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617B1 -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617B1
KR101274617B1 KR1020120045283A KR20120045283A KR101274617B1 KR 101274617 B1 KR101274617 B1 KR 101274617B1 KR 1020120045283 A KR1020120045283 A KR 1020120045283A KR 20120045283 A KR20120045283 A KR 20120045283A KR 101274617 B1 KR101274617 B1 KR 10127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ccess
security
serv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환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한 구역의 출입을 관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구역 통제부 및 이와 통신하는 단말 제어 서버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구역 통제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출입 기록을 관리함으로써 기 구성된 보안 서버의 출입 정보를 구역 통제부의 출입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여 보안 통제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며, 구역 통제부의 출입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관리하는 영상 서버의 영상 정보를 보안 서버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보안 통제자가 보안 통제 기록을 비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동선 및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를 더욱 명확히 판별하도록 하여 보안 통제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단말 제어 서버와 단말의 통신을 통해 단말의 기능 제한 여부 및 단말의 재기동 여부 등을 관리하고 단말의 로그 기록과 보안 서버의 보안 통제 기록을 비교함으로써 제한 구역 내 사용자 단말의 비정상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여 보안 통제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SECU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출입 통제 시스템과 연동하도록 제한 구역별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제한 구역별로 보안 통제 정보를 용이하게 식별하여 정확한 보안 통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안 통제 시스템은 특정 구역 또는 지역에 대한 보안을 위해 영상 카메라 장비 또는 출입문에 전자 개폐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지역에서 방문자의 움직임을 감시하거나 통제하는 전자적 통제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보안 통제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출입 관리 시스템을 들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출입 관리 시스템은 주택, 오피스텔 및 사무실 등의 출입문에 설치되어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인에게 사전 차단 효과 및 주요 시설물, 인원 및 문서 등을 외부 침입이나 파괴 행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의 기계식 출입 관리 시스템에 각종 전자 기술을 접목하여 편의성과 보안성을 대폭 향상시킨 디지털 출입 관리 시스템이 각광을 받고 있다.
디지털 출입 관리 시스템은 기존의 출입 관리 시스템과는 달리 열쇠 구멍이 없어 외부에서 임의로 열 수 없고,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미리 등록된 키 또는 카드를 이용해서만 개폐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기계식 열쇠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전자식 키를 이용하거나 음성 인식, 지문 인식, 화상 인식, 홍채 인식 및 손등의 정맥 인식 등의 첨단 디지털 기능을 이용하여 개폐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과 편의성이 뛰어나다.
또한, 최근의 보안 통제 시스템은 보안 통제를 위한 지역에 영상 카메라를 다수 설치하고, 디지털 출입 관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여 통제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보안 통제 시스템의 예시도로서, 종래의 보안 통제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카메라(6)와 통신하는 영상 서버(200) 및 다수의 제한 구역(20,21,22)의 출입문에 설치된 출입통제부(5)와 연동하는 보안 서버(300)를 관리소(10)에서 관리하여 통제 관리자가 모니터를 통해 영상 카메라(6)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감시하거나 제한 구역(20,21,22)의 출입문의 개폐에 따라 방문자(1)의 제한 구역 출입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안 통제 시스템은 단순히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영상 감시 시스템으로만 구성되어, 각 제한 구역별로 방문자의 보안 통제를 정확히 수행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각 제한 구역별로 상이한 방식(예를 들어, 영업구역에서는 USB 사용금지, 접견구역에서는 카메라 사용금지 등)으로 방문자의 단말의 기능 제한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통제할 수 없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관리소에서 방문자의 신상정보를 접수한 후 방문자에게 제한 구역의 출입증(2)을 발급하고 이를 출입통제부(5)에 접촉하여 제한 구역의 출입문을 개폐하도록 하며, 방문자의 단말에 기능 제한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제한 구역에서의 단말의 일부 기능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보안 통제 시스템이 발전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도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단말의 위치를 식별하여 방문자가 제한구역에 입장한 것을 확인하고 단말의 기능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위치 확인이 불가하거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 정확한 보안 통제를 수행할 수 없었다.
