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789B1 -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789B1
KR102287789B1 KR1020140184156A KR20140184156A KR102287789B1 KR 102287789 B1 KR102287789 B1 KR 102287789B1 KR 1020140184156 A KR1020140184156 A KR 1020140184156A KR 20140184156 A KR20140184156 A KR 20140184156A KR 102287789 B1 KR102287789 B1 KR 10228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rot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893A (ko
Inventor
강홍석
아지훈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7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A CAR INTERFA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본 발명은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부가하여, 오디오 장치, AV(Audio and Video) 장치,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설치된다.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각종 동작과 관련된 영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 내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센터 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된다.
또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지능형 교통 체계(ITS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를 구체화시킨 시스템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사용한 위치 정보를 차량에 도입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의 도로 상황 등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차량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사용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차량 디스플레이나 내비게이션의 조작은 터치 또는 화면 주변에 위치한 버튼 입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주행중에 운전자가 내비게이션을 조작하거나 영상 시청등을 위해 조작하는 경우, 운전자의 주의력이 급격히 감소하여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며, 그에 따라 운전 중 터치 등을 통한 디스플레이 조작 등은 법으로 규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를 쉽게 조작하기 위해 고급 차량에는 운전자의 좌측 또는 우측 하단에 조그 휠(Zog Wheel)과 같은 보조 제어 장치 등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그 설치 비용문제 등으로 인해 그 보급률은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기어 등과 같은 조작도 지원하기 위해 ECU와 같은 핵심적 요소와 연결되어 있어, 차량 제조사가 차를 생산하는 시점 외에는 쉽게 설치 또는 개조하여 이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비용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차량 사고의 위험성을 증가시키지 아니하면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 입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설치과정 없이 또는 저비용으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제1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제1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단말기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 입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설치과정 없이 또는 저비용으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입력을 검출함에 있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이 가능한 회전 거치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거치장치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회전 입력을 검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입력을 검출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거치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입력을 검출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에 구비되거나 장착되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특정 지점까지의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블랙 박스,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용 블랙박스로 구현되는 경우, 그 자체 혹은 내비게이션과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를 들어, 차량용 내비게이션이거나 차량용 블랙박스 또는 증강 현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증강 현실 시스템인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의 운행, 유지 등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차량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기능을 제공, 보완, 증대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합된 시스템을 구성할수 있다. 전체 시스템에 있어서의 휴대용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모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자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100)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능과 관계 없이, 기본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기능은 통화 기능, 문자 기능, 인터넷 기능, 메모 기능 또는 스케쥴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회전 거치장치(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거치되어 회전 입력을 용이하게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회전 거치장치(300)는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 입력 결정에 있어, 회전 거치장치(300)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회전 거치장치(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특정된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충전 단자와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회전 거치장치(300)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보조적인 구성으로도 이용되거나 다른 실시 예에서 필수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회전 거치장치(3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유선의 경우 HDMI, VGA, sRGB, USB 인터페이스 또는 기타 케이블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의 경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00)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 제어부(180),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182), 제어모드 전환부(183), 차량 인터페이스 회전입력 결정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으며, 위치 정보는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휴대용 단말기의 방위, 휴대용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또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의 외부 장치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 상태를 센싱할 수 있고, 차량 인터페이스 회전입력 결정부(185)는 회전 상태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회전입력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예를 들어, 고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도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고도를 센싱할 수 있고, 가속도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3축 가속도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지자기 센서는 주위의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휴대용 단말기(100)로 적용되는 중력 변화에 따른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140)의 지자기 센서는 회전 거치장치(30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의 변화를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 모드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제1 모드인 경우 기본 기능 중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가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드인 경우, 차량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 또는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6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 및 회전 입력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저장부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저장부(예를 들어 SD 또는 XD 저장부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저장부,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차량 시스템과의 통로 역할을 한다.