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190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190B1
KR101495190B1 KR1020137020604A KR20137020604A KR101495190B1 KR 101495190 B1 KR101495190 B1 KR 101495190B1 KR 1020137020604 A KR1020137020604 A KR 1020137020604A KR 20137020604 A KR20137020604 A KR 20137020604A KR 101495190 B1 KR101495190 B1 KR 101495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image
vide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937A (ko
Inventor
박지환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12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88Systems comprising multiple parts or multiple output devices (not client-server), e.g. detachable faceplates, key fobs or multiple output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들에 구비된 서로 다른 하드키들을 연결된 영상표시장치의 키들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방법 및 그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에 대한 하드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하드키정보에 기초하여 하드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키이미지를 영상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영상표시장치에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들에 구비된 하드키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내/외부 입력을 통해 영상 및 소리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차량내에 장착될 수 있고 차량내 다른 외부장치(예, 이동 단말기 등의 모바일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영상, 소리, 기타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서 화면과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기능 및 제어의 증대를 위해 영상표시장치의 구조적, 소프트웨어적 부분에 대한 개량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들에 구비된 하드키들을 이와 연결된 영상표시장치의 키들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들마다 서로 다른 하드키들의 이미지 및 배열을 고려하여 영상표시장치의 키들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영상표시장치에서 제어가 빠르고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에 대한 하드키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하드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드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키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키입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는 외부 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 하나 이상의 키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결정된 키이미지가 터치패드 형태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어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에 대한 하드키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드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키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아이콘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관련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어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마다 서로 다른 하드키들을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영상표시장치에 각각 대응되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들을 연결된 영상표시장치에서도 직관적으로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고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연결된 이동 단말기가 변경될 때마다 그 이미지 및 배열이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영상표시장치에서의 제한된 키(key)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고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자동으로 영상표시장치의 키들을 일반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가 이동 단말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시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일 예시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들이 영상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들이 연결된 영상표시장치에 각각 구별가능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이 영상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부터 검출된 제어키들이 영상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들이 영상표시장치에 터치패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일 예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가 이하의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 및 이와 연결된 영상표시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상호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 및 영상표시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표시장치(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인 화면 이미지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영상표시장치(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는 차량내에 위치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표시장치(200)와 무선 연결이 가능한 범위에서 차량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이미지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화면 이미지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영상표시장치(200)는 구체적으로 TV, HBBTV, 스마트 TV, IPTV 등이 될 수 있고, 차량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고정식 또는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명령을 신호 형태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200)의 화면에 구비된 터치 패드 또는 키 패드를 터치하거나 누름으로써 특정 명령을 입력하면, 영상표시장치(200)는 입력이 인가된 지점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보낸다.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200)에 구비된 터치 패드, 키 패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차량용 영상표시장치(2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또는 다이얼링, 폰북, 이메일,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고, 이동 단말기(100)가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영상을 영상표시장치(200)에 보내면 영상표시장치(200)에서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작은 화면 대신에 영상표시장치(200)의 큰 화면에서 길 안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스피커를 대신하여 영상표시장치(200)의 스피커를 통해 길 안내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200)에 구비된 터치 패드 또는 키 패드를 이용하여 길 안내와 관련된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선택된 해당 메뉴에 대한 동작 또는 기능을 그대로 수행한다. 다시 말해, 영상표시장치(200)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실행 결과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해당 메뉴에 대한 동작의 수행 결과를 다시 영상표시장치(200)로 송신하고 상기 수행 결과는 영상표시장치(200)에 출력된다.
