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81B1 -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81B1
KR101917381B1 KR1020180059750A KR20180059750A KR101917381B1 KR 101917381 B1 KR101917381 B1 KR 101917381B1 KR 1020180059750 A KR1020180059750 A KR 1020180059750A KR 20180059750 A KR20180059750 A KR 20180059750A KR 101917381 B1 KR101917381 B1 KR 101917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control request
request mode
integrated managem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김영준
박용진
박채은
Original Assignee
(주)엘트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트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엘트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8005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종 장비들이 보관되는 박스형 하우징인 함체 하우징, 함체 하우징의 일측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방/폐쇄하는 개폐기,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기, 및 상기 통신기를 통해 외부의 함체 통합 관리 서버에 함체 개폐 상태를 전송하고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라서 함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함체 컨트롤러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함체; 상기 함체와 통신하며 함체 개폐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각 함체별로 할당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각 함체로 전송하는 함체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함체와 함체 통합 관리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 제어 요청 모드는, 함체의 보안 모드로 동작하도록 요청하는 보안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환경을 조절하도록 요청하는 환경 제어 요청 모드, 함체 유지 보수를 요청하는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를 포함하며, 각 함체내의 함체 컨트롤러는,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른 함체 제어를 수행하며,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른 함체의 작동을 제어한 함체 제어 결과를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box housing}
본 발명은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서, 함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CCTV, 통신장비, 비문함, 총기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리자를 통해서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함체를 사용한다. 함체 내부에는 각종 전기장치 및 전자 장비, 위험 장비들이 구비되어 있어,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함체 내부 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며, 필요시 유지보수를 시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함체가 무단으로 개방되어 강압적인 충격에 의해 장비가 훼손되어 관리가 어렵고, 개방된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에 의한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공공시설물 함체는 비, 눈, 벼락 등 자연환경에 매우 취약하며 아무나 열 수 있는 문제로 인해 시민들의 안전이 위협되는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여곳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함체들을 수동으로 일일이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함체 고장에 대한 정보 전달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44046호에서는 열쇠를 사용하여 함체를 개폐함으로써 열쇠를 소지하지 않은 타인에 의해 함체가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열쇠를 분실할 경우, 열쇠를 습득한 타인에 의해 함체가 개방될 수 있으며,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 및 전자장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함체를 개방하여 확인할 수밖에 없어, 각 함체와 함체 내부에 구비되는 장비 및 함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20-0444046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공공시설물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관리하는 사물 인터넷(IoT)을 이용한 함체 통합 관리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종 장비들이 보관되는 박스형 하우징인 함체 하우징, 함체 하우징의 일측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방/폐쇄하는 개폐기,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기, 및 상기 통신기를 통해 외부의 함체 통합 관리 서버에 함체 개폐 상태를 전송하고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라서 함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함체 컨트롤러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함체; 상기 함체와 통신하며 함체 개폐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각 함체별로 할당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각 함체로 전송하는 함체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함체와 함체 통합 관리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 제어 요청 모드는, 함체의 보안 모드로 동작하도록 요청하는 보안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환경을 조절하도록 요청하는 환경 제어 요청 모드, 함체 유지 보수를 요청하는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를 포함하며, 각 함체내의 함체 컨트롤러는,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른 함체 제어를 수행하며,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른 함체의 작동을 제어한 함체 제어 결과를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도어 개방 요구하는 방문자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방문자 판독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제어 요청 모드는,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허가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된 허가자의 개방 요구가 있을 시에 함체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요청하는 모드이며,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방문자 판독기를 통해 판독되는 방문자 식별정보가 상기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통해 수신된 허가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함체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판독기는, 방문자 생체정보를 판독하는 생체 정보 판독기; 방문자가 소지한 RF카드를 판독하는 RF카드 판독기; 방문자 단말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방문자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비콘 신호 판독기; 및 방문자 단말기의 NFC 신호를 수신하여 방문자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NFC 신호 판독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방문자 