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339B1 -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339B1
KR101799339B1 KR1020170040248A KR20170040248A KR101799339B1 KR 101799339 B1 KR101799339 B1 KR 101799339B1 KR 1020170040248 A KR1020170040248 A KR 1020170040248A KR 20170040248 A KR20170040248 A KR 20170040248A KR 101799339 B1 KR101799339 B1 KR 10179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management server
housing
do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함체; 각각의 함체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연결되고, 각각의 함체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함체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함체 상태 정보를 전송받는 상태 정보 수신부; 상기 함체 상태 정보가 각각의 함체 별로 디스플레이된 관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알람 발생부; 사용자로부터 함체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함체 작동 명령을 상기 함체에 전송하는 작동 명령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 상태 정보는 함체의 식별 표지, 함체의 전원부 동작 상태, 함체 내부의 온도, 함체의 도어 개폐 상태 또는 도어 잠금 상태, 함체의 쿨링팬 동작 상태, 함체의 진동 발생 여부, 함체의 통신부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CASE, MANAGEMENT SYSTEM FOR LOCKING BOX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OF }
본 발명은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함체에 대하여 각각의 함체의 상태 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함체의 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가능한 함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교통신호등, CCTV, 통신장비 등이 외부에 노출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리자를 통해서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함체를 사용한다. 함체 내부에는 각종 전기장치 및 전자장비들이 구비되어 있어,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함체 내부 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며, 필요시 유지보수를 시행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함체는 외부의 요인에 의해 무단으로 개방되어 방치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개방 방치시에는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에 의한 감전사고의 위험, 강압적인 충격에 의해 장비가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 외부의 충격에 의해 함체의 파손이 발생하였을 때, 파손 행위자를 밝혀내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존재한다. 더욱이, 도처에 설치된 수많은 함체에 대하여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 및 전자장비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직접 함체를 개방하여 확인할 수밖에 없어, 각 함체와 함체 내부에 구비되는 전기장치 및 함체와 연결된 장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함체; 각각의 함체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연결되고, 각각의 함체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함체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통합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함체 상태 정보를 전송받는 상태 정보 수신부; 상기 함체 상태 정보가 각각의 함체 별로 디스플레이된 관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함체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함체 작동 명령을 상기 함체에 전송하는 작동 명령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 상태 정보는 함체의 식별 표지, 함체의 전원부 동작 상태, 함체 내부의 온도, 함체의 도어 개폐 상태 또는 도어 잠금 상태, 함체의 쿨링팬 동작 상태, 함체의 진동 발생 여부, 함체의 통신부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함체를 내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동되는 쿨링팬; 상기 함체는 일측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함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함체 내부의 온도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함체 내부의 온도가 관리 서버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쿨링팬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쿨링팬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함체에 작용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동 정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며, 상기 압전 센서에 의하여 진동이 감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함체와 연동된 카메라에 대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촬상 방향을 상기 함체의 고정 위치로 회전시키는 카메라 회전 명령과 상기 함체의 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촬영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전 센서는 진동 센서 또는 충격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는 상기 도어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개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도어의 개폐 상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의 작동 명령 송신부로부터 도어 개방 명령 또는 도어 폐쇄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개폐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기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의 작동 명령 송신부로부터 상기 쿨링팬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쿨링팬의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의 작동 명령 송신부로부터 상기 통신부 리셋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의 온오프 작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관리 단말의 상태 정보 수신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함체의 식별 표지, 함체의 전원부 동작 여부, 함체 내부의 온도, 함체의 도어 개폐 상태, 함체의 도어 잠금 상태, 함체의 쿨링팬 동작 상태, 함체의 진동 발생 여부, 함체의 통신부 동작 여부에 대한 작동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작동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함체 내부의 온도가 함체의 정상 작동 환경을 벗어나는 경우에만 쿨링팬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계속적인 쿨링팬 작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또, 작동 과정이 자동화되기 때문에 함체 관리자의 작업의 부담을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함체에 과열, 충격, 도어의 강제 개방 시도 등과 같은 문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도어 개폐에 요구되는 비밀 번호를 갱신하고 갱신된 비밀번호를 등록된 통합 관리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무단 개방에 대응하여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함체에 진동 또는 충격이 가해진 경우, 함체와 연동된 카메라가 함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문제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함체의 상태 정보를 하나의 통합 관리 단말을 통해 일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상 발생 함체에 대해서는 원격으로 작동 제어가 가능한바, 함체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함체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함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함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쿨링팬 작동 제어 방식을 도시화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함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함체 주변 영상 촬영 제어 방식을 도시화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함체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함체의 도어 개폐 제어 방식을 도시화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멀티 보기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리스트 보기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체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1000)은 본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함체(100)에 대한 함체 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 모니터링하고, 각 함체(100)의 작동 상태 또는 환경 상태를 관제실에서 일괄적으로 파악, 함체 내부의 온도 조절, 함체의 도어 원격 개폐, 전원의 동작 제어를 가능케 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1000)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함체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함체(100)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1000)은 복수의 함체(100), 관리 서버(200) 및 통합 관리 단말(300)을 포함한다.
