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280B1 -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280B1
KR101567280B1 KR1020150080170A KR20150080170A KR101567280B1 KR 101567280 B1 KR101567280 B1 KR 101567280B1 KR 1020150080170 A KR1020150080170 A KR 1020150080170A KR 20150080170 A KR20150080170 A KR 20150080170A KR 101567280 B1 KR101567280 B1 KR 10156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terminal
unit
management serv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첫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첫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첫눈
Priority to KR102015008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함체는, 전원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함체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부; 카메라와 연결되어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입력정보 처리부; 및 단말기와의 거리에 의해 상기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함체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Locking Box, Management system for Locking Box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실시 예는 함체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함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CCTV, 통신장비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리자를 통해서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함체를 사용한다. 함체 내부에는 각종 전기장치 및 전자장비들이 구비되어 있어,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함체 내부 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며, 필요시 유지보수를 시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함체가 무단으로 개방되어 강압적인 충격에 의해 장비가 훼손되어 관리가 어렵고, 개방된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44046호(공고일 : 2009. 04. 07, 등록일: 2009. 03. 30,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서는 열쇠를 사용하여 함체를 개폐함으로써 열쇠를 소지하지 않은 타인에 의해 함체가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열쇠를 분실할 경우, 열쇠를 습득한 타인에 의해 함체가 개방 될 수 있으며,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 및 전자장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함체를 개방하여 확인할 수밖에 없어, 각 함체와 함체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 및 함체와 연결된 장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함체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효율적 관리를 구현할 수 있는 함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는, 전원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함체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부; 카메라와 연결되어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입력정보 처리부; 및 단말기와의 거리에 의해 상기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함체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은, 함체에 대한 개폐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권한을 확인하여, 현재권한을 산출하여 상기 함체로 명령을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하는 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권한은 상기 단말기와 함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산출된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단말기가 함체에 대한 개폐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권한을 확인하여, 현재권한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함체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함체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권한은 상기 단말기와 함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산출한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는 함체와 단말기의 위치를 통해 함체의 개폐를 결정하여 함체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은 단말기 별로 다른 권한을 부여하고, 위치에 따라 권한을 변경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황에 따라 전원모드를 변경하여 누전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는 영상처리를 통해 경보 및 알림을 수행하여 방범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는, 전원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함체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부; 카메라와 연결되어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입력정보 처리부; 및 단말기와의 거리에 의해 상기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함체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는 위치좌표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형상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상기 함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개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의 전원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 의해 이상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이상영역을 확대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테이블을 통해 상기 이상영역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추출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전원 공급부, 외부전원 연결부 및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폐쇄하고,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 또는 보조 전원부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은, 함체에 대한 개폐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권한을 확인하여, 현재권한을 산출하여 상기 함체로 명령을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하는 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권한은 상기 단말기와 함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산출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함체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요청된 권한보다 낮은 권한을 현재 권한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명령을 수신한 후 카메라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식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명령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 인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신호에 대응되는 필드를 생성하며, 상기 함체는 상기 필드를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단말기가 함체에 대한 개폐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권한을 확인하여, 현재권한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함체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함체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권한은 상기 단말기와 함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산출한다.
