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943B1 -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943B1
KR102162943B1 KR1020200032215A KR20200032215A KR102162943B1 KR 102162943 B1 KR102162943 B1 KR 102162943B1 KR 1020200032215 A KR1020200032215 A KR 1020200032215A KR 20200032215 A KR20200032215 A KR 20200032215A KR 102162943 B1 KR102162943 B1 KR 10216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gate
access
body temperatur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관
Original Assignee
(주)엘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다임 filed Critical (주)엘다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시스템은 건설현장 출입위치 및 내부 통제구역에 설치된 게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며, 근로자에 대한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촬상부를 포함하는 출입통제기;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부여된 안전모ID 및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열화상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체온을 도출하며, 상기 근로자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및 상기 근로자 체온이 설정값 또는 설정 범위에 부합할 경우,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하는 관리서버; 상기 게이트의 오픈시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에서 작업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로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WALK-THROUGH SYSTEM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PERSON BY THERMAL IMAGE}
본 발명은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 현장, 건물 및 사무실 등과 같이 특정인만 출입이 허가되는 지역(장소)에는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건설 공사 현장은 일일 근로자를 채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안전 및 관리가 요구되는 장소로, 근로자의 출입을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관한 선행특허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6251호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근로자나 작업자의 현장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 카드(card) 등의 물리적인 도구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출입 통제 시스템은 분실, 파손 및 소지에 따른 불편함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난 및 복제 등에 따른 부정 출입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행특허문헌은 출입인증에 따른 근로자 출입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퇴근만 관리할 뿐, 근로자의 이동을 파악하거나, 작업스케줄에 따른 작업현황을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안면인식 및 안전모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제어하고, 작업스케줄에 따른 근로자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6251호(2015.08.24.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면인식 및 안전모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제어하고, 작업스케줄에 따른 근로자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염병의 작업 공간내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설현장 출입위치 및 내부 통제구역에 설치된 게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며, 근로자에 대한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촬상부를 포함하는 출입통제기;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부여된 안전모ID 및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열화상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체온을 도출하며, 상기 근로자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및 상기 근로자 체온이 설정값 또는 설정 범위에 부합할 경우,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하는 관리서버; 상기 게이트의 오픈시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에서 작업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로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근로자의 체온이 상기 설정값 또는 상기 설정 범위보다 높을경우, 상기 인식된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 단말기로 알람을 전송하며,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클로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로 병력 및 여행 이력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에 앞서 상기 게이트를 통과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과거 작업스케줄에 기반하여 상기 출입통제된 근로자가 과거에 작업한 작업 공간에 대한 방역 요청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과거 작업스케줄을 탐색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근로자와 같이 작업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은 안면인식, 안전모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입인증 및 열화상을 이용한 체온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건설현장 및 내부 통제구역의 출입을 제어하고, 작업스케줄에 따른 근로자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염병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출입 인증시 해당 게이트에서 근로자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내부 게이트에 카메라를 일일이 구비하지 않아도 근로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안면정보 및 안전모ID를 이용하여 게이트 출입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 및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출입허가시 인식된 안면정보를 근로자별로 학습시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안면인식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안면인식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게이트를 통과하는 근로자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이하,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은 안전모(100), 출입통제기(200a,200b), 근로자 단말기(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출입통제기(200a) 및 제2출입통제기(200b)의 구성에 있어, 카메라(210)의 구비 여부에만 차이가 있다.