단말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함체 고유 번호와 함께 비콘 신호 아이디, 비콘 신호 감지 시간을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는, 각 함체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 아이디, 비콘 신호 감지 시간을 이용하여 근무자의 순찰 시간과 순찰 경로를 파악하여, 근무자의 순찰 시간과 순찰 경로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알람 통보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함체 내부의 온도/습도와 함체 외부의 온도/습도를 조절하는 환경 지수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 제어 요청 모드는, 함체 내부의 온도/습도와, 함체 외부의 온도/습도를 포함한 함체 환경 지수가 설정되는 환경 지수 기준값으로 유지되도록 요청하는 모드이며,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환경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함체 환경 지수를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함체 환경 지수가 상기 환경 지수 기준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환경 지수 조절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함체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기;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는, 충격 감지시에 경고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요청하는 모드이며,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충격 감지기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 충격이 설정된 임계 충격을 초과한 경우, 상기 경고 발생기를 구동시켜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며,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외부 충격 감지값과 감지 시간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환경 제어 요청 모드의 수신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함체 환경 지수가 설정된 환경 지수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 함체 상태 보호를 위하여 상기 환경 지수 조절기를 작동시켜 함체 환경 지수가 환경 지수 임계값으로부터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는, 도어의 개폐 상태, 함체 내외부의 환경 지수 상태, 환경 지수 조절기 구동 상태, 함체 외부 충격 감지 상태, 메인 전원 상태를 포함하는 함체 내외부 상태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모드이며,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가 수신되는 경우, 도어의 개폐 상태, 환경 지수 조절기 상태, 함체 외부 충격 감지 상태, 메인 전원 상태를 포함하는 함체 내외부 상태를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는, 유지보수 담당자 식별 및 로그관리, 작업일자 및 유지보수 내용을 DB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는, 함체 고유번호별로 관리 등급을 각각 할당한 함체별 관리 등급 할당 데이터베이스; 및 관리 등급별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다르게 할당한 관리 등급별 모드 할당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별로 할당된 관리 등급에 따라서 각각 다른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추출하여 추출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함체별로 각각 다르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함체별 관리 등급 할당 데이터베이스는, 보안이 요구되는 함체일수록 관리 등급이 높게 설정되며, 상기 관리 등급별 모드 할당 데이터베이스는, 관리 등급이 높을수록 함체 제어 요청 모드가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보안 제어, 유지보수 제어, 환경 제어, 모니터링 제어를 통하여 각 함체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 함체별로 관리 등급을 다르게 하여 함체별 전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제어 요청 모드의 예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제어 요청 모드로 동작할 때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경 제어 요청 모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제어 요청 모드의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100), 함체(200), 및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은, 랙을 포함한 모든 함체 관리 및 제어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말한다.
유무선 네트워크(100)는, 함체(200)와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100)가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프로그램은 ACU(access control unit) 프로그램에 의하여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함체(200)는, 내부에 각종 전기장치 및 전자장비들을 구비한 일종의 박스형 하우징인 함체 하우징(200a)이다. 따라서 함체 하우징(200a)은, 무인 택배함, 사물함, 의약품 보관함, 데이터 서버 보관함, 교통신제어기 보관함, CCTV 보관함, 통신장비 보관함, 비문함, 총기 보관함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함체(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어,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에 의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 도어(210), 온도/습도 제어 등의 관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함체(200)에는, 내부 또는 외부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 하우징(200a)의 일측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10), 도어(210)를 개방/폐쇄하는 개폐기(220), 유무선 네트워크(100)와 통신하는 통신기(230), 및 통신기(230)를 통해 외부의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에 함체 개폐 상태를 전송하고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라서 함체(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함체 컨트롤러(240)를 구비한다. 이밖에 방문자 판독기(250), 환경 지수 조절기(260), 및 경고 발생기(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각각의 함체(200)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함체(200)와 통신하며 함체 개폐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여 관리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유지보수 담당자 식별 및 로그관리, 작업일자 및 유지보수 내용을 DB화하여 관리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앱)과 연동되어 모드 제어 및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각 함체(200)에 할당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각 함체(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각 함체(200) 내의 함체 컨트롤러(240)는,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른 함체 제어를 수행하며,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른 함체(200)의 작동을 제어한 함체 제어 결과를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200)의 보안 모드로 동작하도록 요청하는 보안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환경을 조절하도록 요청하는 환경 제어 요청 모드, 함체 유지 보수를 요청하는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가 다.