상기 관리서버가 현재권한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함체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요청된 권한보다 낮은 권한으로 현재권한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함체가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는, 전원모드를 변경하여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식별되는 경우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현재권한을 산출한 후 상기 단말기로 인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신호에 대응되는 필드를 생성하며, 상기 함체는 상기 필드를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함체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1)은 함체(100), 단말기(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상기 관리서버(300)에 연결되어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명령을 전송받아 이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상기 함체(100)는 상기 명령에 대한 수행 결과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관리서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관리서버(300)에 연결되어 상기 함체(200)에 대한 제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에는 다수의 함체(1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함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함체(100)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함체(100)를 모니터링하여 이상유무를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단말기(200)의 요청에 의해 상기 함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100)는 함체 제어부(110), 전원부(120), 통신부(130), 도어 개폐부(140), 입력정보 처리부(150), 환경 유지부(160) 및 표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에는 카메라(180) 및 마이크(19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90)는 상기 카메라(18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는 CCTV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 및 마이크(190)는 상기 함체(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배선을 통해 상기 함체(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20)는 전원 공급부(121), 외부전원 연결부(123) 및 보조 전원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20)는 전원 공급부(121)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 및 보조 전원부(1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는 상기 함체(100)의 전체 구성이 구동될 수 있는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는 계통 측으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계통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함체(1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는 상기 단말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는 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인가받은 전압을 상기 함체(100)에서 사용가능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함체(100)의 내부 구성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가 상기 단말기(2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는 무선충전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무선충전 송신부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의 무선충전 수신부로 연결되어 상기 함체(100)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는 코일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부(125)는 상기 전원 공급부(121)와 별개로 상기 함체(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원부(125)는 정전 등의 사고로 상기 전원 공급부(121)로부터의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함체(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 또는 보조 전원부(125)는 상기 함체(100)의 전체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함체(100)의 일부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 또는 보조 전원부(125)는 전원모드에 따라 상기 함체(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드는 제1 내지 제3 전원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모드가 제1 전원모드인 경우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함체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상기 함체(100)의 전체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모드가 제2 전원모드인 경우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함체 제어부(110), 통신부(130) 및 도어 개폐부(1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모드가 제3 전원모드인 경우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함체 제어부(110), 통신부(130), 도어 개폐부(140), 입력정보 처리부(150) 및 카메라(1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120)는 제1 전원모드로 작동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부(120)는 제2 전원모드 또는 제3 전원모드로 동작한다.
도 3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의 동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120)는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판단한다. (S1010)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전원 공급부(121)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의 정상 작동여부 판단은 상기 함체 제어부(11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전원 공급부(12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크기 이상인지 판단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21)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의 정상 작동여부는 주기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의 정상 작동여부는 미리 정해진 주기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부(120) 또는 함체 제어부(110)는 10분 단위 또는 1시간 단위로 상기 전원 공급부(121)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상기 전원부(120)는 제1 전원모드로 동작한다. (S1020)
상기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안정된 전압이 상기 함체(100)로 공급되므로, 상기 전원부(120)는 함체(100)의 전체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20)가 제1 전원모드로 동작하더라도, 상기 전원부(120) 또는 함체 제어부(11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121)의 정상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2 전원모드로 동작한다. (S1030)
