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927B1 -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927B1
KR101780927B1 KR1020150043439A KR20150043439A KR101780927B1 KR 101780927 B1 KR101780927 B1 KR 101780927B1 KR 1020150043439 A KR1020150043439 A KR 1020150043439A KR 20150043439 A KR20150043439 A KR 20150043439A KR 101780927 B1 KR101780927 B1 KR 101780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security
management server
security management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538A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테크
Priority to KR102015004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9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3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 G06K7/103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being moveabl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of the portable or hand-handheld type, e.g. incorporated in ubiquitous hand-held devices such as PDA or mobile phone, or in the form of a portable dedicated RFID read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이 필요한 지역의 각 구역별로 보안등급을 사전 설정 후 이렇게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 해당 구역에 진입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여 각 구역의 보안등급에 맞는 적합한 수준의 보안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은 위치 알림 기능이 있으며 사용 기능의 제한을 위한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며 보안이 필요한 구역들의 각 구역별 보안등급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대해 각 구역별 사전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무선인터넷 접속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추적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는 고정 AP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Entrance and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amart terminal and method of entrance and security management therefor}
본 발명은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보안이 필요한 지역의 각 구역별로 보안등급을 사전 설정 후 이렇게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 해당 구역에 진입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여 각 구역의 보안등급에 맞는 적합한 수준의 보안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기업 간의 기술 경쟁이 격화되면서 기술 보호 및 보안 등을 위해 특정 장소에 대한 출입 인증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출입 인증 시스템은 기업 건물이나 아파트 등 대형 건물의 현관은 물론 주차장에 출입하는 차량의 출입 통제 시스템에도 적용되는 등 그 이용이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다수의 사람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 등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출입 인증 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효율적인 출입 인증 시스템의 구축에 크게 기여하는 측면이 있는 반면에 그 카메라 및 화면 캡처 그리고 무선인터넷 기능 등으로 인해 기술 유출 및 보안 유지를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86635호(2012.09.27.공고),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205458호(2012.11.28.공고),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보안이 필요한 지역의 각 구역별로 보안등급을 사전 설정 후 이렇게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 해당 구역에 진입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여 각 구역의 보안등급에 맞는 적합한 수준의 보안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은, 위치 알림 기능이 있으며 사용 기능의 제한을 위한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단말기와,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며 보안이 필요한 구역들의 각 구역별 보안등급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대해 각 구역별 사전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무선인터넷 접속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추적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는 고정 A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AP는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 설치되는 제1 고정 AP 및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별로 설치되는 제2 고정 A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제1 고정 AP를 통과하여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다시 상기 제1 고정 AP를 통과하여 상기 보안지역을 벗어나면 보안 적용의 해제를 위한 입력버튼이 표시되어 해당 입력버튼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보안 적용 해제 및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삭제가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에 고유 식별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로그인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 녹음, 화면캡처, USB 접속, 테더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는 동시에 보안 적용에 따른 기능 제한 상태의 표시를 위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등급에 따른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기능 제한에 따라 해당 기능 제한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 설치되며 NFC 리더기를 포함하는 게이트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장치의 NFC 리더기를 통해 판독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NFC 정보가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전송되어 등록되고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등록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자동 설치 및 실행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은,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 후 해당 스마트 단말기에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와,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출입 위치를 통해 해당의 상기 보안지역에서 벗어날 시 상기 보안등급에 따른 사용 기능 제한의 해제 