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524A -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524A
KR20180058524A KR1020160157607A KR20160157607A KR20180058524A KR 20180058524 A KR20180058524 A KR 20180058524A KR 1020160157607 A KR1020160157607 A KR 1020160157607A KR 20160157607 A KR20160157607 A KR 20160157607A KR 20180058524 A KR20180058524 A KR 20180058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tag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076B1 (ko
Inventor
유미나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유미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나 filed Critical 유미나
Priority to KR102016015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0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접촉식 태그를 이용하여 실내 보관 중인 물품의 훼손이나 도난을 실시간 감시하고 경고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물품의 외부 이동 시에도 물품을 감시할 수 있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물품에 부착되며 식별자를 갖는 비접촉식 태그; 상기 물품의 보관 장소에 설치되며 비접촉식 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물품의 보관 상태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 FOR STORED ITEMS USING CONTACTLESS TYPE TAG}
본 발명은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하여 실내 보관 중인 물품의 훼손이나 도난을 실시간 감시하고 경고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물품의 외부 이동 시에도 물품을 감시할 수 있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홈쇼핑이나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물품을 보관하고 운송하는 물류에 관련된 산업이 활성화 되었다. 또한, 경제불황에 따라 전당포업 역시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인터넷 전당포까지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물류 산업이나 전당포업에서는 물품을 도난 없이 잘 보관하고 관리하는 것이 사업의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종래에는 보관 중인 물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설 보안경비업체를 이용하게 되는데, 사설 보안경비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개별 물품 자체에 대한 도난 방지를 위한 것이 아니라 물품을 보관하는 장소에 대한 침입을 예방하고 침입이 발생한 것을 인지한 이후 출동을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보관 물품 보안 서비스는, 허가 받지 않은 외부인의 강제 침입만을 방어할 수 있을 뿐 내부인이나 허가 받은 외부인에 의한 내부 범행에 대하여는 특별한 대책이 없다. 또한, 종래의 보관 물품 보안 서비스는, 주로 비영업 시간의 폐문 상태에서의 보안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영업 시간 내 개문 상태에서의 외내부인의 범행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이다. 또한, 종래의 보관 물품 보안 서비스는, 강제 침입 그 자체만을 감지하는 것 형태로 침입 후 범행의 타겟이 되는 개별 귀중품에 대한 보안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또한, 종래의 보고나 물품 보안 서비스는, 강제 침입 감지시스템을 우회하여 경보 없이 침입 후 물품을 절취하는 경우 방어가 불가능하다. 특히 종래에 보관 물품 관리 서비스에 적용되는 감시 카메라는 주로 범행 발생 후에 관찰자의 육안에 의존하여 범죄 현장을 파악하는 것이므로 사각지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육안에 의존하는 만큼 아주 작은 물건에 대하여는 정확한 파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하여 실내 보관 중인 물품의 훼손이나 도난을 실시간 감시하고 경고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물품의 외부 이동 시에도 물품을 감시할 수 있는 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물품에 부착되며 식별자를 갖는 비접촉식 태그;
상기 물품의 보관 장소에 설치되며 비접촉식 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물품의 보관 상태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비접촉식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가 그 이전에 수신한 무선 신호의 세기와 비교하여 사전 설정된 수준 이상 변동하는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경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하나의 상기 비접촉식 태그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고정 설치된 세 개 이상의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무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수신기의 설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비접촉식 태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결정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의 위치가 그 이전에 결정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의 위치와 비교하여 변동된 경우 경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GPS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상기 수신기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GPS 모듈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GPS 모듈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가 사전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경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자신이 부착되는 물품 시건하기 위한 시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시건장치의 해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시건장치가 사전 허가 없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경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자신이 부착되는 물품의 진동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진동센서의 진동 검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품의 이동에 대한 사전 허가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진동이 검출된 경우 경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에 속하는 보관소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경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신호 및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원부의 잔여 저장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보관 중인 상기 물품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용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생성된 상기 물품의 영상에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를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구현하는 증강현실을 수행하고, 상기 증강현실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상기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에 속하는 보관소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상기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를 전송 받은 단말은 상기 식별자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자를 전송한 단말로 상기 비접촉식 태그에 매칭된 물품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에 속하는 보관소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비접촉식 