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161B1 -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161B1
KR102139161B1 KR1020190088220A KR20190088220A KR102139161B1 KR 102139161 B1 KR102139161 B1 KR 102139161B1 KR 1020190088220 A KR1020190088220 A KR 1020190088220A KR 20190088220 A KR20190088220 A KR 20190088220A KR 102139161 B1 KR102139161 B1 KR 102139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
security managemen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연
Original Assignee
(주)스토리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토리포유 filed Critical (주)스토리포유
Priority to KR102019008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동산에 부착되며, 초기설정과 다른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감지부와, GP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동산담보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이탈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진동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GPS를 활성화시켜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GPS를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불필요한 GPS의 활성화에 따른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APPARATUS AND SERVER FOR MANAGING OF PERSONALTY MORTGAGE LOAN}
본 발명은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GPS 소모전력을 최소화하면서 동산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를 분석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현행 민법상 물권변동에는 거래의 안전을 위하여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공시방법을 수반할 것을 요구한다. 즉, 부동산 및 특수동산(자동차, 중기, 선박)의 경우 물권변동을 위해서는 등기나 등록을 통해 공시하게 되나 동산의 경우 질권을 설정하려면 채권자에게 목적물을 인도하여야 한다.
그러나, 기업의 생산활동에 필요한 동산은 기업이 계속 점유하고 사용하여야 하므로 담보목적물의 인도를 요하는 질권을 설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현재 기업이 보유하는 동산을 담보로 설정할 때에는 양도담보를 설정하거나 또는 공장저당법에 의한 목록추가 방식으로 일괄하여 담보를 설정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동산에 대해 적절한 공시방법이 없는 현 제도 하에서는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고가의 동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담보제공이 곤란하여 금융기관의 대출 등 신용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2762호(2010년 06월 22일 공개)가 개시되어 있지만, 동산의 소재지정보, 동산 소유자의 식별정보 및 동산의 이용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산정보와 동산에 담보권을 설정하는 경우에 채무자 및 담보권자의 식별정보, 상기 담보권의 피담보채권액 및 그 최고액에 관한 정보, 상기 담보권을 등기하는 경우 등기원인, 등기 연월일, 등기의 존속기간, 등기 접수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동산담보정보등 동산에 대한 주변정보 수집에 요체를 두고 있어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동산의 상태를 확인하고 동산의 가동이력을 검토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동산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GPS를 활용하는데 실내에서 유효한 위치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면서 일정시간 이상 GPS가 활성화되어 전력소모가 증가하고, 동산의 이동상태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에서 불필요한 GPS의 활성화에 따른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산의 GPS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도 위성정보를 이용하여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산이 전자기기의 경우 전원정보를 이용하여 동산의 이동 여부나 사용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동산이 설정된 지오펜스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알람을 보내 현지 상황에 대한 피드백을 유도하여 관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동산에 부착되며, 초기설정과 다른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감지부와, GP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동산담보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이탈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진동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GPS를 활성화시켜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GPS를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GPS가 수신하는 위성의 종류, 개수 및 감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시점별로 비교하여 상기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진동이벤트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동산에 대한 단순충격상태 또는 이동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동산에 부착되는 동산담보 관리장치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동산의 담보정보를 관리하는 담보정보관리부와,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이탈이벤트에 대한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진동이벤트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GPS의 위성정보 또는 상기 진동이벤트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은, 동산에 부착되며, 초기설정과 다른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감지부와, GP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동산담보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이탈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진동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GPS를 활성화시켜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GPS를 비활성화시키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산담보 관리장치, 및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동산의 담보정보를 관리하는 담보정보관리부와,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이탈이벤트에 대한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진동이벤트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GPS의 위성정보 또는 상기 진동이벤트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산담보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불필요한 GPS의 활성화에 따른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동산의 GPS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도 위성정보를 이용하여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산이 전자기기의 경우 전원정보를 이용하여 동산의 이동 여부나 사용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동산이 설정된 지오펜스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알람을 보내 현지 상황에 대한 피드백을 유도하여 관리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에서 위치정보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가 동산의 전원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에서 동산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시스템은 동산담보 관리장치(100) 및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동산에 부착되어 동산의 움직임 및 위치를 감지한다. 