또한, 방문자가 고의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경우에는 제한 구역에서의 단말의 기능 제한을 수행할 수 없어 보안 통제를 완벽히 수행할 수 없었다.
더불어, 방문자가 의도적으로 제한 구역 내에 출입증(2)을 이용하지 않고 출입하는 경우에는 영상 감시 시스템의 감시 영상 정보와 출입 관리 시스템의 정보 등이 제한 구역의 출입 여부와 연동하지 않아 방문자의 통제 위반을 용이하게 적발하기가 곤란하였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046655호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제한 구역의 출입을 관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구역 통제부 및 이와 통신하는 단말 제어 서버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구역 통제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출입 기록을 관리함으로써 기 구성된 보안 서버의 출입 정보를 구역 통제부의 출입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구역 통제부의 출입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관리하는 영상 서버의 영상 정보를 보안 서버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보안 통제자가 보안 통제 기록을 비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동선 및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를 더욱 명확히 판별하도록 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 제어 서버와 단말의 통신을 통해 단말의 기능 제한 여부 및 단말의 재기동 여부 등을 관리하고 단말의 로그 기록과 보안 서버의 보안 통제 기록을 비교함으로써 제한 구역 내 사용자 단말의 비정상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한 구역의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 및 출입 기능을 관리하는 구역 통제부 및 이와 통신하는 단말 제어 서버가 일반적으로 기 설치되어 있는 출입 통제 구성 및 영상 감시 구성과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보안 통제 기능이 강화된 구성을 용이하게 적용하도록 한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안 통제 기준을 갖는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출입 관리 지역 내에서의 보안 통제 시스템으로서,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입력받는 출입 통제부, 상기 출입 통제부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기록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보안 서버, 제한 구역 내 출입구를 포함하는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영상 서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기능 제한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한하며 기능의 제한 내용 또는 제한 구역의 출입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로그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상기 출입 관리 지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 구역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안 통제 기준에 따라 상기 제한 구역에 설정된 기능 제한 정보를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한 구역에서의 통신 시점에 대한 타임 태그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기능 제한 모듈을 구비한 구역 통제부 및 상기 제한 구역의 보안 통제 기준을 관리하고, 상기 구역 통제부로부터 상기 보안 통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며 필요 시 상기 보안 서버 또는 상기 영상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보안 통제 정보의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출입 사용자 정보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제어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 서버는 상기 단말 제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보안 통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상기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의 등급별 출입에 대한 보안 통제의 준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구역 통제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NFC(Near Field Communcation),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재기동시에 자신의 이전 종료의 정상 종료 여부 또는 재기동 여부를 상기 로그 기록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로그 기록을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 또는 주기적이거나 기 설정 기준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제어 서버에 보조 보안 통제 정보로서 전송한다.