태그의 식별자 및 상기 비접촉식 태그가 부착된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고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에 속하는 보관소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 입장을 허가 받지 않는 자 뿐만 아니라 보관소 입장이 허가된 외부자 또는 내부자에 의한 물품 도난에 대해서도 방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물품 보관소의 영업 시간외 폐문 시간 대 뿐만 아니라, 영업 시간 내 개문 상태에서의 외내부인 모두에 의한 물품 도난에 대해서 방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물품 보관소에 대한 강제 침입 자체도 방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입 후 범행 타겟이 되는 개별 귀중품에 대해서도 방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종래의 침입 감지시스템을 우회하여 침입한 경우라도 개별 물품의 절취가 일어날 시 2차 감지가 이루어져서 더욱 완벽하게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범행 발생 후 사후 모니터링의 성격이 강한 종래의 감시 카메라에 비해 범행이 이루어지는 즉시 실시간으로 감지해내고 적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관리 카메라는 관리자 육안에 의해 범행 상황을 분별하여야 하므로 육안 분별이 힘든 소형 물품은 적발도 힘들고 사각지대도 존재하는 반면, 상기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개인의 주의력이 아닌 안정적으로 담보된 비접촉식 태그 및 그와 통신하는 여러 시스템에 의해 보안이 이루어지므로 작은 소형 물품이라도 도난 감지가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보관 물품의 외부 이송 시에도 물품의 보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물류 시스템과 통합되므로 비용 절약 및 통합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포함된 비접촉식 태그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물품(11)에 부착되며 식별자를 갖는 비접촉식 태그(100)와, 물품(11)의 보관 장소에 설치되며 비접촉식 태그(100)로부터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2) 및 수신기(12)가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물품(11)의 보관 상태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보관 중인 물품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14)와, 보관 대상 물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보관소 단말(13a, 13b)와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하는 고객 단말(30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접촉식 태그(100)는 보관소(10)에 보관 중인 물품에 부착되는 태그로서, 자신만의 식별자를 가지며, 이 식별자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기(12)로 송신할 수 있다. 이 식별자는 해당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에 대한 각종 정보와 매칭되어 관리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에 포함된 비접촉식 태그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비접촉식 태그(100)는 비접촉식 태그(100)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와, 사전 설정된 통신 규약을 이용하여 외부의 다른 통신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120), 필요에 따라 GPS 위성과 통신하여 GPS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GPS 모듈(130) 및 각 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비접촉식 태그(100)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기(12)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수신기(12)와의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수신기(12)와의 통신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GPS 신호에 따른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12)와의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필요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수신기(12)와의 통신 대신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전환할 수 있으며, 전원부(140)를 제어하여 GPS 모듈(130)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여 GPS 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위치정보를 통신부(120)에 전달함으로써 통신부(120)가 GPS 신호에 따른 위치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통신부(120)는 수신기(12)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규약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200)와 통신하는 경우에는 원거리 데이터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가 신호를 송신할 때, 해당 비접촉식 태그의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전원부(140)에서 공급되는 전력을(전압 또는 전류)을 감지하여 전원부(140)(예를 들어, 배터리)의 잔여 저장 전력을 도출하고 이를 수신기(12)나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비접촉식 태그(100)는 자신이 부착되는 물품을 시건하기 위한 시건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시건장치(150)의 해제에 대한 사전 승인이 없이 시건장치(150)가 해제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이러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통신부(120)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에 시건장치(15)가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식 태그(100)는 진동센서(1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물품 이동에 대한 사전 승인이 없이 물품이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진동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이러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통신부(120)에서 전송되는 무선 신호에 진동센서(160)에서 검출된 진동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수신기(12)는 물품(11) 보관 장소 내에 설치되어 비접촉식 태그(10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무선신호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12)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정보는, 수신한 무선신호에 포함된 비접촉식 태그(100)의 식별자와 해당 비접촉식 태그(100)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의 세기, 비접촉식 태그(100) 내 전원부(140)의 잔여 저장 전력, 시건장치(150)의 상태, 진동센서(160)의 진동 검출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관소(10)에 포함된 수신기(12)로부터 각 수신기(12)가 수신한 무선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11)의 보관 상태를 판단하고 관리하도록 중앙 관제소(20)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각종 기기들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210)과,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관 중인 물품의 보관 상태를 관리하는 보안 관리 모듈(220)과, 보관 중인 물품의 영상을 제공받아 처리하는 영상 처리 모듈(230)과, 보관 중인 물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 관리 모듈(240)과,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60) 및 물품 보관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을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한 고객 인증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관리 서버(200) 내의 각 요소들과 외부의 요소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인터페이스의 역할과 관리 서버(200)의 내부에 구비된 각 요소들이 상호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버스의 역할을 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안 관리 모듈(220)은, 수신기(12)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비접촉식 태그(100)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비접촉식 태그(100)의 위치가 이동하였음을 판단할 수 있다. 