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819B1 -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819B1
KR102044819B1 KR1020130047722A KR20130047722A KR102044819B1 KR 102044819 B1 KR102044819 B1 KR 102044819B1 KR 1020130047722 A KR1020130047722 A KR 1020130047722A KR 20130047722 A KR20130047722 A KR 20130047722A KR 102044819 B1 KR102044819 B1 KR 10204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wireless connection
vehicle
wireless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805A (ko
Inventor
홍종철
장원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819B1/ko
Priority to US14/263,296 priority patent/US20140323039A1/en
Publication of KR2014012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차량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연결을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 상기 무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상기 차량의 전장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차량의 전장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의 유지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A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ION OF A TERMINAL WITH A VEHICHLE AND AN APPRATUS USING IT}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과 단말기간 연결 모드 전환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보급이 늘면서 자동차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잡아가고 있으며, 차량 관리 및 유지와 관련하여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자동차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의 자동차의 중요부분들의 제어는 대부분 전자적인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장치들로부터 전자적인 제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동차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 전장 중,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지원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헤드 유닛과 같은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 내에서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소유의 블루투스 기능이 구비된 핸드폰을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핸즈프리 통화 모드를 지원하게 된다. 이를 위해 차량 멀티미디어 장치에는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부와 이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장치 구성을 통해 운전자는 핸즈프리 모드로 편하게 통화를 할 수 있다.
오디오/AVN 시스템에 적용된 블루투스 RF(Radio Frequency)사양과, 휴대폰에 적용된 블루투스 RF사양은 파워클래스(Power Class) 2로 동일한 사양으로 서로 RF 통신을 하고 있다. 파워 클래스 2의 RF 사양은 송신기(Transmitter)는 -6~+4dBm, 수신기(Receiver)는 -70dBm 이하를 요구한다. 대략적인 통신 거리로서 10m 내외에서 통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일반적으로 현재의 차량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는 상대와의 통신 거리와 TX출력을 제어할 수가 없고, 휴대폰업체에서는 제조공정시 블루투스 통신 거리를 최대로 셋업하고 있다.
그런데, 차량의 시동을 켜둔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어링한 휴대폰을 가지고 차량 외부로 가지고 나갈 경우, 차량과의 직선 거리로 5~30m 거리에서도 차량의 핸즈프리로 통화 연결이 되어 휴대폰 본체로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핸즈프리 통화의 연결 및 해제 시점이 차량 승하차 시점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핸즈프리로 자동 전환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는 있으나, 전파의 세기 또는 페어링 여부에 따라 전환여부가 결정되는 방식 등만으로는 전환 딜레이가 존재할수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를 정상적으로 할 수 없는 시간이 필수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자체 스피커를 이용한 핸즈프리 기능이 운전자 하차시에도 일정 시간 유지됨에 따른 통화 불가능 상황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통화 중인 상태에서 승차하는 반대의 경우에도 정확한 타이밍에 핸즈프리로 바로 전환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불어 대다수의 차량이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지원하고 있고 핸즈프리 키트만도 별도 판매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지 않고 출시되고 있어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으며 문제 해결의 필요성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폰과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면서 차량에 탑재되고 있으나, 사용자 편의성, 인식도 및 동작의 정확도 측면에서 미흡함이 많아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 장치의 상태 체크 결과에 따른 무선 연결 제어를 통해, 핸즈프리와 일반 통화 모드간의 전환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통신 모드 전환 기술과 비교하여, 정확성 및 딜레이 감소를 통한 차별화를 가져올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차량간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의 유지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간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시스템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무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의 유지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의 상태 체크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석 탑승 여부 등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핸즈프리와 일반 통화 모드간의 전환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 세기를 이용한 조합된 판단을 통해 배터리 소모 감소뿐만 아니라, 정확성 및 딜레이 감소를 가져오므로 기존의 전환 기술과의 차별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제조사와의 연계를 통한 스마트폰과의 통신 제어 통합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저장부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단말 장치(100) 및 차량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차량 시스템(200)은 무선 통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 시스템(200)의 동작을 제어하며, 무선 통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단말 장치(100)와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와 차량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탑승시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연결은 무선 인터넷 연결 또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연결된 단말 장치(100)와 차량 시스템(300)은 호 신호 및 음성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핸즈프리 모드와 같은 음성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차량 시스템(200)은 차량 전장에 포함된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무선 연결된 단말 장치(100)로 송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단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단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단말 장치(100)와 단말 장치(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단말 장치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개폐 상태, 단말 장치(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단말 장치의 방위, 단말 장치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단말 장치(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단말 장치(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단말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 장치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단말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차량 시스템(200)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며, 상기 무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센서부(140)를 통해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체크하고,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무선 연결의 유지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되는 단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센서부(140)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센싱된 단말 장치(100)의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하차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의 유지 또는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연결의 통신 신호 세기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신호 세기가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체크하도록 센서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통신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차량 시스템(200)을 감지한다(S100).