상기 제2 전원모드에서는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 또는 보조 전원부(125)가 상기 함체(1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 및 보조 전원부(125)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 및 보조 전원부(125) 중 상기 전원부(120)에 포함된 구성을 연결하여 상기 함체(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120)가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 및 보조 전원부(125)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으면, 외부전원 연결부(123)를 통해 상기 함체(1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보조 전원부(125)를 통해 상기 함체(100)로 전원을 공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에 외부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원 공급 우선순위를 외부전원 연결부(123)로 둔다. 이를 통해, 상기 함체(100) 내부에 장착되는 보조 전원부(125)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보조 전원부(125)의 방전에 따른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원부(120)는 제2 전원모드에서 상기 함체 제어부(110)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제2 전원모드에 따라 상기 전원부(120)가 통신부(130) 및 도어 개폐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모드는 상기 함체(100)의 최소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모드이다. 상기 전원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제2 전원모드로 구동하여 외부전원 또는 보조전원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전압이 상기 전원 공급부(121)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를 포함하므로, 상기 전원공급부(121)와의 연결을 폐쇄하고,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 또는 보조 전원부(125)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함체(100)와 연결한다. 상기 제2 전원모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21)와의 연결을 폐쇄함으로써 누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전압의 중첩인가에 의한 상기 함체(100)의 내부구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전원모드에 따라 전원부(120)를 제어하고, 이후 전원모드 변경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040)
상기 단말기(200) 또는 관리서버(300)는 전원모드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전원모드 변경요청이 있는 경우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1050)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전원모드 변경을 요청한 단말기(200) 또는 관리서버(300)가 전원모드 변경 권한이 있는지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관리서버(300)는 전원모드 변경 권한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전원모드 변경을 요청한 단말기(200)가 전원모드 변경 권한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미리 저장된 단말기(200) 리스트와 상기 전원모드 변경을 요청한 단말기(200)를 비교하여 전원모드 변경 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300)에 연결하여 전원모드 변경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전원모드 변경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전원부(120)를 제3 전원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S1060)
상기 제3 전원모드에서는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함체 제어부(110), 통신부(130), 도어 개폐부(140), 입력정보 처리부(150) 및 카메라(1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3 전원모드는 제2 전원모드와 비교하여 입력정보 처리부(150)와 카메라(180)를 더 구동시키는 모드이다. 상기 제3 전원모드에서는 입력정보 처리부(150)와 카메라(180)를 더 구동시켜 카메라 촬상을 통한 최소 방범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원모드에서는 입력정보 처리부(150)와 카메라(180)를 더 구동시켜 카메라 촬상을 통해 단말기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부(120)가 제3 전원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전원 공급부(121)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한다.
다시 도 2를 통해 상기 함체(100)를 설명하면, 상기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부(131) 및 무선 통신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 및 관리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상기 유선 통신부(131) 또는 무선 통신부(133)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133)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부(131)는 LAN, WAN, 이더넷(Ethernet), 유에스비(USB)방식, 전화선 방식, 전력선 방식 또는 시리얼 방식 및 패러럴 방식으로 상기 관리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33)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기그(WiGig),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더블유비(UWB, Ultra Wideband) 또는 와이에이치디(WiHD) 방식으로 상기 관리서버(300) 및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가 무선충전 수신부를 포함하고, 단말기(200)의 무선충전 송신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33)는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123)에 포함되어 무선 전력 전송의 in-band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200)와 상기 무선 통신부(133)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 상기 함체(100)는 유선 통신부(131)를 이용하여 관리서버(300)와 연결된다. 상기 유선 통신부(131)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함체(100)는 무선 통신부(133)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유선으로 상기 관리서버(300) 와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기간에 걸쳐 유선접속을 시도한다. 상기 함체(100)는 1분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유선 접속을 시도하고, 연결되지 않는 경우 무선으로 상기 관리서버(300)에 연결한다.
상기 함체(100)는 무선으로 상기 관리서버(300)에 연결하여 상기 유선통신이 실시되지 않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유선통신 방식 및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함체(100)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함체(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기(200)에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함체(1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특정 단말기에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정 단말기는 미리 등록된 유지보수 업체의 단말기 일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특정 단말기 중 상기 함체(100)로부터 가장 인접한 단말기에 상기 함체(100)의 이상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가 상기 함체(100)와 가장 인접한 단말기에 상기 함체(100)의 이상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함체(100)가 신속하게 복구될 수 있다.
