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이후 관리서버(300)로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가되는 상기 관리서버(300)는 단말기(200)가 복수로 구비되거나 여러 장소에 산재한 측정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리서버(300)를 통해 측정 및 결과관리를 위한 네트워크의 구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정작업의 실시간 통합관리와 유사기관에서의 참조할 수 있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구체적으로 제4통신부(310)와, 데이터베이스(320)와, 분석데이터생성부(330)와, 제3제어부(34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4통신부(310)는 상기 제3통신부(220)와 동일한 통신모듈로서 외부 통신망에 접속가능하고 상기 제3통신부(220)로부터 신호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지정된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20)는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제4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여러 장소에서 이루어진 수분감지 결과, 다수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모든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 모여 저장되므로, 관련 기관에서는 상기 관리서버(300)를 통해 감지 결과 관리 업무를 통합적으로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고, 더욱 방대한 데이터를 통한 분석 및 피드백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석데이터생성부(330)는 상기 제4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분석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분석용 데이터는 누적된 측정데이터와 산출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분석데이터로서 유관기관에 속한 관리자들이 분석결과를 공유하거나, 필요시 지정된 관리자(예를 들어, 당직자)에게 즉각적인 알림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3제어부(340)는 관리서버의 CPU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4통신부(310)와 데이터베이스(320)와 분석데이터생성부(330)를 제어하며,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상기 제4통신부(310)를 통해 지정된 단말기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센서부가 통신 가능 범위 내에서 구역별로 분산 배치되고 있을 때 구역별로 용이하게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센서부(100)의 제1통신부(120)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고 이를 취합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제2통신부(210)로 일괄 전송하는 중계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기(400)에는 임시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단말기가 통신가능범위 밖에 있더라도 센서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단말기가 통신가능범위 내에 들어왔을 때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보다 넓은 구역에 다수 위치한 센서부(100)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특히 측정대상을 기저귀나 의복으로 할 때 탈부착 편의를 위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센서(140)의 전극부(141)는 탄성이 부여된 전도성 재질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져 기저귀나 의복에 찔러 관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센서부(100)에서 상기 전극부(141)가 노출되는 측으로 상기 전극부(141)의 일단 즉 핀 형상 전극부(141)의 뾰족한 반대쪽 부분으로 상기 전극부(141)를 수납하는 수납부(143)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43)의 반대측으로는 상기 전극부(141)의 뾰족한 끝 부분을 덮도록 구성되는 고정부(142)를 통해 전극부(141)를 고정하면서 착용자 또는 관리자가 전극부(141)에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100) 내측으로는 상기 수납부(143)로부터 상기 전극부(141)를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가이드(144)와, 상기 가이드(144)와 전극부(141)가 연결된 부분의 반대측으로 상기 센서부(10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손잡이(145)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밀어주는 동작을 통해 상기 전극부(141)가 상기 수납부(143)로 수납되거나 또는 반대로 돌출하여 상기 일단이 상기 고정부(142)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144)가 의도치 않게 움직여 상기 전극부(14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가이드(144)의 중간부분에 돌기부(147)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센서부(100) 내측으로 상기 돌기부(147)를 손잡이(145) 측으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탄성체(146)와, 상기 탄성체(146)의 작용에 의해 상기 돌기부(147)가 접촉하는 마찰판(148)이 구성된다.
즉 평상시 상기 탄성체(146)의 작용을 통해 상기 가이드(144)에 형성된 돌기부(147)와 상기 마찰판(148)이 밀착되어 마찰로 인해 손잡이(145) 및 가이드(144)가 쉽게 움직이지 않게 되며, 필요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45)를 상기 탄성체(146)의 작용력 이상의 힘으로 수직으로 눌러줌에 따라 상기 돌기부(147)가 마찰판(148)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상기 손잡이(145)를 움직임으로 상기 전극부(141)를 이동시켜 센서부(100)의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납부(143)로부터 돌출되는 전극부(141)를 상기 센서부(100) 몸체 측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 착용자 또는 관리자가 전극부(141)에 찔리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센서부 110: 전원부
120: 제1통신부 130: 전원측정부
140: 수분센서 141: 전극부
142: 고정부 143: 수납부
144: 가이드 145: 손잡이
146: 탄성체 147: 돌기부
148: 마찰판 150: 제1제어부
200: 단말기 210: 제2통신부
220: 제3통신부 230: 측정요청부
240: 저장부 250: 인터페이스부
260: 보정부 270: 입력부
280: 산출부 290: 제2제어부
300: 관리서버 310: 제4통신부
320: 데이터베이스 330: 분석데이터생성부
340: 제3제어부 400: 중계기

Claims (5)

