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805B1 -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 Google Patents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805B1
KR102093805B1 KR1020190107464A KR20190107464A KR102093805B1 KR 102093805 B1 KR102093805 B1 KR 102093805B1 KR 1020190107464 A KR1020190107464 A KR 1020190107464A KR 20190107464 A KR20190107464 A KR 20190107464A KR 102093805 B1 KR102093805 B1 KR 10209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gate
information
access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관
Original Assignee
김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관 filed Critical 김동관
Priority to KR102019010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설현장 출입위치 및 내부 통제구역에 설치된 게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복수의 출입통제기,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부여된 안전모ID 및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시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하고, 비매칭시 인식된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단말기로 안전모 사용을 알림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게이트의 오픈시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에서 작업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로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Operating platform system using the faec of worker and special label number analysis module in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설현장 출입위치 및 내부 통제구역에 설치된 게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복수의 출입통제기,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부여된 안전모ID 및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시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하고, 비매칭시 인식된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단말기로 안전모 사용을 알림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게이트의 오픈시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에서 작업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로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 현장, 건물 및 사무실 등과 같이 특정인만 출입이 허가되는 지역(장소)에는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건설 공사 현장은 일일 근로자를 채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고 안전 및 관리가 요구되는 장소로, 근로자의 출입을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관한 선행특허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6251호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근로자나 작업자의 현장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 카드(card) 등의 물리적인 도구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출입 통제 시스템은 분실, 파손 및 소지에 따른 불편함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난 및 복제 등에 따른 부정 출입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행특허문헌은 출입인증에 따른 근로자 출입정보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퇴근만 관리할 뿐, 근로자의 이동을 파악하거나, 작업스케줄에 따른 작업현황을 확인할 수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안면인식 및 안전모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제어하고, 작업스케줄에 따른 근로자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5-0096251호(2015.08.24.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면인식 및 안전모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제어하고, 작업스케줄에 따른 근로자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은 건설현장 출입위치 및 내부 통제구역에 설치된 게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복수의 출입통제기,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부여된 안전모ID 및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시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하고, 비매칭시 인식된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단말기로 안전모 사용을 알림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게이트의 오픈시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에서 작업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로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출입통제기 중 적어도 하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설치되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의 안전모ID를 인식하는 ID인식기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근로자의 안면정보 및 상기 ID인식기 의해 인식된 안전모ID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출입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오픈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출입통제기 중 적어도 하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의 안전모ID를 인식하는 ID인식기 상기 안전모 인식± 의해 인식된 안전모ID 및 해당 게이트 위치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오픈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로자 단말기는, 근로자의 출입인증 요청시 구동되어 상기 근로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구동시에만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안전모에서 송신되는 안전모ID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 안전모ID, 생성시간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인증정보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출입인증을 요청하는 인증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근로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와 기저장된 근로자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근로자ID를 파악하고, 상기 근로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 및 근로자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 및 게이트 위치와 매칭되면, 실제 근로자가 해당 게이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파악된 근로자ID에 매칭된 작업스케줄의 작업위치 및 작업시간이, 실제 근로자가 위치하는 해당 게이트의 위치 및 인증정보 생성시간과 매칭되면 해당 게이트의 출입을 허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근로자별로 출입허가된 게이트의 위치 및 출입시간을 파악하여 근로자의 이동동선을 파악하고, 작업스케줄과 비교하여 작업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출입 허가시마다 인증정보로 이용된 안면정보를 근로자별 학습데이터로 학습하여 근로자별 안면인식 학습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안면정보 