및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삭제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상기 출입 위치에 설치되는 게이트 장치의 NFC 리더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NFC 정보가 판독되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등급이 설치된 구역별로 설치되는 고정 AP를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 후 해당 스마트 단말기에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에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가 입력되어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대한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에는,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보안 등급에 따른 사용 기능 제한의 메시지를 해당의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안이 필요한 지역의 각 구역별로 보안등급을 사전 설정 후 이렇게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 해당 구역에 진입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여 각 구역의 보안등급에 맞는 적합한 수준의 보안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에서 게이트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에서 보안 적용의 해제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표시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로그인을 위한 고유 식별정보 입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100: 이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이라 약칭함)은 사전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10)에 대한 사용 기능의 제한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보안 구역들이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보안 구역들이 건물 단위로 구분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안 구역들은 하나의 건물을 기준으로 층 단위로 구분되거나 건물의 층 내부에서도 소정 영역들로 구분되는 등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안 구역들이 모여 하나의 보안지역을 형성하며, 이러한 보안지역에 대해 그 출입구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110)의 진입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는 등록 절차를 거친 후 그 사용 기능의 제한을 위한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110)는 위치 알림 기능을 가져,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안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무선인터넷 접속 기능을 통해 위치를 알리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보안지역 내에는 상기 보안 구역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 AP(130,140)가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 AP(130,140)는 상기 보안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제1 고정 AP(130) 및 상기 보안 구역별로 설치되는 제2 고정 AP(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상기 보안지역의 출입구에서 등록 후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보안지역 내로 진입하고, 보안 관리 서버가 제2 고정 AP(14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면서 스마트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한 보안 구역의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 기능을 제한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빌딩A에 진입한 스마트 단말기(110)에 대해서는 카메라 OFF의 사용 기능 제한을 하고, 빌딩C에 진입한 스마트 단말기(110)에 대해서는 마크로 SD 차단, 무음모드, 카메라 OFF의 사용 기능 제한을 하며, 빌당B에 진입한 스마트 단말기(110)에 대해서는 통화차단 및 진동모드의 사용 기능 제한을 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110)가 상기 보안지역의 출입구를 통해 보안지역을 벗어나게 되면, 보안지역을 벗어나는 사실에 대한 출입보고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사용 기능을 제한하고 있던 보안 기능이 해제되는 동시에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110)가 보안지역에 진입 시,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에 대한 사용 기능이 사전 설정된 보안 유지를 위한 보안등급에 따라 자동 제한되면서, 해당 보안 구역의 보안 상태가 스마트 단말기(110)를 통한 보안 유출의 원천적 차단과 함께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 및 이어지는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단말기(110)는 태블릿 PC나, PDA 등 스마트 패드 형태의 모든 전자장치가 포함되는 개념이다.
다음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100)의 스마트 단말기(110), 보안 관리 서버(120), 제1 고정 AP(130), 제2 고정 AP(140), 게이트 장치(150)의 세부 기능들에 대해 설명한다.
스마트 단말기(110)는 위치 알림 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110)는 그 사용 기능의 제한을 위한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무선인터넷 접속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가 보안 관리 서버(120)를 통해 추적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110)는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진입 시 해당 출입구에서 소정 절차의 등록을 마친 후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보안 관리 서버(120)에 접속 후 소정의 등록 과정을 거친 후 보안 관리 서버(120)로부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후 설치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보안 관리 서버(120)는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스마트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며, 이러한 보안 관리 서버(120)는 보안이 필요한 구역들의 각 구역별 보안등급이 사전 설정된다. 이에 따라, 보안 관리 서버(120)는 보안이 필요한 구역에 진입하는 스마트 단말기(110)에 대해 해당 구역의 사전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 기능을 제한한다.
제1 고정 AP(130)는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 다시 말해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구에 설치된다.
제2 고정 AP(140)는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1 고정 AP(130) 및 제2 고정 AP(140)는 각각 스마트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보안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구에는 NFC 리더기(151)를 포함하는 게이트 장치(1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에서 게이트 장치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바와 같이, 게이트 장치(150)는 NFC 리더기(151)를 포함하는 상태로 보안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된다.