함체(100)는 내부에 각종 전기장치 및 전자장비들을 구비한 일종의 박스형 하우징으로서, 함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 함체(100)를 내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동되는 쿨링팬(130), 일측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50), 도어(150)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개폐기(170) 및 함체(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트롤러(190)에는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통신부(191)를 구비하고, 함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93), 함체(100)에 작용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195), 도어(15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19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200)는 각각의 함체(100)의 작동 상태를 관리하는 구성으로서, 각각의 함체(100)로부터 함체에 저장된 식별 표지에 대한 정보, 온도 센서(193)에 의해 측정된 함체 내부의 온도, 도어(150)의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도어 개폐 상태), 도어 잠금 상태, 쿨링팬(130)의 온오프 여부에 대한 쿨링팬 동작 상태, 통신부(191)의 온오프에 대한 통신부 동작 상태, 함체의 전원부(110)의 온오프에 대한 전원부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송받는다.
한편, 통합 관리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각각의 함체(100)의 전술한 동작 상태 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고, 개별 함체(100)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관리 서버(200)에 연결된다. 이러한 통합 관리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각 함체(100)의 다양한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송받는 상태 정보 수신부(310), 함체 상태 정보가 각각의 함체 별로 디스플레이된 관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330), 알람 발생부(350), 사용자로부터 함체(100)의 작동 명령을 수동으로 입력받는 입력부(370) 및 함체의 작동 명령을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전송하는 작동 명령 송신부(3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1000)은 (1) 함체의 쿨링팬 작동 제어, (2) 함체 충격 시 함체 주변 영상 촬영 제어, (3) 함체의 도어 개폐 제어, (4) 통신부의 원격 리셋 제어 및 (5) 전원부의 원격 리셋 제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함체의 쿨링팬 작동 제어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 내부의 온도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쿨링팬(130)을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함체 관리 시스템(1000)을 이용한 쿨링팬 작동 제어 방식을 도시화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90)에 설치된 온도 센서(193)는 함체(100)의 내부 온도를 반복적으로 센싱하고, 측정된 내부 온도에 대한 데이터는 통신부(191)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전송된다. 관리 서버(200)에서는 온도 센서(193)로부터 수신한 함체 내부의 현재 온도를 관리 서버(200)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와 비교하고, 현재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관리 서버(200)는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대하여 쿨링팬 작동 명령을 전송하고, 컨트롤러(190)는 쿨링팬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쿨링팬(130)을 작동시킨다. 온도 센서(193)는 함체(100)의 내부 온도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기준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수신한 경우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대하여 쿨링팬 작동 중지 명령을 송신한다. 예컨대, 관리 서버(200)에 기준온도가 24도로 설정된 경우, 측정된 내부 온도가 25도 이상이 될 때 쿨링팬(130)의 작동 명령을 컨트롤러(190)에 송신하고, 쿨링팬(130)의 작동으로 함체(100)의 내부 온도가 저하되어 현재 온도가 24도 이하가 될 때, 쿨링팬(130)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쿨링팬(130)의 작동 중지 명령을 컨트롤러(190)에 송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함체 내부의 온도가 함체(100)의 정상 작동 환경을 벗어나는 경우에만 쿨링팬(130)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계속적인 쿨링팬 작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또, 작동 과정이 자동화되기 때문에 함체 관리자의 작업의 부담을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쿨링팬(130)의 작동은 통합 관리 단말(300)의 수동 제어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함체(100)에서 측정된 내부 온도 및 쿨링팬 작동 상태는 통신부(191)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고, 통합 관리 단말(300)의 상태 