매칭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는, 상기 ID인식기로부터 차량 또는 중장비에 부여된 상기 안전모ID와 동일한 ID를 수신하고, 상기 근로자 단말기의 카메라에서 인식된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수신하면,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매칭여부를 판단하여 출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은 안면인식 및 안전모를 이용하여 근로자의 출입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건설현장 및 내부 통제구역의 출입을 제어하고, 작업스케줄에 따른 근로자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출입 인증시 해당 게이트에서 근로자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내부 게이트에 카메라를 일일이 구비하지 않아도 근로자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안면정보 및 안전모ID를 이용하여 게이트 출입을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 및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출입허가시 인식된 안면정보를 근로자별로 학습시킨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안면인식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안면인식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이하, 운영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플랫폼은 안전모(100), 출입통제기(200a,200b), 근로자 단말기(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출입통제기(200a) 및 제2출입통제기(200b)의 구성에 있어, 카메라(210)의 구비 여부에만 차이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현장 1차 출입을 위한 게이트 위치에는 카메라(210)를 구비한제1출입통제기(200a)가 설치되고, 현장 내부에서 출입통제가 필요한 다수의 게이트 위치에는 카메라(210)가 미구비된 제2출입통제기(200b)를 구비하여 운용함으로써, 구축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중요 위치 및 현장조건에 따라 제1출입통제기(200a)를 설치할 수도 있고, 제2출입통제기(200b)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영플랫폼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출입통제기(200a)는 카메라(210), ID인식기220), 제어기(230) 및 게이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0) 및 ID인식기220)는 게이트(24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근로자는 현장출입시 안전모(100)를 착용한 후, 제1출입통제기(200a) 및 관리서버(400)의 출입인증에 따라 게이트(24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안전모(100)는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태그 및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안전모(100)는 근로자의 착용을 감지시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기저장된 ID를 기설정범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ID는 일련의 숫자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안전모(100)의 태그를 이용하여 ID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모(100)에 ID가 기록되어, 기록된 일련의 숫자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안전모ID를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근로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안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D인식기220)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통신을 통한 안전모(100)의 ID수신 또는 태그인식을 통해 ID를 인식하거나, 안전모(100)에 기록된 ID(일련의 숫자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기(230)는 카메라(210)에서 생성한 안면정보 및 ID인식기220)에서 인식된 안전모ID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하여 출입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어기(230)는 관리서버(400)의 인증여부에 따라 게이트(240) 오픈을 제어함으로써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설현장이 복수 개의 동(건물)이 구분되어 있으면, 각 동의 입구에는 제1출입통제기(200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근로자의 동 입구 출입시 약 1m~2m 내에 CCTV에 얼굴분석모듈이 추가된 카메라(210)가 구비되어 안전모에 부착된 안전모ID(일예로, 특수 라벨번호)와 얼굴을 1:1 매칭하여 인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특수 라벨번호(ID) 또는 얼굴만 인식할 수도 있다.
관리서버(400)는 수신된 안면정보 및 안전모ID가 DB(410)에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되면, 허가된 근로자로 파악하여 출입허가를 제어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관리서버(400)는 수신된 안면정보 및 안전모ID가 DB(410)에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 단말기(300)로 출입시도를 알림하고 출입제한을 제어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실시예에서 근로자 단말기(300)는 알림부(340)를 통해 출입시도를 알림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0)는 안전모ID가 인식되지 않으면, 안전모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 SMS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근로자 단말기(300)는 특정 게이트(240)의 출입허가에 따라 게이트를 통과하면, 관리서버(400)로부터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에 기반한 이동경로를 수신하여 알림부(34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영플랫폼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출입통제기(200b)는 ID인식기220), 제어기(230) 및 게이트(240)를 포함할 수 있다. ID인식기220)는 게이트(24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ID인식기220)는 도 1에서와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 즉, ID인식기220)는 태그 또는 근거리통신을 통해 안전모(100)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를 인식하여 제어기(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30)는 해당 게이트위치와 함께 안전모ID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영플랫폼은 근로자단말기(300)를 통해 관리서버(400)로 출입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로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근로자 단말기(300)는 카메라(310), 근거리통신부(320), 인증정보 생성부(330) 및 알림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 단말기(300)는 근로자 앱이 설치된 근로자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근로자 앱은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스케줄, 출입인증요청, 작업이동경로 제공 및 알림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근로자에 의해 특정 게이트에서 출입인증이 요청되면 구동되어 근로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안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320)는 출입인증 요청에 의한 카메라(310)의 구동시에만 근거리통신을 수행하여 안전모(100)에서 송신되는 안전모ID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정보 생성부(330)는 카메라(310)에 의해 생성된 안면정보와 근거리통신부(320)에 의해 수신된 안전모ID, 생성시간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위치정보는 인증정보 생성시점의 근로자 단말기(300)의 위치로, GPS 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알림부(340)는 관리서버(400)의 출입인증 판단에 따라 출입허가된 경우, 