그리고 게이트 장치(150)의 NFC 리더기(151)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NFC 정보를 판독 후 이렇게 판독되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NFC 정보를 보안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며, 보안 관리 서버(120)는 전송되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NFC 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보안 관리 서버(120)는 이렇게 등록되는 스마트 단말기(110)에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자동 설치 및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제1 고정 AP(130)를 통과하여 보안지역에 진입한 다음, 다시 제1 고정 AP(130)를 통과하여 상기 보안지역을 벗어나면, 보안 적용의 해제를 위한 입력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110)는 이렇게 표시되는 입력버튼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보안 적용의 해제 및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의 (a) 및 (b)는 이를 예시한 것으로서, (a)는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보안 적용의 해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111)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b)는 (a)의 입력버튼(111)을 통해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보안 적용 해제 및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정보가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며, 이렇게 표시되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로그인 화면에 고유 식별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스마트 단말기(110)의 보안 관리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이를 예시한 것으로서, 스마트 단말기(110)의 화면에 고유 식별정보의 입력을 위한 영역(112)이 표시되고, 이러한 고유 식별정보의 입력을 위한 영역(112)에 고유 식별정보가 입력된 후 아래의 로그인 버튼이 클릭되면,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는 보안 관리 서버(120)에 접속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보안 관리 서버(120)는 사전 설정된 보안 등급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10)의 카메라, 녹음, 화면캡처, USB 접속, 테더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보안 관리 서버(120)는 보안 적용에 따른 기능 제한 상태의 표시를 위해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의 표시화면을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보안 관리 서버(120)는 보안등급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110)의 기능 제한에 따라 해당 기능 제한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 단말기(110)가 현재 어떤 기능이 보안 유지를 위해 사용 제한되고 있는 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안상 의심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을 자제하게 된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100)인 것을 예로 한 것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의 해당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100)의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서 스마트 단말기(110)의 등록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계(S110)에는 상기 출입 위치에 설치되는 게이트 장치(150)의 NFC 리더기(151)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110)의 NFC 정보가 판독되어 통신망을 통해 보안 관리 서버(120)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스마트 단말기(110)의 등록 후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에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단계(S130)에서,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110)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에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의 고유 식별정보가 입력되어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의 보안 관리 서버(120)에 대한 로그인이 이루어진다.
단계(S140)에서,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110)가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보안 관리 서버(120)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 진다.
여기서, 단계(S140)은 상기 보안등급이 설치된 구역별로 설치되는 고정 AP(130,140)를 통해 보안 관리 서버(120)에서 스마트 단말기(1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보안 관리 서버(120)가 스마트 단말기(110)의 현재 위치의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110)의 사용 기능을 제한한다.
단계(S160)에서, 보안 관리 서버(120)가 보안 등급에 따른 사용 기능 제한의 메시지를 해당의 스마트 단말기(11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해당 메시지가 스마트 단말기(110)의 화면을 통해 표시된다.
단계(S170)에서, 스마트 단말기(110)가 상기 출입 위치를 통해 해당의 상기 보안지역에서 벗어날 시 상기 보안등급에 따른 사용 기능 제한의 해제 및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삭제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은, 보안이 필요한 지역의 각 구역별로 보안등급을 사전 설정 후 이렇게 설정된 보안등급을 기준으로 해당 구역에 진입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여 각 구역의 보안등급에 맞는 적합한 수준의 보안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110 : 스마트 단말기
120 : 보안 관리 서버
130 : 제1 고정 AP
140 : 제2 고정 AP
150 : 게이트 장치
151 : NFC 리더기

Claims (13)

  1. 위치 알림 기능이 있으며 사용 기능의 제한을 위한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추적하며, 보안이 필요한 구역들의 각 구역별 보안등급이 사전 설정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각 구역별 사전 설정된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보안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무선인터넷 접속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추적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해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별로 하나 또는 둘 이상 설치되는 고정 AP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AP는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 설치되는 제1 고정 AP 및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별로 설치되는 제2 고정 AP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에 고유 식별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로그인되고, 상기 제1 고정 AP를 통과하여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다시 상기 제1 고정 AP를 통과하여 상기 보안지역을 벗어나면 보안 적용의 해제를 위한 입력버튼이 표시되어 해당 입력버튼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보안 적용 해제 및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삭제가 이루어지며,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카메라, 녹음, 화면캡처, USB 접속, 테더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는 동시에 보안 적용에 따른 기능 제한 상태의 표시를 위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화면을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보안등급에 