더불어,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로그 기록에 포함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안 통제 시스템에서, 상기 기능은 카메라 기능, 와이파이(Wi-Fi), 3G, 4G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능, 음성 녹음 기능, 저장 장치 기능, 소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안 통제 기준을 갖는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출입 관리 지역 내에서의 보안 통제 시스템의 보안 통제 방법으로서, 출입 통제부가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보안 서버가 상기 출입 통제부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기록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 영상 서버가 제한 구역 내 출입구를 포함하는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기능 제한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한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기능의 제한 내용 또는 제한 구역의 출입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로그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 지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 구역에 각각 설치된 구역 통제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안 통제 기준에 따라 상기 제한 구역에 설정된 기능 제한 정보를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한 구역에서의 통신 시점에 대한 타임 태그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 구역의 보안 통제 기준을 관리하는 단말 제어 서버가 상기 구역 통제부로부터 상기 보안 통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며 필요 시 상기 보안 서버 또는 상기 영상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보안 통제 정보의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출입 사용자 정보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은 제한 구역의 출입을 관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구역 통제부 및 이와 통신하는 단말 제어 서버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구역 통제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출입 기록을 관리함으로써 기 구성된 보안 서버의 출입 정보를 구역 통제부의 출입 시간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여 보안 통제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은 구역 통제부의 출입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관리하는 영상 서버의 영상 정보를 보안 서버로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보안 통제자가 보안 통제 기록을 비교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동선 및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를 더욱 명확히 판별하도록 하여 보안 통제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은 단말 제어 서버와 단말의 통신을 통해 단말의 기능 제한 여부 및 단말의 재기동 여부 등을 관리하고 단말의 로그 기록과 보안 서버의 보안 통제 기록을 비교함으로써 제한 구역 내 사용자 단말의 비정상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여 보안 통제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은 제한 구역의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 및 출입 기능을 관리하는 구역 통제부 및 이와 통신하는 단말 제어 서버가 일반적으로 기 설치되어 있는 출입 통제 구성 및 영상 감시 구성과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보안 통제 기능이 강화된 구성을 용이하게 적용하도록 하여 확장된 보안 통제 기능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보안 통제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의 제1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그 기록의 제1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의 제2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그 기록의 제2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의 제3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그 기록의 제3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감시 화면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방법의 데이터 흐름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의 예시도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입 관리 지역을 출입하거나 방문하는 사용자(1: 방문자)는 관리소(10)에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며 제한 구역의 출입을 위한 출입증(2)을 발급받고 제한 구역 내에서 사용자 단말(50)의 일부 기능 제한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의 설치 여부를 검사받거나 없는 경우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받는다.
상기 사용자 단말(50)은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 예로 태블릿 피씨(PC), 스마트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50)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일 예로서 NFC(Near Field Communcation),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은 인터넷을 통해 설치하거나 원격에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출입 관리 지역은 실외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존(Zone)인 것이 바람직하나, 실내,외를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거나 실내의 소정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일 수도 있다.
상기 관리소(10)에서는 사용자(1)의 출입 목적 또는 기 설정된 권한에 따라 상기 출입 관리 지역에서 제한 구역 내의 사용자 단말(50)의 기능을 일부 제한하는 보안 통제 기준을 설정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은 카메라의 사용, 무선 통신의 사용, 업무 프로그램의 사용 등의 기능을 각 제한 구역별 또는 사용자의 기 설정 권한에 따라 제한한다.
상기 출입 관리 지역에는 하나 이상의 감시용 카메라(6)와 통신하는 영상 서버(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영상 서버(200)는 상기 카메라(6)로부터 촬영한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 관리한다.
또한, 상기 출입 관리 지역에는 하나 이상의 제한 구역(20,21,22)이 설정되어 있고, 각 제한 구역별로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5)가 설치되어 제한 구역의 출입시에는 사용자(1)는 상기 출입증(2)을 출입 통제부(5)에 접촉하여 해당 출입문을 개폐한다.
이때, 상기 출입 통제부(5)는 관리소(10)에 설치된 보안 서버(300)로 사용자(1)의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정보를 전송하여 소정 사용자의 제한 구역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 구역(20,21,22)에는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구역 통제부(40)가 각각 설치되며, 사용자(1)가 제한 구역(20,21,22)의 출입시에,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은 구역 통제부(40)를 통해 해당 제한 구역에서의 기능 제한 정보를 수신(32)하여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50)의 기능을 제한한다.
상기 구역 통제부(40)는 관리소(10)에 설치된 단말 제어 서버(100)와 통신하여 사용자(1)의 제한 구역의 출입 정보를 상기 단말 제어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5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5)으로부터 기능 제한의 설정 완료 정보 등을 수신하여 상기 단말 제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5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5)과 통신을 통해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이 저장한 제한 구역의 출입 정보 또는 기능 제한 기록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안 서버(300)는 상기 단말 제어 서버(100)로부터 상기 기능 제한 기록 또는 사용자의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정보를 수신(31)하여 자신의 출입 정보와 비교한다.
