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261B1 -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261B1
KR102110261B1 KR1020190141575A KR20190141575A KR102110261B1 KR 102110261 B1 KR102110261 B1 KR 102110261B1 KR 1020190141575 A KR1020190141575 A KR 1020190141575A KR 20190141575 A KR20190141575 A KR 20190141575A KR 102110261 B1 KR102110261 B1 KR 10211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emergency
server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조랩
Priority to KR102019014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QR 코드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위치를 확인 및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과 상이한 위치의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NOTIFING EMERGENC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응급 상황 발생 시 비상 호출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판이 열리는 법정 내에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보안 직원이 배치되어야 한다. 이때, 재판이 시작된 후, 보안 직원은 스마트폰의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위급 상황 시 법정 내부에 설치된 호출 버튼을 통해 외부와 소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판 시 위급 환자가 발생되거나, 재판 과정에 불만을 느껴 소란을 일으키는 사람이 발생할 경우, 보안 직원은 법정 내에 구비된 호출 버튼을 눌러 법정 외부에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보안 직원이 위급 상황 시 호출 버튼과 먼 거리에 위치할 경우, 보안 직원이 호출 버튼으로 가서 버튼을 누른 후, 위급 환자 또는 소란을 일으키는 사람에게 출동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호출 버튼과 보안직원이 먼 거리에 위치할 경우, 보안직원은 위급 환자 또는 소란을 일으키는 사람에게 먼저 가서 상황을 수습한 후 호출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많다. 즉, 법원 내의 위급 상황을 외부로 알리는 것을 호출 버튼 하나에만 의존함에 따라, 위급 상황을 외부로 알리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보안직원은 다른 보안직원들과 무전기를 통해 소통할 수 있다. 그러나, 재판 진행 중에는 무전기의 사용이 제한되므로, 재판 진행 중 비상 상황이 생길 경우 보안직원 간의 실시간 상황 공유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스마트폰은 GPS를 통해 위치 정보를 외부에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직원은 보안직원이 소지한 스마트폰의 GPS 신호를 통해 보안직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GPS는 밀집지역이나 건물 내에서는 정확한 위치를 수신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보안직원이 법정 내부에 위치할 경우, GPS 신호만으로는 보안직원이 어느 법정호실에 위치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움이 문제점이 있다. 즉, 상이한 층, 또는 근접한 법정호실에 위치한 보안직원이 비상 상황 시 출동하기 위해서는 보안직원이 위치한 정확한 법정호실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이 요구되어진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4-0124606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응급 상황 발생 시 비상 호출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아도 비상 호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법원 건물 내에서 근접하거나 층이 다른 법정호실에 위치한 보안직원의 호출에 보안직원이 어느 법정호실에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QR 코드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위치를 확인 및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과 상이한 위치의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의 위치를 확인 및 저장하는 과정은,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QR 코드 태그 정보와 법정호실 정보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수신된 상기 제1 단말의 QR 코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이 위치한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법정호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법정호실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제1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1 단말의 법정호실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로그인 정보를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 법정 내에 구비된 QR 코드를 태그하는 과정; 상기 QR 코드 태그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호출 또는 비상대기 버튼을 입력하는 과정;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 비상 상황이 종료된 경우, 상황 종료 버튼을 입력 또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취소 버튼을 입력하는 과정; 재판이 종료된 후, 퇴실 버튼을 입력하는 과정; 및 퇴실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황 보고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비상 상황 보고서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관리직원 및 보안직원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 특정 법정에 위치하는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비상 상황을 알리는 팝업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의 비상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제1 단말과 상이한 위치의 제3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에서 입력된 비상 상황 보고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보안직원의 위치와 관계없이 비상 상황 발생 시 비상 상황을 법정 외부로 알리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재판 진행 중 보안직원의 스마트폰 사용이 제한되더라도,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비상 호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근접하거나 층이 다른 법정호실에 위치한 보안직원이 호출할 경우 보안직원이 어느 법정호실에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비상 상황의 발생 이유, 발생일시, 상황 종료의 설명으로 비상 상황 보고서를 작성함으로써, 차후 관리직원이 비상 상황 보고서를 통해 비상 상황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제1 스마트폰을 도시한 예이다.