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32B1 -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432B1
KR101841432B1 KR1020160091312A KR20160091312A KR101841432B1 KR 101841432 B1 KR101841432 B1 KR 101841432B1 KR 1020160091312 A KR1020160091312 A KR 1020160091312A KR 20160091312 A KR20160091312 A KR 20160091312A KR 101841432 B1 KR101841432 B1 KR 10184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unit
communication terminal
unit
f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9532A (ko
Inventor
천인국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41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비행체는 이동통신 단말이 장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는 비행 제어부, 상기 비행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페어링되는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비행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회전체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비행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끊긴 상태인 통신 끊긴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해 전송받고, 전송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보를 판정해 비행체의 비행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를 동작시킨다.

Description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AIR VEHICL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MOBILE TERMINAL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테블릿 PC(table personal computer)와 같이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이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은 또한 휴대 가능하며 또한 크기 또한 휴대 가능한 정도로 소형이므로 이동 중에 많은 분실 사고가 발생하여, 사용자들은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겪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15270호(공개일자: 2015년 10월 14일, 발명의 명칭: 비행캠이 구성된 스마트폰 및 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촬영방법)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위험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비행체는 이동통신 단말이 장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는 비행 제어부, 상기 비행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페어링되는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비행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회전체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행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끊긴 상태인 통신 끊긴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해 전송받고, 전송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보를 판정해 비행체의 비행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를 동작시킨다.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조종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저장부는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보에 대응되는 비행 상태가 정해져 있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비행 제어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비행체는 상기 비행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착탈 감지 신호를 상기 비행 제어부로 출력하는 착탈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고, 상기 비행 제어부는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착탈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안착부에 장착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무선 조종부로 위치 정보를 요청해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비행체의 구동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끊긴 상태인 통신 끊긴 상태가 전송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통신 끊긴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의 차이값에 따라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에 따라 상기 비행체의 비행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비행 상태에 따라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행체의 비행을 실시하여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이격 거리를 좁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은 무선 조종부와 페어링되는 이동통신 단말,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결합되는 비행체를 포함하고, 상기 비행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결합된 상태가 되면, 상기 무선 조종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설정 시간 동안 끊기면, 상기 비행체로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 끊김 상태를 알려주고, 상기 비행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 끊김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비행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비행체로 위치 정보를 전송 하고, 상기 비행체는 저장되어 있는 무선 조종부위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행체의 비행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비행 상태에 맞게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회전체를 동작시켜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이격 거리를 좁힌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비행체가 무선 조종부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 조종부는 상기 비행체의 요청에 따라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상기 비행체로 전송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은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끊기면, 통신 끊김 상태를 상기 비행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통신 끊김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비행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비행체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는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는 판정된 상기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에 따라 상기 비행체의 비행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행체는 판정된 비행 상태에 따라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행체의 비행을 실시하여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이격 거리를 좁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비행체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 조종부와 설정 거리 이상 이격되면, 비행체는 무선 조종부 쪽으로 비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과 무선 조종부 간의 거리를 좁히게 된다.
이로 인해, 무선 조종부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와 비행체 간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상을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우려가 감소하거나 없어진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 조종부의 상태를 이용하여 회전체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자신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므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을 예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비행체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무선 조종부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비행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무선 조종부를 이용하여 비행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비행체를 이용하여 비행체와 무선 조종부 간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켜 이동통신 단말의 도난 방지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및 그 구동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100), 이동통신 단말(100)과 탈부착 가능한 비행체(200) 및 이동통신 단말(100)과 비행체(20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무선 조종부(300)를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100)은 사용자가 직접 휴대 가능한 단말로서 한 예로 스마트폰(smart phone)이다.