단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주변에 위치한 무선 연결 가능한 차량 시스템(200)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감지된 차량 시스템(200)과의 무선 연결을 위해, 무선 연결 방식을 결정한다(S110).
무선 연결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근거리 또는 무선 인터넷 연결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감지된 차량 시스템(200)과의 연결 전 통신을 통해 적절한 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감지된 차량 시스템(200)과 무선 연결을 수행한다(S120).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의 경우, 단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되거나 자동 설정된 페어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시스템(200)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블루투스로 연결된 경우, 호 신호 및 음성 신호는 RF통신을 이용하여 송수신 될 수 있다.
무선 연결된 후, 단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S130).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호 신호를 수신한 경우, 출력부(150)를 제어하여 전화 수신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차량 시스템(200)으로 착신 신호 똔느 음성신호를 전송한다(S140). 그리고,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음성 통화가 차량 시스템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의 센서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센싱한다(S150).
센서부(140)는 무선 연결이 진행되는 동안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된 데이터는 상태 정보로서 출력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140)에서 센싱되어 출력되는 단말 장치(100)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3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연결이 유지되고, 호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에만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센싱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호 연결을 유지하는 통화 중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무선 연결 유지판단의 중요도가 떨어지는 시점에서의 센싱 전력을 차단하여 배터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센서부(130)에서 센싱된 단말 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판단한다(S16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0)는, 단말 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통화 중인 운전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단말기 상태 정보 중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단말 장치(100)의 수직 움직임이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블루투스 연결을 종료시킬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움직임 발생시 가속도 및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는 그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 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100)의 양측 가장 자리 영역에 가속도 센서를 각각 배치하면, 단말 장치(100)가 이동될 때 각 가속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이 변화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각 가속도 센서에서 센싱되는 출력값을 이용하여 피치각(pitch angle) 및 롤각(role angle)을 연산한다. 이에 따라, 각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피치각 및 롤각의 변화 정도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140)는 가속도 센서 이외에 자이로 센서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에 따르면,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게 되므로,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2축 또는 3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방위각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로 구현된 경우, 단말 장치(100)의 각 가장 자리 부분에 배치된 지자기 센서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이동하면,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그로 인한 지자기 변화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요우 각(yaw angle)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출된 요우각의 변화에 따라 이동 방향 및 및 이동 속도 등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의 구성 및 센싱 방법은 개별적으로 단말 장치(100)에 적용될 수도 있고, 서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운전 중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 내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키므로 수평 방향으로의 차량의 움직임을 제외하면 수직 움직임은 임계치 이상 발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수직 움직임이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블루투스 연결을 종료시킴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프리 모드를 일반 통화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차량 시스템(2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운전자의 하차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시스템(200)에서 차량 전장 센싱을 통한 운전자의 하차가 감지되거나 무선 통신 세기가 감소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차량 시스템(200)에서 감지된 움직임 정보 또는 운전자 하차여부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하차 중임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운전자가 하차하지 않았거나 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무선 연결을 유지 제어할 수 있다(S165).