각각의 제어 요청 모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과 함께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함체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제어 요청 모드로 동작할 때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환경 제어 요청 모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에 대한 설명을 위한 그림이다.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310), 함체 상태 정보 출력부(320), 및 함체 제어 요청 모드 전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함체별 관리 등급 할당 데이터베이스(340), 관리 등급별 모드 할당 데이터베이스(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각 함체(200)의 통신기(230)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함체 상태 정보 출력부(320)는, 함체(200)의 통신기(230)와 통신하며 함체 개폐 상태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출력 형태는, 모니터 표시, 음성 표시 등의 다양한 출력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함체 제어 요청 모드 전송부(330)는, 각 함체별로 할당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함체(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함체(200)는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라서 함체(2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는, 함체(200)의 보안 모드로 동작하도록 요청하는 보안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환경을 조절하도록 요청하는 환경 제어 요청 모드, 함체 유지 보수를 요청하는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제어 요청 모드에 대하여 상술한다.
첫 번째로, 도 5을 참조하여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설명하면, 보안 제어 요청 모드는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허가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된 허가자의 개방 요구가 있을 시에 함체(200)의 도어(210)를 개방하도록 요청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해 함체(200)는, 도어 개방 요구하는 방문자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방문자 판독기(250)를 구비한다. 여기서 방문자 판독기(250)는, 생체 정보 판독기, RF카드 판독기, 비콘 신호 판독기, 및 NFC 판독기, JAVA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정보 판독기는, 방문자 홍채, 방문자 지문 등의 생체정보를 판독하는 기기이다.
RF카드 판독기는, 방문자가 소지한 RF카드를 판독하는 기기이다.
비콘 신호 판독기는, 방문자 단말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방문자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기이다. 비콘 신호는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BLE) 신호가 해당될 있다. 여기서 방문자 단말기는 비콘 통신할 수 있는 방문자 스마트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NFC 신호 판독기는, 방문자 단말기의 NFC 신호를 수신하여 방문자 식별정보를 판독한다. 참고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단순하고 안전한 2-웨이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반 근거리(수 센티미터) 무선 접속 기술이다. NFC 디바이스들은 그들의 동작 모드가 리더/라이터, 피어-투-피어 또는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내에 있게 변경할 수 있다. 상이한 동작 모드들은 ISO/IEC 18092 NFCIP-1 및 ISO/IEC 14443 무접촉스마트 카드 표준들에 기초한다. 리더/라이터 모드에서 NFC 디바이스는 포스터 태그 시나리오에서와 같이 NFC태그 유형을 판독할 수 있다.
함체 컨트롤러(240)는,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부터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방문자 판독기(250)를 통해 판독되는 방문자 식별정보가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통해 수신된 허가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함체(200)의 도어(210)를 개방한다.
예를 들어,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부터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방문자의 생체정보, RF카드, 비콘신호, NFC인증 등을 통해 방문자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판독된 방문자 식별정보가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통해 수신된 허가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함체(200)의 도어(210)를 개방한다. 따라서 허가된 방문자가 접근하면 비콘 신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함체(200) 도어(210)를 개방할 수 있으며, 허가된 방문자가 멀어지면 비콘 신호가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으로 함체(200) 도어(210)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비콘신호를 이용하여 순찰자의 근무 위치 및 순찰 기록을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함체 컨트롤러(240)는, 방문자 단말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함체 고유 번호와 함께 비콘 신호 아이디, 비콘 신호 감지 시간을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순찰자가 소지한 스마트폰(방문자 단말기)는 순찰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아이디가 할당되어 있다.