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제1 웨어러블 기기를 도시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2 단말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2 단말의 제2 PC를 도시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서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을 이어서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2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2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서버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판 중인 법원의 법정 내부에서 제1 단말(100)을 이용하여 다른 법정 또는 상황실의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로 비상 상황을 알려주는 비상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법정이란 재판이 열리는 법원 내에 정해진 장소를 의미한다. 또한,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의 위치는 법정 내부 또는 상황실로 한정되지 않으며, 법원 내부의 다양한 위치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법정 내부(이하, '제1 법정'이라 한다)에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단말(100)을 통해서 제2 단말(200)과, 제1 법정을 제외한 다른 법정에 제공되는 제3 단말(300)로 제1 법정의 비상 상황을 알림으로써, 제1 법정 내부의 보안 직원이 어느 위치에 있어도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로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즉, 비상 상황을 제1 법정 외부로 알리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 단말(100)은 제1 스마트폰(110) 및 제1 스마트폰(110)과 연동되는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포함하므로, 제1 스마트폰(110)을 사용하지 않고 제1 웨어러블 기기(120)의 사용만으로도 법정 외부에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100)과 제3 단말(300)이 동일한 기기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급 상황이 발생되는 제1 법정에서의 단말을 제1 단말(100)로 설명하고, 위급 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타 법정에서의 단말을 제3 단말(300)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100)은 재판이 열리는 제1 법정 내부의 보안직원이 소지하는 것으로서,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제1 스마트폰(110)과 무선 연결되는 기기로서, 보안직원이 신체에 소지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보안직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제1 법정 내부에 구비된 QR 코드를 태그함으로써 서버(400)에 접속되고, 서버(400)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의 위치는 법정 내부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 예로, QR 코드는 각 법정의 외부에 구비된 출입문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단말(200)은 보안직원을 관리하는 관리직원이 확인 가능한 것으로서, 제2 스마트폰(210)과, 제2 PC(220)을 포함한다. 이때, 제2 PC(220)는 별도의 상황실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스마트폰(210)을 관리직원이 소지할 수 있으며, 관리직원의 이동에 따라 제2 스마트폰(21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제2 단말(200)은 관리직원의 정보 및 보안직원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직원은 제2 단말(200)을 통해 본인의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직원이 관리하는 보안직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200)을 통해서 복수의 법정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보안직원의 정보가 모두 입력될 수 있다.
관리직원은 제2 단말(200)을 통해서 법원 내부의 복수의 법정을 실시간으로 검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법정에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CCTV가 설치될 수 있고, 해당 CCTV의 촬영 영상을 제2 단말(200)를 통해 관리직원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비상 알림을 수신 받아 비상 상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3 단말(300)에 비상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제3 단말(300)은 제1 법정을 제외한 나머지 법정에 위치하는 보안직원에 의해서 소지되는 것으로서, 제3 스마트폰(310) 및 제3 스마트폰(310)과 연동되는 제3 웨어러블 기기(320)를 포함한다. 이때, 제3 웨어러블 기기(320)는 제3 스마트폰(310)과 무선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 스마트폰(120)과 동일한 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300)은 제1 단말(100)과 동일하게 각 법정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QR 코드를 태그함으로써 서버(40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제1 스마트폰을 도시한 예이며, 도 4(a) 내지 도 4(h)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제1 웨어러블 기기를 도시한 예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S101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보안직원에 의해서 특정 보안직원의 정보로 로그인할 수 있다. 이때, 보안직원의 로그인은 제1 단말(100) 중 제1 스마트폰(1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로그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100)은 로그인 정보를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400)는 복수의 보안직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상태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로그인을 하기 전에, 비상 알림 시스템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이라 한다)을 다운받을 수 있고, 제1 단말(100) 상에 다운된 어플을 통해 로그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100) 중 제1 스마트폰(110)을 통해 어플을 실행하면, 제1 스마트폰(110)에는 도 3(a)과 같은 시작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마트폰(110)에는 시작 화면 이후 도 3(b)와 같은 로그인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때, 보안직원은 해당 창에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S102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QR 코드를 태그할 수 있다. QR 코드는 법정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단말(100)은 QR 코드를 태그하여 QR 코드 태그 정보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100)이 제1 법정의 QR 코드를 태그할 경우, 제1 단말(100)은 제1 법정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 태그는 제1 단말(100)의 제1 스마트폰(11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S103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무선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연결은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의 연결을 의미한다. 다만, S103 과정은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수행되는 임의적인 과정이다.