이동통신 단말(100)은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통신부(110)와 사용자 입력부(120)에 연결된 동작 제어부(13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된 출력부(140),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된 저장부(150), 인터페이스부(interface)(160), 동작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착탈 감지부(170), 그리고 동작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위치 정보 획득부(180)를 구비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110-180)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이동통신 단말(100)은 이들 구성 요소(110-180) 이외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단말100)과 통신 시스템(도시하지 않음) 사이, 또는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나 고정 단말기와 같은 다른 전자 기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한 예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인터넷 모듈(1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3)을 구비한다.
이동 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신호(즉,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모듈(112)은 이동통신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 등에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touch pad), 조그 휠(jog wheel), 조그(jog) 스위치 또는 마우스(mous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부(14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중 발생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 간의 이격 거리가 설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무선 조종부(300)와의 페어링 상태가 끊겨 통신이 끊기게 되면, 동작 제어부(130)는 비행체(200)로 통신 끊김 상태를 전송하고, 비행체(2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비행체(200)가 무선 조종부(300) 쪽으로 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100)이 통화 모드일 때 동작 제어부(130)는 통화 동작을 제어하며 통화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나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해당하는 영상 출력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출력부(140)로 출력하며, 화상 통화 모드나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이들 모드의 동작을 제어하고 촬영 영상이나 수신된 영상, 또는 화상 통화 모드나 촬영 모드를 위한 UI나 GUI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출력부(140)로 출력한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및 촉각에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41), 음향 출력 모듈(142) 및 햅틱(haptic) 모듈(143)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130)의 동작에 따라 동작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며,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사용되는 UI나 GUI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영상 표시를 위한 구조뿐만 아니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touch sensor)'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layered structure)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20)와 같은 입력 장치로 기능한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touch film), 터치 시트(touch sheet), 터치 패드(touch pad)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이나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촉되는 즉, 터치되는 위치와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41)의 복수의 화소에서 터치된 부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화소행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화소열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는 이들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지고, 터치 제어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한 후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터치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판정하여 터치 스크린(141)을 통해 입력된 명령이나 동작 상태를 판정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42)은 동작 제어부(130)의 동작에 의해 동작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상태나 동작 모드에 따라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나 메모리(150)에 저장된 해당 오디오 데이터에 기초한 해당 오디오 신호를 음향 출력 모듈(142)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음향 출력 모듈(142)는 오디오 신호에 해당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42)은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또는 버저(buzz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4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예에서,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43)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동작 제어부(130)의 제어 동작에 의해 변경 가능하며, 이러한 햅틱 모듈(143)은 동작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moto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동작 제어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에스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롬(read only memory, 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피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이동통신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 (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연관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통신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100) 내부의 해당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통신 단말 (100)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오디오 입력 및 출력 포트(audio input and output) 포트 및 비디오 입력 및 출력 포트(video input and output port), 이어폰 포트(earphone 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착탈 감지부(170)는 비행체(200)가 이동통신 단말(100)에 결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동작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100)에 이동통신 단말(100)을 비행시킬 수 있는 비행체(200)가 현재 결합되어 있는지를 여부를 판정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착탈 감지부(170)는 발광 다이오드와 수광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진 광 센서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접점 상태가 변하는 접점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부(18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동작 제어부(130)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GNSS는 인공위성(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 획득부(180)는 이동통신 단말(100)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GNSS 신호를 수신하여 수면 이동 장치(100)의 위치 정보(예, 경도값과 위도값)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30)는 위치 정보 획득부(180)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판정한다.
비행체(200)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이동통신 단말(100)에 부착되거나 탈거되고, 부착되어 있는 이통동신 단말(100)을 비행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통신 단말(100)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비행체(200)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이동통신 단말(100)의 몸체가 안착되는 안착부(2001)와 안착부(2001)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비행 수단인 복수의 회전체(2002)를 구비한다.
안착부(2001)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고,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 하부면과 측면으로 에워싸여진 공간을 갖는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100)이 안착부(2001) 내의 공간에 삽입되어 안착부(2001)에 고정 위치한다.