함체 고유 번호 및 비콘 신호 감지 시간을 수신한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각 함체(200)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 아이디, 비콘 신호 감지 시간을 이용하여 근무자의 순찰 시간과 순찰 경로를 파악한다.. 그리고 근무자의 순찰 시간과 순찰 경로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알람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순찰자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각각의 함체(200)를 제시간에 순찰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함체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도 6을 참조하여 환경 제어 요청 모드를 설명하면, 함체 내부의 온도/습도와, 함체 외부의 온도/습도를 포함한 함체 환경 지수가 설정되는 환경 지수 기준값으로 유지되도록 요청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하여 함체(200)는, 함체 내부의 온도/습도와 함체 외부의 온도/습도를 조절하는 환경 지수 조절기(260)를 포함한다. 이러한 환경 지수 조절기(260)는, 환풍팬, 냉방기, 난방기, 습도 조절기, 공기 정화기 등의 다양한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함체 컨트롤러(240)는, 환경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함체 환경 지수를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며, 함체 환경 지수가 환경 지수 기준값으로 유지되도록 환경 지수 조절기(26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환경 지수 기준값이 23℃ ~ 26℃의 상온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함체(200)내의 온도가 23℃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제1함체(200)내의 환경 지수 조절기(260)의 일종인 난방기를 가동시켜 제1함체(200)를 23℃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반대로, 제1함체(200)내의 온도가 25℃ 이상으로 올라갈 경우 제1함체(200)내의 환경 지수 조절기(260)의 일종인 냉방기를 가동시켜 제1함체(200)를 25℃ 이하로 유지되도록 한다.
세 번째로, 도 7을 참조하여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를 설명하면,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는 충격 감지시에 경고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요청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하여 함체(200)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기와,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기(270)를 포함한다.
따라서 함체 컨트롤러(240)는,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충격 감지기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 충격이 설정된 임계 충격을 초과한 경우, 경고 발생기(270)를 구동시켜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며,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 외부 충격 감지값과 감지 시간을 전송한다. 따라서 불법 침입자가 함체(200)를 강제 개방하기 하기 위하여 충격을 가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켜 불법 침입자에게 경고하며, 아울러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 외부 충격 감지를 통보하여 순찰자가 출동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함체 컨트롤러(240)는, 환경 제어 요청 모드의 수신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함체 환경 지수가 설정된 환경 지수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 함체 상태 보호를 위하여 환경 지수 조절기(260)를 작동시켜 함체 환경 지수가 환경 지수 임계값으로부터 내려가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함체(200)가 습도 50% 이상일 경우 녹스는 등의 부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함체 내부/외부의 습도가 60%를 유지해야 할 경우 60% 습도는 환경 지수 임계값에 해당하며, 환경 제어 요청 모드의 수신이 없다고 하더라도 함체(200)는, 60% 습도를 초과할 경우 환경 지수 조절기(260)의 습도 조절기를 작동시켜 함체 환경 지수가 환경 지수 임계값으로부터 내려가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하여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와 연동되는데, 따라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앱)을 통해 개별 아이디를 부여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작업일자 및 유지보수 내용을 작성하여 DB화하여 유지 보수 관리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도 8를 참조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를 설명하면,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는, 도어 개폐 상태, 함체 내외부의 환경 지수 상태, 환경 지수 조절기 구동 상태, 함체 외부 충격 감지 상태, 메인 전원 상태를 포함하는 함체 내외부 상태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함체 컨트롤러(240)는,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가 수신되는 경우, 도어 개폐 상태, 환경 지수 조절기 구동 상태, 함체 외부 충격 감지 상태, 메인 전원 상태를 포함하는 함체 내외부 상태를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함체 컨트롤러(240)는, 충격 감지기를 통해 감지되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서,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에서 실시간으로 진동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함체 컨트롤러(240)는 UPS 사용시에 메인 전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에서 실시간으로 메인 전원 상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각 함체별로 관리 등급을 부여하여 각 함체(200)마다 각각 다른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등급을 네 등급으로 분류하여, 가장 높은 1등급은 4개의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전송하며, 그 다음 등급인 2등급은 3개의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전송하며, 그 다음 등급인 3등급은 2개의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전송하며, 가장 낮은 등급인 4등급은 1개의 함체 제어 요청 모드만을 전송할 수 있다. 