법정 내에서 제1 스마트폰(110)의 사용이 제한될 경우, 보안직원은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100)은 다음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S104 과정에서,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의 연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의 무선 연결이 완료되면, 제1 단말(100)은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판이 진행 중인 법정 내에서는 제1 스마트폰(110)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재판 시작 전, 제1 단말(100)은 제1 스마트폰(110)을 통해 S101 내지 S103의 과정을 거친 후,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조작될 수 있다. 만일, 법정 내에서 제1 스마트폰(110)의 사용이 제한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1 웨어러블 기기(120)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의 무선 연결이 완료된 후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어플을 실행하면,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도 4(a)와 같은 시작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S105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메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화면은 비상호출 버튼, 비상대기 버튼, 응급호출 버튼, 퇴실 버튼 등이 표시된 화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스마트폰(110)은 도3(c)와 같이 출력될 수 있고,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도 4(c)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S106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비상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상황은 법정 내부에서의 소란, 응급 환자 발생 등 모든 위급 상황을 의미한다. 보안 직원이 비상 상황으로 판단할 경우, 메인 화면에 표시된 비상호출 버튼, 비상대기 버튼, 응급호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게 되고, 제1 단말(100)은 버튼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이후, 제1 단말(100)은 다음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S107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비상 상황 발생 시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버튼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해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버튼이 입력될 경우,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도 4(d)와 같이 버튼 입력을 재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100)은 보안 직원이 오작동하여 잘못된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버튼이 입력되면,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도 4(e) 내지 도4(g)와 같이 입력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마트폰(110)은 도 3(d) 내지 도 3(f)와 같이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법정 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보안직원은 비상 호출 장치가 구비된 장소까지 가서 호출을 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보안직원이 비상 호출 장치와 먼 거리에 위치할 경우, 비상 호출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단말(100)은 보안직원이 소지한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비상호출 또는 비상대기 버튼을 입력함으로써, 비상 호출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S108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상황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의 종료는 보안직원의 오판단으로 인하여 호출을 취소하는 경우이거나, 응급 또는 비상 상황이 종료된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제1 단말(100)은 상황 종료 또는 취소 버튼 입력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황 종료 또는 호출 등의 취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109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상황 종료 또는 취소 버튼의 입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h) 또는 도3(g), 도 3(h)와 같이, 구체적으로,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안직원의 오판단으로 인하여 호출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제1 스마트폰(110) 및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취소 버튼이 입력될 수 있고, 응급 또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재판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황이 종료된 경우에는 제1 스마트폰(110) 및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서 상황 종료 버튼이 입력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제1 웨어러블 기기(120) 또는 제1 스마트폰(110)으로 조작된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110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비상 상황 보고서의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100)은 보안직원의 출동, 상황 종료시각을 자동으로 출력하며, 보안직원에 의해 입력된 비상 상황의 구체적인 상황 및 처리내용을 출력하여 비상 상황 보고서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상황 종료 버튼 입력이 수신되면, 비상 상황 보고서의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황 종료 보고서 작성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황 종료 보고서 작성 화면에서, 제1 단말(100)은 호출시간 및 종료시간을 자동으로 출력하고, 비상 상황의 처리 내용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안직원으로부터 비상 상황의 처리 내용의 입력을 수신한 제1 단말(100)은 호출 시간, 상황 종료 시각, 비상 상황의 처리 내용 등을 포함한 비상 상황 보고서로 작성하여 기록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비상 상황 보고서를 작성한 후 서버(400)에게 비상 상황 보고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비상 상황 보고서의 작성이 완료되면, 제1 단말(100)은 다음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S111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메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화면은 S105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100)은 보안직원에 의한 상황 종료 버튼 입력이 수신되면, 상황종료 정보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황종료 정보는 상황 종료시간 및 제1 단말(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00)은 상황종료 정보를 서버(400)에게 송신함과 동시에 비상 상황 보고서의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황 종료 보고서 작성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보안직원에 의한 비상 상황 처리 내용의 입력을 수신한 후에만 메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1 단말(100)은 비상 상황 보고서 입력 정보(예. 