제1출입통제기(200a) 및 제2출입통제기(200b)에 포함된 열화상 촬상부(25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현장 1차 출입을 위한 게이트 위치에는 카메라(210)를 구비한 제1출입통제기(200a)가 설치되고, 현장 내부에서 출입통제가 필요한 다수의 게이트 위치에는 카메라(210)가 미구비된 제2출입통제기(200b)를 구비하여 운용함으로써, 구축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중요 위치 및 현장조건에 따라 제1출입통제기(200a)를 설치할 수도 있고, 제2출입통제기(200b)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출입통제기(200a)는 카메라(210), ID인식기(220), 제어기(230) 및 게이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0) 및 ID인식기(220)는 게이트(24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근로자는 현장출입시 안전모(100)를 착용한 후, 제1출입통제기(200a) 및 관리서버(400)의 출입인증에 따라 게이트(24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안전모(100)는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태그 및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안전모(100)는 근로자의 착용을 감지시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기저장된 ID를 기설정범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ID는 일련의 숫자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안전모(100)의 태그를 이용하여 ID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모(100)에 ID가 기록되어, 기록된 일련의 숫자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안전모ID를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근로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안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D인식기(22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통신을 통한 안전모(100)의 ID수신 또는 태그인식을 통해 ID를 인식하거나, 안전모(100)에 기록된 ID(일련의 숫자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기(230)는 카메라(210)에서 생성한 안면정보 및 ID인식기(220)에서 인식된 안전모ID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여 출입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어기(230)는 관리서버(400)의 인증여부에 따라 게이트(240) 오픈을 제어함으로써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설현장이 복수 개의 동(건물)이 구분되어 있으면, 각 동의 입구에는 제1출입통제기(20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근로자의 동 입구 출입시 약 1m~2m 내에 CCTV에 얼굴분석모듈이 추가된 카메라(210)가 구비되어 안전모에 부착된 안전모ID(일예로, 특수 라벨번호)와 얼굴을 1:1 매칭하여 인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특수 라벨번호(ID) 또는 얼굴만 인식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400)는 수신된 안면정보 및 안전모ID가 DB(410)에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되면, 허가된 근로자로 파악하여 출입허가를 제어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관리서버(400)는 수신된 안면정보 및 안전모ID가 DB(410)에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 단말기(300)로 출입시도를 알림하고 출입제한을 제어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실시예에서 근로자 단말기(300)는 알림부(340)를 통해 출입시도를 알림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0)는 안전모ID가 인식되지 않으면, 안전모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500)로 SMS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 단말기(300)는 특정 게이트(240)의 출입허가에 따라 게이트를 통과하면, 관리서버(400)로부터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에 기반한 이동경로를 수신하여 알림부(3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출입통제기(200b)는 ID인식기(220), 제어기(230) 및 게이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ID인식기(220)는 게이트(24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ID인식기(220)는 도 1에서와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 즉, ID인식기(220)는 태그 또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안전모(100)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를 인식하여 제어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30)는 해당 게이트위치와 함께 안전모ID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은 근로자 단말기(3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출입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기(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근로자 단말기(300)는 카메라(310), 근거리통신부(320), 인증정보 생성부(330) 및 알림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기(300)는 근로자 앱이 설치된 근로자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근로자 앱은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스케줄, 출입인증요청, 작업이동경로 제공 및 알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근로자에 의해 특정 게이트에서 출입인증이 요청되면 구동되어 근로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안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320)는 출입인증 요청에 의한 카메라(310)의 구동시에만 근거리통신을 수행하여 안전모(100)에서 송신되는 안전모ID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정보 생성부(330)는 카메라(310)에 의해 생성된 안면정보와 근거리통신부(320)에 의해 수신된 안전모ID, 생성시간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위치정보는 인증정보 생성시점의 근로자 단말기(300)의 위치로, GPS 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알림부(340)는 관리서버(400)의 출입인증 판단에 따라 출입허가된 경우, 해당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이동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 경로는 출입허가된 게이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알림부(340)는 관리서버(400)에서 출입제한으로 판단시, 해당 게이트 출입이 제한됨을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관리서버(400)는 DB(410), 인증부(420), 모니터링부(430) 및 학습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DB(410)는 