이 경우, 동산은 중장비, 건설기계, 자동차, 부품, 패키지 등은 물론 냉장고, 정수기, 복합기 등 전자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무선통신이 가능하고, 내부전원으로 1차전지 또는 2차전지가 장착될 수 있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동산의 움직임 등 진동이벤트가 감지되면 GP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진동이벤트가 감지되더라도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GPS를 비활성화시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전원차단, 보호커버분리, 통신차단 등의 이탈이벤트를 감지하고 이를 즉시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로 경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하나의 동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동산의 움직임 또는 위치를 판단한다.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기 설정된 지오펜스를 이용하여 동산이 지오펜스를 이탈하여 이동하는 경우 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동산의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GPS의 위성정보를 이용하여 동산의 위치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산이 실내에 위치한 경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으나, GPS의 위성정보의 변경 여부에 따라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동산을 점유하고 있는 사용자 또는 담보를 설정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동산의 이탈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동산담보 관리장치(100) 및 동산담보 관리서버(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이벤트감지부(110), 위치감지부(120), 제1 통신부(130) 및 제1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동산에 부착되며 내부전원 또는 외부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된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하나의 동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벤트감지부(11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초기설정과 다른 이벤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감지부(110)는 진동센서, 기울기센서, 가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진동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동산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진동이벤트는 동산의 움직임정보로 추정한다. 이벤트감지부(110)는 초기설정을 벗어난 진동이벤트를 감지한 경우 이를 제1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제1 제어부(140)는 진동이벤트를 시점별로 분석하여 동산의 이동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감지부(110)는 전원차단, 배터리커버개방, 전파차단과 같은 이탈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감지부(11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10)의 내부전원 또는 외부전원이 차단되는 이탈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감지부(110)는 내부전원의 배터리 커버가 개방된 경우 이탈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감지부(110)는 지자계센서를 이용하여 차폐필름 등에 의해 전파차단의 이탈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이벤트는 제1 제어부(140)를 통해 즉시 외부의 동산담보 관리서버나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감지부(110)는 진동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라도, 기 설정된 진동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동산담보 관리장치(100)가 동산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동산을 점유한 자가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동산으로부터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를 분리시키려고 하는 이탈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위치감지부(120)는 GP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동산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위치정보는 동산담보의 위치정보로 추정된다. 위치감지부(120)는 동산이 실내에 위치하는지 실외에 위치하는지 불문하고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위치감지부(120)는 슬립모드로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벤트감지부(110)의 진동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동작모드로 전환되어 활성화된다. 이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가 내부전원으로 구동되는 경우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감지부(120)는 GPS를 통한 유효한 위치정보 외에 GPS로부터 위성의 종류, 개수 및 감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가 실내에 위치하여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도 위성정보를 통해 이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위치감지부(120)는 위성정보를 시점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감지부(120)는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 설정된 시간 이후 자동으로 비활성화되어 슬립모드로 전환된다. 이는 실내와 같이 유효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유효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GPS가 불필요하게 오래 활성화되어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위치감지부(120)는 이벤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기 설정된 스케줄에 의해 GPS를 활성화시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치감지부(120)는 하루에 2회 이상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복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산의 위치변경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위치감지부(120)의 위치정보 감지 스케줄은 랜덤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은 동산담보 관리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정보는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동산의 위치변경 이력을 관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통신부(13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이나 동산담보 관리서버와 통신한다. 제1 통신부(130)는 이벤트감지부(110)나 위치감지부(120)가 동작하는 경우 이벤트정보와 위치정보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이나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동산을 점유하고 있는 사용자이거나 담보를 설정한 사용자나, 동산담보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통칭한다.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동산의 움직임정보,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동산이 기 설정된 위치범위를 벗어난 경우인지를 판단한다. 제1 통신부(130)는 슬립모드로 유지되며, 이벤트감지부(110)나 위치감지부(120)가 동작하는 경우에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이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1 제어부(140)는 진동이벤트가 감지되면 GPS를 활성화시켜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에는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동산의 위치정보를 사용자 단말이나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는 GPS를 통해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유효한 GPS 좌표정보가 획득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는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 동산담보 관리서버를 통해 동산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동산이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그 위치를 추적하여 경찰이나 동산 담보 설정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40)는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GPS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실내와 같이 유효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유효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GPS가 불필요하게 오래 활성화되어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제어부(140)는 GPS로부터 위성의 종류, 개수 및 감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가 