안착부(2001)는 그 안에 안착한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물을 구비하거나 탄성력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인가되지 않는 한, 안착부(2001)내에 위치한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체(2002)는 모터(261, 262)의 동작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나 회전 날개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의 경우, 비행체(200)는 네 개의 회전체(2002)를 이용하여 비행체(200)의 비행 방향과 비행 속도 등을 제어하는 쿼드콥터(quadrirotor) 구조를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듀얼콥터, 트리콥터, 헥사콥터, 옥타콥터 등 다른 형태의 멀티 콥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비행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쿼드콥터의 경우, 한 쌍의 회전체(2002)는 제1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나머지 한 쌍의 회전체(2002)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방향용 모터(예, 좌회전용 모터)(261)와 제2 방향용 모터(예, 우회전용 모터)(262)를 구비한다.
이러한 복수의 회전체(2002)는 접이식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미사용 상태인 경우 안착부(2001) 내로 삽입되어 외부로 도출되지 않는 상태가 되며 사용 상태인 경우 안착부(2001) 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정상적인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회전체(2002)의 접이 여부는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동통신 단말(100)과의 결합 여부를 따라 비행체(200)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2002)의 접이식 구조와 제어 동작은 이미 공개된 구조와 동작을 이용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이러한 구조를 갖는 비행체(200)는 통신부(210), 착탈 감지부(220), 통신부(210)와 착탈 감지부(220)에 연결되어 있는 비행 제어부(230), 비행 제어부(230)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240), 비행 제어부(230) 및 좌회전용 모터(261)와 우회전용 모터(262)에 연결되어 있는 모터 구동부(260)를 더 구비한다.
통신부(210)는 안착부(2001) 내에 위치하며, 이동통신 모듈(211)과 근거리 통신 모듈(2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이동통신 모듈(211)과 근거리 통신 모듈(212)은 도 2에 도시한 통신부(110)의 이동통신 모듈(1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3)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착탈 감지부(220)는 안착부(2001)의 측면부에 위치하여, 안착부(2001) 내에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하는지의 여부, 즉 착탈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비행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따라서, 비행 제어부(230)는 안착부(2001) 내에 이동통신 단말(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체(2002)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착탈 감지부(22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착탈 감지부(170)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비행 제어부(230)는 안착부(2001) 내에 위치하며 비행체(200)의 비행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비행 제어부(230)는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 간의 통신이 끊긴 상태가 되면 저장된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체(200)의 비행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비행 상태로 모터 제어부(2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비행체(200)가 무선 조종부(300) 쪽으로 날아갈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240)는 비행체(2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 또는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로서, 메모리(memory)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터 구동부(250) 역시 비행체(200) 내에 위치하고 있고, 비행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좌회전용 모터(261)와 우회전용 모터(262)의 회전 동작을 제어한다.
좌회전용 모터(261)와 우회전용 모터(262)는 각각 회전체(2002)와 연결되어 비행체(200)가 좌회전 비행, 우회전 비행, 전진 비행, 후진 비행 또는 제자리 비행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좌회전용 모터(261)가 정해진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비행체(200)는 좌회전 비행하고 우회전용 모터(262)가 정해진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비행체(200)는 우회전 비행하며, 좌회전 모터(261)와 우회전 모터(262)가 모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비행체(200)는 전진 비행하고, 반대로 좌회전 모터(261)와 우회전 모터(162)가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비행체(200)는 후진 비행할 수 있다. 또한, 좌회전 모터(261)와 우회전 모터(26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비행체(200)는 제자리 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조종부(300)의 조작에 따른 이들 모터(261, 262)의 회전 상태에 따라 비행체(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과 상태로 비행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비행체(200)는 비행 제어부(230)와 모터 구동부(250)에 연결되어 있고 회전 방향에 따라 비행체(200)의 고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상승 및 하강 모터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비행체(200)의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은 휴대용 전원을 이용하거나 태양광 전원을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유선 및 무선 방식으로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충전부를 이용한 충전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조종부(300)는 사용자의 손목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이동통신 단말(100)과 결합되어 있는 비행체(200)의 비행을 조종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을 원하는 위치로 비행시키고,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무선 조종부(300)는 이동통신 단말(10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10), 비행체(200)를 조종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부(320),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를 판정하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부(330), 통신부(310), 조작 스위치부(320) 및 위치 정보 획득부(330)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제어부(340), 구동 제어부(340)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350), 구동 제어부(340)에 연결되어 있는 출력부(360), 그리고 구동 제어부(34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 표시부(370)를 구비한다.