또한, 상기 보안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출입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영상 서버(200)로부터 해당 시각의 영상 정보 또는 소정 범위의 영상 정보를 수신(30)하여 이를 자신의 출입 정보 및 상기 보안 통제 정보와 대응하여 관리소(10)의 통제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보안 통제 시스템은 상기 구역 통제부(4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50)로 제한 구역별 진입과 진출을 명시적으로 인식시켜 해당 구역에서의 기능을 제한하거나 해제하면서, 기 구성된 출입 통제 시스템과 영상 시스템과 용이하게 접목하여 동기화할 수 있는 보안 통제 정보를 관리하여, 완벽한 출입 통제와 보안 유지 및 사후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의 구성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안 통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50)의 기능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안 통제 기준을 갖는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출입 관리 지역 내에서의 보안 통제 시스템으로서,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입력받는 출입 통제부, 상기 출입 통제부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기록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보안 서버(300), 제한 구역 내 출입구를 포함하는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영상 서버(200), 사용자 단말(50)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기능 제한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50)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한하며 기능의 제한 내용 또는 제한 구역의 출입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로그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55), 상기 출입 관리 지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 구역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50)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안 통제 기준에 따라 상기 제한 구역에 설정된 기능 제한 정보를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한 구역에서의 통신 시점에 대한 타임 태그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기능 제한 모듈을 구비한 구역 통제부(40) 및 상기 제한 구역의 보안 통제 기준을 관리하고, 상기 구역 통제부(40)로부터 상기 보안 통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며 필요 시 상기 보안 서버(300) 또는 상기 영상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보안 통제 정보의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출입 사용자 정보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제어 서버(100)를 포함한다.
상기 타임 태그를 통해 각 서버 간의 기록 비교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타임 태그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구역 통제부의 식별 정보, 출입 시간 정보, 현재 단말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한 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서버(300)는 상기 단말 제어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은 보안 통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상기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의 등급별 출입에 대한 보안 통제의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 시간 정보는 상기 출입 관리 지역 또는 각 제한 구역의 진입 또는 진출의 시간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진입 또는 진출 시간 정보 중 하나만을 관리해도 무방하다.
상기 보안 통제 기준은 사용자 단말(50)의 기능 제한에 대한 설정의 기준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각 제한 구역별로 카메라의 사용 금지, 영상 저장의 금지, 무선 통신 기능의 사용 금지 등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50)에서 제어 가능한 다양한 기능의 제한 설정 기준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의 기능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50)의 카메라 기능, 와이파이(Wi-Fi), 3G, 4G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능, 음성 녹음 기능, 저장 장치 기능, 소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능 제한 정보는 상기 구역 통제부(40)가 상기 보안 통제 기준에 의해 각 제한 구역별로 해당 사용자 단말(50)에서 제한하여야 할 하나 이상의 기능을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며 이는 상기 구역 통제부(40)와 통신하는 단말 제어 서버(100)로부터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보안 통제 정보는 상기 구역 통제부(40)가 사용자의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며,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어떠한 기능이 제한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역 통제부(40)는 상기 단말 기능 제한 모듈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역 통제부(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NFC(Near Field Communcation) 모듈,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영상 서버(200)는 상기 출입 관리 지역 내의 하나 이상의 카메라(6)와 연결되어 상기 제한 구역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출입 시간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은 재기동시에 자신의 이전 종료의 정상 종료 여부 또는 재기동 여부를 상기 로그 기록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은 상기 로그 기록을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 또는 주기적이거나 기 설정 기준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제어 서버(100)에 보조 보안 통제 정보로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은 사용자 단말(50)의 위치 정보를 상기 로그 기록에 포함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말 제어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권한 레벨 또는 상기 제한 구역의 통제 레벨에 따라 상기 보안 통제 기준을 차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보안 통제 시스템은 제한 구역의 출입을 관리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구역 통제부(40) 및 이와 통신하는 단말 제어 서버(100)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5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5)과 구역 통제부(40)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출입 기록을 관리하여 기 구성된 보안 서버(300)의 출입 정보를 구역 통제부(40)의 출입 시간 정보와 비교하고 사용자 단말(50)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를 판별하므로 보안 통제의 정확성을 증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의 제1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그 기록의 제1 예시도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관리소(10)로부터 출입증을 교부받고, 사용자 단말(50)에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을 설치한 후 접견 구역(22)으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접견 구역에 도착하면, 출입증을 출입 통제부(5)에 접촉하여 출입 통제 여부를 확인하고, 접견 구역(22)에 설치된 구역 통제부(40)에 사용자 단말(5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을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켜 상기 구역 통제부(40)로부터 기능 제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은 상기 기능 제한 정보에 의해 사용자 단말(50)의 일부 기능을 제한(예를 들어, 카메라 사용 금지)한다.
