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241B1 -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241B1
KR102424241B1 KR1020220007606A KR20220007606A KR102424241B1 KR 102424241 B1 KR102424241 B1 KR 102424241B1 KR 1020220007606 A KR1020220007606 A KR 1020220007606A KR 20220007606 A KR20220007606 A KR 20220007606A KR 102424241 B1 KR102424241 B1 KR 102424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anagement box
facility
box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광호
이준희
전재홍
김효근
신희도
유상욱
Original Assignee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를 개폐하지 않고도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고, 관리함체에 대하여 외부에서 발생된 충격과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개폐와 같은 이상상황, 또는, 필요시 허가받은 사용자에 의한 관리함체 개폐시에 그 상황을 감시하며 감시된 감시데이터를 시설물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와;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들을 종합적으로 관제하는 관제센터에 설치되며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와 통신하여 시설물들을 관리하도록 운영되는 시설물관리서버와; 상기 시설물들을 점검 및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 시설물관리서버에서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함체와 통신가능한 스마트디바이스와; 상기 관리함체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와의 통신, 또는, 상기 시설물관리서버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와의 통신이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통신망;을 포함하는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IoT convergence facili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들을 관리 및 점검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IoT 융합된 시설물들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개폐하지 않고도 시설물을 관리 및 상태 점검을 할 수 있도록 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IoT 융합된 시설물들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가 외부의 충격을 받아 무단으로 개폐되거나, 임의로 개폐하여 점검 수행시, 개폐된 관리함체를 개폐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개폐된 뒤에 발생하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면서 시설물 관리 서버에 그 기록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관리함체를 감시하도록 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지주에 설치되는 관리함체는, 보행자 및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와 같은 길에 설치되는 신호등과 같이 교통신호를 제어하거나, 불량 차량운전자에 의해 발생되는 도로 위에서의 불법주정차 문제, 도로방범, 고속도로에서의 구간 과속단속, 버스전용차로 침범 등의 문제를 관제하기 위해 설치하는 각종 시설물들(CCTV, 단속카메라 등)과, 도로 노면, 기온 또는 습도와 같은 대기상태를 관측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도로기상 관측시스템이 구축된 시설물과 같은 고정된 시설물들을 관리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관리함체는, 상기와 같은 교통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 전원공급을 위한 설비, 관제서버와 통신하도록 구비된 통신 설비 등이 관리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된 각각의 설비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 기간 또는 장애발생시 마다 점검 및 유지보수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리함체는 시, 군, 구와 같은 행정기관에서 관리를 하지만, 점검 및 유지보수시에는 외부의 유지보수업체에게 유지보수를 수행하도록 의탁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근자에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기술의 발전으로 상기 시설물에 각종 센서들을 융합하여 센서의 동작에 따라 알맞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는 IoT 융합 시설물들이 제안되어 시설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비콘(Beacon)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의 발달하면서 무선으로 이전보다도 더 많은 데이터의 전송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관리함체를 통한 시설물 관리에 적용하여 고정된 시설물이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하는 다양한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근자에 차세대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비콘(Beacon)은, 블루투스(Bluetooth) 4.0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로, 반경 50~70m 범위 안에 있는 별개의 통신장치와 서로 통신가능하며, 저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하게 된 통신기술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34335호(명칭 : 도로상의 지주에 설치되는 제어함체의 스마트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제어함체 관리센터(300)로부터 제어함체의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는 도어오픈 인증정보를 제공받은 상태에서 유지보수업체 단말기(200)와 통신하면서 동일한 도어오픈 인증정보를 전송한 유지보수업체인 경우에만 도어를 오픈시키는 제어함체(100)와; 제어함체 관리센터(300)로부터 유지보수대상의 제어함체(100), 제어함체의 도어를 오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도어오픈 인증정보, 제어함체(100)의 유지보수내용을 제공받고, 제어함체(100)와 통신하면서 도어오픈 인증정보를 제공하여 승인받는 유지보수업체 단말기(200)와; 제어함체의 유지보수시에 유지보수업체 단말기(200)에게 제어함체정보와 유지보수정보 및 도어오픈 인증정보를 제공하고, 제어함체(100)에게 도어오픈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제어함체 관리센터(300);가 포함되는 제어함체의 스마트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91131호(명칭 : 시설물 제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함체 내에 내장되며, 시설물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로부터 상기 시설물의 점검 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운영 서버와 통신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에, 상기 점검 정보와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된 시각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2 통신부를 제어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와;,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를 통해 시설물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설물을 점검한 점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전송하는 단말; 및 함체 내에 구비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점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설물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내부망을 통해 상기 점검 정보를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시설물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제어 장치는,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되는 경우에, 상기 점검 정보와 상기 함체의 도어가 개폐된 시각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로 전송하는 시설물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34335호(2018.03.26.)