해당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이동할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이동 경로는 출입허가된 게이트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알림부(340)는 관리서버(400)에서 출입제한으로 판단시, 해당 게이트 출입이 제한됨을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관리서버(400)는 DB(410), 인증부(420), 모니터링부(430) 및 학습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DB(410)는 건설현장별 근로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 정보는 안면정보, 안전모ID, 근로자ID, 기본정보 및 작업스케줄(시간별 작업위치 및 작업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420)는 제1출입통제기(200a) 및 근로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정보, 제2출입통제기(200b)로부터 수신되는 안전모ID 및 게이트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출입통제기(200a)에 의한 출입통제에 대해서는 도 1의 설명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하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출입통제기(200b)에 의한 출입통제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증부(420)는 근로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와 DB(410)에 기저장된 근로자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근로자ID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부(420)는 근로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와 근로자 단말기(300)의 위치정보가 제2출입통제기(200b)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 및 게이트 위치와 매칭되면, 실제 근로자가 해당 게이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증부(420)는 파악된 근로자ID에 매칭된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작업위치 및 작업시간이, 실제 근로자가 위치하는 해당 게이트의 위치 및 인증정보 생성시간과 매칭되면 해당 게이트(240)의 출입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인증부(420)는 인증단계 중 한 단계라도 미인증되면 출입을 제한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30)는 근로자별로 출입허가된 게이트(240)의 위치 및 출입시간을 파악하여 이동동선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의 작업스케줄과 매칭하여 작업현황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학습부(440)는 근로자별로 출입 허가시마다 인증정보 이용된 안면정보를 학습데이터로 학습하여 근로자별 안면인식 학습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근로자별 안면인 학습모델은 DB(400)의 근로자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고, 안면정보의 누적에 따라 업데이트되며, 인증부(420)의 출입인증시 안면인식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이에, 근로자의 안면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안전모에 부여된 ID와 근로자의 얼굴인식을 이용한 근로자 확인을 수행하였으나, 안전모 이외에도 건설현장에서 이용되는 근로자의 출퇴근차량, 작업차량, 중장비 등에도 특수라벨번호(ID)를 부여하고, 근로자의 얼굴인식 및 특수라벨번호 인식을 통해 출입을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운영플랫폼은 ID인식기 (220), 제어기(230), 근로자단말기(300) 및 관리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5의 실시 예에 따른 운영플랫폼의 구성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나, ID인식기(220)가 근로자의 안전모ID 인식이 아닌, 차량에 부여된 ID(10)를 인 식하 고, 근로자단말기(300)의 카메라(310)을 통해 인식된 안면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400)에서 게이트(240)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외 구성은 도 2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즉, 출입제어기(200b)에 구비된 ID인식기(220)는 근로자가 탑승한 차량에 부여된 ID(10)를 인식하여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근로자 단말기(300)는 근로자에 의해 근로자의 안면이 촬영되면 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ID인식기(220)로부터 차량에 부여된 ID(10)를 수신하고, 근로자 단말기(300)의 카메라(310)에서 인식된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수신하여,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매칭여부를 판단하여 출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근로자의 출입제어 및 이동을 파악할 수 있어, 근로자의 출퇴근, 교육참석, 안전조회참석, 식수관리 및 동별위치 파악 등이 가능하고, 차량 및 중장비 이용도 파악하여 이동 및 작업 등을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안전모 200a,200b : 출입통제기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관리서버

Claims (7)

  1. 건설현장 1차 출입위치에 설치되어 게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하나의 출입통제기;
    건설현장 내부의 통제구역에 설치된 게이트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카메라가 미구비된 다른 하나의 출입통제기;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에 부여된 안전모ID 및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인식하여 기저장된 근로자정보와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시 근로자 위치에 대응되는 게이트를 오픈하도록 해당 출입통제기를 제어하고, 비매칭시 인식된 안전모ID에 대응되는 근로자단말기로 안전모 사용을 알림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게이트의 오픈시 근로자의 작업스케줄을 기반으로 상기 게이트에서 작업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로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하나의 출입통제기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의 안전모ID 를 인식하는 ID인식기 상기 ID인식기 의해 인식된 안전모ID 및 해당 게이트 위치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오픈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근로자 단말기는,
    근로자의 출입인증 요청시 구동되어 상기 근로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구동시에만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안전모에서 송신되는 안전모ID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부; 상기 근로자의 안면정보, 안전모ID, 생성시간 및 실시간 위치정보를 인증정보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출입인증을 요청하는 인증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출입통제기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상부에 설치되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의 안전모ID를 인식하는 ID인식기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근로자의 안면정보 및 상기 ID인식기 의해 인식된 안전모ID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출입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를 오픈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근로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인증정보와 기저장된 근로자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근로자ID를 파악하고,