이후, 접견 구역(22)을 벗어나 영업 구역(20)으로 이동하여 상기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출입 통제부(5)를 통해 출입 기록을 보안 서버(300)로 전송하며, 구역 통제부(40)를 통해 사용자 단말(50)의 일부 기능을 제한(예를 들어, 카메라, Wi-Fi, 3G 사용 금지)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5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은 주기적 또는 필요에 따라 단말 제어 서버(100)로 로그 기록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로그 기록은 사용자 단말(50)의 기능 제한 여부, 구역 통제부(40)와 통신한 출입 정보,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의 재기동 여부 및 상기의 시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한 구역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6)는 사용자의 행위를 촬영하여 영상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추후에 단말 제어 서버(100)의 기록과 보안 서버(300)의 출입 기록에 대응하여 비교할 수 있는 영상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퇴장을 위해 영업 구역(20)을 벗어나 관리소(10)로 이동하며, 상기 관리소(10)에서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의 제한 구역 출입 여부, 각 제한 구역에서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 및 각 출입에 관련된 영상 정보를 보안 서버(300) 또는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검토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출입 통제부(5)의 출입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구역 통제부(40)의 출입 시간 정보 및 기능 제한 작동 여부를 비교하고, 이와 더불어 대응하는 영상 서버(200)의 영상 정보를 비교하도록 구성하면,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동선 및 사용자 단말(50)의 기능 제한 준수 여부를 더욱 명확히 판별할 수 있어 보안 통제 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예에서 보안 서버의 기록과 사용자 단말 또는 단말 제어 서버의 기록을 상호 비교한 것으로, 보안 서버의 기록과 단말 제어 서버의 기록이 동일하여 사용자가 보안 통제 규칙을 원칙적으로 잘 수행하였으며 각 제한 구역에서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도 원만히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안 서버와 단말 또는 단말 제어 서버에의 기록에는 GPS와 같은 실외 측위 기술이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실내 측위 기술 등 다양한 실내,외 무선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파악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나 동선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의 제2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그 기록의 제2 예시도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4에 도시한 동선과 동일한 동선을 따라 이동하며 사용자 단말(50)의 기능 제한을 적용받는다.
그러나, 도 6에서의 사용자는 접견 구역(22) 내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고의로 종료(51)한 후 기능 제한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50)의 기능을 사용하고, 이후 접견 구역(22) 밖으로 이동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재기동(52)한다.
또한, 사용자는 영업 구역(20)으로 이동하여 구역 통제부(40)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을 수행(3)하지만, 재차 영업 구역(20) 내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종료(53)하고 기능 제한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사용한 후, 영업 구역 (20)밖으로 이동하여 전용 애플리케이션(54)을 재기동한다.