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91131호(2015.06.2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35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3332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 제안된 장치 및 시스템들은, 허가된 사용자가 점검 및 유지보수를 수행할 때, 관리함체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각종 시설물들의 점검을 위해 필요한 시설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관리함체를 직접 개폐하거나, 시설물들을 관제하는 관제서버에서 정보를 사용자의 관리디바이스에 수신받아서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와 같은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의 점검시, 카메라가 정상 작동으로 촬영중인 상태인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가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발생되는 상기 관리함체 내부의 시설물 관리모듈들의 물리적인 손상과 그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외부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함체가 무단으로 개폐될 때, 상기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대한 신원 확인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를 개폐하지 않고도 점검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관리함체가 설치된 현장에서 관리함체를 개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시설물관리용 스마트디바이스와 관리함체 간에 서로 통신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우천(雨天), 설풍(雪風) 등과 같은 기상현상에 대하여 관리함체 내부의 시설물 관리모듈에 외부의 원인에 의한 영향이 갈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점검을 수행할 때 카메라의 촬영 기능이 구비된 시설물들이 정상 작동으로 촬영중인 상태인지 보다 용이하게 인지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들의 촬영을 통해 실시간 생성되는 영상데이터를 시설물관리서버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스마트디바이스에 스트리밍(streaming: 실시간 재생 기법)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의 정상 작동의 인지를 보다 더 용이하게 하도록 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함체에 대하여 외부에서 발생된 충격,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개폐와 같은 이상상황, 또는, 필요시 허가받은 사용자에 의한 관리함체 개폐시에 그 상황을 감시하며 감시된 감시데이터를 시설물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함체에 구비된 감지수단을 통해 관리함체가 이상상황 또는 개폐가 발생됨을 감지하여 관리함체에 구비된 감시수단을 통해 관리함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감시된 감시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그 감시데이터를 설치된 시설물을 종합 관제하는 관제센터의 시설물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에 대하여 구조적 보안성을 확보하도록 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와;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들을 종합적으로 관제하는 관제센터에 설치되며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와 통신하여 시설물들을 관리하도록 운영되는 시설물관리서버와; 상기 시설물들을 점검 및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 시설물관리서버에서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함체와 통신가능한 스마트디바이스와; 상기 관리함체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와의 통신, 또는, 상기 시설물관리서버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와의 통신이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함체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관리함체 내부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현장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을 제어하고,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어하며, 상기 관리함체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과; 상기 시설물들을 관리하도록 운영되는 상기 시설물관리서버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서버통신모듈과; 상기 관리함체에 대하여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개폐되는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감지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발생된 감지데이터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며 상기 관리함체 내부와, 개구된 상기 관리함체의 개구를 통해 상기 관리함체 외부의 사용자 또는 실시간 관리함체의 근거리 외부 영역의 상황을 감시하도록 된 감시수단과; 상기 감시수단을 통해 감시되어 발생된 감시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장치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가능하도록 된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상기 관리함체에 공급되는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상황시에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상기 관리함체로 전원공급을 보조하는 비상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디바이스는, 상기 관리함체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가능하며 상기 관리함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상기 시설물들의 정보를 수신받아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상기 시설물들 중에서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의 정보를 구성하는 영상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 실시간 재생 기법)으로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시설물이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시설물관리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허가된 사용자가 시설물들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의 점검 및 유지보수를 수행할 때, 사용자가 관리함체가 설치된 현장에서 관리함체를 개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시설물관리용 스마트디바이스와 관리함체 간에 서로 통신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우천(雨天), 설풍(雪風) 등과 같은 기상현상에 대하여 관리함체 