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751A -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751A
KR20160057751A KR1020140158752A KR20140158752A KR20160057751A KR 20160057751 A KR20160057751 A KR 20160057751A KR 1020140158752 A KR1020140158752 A KR 1020140158752A KR 20140158752 A KR20140158752 A KR 20140158752A KR 20160057751 A KR20160057751 A KR 20160057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access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브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브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브존
Priority to KR102014015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7751A/ko
Publication of KR20160057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751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은, 근태관리를 위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여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휴대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그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접근시간을 검출하고 출입구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여 옳바른 사용자 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달 정보를 참조하여 출입자들의 근태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스마트폰과 연동시켜, 미등록자의 출입을 감시하고 근무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카드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이 갖는 출입카드 소지의 불편함과 카드의 분실 파손 등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출퇴근 상황에서 많은 수의 사용자가 출입구에 갑자기 몰린 상황에서도 다수 사용자들의 근태체크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생체인증 시스템에 비해, 에러 가능성이 낮고, 다수의 출입자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하다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SUPERVISORY SYSTEM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IP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출입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회사나 공장 등에 출입통제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며, 보편적인 출입통제시스템은 보안문에 장착된 카드리더기에 출입이 가능한 사용자 카드 리스트를 저장한 후 사용자가 제시하는 카드가 리스트에 있는지를 확인하여 보안문이 열리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같은 종래 출입통제시스템의 경우 카드리더기의 종류에 따라, 접속식과 비접촉식으로 나뉠 수 있으며, 최근 근거리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근래에 출시되거나 연구/개발 중인 출입통제 시스템에는 대부분 비접촉식 카드리더기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비접촉식 카드리더기는 바코드나 RF-ID카드와 같이 광신호나 주파수신호를 이용하여 카드의 정보데이터를 판독하며, 단순히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출입자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확보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침입사건 등이 발생한 경우 침입자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출입자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 없었다.
물론, 카드리더기와 함께 적당한 위치에 CCTV와 같은 감시용 카메라를 설치하여 출입자와 출입 당시의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감시용 카메라의 경우 출입자가 고의로 얼굴을 감추고 출입한다면, 출입자의 얼굴이미지를 확보할 방법이 없다. 또한 카드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경우, 출입카드를 항상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과 카드의 분실 파손 등의 문제가 있으며, 카드리더기에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출퇴근 상황에서, 많은 수의 사용자가 출입구에 갑자기 몰렸을 때, 이들 사용자를 동시에 체크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출입통제시스템의 종류에는 카드를 이용하는 방식뿐 아니라, 인체의 지문이나 홍채 분석, 음성인식 등을 이용한 생체인증 시스템이 있으나, 이러한 생체인증 시스템은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모든 출입대상자에 대한 생체 특징을 등록해야 하므로 출입자가 매우 많은 경우에는 ID카드의 제작비용 및 제작 기간이 많이 소모되므로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일정비율 이상의 에러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당한 출입대상자가 시스템의 판단오류로 인해 출입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스마트폰과 연동시켜, 미등록자의 출입을 감시하고 근무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스마트폰과 연동시켜, 미등록자의 출입을 감시하고 근무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카드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이 갖는 출입카드 소지의 불편함과 카드의 분실 파손 등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출퇴근 상황에서 많은 수의 사용자가 출입구에 갑자기 몰린 상황에서도 다수 사용자들의 근태체크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생체인증 시스템에 비해, 에러 가능성이 낮고, 다수의 출입자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하다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은,
근태관리를 위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여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휴대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으로 휴대단말기의 접근이 감지되면, 그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접근시간을 검출하고 출입구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카메라 장치와,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여 옳바른 사용자 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전달 정보를 참조하여 출입자들의 근태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장치는, 근거리 통신으로 휴대단말기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통신부와, 휴대단말기없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접근 객체를 감지하는 이동체 감지부와, 상기 제1통신부와 이동체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참조하여, 접근 객체에 관한 정보 및 접근시간을 검출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출입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제어부의 검출정보와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출입 및 근태관리를 위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구분정보와,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출입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식별된 정보와 데이터 베이스부의 저장 정보들을 참조하여 출입자들의 근태를 관리하는 출입 및 근태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단말기는, 주기적으로 통신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통신 모듈과,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측에 표시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장치의 사용자 정보 요청 시 해당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입력받는 제어부와,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입력된 구분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무선인터넷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출입자 감시방법은,