이후, 사용자가 퇴장을 위해 관리소(10)로 이동하여 보안 통제의 준수 여부를 확인(4)받는 경우에 도 7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서버의 출입 기록에는 접견 구역, 영업 구역의 입장,퇴장 기록이 되어 있는 반면, 단말 또는 단말 제어 서버의 기록에는 퇴장 기록이 없어 불일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은 위의 구성과 같이 제한 구역 진입 시에 기존의 출입 통제 시스템과 연동하는 구역 통제부(40)를 구성하고, 단말 식별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등으로 사용자를 식별한 후, 동시에 해당 제한 구역의 진입을 위한 단말 애플리케이션 기능 차단이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서버의 기록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보안 통제 준수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즉, 단말 제어 서버(100)가 종래에는 별도의 구성이었던 보안 서버(300) 및 영상 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출입통제 시스템과의 연동을 출입 시간 정보로 대응하여 관리하여 보안 통제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다양한 등급의 제한 구역을 지정하여 출입을 통제하거나 출입 시 보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안 통제 정보는 보안 서버(300)에 정확한 대상자 매칭 영상, 대상자 출입 상황, 대상자 단말의 상태 등으로 실시간 확보되어 언제든 해당 사용자에 대한 트래킹 정보를 영상, 출입 상황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 상황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보안 통제 정보를 해당 사용자가 제한 구역을 벗어나거나 혹은 주기적으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55)을 통해 보안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구성하면 사용자 단말(50)의 로그 기록과 보안 서버(300)의 기록을 상호 검증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한 보안 확인 및 사후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의 제3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그 기록의 제3 예시도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4에 도시한 동선과 동일한 동선을 따라 이동하며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을 적용받는다.
그러나, 도 8에서의 사용자는 접견 구역(22) 내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고의로 종료(51)한 후 기능 제한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사용하고 접견 구역 (22)내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기동(52)한 후, 접견 구역(22) 밖으로 이동한다.
또한, 사용자는 영업 구역(20)으로 이동하여 구역 통제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을 수행하지만, 재차 영업 구역(20) 내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종료(53)하고 기능 제한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기능을 사용한 후 영업 구역(20) 내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기동(54)한 후, 영업 구역(20) 밖으로 이동한다.
이후, 사용자가 퇴장을 위해 관리소(10)로 이동하여 보안 통제의 준수 여부를 확인받는 경우에 도 9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보안 서버의 출입 기록에는 정상적으로 출입의 시각 및 구역이 기록되어 있는 반면, 단말 또는 단말 제어 서버의 기록에는 구역 내에서 단말 재기동의 기록이 남아 있어 불일치되며 사용자의 불법적 단말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은 단말 제어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50)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50)의 기능 제한 여부 및 사용자 단말(50)의 재기동 여부 등을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50)의 로그 기록과 보안 서버(300)의 보안 통제 기록을 비교하여 제한 구역 내 사용자 단말(50)의 비정상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보안 통제의 편의성을 크게 높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감시 화면의 예시도로서, 보안 서버(300)가 단말 제어 서버(100), 영상 서버(200)를 통해 취합한 기록을 보안 통제자의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안 통제자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2) 및 동선(4)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출입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제한 구역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정지 영상 정보(5,6)를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사용자 동선(4)은 출입 통제부(5) 및 구역 통제부(40)의 출입 시간 정보를 대응시켜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으나, 실내,외 무선 측위 구성을 적용하여 식별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서버는 각 서버에서 취합한 기록을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보안 통제 준수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여 정상 퇴장 여부를 화면에 표시(3)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시스템은 제한 구역의 사용자 단말(50)의 기능 제한 및 출입 기능을 관리하는 구역 통제부(40) 및 이와 통신하는 단말 제어 서버(100)가 일반적으로 기 설치되어 있는 출입 통제 구성 및 영상 감시 구성과 통신하여 영상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등의 보안 통제 기능이 강화된 구성을 용이하게 적용하므로 확장된 보안 통제 기능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안 통제 방법의 데이터 흐름도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보안 통제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안 통제 기준을 갖는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출입 관리 지역 내에서의 보안 통제 시스템의 보안 통제 방법으로서, 출입 통제부가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보안 서버(300)가 상기 출입 통제부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기록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S60,S65,S80), 영상 서버(200)가 제한 구역 내 출입구를 포함하는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S15), 사용자 단말(5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기능 제한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50)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한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기능의 