정보 수신부(31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함체(100)의 내부 온도 및 쿨링팬(130)의 작동 여부를 수신하며, 표시부(330)는 각각의 함체(100)의 내부 온도 및, 각 함체(100)에서 현재 쿨링팬(130)이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관리자는 함체(100)의 내부 온도를 통합 관리 단말(300)의 표시부(330)의 관제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입력부(370)에 쿨링팬 작동 명령을 수동으로 입력하면, 관리 모듈의 작동 명령 송신부(390)에서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대하여 쿨링팬 작동 명령이 전송되고, 컨트롤러(190)는 작동 명령 송신부(390)로부터 쿨링팬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쿨링팬(13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쿨링팬(130)의 작동은 통합 관리 단말(300)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통합 관리 단말(300)은 입력부(370)로서 별도의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해 구동되는 관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330)를 입력부(370)와 일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관리자는 관제 화면의 해당 아이콘, 예컨대 '쿨링팬 작동'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터치 입력하여 수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2) 함체의 충격시 함체 주변 영상 촬영 제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100)에 외부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졌을 때 함체(100)와 연동된 카메라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카메라를 함체(100)에 타겟팅하여 함체(100)의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함체 관리 시스템(1000)을 이용한 함체 주변 영상 촬영 제어 방식을 도시화한 개념도이다. 함체(100)는 함체에 작용하는 기준치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195)를 더 포함하는데, 압전 센서(195)로서는 예컨대, 진동 센서 또는 충격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압전 센서(195)에 의해 진동이 감지되면 컨트롤러(190)는 함체(100)와 연동된 함체 외부의 카메라에 대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카메라 제어 신호는 카메라의 촬상 방향을 함체(100)의 고정 위치로 회전시키는 카메라 회전 명령과 함체(100)의 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촬영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는 함체(100)의 외부에 미리 설치된 cctv를 함체(100)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감시 카메라를 본 발명의 함체 관리 시스템(1000)의 일 구성으로 구비하여 함체 주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함체(100)의 위치는 고정적이므로 함체(100)를 지향하기 위한 카메라의 패닝 각도 또는 틸팅 각도는 단일하게 특정 가능하다. 카메라 제어 신호는 이와 같은 카메라의 패닝 강도 또는 틸팅 각도에 대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카메라에는 카메라의 렌즈가 지향하는 특정 방위를 카메라의 저장소에 복수개소 지정하여 저장 가능하며, 카메라에 함체(100)의 위치 정보를 미리 지정해둠으로써, 카메라 제어 신호의 수신시 카메라가 해당 함체(100)의 위치로 타겟팅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의 작동은 통합 관리 단말(300)의 수동 제어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가 입력부(370)에 특정 식별 표지의 함체(100)에 대한 카메라 작동 명령을 수동으로 입력하면, 관리 모듈의 작동 명령 송신부(390)에서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대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가 전송되고, 컨트롤러(190)는 카메라의 전술한 작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를 통합 관리 단말(300)에서 제어하여 의심 대상이 되는 특정 함체(100)에 대한 주변 영상을 원격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관리자는 관제 화면의 해당 아이콘, 예컨대 '카메라 작동'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터치 입력하여 수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압전 센서(195)에 의해 진동 또는 충격이 감지된 함체(100)에 대해서는 통합 관리 단말(300)에서 알람음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함체(100)에 설치된 압전 센서(195)에 의해 감지된 진동 정보는 함체(100)의 통신부(191)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고, 통합 관리 단말(300)의 상태 정보 수신부(31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진동 정보를 수신한다. 진동 정보가 수신되면, 통합 관리 단말(300)의 알람 발생부(350)는 알람음을 발생시켜 진동 정보가 발생한 해당 함체(100)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음을 통합 관리 단말(300)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3) 함체의 도어 개폐 제어