상기 함체(100)의 이상이 아닌 정전 등의 외부요인이 있는 경우 상기 전원부(120)는 제2 전원모드 또는 제3 전원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통신부(130)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므로 정전 등의 외부요인이 있더라도 상기 함체(100)는 상기 관리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부(140)는 상기 함체(100)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폐부(140)는 인식부(141) 및 개폐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41)는 상기 단말기(200)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인식부(141)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를 인식하여 개폐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개폐부(14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43)는 상기 개폐명령에 따라 상기 함체(100)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41)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단말기(200)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41)는 RFID리더일 수도 있고, 마그네틱 리더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141)는 NFC리더일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인식부(141)에 접근한 단말기(200)의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180) 및 마이크(19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18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정보와 상기 마이크(190)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 및 마이크(190)는 상기 함체(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배선을 통해 상기 함체(1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80)는 상기 함체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회전 및 줌동작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는 이상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회전 및 줌 동작하여 이상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가 일반적인 속도로 회전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영상정보를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영상정보 중 이상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추출된 이상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180)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180)가 이상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한다. 이 때,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이상 이벤트 발생을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주변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이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주변화상과의 휘도를 비교하여 이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화상보다 높은 휘도인 영역이 촬영된 경우 연기 또는 불꽃 등이 감지될 확률이 높으므로,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이를 이상영역으로 추출하고,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80)가 이상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이를 전송한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저장된 이전 화상과의 비교를 통해 이상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동일한 시간대에 촬영된 다른 화상정보와 입력된 화상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으로 차이가 발생하는 영역을 이상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과거의 이상영역으로 추출된 화상과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한 후 현재 이상영역으로 추출된 화상과 대응되는 이벤트를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이상영역의 휘도 등과 같은 화상 데이터와 이상영역의 면적 및 이상영역의 색상을 추출하고 이를 저장하고, 현재의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대응되는 이벤트를 산출하여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저장된 이벤트와의 동일성 정도를 판정하여 순위를 산출하여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화상 데이터의 이상영역이 과거의 화재 이벤트와의 유사도가 90%이고, 과거의 가스 유출 이벤트와의 유사도가 70%인 경우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화재 이벤트를 1순위로 가스 유출 이벤트를 2순위로 산출하여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이벤트의 유사도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90)는 상기 카메라(180)에 다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에 다수 개의 마이크(190)가 설치된 경우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다수 개의 마이크(190)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이상음성이 발생하는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상기 입력받은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이상음성이 발생하는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는 상기 다수 개의 마이크(190)로부터 입력된 음성정보의 파장을 분석하여, 음성이 발생하는 영역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다수 개의 마이크(190)에 입력되는 음성파장의 진폭에 의해 음성이 발생하는 영역의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80)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에 의해 산출된 이상음성 발생위치를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이상음성 발생위치가 촬영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180)를 회전 및 줌 제어하여 상기 이상음성 발생위치를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유지부(160)는 상기 함체(100) 내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유지부(160)는 온습도 센서(161) 및 팬(1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습도 센서(161)는 상기 함체(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함체(100)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팬(163)을 가동하여 함체(100) 내부의 온도를 일정온도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함체(100) 내부의 온도에 관계없이 상기 팬(163)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관리서버(300)의 명령에 의해 상기 팬(163)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기상청에 강풍 주의보 또는 강풍 경보가 발령되었을 때 상기 함체 제어부(110)로 팬(163) 가동 중지 명령을 송부하고,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함체(100) 내부의 온도에 관계없이 상기 팬(163)의 가동을 중단한다. 즉,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강풍 주의보 또는 강풍 경보가 발령되었을 때 상기 팬(163)의 가동을 중단한다. 강풍 주의보 또는 강풍 경보 발령시 상기 팬(163)의 가동을 중단시킴으로써 강풍에 의해 상기 팬(163) 또는 팬(163)을 구동하는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유지부(16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산화탄소 센서, 오존 센서 또는 미세먼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환경 유지부(160)에서 측정된 환경 값을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함체(100)의 상태정보와 환경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환경 유지부(160)로부터 측정된 환경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환경에 관련된 특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함체(100)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카메라(180)에 인접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80)를 볼 수 있는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의 외부에는 버튼(19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195)은 응급 상황이 발생한 시민이 누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195)이 눌러지면,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통신부(130)를 통해 응급상황 발생을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버튼(195)이 눌러진 경우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상기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70)를 통해 응급상황 발생을 표시하여 주변 시민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버튼(195)이 눌러진 경우 상기 카메라(180)를 상기 버튼(195)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버튼(195)이 