이동 단말기(100)와 영상표시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규격, 와이 파이(Wi-Fi) 등의 무선 인터넷 규격,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 규격 등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영상표시장치(200)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타입에 관계없이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캡처하고, 캡처된 화면을 영상표시장치(200)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한다. 또한,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영상표시장치(200)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20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s; GUI)에 대한 원격 접근을 제공하는 RFB(Remote Frame Buffer)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VNC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화면 업데이트를 영상표시장치(200)에 전달하면서, 영상표시장치(200)에서 발생한 입력 이벤트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게 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제1장치에서 제2장치로 스트리밍 될 수 있는 오디오(스테레오 또는 모노)의 음질을 정의하는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특히 블루투스 헤드셋에 관한 HSP(HeadSet Profile), 특히 차량용 핸즈프리 킷에 적용되는 HFP(Hands-Free) 등에 따라 영상표시장치(200), 헤드셋 또는 헨즈프리 등에 음성을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200) 및 이동 단말기(100)는 별도의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부가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200)가 차량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차량 주행 정보, 속도 정보, 연료 정보 등과 같은 차량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그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한 유용한 정보를 다시 영상표시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제품정보,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맥 어드레스, 제품의 디자인, 디지털 인증서 등의 정보를 영상표시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200)는 그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유용한 정보를 다시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몇몇 애플리케이션들은 별도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은 영상표시장치(200)에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예를 들어, 길 안내, 멀티미디어, 게임 등), GUI(Graphic User Interface)의 타입(예를 들어, 지도, 비디오, 메뉴 등),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예를 들어, 포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 중인지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 중인지 등)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의 일 예시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기(휴대폰 등)(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한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하여도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그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이동 단말기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위치 확인 가능)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방향을 검출하는 지자계 센서 및/또는 중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상기 지자계 센서(전자 나침반)를 통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구현을 위해 이동 단말기의 방향(예를 들면, 동서남북)을 검출한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상기 중력 센서(G 센서)를 통해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를 탐지하고,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세로로 길게 들고 있을 때는 세로로 된 화면을 보여주고, 가로로 들고 있을 때는 화면을 자동으로 90도 회전시켜 넓은 화면을 보여준다. 또한, 사용자가 동영상을 시청할 때,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상기 중력 센서(G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들고 있는 방향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켜 사용자가 편하게 영상을 시청하도록 한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와 연관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표시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장치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텍스트, 또는 디스플레이가능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수신된 영상, 텍스트, 기타 정보들을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근접 터치(proximity-touch)는,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2)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142)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142)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 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제품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182)은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 CPU)(212)와, 제어부(21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2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211)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214)를 내장하는 메인 보드(21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2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한 영상표시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하여도 영상표시장치(200)가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3)는 예를 들어,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3)는 영상표시장치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외부장치에 대한 위치, 구성, 이미지 정보들을 디폴트이미지로 미리 저장하거나 새롭게 생성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메인 보드(210)는, 고유의 기기번호가 부여되어 내장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2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CD Deck)(2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209) 등을 포함한다. CDMA 모듈(306) 및 GPS 모듈(207)은 안테나(204, 205)를 통해서 신호를 주고 받는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222)은 메인 보드(210)에 연결되며, 안테나(2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메인보드(2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203)를 통하여 LCD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디스플레이부(LCD)(201)와, 키 제어부(211) 및 LCD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키입력부(2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227)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수신되는 영상신호, 문자신호 등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01)는 도 2의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를 포함한다.
키입력부(2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210)에 제공한다. 키입력부(202)는 복수의 하드키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드키는, 상부에 예를 들어, LCD와 같은 화면이 구비되어 있어서 다양한 이미지들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면은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하드키는 상부에 각각 복수의 소형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대형 LCD를 구비하고 개별 하드키들이 구별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복수개의 선으로 구획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202)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입력을 받으면 제어부(211) 및 LCD 제어부(214)에서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동작 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메인 보드(2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오디오 보드(2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18), 마이크로컴퓨터(2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로 구성된다.
또한, 오디오 보드(2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20)와,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데크(2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보드(217)는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앰프)(226)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오디오 보드(217) 및 메인 보드(210)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차량 인터페이스(2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2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2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속도 센서(2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2)에 제공한다.