통신부(310)는 이동통신 단말(100) 및 비행체(2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모듈(311)과 근거리 통신 모듈(312)을 구비한다. 이들 이동통신 모듈(311)과 근거리 통신 모듈(312)은 이동통신 단말(100)과 비행체(200)의 이동통신 모듈(111, 21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3, 212)과 동일하다.
조작 스위치부(320)는 비행체(200)의 비행 상태, 예를 들어, 전진 비행, 후진 비행, 상승 비행, 하강 비행 및 제자리 비행 등을 선택하여 선택된 비행 상태로 비행체(200)를 조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스위치부(320)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비행 상태를 선택하면, 조작 스위치부(320)는 선택된 비행 상태에 해당하는 조종 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비행체(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전송된 조종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행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비행 상태에 맞게 모터 구동부(2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좌회전용 모터(261)와 우회전용 모터(262)의 동작을 제어한다.
위치 정보 획득부(33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 획득부(180)와 같이 GNSS를 통해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구동 제어부(340)로 출력한다.
이로 인해, 구동 제어부(340)는 위치 정보 획득부(330)로부터 인가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를 판정한다.
저장부(350)는 무선 조종부(3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 등 그리고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이다.
출력부(360)는 구동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이미 설명한 디스플레이 모듈, 음향 출력 모듈 및 햅틱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370)는 구동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상태가 달라서 무선 조종부(3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의 개수가 복수 개일 경우, 서로 다른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7b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고로 하여, 비행체(300)와 결합된 이동통신 단말(100)의 비행 동작을 무선 조종부(300)로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조종부(300)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100)의 비행 제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는 블루투스 통신 등을 이용하여 페어링(pairing)된 상태를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페어링된 상태를 이루는 한 쌍의 기기 즉,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는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페어링 상대인 다른 기기(이동통신 단말(100) 또는 무선 조종부(300)의 통신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페어링 상태가 통신 범위를 벗어나 통신이 끊기게 되면 페어링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런 페어링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제어부(130)는 착탈 감지부(170)로부터 인가되는 착탈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S11), 이동통신 단말(100)에 비행체(200)가 결합되었는지 판단한다(S12).
판독된 착탈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에 비행체(200)가 결합된 상태로 판정되면(S12),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비행체 결합 상태를 무선 조종부(300)로 전송한다(S13).
통신부(21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비행체 결합 상태가 전송되면, 무선 조종부(300)는 상태 표시부(370)를 동작시켜 비행체(200)에 이동통신 단말(100)이 결합된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S14).
이처럼, 상태 표시부(370)의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비행체(200)와 이동통신 단말(100)이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무선 조종부(300)를 이용하여 비행체(200)를 동작시켜 이동통신 단말(100)의 비행을 제어한다.
무선 조종부(300)는 비행체(200)의 구동 동작뿐만 아니라 동영상이나 사진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100)에는 동작 제어부(130)에 연결되어 동작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실시하는 카메라와 같은 영상 획득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100)과 비행체(200)가 결합된 상태이면, 무선 조종부(300)의 구동 제어부(340)는 조작 스위치부(3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비행체(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예, 촬영 동작)을 실시한다.
따라서, 무선 조종부(300)의 구동 제어부(340)는 조작 스위치부(320)로부터 인가되는 조작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작이 비행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5, S16).