종래에는 제3자가 함체(100)의 도어(150)를 임의로 개방하여 함체(100) 내의 전자 장비를 손상시키거나 장비를 도난당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함체(100)에 잠금 장치를 설치, 접근 권한이 있는 작업자가 현장에 방문하여 마스터키를 사용하여 도어(150)를 수동으로 개방하고, 작업 종료시에는 마스터키로 도어(150)를 잠그는 방식으로 함체(100)의 보수 관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관리 대상 함체의 수량이 방대하고 또 함체마다 종류가 다양하여, 복수의 함체를 개방하는 개별 마스터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작업자가 실수도 함체를 개방 상태로 방치하는 경우에 개방 함체의 위치 파악이 어려워 보수 관리의 시간이 증가하고, 작업자가 직접 현장을 재방문하여 도어 잠금 작업을 추가로 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관리 대상 함체가 늘어남에 따라 장애 파악에 시간이 소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함체(100)의 도어 개폐 작동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함체 관리 시스템(1000)을 이용한 함체(100)의 도어 개폐 제어 방식을 도시화한 개념도이다. 함체(100)에는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150)가 일측에 배치되고, 도어(150)는 개폐기(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기(170)의 작동에 의해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된다. 이때, 개폐기(170)는 함체(100)의 전원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고,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연결되어 조작된다. 개폐기(170)로서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의 컨트롤러(190)에는 도어(15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197)를 장착하고 있는바, 각각의 함체 마다 도어(150)의 개폐 상태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함체의 통신부(191)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고, 통합 관리 단말(300)의 상태 정보 수신부(31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도어 개폐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표시부(330)는 각각의 함체(100)에 대한 도어 개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도어 개폐 감지 센서(197)는 마그네틱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관리자는 함체(100)의 개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 단말(300)의 표시부(330)의 관제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입력부(370)에 도어 개방 명령 또는 도어 폐쇄 명령을 수동으로 입력하면, 관리 모듈의 작동 명령 송신부(390)에서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대하여 도어 개폐 명령(도어 개방 명령 또는 도어 폐쇄 명령)이 전송되고, 컨트롤러(190)는 개폐기(17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 개폐기(170)에 의해 도어(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도어 개폐 감지 센서(197)에 의해 도어 개방 상태가 감지된 함체(100)에 대해서는 통합 관리 단말(300)에서 알람음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함체(100)에 설치된 도어 개폐 감지 센서(197)에 의해 감지된 도어 개방 상태는 함체(100)의 통신부(191)를 통해 관리 서버(200)에 전송되고, 통합 관리 단말(300)의 상태 정보 수신부(31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도어 개방 상태를 수신한다. 개방 상태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통합 관리 단말(300)의 알람 발생부(350)는 알람음을 발생시켜 특정 함체(100)에 도어(150)가 개방되었음을 통합 관리 단말(300)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개폐기(170)는 임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기 설정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도어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함체(100)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미도시)는 비밀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식 입력부일 수 있고, 스마트 키의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함체(100)는 별도의 입력부를 포함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도어(150)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200) 또는 통합 관리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개방 명령, 폐쇄 명령, 잠금 명령 또는 잠금 해제 명령에 따라 도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19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신규 비밀 번호를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신하여, 개폐기(170)에 설정된 비밀 번호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비밀 번호는 관리 서버(200)가 컨트롤러(190)에서 수신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신규 비밀 번호일 수 있다.