영상표시장치(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300)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길 안내를 정보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2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2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2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장치(또는 음성 인식 모듈)(201)는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영상표시장치(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사각지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때 무선 통신(예를 들면,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예를 들면,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및/또는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와 자동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그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변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메인 보드(21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통신부(231) 및 A/V 입출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200)의 제어부(212)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12)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통신부(231) 및 A/V 입출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31)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A/V 입출력부(232)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200)에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1)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212) 또는 메모리(213)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되는 정보의 형태는 텍스트 형태로 수신될 수도 있으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미지나 캡쳐된이미지 등의 이미지 형태로 수신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40)는, 영상표시장치(2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4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4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2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장치(2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4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 외에,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4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의 키이미지를 결정하여 영상표시장치의 키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4b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들(430a, 430b)의 키이미지가 연결된 영상표시장치의 하드키들(410a, 410b)에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키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의 상부표면에 새겨긴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미지를 텍스트 형태로 바꾸어 새롭게 구현한 이미지를 키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에 새겨진 이미지가 "▲" 또는 "▼" 라고 하자. 이때 키이미지는 "▲" 또는 "▼"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위로(또는 UP)" 또는 "아래로(DOWN)" 와 같은 텍스트 형태의 이미지를 키이미지로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30)(도3)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는 그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430a, 430b)에 대한 키정보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230)(도3)를 통해 영상표시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200)는 적절한 명령을 통해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430a, 430b)에 대한 키정보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키정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430a, 430b)에 대한 키이미지, 키위치, 키의 기능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키이미지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에 새겨진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키위치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의 실제 위치를 가리키는데, 예를 들어, 하드키가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 몸체의 하단에 위치하는지, 상단에 위치하는지, 측면인 경우 좌측인지 우측인지의 대략적 위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각 하드키들 간의 상대적위치를 포함하여 영상표시장치(200)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키의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가 선택되었을 때 수행하는 동작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하드키는 볼륨조절기능, 카메라기능, 진동모드변경기능, 통화기능, 메뉴선택기능, 선택취소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종류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 다른 여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200)의 키들(410a, 410b)은 외부 몸체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될 수 있고, 각 상부에 예를 들어, LCD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키정보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100)의 각 하드키(430a, 430b)에 대응하는 키이미지를 영상표시장치(200)의 키(410a, 410b)의 상부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화면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각각 소형 LCD화면을 복수 개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대형 LCD화면이 포함하고 영상표시장치(200)에 구비된 키들의 수만큼 구별되도록 구획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200)의 키들(410a, 410b)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몸체의 양 측면에 구성되거나, 다른 예로서 외부 몸체의 다른 2면에 구성되거나 외부 몸체의 양 측면, 하단, 및 상단 중 어느 3면에 구성되거나, 또는 외부 몸체의 4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부는 상부에 화면을 포함하는 키들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상부에 화면을 포함하지 않는 일반 하드키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키들(410a, 410b)의 상부 화면은 LCD뿐만 아니라,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표시장치(200)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들은 다양한 키이미지와 서로 다른 키위치 및 키의 기능들을 갖는 하드키들을 포함한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의 이동 단말기(100)는 하드키(430a, 430b)를 포함하며, 도 4b의 이동 단말기(100)는 하드키(430c, 430d)를 포함한다.
구비된 각 하드키들(430a, 430b, 430c, 430d)은 키모양, 키이미지, 키위치, 및 키의 기능이 서로 다르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이와 같은 하드키들(430a, 430b, 430c, 430d)에 대한 키정보(키이미지, 키위치, 키의 기능 등)를 제공받아 영상표시장치의 키(410a, 410b)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키정보에는 키이미지 뿐만 아니라 키의 위치도 포함되므로 하드키들(430a, 430b, 430c, 430d)의 실제 키 위치나 하드키들간의 상대적인 키위치를 고려하여 영상표시장치(200)의 키(410a, 410b)에 디스플레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단에 위치한 하드키들(430b)이 영상표시장치(200)의 좌측키(410a)에 위치하게 되고,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에 위치한 하드키들(430a)이 영상표시장치(200)의 우측키(410b)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중앙 하단에 위치한 하드키(430d)가 영상표시장치(200)의 좌측키(410a)에 위치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에 위치한 하드키들(430c)도 영상표시장치(200)의 좌측키(410a)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의 갯수가 매우 적거나 또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가 다수여서 할당될 하드키가 많은 경우에는 하드키에 대한 위치 정보에도 불구하고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여러 하드키가 영상표시장치(200)의 동일 위치의 키(410a)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영상표시장치(200)의 좌측키(410a)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중앙 하단의 하드키(430d)부터 할당하기로 결정하거나,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좌측의 하드키들(430c)부터 할당하기로 결정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순서는 관계가 없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키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키(410a, 410b)에 터치가 입력되면, 입력이 인가된 위치의 키이미지에 대응하는 키의 기능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볼륨조절 기능"을 갖는 하드키(430c)가 영상표시장치(200)의 키(410a)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키(410a)의 상부 화면에 "▲" 및 "▼" 키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후, 사용자가 "▲" 또는 "▼" 키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키(410a)에 터치 입력을 가하면, 영상표시장치(200)에서는 대응하는 "볼륨조절 기능" 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된 이동 단말기가 복수이면, 상기 키이미지들을 각 이동 단말기마다 상호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이와 같은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0a, 100b)가 영상표시장치(200)와 연결된다. 연결된 각 이동 단말기(100a, 100b)에 구비된 하드키들(530a, 530b, 530c, 530d)에 대한 키이미지들이 결정되고 영상표시장치(200)의 키들(510a, 510b, 510c)에 디스플레이된다.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a)의 하드키들(530a, 530b)은 하나의 집합으로(또는 순차로 연결되어) 영상표시장치(200)의 키(510a)에 할당되고, 이동 단말기(100b)의 하드키들(530c, 530d)은 또 다른 하나의 집합으로(또는 순차로 연결되어) 영상표시장치(200)의 키들(510b, 510c)에 할당된다.