내부의 시설물 관리모듈에 외부의 원인에 의한 영향이 갈 수 있는 상황이 방지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사용자가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와 같은 카메라의 촬영 기능이 구비된 상기 시설물들을 점검할 때,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들의 촬영을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영상데이터를 시설물관리서버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스마트디바이스에 스트리밍(streaming: 실시간 재생 기법)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카메라의 정상 작동 촬영중인 상태인지 보다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하게 되어 점검 시 발생할 수 있는 잘못된 점검에 대한 오류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점검 작업의 작업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가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거나,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관리함체의 개폐가 발생됨을 상기 관리함체에 구비된 감지수단에서 감지하여 상기 관리함체에 설치된 감시수단을 작동시키고, 작동된 상기 감시수단이 그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감시된 감시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그 감시데이터를 설치된 시설물을 종합 관제하는 관제센터의 시설물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외부에서 발생된 충격,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개폐와 같은 이상상황에 대한 파악의 신속성 및 보안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외부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함체가 무단으로 개폐될 때, 감시수단에 의해 생성된 감시데이터를 통해 상기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대한 신원 확인을 보다 용이하게 하게 되어 무단으로 개폐된 상황에 대한 파악의 신속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함체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함체에 대하여 스마트디바이스의 접속 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함체에서 제어 및 관리하는 카메라 시설물의 영상데이터를 스마트디바이스로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감시수단을 통한 관리함체의 감시 과정 및 감시데이터 전송 과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저전력 동작의 일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함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근거리데이터전송수단의 작동 예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은, 현장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들, 예컨대 보행자 및 차량이 이동하는 도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와 같은 길에 설치되는 신호등과 같이 교통신호를 제어하거나, 불량 차량운전자에 의해 발생되는 도로 위에서의 불법주정차 문제, 도로방범, 고속도로에서의 구간 과속단속, 버스전용차로 침범 등의 문제를 관제하기 위해 설치하는 각종 시설물(100)(CCTV, 단속카메라 등)들과; 도로 노면, 기온 또는 습도와 같은 대기상태를 관측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도로기상 관측시스템이 구축된 시설물과 같은 고정된 시설물(100)들;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2)의 관리 및 점검하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은, 현장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100)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2)와; 현장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100)들을 종합적으로 관제하는 관제센터에 설치되며 상기 시설물(100)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2)와 통신하여 상기 시설물(100)들을 관리하도록 운영되는 시설물관리서버(200)와; 상기 시설물(100)들을 점검 및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에서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함체(2)와 통신가능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 상기 관리함체(2)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의 통신, 또는,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이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통신망(400);을 포함한다.
즉,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관리함체(2)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가 통신을 하며, 상기 관리함체(2)가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시설물(1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시설물(100)들에 대하여 상기 관리함체(2)에서 제공하는 상기 시설물(100)들의 상태 정보를 상기 관제센터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제공하여 상기 관리함체(2)가 설치된 현장으로 직접 가지 않고도 각종 상기 시설물(100)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시설물 관리에 대한 작업성이 증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작업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가 통신을 하며,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에서 시설물 관리 작업을 지시하는 관리요청데이터를 사용자(작업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로 송신하여 사용자(작업자)가 수신된 관리요청데이터를 확인하고 시설물 관리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설물 관리 작업을 수행할 사용자(작업자)의 위치에 대하여 구애를 받지 않아 호출 및 배정 관리가 용이하게 되어 시설물 관리에 대한 작업성이 증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1)에서, 상기 관리함체(2)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관리함체(2) 내부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2)와; 현장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100)을 제어하고, 상기 전원공급부(32)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어하며, 상기 관리함체(2)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1)과; 상기 시설물(100)들을 관리하도록 운영되는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서버통신모듈(41)과;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개폐되는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1)으로 감지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감지수단(5)과; 상기 감지수단(5)에 의해 발생된 감지데이터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며 상기 관리함체(2) 내부와, 개구된 상기 관리함체(2)의 개구를 통해 상기 관리함체(2) 외부의 사용자 또는 실시간 관리함체(2)의 근거리 외부 영역의 상황을 감시하도록 된 감시수단(6)과; 상기 감시수단(6)을 통해 감시되어 생성된 감시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장치(7)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가능하도록 된 근거리무선통신모듈(42);을 포함한다.