그리고, 제어부(180)는 운전자가 하차한 경우, 무선 연결을 종료 제어한다(S17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차량 상태 정보에 따라 운전자가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블루투스 연결을 종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통신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차량 시스템(200)과의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단말 장치(100)와 차량 시스템(200)간 거리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 신호 세기만으로는 차량 시스템과의 거리가 부정확하게 판단되어, 차량 내부인지 외부인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통신 신호 세기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100)가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를 들고 차에서 하차하는 중인지 여부까지는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단말 장치(100)의 상태 정보 및 통신 신호 세기를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무선 연결 모드 제어에 따른 핸즈프리 전환 동작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단말 장치(1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승하차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앞서 설명한 통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와 차량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소모 감소 및 동작의 간소화를 위해, 통신 신호 세기가 우선 판단될 수 있다.
통신 신호 세기에 따라, 제어부(180)는 단말 장치와 차량 시스템간의 거리가 증가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핸즈프리 모드를 종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핸즈프리 전환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의 흐름도는 이와 같은 제어부(180)의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제어부(180)는 먼저 통신 신호 세기를 판단하고(S200), 신호 세기의 감소 여부를 판단한다(S210).
신호 세기가 감소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센서부(140)에서 단말 장치(100)의 가속도를 센싱하도록 제어한다(S220).
그리고, 제어부(180)는 일정 가속도 이상에서, 센서부(140)에서 지자기 또는 자이로 센서가 센싱하도록 제어한다(S230).
이후, 제어부(180)는 센싱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승하차 여부를 판단한다(S240).
그리고, 제어부(180)는 승하차 판단 결과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무선 연결을 종료 제어한다(S250).
한편, 제어부(180)는 승하차 판단 결과 아직 승차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무선 신호 세기가 감소하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연결을 유지 제어한다(S255).
또한, 제어부(180)는 무선 연결이 종료된 이후라도, 운전자가 다시 승차한 것으로 판단되거나, 무선 연결 신호 세기가 증가한 경우에는 무선 연결을 재시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 중 다시 승차한 경우 끊어졌던 핸즈프리 연결을 자동적으로 재연결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장치(100)에 의해 출력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80)의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메시지(10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101)는 음성 출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메시지(101)로부터 제어부(180)의 운전자 하차 여부판단 결과 및 무선 연결의 유지/제어 결과를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8)

  1. 차량간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무선 연결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의 유지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연결의 통신 신호 세기를 판단하고, 상기 통신 신호 세기가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를 체크하도록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차 여부에 따라 상기 무선 연결의 유지 또는 해제를 제어하는 단말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상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47722A 2013-04-29 2013-04-29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44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22A KR102044819B1 (ko) 2013-04-29 2013-04-29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4/263,296 US20140323039A1 (en) 2013-04-29 2014-04-28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22A KR102044819B1 (ko) 2013-04-29 2013-04-29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805A KR20140128805A (ko) 2014-11-06
KR102044819B1 true KR102044819B1 (ko) 2019-11-15

Family

ID=5245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722A KR102044819B1 (ko) 2013-04-29 2013-04-29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59B1 (ko) 2016-12-27 2019-08-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내 멀티 원격 제어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042A (ko) * 2010-04-12 2011-10-19 (주) 지.티 텔레콤 마운팅형 송수신 블루투스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805A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6432B1 (en) Flight control method for an aircraft,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o implement the flight control method
US20140323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communication
ES2715989T3 (es) Terminal móvil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mismo
US10134269B2 (en) Control switching method and control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102049977B1 (ko) 이동 단말기
US2011005350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Particular User Interface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Vehicle
CN111641920B (zh) 汽车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751854B (zh) 汽车的停车指引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00124591A (ko)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0623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8668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7092533A (ja) 車載機およびユーザ接近離隔推定システム
CN111010537B (zh) 车辆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044819B1 (ko) 단말 장치의 차량간 통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89749A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CN109189068B (zh) 泊车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60075894A (ko)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300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구동 방법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62272B1 (ko) 오디오 출력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31511B1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9315B1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7789B1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2852A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8817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