여기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에 구비된 복수의 하드키들을 각 이동 단말기마다 상호 구별할 수 있는 방식의 할당이면 제한없이 여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이동 단말기마다 영상표시장치(200)의 서로 다른 영역의 키들에 위치시키거나, 동일한 이동 단말기의 키이미지들을 동일한 색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구별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영상표시장치에 복수의 이동 단말기가 연결되는 경우에도 각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들을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이와 같은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들(630a, 630b)이 각각 영상표시장치(200)의 키(610a, 610b)에 할당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들(640) 또한 영상표시장치(200)의 키(610c)에 할당된다. 이때 아이콘(640)에 대한 아이콘정보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도3)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아이콘이미지는 이동단말기로부터 디폴트이미지 형태로 수신되거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200)의 키(610c)에 할당될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640) 이미지의 결정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횟수, 최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미리 정해진 특정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선택적 입력 등의 기준에 따라 일부가 선택될 수도 있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640)이 선택되어 영상표시장치(200)의 키(610c)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키가 키입력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즉 복수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영상표시장치에서도 대응하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키를 한번 터치하는 경우 제1기능를 실행하고, 동일키를 두 번 짧게 터치하는 경우 제2기능을 실행한다고 하자. 이와 같은 기능이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는 영상표시장치의 키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키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러한 정보의 수신을 위해 요청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고,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불러오는 방식으로 상기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획득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의 메인보드(210)에 전달된다. 그리고 영상표시장치(200)의 키입력부(202)(도2)의 특정키에 입력이 이루어지면 그러한 입력신호가 메인보드(210)의 제어부(212) 및 LCD 제어부(214)에도 전달되어서 영상표시장치(200)의 키에 디스플레이된 키이미지에 대응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하드키가 키 입력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즉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수행되는 기능의 변경에 따라 영상표시장치(200)의 키입력부(202)(도2)에 포함된 키도 대응하는 키이미지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키의 기능이 변경됨에 따라 대응하는 키이미지의 색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이미지 자체의 변경을 포함하여, 상기 실행된 기능의 변경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방식으로든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어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여 영상표시장치의 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이와 같은 실시예를 도시한다.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서 예를 들어, 영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영상표시장치(20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도2)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201)에 출력한다.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들(730a, 730b)은 이미 상세히 기술한 것처럼 영상표시장치(200)의 키(710a, 710b)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200)는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부터 키(key)로 구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어키에 대한 키이미지를 결정하여 영상표시장치(200)의 키(710c)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행되는 영화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부터 재생버튼, 정지버튼, 되감기버튼, 빨리감기버튼과 같은 제어키를 검출하고 이러한 제어키들의 키이미지를 결정하여 영상표시장치(200)의 키(710c)에 디스플레이한다. 검출되는 키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음량조절버튼, 음소거버튼 등을 포함한 다양한 키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키이미지는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부터 검출된 제어키의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미지를 텍스트 형태로 바꾸어 새롭게 구현한 이미지를 키이미지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키를 검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타입에는 제한이 없으며,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키들이 검출대상이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음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에는 음소거버튼, 음량키조절버튼, 건너뛰기버튼, 검색버튼 등을 검출하여 영상표시장치의 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는 이상이 감지되거나(영상표시장치가 차량내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상태의 이상이 감지된 경우를 포함한다) 또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의 연결이 끊어지면, 영상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된 키이미지를 지우고 최초의 상태가 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의 키가 본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 차량 이동 속도의 갑작스런 변화, 차량의 급정지 등의 차량 정보를 통해 위급한 상황을 감지하고 영상표시장치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또는 이동 단말기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영상표시장치가 일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내 위급한 상황의 판단은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차량 속도 감지 등)를 기초로 제어부(212)(도2)가 판단하고,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의 연결 단속 여부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0)의 통신부(231)(도2)로부터 감지되어 제어부(212)에 전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상표시장치(200)의 키에 구현된 키이미지의 디스플레이는 종료된다. 그런 다음 영상표시장치(200)의 키는 본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아무런 표시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200)의 키입력부(202)(도2)의 키에 디스플레이된 키이미지들이 영상표시장치의 일반모드로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되면, LCD제어부(214)(도2) 및 제어부(212)는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가 전환된 일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이동 단말기에 대한 키이미지를 영상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한 후 제어부로부터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키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키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로부터 상기와 같은 명령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연결된 특정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오거나 메시지 또는 이메일이 수신되는 특별한 상황이 있을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특정 입력에 의하여 수행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특별한 상황에 대한 판단은 영상표시장치(200) 또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 메모리에 미리 설정된 것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설정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에 대한 키이미지를 터치패드 형태로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이와 같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하드키들(830a, 830b)에 대한 키이미지가 영상표시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01)의 소정의 영역에 메뉴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들(830a, 830b)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201)에 터치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의 하드키들(830a, 830b)이 오로지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201)에 터치패드 형태로만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드키들(830a, 830b)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201)에 터치패드로 구현되는 것과 함께 영상표시장치(200)의 키들(810a, 810b)에도 할당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두 가지 형태가 모두 구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된다.