같은 등급의 함체(200)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제어 요청 모드 전송시에 요청 모드의 개수는 같더라도 그 종류는 각각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함체 고유번호별로 관리 등급을 각각 할당한 함체별 관리 등급 할당 데이터베이스(340)와, 관리 등급별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다르게 할당한 관리 등급별 모드 할당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함체별 관리 등급 할당 데이터베이스(340)는, 보안이 요구되는 함체(200)일수록 관리 등급이 높게 설정되며, 관리 등급별 모드 할당 데이터베이스(350)는, 관리 등급이 높을수록 함체 제어 요청 모드가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 설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저장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함체 통합 관리 서버(300)는, 함체별로 할당된 관리 등급에 따라서 각각 다른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추출하여 추출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함체별로 각각 다르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등급이 높은 함체일수록 더 많은 개수의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하게 되어, 그에 맞은 제어 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더욱 강화된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종 장비들이 보관되는 박스형 하우징인 함체 하우징, 함체 하우징의 일측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도어를 개방/폐쇄하는 개폐기,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기, 및 통신기를 통해 외부의 함체 통합 관리 서버에 함체 개폐 상태를 전송하고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라서 함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함체 컨트롤러가 구비된 함체에는, 추가적으로 기계장치의 랙, 시건장치가 구비되어 있도록 하여 정보 유출 및 고장을 방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유무선 네트워크
200:함체
300:함체 통합 관리 서버

Claims (11)

  1. 각종 장비들이 보관되는 박스형 하우징인 함체 하우징, 함체 하우징의 일측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개방/폐쇄하는 개폐기,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통신기, 및 상기 통신기를 통해 외부의 함체 통합 관리 서버에 함체 개폐 상태를 전송하고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라서 함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함체 컨트롤러가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함체;
    상기 함체와 통신하며 함체 개폐 상태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각 함체별로 할당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각 함체로 전송하는 함체 통합 관리 서버; 및
    상기 함체와 함체 통합 관리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 제어 요청 모드는, 함체의 보안 모드로 동작하도록 요청하는 보안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환경을 조절하도록 요청하는 환경 제어 요청 모드, 함체 유지 보수를 요청하는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 함체 내외부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를 포함하며,
    각 함체내의 함체 컨트롤러는, 수신되는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른 함체 제어를 수행하며, 함체 제어 요청 모드에 따른 함체의 작동을 제어한 함체 제어 결과를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함체는, 도어 개방 요구하는 방문자의 식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방문자 판독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안 제어 요청 모드는,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허가자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등록된 허가자의 개방 요구가 있을 시에 함체의 도어를 개방하도록 요청하는 모드이며,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방문자 판독기를 통해 판독되는 방문자 식별정보가 상기 보안 제어 요청 모드를 통해 수신된 허가자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함체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방문자 판독기는,
    방문자 생체정보를 판독하는 생체 정보 판독기;
    방문자가 소지한 RF카드를 판독하는 RF카드 판독기;
    방문자 단말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방문자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비콘 신호 판독기; 및
    방문자 단말기의 NFC 신호를 수신하여 방문자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NFC 신호 판독기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방문자 단말기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함체 고유 번호와 함께 비콘 신호 아이디, 비콘 신호 감지 시간을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는, 각 함체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 아이디, 비콘 신호 감지 시간을 이용하여 근무자의 순찰 시간과 순찰 경로를 파악하여, 근무자의 순찰 시간과 순찰 경로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난 경우 관리자 단말기에 알람 통보하고,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는,
    함체 고유번호별로 관리 등급을 각각 할당한 함체별 관리 등급 할당 데이터베이스; 및
    관리 등급별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다르게 할당한 관리 등급별 모드 할당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별로 할당된 관리 등급에 따라서 각각 다른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추출하여 추출한 함체 제어 요청 모드를 함체별로 각각 다르게 전송하고,
    상기 함체별 관리 등급 할당 데이터베이스는, 보안이 요구되는 함체일수록 관리 등급이 높게 설정되며,