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는 차량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단말기(100) 내부의 차량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차량 시스템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저장부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회전 거치장치(300)와 연결될 때 상기 회전 거치장치(300)로부터의 전원이 휴대용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거치장치(300)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입력되는 각종 신호가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회전 거치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신호 또는 전원은 휴대용 단말기(100)가 회전 거치장치(300)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차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움직임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전 입력을 결정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서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제어모드 전환부(183)로부터의 모드 전환 신호가 인지되는 경우, 차량 인터페이스를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모드 전환부(183)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연결을 감지하고, 모드 전환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여, 모드 전환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는, 차량의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GUI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차량 인터페이스는 특정 지점까지의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인터페이스, 차량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블랙 박스 인터페이스, 차량 내 각종 전장(ECU)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상태정보 인터페이스, 각 전장(ECU)의 제어를 위한 제어 인터페이스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 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2 모드에서,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182), 제어모드 전환부(183) 및 회전입력 결정부(185)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182)는 차량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차량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를 통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80)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 생성부(182)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된 차량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제어된 차량 인터페이스 화면을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 신호의 생성을 위해, 회전입력 결정부(185)는 차량 움직임 정보, 회전 거치장치(300)의 움직임 정보 또는 센싱부(140)에서 센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회전 입력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운전석 일측에 놓여진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를 움직이는 경우, 회전입력 결정부(185)는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회전 거치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센싱부(140)로부터 센싱할 수 있고, 움직임 정보에 따라 회전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결정된 회전 입력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회전 입력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메뉴 선택, 기능 실행 등의 동작들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쉽게 조작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회전 거치장치(300)를 통해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동작 전원 또는 충전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AV입력부(230), 사용자 입력부(240), 출력부(250), 차량 정보 획득부(260), 저장부(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한다.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통신부(22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차량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전술한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220)는 위치정보 모듈을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특히,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로 구동되는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GPS 모듈을 통해 위성들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거나 또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 화면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2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미도시)와 마이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차량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비게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그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출력부(250)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HUD(Head Up Display)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출력부(250)의 오디오 출력 모듈은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음성이나, 저장부(2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듈(25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10)는 출력부(250)를 통해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회전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AV(Audio and Video)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회전 입력에 따른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그 제어 결과에 대응되는 AV 데이터를 전송하면, 그 AV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전 입력을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차량 정보 획득부(260)를 통해 획득되는 차량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여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차량 움직임 정보에 의해 회전 입력을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거나,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정보 획득부(26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정보 획득부(260)는 차량 움직임 센싱 모듈(261) 및 주행정보 검출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정보 획득부(260)는 획득된 차량 정보를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 움직임 정보 및 주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움직임 센싱 모듈(261)은 상기 차량 움직임 정보를 센싱한다. 차량 움직임 센싱 모듈(261)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방위, 가속 또는 감속에 따라,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 움직임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회전 입력을 정확하게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주행정보 검출부(262)는 차량의 공조 제어 시스템인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주행정보를 검출한다. 주행정보는 예를 들어, 속도, 시간, 기온, 주행 거리, 연료량, 엔진오일 수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7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270)는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AV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차량 정보 획득부(260)에서 획득되는 챠량 움직임 정보와 주행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전원부(28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동작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 또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외부 모듈 간의 통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CAN 통신은 차량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 없이 마이크로 콘트롤러나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설계된 표준 통신 규격을 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100)는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한다(S101).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는지 감지한다(S103).
센싱부(14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인터페이스 연결을 감지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회전 거치장치(300)간 연결을 감지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간의 인증을 수행하고, 승인된 경우에만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의 연결을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한다(S113).
그리고, 제2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단말기 또는 회전 거치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회전 입력을 결정하고(S113),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15).
제어부(18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 신호는 회전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입력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 또는 회전 거치장치(300)의 회전 움직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전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 움직임 각도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회전 입력은 예를 들어, 시계 방향 회전 입력 정보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회전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 이동, 메뉴 전환, 기능 호출 등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거나, 생성된 제어 신호를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80)는 회전 입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제거하여 상기 회전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싱부(140)는 회전 입력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검출하지만,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의 속도, 가속도 변화 영향을 그대로 받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와 관계 없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만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제거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입력을 검출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 거치장치(300)에 거치될 수 있다.