비상 상황 처리 내용)를 수신하지 않고, 상황 종료 버튼 입력을 수신한 후 바로 메인 화면을 출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100)은 메인화면에 비상 호출 버튼, 비상 대기 버튼, 응급 호출 버튼, 퇴실 버튼 이외에 관리 버튼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보안직원이 내 비상상황관리 버튼을 입력하고, 제1 단말(100)이 관리 버튼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 제1 단말(100)은 입력되었던 비상 상황 정보를 모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100)에 표시되는 각 비상 상황 정보는 보고서 작성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100)이 상황 종료 후 바로 메인 화면을 출력할 경우, 보안직원은 관리 버튼을 입력하여 선택적으로 각 비상 상황의 비상 상황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1 단말(100)은 상황 종료 버튼 입력을 수신한 경우 비상 상황 보고서 입력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바로 메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200)은 관리직원에 의해 관리자 설정 내에서 보고서 작성 기능을 사용하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 제2 단말(200)은 보고서 작성 해제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 보고서 작성 해제 입력 정보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400)는 제1 단말(100)에게 보고서 작성 해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100)은 상황 종료 버튼 입력을 수신한 경우 비상 상황 보고서 입력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바로 메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관리 버튼을 화면에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S112 과정에서, 제1 단말(100)은 퇴실 버튼의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100)은 퇴실 정보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100)은 제1 법정에서의 퇴실을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2 단말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2 단말의 제2 PC를 도시한 예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S201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초기 설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설정은 관리직원 정보 입력, 보안직원 정보 입력 등을 의미한다.
제2 단말(200)은 초기 정보를 설정하기 전에, 서버(4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S202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이 위치한 법정의 정보 및 제1 단말(100)이 송신한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서버(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위치와 동시에 제1 단말(100)이 위치한 법정의 상황 정보를 알 수 있다.
S203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수신한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스마트폰(210)을 소지한 관리직원이 상황실에 위치하지 않아도, 제2 단말(200)은 상황실 내의 제2 PC(220)와 관리직원이 소지한 제2 스마트폰(21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관리직원은 상황실 밖에 위치하여도 제1 단말(100)의 정보가 출력된 화면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2 PC(220)에는 각 법정호실에 위치하는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이 표시되고,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송신한 제1 단말(100)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PC(200)에는 법원 내의 모든 법정호실이 표시될 수 있고, 각 법정호실에 위치하는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1호 법정에 제1 단말(100)이 위치할 경우, 101호를 제외한 나머지 201호, 203호, 204호, 102호, 104호 법정에 각각 제3-1 단말, 제3-2 단말, 제3-3 단말, 제3-4 단말, 제3-5 단말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제1 단말(100)의 상황이 해당하는 법정호실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법정호실의 상황을 이미지로 표시하였으나, 비상 상황의 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각 법정호실의 상황은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200)이 비상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단말(200)은 해당 법정호실을 빨간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비상 대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단말(200)은 해당 법정호실을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단말(200)은 해당 법정호실을 흰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단말(200) 중 제2 PC(220)에 표시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제2 스마트폰(210)에도 제2 PC(220)와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법원 내에 1, 2층에 총 8개의 법정호실이 있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것일 뿐 법정호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204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비상 상황 알림 팝업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정보가 출력된 화면을 관리직원이 확인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 상황 알림 팝업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200)은 일반적인 화면과 상이한 색상 또는 글씨체 등으로 비상 상황 알림 팝업을 출력하거나, 관리직원이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음성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S205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비상 상황을 알리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입력하여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다.