눌려지면 상기 카메라(180)를 회전 및 줌 동작시켜 상기 버튼(195)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버튼(195)이 눌려진 경우 상기 카메라(180)에 의해 상기 버튼(195)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대촬영하여 비상상황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단말기 제어부(210), 단말기 통신부(220), 필드 생성부(230), 입력부(240), 단말기 표시부(250) 및 GPS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는 단말기 통신부(220), 상기 필드 생성부(230), 입력부(240), 단말기 표시부(250) 및 GPS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통신부(220)는 상기 관리서버(3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통신부(220)는 상기 관리서버(3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기 단말기 통신부(220)는 3G통신망, LTE통신망 등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드 생성부(230)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필드 생성부(230)는 마그네틱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필드 생성부(230)는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대응되는 필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필드 생성부(230)는 NFC필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240)는 단말기(200)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입력부(240)는 키패드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표시부(25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표시부(250)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240)에 의해 단말기 개폐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는 단말기 표시부(250)를 통해 단말기의 특정을 요구하는 GUI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는 단말기 통신부(220)를 통해 특정 단말기의 개폐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을 판단하여 상기 함체(100)에 개폐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함체(100)는 개폐명령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을 판단하여 상기 함체(100)에 개폐명령을 송신하는 대신 상기 단말기(200)로 인증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신호는 특정 함체(100)의 인식부(141)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필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는 수신한 인증신호로 상기 필드 생성부(230)를 이용하여 필드를 생성한다. 상기 필드는 상기 인식부(141)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마그네틱 필드, RFID태그 또는 NFC필드일 수 있다. 상기 필드 생성부(230)에서 필드가 생성된 채로,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함체(100)의 인식부(141)에 접근하면, 상기 인식부(141)가 상기 필드를 인식하여 함체(100)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표시부(250)는 개폐요청한 함체(100)의 상태정보 및 단말기(200)의 함체(100)에 대한 권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표시부(250)는 상기 함체(100)의 카메라(18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의 카메라(18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함체(100)의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에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관리서버(300)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상기 GPS부(260)는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는 상기 GPS부(260)를 통해 산출된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200)는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S1110)
상기 요청신호는 상기 단말기(200)의 입력부(240)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단말기 통신부(25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요청신호는 특정 단말기(200)의 개방을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200)의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S1120)
상기 관리서버(300)에는 각각의 단말기(200)의 리스트에 따른 권한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관리서버(300)는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200)와 저장된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은 제1 권한, 제2 권한 및 제3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권한은 상기 함체(100)의 카메라(180)를 온오프할 수 있는 권한과 상기 함체(100)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권한은 상기 제1 권한에서 카메라(180)를 개폐할 수 있는 권한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권한은 상기 제2 권한과 상기 함체(100)의 내부구성을 재부팅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를 유지보수하는 업체에는 상기 제1 권한 또는 제2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함체(100)의 관리자에게는 제3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에 연결된 다수의 함체(100)에는 각각 지정된 단말기에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에 따라 서로 다른 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함체(100)의 보안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함체(100)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은 요청된 함체(100)와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관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함체(100)와 상기 단말기(200)의 거리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이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에는 각 함체(100)별로 권한이 부여된 단말기(200)의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200)의 권한을 확인하고, 권한이 없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로 권한이 없음을 전송한다. 상기 단말기(200) 제어부(210)는 상기 단말기 표시부(250)를 이용하여 상기 함체(100)에 대한 권한이 없음을 표시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단말기(200)가 요청 함체(100)에 대한 권한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로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S1130)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S1140)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GPS부(260)를 통해 산출된 위치정보일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수신한 위치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을 결정한다. (S1150)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함체(100)의 위치좌표와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좌표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내의 편차를 가지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에 부여된 권한대로 현재 권한을 설정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함체(100)의 위치좌표와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좌표가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편차를 가지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에 부여된 권한보다 작은 권한을 현재 권한으로 설정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함체(100)와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가 기준보다 먼 경우 부여된 권한보다 1단계 낮은 권한을 현재 원한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200)가 제2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함체(100)와 단말기(200)의 거리차이가 기준 이내인 경우 현재권한을 제2 권한으로 설정하고, 상기 함체(100)와 단말기(200)의 거리차이가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권한을 제1 권한으로 설정한다. 상기 함체(100)와 단말기(200)의 거리를 통해 권한을 결정하여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함체(100)와 먼거리에 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도난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자는 위치에 관계없이 현재권한이 제3 권한이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설정된 현재 권한에 대응되는 명령을 상기 함체(100)로 전송한다. (S1160)
상기 함체(100)는 전송받은 명령을 수행한다. (S1170)
상기 함체(100)는 전송받은 명령에 따라 도어 개폐, 카메라 온오프, 카메라 개폐 및 함체(100) 내부구성 재부팅 등을 수행한다.