실내에 위치하여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도 위성정보를 통해 이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제어부(140)는 위치감지부(120)에서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GPS를 활성화시켜 감지된 복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시점에 획득한 제1 위치정보와 제2 시점에 획득한 제2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인 경우 위치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위치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제1 제어부(140)는 제1 위치정보와 제2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이는 움직임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도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위치정보로 수신하여 동산의 이탈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제어부(140)는 진동이벤트가 감지되나, 위치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동산담보 관리서버나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위치감지부(120)가 기능적으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이거나, 동산의 점유자가 고의적으로 위치정보의 감지를 차단한 경우로 판단하여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로부터 알람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동산의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알람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은 동산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알람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코드의 전송이 없는 경우 동산의 무단이탈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40)는 이벤트감지부(110)를 통해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전원차단, 배터리커버개방, 전파차단과 같은 이탈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동산담보 관리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커버가 이탈되고 배터리가 제거되는 경우 더 이상 움직임정보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이탈이벤트의 발생 즉시 동산담보 관리서버고 알람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제공한다.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알람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코드의 전송이 없는 경우 동산의 무단이탈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신속하게 이탈신호를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전원감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감지부(150)는 동산이 전자기기인 경우, 동산의 전원플러그와 탈착형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동산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동산의 복합기, 정수기, 냉장고, 스타일러 등과 같이 상시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기기인 경우 전기사용량을 감지하여 전원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진동이벤트나 이탈이벤트 외에 전원정보를 이용하여 동산의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140)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 또는 위성정보를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전원정보 및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동산이 허용 범위를 이탈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정보가 일정시간 차단된 후 전원이 다시 공급된 경우 전원 차단 전후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동산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40)는 동산이 전자기기인 경우 외부전원이 연결되면 이를 통해 구동전력을 획득하고, 외부전원아 차단되면 내부전원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무정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40)는 동산에 외부전원아 공급되면 위치감지부(120)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위치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외부전원의 공급에 따라 전력소모를 줄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움직임정보가 감지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140)는 외부전원이 일정시간 이상 차단된 경우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동산의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알람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은 동산의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전원감지부(150)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알람신호를 받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식별코드의 전송이 없는 경우 동산의 무단이탈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동산담보 관리장치(100)의 고장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알람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60)는 스피커와 경광등을 통해 동산의 이탈시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동산의 무단이탈 되는 경우 점유자에게 경각심을 주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는 동산의 이탈신호를 동산담보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즉시 알람부(160)를 가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점유자가 부주의로 동산을 이탈시키거나 제3자에 의해 동산의 침탈되는 경우 알람신호를 통해 심리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영상획득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170)는 동산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획득부(170)는 진동이벤트나 이탈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주변의 영상을 획득한다. 이는 동산의 위치정보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주변 환경정보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영상획득부(170)는 획득한 영상정보를 제1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이 경우, 제1 제어부(140)는 영상정보를 외부의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동산의 움직임이 감지되나, 위치정보가 부정확한 경우 영상정보를 기초로 주변의 환경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먼저 동산의 이벤트를 감지한다(S110).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전원차단, 배터리커버개방, 전파차단과 같은 이탈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S120). 이 경우,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배터리 커버가 착탈되는 등 이탈이벤트인 경우 즉시 알람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125). 이는 동산담보 관리장치에 대한 전원을 무단으로 차단하려는 움직임으로 보고 신속하게 이탈신호를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알람을 주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이탈이벤트가 아닌 진동이벤트인 경우 동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GPS를 활성화하고 위치정보를 수신한다(S130). 다음으로,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동산의 위치정보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예를 들어,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동산의 위치정보 중 기준 이상의 감도가 수신되는 GPS 위성의 개수가 3개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위치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하고,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145).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위치정보 중 기준 이상의 감도가 수신되는 GPS 위성의 개수가 3개 미만인 경우, GPS위성의 종류, 감도, 개수를 위성정보로 생성하여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150).