즉, 상기 관리함체(2)를 통해 현장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100)의 제어 및 관리를 하게되며, 상기 관리함체(2)의 상기 서버통신모듈(41)을 통해 상기 통신망(400)을 거치어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가 통신가능하게 되어 관리되는 상기 시설물(100)의 상태 정보를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2)가 설치된 현장으로 직접 작업자를 보내지 않고도 상기 시설물(100)들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스마트디바이스(300)는, 상기 관리함체(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가능하며 상기 관리함체(2)에서 관리하고 있는 상기 시설물(100)들의 정보를 수신받아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상기 시설물(100)들 중에서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의 정보를 구성하는 영상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 실시간 재생 기법)으로 제공받아 사용자(작업자)에게 상기 시설물(100)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시설물관리프로그램(310);이 내장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에서 시설물 관리 작업을 지시하는 관리요청데이터를 사용자(작업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로 송신하여 사용자(작업자)에게 시설물 관리 작업을 지시함에 따라 사용자(작업자)가 점검을 위해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들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2)의 인근으로 접근했을 때, 상기 관리함체(2)의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42)과 사용자(작업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점검에 필요한 데이터를 통신하게 되어 상기 관리함체(2)를 개폐하지 않고도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에서 사용자(작업자)의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로 관리요청데이터를 송신하여 사용자(작업자)에게 작업 지시를 내리고, 사용자(작업자)가 지시받은 현장의 시설물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2) 인근으로 이동한 뒤, 상기 관리함체(2)를 개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에 내장된 시설물관리프로그램(310)으로 상기 관리함체(2)에 접속을 요청하며, 상기 관리함체(2)의 서버통신모듈(41)을 통해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접속요청데이터 통신으로 사용자(작업자)의 접속 허용 여부를 인증받되, 시설물관리서버(200)와의 통신이 일시적으로 불가능할 때 각 관리함체(2) 별로 지정된 함체접속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상기 관리함체(2)로의 인증을 통과하여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 상기 관리함체(2)의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42)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게 되며,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로 상기 관리함체(2)의 점검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함체(2)가 개폐되지 않아 우천(雨天), 설풍(雪風) 등과 같은 기상현상에 대하여 상기 관리함체(2)가 개구되었을 때 상기 관리함체(2) 내부의 시설물 관리모듈에 외부의 원인에 의한 영향이 갈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상기 관리함체(2)에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므로 전송 속도면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며, 상기 시설관리서버를 통해 접속허용 인증을 받거나 별도의 함체접속비밀번호를 통해 인증을 통과해야 하므로 보안성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작업자)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로 현장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100)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하며 점검을 수행할 때, 점검 대상이 되는 상기 시설물(100)이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와 같은 카메라의 촬영 기능이 구비된 시설물일 경우,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들의 촬영을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에 스트리밍(streaming: 실시간 재생 기법)으로 제공받아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의 화면(디스플레이 : display)에 출력하여 사용자(작업자)가 출력된 영상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작업자)가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의 점검 작업을 수행시에 해당 카메라의 정상 작동의 여부를 인지하는 것을 보다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게 되어 점검 시 발생할 수 있는 잘못된 점검에 대한 오류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점검 작업의 작업성이 증대하게 된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42)과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 사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기술 또는 지그비(Zigbee) 통신기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4.0 기반의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저전력으로도 무선 통신이 가능한 비콘(Beacon) 통신기술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시설물관리서버(200)는, 사용자(작업자)들이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에 대하여 상기 관리함체(2)가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시설물(100)의 정보를 접근할 수 있는 권한 제어를 위한 스마트디바이스(300) 등록관리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장의 상기 시설물(100)들의 관리 및 점검이 필요할 때, 시설물 관리 지시를 받은 사용자(작업자)에게만 상기 시설물(100)들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작업자)만이 상기 관리함체(2)에서 상기 시설물(100)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설물(100) 및 상기 관리함체(2)의 구조적 보안성을 향상하게 된다.