S206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이 위치하는 법정의 상황이 종료되거나, 제1 단말(100)을 소지한 보안직원이 호출을 취소할 경우, 제2 단말(200)은 해당 정보를 서버(4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S207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200)은 상황실 내부의 제2 PC(220)와 관리직원이 소지한 제2 스마트폰(210) 모두에 제1 단말(100)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208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비상 상황 보고서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200)은 상황 종료 후 제1 단말(100)에서 작성된 비상 상황 보고서를 서버(400)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단말(200)은 비상 상황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S209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S210 과정에서,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서버의 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서버(400)는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에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S301 과정에서,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의 로그인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400)가 수신하는 로그인 정보는 제1 단말(100)의 로그인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제3 단말(300)의 로그인 접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서버 메모리(410)에 각 보안직원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되어 있는 로그인 정보와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에서 수신한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접속된 보안직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302 과정에서, 서버(400)는 제1 단말(100)로부터 QR 코드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00)는 로그인 된 보안직원의 정보와 함께 보안직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A 보안직원(제1 단말을 소지한 보안 직원)이 어플에 로그인 한 후 제1 법정에서 제1 QR 코드를 태그하고, B 보안직원(제3 단말을 소지한 직원)이 어플에 로그인 한 후 제2 법정에서 제2 QR 코드를 태그할 경우, 제1 단말(100)은 제1 QR 코드 정보를 통해서 서버(400)의 주소와 제1 QR 코드 고유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제1 QR 코드 정보를 서버(400)에게 송신하거나, 서버(400)의 주소로 제1 QR 코드 고유식별자 정보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제1 QR 코드 정보 또는 제1 QR 코드 식별자 중 하나에 매핑되어 서버 메모리(41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되는 정보는 제1 법정호실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버(400)는 A 보안직원이 제1 법정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B 보안직원이 제2 법정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303 과정에서, 서버(400)는 보안직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서버 메모리(410)에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의 로그인 접속 및 QR 코드 태그 정보를 토대로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을 소지한 보안직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QR 코드 태그 정보에 따른 위치 정보와 함께, 어플에 로그인 된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의 GPS 신호에 따른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QR 코드 태그 정보에 따른 위치 정보와 GPS 신호에 따른 위치 정보가 상이할 경우,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을 강제 로그아웃 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을 소지한 보안직원이 QR 코드를 태그한 법정을 로그아웃 없이 벗어날 경우, 해당 보안직원의 위치 정보가 서버(400)에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304 과정에서,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의 식별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이 위치하는 제1 법정에서 위급 상황이 발생될 경우, 서버(400)는 제1 단말(100)로부터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로 제1 단말(100)의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305 과정에서, 서버(400)는 제2 단말(200)에서 입력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제2 단말(200)로부터 비상 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복수의 제3 단말(300)로 비상 상황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0)는 제1 단말(100)과 동일한 층, 동일한 구간 등 설정 위치 내에 있는 제3 단말(300)로만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로그인 된 모든 제3 단말(300)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3 단말(300)을 소지한 보안직원이 사전에 기 설정된 인원으로 그룹핑되고, 서버(400)는 특정 그룹의 제3 단말(300)에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S306 과정에서,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의 식별 정보 및 호출 또는 취소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이 위치한 제1 법정에서의 상황이 종료되거나 취소될 경우, 제1 단말(100)로부터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로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307 과정에서, 서버(400)는 제1 단말(100)에서 입력된 비상 상황 보고서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제1 단말(100)로부터 비상 상황 보고서를 수신하고, 제2 단말(200)로 비상 상황 보고서를 송신할 수 있다.
S308 과정에서,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의 식별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이 위치하는 제1 법정의 재판이 종료될 경우,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의 퇴실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단말(200)로 제1 단말(100)의 퇴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309 과정에서, 서버(400)는 퇴실한 보안직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서버(400)는 법정에서 퇴실한 보안직원의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서버 메모리(410)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판이 종료된 후 서버 메모리(410)에 보안직원의 정보가 남아 있지 않게 되어, 서버 메모리(410)에 동일한 법정에 복수의 보안직원의 위치 정보가 중복되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을 이어서 동작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설명한다.
상황실에 구비된 제2 단말(200)은 관리직원 및 보안직원 정보를 입력하여 초기 설정을 할 수 있다(S401). 이때, 제2 단말(200)은 상황실 및 법원 내부 특정 위치에 모두 구비되거나, 상황실 내부에만 구비될 수 있다.
특정 법정에 위치하는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은 로그인하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S402). 이때, 서버(400)는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200)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S403), 서버 메모리(410)에 저장된 보안직원의 정보와 로그인 정보를 비교하여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을 소지한 보안직원이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법정에 구비된 QR 코드를 태그할 수 있고(S404), QR 코드 태그 정보를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다(S405).