이때, 연결된 이동 단말기가 복수이면 각 이동 단말기에 대한 키이미지를 하나의 집합으로 형성하여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201)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의 하드키들을 각 이동 단말기마다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어떤 방식으로든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특정키가 키 입력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1)에 표시된 키이미지도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키를 짧게 터치하는 경우 제1기능를 실행하고, 동일한 키를 길게 터치하는 경우 제2기능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기능이 영상표시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01)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키터치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키이미지에 인가되는 압력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인가되는 압력 시간의 측정은 도 2에 도시된 LCD제어부(214) 및 제어부(212)를 통해 수행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키가 키 입력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1)에 구현된 키이미지의 색이 변경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이미지 자체의 변경 등을 포함하여 실행되는 기능의 변경을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방법으로든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의 키에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하드키들의 할당,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할당, 실행결과로부터 검출되는 제어키들의 할당 외에도, 사용자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현재 실행화면에서 이전 실행화면으로 복귀하는 실행취소("back")버튼이 영상표시장치의 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된 이동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이동 단말기 검색("search")버튼이 영상표시장치의 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지는 영상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TTS(Text To Speech)버튼이 영상표시장치의 키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사용자가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와 연결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갖춘 키들이 영상표시장치의 키들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키들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의 하드키들의 상부 화면에 표시되는 것으로 구현되거나,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부내에 터치패드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키 및 터치패드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일 예시 동작 흐름도이다. 영상표시장치와 이동단말기가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면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단계(910)에서 영상표시장치는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이동 단말기들에 구비된 하드키에 대한 키정보를 수신한다. 키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하드키에 대한 디폴트이미지를 수신하거나, 이미지 수신을 요청하거나, 소정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키정보를 패치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상기 키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된 이동단말기의 하드키에 대한 키이미지, 키의 위치, 키의 기능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단계(920)로 진행되어서 상기 획득한 키정보를 기초로 영상표시장치의 복수의 키에 표시될 키이미지를 결정한다. 이때 복수의 키는, 각 상부표면에 예를 들어, 개별 소형 액정(LCD)화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키는 또한 전체 상부표면에 하나의 대형 액정(LCD)화면을 구비하고 키들의 수만큼 구획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상기 액정화면에는 표시되는 이미지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키이미지가 결정되면, 상기 키이미지를 영상표시장치의 키에 디스플레이한다(930).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키이미지가 터치 입력을 받으면 그 키이미지에 대응하는 객체가 선택되고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연결된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결정된 키이미지를 각 이동 단말기마다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아이콘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어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연결된 이동 단말기와의 연결이 끊어진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키가 일반 기능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결정된 키이미지를 터치패드의 형태로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영상표시장치(200)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그러한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비록 여기서는 영상표시장치를 차량내 위치하는 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가 차량내 위치하는 경우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Claims (19)

  1.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에 대한 하드키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하드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드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키이미지가 상부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입력부;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는 외부 몸체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된 키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키들의 각 상부에는 다양한 이미지들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에서 상기 화면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이 인가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키이미지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결정된 키이미지를 각 이동 단말기마다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가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키이미지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키이미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가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수행되는 기능의 변경에 따라 대응하는 키이미지를 변경하여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어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연결이 끊어진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화면에 원래(original)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제1이동 단말기에 대한 키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키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2이동 단말기에 대한 키이미지를 함께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하드키에 대한 하드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하드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드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키이미지를, 외부 몸체의 일측에 구비된 키들의 각 상부에 마련된 다양한 이미지들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키이미지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키이미지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결정된 키이미지를 각 이동 단말기마다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아이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아이콘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어키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제어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19. 삭제