즉, 컨트롤러(190)는 압전 센서(195), 온도 센서(193), 도어 개폐 감지 센서(197)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된 센싱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데, 관리 서버(200)는 컨트롤러(190)로부터 수신한 온도 센싱 정보, 진동 또는 충격 센싱 정보, 도어 개폐 감지 센싱 정보 등을 이용하여 비밀 번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컨트롤러(190)로부터 주기적으로 센싱 정보를 수신하다가, 수신한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센싱 정보의 종류 또는 센싱 정보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비밀 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밀 번호를 함체(100)와 통합 관리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진동이나 충격이 감지되거나, 과열된 경우, 강제로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이상 상황이 감지된 경우에, 비밀 번호를 재설정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관리 서버(200)는 새롭게 생성된 비밀 번호를 관리 서버(200)에 등록된 통합 관리 단말(300)로 전송하는데, 생성된 비밀 번호를 통합 관리 단말(300)로 전송하기에 앞서, 각 통합 관리 단말(300)이 신뢰할만한 단말인지 검증하기 위하여 기 등록된 통합 관리 단말(300)로 인증신호를 전송하여 신뢰성이 확보된 유효한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함체(100)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통합 관리 단말(300)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밀 번호가 새롭게 생성되면, 새로운 비밀 번호가 통합 관리 단말(300)로 전송되고, 이를 함체(100)에 입력하여 함체의 도어(150)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관리자는 통합 관리 단말(300)을 통해 원격으로 도어(15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도 있다. 즉, 관리자는 관리 서버(200)에서 통합 관리 단말(300)로 수신된 새로운 비밀번호를 통합 관리 단말(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 관리 단말(300)에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리 단말(300)은 통합 관리 단말(300)에 설치된 함체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함체(10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개폐기(170)에 설정된 비밀 번호를 재설정할 수도 있고, 개폐기(170)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원격으로 도어(150)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도 있다.
비밀 번호가 재설정된 경우, 관리자는 통합 관리 단말(300)로 새로운 비밀 번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통합 관리 단말(300)의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가 새로운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함체(100)의 도어(150)는 관리자 요청에 의해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기(170)는 별도의 버튼식 입력 장치와 같은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관리 서버(200) 또는 통합 관리 단말(300)을 통해 수신되는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명령 신호에 의해 도어(150)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4) 통신부의 원격 리셋 제어
함체(100)의 컨트롤러(190)는 통신부(191)를 통해 관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91)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은 LAN, WAN, 이더넷(Ethernet), 유에스비(USB) 방식, 전화선 방식, 전력선 방식 또는 시리얼 방식 및 패러럴 방식으로 관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기그(WiGig),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더블유비(UWB, Ultra Wideband) 또는 와이에이치디(WiHD) 방식으로 관리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90)는 관리 서버(20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면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각각의 함체(100)의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고, 통신부(191)를 통해 통합 관리 단말(30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91)로서 무선 네트워킹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통신부(191)와 관리 서버(200)의 무선 연결 상태를 원격에서 확인하고, 이상 상태 발견시 통신부(191)를 원격에서 리셋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네트워킹 장비의 전원을 일시에 차단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전원을 재공급하거나, 무선 네트워킹 장비의 공유기의 연결 상태를 강제로 연결해제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연결하는 방식으로 리셋 제어 가능하다. 통신부(191)의 연결 상태는 관리 서버(2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통합 관리 단말(300)의 상태 정보 수신부(31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통신부 연결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표시부(330)는 각각의 함체(100)의 통신부(191)의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가 입력부(370)에 통신부 리셋 명령을 입력하면, 통신부 리셋 명령이 관리 모듈의 작동 명령 송신부(390)에서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대하여 전송되고, 컨트롤러(190)는 작동 명령 송신부(390)로부터 통신부 리셋 명령을 수신하여 특정 함체(100)에 대하여, 통신부(1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110)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거나, 통신부(191)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온-오프 작동 제어함으로써, 통신부(191)를 리셋 제어한다.