서버(400)는 QR 코드 태그 정보와 법정호실 매핑 정보를 메모리(410)에 저장하여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서버(400)는 수신된 QR 코드 태그 정보를 기초하여 법정호실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이 어느 법정호실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100)을 소지한 보안직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400)는 QR 코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보안직원의 위치를 확인 및 저장할 수 있다(S406). 이때, 서버(400)는 QR 코드를 통한 제1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동시에, 제1 단말(100)의 별도의 신호, 일 예로, GPS 신호를 토대로 제1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의 QR 코드 태그 위치와 제1 단말(100)의 GPS 위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서버(400)는 비무선 신호(QR 코드) 및 무선 신호(GPS)를 통해 제1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400)에 재판이 예정된 특정 법정에 일정 시간이 지나도 QR 코드 태그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서버(400)는 로그인 된 보안직원의 제1 단말(100)로 QR 코드 태그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100)이 로그인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QR 코드 태그를 하지 않을 경우, 서버(400)는 제1 단말(100)에 'QR 코드 태그 바람' 문구를 전송할 수 있다.
재판이 열리는 법정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이 제한될 경우, 제1 단말(100)의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S407).
제1 단말(100)은 메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S408). 메인 화면에는 비상 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퇴실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이 위치하는 특정 법정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제1 단말(100)은 메인 화면에서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S409). 여기서, 제1 스마트폰(110) 또는 제1 웨어러블 기기(120)가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으나, 제1 스마트폰(110)이 제한될 경우에는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버튼이 입력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수신된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버튼 입력 정보를 서버(4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의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는 서버(400)에 수신되고(S410), 서버(400)는 해당 정보를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S411). 이에 따라,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은 제1 단말(100)의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412).
제1 단말(100)은 무선 신호를 통해 서버(400)에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100)은 비무선 신호(QR 코드)를 통해 서버(400)에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무선 신호를 통해 서버(400)에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100)은 위치 정보와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를 별도의 신호를 통해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단말(200)은 비상 상황 알림 팝업을 출력할 수 있다(S413). 비상 상황 알림 팝업은 비상 상황이 아닐 시 출력되는 화면과 상이한 색상, 문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음성 등과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은 비상 상황 알림 메시지를 입력하고(S414), 서버(400) 및 제3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다(S415). 이때, 제3 단말(300)은 서버(400)를 거쳐 비상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단말(300)은 비상 상황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후, 출동 또는 미출동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 제3 단말(300)의 출동 정보는 서버(400)를 통해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로 송신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은 제3 단말(300)을 소지한 보안직원의 출동 여부를 알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상황 종료 또는 취소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S416). 구체적으로, 제1 단말(100)이 위치한 특정 법정에서 비상 상황이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제1 스마트폰(110) 또는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상황 종료 버튼이 입력될 수 있고, 비상 상황이 아니어서 출동을 취소할 경우에는, 제1 웨어러블 기기(120)를 통해 취소 버튼이 입력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서버(400)에 송신하고(S417),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의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로 송신할 수 있다(S418). 또한,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419).
제1 단말(100)은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송신한 후, 상황이 종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S420). 이때, 상황 종료는 제1 단말(100)이 위치한 법정의 재판 진행 중 호출한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상황이 종료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상황이 종료된 후, 비상 상황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S421). 비상 상황 보고서에는 호출 시간, 종료 시간 등이 자동 입력되며, 보안직원은 비상 상황의 처리 결과를 제1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비상 상황의 처리 결과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안직원은 제2 단말(200)을 통해 관리직원이 비상 상황 보고서를 확인하기 전까지 제1 단말(100)을 통해 비상 상황 보고서를 수정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비상 상황 보고서 정보를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고(S422), 서버(400)는 제1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비상 상황 보고서 정보를 제2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S423).
제2 단말(200)은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비상 상황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다(S424). 이에 따라, 관리직원은 비상 상황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QR 코드 태그 후 출력된 메인 화면을 다시 출력할 수 있다(S425). 이때, 제1 단말(100)은 상황이 종료된 후 또는 비상 상황 보고서 송신된 후 메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은 재판이 완료된 후, 퇴실 버튼을 입력할 수 있다(S426). 또한, 제1 단말(100)은 퇴실 정보를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고(S427),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의 퇴실 정보를 제2 단말(200)에 송신할 수 있다(S428).