상기에서 스마트디바이스(300)는, 컴퓨터 지원 기능이 추가된 지능형 휴대 전화인 스마트폰(Sdmartphone)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시설물관리프로그램(310)은,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는 앱(Application)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관리함체(2)는, 상기 관리함체(2)에 구비된 상기 감지수단(5)을 통해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는 이상상황이 발생 시 이를 감지하며, 감지데이터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수단(31)으로 상기 감지데이터를 보내어 상기 감시수단(6)을 작동시키게 되고, 발생되고 있는 이상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시수단(6)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시되면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감시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관리함체(2)의 외부의 충격이나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는 상황을 기록하게 되어 보안에 위협이 되는 이상상황들에 대한 파악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생성되어 출력된 상기 감시데이터를 상기 서버통신모듈(41)을 통해 상기 통신망(400)을 거치어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들을 종합 관제하는 상기 관제센터의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송신하여,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한 위협상황을 상기 관제센터에서 확인하게 되어 신속하게 위협을 파악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상상황에 대한 파악의 신속성 및 구조적 보안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시수단(6)을 통해 생성되어 출력되는 감시데이터는, 상기 통신망(400)의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에 상기 서버통신모듈(41)을 통해 상기 통신망(400)을 거치어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송신하도록 되며; 상기 통신망(400)의 상태에 장애가 발생될 때에는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에 출력된 감시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통신망(400)의 상태가 다시 정상 상태로 복구되었을 때에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저장된 감시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될 때, 상기 관리함체(2)의 상기 감시수단(6)을 통해 개폐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를 감시함으로써, 개폐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를 대한 신원 확인을 위해 필요한 감시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될 때, 상기 감시수단(6)에 의해 생성된 감시데이터를 통해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 대한 신원 확인을 보다 용이하게 하게 되어 무단으로 개폐된 상황 이후의 후속조치에 대한 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에서 감시수단(6)은,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거나,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상기 감지수단(5)의 감지데이터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며, 상기 관리함체(2)의 개구를 통해 상기 관리함체(2) 외부의 사용자 또는 상기 관리함체(2)의 근거리 외부 영역의 상황을 감시하며, 감시된 감시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된 함체감시카메라모듈(61);을 포함한다.
즉,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거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이상상황을 상기 함체감시카메라모듈(61)을 통해 카메라 촬영을 수행하여 카메라 영상의 형태로 감시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되며, 출력된 감시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에 저장하거나, 출력된 감시데이터를 상기 관리함체(2)의 상기 서버통신모듈(41)을 통해 상기 통신망(400)을 거치어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송신하여,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를 운영하는 상기 관제센터에서 발생된 상기 관리함체(2)의 이상상황에 대한 파악을 카메라 영상의 형태로 된 감시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리함체(2)가 개폐되는 시점에서 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간 간격으로 감시데이터를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에 해당 시간 간격의 카메라 영상의 형태로 된 감시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영상의 형태로 된 감시데이터를 통해서 보다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감시데이터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이상상황의 파악의 신속성과, 이에 따라 후속조치를 취하게 되는 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에서 감시수단(6)은,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거나,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상기 감지수단(5)의 감지데이터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며, 상기 관리함체(2)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의 상태를 감시하며, 감시된 감시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된 내부감시모듈(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거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이상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관리함체(2)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물리적 손상을 입게되거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관리함체(2)가 개폐되고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감시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함체(2)의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의 손상 전(前)과 손상 후(後)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이후 점검 및 후속조치를 취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에서 내부감시모듈(62)은, 상기 관리함체(2)의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측의 방향으로 설치되는 카메라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관리함체(2)의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의 각각에 별도로 연결되는 정상동작 확인기능을 수행하는 회로;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감지수단(5)은, 상기 개폐함체의 개폐프레임과 개폐문에 각각 결합된 마그네틱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격이나 갑작스러운 움직임이 발생하면 신호를 보내는 충격 센서;들이 상기 관리함체(2)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통신망(400)은, 상기 관제함체에서 제어 및 관리하는 시설물의 상태 정보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제공하도록 통신하는 내부통신망(410)과,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 사이에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요청 및 권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통신하는 디바이스통신망(4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인터넷통신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1)에서, 상기 관리함체(2)는, 상기 관리함체(2)에 공급되는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관리함체(2)에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비상상황 발생시에, 상기 전원공급부(32)를 통해 상기 관리함체(2)로 전원공급을 보조하는 비상전력공급수단(33);을 더 포함한다.