회전 거치장치(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도록 원형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거치장치(300)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케이블(105)로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 홀(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거치장치(300)는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하여,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차량의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 거치장치(300)에 거치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을 통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에 대응되는 회전값만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회전 의도만을 용이하게 판단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10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축(401) 및 제2 축(402)에 기초하여 수평방향 회전각만을 검출하여 회전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 거치장치(300)상에서의 상대적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거치장치(300)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자석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10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움직임에 따른 주변 자기장의 변화만을 검출하여 회전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전방향은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의 메뉴 셀렉터(205)가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제2 모드에서, 차량 인터페이스의 메뉴 선택을 위한 선택 버튼(103)을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회전하여 메뉴 셀렉터(205)를 이동하고, 선택 버튼(103)을 터치하여 메뉴 실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거치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입력을 검출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 입력을 검출함에 있어, 회전 거치장치(300)의 움직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회전 거치장치(300)의 외벽의 전부 또는 일부는 자기장을 방출하는 자석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회전 거치장치(300)의 상기 외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거치장치(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 옆면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빗금 부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회전 거치장치(300)가 회전하게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 거치장치(300)의 움직임에 따른 주변 자기장의 변화만을 검출하여 회전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회전 거치장치(300)가 회전하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회전 거치장치(300)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입력을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메뉴 셀렉터(205)의 이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영상 및 음향 신호만을 출력부(2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 입력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그 제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생성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휴대용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휴대용 단말기(100)의 회전 입력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먼저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01).
제어부(210)는 차량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생성하여 출력부(25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연결이 감지되면(S203), 휴대용 단말기(100)로 제어 권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인가한다(S205).
제어부(210)는 연결된 휴대용 단말기(100)와의 인증을 통해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 권한이 있는 단말기인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인증된 경우 차량 인터페이스의 제어 권한을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차량정보 획득부(260)는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차량의 움직임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정확한 회전 입력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휴대용 단말기(100)가 거치된 회전 거치장치(300)의 회전 움직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209).
휴대용 단말기(100)는 회전입력 결정부(185)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들로 회전 입력을 결정할 수 있고, 회전 입력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차량 시스템 연결부(170) 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S211).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 입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설치과정 없이 또는 저비용으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 제어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 입력을 검출함에 있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차량의 움직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이 가능한 회전 거치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거치장치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회전 입력을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200: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300: 회전 거치장치

Claims (13)

  1.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제거하여 상기 회전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 또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는 가속도 정보 및 자이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회전 거치장치에 거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회전 거치장치에 거치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회전 거치장치상에서의 상대적 움직임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상기 회전 거치장치의 회전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수평방향 움직임만을 검출하여 상기 회전 입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방법.
  8.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제1 모드에서, 상기 단말기의 기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단말기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는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센싱부의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회전 입력에 따라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움직임 정보를 제거하여 상기 회전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단말기가 회전 거치장치에 거치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경우 제2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단말기의 상기 회전 거치장치상에서의 회전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거치장치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 거치장치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입력을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거치장치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 변화를 검출하여 상기 회전 입력을 결정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거치장치는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충전 회로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140184156A 2014-12-19 2014-12-19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156A KR102287789B1 (ko) 2014-12-19 2014-12-19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156A KR102287789B1 (ko) 2014-12-19 2014-12-19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893A KR20160075893A (ko) 2016-06-30
KR102287789B1 true KR102287789B1 (ko) 2021-08-10

Family

ID=5635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156A KR102287789B1 (ko) 2014-12-19 2014-12-19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009B1 (ko) 2016-09-28 201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863A (ko) * 2006-09-21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할화면 배치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장치 및 분할화면배치 방법
KR101893148B1 (ko) * 2011-09-29 2018-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893A (ko) 201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623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66860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1029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EP3132435B1 (en) Trainable transceiver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KR102360334B1 (ko) 이동단말기,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16145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632009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40323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communication
CN103493030B (zh) 通过添加来自便携式设备的远程传感器来增强车辆信息娱乐系统
KR20140087628A (ko) 이동 단말기
KR201000753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위치기반서비스 제공방법
EP37120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mobile device in vehicle
CN110751854B (zh) 汽车的停车指引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6200894B (zh) 事件通知方法及其设备
KR20160089749A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87789B1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200086806A1 (en)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KR101612868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75894A (ko)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9315B1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1511B1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2363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70072852A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44819B1 (ko)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292783B1 (ko) 경로 안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