조작 스위치부(320)로부터 인가되는 조작 신호의 상태가 복수의 비행 상태 중 하나를 선택한 비행 제어에 관한 것이면(S16), 무선 조종부(300)의 구동 제어부(340)는 조작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조작 스위치부(320)에 의해 선택된 비행 상태를 판정하여(S17) 판정된 비행 상태에 해당하는 비행 제어 신호를 비행체(200)로 전송한다(S18).
이처럼 통신부(310, 210)를 통해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비행체(200)로 비행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S18),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전송된 비행 제어 신호의 상태를 판정하고(S19), 판정된 비행 상태에 따라 모터 구동부(260)를 동작시켜 좌회전용 모터(261)와 우회전용 모터(262) 중 적어도 하나를 해당 상태로 동작시켜 비행체(200)의 안착부(2000)에 설치된 복수의 회전체(2002)를 비행 상태에 맞게 동작시킨다(S110).
따라서, 이러한 회전체(2002)의 동작에 의해 비행체(200)는 전진 비행, 후진 비행, 상승 비행, 하강 비행 또는 제자리 비행 등과 같이 선택된 비행 상태에 해당하는 비행 동작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단계(S16)에서 조작 스위치부(320)로부터 인가되는 조작 신호가 비행 제어에 관한 신호가 아니면,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작 스위치부(320)의 조작이 비행체(200)의 비행에 관한 것이 아니면, 무선 조종부(300)의 구동 제어부(340)는 촬영 동작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 신호로 판정한다(S111).
따라서, 무선 조종부(300)의 구동 제어부(340)는 입력된 단말 제어 신호의 상태를 판정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말 제어 상태(예, 촬영 상태)를 판정하고(S112), 판정된 단말 제어 상태에 해당하는 단말 제어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113).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단말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제어부(130)는 단말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예, 영상 획득부)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7a 및 도 7b를 참고로 하여, 비행체(200)에 결합된 이동통신 단말(100)의 분실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10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비행체(200)는 착탈 감지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착탈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비행체(200)에 이동통신 단말(100)이 결합되었는지 판단한다(S21, S22).
착탈 감지 신호의 상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이 비행체(200)에 결합된 상태로 판정되면,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무선 조종부(300)로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23).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100)과 비행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비행체(200)로부터 위치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무선 조종부(300)의 구동 제어부(340)는 주기적으로 비행체(2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24). 이때, 무선 조종부(300)는 이동통신 단말(100)과 페어링된 상태이므로, 무선 조종부(300)와 비행체(200)에 결합된 이동통신 단말(100)은 주기적인 통신 동작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와의 거리는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처럼, 페어링된 상태에서 무선 조종부(300)로 위치 정보를 요청해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비행체(200)는 전송된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50)에 저장한다(S25). 이때, 비행체(200)는 이미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를 새로 전송된 위치 정보로 갱신하여, 비행체(200)의 저장부(240)에는 가장 최근에 전송된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획득부(330)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이다.
본 예의 경우, 비행체(200)를 통해 무선 조종부(300)로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안적인 예에서 이동통신 단말(100)이 무선 조종부(300)로 위치 정보를 요청한 후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전송 받아 비행체(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행체(200) 대신 이동통신 단말(100)에서 착탈 감지부(170)를 이용하여 비행체(200)와의 결합 여부를 판정해, 비행체(200)가 결합된 상태로 판정되면 이동통신 단말(100)은 무선 조종부(300)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비행체(200)로 전송하여, 비행체(200)가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100)이 비행체(200)에 결합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이 페어링된 상태 상태로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가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면, 비행체(200)는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받아 전송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가 비행체(200)에 저장되는 상태에서 무선 조종부(300)와 이동통신 단말(100)간의 이격 거리가 설정 거리 이상 벌어져 통신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무선 조종부(300)와 이동통신 단말(100) 간의 통신이 끊기게 된다.