건설현장별 근로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 정보는 안면정보, 안전모ID, 근로자ID, 기본정보 및 작업스케줄(시간별 작업위치 및 작업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420)는 제1출입통제기(200a) 및 근로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 제2출입통제기(200b)로부터 수신되는 안전모ID 및 게이트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출입통제기(200a)에 의한 출입통제에 대해서는 도 1의 설명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하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출입통제기(200b)에 의한 출입통제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증부(420)는 근로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와 DB(410)에 기저장된 근로자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근로자ID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부(420)는 근로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와 근로자 단말기(300)의 위치정보가 제2출입통제기(200b)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 및 게이트 위치와 매칭되면, 실제 근로자가 해당 게이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420)는 파악된 근로자ID에 매칭된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작업위치 및 작업시간이, 실제 근로자가 위치하는 해당 게이트의 위치 및 인증정보 생성시간과 매칭되면 해당 게이트(240)의 출입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인증부(420)는 인증단계 중 한 단계라도 미인증되면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30)는 근로자별로 출입허가된 게이트(240)의 위치 및 출입시간을 파악하여 이동동선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의 작업스케줄과 매칭하여 작업현황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학습부(440)는 근로자별로 출입 허가시마다 인증정보 이용된 안면정보를 학습데이터로 학습하여 근로자별 안면인식 학습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근로자별 안면인 학습모델은 DB(400)의 근로자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고, 안면정보의 누적에 따라 업데이트되며, 인증부(420)의 출입인증시 안면인식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근로자의 안면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안전모에 부여된 ID와 근로자의 얼굴인식을 이용한 근로자 확인을 수행하였으나, 안전모 이외에도 건설현장에서 이용되는 근로자의 출퇴근차량, 작업차량, 중장비 등에도 특수라벨번호(ID)를 부여하고, 근로자의 얼굴인식 및 특수라벨번호 인식을 통해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측정 시스템은 ID인식기(220), 제어기(230), 근로자 단말기(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의 구성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나, ID인식기(220)가 근로자의 안전모ID 인식이 아닌, 차량에 부여된 ID(10)를 인식하고, 근로자 단말기(300)의 카메라(310)을 통해 인식된 안면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400)에서 게이트(240)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외 구성은 도 2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즉, 출입제어기(200b)에 구비된 ID인식기(220)는 근로자가 탑승한 차량에 부여된 ID(10)를 인식하여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 단말기(300)는 근로자에 의해 근로자의 안면이 촬영되면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ID인식기(220)로부터 차량에 부여된 ID(10)를 수신하고, 근로자 단말기(300)의 카메라(310)에서 인식된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매칭여부를 판단하여 출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근로자의 출입제어 및 이동을 파악할 수 있어, 근로자의 출퇴근, 교육참석, 안전조회참석, 식수관리 및 동별위치 파악 등이 가능하고, 차량 및 중장비 이용도 파악하여 이동 및 작업 등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통제기(200a,200b)는 근로자에 대한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촬상부(250)를 포함한다.
관리서버(400)는 열화상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체온을 도출하며, 근로자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및 근로자 체온이 설정값 또는 설정 범위에 부합할 경우,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240)를 오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200a,200b)를 제어한다. 근로자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근로자에 대한 열화상은 근로자가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전염병에 감염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열화상을 통하여 근로자의 체온이 도출될 수 있다. 설정값은 섭씨 38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정 범위는 섭씨 37.5도 내지 섭씨 38.5도일 수 있으나 이역시 이와 같은 설정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근로자 단말기(300)는 게이트(240)의 오픈시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게이트(240)에서 작업이동경로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출입통제기(200a,200b)는 제1출입통제기(200a)와 제2출입통제기(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출입통제기(200a)는 현장 1차 출입을 위한 게이트(240) 위치에 설치되고, 제2출입통제기(200b)는 현장 내부에서 출입통제가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열화상 촬상부(250)는 제1출입통제기(200a)에 포함되고 제2출입통제기(200b)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시스템의 구축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현장 위치의 중요도 및 현장 조건에 따라 제1출입통제기(200a)를 설치할 수도 있고, 제2출입통제기(200b)가 설치될 수도 있다.
DB(410)는 근로자의 열화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 해당 근로자의 체온, 열화상 촬상부가 구비된 제1출입통제기(200a)의 위치 및 열화상 촬상부가 구비되지 않은 제2출입통제기(200b)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400)는, 근로자의 체온이 설정값 또는 설정 범위보다 높을 경우, 인식된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 단말기(300)로 알람을 전송하며,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240)를 클로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200a,200b)를 제어할 수 있다.