근거리 통신신호를 이용하여, 출입구로 접근하는 휴대단말기가 있는지 감시하는 과정과, 출입구로 접근하는 휴대단말기가 감지되면,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동작시키고, 단말의 접근시간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 또는 퇴근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미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출입 및 근태관리를 위해, 상기 저장부의 저장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출입자 감시방법은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 또는 퇴근이 아닌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에 촬영된 영상을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은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이용하여 미등록자의 출입을 통제하고 등록자들의 근태를 관리하는 감시시스템으로서, 크게 휴대단말기(100), 카메라 장치(200),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근거리통신 신호를 송출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출입구 주변의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카메라 장치(200)가 사용자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단말기(1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근태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단말화면에 출력하고,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일종의 출퇴근 구분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단말화면에 표시될 때, 카메라 모듈(121)을 구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측에 표시될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때, 촬영되는 사용자 이미지는, 관리서버(300)가 기저장된 이미지 정보(예: 실제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입력된 구분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200)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카메라로서, 근거리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는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로서, 카메라 모듈, 디코더, 영상 압축 칩, CPU, 네트워크 전송 칩 등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는 디코더를 통해 디지털로 바뀌고, 압축 칩에서 압축을 거쳐 전송되는 흐름이다. IP 카메라는 원격지에서도 카메라 주변의 상황을 휴대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로 점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와 홈 네트워크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200)는 출입구에 접근(or 침입)하는 물체를 감지거나 일정 거리 이내에서 근거리 통신신호 송신하는 객체, 즉 휴대단말기(100)를 검출한다. 카메라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접근이 감지되면, 그 휴대단말(100) 측으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접근시간을 검출하고 출입구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
카메라 장치(200)는 또한, 출입구 주변을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예: 무단 침입, 시설물 파손 등)의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카메라 장치(200)는 출입구로 접근하는 휴대단말기(100)가 감지되면, 내장된 카메라 모듈(210)을 동작시키고, 단말의 접근시간을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 또는 퇴근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미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에도,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 또는 퇴근이 아닌 경우, 등록된 사용자가 일과 중에 업무처리를 위해 단순 출입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지 않고 폐기(삭제)한다.
카메라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출입 및 근태관리를 위해 상기 저장부(260)의 저장 정보들을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입력된 구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200)로부터는 저장부(260)의 저장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관리 서버(30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200)의 전달 정보를 참조하여 미등록 출입자들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기록하고 등록 출입자들의 출입현황(예: 근태)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3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부(310), 데이터베이스부(330), 출입 및 근태관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사용자 식별부(31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이미지 정보(예: 휴대단말기(100)의 실제 사용자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3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와 카메라 장치(200) 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로서, 상기 구분정보와 카메라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입기록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부(330)는 출입자들의 출입을 통제하고 출입현황(예: 근태) 관리를 위해, 출입기록 DB, 출근기록 DB, 퇴근기록 DB, 미등록자 출입기록 DB, 기타 출입기록 DB 등의 저장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및 근태관리부(320)는 상기 사용자 식별부(310)의 식별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330)의 저장 정보들을 참조하여 출입자들의 근태(예: 출근, 지각, 결근, 외출, 복귀, 퇴근 등)를 관리하고 정상적인 출퇴근 여부를 체크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단말기(100)와 무선통신 시스템(예: 관리 서버(300)) 간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단말기(100)와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단말기(100)와 카메라 장치(200) 간의 근거리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모듈(114),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115), NFC모뎀(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14)은 인근에 위치한 전자기기(예: 카메라 장치(200))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말한다. 적용가능한 근거리 통신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출퇴근을 위한 구분정보와 휴대단말(100)이 촬영한 사용자 이미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적용가능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있다.