다음으로, 동산담보 관리장치는 GPS를 비활성화하고 동산의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대기상태로 전환된다(S160). 이는 GPS를 비활성화시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GPS의 활성화시간이 2~3분이라면, 본 발명에서는 10초 이내로 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효하지 않은 GPS의 위치정보 수집을 제한하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유지기간을 늘릴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에서 위치정보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를 나타내고, (b)는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a)의 경우 기준감도(R) 이상의 GPS위성이 1, 2, 3, 4가 감지되므로, 삼각측량법에 의해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a)의 경우 GPS좌표가 위치정보로 설정되어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되어 동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b)의 경우 기준감도(R) 이상인 GPS위성이 감지되지 않는다. 이는 동산담보 관리장치가 실내나 지하에 위치하여 유효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GPS위성 1, 2, 4, 5, 7은 미약하지만 그 신호가 감지되므로 그 종류, 개수 및 감도가 위성정보로 생성되어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동산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이거나,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도 위치정보 또는 위성정보를 기초로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장치가 동산의 전원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동산(10)이 전자기기인 경우 전원선에 연결되어 전원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동산(10)의 전원선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탈부착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는 동산(10)이 콘센트에 연결되면서 전원차단 여부, 전원사용량 등의 전원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원정보 중 전원이 차단된 경우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전원정보 중 전원사용량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동산(10)의 전원사용량과 다른 최대소비전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동산(10)의 과사용에 따라 고장 발생시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함이다. 또한, 원격에서 동산(10)의 관리상태를 확인하고, 고장이 우려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제2 통신부(210), 담보정보 관리부(220) 및 제2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210)는 동산에 부착되는 동산담보 관리장치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한다. 제2 통신부(21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로부터 동산의 움직임정보,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 동산의 위치정보는 위치정보, 위성정보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과도 통신을 통해 인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산담보 관리장치에서 움직임정보나 위치정보에 이상이 있어 고장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인증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2 통신부(210)는 동산이 기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담보정보 관리부(220)는 동산의 담보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담보정보는 동산의 소유권, 담보물권, 담보설정기간, 담보기간 내 설정위치,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식별정보는 물론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동산의 움직임정보, 위치정보를 포괄한다. 담보정볼 관리부는 시간에 따른 동산의 위치정보 변경내역을 관리할 수 있다. 이는 동산의 설정된 위치 안에 있는 경우라도 그 위치의 변경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담보정보 관리부(220)는 동산의 전자기기인 경우 동산의 전원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는 실제 동산에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제2 제어부(23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진동이벤트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제2 제어부(230)는 수신한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 동산의 현재위치를 추적한다. 제2 제어부(230)는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이탈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30)는 기 설정된 지오펜스를 이용하여 동산의 위치가 이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동산담보 관리장치를 슬립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는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GPS나 통신모듈에 의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2 제어부(230)는 동산의 위치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담보물권자에게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로부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아 위성정보를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위성정보와 비교하여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위성의 종류, 개수, 감도 등의 위성정보를 최초 설치시의 위성정보와 비교하여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제어부(230)는 동산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새로운 위성정보로 설정한다. 제2 제어부(230)는 동산의 위성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위치를 추적하면서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동산의 위치 변경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로부터 전원차단, 배터리커버개방, 전파차단과 같은 이탈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동산의 사용자가 무단으로 동산담보 관리장치를 제거하려고 하는 시도로 보고 사전에 경고를 하기 위함이다. 제2 제어부(230)는 배터리 커버가 탈착된 후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동산의 이탈 여부에 따라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3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배터리 커버의 이탈신호에 따라 동산의 소재지로 관리자가 방문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관리자의 단말로도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동산의 가전기기인 경우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전원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30)는 동산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특이한 사용이력이 발생하는 경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동산의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경우 사용빈도가 낮은 저녁시간에 사용량이 증가하거나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동산의 이탈을 확인하도록 하여 동산관리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동산의 전원정보를 통해 과부하가 발생하거나 화재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동산의 고장 방지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영상정보는 동산이 움직임정보가 감지되면서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거나, 미약한 경우 주변의 환경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이다. 