상기 함체(100)는 명령을 수행한 후 수행 결과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S1180)
상기 함체(100)는 상기 관리서버(300)로 수행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무선 통신부(133)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200)로 수행 결과를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서버(300)로 수행결과가 전송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단말기(200)로 결과를 통보한다. (S1190)
상기 단말기(200)는 통보된 결과를 상기 단말기 표시부(25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2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함체와 단말기의 거리를 카메라를 통해 확인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200)는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S2010)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200)의 권한을 확인한다. (S2020)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함체(100)로 명령을 전송한다. (S2030)
상기 명령에는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 및 식별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여, 단말기(200) 사용자를 식별한다. (S2040)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카메라(180)를 제어하여 상기 함체(100)와 인접하는 영역을 확대촬영한다. 이 때, 상기 전원부(120)가 제1 전원모드 또는 제 2전원모드인 경우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전원부(120)를 제3 전원모드로 변환하여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 및 카메라(1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 정보 처리부(150)에 의해 상기 단말기(200) 사용자가 식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050)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함체(100)와 인접한 영역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식별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함체(100)와 인접한 영역에 사람의 형상이 촬영되는 경우 사용자가 식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함체(100)와 인접한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에 의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150)에 의해 영상처리를 수행하여 인식된 사용자와 등록된 사용자가 동일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뿐만 아니라, 키를 인식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인식된 사용자와 등록된 사용자가 동일인으로 판정된 경우에만 사용자가 식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식별된 경우 명령을 수행한다. (S2060)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식별되지 않은 경우 명령 수행단계를 생략한다.
상기 함체 제어부(110)는 상기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권한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전송한다. (S2070)
상기 함체(100)는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결과를 상기 단말기(200)로 통보한다. (S2080)
제2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함체(100)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여 함체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함체와 단말기의 위치관계가 아닌 필드를 이용하여 함체를 개폐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기(200)는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S3010)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200)의 권한을 확인한다. (S3020)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을 확인한 후 인증신호를 전송한다. (S3030)
상기 인증신호는 특정 함체(100)의 인식부(141)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필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인증신호를 기초로 필드를 생성한다. (S3040)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는 수신한 인증신호를 기초로 상기 필드 생성부(230)를 이용하여 필드를 생성한다. 상기 필드는 상기 인식부(141)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마그네틱 필드, RFID태그 또는 NFC필드일 수 있다.
상기 인증신호는 상기 인식부(141)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200)에 설치된 인식부(141)가 마그네틱 리더기라면, 상기 인증신호는 상기 인식부(141)가 마그네틱 리더기라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필드 생성부(230)를 통해 마그네틱 필드를 생성한다.