상기 A/V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122)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측에 표시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한다. 그리고 이렇게 처리되거나 촬영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제거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때,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상기 센싱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개폐상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제어를 위한 센싱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의 전원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기기 결합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 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휴대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가 휴대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그리고,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악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2)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휴대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 2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or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의 임시 저장, 음악컨텐츠, 추천 컨텐츠 리스트 등)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입력된 구분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해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단말의 각 구성요소(110, 120, 130, 140, 150, 160, 170, 190)와 연동하여,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웹 표준을 지원하는 각종 운영체제(예: Microsoft Windows, Apple OS X, Linux (Ubuntu 등), Apple iOS, Google Android 등)는 물론, HTML5 표준을 지원하는 브라우저(예: Microsoft Internet Explorer(v8 이상), Google Chrome, Apple Safari 등)를 실행(or 인스톨)할 수 있는 환경과 성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서비스 앱(app)은 제어부(180)에 탑재될 수 있다.
제어부(180)에 탑재되는 출입감시 서비스 앱(app)은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앱(app, 180)을 미리 다운로드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인스톨(install)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서비스 앱(app)의 처리 정보와 관리 화면들(예: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등)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출근시간(예: 09시 00분) 이전 혹은 퇴근시간(예: 18시 00분) 이후에 사용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면,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 만일, 화면 디스플레이 후, 소정 시간(예: 30초) 동안 입력이 없으면 해당 출입을 근태(예: 출근, 퇴근 등)와 상관없는 단순한 출입으로 처리한다.
만일, 사용자의 출입이 출퇴근 시간대(09시00분 이전 혹은 18시00분 이후)가 아닌, 근무시간 중이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강제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화면 하단의 출퇴근 구분버튼을 선택하여 입력(터치)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200)는 카메라 모듈(210), 영상 처리부(220), 이동체 감지부(230), 제어부(240), 통신부(250), 저장부(260), 전원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250)는 제1통신부(254)와 제2통신부(25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통신부(254)는 카메라 장치(200)와 휴대단말기(100) 간의 근거리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적용가능한 근거리 통신기술로는 블루투스 (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있다. 상기 제1통신부(254)는 근거리 통신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접근을 감지한다.
상기 이동체 감지부(230)는 출입구 주변의 이동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200) 주변의 탐지영역 내에서, 금속성 물질 혹은 금속성 물질을 소지한 물체가 이동하거나 자기장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는 자기 검출모듈을 포함한다. 이동체 감지부(230)는 휴대단말기(100)없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접근 객체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제1통신부(254)와 이동체 감지부(230)의 감지신호를 참조하여, 접근 객체에 관한 정보 및 접근시간(출입시간)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240)는 우선, 출입구로 접근하는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신호가 상기 제1통신부(254)를 통해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210)을 동작시키고, 단말의 접근시간(출입시간)을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그 체크결과, 등록된 사용자이고 당일 최초 출입(예: 출근)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 또는 퇴근이 아닌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의 촬영 영상을 삭제한다.
제어부(240)는 사용자의 출입이 검출된 시간(예: 접근시간 or 출입시간)을 참조하여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출근/퇴근 구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된 정보들을 제2통신부(258)를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210)은 소정의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 모듈(210)은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출입구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220)는 상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화 한다.