영상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부(230)는 시간별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위치의 변경이 있는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30)는 동산의 사용자가 차폐필름 등을 이용하여 동산담보 관리장치를 감싼 경우에는 낮시간에도 영상정보가 블랙으로 생성되므로 이 경우 알람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하나의 동산에 복수의 동산담보 관리장치가 설치된 경우 각각의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부(230)는 제1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진동이벤트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진동이벤트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서로 비교하여 유효성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제어부(230)는 제1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위치정보와 제2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유효한 정보로 판단하고,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다시 위치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제어부(230)는 제1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이탈이벤트에 따른 알람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동산담보 관리장치를 활성화시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제1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이탈이벤트 발생시 제2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상태를 추적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건설장비 등 이동성이 있는 동산의 경우에는 복수의 동산담보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이탈이벤트에 대응하여 초기 위치정보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위치정보 관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관리부(240)는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동산담보 관리장치(100)로부터 동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변경내역을 관리한다. 위치정보 관리부(240)는 동산이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는 동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위치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부(230)는 위치정보 관리부(240)에서 관리하는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동산에 대한 이동에 대한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공간 내에서 움직이는 지게차와 같은 이동형 동산의 경우 움직임을 시간대별로 파악하여 활성구간 및 비활성구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활성구간에서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에서 동산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동산담보 관리장치에서 수신한 동산의 위치정보를 전자지도(800) 상에 매핑한다. 동산의 위치정보는 지오펜스(801) 내에 현위치(802)를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서 (a)는 동산이 지오펜스(801) 내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b)는 동산이 지오펜스(801)를 벗어나 이탈한 경우, 그 이동경로(803)를 전자지도(800)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동산이 지오펜스(801)를 벗어난 경우 실시간으로 동산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이동경로(803)를 전자지도(800) 상에 표시한다. 이 경우, 지오펜스(801)로부터의 각도나 직선거리를 계산하여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관리자는 전자지도(800)를 통해 현재 지오펜스(801)를 이탈한 동산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따른 동산담보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단말로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동산의 이탈을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20)로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동산(abc) 위치를 변경하였습니까?"라는 문의에 "예" 또는 "아니오"와 같은 응답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응답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무단이탈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 동산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산에는 식별코드가 인쇄되거나, 동산에 형성된 디스플레이에 식별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이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동산담보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면 응답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산의 사용자로부터 응답정보를 받아 동산담보 관리장치가 고장인 것인지, 이동상황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동산담보 관리장치
110 : 이벤트감지부
120 : 위치감지부
130 : 제1 통신부
140 : 제1 제어부
150 : 전원감지부
160 : 알람부
170 : 영상획득부
200 : 동산담보 관리서버
210 : 제2 통신부
220 : 담보정보 관리부
230 : 제2 제어부
240 : 위치정보 관리부
800 : 전자지도
801 : 지오펜스
802 : 현위치
803 : 이동경로

Claims (5)

  1. 동산에 부착되는 동산담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지자계센서를 이용하여 차폐필름에 의한 전파차단을 감지하여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의 초기설정과 다른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감지부;
    GP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와 위성의 종류, 개수 및 감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동산담보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동산의 전원플러그와 탈착형으로 형성되어 전원을 감지하여 전원정보를 생성하는 전원감지부; 및
    이탈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진동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GPS를 활성화시켜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GPS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위성정보를 시점별로 비교하여 상기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나 상기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상기 알람신호 및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외부전원이 일정시간 이상 차단된 경우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산담보 관리서버는,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별로 분석하여 상기 동산에 대한 위치의 변경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알람신호를 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동산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전송하면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식별코드의 전송이 없는 경우 무단이탈로 판단하는 동산담보 관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진동이벤트의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동산에 대한 단순충격상태 또는 이동상태로 판단하는 동산담보 관리장치.
  4. 동산에 부착되는 동산담보 관리장치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동산의 담보정보를 관리하는 담보정보관리부; 및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지자계센서를 이용하여 차폐필름에 의한 전파차단을 감지하여 생성한 이탈이벤트 또는 상기 동산의 전원플러그와 탈착형으로 형성되어 전원을 감지하여 생성한 전원정보 중 외부전원이 일정시간 이상 차단된 경우에 대한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진동이벤트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위성의 종류, 개수 및 감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성정보 또는 상기 진동이벤트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위성정보를 시점별로 비교하여 상기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별로 분석하여 상기 동산에 대한 위치의 변경을 판단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신호를 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동산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전송하면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식별코드의 전송이 없는 경우 무단이탈로 판단하는 동산담보 관리서버.