(5) 전원부의 원격 리셋 제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110)에 외부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원격에서 확인하고, 이상 상태 발견시 전원부(110)를 원격에서 리셋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부(110)의 전원을 오프 작동시키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온 작동하는 방식으로 전원부(110)의 리셋 제어가 가능하다. 전원부(110)의 정상 작동 상태는 관리 서버(2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통합 관리 단말(300)의 상태 정보 수신부(31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원부(110)의 상태를 수신하며, 표시부(330)는 각각의 함체(100)의 전원부(11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가 입력부(370)에 전원부 리셋 명령을 입력하면, 전원부 리셋 명령이 관리 모듈의 작동 명령 송신부(390)에서 함체(100)의 컨트롤러(190)에 대하여 전송되고, 컨트롤러(190)는 작동 명령 송신부(390)로부터 전워부 리셋 명령을 수신하여 특정 함체(100)의 전원을 온-오프 작동 제어한다.
한편, 표시부(330)는 함체의 식별 표지, 함체의 전원부 동작 여부, 함체 내부의 온도, 함체의 도어 개폐 상태, 함체의 도어 잠금 상태, 함체의 쿨링팬 동작 상태, 함체의 진동 발생 여부, 함체의 통신부 동작 여부에 대한 작동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330)의 관제 화면에는 함체의 작동 상태 정보를 각각의 함체 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방식은 멀티 보기 방식 또는 리스트 보기 방식의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30)의 멀티 보기 UI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330)의 리스트 보기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멀티 보기 UI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복수의 단위로 분할하고 각 단위마다 함체(100)의 작동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도 6a에는 각 유닛에 함체의 식별 표지(예컨대 달서구 349, 달서구 350 등), 현재 온도(예컨대, 34.25°C), 쿨링팬 동작 상태(예컨대, START FAN), 도어 개폐 상태(예컨대, CLOSE DOOR), 도어의 잠금 상태(예컨대, LOCK)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한편, 함체 리스트 보기 UI는 각각의 함체에 대한 작동 상태 정보를 리스트화하여 디스플레이하며, 함체의 식별 표지(예컨대 달서구 349, 달서구 350 등), 현재 온도(예컨대, 34), 도어 개폐 상태(예컨대, 정상: 문이 닫힘), 도어의 잠금 상태(예컨대, LOCK OK), 쿨링팬 동작 상태(예컨대, 가동중), 상한 온도(예컨대, 30) 및 온도차(예컨대, -4) 등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통합 관리 단말(300)에 관리 대상의 수많은 함체(100)를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고, 각 함체(100)의 상태 정보 예컨대, 함체의 식별 표지(할당된 고유 채널 또는 설치 위치에 관한 정보), 함체 내부의 온도, 함체의 쿨링팬 동작 상태, 함체의 도어 개폐 상태 또는 도어 잠금 상태, 함체의 통신부 동작 상태, 함체의 전원부 동작 상태, 함체의 진동 발생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각 함체의 쿨링팬(130), 도어 개폐기(170), 감시 카메라 등의 전자 장비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동작을 중지하는 동작 제어, 전원부(110)나 통신부(191) 등 이상 발생이 감지된 전자 장비의 리셋 제어가 원격에서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 기능에 의해, 도처에 설치된 수많은 함체에 대하여 함체 내부의 전기장치 및 전자장비의 상태를 현장 방문이 아닌 원격 모니터링에 의해 확인 가능한바, 함체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적, 비용적 문제를 일소할 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6) 함체 연동 정보의 암호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함체(100)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와 같이 함체(100)에 연동된 장치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함체(100)에 연동된 장치가 카메라인 경우의 일 실시 예를 살펴보자. 컨트롤러(190)는 자체적으로 센싱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데,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90)는 센싱 정보의 크기, 센싱 정보가 온도 센서(193)에서 생성된 정보인지, 압전 센서(195)에서 생성된 정보인지, 도어 개폐 감지 센서(197)에서 생성된 정보인지와 같은 센싱 정보의 종류 등을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이는 함체(100)의 무단 개방이나 강압에 의한 충격 등으로 인해 함체(100)가 손상 또는 함체(100)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탈취의 위험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함체(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함체(100)가 강제 개방되더라도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컨트롤러(190)는 암호화키를 관리 서버(200) 및/또는 통합 관리 단말(300)로 전송함으로써, 추후 관리자가 함체(100)를 획득했을 때,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키로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체 관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함체는 압전 센서, 온도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센서, 온도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센싱 정보가 생성되면(S100), 센싱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200). 함체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한 관리 서버는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신규 비밀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관리 서버는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센싱 정보의 종류 또는 센싱 정보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신규 비밀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센싱 정보의 종류에 대응되는 코드를 미리 설정해 두었다가 신규 비밀 번호 생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온도, 진동의 세기, 충격의 세기 등 센싱 정보의 크기를 이용하여 신규 비밀 번호를 생성할 수 있어, 신규 비밀 번호는 그 값을 미리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함체의 무단 개방과 같은 이상 상황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새롭게 생성된 신규 비밀 번호를 함체와 통합 관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400). 이에 대하여, 함체는 신규 비밀 번호를 이용하여 함체의 비밀 번호를 재설정 할 수 있다(S500).