상기 저장부(260)는 상기 제어부(240)의 검출정보와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2통신부(258)는 카메라 장치(200)와 관리서버(300) 간의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통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또한, 유선통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통신부(258)는, 출입 및 근태관리를 위해,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된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
상기 전원부(270)는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예: 210, 220, 230, 250, 260, 27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감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휴대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출입구 주변 즉, 카메라 장치(200) 주변의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장치(200)는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통신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S10)
카메라 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통신 신호가 감지되면(S20), 우선, 내장된 카메라 모듈(210)을 동작시켜 상기 출입구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고(S30), 단말의 접근시간(근거리통신신호 감지시간 or 출입시간)을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100)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고, 휴대단말기(100) 로부터 사용자 정보가 회신되면, 회신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100)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S40 ~ S50)
카메라 장치(200)는 상기 체크 결과를 참조하여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절차에 따라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or 삭제)하고 출입기록 정보를 생성한다. (S80)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카메라 장치(200)는 상기 휴대단말(100)로부터 회신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상기 휴대단말(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S81) 그리고,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미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S81, S82)
만일,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 또는 퇴근인 경우, 카메라 장치(200)는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S84, S82) 시스템 관리자는 필요한 경우, 이때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대리 출/퇴근 체크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200)는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이나 퇴근이 아닌 경우, 즉 일과시간 중 일상적인 출입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은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되어 저장부(260)에 저장되지 않는다. (S84, S85)
카메라 장치(200)는 저장부(260)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or 삭제)할 때, 출입기록 정보(예: 사용자 정보, 근태(예: 출근, 퇴근 등)정보, 출입시간 등)도 함께 저장한다.(S83) 그리고, 출입 및 근태관리를 위해, 상기 저장부(260)의 저장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 (S90)
한편, 상기 과정(S50)에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회신한 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휴대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출퇴근 관리를 위해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카메라 모듈(121)을 구동하여,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측에 표시될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한다. (S60)
사용자가 단말기(100) 전면에 부착된 카메라에 얼굴을 맞추고 단말화면 하단의 출퇴근 구분버튼을 선택(입력 or 터치)하면, 휴대단말기(100)는 사용자 이미지의 획득(촬영)하여 상기 입력된 구분정보(출근 or 퇴근)와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200)와 관리서버(300)로 전달한다. (S70)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입력된 구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200)로부터는 저장부(260)의 저장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관리 서버(30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200)의 전달 정보를 참조하여 미등록 출입자들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기록하고 등록 출입자들의 출입현황(예: 근태)을 관리한다. (S100, S110)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이미지 정보(예: 휴대단말기(100)의 실제 사용자 이미지)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330)에 저장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출입자들의 근태(예: 출근, 지각, 결근, 외출, 복귀, 퇴근 등)를 관리하고 정상적인 출퇴근 여부를 체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80, 24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제어부(180, 24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24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스마트폰과 연동시켜, 미등록자의 출입을 감시하고 근무자의 근태를 관리하는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카드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이 갖는 출입카드 소지의 불편함과 카드의 분실 파손 등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출퇴근 상황에서 많은 수의 사용자가 출입구에 갑자기 몰린 상황에서도 다수 사용자들의 근태체크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생체인증 시스템에 비해, 에러 가능성이 낮고, 다수의 출입자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가능하다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100 : 휴대단말기 200 : 카메라 장치
210 : 카메라 모듈 220 : 영상 처리부
230 : 이동체 감지부 240 : 제어부
250 : 통신부 260 : 저장부
270 : 전원부 300 : 관리서버
310 : 사용자 식별부 320 : 출입 및 근태관리부
33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12)

  1. 근거리통신 아이피(IP)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근태관리를 위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여 관리서버(300)로 전달하는 휴대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접근이 감지되면, 그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접근시간을 검출하고 출입구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서버(300)로 전달하는 카메라 장치(20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여 옳바른 사용자 인지를 식별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200)의 전달 정보를 참조하여 출입자들의 근태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통신부(254)와,
    휴대단말기(100)없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접근 객체를 감지하는 이동체 감지부(230)와,
    상기 제1통신부(254)와 이동체 감지부(230)의 감지신호를 참조하여, 접근 객체에 관한 정보 및 접근시간을 검출하는 제어부(240)와,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출입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10)과,
    상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영상 처리부(220)와,
    상기 제어부의 검출정보와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60)와,
    출입 및 근태관리를 위해,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된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0)로 전달하는 제2통신부(25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0)는
    출입구로 접근하는 휴대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210)을 동작시키고, 단말의 접근시간을 저장부(260)에 저장하며,
    상기 휴대단말(100)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결과, 등록된 사용자이고 당일 최초 출입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26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된 정보들을 제2통신부(258)를 통해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감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감지부(270)는
    상기 카메라 장치(200) 주변의 탐지영역 내에서, 금속성 물질 혹은 금속성 물질을 소지한 물체가 이동하거나 자기장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인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는 자기 검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3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구분정보와, 카메라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입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30)와,
    상기 식별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330)의 저장 정보들을 참조하여 출입자들의 근태를 관리하는 출입 및 근태관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통신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통신 모듈(114)과,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측에 표시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21)과,
    상기 카메라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요청 시 해당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입력받는 제어부(180)와,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입력된 구분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무선인터넷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감시 시스템.