상기 인증신호는 상기 단말기(200)의 권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권한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함체(100)에 필드신호를 전송한다. (S3050)
상기 필드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함체(100)의 인식부(141)에 접근하는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함체(100)는 전송받은 필드에 대응되는 명령을 수행한다. (S3060)
상기 함체(100)는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전송한다. (S3070)
상기 함체(100)는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서버(300)는 상기 결과를 상기 단말기(200)로 통보한다. (S2080)
제3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생성된 필드에 의해 상기 함체(100)에서 명령을 수행하므로, 상기 함체(100)의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함체
110: 함체 제어부
120: 전원부
121: 전원공급부
123: 외부전원 연결부
125: 보조 전원부
130: 통신부
131: 유선 통신부
133: 무선 통신부
140: 도어 개폐부
141: 인식부
143: 개폐부
150: 입력정보 처리부
160: 환경 유지부
161: 온습도 센서
163: 팬
170: 표시부
180: 카메라
190: 마이크
200: 단말기
210: 단말기 제어부
220: 단말기 통신부
230: 필드 생성부
240: 입력부
250: 단말기 표시부
260: GPS부
300: 관리서버

Claims (18)

  1. 함체에 있어서,
    전원모드에 따라 상기 함체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함체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개폐부;
    카메라 및 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정보와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처리하는 입력정보 처리부;
    상기 함체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팬; 및
    단말기와의 거리에 의해 상기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함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 제어부는 관리서버로부터의 가동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팬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가동 중지 명령은 기상청의 강풍예보에 기초한 명령이며,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음성정보의 파장을 분석하여 이상음성이 발생하는 영역의 거리와 방향을 산출하는 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는 위치좌표에 의해 산출되는 함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형상에 의해 판단되는 함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고,
    상기 함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기 위해 상기 전원부의 전원모드를 변경하는 함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제어부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 의해 이상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이상영역을 확대 촬영하고,
    상기 이상영역은 상기 영상정보 중 이상영상이 촬영되는 영역 또는 상기 음성정보 중 이상음성이 발생하는 영역인 함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테이블을 통해 상기 이상영역에 대응되는 이벤트를 추출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함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 공급부, 외부전원 연결부 및 보조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전원 공급부의 연결을 폐쇄하고, 상기 외부전원 연결부 또는 보조 전원부를 연결하는 함체.
  9. 함체에 대한 개폐 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의 권한을 확인하여, 현재권한을 산출하여 상기 함체로 명령을 전송하는 상기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하는 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권한은 상기 단말기와 함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산출되고,
    상기 함체는,
    카메라 및 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정보와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처리하는 입력정보 처리부,
    상기 함체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팬, 및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에 의해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함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 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의 가동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팬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가동 중지 명령은 기상청의 강풍예보에 기초한 명령이며,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음성정보의 파장을 분석하여 이상음성이 발생하는 영역의 거리와 방향을 산출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함체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요청된 권한보다 낮은 권한을 현재 권한으로 산출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사용자가 식별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명령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기로 인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신호에 대응되는 필드를 생성하며,
    상기 함체는 상기 필드를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14. 단말기가 함체에 대한 개폐 요청신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권한을 확인하여, 현재권한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함체로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함체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권한은 상기 단말기와 함체 사이의 거리에 의해 산출되고,
    상기 함체는,
    카메라 및 마이크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정보와 상기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처리하는 입력정보 처리부,
    상기 함체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팬, 및
    상기 단말기와의 거리에 의해 도어 개폐부를 제어하는 함체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 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의 가동 중지 명령에 따라 상기 팬의 가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가동 중지 명령은 기상청의 강풍예보에 기초한 명령이며,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음성정보의 파장을 분석하여 이상음성이 발생하는 영역의 거리와 방향을 산출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가 현재권한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함체와 상기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요청된 권한보다 낮은 권한으로 현재권한을 산출하는 단계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가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는,