제한 내용 또는 제한 구역의 출입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로그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S10,S25,S40,S50), 상기 출입 관리 지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 구역에 각각 설치된 구역 통제부(40)가 상기 사용자 단말(50)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안 통제 기준에 따라 상기 제한 구역에 설정된 기능 제한 정보를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한 구역에서의 통신 시점에 대한 타임 태그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30,S45) 및 상기 제한 구역의 보안 통제 기준을 관리하는 단말 제어 서버(100)가 상기 구역 통제부(40)로부터 상기 보안 통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며 필요 시 상기 보안 서버(300) 또는 상기 영상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보안 통제 정보의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출입 사용자 정보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5,S70를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2: 출입 카드 5: 출입 통제부
6: 카메라 40: 구역 통제부
50: 사용자 단말 55: 전용 애플리케이션
100: 단말 제어 서버 200: 영상 서버
300: 보안 서버

Claims (8)

  1.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안 통제 기준을 갖는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출입 관리 지역 내에서의 보안 통제 시스템에 있어서,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입력받는 출입 통제부;
    상기 출입 통제부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기록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보안 서버;
    제한 구역 내 출입구를 포함하는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영상 서버;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의 기능 제한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한하며 기능의 제한 내용 또는 제한 구역의 출입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로그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상기 출입 관리 지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 구역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안 통제 기준에 따라 상기 제한 구역에 설정된 기능 제한 정보를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한 구역에서의 통신 시점에 대한 타임 태그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기능 제한 모듈을 구비한 구역 통제부;및
    상기 제한 구역의 보안 통제 기준을 관리하고, 상기 구역 통제부로부터 상기 보안 통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며 필요 시 상기 보안 서버 또는 상기 영상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보안 통제 정보의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출입 사용자 정보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서버는
    상기 단말 제어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보안 통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상기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기 설정된 사용자의 등급별 출입에 대한 보안 통제의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 통제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서, NFC(Near Field Communcation),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재기동시에 자신의 이전 종료의 정상 종료 여부 또는 재기동 여부를 상기 로그 기록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로그 기록을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 또는 주기적이거나 기 설정 기준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상기 단말 제어 서버에 보조 보안 통제 정보로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로그 기록에 포함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은
    카메라 기능, 와이파이(Wi-Fi), 3G, 4G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능, 음성 녹음 기능, 저장 장치 기능, 소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8. 사용자 단말의 기능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보안 통제 기준을 갖는 제한 구역을 포함하는 출입 관리 지역 내에서의 보안 통제 시스템의 보안 통제 방법에 있어서,
    a) 출입 통제부가 제한 구역 내 사용자의 출입 기록을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보안 서버가 상기 출입 통제부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출입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 기록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단계;
    c) 영상 서버가 제한 구역 내 출입구를 포함하는 구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단계;
    d)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기능 제한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한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기능의 제한 내용 또는 제한 구역의 출입 정보를 시간 정보와 함께 로그 기록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e) 상기 출입 관리 지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 구역에 각각 설치된 구역 통제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제한 구역의 출입시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안 통제 기준에 따라 상기 제한 구역에 설정된 기능 제한 정보를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한 구역에서의 통신 시점에 대한 타임 태그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및
    f) 상기 제한 구역의 보안 통제 기준을 관리하는 단말 제어 서버가 상기 구역 통제부로부터 상기 보안 통제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며 필요 시 상기 보안 서버 또는 상기 영상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보안 통제 정보의 타임 태그를 기준으로 출입 사용자 정보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통제 시스템.