이처럼, 무선 조종부(300)와의 이격 거리가 통신 범위를 벗어나 무선 조종부(300)와 통신이 끊긴 상태가 되면(S210), 이동통신 단말(100)은 통신 끊김 상태가 설정 시간을 경과했는지 판단한다(S211).
설정 시간 이상 무선 조종부(300)와의 통신이 끊긴 상태이면, 이동통신 단말(100)은 비행체(200)로 무선 조종부(300)와의 통신 끊김 상태를 전송한다(S212).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통신 끊김 상태가 수신되면,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도난이나 사용자의 실수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는 무선 조종부(300)의 거리가 설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된 상태로 판정한다.
따라서,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자신과 결합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100)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S213), 이동통신 단말(100)은 비행체(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위치 정보 획득부(180)로부터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비행체(200)로 전송한다(S215).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와 저장부(250)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 즉 가장 최근에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S216).
그런 다음,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정보와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의 차이값, 즉 경도값과 위도값을 각각 비교하여 경도값의 차이와 위도값의 차이에 따른 무선 조종부(300)와 이격되어 있는 현재 비행체(200)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를 판정한다(S217).
다음,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판정된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에 따라 비행체(200)의 비행 상태(예, 전진 비행, 후진 비행, 좌측 비행 또는 우측 비행)를 정한다(S218).
이러한 비행 상태를 정하기 위해 비행체(200)의 저장부(240)내에 이미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에 대응되게 비행 상태가 정해져 있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비행 상태가 정해지면,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부(230)는 모터 구동부(250)를 해당 상태로 제어하여(S219) 정해진 비행 상태로 비행체(200)의 비행이 이루어져 무선 조종부(300) 쪽으로의 비행체(200)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비행체(200)의 비행 제어가 이루어지면, 비행체(200)는 무선 조종부(300) 쪽으로의 비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비행체(200)에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와의 이격 거리가 좁혀지게 되고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는 통신 범위 내로 진입하게 되고,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는 다시 페어링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페어링 상태로 되면 이동통신 단말(100)과 무선 조종부(300)는 다시 통신을 재개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조종부(300)와의 통신이 재개되면(S220), 이동통신 단말(100)은 비행체(200)로 통신 재개 상태를 전송하고(S221), 비행체(200)는 통신 재개 상태를 이동통신 단말(100)로 수신하면 무선 조종부(300)로 다시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S222), 주기적으로 무선 조종부(3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부(240)에 무선 조종부(30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분실 방지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7a로 넘어가, 이동통신 단말(100)과의 이격 거리가 통신 범위를 벗어나 이동통신 단말(100)과 통신이 끊긴 상태가 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되면(S225, S226), 무선 조종부(300)는 출력부(360)로 경고 신호와 경고 데이터를 출력하여 경고음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41)로 통신 끊김 상태를 표시해 사용자에게 경고 상태를 출력하는 경고 제어를 실시한다 (S227).
이러한 출력부(360)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무선 조종부(300)의 통신 범위 밖에 이동통신 단말(100)이 위치한 상태를 인지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분실 위험을 줄이거나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이동통신 단말 200: 비행체
300: 무선 조종부 210: 통신부
220: 착탈 감지부 230: 비행 제어부
240: 저장부 250: 모터 구동부
2001: 안착부 2002: 회전체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이 장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있는 비행 제어부,
    상기 비행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페어링되는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비행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회전체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비행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끊긴 상태인 통신 끊긴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해 전송받고, 전송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회전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보를 판정해 회전체의 비행 상태를 판정하고, 판정된 비행 상태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체를 동작시키는
    비행체.
  2. 제1항에서,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는 상기 무선 조종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행체.
  3. 제1항에서,
    상기 저장부는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보에 대응되는 비행 상태가 정해져 있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비행 제어부는 상기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비행 상태를 판정하는 비행체.