서버(400)는 재판의 종료 시간이 일정 시간 지난 후에도 제1 단말(100)로부터 퇴실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제1 단말(100)을 강제 퇴실 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단말(200)이 제1 단말(100)을 강제 퇴실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400)는 하나의 법정에 복수의 제1 단말(100) 및 제3 단말(300)이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단말(200)은 제1 단말(100)의 퇴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429). 이때, 제1 단말(100)의 퇴실 정보는 상황실의 제2 PC(220)와, 관리직원이 소지한 제2 스마트폰(210)에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서버(400)는 제1 단말(100)을 소지한 보안직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S430). 구체적으로, 서버(400)는 퇴실 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말(100)의 로그인 정보 및 이와 관련된 보안직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비상 알림 시스템은, 특정 법정에 위치하는 제1 단말(100), 상황실을 포함하는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제2 단말(200), 제1 단말(100)과 동일한 장치로 제공되는 복수의 제3 단말(300), 제1 단말(100)과 제2 단말(200) 및 제3 단말(300)에 연결되는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1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제1 단말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100)은 메모리(130), 출력부(140), 통신부(15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제1 단말(1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1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1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100)은 메모리(130), 출력부(140), 통신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A/V 입력부(170), 및 프로세서(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 단말(300)은 제1 단말(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의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제1 단말(100)로 입력되는 정보 또는 제1 단말(1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비상 상황 보고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31), 터치 스크린 모듈(132), 알림 모듈(13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31)은, 어플리케이션 별로 제1 단말(100)과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3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8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3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3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알림 모듈(133)은 제1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비상 상황 알림, 그룹 메시지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33)은 디스플레이부(14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4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4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모듈(133)은 제2 단말(200) 또는 제3 단말(300)에서 수신된 다른 보안직원의 호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의 출력부(140)는, 제1 스마트폰(110) 및 제1 웨어러블 기기(120)에 각각 디스플레이부(141), 음향 출력부(142), 및 진동 모터(1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제1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40)는 사용자, 즉, 보안직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41)에서 촬영된 QR 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42)는 제1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제1 단말(100)의 통신부(150)는, 제1 단말(100)이 제2 단말(200) 또는 제3 단말(300) 및 서버(400)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제1 단말(100)의 제1 스마트폰(110)과 제1 웨어러블 기기(120)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51), 이동 통신부(152),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제1 단말(100)이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0)는, 제1 단말(100)과 서버(400)를 비무선 연결(QR 코드 태그)할 수 있고, 제1 단말(100)과 서버(400)를 무선 연결할 수 있다. 즉, 통신부(150)는 위치 정보를 비무선 연결을 통해 서버(400)에 전송하고, 호출 정보를 무선 연결을 통해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호출 정보는 각각 다른 신호를 통해 서버(4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의 사용자 입력부(160)는, 사용자, 즉, 보안직원이 제1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60)에는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가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입력부(16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단말(100)의 A/V(Audio/Video) 입력부(17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71)와 마이크로폰(17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71)는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단말(100)은 QR 코드를 태그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71)는 제1 단말(100)의 제1 스마트폰(110)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웨어러블 기기(120)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말(100)은 제1 스마트폰(110)을 통해서만 QR 코드를 태그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7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7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72)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7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의 프로세서(180)는, 통상적으로 제1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140), 통신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A/V 입력부(17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단말(100)의 프로세서(18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메모리(130), 출력부(140), 통신부(150), 사용자 입력부(160), A/V 입력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제2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200)은 메모리(230), 출력부(240), 통신부(250), 사용자 입력부(260), A/V 입력부(270) 및 프로세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2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의 제1 단말(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스마트폰(210)과 제2 PC(220)의 출력부(240) 및 사용자 입력부(260)는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스마트폰(210)은 터치 패드로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부(260) 및 하나의 디스플레이부(241)로 제공되는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PC(220)는 키패드 형식의 사용자 입력부(260) 및 복수의 모니터 형태의 디스플레이부(241)로 제공되는 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200)의 출력부(240)는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제1 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비상 상황 알림 팝업 및 비상 상황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부(240)는 비상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서버(4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메모리(340)에 저장한 후에 프로세서(370)의 제어에 의해서 수신한 호출 또는 대기 정보가 어느 법정호실인지 확인하고, 출력부(240)를 통해서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송신한 법정호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중 서버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400)는 메모리(410), 통신부(420) 및 프로세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400)의 메모리(410), 통신부(420) 및 프로세서(430)에 대한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의 제1 단말(100)의 메모리, 통신부, 프로세서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400)의 프로세서(43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메모리(410), 통신부(4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 알림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제3 단말(300)