통합 관리 단말에는 함체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통합 관리 단말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규 비밀 번호를 포함하는 개방 명령, 폐쇄 명령, 잠금 명령 또는 잠금 해제 명령을 함체에 전송할 수 있다(S600). 이러한 명령은 관리 서버에 의해 함체에 전송될 수 있다.
명령을 수신한 함체는 각 명령에 대응하여 함체의 도어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S700).
도 8의 실시 예에서, 함체는 함체와 연동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S800),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830), 초과하면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S850). 함체는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암호화하며(S870), 관리 서버 또는 통합 관리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암호화키를 전송할 수 있다(S890). 따라서 무단 개방 시도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함체는 자동으로 함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관리자가 아닌 사람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0: 함체 관리 시스템 100: 함체
110: 전원부 130: 쿨링팬
150: 도어 170: 개폐기
190: 컨트롤러 191: 통신부
193: 온도 센서 195: 압전 센서
197: 도어 개폐 감지 센서 200: 관리 서버
300: 통합 관리 단말 310: 상태 정보 수신부
330: 표시부 350: 알람 발생부
370: 입력부 390: 작동 명령 송신부

Claims (15)

  1. 함체;
    관리 서버로부터 함체 상태 정보를 전송 받아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함체 제어 신호를 상기 함체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통합 관리 단말;
    상기 통합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함체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함체로 전달하는 상기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가동되는 쿨링팬;
    상기 함체의 일측의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통합 관리 단말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가 기 설정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를 개방, 폐쇄 또는 잠금하는 개폐기;
    상기 함체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함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러에 포함된 압전 센서, 온도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된 센싱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신규 비밀 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기의 비밀 번호를 재설정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센싱 정보의 종류 또는 상기 센싱 정보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신규 비밀 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신규 비밀 번호를 상기 함체 및 상기 통합 관리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규 비밀 번호로 상기 개폐기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와 연동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암호화하며,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암호화키를 전송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상태 정보는 함체의 식별 표지, 함체의 전원부 동작 상태, 함체 내부의 온도, 함체의 도어 개폐 상태 또는 도어 잠금 상태, 함체의 쿨링팬 동작 상태, 함체의 진동 발생 여부, 함체의 통신부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함체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함체 내부의 온도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함체 내부의 온도가 관리 서버에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쿨링팬 작동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쿨링팬을 작동시키는 함체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함체에 작용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동 또는 충격 정보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며,
    상기 압전 센서에 의하여 진동 또는 충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함체와 연동된 카메라의 배향이 상기 함체를 타켓팅하도록 상기 카메라에 대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촬상 방향을 상기 함체의 고정 위치로 회전시키는 카메라 회전 명령과 상기 함체의 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촬영 명령을 포함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 정보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통합 관리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진동 정보를 수신하며, 진동 정보 수신 시 알람음을 발생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센서는 진동 센서 또는 충격 센서인 함체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도어 개폐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도어의 개방 상태, 폐쇄 상태 또는 잠금 상태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함체로부터 수신한 상기 도어의 개방 상태, 폐쇄 상태 또는 잠금 상태를 상기 통합 관리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로부터 도어 개방 명령, 도어 폐쇄 명령, 도어 잠금 명령 또는 도어 잠금 해제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개폐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도어의 개방 상태 수신 시 알람음을 발생하는 알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 관리 시스템.