KR1020120045283A 2012-04-30 2012-04-30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27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283A KR101274617B1 (ko) 2012-04-30 2012-04-30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283A KR101274617B1 (ko) 2012-04-30 2012-04-30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617B1 true KR101274617B1 (ko) 2013-06-13

Family

ID=4886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283A KR101274617B1 (ko) 2012-04-30 2012-04-30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61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867B1 (ko) * 2014-06-24 2015-09-22 (주)에드모텍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문 관리 시스템
KR101573887B1 (ko) * 2014-12-24 2015-12-03 ㈜농협정보시스템 스마트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보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79178B1 (ko) * 2015-07-30 2015-12-22 (주) 신영이엔티 지역 영상 및 온도 감지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통제 시스템
KR20160065690A (ko) * 2014-12-01 2016-06-09 대동산전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보안관제시스템
WO2017048102A1 (ko) * 2015-09-18 2017-03-23 (주)중외정보기술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0552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80927B1 (ko) * 2015-03-27 2017-09-26 주식회사 신성테크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KR101901373B1 (ko) * 2017-09-13 2018-12-05 주식회사 예몬 스마트기기 보안 시스템
CN112055849A (zh) * 2018-04-19 2020-12-08 村田机械株式会社 排他控制系统以及排他控制方法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473A (ko) * 2005-01-24 2006-07-27 햄펙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01099B1 (ko) 2006-06-30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기반 이동통신단말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46655B1 (ko) 2011-01-17 2011-07-05 주식회사 다누시스 범죄 예방을 위한 출입 통제 장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473A (ko) * 2005-01-24 2006-07-27 햄펙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01099B1 (ko) 2006-06-30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기반 이동통신단말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46655B1 (ko) 2011-01-17 2011-07-05 주식회사 다누시스 범죄 예방을 위한 출입 통제 장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출입 통제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867B1 (ko) * 2014-06-24 2015-09-22 (주)에드모텍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문 관리 시스템
KR20160065690A (ko) * 2014-12-01 2016-06-09 대동산전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보안관제시스템
KR101697546B1 (ko) * 2014-12-01 2017-02-17 대동산전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보안관제시스템
KR101573887B1 (ko) * 2014-12-24 2015-12-03 ㈜농협정보시스템 스마트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보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80927B1 (ko) * 2015-03-27 2017-09-26 주식회사 신성테크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KR101579178B1 (ko) * 2015-07-30 2015-12-22 (주) 신영이엔티 지역 영상 및 온도 감지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통제 시스템
WO2017048102A1 (ko) * 2015-09-18 2017-03-23 (주)중외정보기술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373468B2 (en) 2015-11-23 2022-06-28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KR102326178B1 (ko) * 2015-11-23 2021-11-16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88399A (ko) * 2015-11-23 2022-06-27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0552A (ko) * 2015-11-23 2017-06-01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536925B1 (ko) * 2015-11-23 2023-05-26 주식회사 슈프리마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804086B2 (en) 2015-11-23 2023-10-31 Supre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door access using beacon signal
KR101901373B1 (ko) * 2017-09-13 2018-12-05 주식회사 예몬 스마트기기 보안 시스템
CN112055849A (zh) * 2018-04-19 2020-12-08 村田机械株式会社 排他控制系统以及排他控制方法
CN112055849B (zh) * 2018-04-19 2024-01-16 村田机械株式会社 排他控制系统以及排他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617B1 (ko)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538002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KR102237086B1 (ko) 안면인식 기능에 기초하여 5g 이동통신망의 이용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를 통해 영상감시가 가능한 로비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52599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0220A (ko) 고객관리를 위한 비콘신호 이용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80739A (ko) Qr코드를 이용한 외부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544729B (zh) 闸机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855494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47834B1 (ko) 동시 출입 기록이 가능한 공동현관 출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83794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4375A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73453A (zh) 具有无线电和人脸识别机制的入口监控系统
KR101573887B1 (ko) 스마트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보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15538A (ko)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KR101547489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US11823674B2 (en) System and method of deploying a virtual assistant at an electronic media device for ob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ublic-safety incident
KR20170111804A (ko) 출입보안 시스템
KR20180048133A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US2012023614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entral station video alarm verification using an on site user video system
EP3522123A1 (en) Room camera access control by keycard and tracking guest accessories
KR20170136902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50137662A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4545B1 (ko) 씨씨티비 및 IoT를 이용한 입출입 관리 시스템 구동 방법
KR20160057751A (ko)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