    전원모드를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식별되는 경우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는 단계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현재권한을 산출한 후 상기 단말기로 인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증신호에 대응되는 필드를 생성하며,
    상기 함체는 상기 필드를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50080170A 2015-06-05 2015-06-05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6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70A KR101567280B1 (ko) 2015-06-05 2015-06-05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70A KR101567280B1 (ko) 2015-06-05 2015-06-05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280B1 true KR101567280B1 (ko) 2015-11-10

Family

ID=5460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170A KR101567280B1 (ko) 2015-06-05 2015-06-05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28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923B1 (ko) * 2016-07-20 2017-08-23 (주)한국아이티에스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KR101799339B1 (ko) 2016-06-28 2017-11-22 이상섭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3160B1 (ko) 2017-10-30 2017-12-28 이상섭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97148A (ko) 2020-12-31 2022-07-07 이레산업(주) Cctv 함체보안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2424241B1 (ko) * 2022-01-19 2022-07-26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475519B1 (ko) * 2022-05-02 2022-12-08 주식회사 캐스트코아 양방향 otp 인증 기반의 통합배선반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2626709B1 (ko) * 2023-09-26 2024-01-19 주식회사 미래엔시스 도어의 강제 폐쇄기능을 갖는 광다중화기의 광중계 시스템
KR102628716B1 (ko) * 2023-09-26 2024-01-24 주식회사 엔에스지 작업자의 얼굴 및 지문인증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광다중화기의 광중계 시스템
KR102651882B1 (ko) * 2023-09-26 2024-03-28 (주)엔이아이씨 인증에 의해 유지보수가 가능한 광다중화기의 광중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4859A (ja) * 2004-10-08 2006-04-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100809538B1 (ko) * 2006-12-19 2008-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영상통신이 가능한 통합 무선 디지털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4859A (ja) * 2004-10-08 2006-04-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
KR100809538B1 (ko) * 2006-12-19 2008-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영상통신이 가능한 통합 무선 디지털 도어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339B1 (ko) 2016-06-28 2017-11-22 이상섭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0923B1 (ko) * 2016-07-20 2017-08-23 (주)한국아이티에스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및 방법
KR101813160B1 (ko) 2017-10-30 2017-12-28 이상섭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97148A (ko) 2020-12-31 2022-07-07 이레산업(주) Cctv 함체보안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2591923B1 (ko) 2020-12-31 2023-10-23 이레산업(주) Cctv 함체보안용 통합관리시스템
KR102424241B1 (ko) * 2022-01-19 2022-07-26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475519B1 (ko) * 2022-05-02 2022-12-08 주식회사 캐스트코아 양방향 otp 인증 기반의 통합배선반 도어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2626709B1 (ko) * 2023-09-26 2024-01-19 주식회사 미래엔시스 도어의 강제 폐쇄기능을 갖는 광다중화기의 광중계 시스템
KR102628716B1 (ko) * 2023-09-26 2024-01-24 주식회사 엔에스지 작업자의 얼굴 및 지문인증에 의해 도어를 개폐하는 광다중화기의 광중계 시스템
KR102651882B1 (ko) * 2023-09-26 2024-03-28 (주)엔이아이씨 인증에 의해 유지보수가 가능한 광다중화기의 광중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280B1 (ko)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734644B2 (en) Wireless camera facilitated building security
CN106506442B (zh) 一种智能家居多用户身份识别及其权限管理系统
CN108475447B (zh) 用于控制对物理空间的访问的系统和方法
US20130169815A1 (en) Equipment enclosures with remote logging, authorization and monitoring
CN106097495A (zh) 一种智能声控声纹人脸认证门禁控制系统及方法
CN104967825A (zh) 一种看门电子狗系统
CN106296936A (zh) 基于云平台的社区管理系统
US11145151B2 (en) Frictionless access control system for a building
KR102093805B1 (ko)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KR20140117264A (ko) 디지탈 도어락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765080B1 (ko) IoT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65447B1 (ko) 다중 인증수단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보안 시스템
CN105139497A (zh) 高压试验区域门禁系统
KR101370982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이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감지방법
JP3743403B2 (ja) 防犯装置
KR100787005B1 (ko) 카메라를 내장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과 출입통제 방법
KR101421962B1 (ko) 출입자의 영상을 이용한 출입 관리 장치 및 출입자 감시 방법
CN110349302A (zh) 一种可程序智能门禁管控保护作业方法及其系统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008132A (ko) 지하철 환기구 출입 통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430955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전원콘센트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087388A1 (en) Camera with in-built access control
KR20100012156A (ko) 생체인식 기반 출입자 확인, 정보 전송 시스템
CN210136515U (zh) 一种配电房行为安全管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