즉, 평소에는 상기 관리함체(2)에 정상적으로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을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정 시간 주기 단위로 상기 관리함체(2)가 제어 및 관리하는 시설물들의 상태를 확인하며, 확인된 시설물들의 상태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상태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정보를 요청할 시에 사용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에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관리함체(2)에 공급되는 외부의 전원에 장애가 발생하여 차단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작에 따라 상기 비상전력공급수단(33)을 통해 상기 관리함체(2)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외부의 전원을 대신해 상기 관리함체(2)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관리함체(2)가 제어 및 관리하는 시설물의 정보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에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함체(2)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전력 동작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저전력 동작은, 상기 비상전력공급장치와의 연동을 통한 저전력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평상시 외부의 전원이 정상 공급될 때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정 시간 주기 단위로 상기 관리함체(2)가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시설물(100)들의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통신망(400)과 상기 관리함체(2) 사이의 통신 상태에 대하여 통신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 상기 시설물(100)들의 상태 정보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망(400)과의 통신 상태에 대하여 장애가 발생될 경우 송신하지 않고, 이후 상기 통신망(400)과의 통신 상태가 장애 복구가 될 때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시설물들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며; 외부의 전원에 장애가 발생하여 차단될 때에는 비상전력장치의 비상 전원이 공급될 때 저전력으로 구동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일정 시간 주기 단위마다 외부의 전원이 정상 공급되는 상태인지를 확인하며, 정상 공급이 되지 않으면, 상기 관리함체(2)에서 상기 시설물(100)들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성하여 저전력으로도 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함체(2)에 공급되는 외부의 전원에 장애가 발생하여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상기 비상전력공급장치의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관리함체(2)의 기능이 정지되지 않으며,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비상전력공급수단(33)은, 상기 관리함체(2) 내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1)에서, 상기 관리함체(2)는, 상기 관리함체(2)의 인근에 설치된 별개의 관리함체(2)들과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상기 통신망(400)과의 통신 장애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될 때, 상기 관리함체(2)의 감시데이터를 긴급히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에 전송해야 하거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을 해야하는 경우, 인근에 설치된 별개의 관리함체(2)들과 데이터 통신을 하여 상기 관리함체(2)의 감시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별개의 관리함체(2)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데이터전송수단(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감지수단(5)을 통해 감지되는 외부의 충격이 상기 관리함체(2)의 내구도 이상의 충격으로 발생될 때, 상기 관리함체(2)의 상기 감시수단(6)에서 출력된 감시데이터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에 긴급히 데이터를 전송해야할 때 상기 통신망(400)의 장애가 발생될 시, 인근에 설치된 별개의 관리함체(2)들에게 상기 관리함체(2)의 감시데이터를 전송하여, 별개의 관리함체(2)에서 직접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의 통신을 하여 전달하거나; 별개의 관리함체(2)의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에 임시로 저장하도록 하여 통신망 장애 복구시 별개의 관리함체(2)가 상기 관리함체(2)의 감시데이터를 대신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전달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무단 개폐로 생성되어 출력된 감시데이터를 상기 통신망(400)의 장애에 의해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송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시, 인근에 설치된 별개의 관리함체(2)들에게 상기 관리함체(2)의 감시데이터를 전송하여, 별개의 관리함체(2)에서 직접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의 통신을 하여 전달하거나; 별개의 관리함체(2)의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에 임시로 저장하도록 하여 통신망 장애 복구시 별개의 관리함체(2)가 상기 관리함체(2)의 감시데이터를 대신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전달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리함체(2)와 상기 통신망(400)의 통신 상태에 장애가 일시적으로 발생하여도 상기 관리함체(2)의 이상상황에 대하여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의 유실성을 감소시키고 신속하게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근거리데이터전송수단(8)은, 상기 관리함체(2) 에 포함된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별도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과, 별도로 구비되는 임시데이터저장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관리함체(2)에 포함된 상기 제어수단(31)과,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42)과,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근거리데이터전송수단(8)의 구성 및 구조를, 상기 관리함체(2)에 포함된 상기 