비접촉식 태그(10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무선 신호를 수신기(12)로 전송하는데,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면 비접촉식 태그(100)와 수신기(12)의 거리가 변동하여 수신기(12)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변동될 수 있다. 보안 관리 모듈(220)은 수신기(12)가 비접촉식 태그(100)로부터 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세기의 편차를 고려하여, 사전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무선 신호의 세기가 변동하는 경우 비접촉식 태그(100)의 위치, 즉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11)의 위치가 변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물품(11)이 보관된 장소 내에 세 개 이상의 수신기(12)가 설치된 경우, 각 수신기(12)가 하나의 비접촉식 태그(100)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의 세기를 이용하면 보관된 장소 내의 위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기(12)가 수신한 무선신호의 세기는 비접촉식 태그(100)와 수신기(12) 사이의 거리 정보를 반영할 수 있으므로, 세 개 이상의 수신기(12)가 설치된 경우, 수신기(12)의 설치 위치와 각 수신기(12)에서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비접촉식 태그(10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안 관리 모듈(220)은 하나의 보관소에 설치된 3 개 이상의 수신기(12)에서 하나의 비접촉식 태그(100)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무선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이를 기반으로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의 위치가 이전에 저장된 위치와 변동되는 경우 물품(11)의 위치가 변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안 관리 모듈(220)은, 물품(11) 이동에 대한 사전 통지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물품(11)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 이를 경고할 수 있다. 보안 관리 모듈(220)에 의한 경고는, 후술하는 관리자 단말(21),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해당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 단말(300)에 알림창이나 푸쉬 알람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보안 관리 모듈(220)은 물품(11) 이동에 대한 사전 통지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물품(11)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 사전 협약된 보안 경비 업체(40)에 해당 물품의 보관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출동 의뢰할 수 있고, 해당 물품 보관소의 관할 경찰서나 지구대로 통보할 수도 있다.
또한, 보안 관리 모듈(220)은 보관 중이던 물품을 다른 장소로 이송하여야 하는 경우, 비접촉식 태그(100)의 GPS 모듈(130)에서 생성된 위치 정보를 비접촉식 태그(100)의 통신부(120)로부터 수신하고, 이동 중인 물품의 이동 경로가 사전 설정된 이동 경로를 벗어나는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은 경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는, 비접촉식 태그 자체를 보관 물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점으로 활용함으로써, 실외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만 적용 가능하였던 GPS 기술로는 구현이 불가능하였던 보관 물품의 실내 위치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다.
비접촉식 태그가(100)가 시건 장치(150) 또는 진동센서(160)을 포함하는 경우, 수신기(12)는 시건 장치의 해제 여부 및 진동센서(160)에 의한 진동 검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보안 관리 모듈(220)로 전송할 수 있고, 보안 관리 모듈(220)은 사전 허가 없이 시건 장치(150)가 해제된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은 경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230)은 보관소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14)에서 전송 받은 영상을 처리하여 원격의 단말(예를 들어,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230)은 실시간으로 보관 중인 물품 사진을 원격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고객이나 보관소 관리자 및 서버 관리자 등이 실시간으로 물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영상 처리 모듈(230)은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정보 관리 모듈(240)로 입력되는 물품식별, 물품상세정보, 물품위치, 고객 인정정보, 고객위치, 각종 이벤트정보 등을 포함한 부가정보에 대해 감시 카메라(14)에서 입력된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구현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230)은 증강현실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관리 모듈(240)은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로부터 비접촉식 태그(1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식별자 등) 및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받고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비접촉식 태그(100)의 식별자와 해당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에 대한 정보는 상호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관리 모듈(240)은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에서 입력되는 보관 물품의 상세정보, 물품 등록 및 설정시간, 물품 보관장소(소재지), 물품 이용상태, 물품가격, 물품 원소유자, 판매자, 판매처, 물품 취득 및 양도받은 소유권자 등의 정보 관리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250)에 저장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모듈(240)은 보관소(20) 및 보관소(20)에 구비되는 비접촉식 태그(100), 수신기(12), 감시용 카메라(14)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보관소(20)에 저장된 물품상세정보, 물품과 관련된 일체의 정보, 물품 수량, 물품현황, 물품 입출고 현황, 물류현황(이동경로) 등의 정보를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정보 관리 모듈(240)은 비접촉식 태그(11)의 식별정보와 해당 비접촉식 태그(11)가 부착된 물품을 매칭시킨 정보를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할 수 있다. 정보 관리 모듈(250)은 수시로 전술한 것과 같은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이전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갱신한 후 데이터베이스(26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모듈(240) 저장된 상기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관리 모듈(240)은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11)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정되거나,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 중 하나로부터 요청이 발생한 경우, 또는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 마다 저장된 상기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에 제공할 수 있다.