  1. 전원부(110)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제1통신부(120)와, 상기 전원부(110)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원측정부(130)와, 외부로 돌출한 한 쌍의 핀형상의 전극부(141) 사이의 전류량 측정을 통해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센서(140)와,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분센서(140)의 감지결과 및 전원측정부(130)의 측정결과를 고유ID와 함께 상기 제1통신부(120)를 통해 전송하는 제1제어부(150)와, 상기 전극부(141)의 일단을 수납하는 수납부(143)와, 상기 수납부(143)로부터 상기 전극부(141)를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되 중간에 돌기부(147)가 형성된 가이드(144) 및 상기 가이드(144)에 형성된 손잡이(145)와, 상기 돌기부(147)를 손잡이(145) 측으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탄성체(146)와, 상기 탄성체(146)의 작용에 의해 상기 돌기부(147)가 접촉하는 마찰판(148)을 구비하는 센서부(100);
    상기 제1통신부(120)와 신호를 주고 받는 제2통신부(210)와, 상기 제2통신부(210)를 통해 제1제어부(150)로 측정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측정요청부(230)와, 상기 제2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감지 및 측정결과를 고유 ID와 함께 임시저장하는 저장부(240)와, 관리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저장부(240)의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250)와, 관리자가 상기 수분센서(140)로부터 감지된 전류량에 대한 알림 레벨을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정부(260)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감지결과를 상기 보정부(26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2제어부(290)를 구비한 단말기(2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200)는 관리자로부터 측정대상에 대한 대상정보와 측정일시 및 장소에 대한 시간장소정보와 서명을 입력받는 입력부(270)와, 상기 저장부(240)에 누적 저장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입력부(270)에서 입력된 대상정보와 시간장소정보 및 서명을 취합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분감지된 패턴에 따라 예상 패턴을 형성하는 산출부(2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290)는 상기 측정데이터와 산출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200)는 지정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통신부(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290)는 상기 저장부(240)의 데이터를 상기 제3통신부(220)를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통신부(22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외부 통신망에 접속가능한 제4통신부(310)와, 상기 제4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20)와, 상기 제4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분석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데이터생성부(330)와, 상기 제4통신부(310)와 데이터베이스(320)와 분석데이터생성부(330)를 제어하며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상기 제4통신부(310)를 통해 지정된 단말기로 송출하는 제3제어부(340)를 구비한 관리서버(3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센서부(100)의 제1통신부(120)에 동시에 접속되어 전송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제2통신부(210)로 일괄 전송하는 중계기(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5. 삭제
KR1020150071275A 2015-05-21 2015-05-21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KR10163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75A KR101637549B1 (ko) 2015-05-21 2015-05-21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75A KR101637549B1 (ko) 2015-05-21 2015-05-21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549B1 true KR101637549B1 (ko) 2016-07-07

Family

ID=5650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275A KR101637549B1 (ko) 2015-05-21 2015-05-21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47B1 (ko) 2016-12-20 2018-0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507A (ko) * 2005-09-23 2008-06-13 로렌스 케이츠 건축 재료 내의 수분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90124246A (ko) * 2008-05-29 2009-12-03 전자부품연구원 자기장 통신 및 근거리 무선통신 통합 센서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91612A (ko) 2009-02-11 2010-08-19 이재인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기저귀를 사용하는 배뇨, 배변 감시 장치및 방법
KR101468562B1 (ko) * 2012-08-31 2014-12-04 윤성준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2034A (ko) * 2013-10-10 2015-04-20 한국과학기술원 이동형 센서 기반 대기환경정보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3507A (ko) * 2005-09-23 2008-06-13 로렌스 케이츠 건축 재료 내의 수분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90124246A (ko) * 2008-05-29 2009-12-03 전자부품연구원 자기장 통신 및 근거리 무선통신 통합 센서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00091612A (ko) 2009-02-11 2010-08-19 이재인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기저귀를 사용하는 배뇨, 배변 감시 장치및 방법
KR101468562B1 (ko) * 2012-08-31 2014-12-04 윤성준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실시간 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2034A (ko) * 2013-10-10 2015-04-20 한국과학기술원 이동형 센서 기반 대기환경정보 측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647B1 (ko) 2016-12-20 2018-0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접촉감응 및 적응제어 인체감지 기술이 적용된 방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445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для контроля применения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продукта
JP6328748B2 (ja) 吸収性物品の吸収状態の監視および表示
JP2017538351A (ja) 電子デバイス起動のための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12105839A (ja) オムツ、オムツ濡れ検知装置、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システム
EP2414869A1 (en) Personal environmental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and portable monitor for use therein
KR20150014616A (ko) Usn 센서를 활용한 축사환경지수 및 체온예측관리를 위한 웹/모바일기반 관리시스템
KR102302957B1 (ko) 일회용 제품 수량화 및 관리
KR101637549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분감지 및 결과관리 시스템
KR101228998B1 (ko) 스마트 단말기와 센서 브릿지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및 분석 시스템
US20170153216A1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JP2015185010A (ja) 管理システム
KR20170090740A (ko) 사물인터넷 위생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TWM583284U (zh) 結合雲端數據的智慧型尿布
KR20150100990A (ko) 가축 꼬리 움직임을 활용한 발정 감지 장치 및 그 시스템 운용 방법
JP5320325B2 (ja) 無線システム
JP7125769B2 (ja) 水分検知センサ
JP7320265B2 (ja) 排尿検知システム
Kulkarni Embedded wearable device for monitoring diabetic foot ulcer parameters
Fuchigami et al. An identification method for optical fiber sensors in sensor network applications
CN117916591A (zh) 经由充电器对便携式设备进行分配和解除分配
JP2015215699A (ja) 測定情報管理システム、測定情報管理装置、及び通信プログラム
CN203059901U (zh) 生物信息获取系统
KR20160096335A (ko) 신체 정보 측정 마우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체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61602A (ko) 헬스케어 감지 및 전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