  13. 압전 센서, 온도 센서,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함체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센싱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센싱 정보를 상기 함체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신규 비밀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신규 비밀 번호로 상기 함체의 비밀 번호를 재설정하는 단계;
    상기 함체를 모니터링하는 통합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신규 비밀 번호를 포함하는 개방 명령, 폐쇄 명령, 잠금 명령 또는 잠금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각 명령에 대응하여 함체의 도어를 개방, 폐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체의 작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비밀 번호는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센싱 정보의 종류 또는 상기 센싱 정보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체의 작동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와 연동된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통합 관리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암호화키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함체의 작동 방법.

KR1020170040248A 2016-06-28 2017-03-29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9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80878 2016-06-28
KR1020160080878 2016-06-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030A Division KR101813160B1 (ko) 2017-10-30 2017-10-30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339B1 true KR101799339B1 (ko) 2017-11-22

Family

ID=6081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248A KR101799339B1 (ko) 2016-06-28 2017-03-29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3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04A (ko) * 2017-12-20 2019-06-28 한국전력공사 전력 기기 점검 장치 및 방법
KR20200018149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더벨 도어락 개폐장치, 중앙통제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생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53B1 (ko) 2013-08-26 2014-03-20 김명삼 함체 도어 개폐 시스템
KR101410618B1 (ko) 2013-04-03 2014-06-20 황운규 비밀번호에 의한 개폐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1567280B1 (ko) 2015-06-05 2015-11-10 주식회사 첫눈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618B1 (ko) 2013-04-03 2014-06-20 황운규 비밀번호에 의한 개폐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1375353B1 (ko) 2013-08-26 2014-03-20 김명삼 함체 도어 개폐 시스템
KR101567280B1 (ko) 2015-06-05 2015-11-10 주식회사 첫눈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04A (ko) * 2017-12-20 2019-06-28 한국전력공사 전력 기기 점검 장치 및 방법
KR102187737B1 (ko) * 2017-12-20 2020-12-07 한국전력공사 전력 기기 점검 장치 및 방법
KR20200018149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더벨 도어락 개폐장치, 중앙통제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생산시스템
KR102250078B1 (ko) * 2018-08-10 2021-05-12 주식회사 더벨 도어락 개폐장치, 중앙통제 서버 및 이를 이용하는 생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160B1 (ko)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8303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ccess to physical space
US114809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ly tagging and securing industrial equipment
US9230380B2 (en) Lockable enclosure having improved access system
JP5996598B2 (ja) 暗証番号ロックを備える警備システム
KR101799339B1 (ko) 함체, 함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32022A (ko) 통신 기능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고의 원격제어 및 보안 시스템
EP3724861B1 (en) Role-based locking system for plants unattended premises
CN104468690B (zh) 由分布式系统中的装置执行的方法及分布式系统的装置
WO2017196319A1 (en) Electronic device access control
KR102151593B1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위한 보안 장치
JP2007328601A (ja) キャビネット監視装置
JP2004211405A (ja) 錠前装置
CN107800563B (zh) 一种恢复网络连接装置上的设置的方法、授权装置和系统
KR20180136014A (ko) 보안 기능을 갖는 도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감시방법
KR102139161B1 (ko)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GB2574675A (en) Access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s
KR102591923B1 (ko) Cctv 함체보안용 통합관리시스템
JP2007009602A (ja) ロボット用操作表示器及び電気錠システム
CN112559986A (zh) 用于保护设备的系统
WO2024068032A1 (en) Security installations and methods
CN112581655A (zh) 智能防盗预警提示的公寓管理系统
GB2606201A (en) Lockable cabinet
KR20140084437A (ko) 하이브리드 제어 패널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