KR1020137020604A 2011-03-25 2011-04-27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495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67746P 2011-03-25 2011-03-25
US61/467,746 2011-03-25
PCT/KR2011/003071 WO2012133981A1 (ko) 2011-03-25 2011-04-27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937A KR20130112937A (ko) 2013-10-14
KR101495190B1 true KR101495190B1 (ko) 2015-02-24

Family

ID=46877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604A KR101495190B1 (ko) 2011-03-25 2011-04-27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32105B2 (ko)
KR (1) KR101495190B1 (ko)
WO (1) WO2012133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186B1 (ko) * 2010-11-12 2017-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8725318B1 (en) * 2011-05-20 2014-05-13 Rockwell Colli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corporating virtual network computing into a cockpit display system and controlling a remote aircraft system with the VNC-incorporated CDS
US9569066B2 (en) * 2011-10-03 2017-02-14 Google Inc. Interface for navigating imagery
US9292156B2 (en) * 2012-01-09 2016-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abling a user to invoke a function via a shortcut key in a multi-window computing environment
US9060010B1 (en) * 2012-04-29 2015-06-16 Rockwell Collins, Inc. Incorporating virtual network computing into a cockpit display system for controlling a non-aircraft system
KR102056175B1 (ko) * 2013-01-28 2020-0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증강현실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단말장치
US20140279511A1 (en) * 2013-03-14 2014-09-18 Moneygram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Local Devices
KR20150074345A (ko) * 2013-12-24 2015-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로컬 기기에서의 리모트 앱 실행 방법
KR102266660B1 (ko) * 2015-01-20 2021-06-21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1835B1 (ko) * 2015-01-30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차량의 동작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1964850B1 (ko) * 2016-02-03 2019-04-03 제이와이커스텀(주)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과 헤드유닛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차량 hmi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337900A1 (en) * 2016-05-17 2017-11-23 Google Inc. Wireless user interface projection for vehicles
US11170757B2 (en) * 2016-09-30 2021-11-09 T-Mobile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all handling
US11216233B2 (en) * 2019-08-06 2022-01-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plicating content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on external electronic devices
CN110673782B (zh) 2019-08-29 2022-11-2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应用于投屏场景的控制方法以及相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369A (ja) 2008-11-27 2010-06-10 Fujitsu Ten Ltd 車載装置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942B2 (en) * 2000-12-28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xt-responsive in-vehicle display system
KR100474724B1 (ko) *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KR20030093879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정보 기기 및그 제어방법
KR20060046232A (ko) * 2004-05-28 2006-05-17 김동윤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입력 장치 및 그방법
KR100663124B1 (ko) * 2004-11-11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의 연동 방법 및장치
US20090095804A1 (en) * 2007-10-12 2009-04-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fid for connected accessory identification and method
KR100988377B1 (ko) 2008-05-06 2010-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메뉴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00127996A1 (en) * 2008-11-27 2010-05-27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US8118680B2 (en) * 2010-01-08 2012-02-21 Ami Entertainment Network, Inc. Multi-touchscreen module for amusement device
US20120198080A1 (en) * 2010-08-04 2012-08-02 Yang Ju-Ting Method of Performing Multiple Connec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8335502B2 (en) * 2010-09-21 2012-12-18 General Motors Llc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s
WO2012044713A1 (en) * 2010-10-01 2012-04-05 Imerj LLC Drag/flick gestures in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369A (ja) 2008-11-27 2010-06-10 Fujitsu Ten Ltd 車載装置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44876A1 (en) 2012-09-27
KR20130112937A (ko) 2013-10-14
WO2012133981A1 (ko) 2012-10-04
US9332105B2 (en)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1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25842B1 (ko) 차량에 장착되는 영상표시기기에서의 이미지 처리
US962526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866860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41513B1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0651B1 (ko)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8717198B2 (en) Communication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bile units in a vehicle
KR101808625B1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34177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20100124591A (ko)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9791285B2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82231A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542495B1 (ko)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0912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20066511A (ko) 이동 단말기의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125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5690B1 (ko) 통신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79091A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3775A (ko) 터치 스크린용 입력 장치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85472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729578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95873A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00057732A (ko) 텔래매틱스 단말기의 통화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36841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20002259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