제어수단(31)과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42)과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로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추가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1)은, 현장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들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2)의 관리 및 점검을 수행할 때, 상기 관리함체(2)를 개폐하지 않고도 사용자(작업자)가 관리 및 점검 가능하도록 하게 되어 상기 관리함체(2) 내부의 시설물 관리모듈에 외부의 원인에 의한 영향이 갈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는 이상상황이 발생 시, 이를 감지하며 상기 감시수단(6)을 작동시킴으로써 발생되고 있는 이상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도록 하여, 상기 시설물(100)들을 관리 및 점검하는 시스템의 구조적 보안성 향상을 극대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100 : 시설물 200 : 시설물관리서버
300 : 스마트디바이스 310 : 시설물관리프로그램
400 : 통신망 410 : 내부통신망
420 : 디바이스통신망 2 : 관리함체
31 : 제어수단 32 : 전원공급부
33 : 비상전력공급수단 41 : 서버통신모듈
42 : 근거리무선통신모듈 5 : 감지수단
6 : 감시수단 61 : 함체감시카메라모듈
62 : 내부감시모듈 7 : 데이터저장장치
8 : 근거리데이터전송수단

Claims (3)

  1.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100)을 제어 및 관리하는 관리함체(2)와;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100)들을 종합적으로 관제하는 관제센터에 설치되며 시설물(100)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관리함체(2)와 통신하여 시설물(100)들을 관리하도록 운영되는 시설물관리서버(200)와; 상기 시설물(100)들을 점검 및 유지보수를 하기 위해 시설물관리서버(200)에서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함체(2)와 통신가능한 스마트디바이스(300)와; 상기 관리함체(2)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의 통신, 또는,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이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된 통신망(400);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함체(2)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관리함체(2) 내부에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2)와; 현장에 설치된 상기 시설물(100)을 제어하고, 상기 전원공급부(32)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제어하며, 상기 관리함체(2)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31)과; 상기 시설물(100)들을 관리하도록 운영되는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와 상기 통신망(400)을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서버통신모듈(41)과;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개폐되는 상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1)으로 감지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감지수단(5)과; 상기 감지수단(5)에 의해 발생된 감지데이터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며 상기 관리함체(2) 내부와, 개구된 상기 관리함체(2)의 개구를 통해 상기 관리함체(2) 외부의 사용자 또는 실시간 관리함체(2)의 근거리 외부 영역의 상황을 감시하도록 된 감시수단(6)과; 상기 감시수단(6)을 통해 감시되어 발생된 감시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장치(7)와;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의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구비하는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통신가능하도록 된 근거리무선통신모듈(42)과; 상기 관리함체(2)에 공급되는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는 비상상황시에 상기 전원공급부(32)를 통해 상기 관리함체(2)로 전원공급을 보조하는 비상전력공급수단(33);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함체(2)는, 상기 통신망(400)과의 통신 상태에 대하여 통신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 상기 시설물(100)들의 상태 정보를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망(400)과의 통신 상태에 대하여 장애가 발생될 경우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에 상기 시설물(100)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 뒤에, 이후 상기 통신망(400)과의 통신 상태가 장애 복구가 될 때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시설물(100)들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감시수단(6)은,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거나,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상기 감지수단(5)의 감지데이터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며, 상기 관리함체(2)의 개구를 통해 상기 관리함체(2) 외부의 사용자 또는 상기 관리함체(2)의 근거리 외부 영역의 상황을 감시하며, 감시된 감시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된 함체감시카메라모듈(61)과; 상기 관리함체(2)가 무단으로 개폐되거나,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상기 감지수단(5)의 감지데이터를 받은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며, 상기 관리함체(2) 내부에 설치된 장치 및 모듈들의 상태를 감시하며, 감시된 감시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된 내부감시모듈(62);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함체(2)는,
    상기 관리함체(2)의 인근에 설치된 별개의 관리함체(2)들과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관리함체(2)에 대하여 상기 통신망(400)과의 통신 장애 발생으로 인하여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될 때, 상기 관리함체(2)의 감시데이터를 긴급히 상기 시설물관리서버(200)에 전송해야 하거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을 해야하는 경우, 인근에 설치된 별개의 관리함체(2)들과 데이터 통신을 하여 상기 관리함체(2)의 감시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별개의 관리함체(2)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데이터전송수단(8);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데이터전송수단(8)은,