    상기 근로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 및 근로자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정보가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안전모ID 및 게이트 위치와 매칭되면, 실제 근로자가 해당 게이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파악된 근로자ID에 매칭된 작업스케줄의 작업위치 및 작업시간이, 실제 근로자가 위치하는 해당 게이트의 위치 및 인증정보 생성시간과 매칭되면 해당 게이트의 출입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근로자별로 출입허가된 게이트의 위치 및 출입시간을 파악하여 근로자의 이동동선을 파악하고, 작업스케줄과 비교하여 작업현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출입 허가시마다 인증정보로 이용된 안면정보를 근로자별 학습데이터로 학습하여 근로자별 안면인식 학습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근로자의 안면정보 매칭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ID인식기로부터 차량 또는 중장비에 부여된 상기 안전모ID와 동일한 ID를 수신하고, 상기 근로자 단말기의 카메라에서 인식된 근로자의 안면정보를 수신하면, 기저장된 근로자 정보와 매칭여부를 판단하여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KR1020190107464A 2019-08-30 2019-08-30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KR102093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64A KR102093805B1 (ko) 2019-08-30 2019-08-30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64A KR102093805B1 (ko) 2019-08-30 2019-08-30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805B1 true KR102093805B1 (ko) 2020-03-26

Family

ID=6995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464A KR102093805B1 (ko) 2019-08-30 2019-08-30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8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49B1 (ko) * 2021-04-08 2022-02-10 주식회사 그인토탈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69229B1 (ko) * 2021-09-16 2022-03-03 주식회사 시티랩스 지하공동구 특화 레일로봇 기반 위험예측시스템 및 위험예측방법
KR20220043334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산업현장의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현장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360120A (zh) * 2021-12-20 2022-04-15 北京中铁建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人帽绑定的智慧工地安全帽定位系统
CN114783144A (zh) * 2022-06-17 2022-07-22 深圳市易智博网络科技有限公司 智慧建筑工地安全监控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05A (ko) * 2009-04-01 2010-10-11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Rfid와 dvr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출역관리 시스템
KR20110092923A (ko) * 2010-02-11 2011-08-18 한국수자원공사 패턴인식을 통한 출입통제시스템
US20150096251A1 (en) 2011-12-21 2015-04-09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Facade
KR101549599B1 (ko) * 2014-06-02 2015-09-02 고권태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KR101884309B1 (ko) * 2017-08-04 2018-08-02 주식회사 와이랩스 비콘을 이용한 건설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705A (ko) * 2009-04-01 2010-10-11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Rfid와 dvr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출역관리 시스템
KR20110092923A (ko) * 2010-02-11 2011-08-18 한국수자원공사 패턴인식을 통한 출입통제시스템
US20150096251A1 (en) 2011-12-21 2015-04-09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Facade
KR101549599B1 (ko) * 2014-06-02 2015-09-02 고권태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KR101884309B1 (ko) * 2017-08-04 2018-08-02 주식회사 와이랩스 비콘을 이용한 건설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3334A (ko) * 2020-09-29 2022-04-05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산업현장의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현장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8488B1 (ko) * 2020-09-29 2023-04-04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산업현장의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현장 출입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0549B1 (ko) * 2021-04-08 2022-02-10 주식회사 그인토탈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69229B1 (ko) * 2021-09-16 2022-03-03 주식회사 시티랩스 지하공동구 특화 레일로봇 기반 위험예측시스템 및 위험예측방법
CN114360120A (zh) * 2021-12-20 2022-04-15 北京中铁建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人帽绑定的智慧工地安全帽定位系统
CN114360120B (zh) * 2021-12-20 2024-01-02 北京中铁建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人帽绑定的智慧工地安全帽定位系统
CN114783144A (zh) * 2022-06-17 2022-07-22 深圳市易智博网络科技有限公司 智慧建筑工地安全监控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805B1 (ko)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KR102162943B1 (ko)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KR101549599B1 (ko)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CN109074618B (zh) 在与多个访问控件交互时捕获用户意图
KR101567280B1 (ko)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00410791A1 (en) Site supervisor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KR101937200B1 (ko) 앱을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KR10169867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출입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765621B (zh) 人防门移动运维的安全巡检系统及巡检方法
CN105785959B (zh) 基于近场通信的现代化工厂设备管理方法
EP2131321A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KR101521947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JP6180682B1 (ja) セキュリティゲート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946756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이원화 출입보안 시스템
KR101765080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4454B1 (ko)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KR20180125729A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US11250657B2 (en) Power plant operation histor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operation history of power plant using wearable device
KR102076357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52178B1 (ko) 원격 IoT 시건 장치
KR20150012904A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CN112861753B (zh) 一种常用空间内的管理方法
KR20160053551A (ko) 작업 인력 관리 장치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KR20190001488A (ko) 생체신호 셀프 자동등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