  7. 아이피 카메라(200)의 출입자 감시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신호를 이용하여, 출입구로 접근하는 휴대단말기(100)가 있는지 감시하는 과정과,
    출입구로 접근하는 휴대단말기(100)가 감지되면, 내장된 카메라 모듈(210)을 동작시키고, 단말의 접근시간을 저장부(260)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단말(100)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 또는 퇴근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260)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미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저장부(260)에 저장하는 과정과,
    출입 및 근태관리를 위해, 상기 저장부(260)의 저장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0)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감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결과,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이고 해당 출입이 출근 또는 퇴근이 아닌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210)에 촬영된 영상을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감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피 카메라(200)는
    근거리 통신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통신부(254)와,
    휴대단말기(100)없이 출입구로 접근하는 접근 객체를 감지하는 이동체 감지부(230)와,
    상기 제1통신부(254)와 이동체 감지부(230)의 감지신호를 참조하여, 접근 객체에 관한 정보 및 접근시간을 검출하는 제어부(240)와,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출입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10)과,
    상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영상 처리부(220)와,
    상기 제어부의 검출정보와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60)와,
    출입 및 근태관리를 위해, 상기 저장부(260)에 저장된 정보들을 주기적으로 관리서버(300)로 전달하는 제2통신부(25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감시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근태관리를 위한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 이미지를 추출하여 관리서버(300)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감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를 인식하고 기저장된 이미지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맞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3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구분정보와, 카메라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출입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30)와,
    상기 식별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330)의 저장 정보들을 참조하여 출입자들의 근태를 관리하는 출입 및 근태관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감시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주기적으로 통신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통신 모듈(114)과,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근태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측에 표시되는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21)과,
    상기 카메라 장치(200)의 사용자 정보 요청 시 해당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출입이 출근인지 퇴근인지를 확인하는 구분정보를 입력받는 제어부(180)와,
    상기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와 상기 입력된 구분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무선인터넷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자 감시방법.
KR1020140158752A 2014-11-14 2014-11-14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KR20160057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52A KR20160057751A (ko) 2014-11-14 2014-11-14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752A KR20160057751A (ko) 2014-11-14 2014-11-14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751A true KR20160057751A (ko) 2016-05-24

Family

ID=5611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752A KR20160057751A (ko) 2014-11-14 2014-11-14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77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00B1 (ko) * 2016-11-16 2017-02-01 (주)와이즈콘 지능형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20180079855A (ko) * 2017-01-03 2018-07-11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WO2019124681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더에스 인터넷 브로드캐스팅 및 업로딩을 위한 카메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00B1 (ko) * 2016-11-16 2017-02-01 (주)와이즈콘 지능형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20180079855A (ko) * 2017-01-03 2018-07-11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
WO2019124681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더에스 인터넷 브로드캐스팅 및 업로딩을 위한 카메라
KR20190076547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더에스 인터넷 브로드캐스팅 및 업로딩을 위한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12581B2 (en) Supervising property access with portable camera
CN111279044B (zh) 车库门控制器和监视器以及模式
US9734644B2 (en) Wireless camera facilitated building security
KR101187342B1 (ko)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방문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문자 모니터링 방법
US20170061717A1 (en) Mobil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388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room
KR101838858B1 (ko) 생체인식 기능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구 제어방법
US20210209877A1 (en) Facial recognition frictionless access control
KR102353322B1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4617B1 (ko) 보안 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92691A1 (en) Entry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10586434B1 (en)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KR101265447B1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7751A (ko) 근거리 통신 아이피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감시 시스템
US20220084343A1 (en) Multifunction smart door lock
KR101843712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KR101977263B1 (ko) 비콘을 이용한 지능형 호출 시스템
KR20150137662A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3751B1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CN106791694A (zh) 基于电子设备的进门监视系统
JP6786317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675894B1 (ko) 사물인터넷 기술 및 rtls를 이용한 cctv 연계 출입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42032B1 (ko) 지능형 커뮤니케이션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