    상기 관리함체(2)에 포함된 상기 제어수단(31)과, 상기 제어수단(31)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상기 근거리무선통신모듈(42)과, 상기 데이터저장장치(7)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디바이스(300)는,
    상기 관리함체(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가능하며 상기 관리함체(2)에서 관리하고 있는 상기 시설물(100)들의 정보를 수신받아 상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상기 시설물(100)들 중에서 카메라가 구비된 시설물(100)의 정보를 구성하는 영상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 실시간 재생 기법)으로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시설물(100)이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시설물관리프로그램(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0220007606A 2022-01-19 2022-01-19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242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606A KR102424241B1 (ko) 2022-01-19 2022-01-19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606A KR102424241B1 (ko) 2022-01-19 2022-01-19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241B1 true KR102424241B1 (ko) 2022-07-26

Family

ID=8260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606A KR102424241B1 (ko) 2022-01-19 2022-01-19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2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351A (ko) 2009-07-28 2011-02-08 금호전기주식회사 가로등 관리를 위한 휴대용 관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20029927A (ko) * 2010-09-17 2012-03-27 (주)이엠엔씨코리아 염소이온농도를 이용한 하수관거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43332A (ko) 2011-10-20 2013-04-30 주식회사 리드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방 감시(계측)제어 방법 및 그 소프트웨어 장치
KR20150091131A (ko) 2012-11-29 2015-08-07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지상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567280B1 (ko) * 2015-06-05 2015-11-10 주식회사 첫눈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13160B1 (ko) * 2017-10-30 2017-12-28 이상섭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4335A (ko) 2015-08-26 2018-04-04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패널구동장치 및 패널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1351A (ko) 2009-07-28 2011-02-08 금호전기주식회사 가로등 관리를 위한 휴대용 관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로등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20029927A (ko) * 2010-09-17 2012-03-27 (주)이엠엔씨코리아 염소이온농도를 이용한 하수관거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43332A (ko) 2011-10-20 2013-04-30 주식회사 리드텍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방 감시(계측)제어 방법 및 그 소프트웨어 장치
KR20150091131A (ko) 2012-11-29 2015-08-07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지상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567280B1 (ko) * 2015-06-05 2015-11-10 주식회사 첫눈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34335A (ko) 2015-08-26 2018-04-04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패널구동장치 및 패널 구동방법
KR101813160B1 (ko) * 2017-10-30 2017-12-28 이상섭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960B1 (ko) 스마트 시티를 위한 통합 버스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0426863C (zh) 监视系统
KR101016530B1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WO2013176526A1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방법
CN202904839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安防系统
KR101484625B1 (ko) 차량의 도난 경보 관리 장치
KR20150100589A (ko) 민간경비 드론 시스템
KR101370982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이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감지방법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20130131574A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424241B1 (ko) IoT 융합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599614B1 (ko) 영상을 활용한 통합형 차량감시 시스템
CN105353714A (zh) 一种智能型一体化管控系统及其用于安防监控的方法
CA2894201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KR100440786B1 (ko) 디지털영상 원격감시 및 비상감지시스템
KR20040023786A (ko) 열차운행 안전관리시스템
KR101917381B1 (ko)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WO2015088158A1 (ko) Cctv의 절취방지를 위한 제어방법
KR200459886Y1 (ko) 교통사고 자동 기록장치
KR20230088980A (ko) 맨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2227A (ko) 배달 오토바이 기반 자료 수집지원 시스템
KR101515566B1 (ko)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녹화장치
KR20210051641A (ko)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363553A (zh) 一种城市隧道应急处理方法及系统
KR20090092901A (ko) 무인 방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