근로자의 체온이 설정값 또는 설정 범위보다 높다는 것은 근로자가 전염병에 걸렸을 가능성이 큰 것이므로 해당 근로자가 작업 현장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상적인 근로자에게 전염병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400)는 게이트(240)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온이 높은 해당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알람을 전송함으로써 체온이 높은 해당 근로자가 신속하게 정밀 의료 검사를 받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400)는, 게이트(240)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병력 및 여행 이력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병력 및 여행 이력의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근로자 단말기(3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근로자 단말기(300)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병력 및 여행 이력은 관리서버(400)로 전송되어 DB(4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0)는 전송된 병력 및 여행 이력을 분석하여 전염병과 관련된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자가 격리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염병의 확산이 심각한 나라와 전염병에 심각한 영향을 받는 병명이 설정되어 DB(410)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근로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된 여행 이력과 병력이 설정된 국가 이름과 병명에 해당될 경우, 해당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자가 격리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400)는 게이트(240)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에 앞서 게이트(240)를 통과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의 구성 요소 중 게이트(240)만을 도 6에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 A의 안전모ID 및 안면정보가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치되고, 근로자 A의 체온이 정상적인 경우, 근로자 A는 게이트(240)를 통과하여 작업 영역에 들어설 수 있다.
그런데, 근로자 A의 다음 순서로 체크되는 근로자 B는 안전모ID 및 안면정보가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치되었지만, 근로자 B의 체온이 비정상적인 경우, 근로자 B는 전염병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 근로자 B에 앞서 게이트(240)를 통과한 근로자 A는 감염 가능성이 높은 근로자 B와 가깝게 있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관리서버(400)는 근로자 A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관리서버(400)는 근로자 A와 근로자 B의 체온이 도출된 시간을 DB(410)에 저장할 수 있다. 근로자 A가 근로자 B에 앞서 게이트(240)를 통과하더라도 근로자 A의 체온 도출 시간과 근로자 B의 체온 도출 시간의 차이가 크면 근로자 A와 근로자 B가 공간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근로자 A가 근로자 B와 밀접하게 접촉하지 않으므로 근로자 A에 대한 전염병 검사 요청이 필요없을 수 있다. 즉, 근로자 A에 대한 검사 요청은 근로자 A와 근로자 B의 체온 도출 시간이 기준 시간 이내일 경우 이루어질 수 있다.
근로자 A에 대한 검사 요청은 근로자 B의 체온이 비정상적임을 확인한 순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근로자 B의 체온 비정상에 따라 근로자 B에 대한 확진 판정이 이루어진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관리서버(400)는 게이트(240)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과거 작업스케줄에 기반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가 과거에 작업한 작업 공간에 대한 방역 요청을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 B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 근로자 B가 과거에 작업했었던 공간에 대한 방역이 필요할 수 있다. DB(410)는 근로자 B의 과거 작업스케줄을 저장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400)는 근로자 B의 과거 작업스케줄을 탐색하여 근로자 B가 작업했었던 작업 공간을 도출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도출된 작업공간을 관리자 단말기(5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방역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역 요청 역시 근로자 B의 체온이 비정상적임을 확인한 순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근로자 B의 체온 비정상에 따라 근로자 B에 대한 전염병 확진 판정이 이루어진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관리서버(400)는 게이트(240)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과거 작업스케줄을 탐색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근로자와 같이 작업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 B의 체온이 비정상인 경우, 근로자 B가 과거에 같이 작업했었던 근로자들 역시 전염병에 감염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400)는 체온 비정상으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 B의 과거 작업스케줄을 탐색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근로자 B와 같이 작업한 근로자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근로자들 각각의 근로자 단말기(300)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염병 검사 요청 역시 근로자 B의 체온이 비정상적임을 확인한 순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근로자 B의 체온 비정상에 따라 근로자 B에 대한 전염병 확진 판정이 이루어진 다음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안전모 200a,200b : 출입통제기
300 : 근로자 단말기 400 : 관리서버
5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7)

  1. 건설현장 출입위치 및 내부 통제구역에 설치된 게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며, 근로자에 대한 열화상을 촬영하는 열화상 촬상부를 포함하는 출입통제기;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부여된 안전모ID 및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열화상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체온을 도출하며, 상기 근로자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및 상기 근로자 체온이 설정값 또는 설정 범위에 부합할 경우,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게이트의 오픈시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에서 작업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로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에 앞서 상기 게이트를 통과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근로자의 체온이 상기 설정값 또는 상기 설정 범위보다 높을경우, 상기 인식된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 단말기로 알람을 전송하며,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클로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로 병력 및 여행 이력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과거 작업스케줄에 기반하여 상기 출입통제된 근로자가 과거에 작업한 작업 공간에 대한 방역 요청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게이트의 클로즈로 인하여 출입통제된 근로자의 과거 작업스케줄을 탐색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근로자와 같이 작업한 근로자의 근로자 단말기로 전염병 검사를 요청하는 알림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KR1020200032215A 2020-01-31 2020-03-16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KR102162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1524 2020-01-31