  4. 제1항에서,
    상기 비행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착탈 감지 신호를 상기 비행 제어부로 출력하는 착탈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행 제어부는 상기 착탈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착탈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안착부에 장착된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무선 조종부로 위치 정보를 요청해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는
    비행체.
  5.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끊긴 상태인 통신 끊긴 상태가 전송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통신 끊긴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위치 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의 차이값에 따라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를 판정하는 단계,
    판정된 상기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에 따라 상기 비행체의 비행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판정된 비행 상태에 따라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행체의 비행을 실시하여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이격 거리를 좁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행체의 구동 방법.
  6. 무선 조종부와 페어링되는 이동통신 단말,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결합되는 비행체
    를 포함하고,
    상기 비행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결합된 상태가 되면, 상기 무선 조종부로부터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설정 시간 동안 끊기면, 상기 비행체로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 끊김 상태를 알려주고,
    상기 비행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 끊김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비행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비행체로 위치 정보를 전송 하고,
    상기 비행체는 저장되어 있는 무선 조종부위 위치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행체의 비행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비행 상태에 맞게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회전체를 동작시켜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이격 거리를 좁히는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7. 비행체가 무선 조종부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무선 조종부는 상기 비행체의 요청에 따라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상기 비행체로 전송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은 무선 조종부와의 통신이 끊기면, 통신 끊김 상태를 상기 비행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통신 끊김 상태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상기 비행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비행체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는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무선 조종부의 위치 정보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비행체는 판정된 상기 비행체의 이격 방향과 이격 정도에 따라 상기 비행체의 비행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행체는 판정된 비행 상태에 따라 모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비행체의 비행을 실시하여 상기 무선 조종부와의 이격 거리를 좁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60091312A 2016-07-19 2016-07-19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84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12A KR101841432B1 (ko) 2016-07-19 2016-07-19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312A KR101841432B1 (ko) 2016-07-19 2016-07-19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532A KR20180009532A (ko) 2018-01-29
KR101841432B1 true KR101841432B1 (ko) 2018-03-26

Family

ID=6102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312A KR101841432B1 (ko) 2016-07-19 2016-07-19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3330A (zh) * 2019-03-29 2020-06-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手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717B1 (ko) * 2015-02-23 2015-08-25 김영권 무인비행체가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150115270A (ko) * 2014-04-03 2015-10-14 (주)프로비젼플러스 비행캠이 구성된 스마트폰 및 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촬영방법
KR101594428B1 (ko) 2014-05-20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270A (ko) * 2014-04-03 2015-10-14 (주)프로비젼플러스 비행캠이 구성된 스마트폰 및 그 스마트폰을 이용한 동영상촬영방법
KR101594428B1 (ko) 2014-05-20 2016-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46717B1 (ko) * 2015-02-23 2015-08-25 김영권 무인비행체가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동영상(2015.02.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532A (ko) 2018-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8816B2 (en) Systems including mobile devices and head-mountable displays that selectively display content, such mobile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controlling such mobile devices
KR101719653B1 (ko) 이동 단말기, 전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201702173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module power management
KR1015020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방법
KR201800176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11587A1 (en) Navigation device wirelessly coupled with auxiliary camera unit
CN108369641B (zh) 电子设备以及用于其的托架
KR20180014642A (ko) 자체균형차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60071069A (ko) Avn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웨어러블 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8002202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00172262A1 (en) Detection and signaling of condition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979513B1 (ko) 3차원 기반의 전자해도 표시 시스템
US105681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notices within a vehicle using a mobile device
KR101841432B1 (ko) 비행체 및 그 구동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90045655A (ko) 분실 드론의 탐색 방법 및 시스템
EP3329347B1 (en) Electronic device and cradle thereof
KR20180020003A (ko) 충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20210331585A1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6349882B2 (ja) 受電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0418049B (zh) 位置信息处理方法和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
JP2018140686A (ja) 移動体装置及び移動体システム
CN106303014A (zh) 一种飞行控制系统及无人机
EP344220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18032209A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287789B1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