    상기 관리 등급별 모드 할당 데이터베이스는, 관리 등급이 높을수록 함체 제어 요청 모드가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어 설정됨 특징으로 하는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함체 내부의 온도/습도와 함체 외부의 온도/습도를 조절하는 환경 지수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환경 제어 요청 모드는, 함체 내부의 온도/습도와, 함체 외부의 온도/습도를 포함한 함체 환경 지수가 설정되는 환경 지수 기준값으로 유지되도록 요청하는 모드이며,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환경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함체 환경 지수를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함체 환경 지수가 상기 환경 지수 기준값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환경 지수 조절기를 제어하는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 감지기;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는, 충격 감지시에 경고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요청하는 모드이며,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를 수신한 경우, 상기 충격 감지기를 통해 감지되는 외부 충격이 설정된 임계 충격을 초과한 경우, 상기 경고 발생기를 구동시켜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며,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외부 충격 감지값과 감지 시간을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환경 제어 요청 모드의 수신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유지보수 제어 요청 모드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함체 환경 지수가 설정된 환경 지수 임계값에 도달하는 경우 함체 상태 보호를 위하여 상기 환경 지수 조절기를 작동시켜 함체 환경 지수가 환경 지수 임계값으로부터 내려가도록 하는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는, 도어의 개폐 상태, 함체 내외부의 환경 지수 상태, 환경 지수 조절기 구동 상태, 함체 외부 충격 감지 상태, 메인 전원 상태를 포함하는 함체 내외부 상태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모드이며,
    상기 함체 컨트롤러는,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 제어 요청 모드가 수신되는 경우, 도어의 개폐 상태, 환경 지수 조절기 상태, 함체 외부 충격 감지 상태, 메인 전원 상태를 포함하는 함체 내외부 상태를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체 통합 관리 서버는,
    유지보수 담당자 식별 및 로그관리, 작업일자 및 유지보수 내용을 DB화하여 관리하는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59750A 2018-05-25 2018-05-25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917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50A KR101917381B1 (ko) 2018-05-25 2018-05-25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50A KR101917381B1 (ko) 2018-05-25 2018-05-25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381B1 true KR101917381B1 (ko) 2018-11-09

Family

ID=6442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50A KR101917381B1 (ko) 2018-05-25 2018-05-25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10B1 (ko) * 2022-02-10 2022-08-11 주식회사 대륙 벽면 매입형 통합분전반
KR102448836B1 (ko) * 2021-10-12 2022-09-30 뉴코리아전자통신(주) Ip 단말기 제어 함체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언락킹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716B1 (ko) * 2015-04-16 2015-11-02 주식회사 브릴링스 보관함 개폐 관리 장치
KR101813160B1 (ko) * 2017-10-30 2017-12-28 이상섭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716B1 (ko) * 2015-04-16 2015-11-02 주식회사 브릴링스 보관함 개폐 관리 장치
KR101813160B1 (ko) * 2017-10-30 2017-12-28 이상섭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836B1 (ko) * 2021-10-12 2022-09-30 뉴코리아전자통신(주) Ip 단말기 제어 함체용 스마트 키 시스템 및 언락킹 제어방법
KR102431610B1 (ko) * 2022-02-10 2022-08-11 주식회사 대륙 벽면 매입형 통합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21704B (zh) 一种基于rfid的涉密载体智能监控方法
US90268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cryptographic key for a field device
CN104732635B (zh) 一种锁具系统
KR101564716B1 (ko) 보관함 개폐 관리 장치
KR102085368B1 (ko) 스마트태그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시스템
KR101912349B1 (ko) 출입구 종합 통제시스템
KR101917381B1 (ko)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CN104732634B (zh) 一种锁具的显示方法
CN105389873A (zh) 电能计量装置监控系统
US2018030293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ctivating wireless connection
KR20140021874A (ko)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688551A (zh) 基于rfid保密文件全程管理系统及方法
KR20140019640A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이동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안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감지방법
CN104950746B (zh) 一种电力设备运维管理方法及控制系统
CN107204060A (zh) 一种一卡通门禁系统
KR101942076B1 (ko)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CN106899420A (zh) 云端监控的警示设备
CN205247190U (zh) 一种智能楼宇控制系统
CN104790733B (zh) 一种智能控制锁具
CN110780634A (zh) 一种实验室安全管理系统
CN204552302U (zh) 一种智能控制锁具
CN104746943B (zh) 一种显示锁具
CN104809778B (zh) 一种安防锁具
KR20070081465A (ko) 병기 관리 통합 안전시스템
CN104751555B (zh) 一种信息显示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