KR1020200011524 2020-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943B1 true KR102162943B1 (ko) 2020-10-13

Family

ID=7288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215A KR102162943B1 (ko) 2020-01-31 2020-03-16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9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9280A (zh) * 2020-11-20 2021-03-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五莲县供电公司 一种变电站人身安全监控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2681182A (zh) * 2020-12-16 2021-04-20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温度控制人员进出的道闸及其使用方法
KR102344107B1 (ko) * 2021-04-29 2021-12-29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근로자 안전사고 예방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2463A (ko)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씨엠랩 스탠드형 체온계
KR102389858B1 (ko) * 2021-07-05 2022-04-21 김무경 Ai 카메라를 이용한 작업장 선별 입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1622A (ko) 2020-10-19 2022-04-26 변원섭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확산 방지용 이중 인터로킹 출입문 도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540A (ja) * 2009-09-18 2011-03-31 Hitachi Solutions Ltd パンデミック対応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50096251A (ko) 2014-02-14 2015-08-24 쉬스콘 주식회사 공사 현장의 근로자 출퇴근 관리 시스템
KR101549599B1 (ko) * 2014-06-02 2015-09-02 고권태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KR101932379B1 (ko) * 2018-03-21 2019-03-20 이찬기 영유아 및 어린이 집단시설용 질병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9200503A (ja) * 2018-05-15 2019-11-2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5540A (ja) * 2009-09-18 2011-03-31 Hitachi Solutions Ltd パンデミック対応健康管理システム
KR20150096251A (ko) 2014-02-14 2015-08-24 쉬스콘 주식회사 공사 현장의 근로자 출퇴근 관리 시스템
KR101549599B1 (ko) * 2014-06-02 2015-09-02 고권태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KR101932379B1 (ko) * 2018-03-21 2019-03-20 이찬기 영유아 및 어린이 집단시설용 질병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9200503A (ja) * 2018-05-15 2019-11-2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463A (ko)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씨엠랩 스탠드형 체온계
KR20220051622A (ko) 2020-10-19 2022-04-26 변원섭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확산 방지용 이중 인터로킹 출입문 도어 시스템
CN112489280A (zh) * 2020-11-20 2021-03-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五莲县供电公司 一种变电站人身安全监控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2681182A (zh) * 2020-12-16 2021-04-20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温度控制人员进出的道闸及其使用方法
KR102344107B1 (ko) * 2021-04-29 2021-12-29 (주)한동생활과학연구소 근로자 안전사고 예방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2389858B1 (ko) * 2021-07-05 2022-04-21 김무경 Ai 카메라를 이용한 작업장 선별 입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943B1 (ko)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KR102093805B1 (ko)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KR101419794B1 (ko) 학교 방문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학교 출입자 관리 방법
KR101549599B1 (ko)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JP5055905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入退室管理ロボット装置、および入退室管理プログラム
KR20180027707A (ko) 관제센터 중심의 키오스크 기반 출입통제 시스템
US20210358244A1 (en) Passive multi-factor access control with biometric and wireless capability
JP2017536587A (ja) 監視及び制御システムとアクセスと禁止区域への立ち入り法
EP2131321A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KR101305371B1 (ko) 영상 전송이 가능한 실시간 위치 추적 서비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373453A (zh) 具有无线电和人脸识别机制的入口监控系统
WO2019017440A1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JP2008027286A (ja) 個人認証システム
KR101547489B1 (ko) 출입 통제 및 위치 인식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KR101265447B1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KR101728158B1 (ko) 소방 안전 관리 및 경비 대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5479B1 (ko) 건물 출입 관리시스템
JP2012008802A (ja) 監視システム及び人物特定方法
KR20110133956A (ko)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KR1015230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JP7043897B2 (ja) 電子文書表示制御システム
KR102442094B1 (ko) 적외선 체온 측정이 가능한 인터폰
KR102052178B1 (ko) 원격 IoT 시건 장치
JP2006099687A (ja) 利用者認証装置
US20230222856A1 (en) Building system with credential and body temperature verification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