  5. 동산에 부착되며, 지자계센서를 이용하여 차폐필름에 의한 전파차단을 감지하여 초기설정과 다른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감지부와, GP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와 위성의 종류, 개수 및 감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성정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외부의 사용자 단말 또는 동산담보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상기 동산의 전원플러그와 탈착형으로 형성되어 전원을 감지하여 전원정보를 생성하는 전원감지부와, 이탈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관리서버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고, 진동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GPS를 활성화시켜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기 설정된 시간 내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GPS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위성정보를 시점별로 비교하여 상기 동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나 상기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상기 알람신호 및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외부전원이 일정시간 이상 차단된 경우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동산담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산담보 관리장치; 및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나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동산의 담보정보를 관리하는 담보정보관리부와,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이탈이벤트에 대한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진동이벤트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GPS의 위성정보 또는 상기 진동이벤트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동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동산담보 관리장치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시간별로 분석하여 상기 동산에 대한 위치의 변경을 판단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알람신호를 받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동산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전송하면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식별코드의 전송이 없는 경우 무단이탈로 판단하는 동산담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KR1020190088220A 2019-07-22 2019-07-22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KR102139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20A KR102139161B1 (ko) 2019-07-22 2019-07-22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220A KR102139161B1 (ko) 2019-07-22 2019-07-22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161B1 true KR102139161B1 (ko) 2020-07-29

Family

ID=7189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220A KR102139161B1 (ko) 2019-07-22 2019-07-22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1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013B1 (ko) 2023-10-20 2024-03-04 주식회사 한국비투비렌탈 동산에 대한 감정평가를 통한 담보 렌탈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92B1 (ko) * 2014-05-22 2015-02-13 (주)씨앤테크 동산 관리 시스템
KR20150041402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3718A (ko) * 2017-02-14 2018-08-22 삼양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원격 자산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402A (ko) * 2013-10-08 2015-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92592B1 (ko) * 2014-05-22 2015-02-13 (주)씨앤테크 동산 관리 시스템
KR20180093718A (ko) * 2017-02-14 2018-08-22 삼양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원격 자산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013B1 (ko) 2023-10-20 2024-03-04 주식회사 한국비투비렌탈 동산에 대한 감정평가를 통한 담보 렌탈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61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cking services to locate an asset
US80496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cking services to locate an asset
US71389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cking services to locate an asset
US7002465B2 (en) Security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US20150087259A1 (en) Person and propert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EP2294563A1 (en) Asset recovery device installation and alert system
KR20140018781A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usb 메모리 장치
US10198883B2 (en) Access monitoring system for compliance
CN105825644A (zh) 基于场所中的安全守卫的实时位置信息的集成安全系统
KR101919655B1 (ko) 현금자동입출금기 관리 모듈
KR102139161B1 (ko) 동산담보 관리장치, 동산담보 관리서버 및 동산담보 관리시스템
KR20080101609A (ko) 감시 시스템, 장치 및 그 감시 방법
US9449479B2 (en) Security system
KR20110042812A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KR101790267B1 (ko) 위험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050046823A (ko) 고객 장비용 보안 시스템과, 고객 장비와, 원격 키 송신기장치와, 도난 고객 장비 검출 방법과, 복구된 고객 장비소유권 추적 서비스의 동작 방법
KR20150123587A (ko)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KR20040087281A (ko) 비 접촉식, 비 살상식 지뢰시스템과 관리용 서버시스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7445B1 (ko) 원격 자산 관리시스템
KR101102030B1 (ko) 자재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2854995U (zh) 一种振动定位监测系统
KR20150123588A (ko) 스마트 출입증
KR102035507B1 (ko) 전자기기 이상 감지 모듈
EP3035304A1 (en) A security system for indicating when an article has been compromised
GB2449269A (en) Portable tracking device incorporating a biometric touch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