따른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기능 제한에 따라 해당 기능 제한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 설치되며 NFC 리더기를 포함하는 게이트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장치의 NFC 리더기를 통해 판독되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NFC 정보가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전송되어 등록되고 상기 보안 관리 서버는 등록된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여 자동 설치 및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 후 해당 스마트 단말기에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출입 위치를 통해 해당의 상기 보안지역에서 벗어날 시 상기 보안등급에 따른 사용 기능 제한의 해제 및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삭제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안등급이 설정된 구역들이 모여 형성되는 하나의 보안지역을 기준으로 상기 보안지역에 대한 출입 위치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이 이루어지는 단계는, 상기 출입 위치에 설치되는 게이트 장치의 NFC 리더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NFC 정보가 판독되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등급이 설치된 구역별로 설치되는 고정 AP를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등록 후 해당 스마트 단말기에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에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가 입력되어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 대한 로그인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기가 상기 보안지역에 진입 후 보안 관리 서버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현재 위치의 상기 보안등급에 따라 해당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 기능을 제한하는 단계에는,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보안 등급에 따른 사용 기능 제한의 메시지를 해당의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43439A 2015-03-27 2015-03-27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KR10178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439A KR101780927B1 (ko) 2015-03-27 2015-03-27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439A KR101780927B1 (ko) 2015-03-27 2015-03-27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38A KR20160115538A (ko) 2016-10-06
KR101780927B1 true KR101780927B1 (ko) 2017-09-26

Family

ID=5716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439A KR101780927B1 (ko) 2015-03-27 2015-03-27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261B1 (ko) * 2019-11-07 2020-05-13 주식회사 만조랩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349B1 (ko) * 2017-06-21 2018-10-26 (주)오토이노텍 출입구 종합 통제시스템
KR102044868B1 (ko) * 2018-06-29 2019-11-14 김창영 로라 무선 통신 기반의 선박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639502B1 (ko) * 2018-07-02 2024-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정책을 제공하는 방법, 저장매체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2214235B1 (ko) 2020-08-11 2021-02-08 김종성 단실 재봉 이지오픈 지대
KR102381146B1 (ko) * 2021-10-14 2022-04-01 전종식 군부대 내 단말 보안 통제 장치 및 방법
KR102507599B1 (ko) * 2022-05-26 2023-03-09 주식회사 추리븐 회사 내 출입통제 및 정보 보안을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396B1 (ko) * 2004-08-18 2006-07-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구역 기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특정구역별 개인화 정보 제공 및 이동 통신 단말기 기능 제어방법
KR101274617B1 (ko) * 2012-04-30 2013-06-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58B1 (ko) 2010-11-18 2012-11-28 주식회사 씨큐포인트 위치정보 기반 행동 감시 시스템
KR101186635B1 (ko) 2011-10-13 2012-09-27 주식회사 선문데이타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396B1 (ko) * 2004-08-18 2006-07-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구역 기초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특정구역별 개인화 정보 제공 및 이동 통신 단말기 기능 제어방법
KR101274617B1 (ko) * 2012-04-30 2013-06-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261B1 (ko) * 2019-11-07 2020-05-13 주식회사 만조랩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538A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27B1 (ko)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RU2706620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контролируемого доступа посетителей в здание
US10156167B2 (en) Mobile device detection and tracking
US8752133B2 (en) Secu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communication terminals
CN106056707A (zh) 一种小区网络门禁方案
KR20170080739A (ko) Qr코드를 이용한 외부 출입자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5303670A (zh) 门禁管理方法、装置及系统
CA3046803C (en) Livestock bio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use
US8346241B2 (en) Controlled mobile communication in a socially sensitive environment
KR101274617B1 (ko)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63558B1 (ko) 방문차량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3887B1 (ko) 스마트폰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통제하는 보안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689693A (zh) 一种路径监控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206986B2 (ja) 特定場所にいる装置及び/又は個人の存在を決定するための時間に基づく検証
US11935332B2 (en) Server and method for display of reception screen
CN102625230A (zh) 一种楼宇系统通信方法、装置及系统
WO2015102186A1 (ko) 단말 사용 제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130346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ccess of a visitor to a premises
US20230125828A1 (en) Stay management apparatus, stay management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and stay management system
JP6919280B2 (ja) 機能管理システム及び機能管理方法
JP2018195339A (ja) 電子マニュアルを提供する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782572A (zh) 园区安防用智能监控方法及系统
CN107295041A (zh) 智能门禁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715928B1 (ko) 일시적 위치에 기반하는 광고 제공 방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광고 제공 서버
CN115546952A (zh) 云端管理家长访问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