서버(400)

Claims (9)

  1. 서버가 보안직원이 소지한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법정 마다 설치되어 구비된 QR 코드의 QR 코드 태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서버가 메모리에 저장된 법정 마다 설치되어 구비된 상기 QR 코드의 상기 QR 코드 태그 정보와 법정호실 정보가 매핑된 매핑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서버가 수신된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QR 코드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이 위치한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법정호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법정호실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를 확인 및 저장하는 과정;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법정호실 정보와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비상호출, 비상대기, 응급호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단말과 상이한 위치의 보안직원을 관리하는 관리직원이 확인 가능한 제2 단말 및 상기 제1 단말을 소지한 보안직원 외의 보안직원이 소지하며 상기 제1 단말과 상이한 복수의 제3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3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보안직원이 소지한 상기 제1 단말이 로그인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이 법정 마다 설치되어 구비된 상기 QR 코드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태그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QR 코드의 상기 QR 코드 태그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비상호출 또는 비상대기 버튼을 입력하는 과정;
    상기 제1 단말이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
    비상 상황이 종료된 경우, 상기 제1 단말이 상황 종료 버튼을 입력 또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취소 버튼을 입력하는 과정;
    재판이 종료된 후, 상기 제1 단말이 퇴실 버튼을 입력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이 퇴실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무선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비상 상황 보고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비상 상황 보고서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직원이 소지한 상기 제2 단말이 관리직원 및 복수의 보안직원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이 특정 법정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호출 또는 대기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비상 상황을 알리는 팝업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황 종료 또는 취소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위치 정보 및 퇴실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비상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메시지를 상기 서버 및 상기 제1 단말과 상이한 위치의 상기 복수의 제3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에서 입력된 비상 상황 보고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비상 알림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90141575A 2019-11-07 2019-11-07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1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75A KR102110261B1 (ko) 2019-11-07 2019-11-07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575A KR102110261B1 (ko) 2019-11-07 2019-11-07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261B1 true KR102110261B1 (ko) 2020-05-13

Family

ID=7073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575A KR102110261B1 (ko) 2019-11-07 2019-11-07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2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606A (ko) 2013-04-17 2014-10-27 이환규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KR20150000603A (ko) * 2013-06-25 2015-01-05 권형석 NFC Tag 접촉을 통한 위급상황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101620605B1 (ko) * 2014-05-02 2016-05-12 환단기술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진단 보고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0927B1 (ko) * 2015-03-27 2017-09-26 주식회사 신성테크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606A (ko) 2013-04-17 2014-10-27 이환규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KR101486402B1 (ko) * 2013-04-17 2015-01-28 이환규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KR20150000603A (ko) * 2013-06-25 2015-01-05 권형석 NFC Tag 접촉을 통한 위급상황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101620605B1 (ko) * 2014-05-02 2016-05-12 환단기술 주식회사 스마트 안전 진단 보고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0927B1 (ko) * 2015-03-27 2017-09-26 주식회사 신성테크 스마트 단말기의 출입 및 보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및 보안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560B1 (ko) 방문자에게 건물로의 제어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JP2016066314A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WO2019167291A1 (ja) ドアベル、鍵管理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7194946A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KR20140135901A (ko) 출입통제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관리자 단말기
KR102110261B1 (ko) 비상 알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1367333B2 (en) Personal safety verification system
JP5248276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装置
US10078926B2 (en)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anagement program
CN106384443A (zh) 取物提醒的方法及装置
KR101989435B1 (ko) 고객대기순번 관리시스템
US10841430B2 (en) Intercom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in said system
US11349929B2 (en) Service request information transfer system and meihod
JP3194037U (ja) 建設現場における社会保険管理システム
JP6788933B2 (ja) 通報処理システム及び通報処理方法
JP2016062152A (ja) 認証装置および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TWI705419B (zh) 智慧型辦公室差勤去向告示系統
JP2019130219A (ja) 報知システム
JP6815349B2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WO2020235584A1 (ja) エリア管理装置、エリア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204432A1 (ko) 방문자 확인 시스템
KR10177739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JP2016072852A (ja) 緊急事態発生時アフターフォロー機能を有する管理装置
JP2016066313A (ja) 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及び警備業務支援方法
KR20210146175A (ko) 경비 서비스 시스템 및 경비 서비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