고객 인증 모듈(260)은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 로부터 물품 보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을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접속하여 자신이 보관 중인 물품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거나 상태를 확인하고자 할 때, 해당 고객을 인증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인증 모듈(260)은 고객 단말(300) 또는 보관소 단말(13a, 13b) 또는 관리자 단말(21)로부터 입력 되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이용자의 인적 정보와 그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고, 고객이 실제 사용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고객의 일대일 매칭을 통해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고객 단말(300), 보관소 단말(13a, 13b) 및 관리자 단말(21)은 원격에서 관리 서버(200)로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20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전송 받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고객 단말(300), 보관소 단말(13a, 13b) 및 관리자 단말(21)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또는 소정 장소에 고정 설치된 데스크탑 PC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고객 단말(300), 보관소 단말(13a, 13b) 및 관리자 단말(21)은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이 가능한데, 이 접속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브라우저 기반의 웹사이트 또는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고객 단말(300), 보관소 단말(13a, 13b) 및 관리자 단말(21)은 각각의 사용자가 갖는 허용 등급에 따라 인터페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차이가 날 수 있다.
한편, 고객 단말(300)은 물품(11)에 부착된 비접촉식 태그(1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고객 단말(300)을 소지하고 보관소를 방문하면, 비접촉식 태그(100)는 고객 단말(300)로 자신의 식별 정보를 전송하고, 고객 단말(300)은 비접촉식 태그(1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200)가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의 정보를 고객 단말(300)에 제공하여 고객이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고객 단말(300)과 비접촉식 태그(100)의 통신에 의한 물품 정보 제공은 고객의 단말(300)에 비접촉식 태그(100)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되고,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이 해당 고객이 보관 의뢰한 물품인 경우에 한해서 가능하다.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이 해당 고객의 의뢰 물품인지 확인하는 것은, 관리 서버(200)의 정보 관리 모듈(240)이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비접촉식 태그(100)가 부착된 물품이 해당 고객의 의뢰 물품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 입장을 허가 받지 않는 자뿐만 아니라 보관소 입장이 허가된 외부자 또는 내부자에 의한 물품 도난에 대해서도 방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물품 보관소의 영업 시간외 폐문 시간 대뿐만 아니라, 영업 시간 내 개문 상태에서의 외내부인 모두에 의한 물품 도난에 대해서 방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물품 보관소에 대한 강제 침입 자체도 방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입 후 범행 타겟이 되는 개별 귀중품에 대해서도 방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종래의 침입 감지시스템을 우회하여 침입한 경우라도 개별 물품의 절취가 일어날 시 2차 감지가 이루어져서 더욱 완벽하게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범행 발생 후 사후 모니터링의 성격이 강한 종래의 감시 카메라에 비해 범행이 이루어지는 즉시 실시간으로 감지해내고 적발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관리 카메라는 관리자 육안에 의해 범행 상황을 분별하여야 하므로 육안 분별이 힘든 소형 물품은 적발도 힘들고 사각지대도 존재하는 반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개인의 주의력이 아닌 안정적으로 담보된 비접촉식 태그 및 그와 통신하는 여러 시스템에 의해 보안이 이루어지므로 작은 소형 물품이라도 도난 감지가 실시간으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에 따른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은, 보관 물품의 외부 이송 시에도 물품의 보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물류 시스템과 통합되므로 비용 절약 및 통합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보관소 11: 물품
100: 비접촉식 태그 12: 수신기
13a, 13b: 보관소 단말 14: 감시 카메라
20: 중앙 관제소 200: 관리 서버
21: 관리자 단말 300: 고객 단말

Claims (17)

  1. 물품에 부착되며 식별자를 갖는 비접촉식 태그;
    상기 물품의 보관 장소에 설치되며 비접촉식 태그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가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물품의 보관 상태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상기 비접촉식 태그가 부착된 물품의 이동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가 그 이전에 수신한 무선 신호의 세기와 비교하여 사전 설정된 수준 이상 변동하는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경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하나의 상기 비접촉식 태그로부터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고정 설치된 세 개 이상의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무선 신호의 세기와 상기 수신기의 설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비접촉식 태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결정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의 위치가 그 이전에 결정한 상기 비접촉식 태그의 위치와 비교하여 변동된 경우 경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GPS 위성과 통신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상기 수신기와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GPS 모듈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를 원거리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GPS 모듈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가 사전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경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자신이 부착되는 물품 시건하기 위한 시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시건장치의 해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시건장치가 사전 허가 없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경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자신이 부착되는 물품의 진동을 검출하기 위한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신호 및 상기 무선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진동센서의 진동 검출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품의 이동에 대한 사전 허가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진동이 검출된 경우 경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12. 청구항 3, 5, 7, 9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에 속하는 보관소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경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신호 및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원부의 잔여 저장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관 중인 상기 물품의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생성된 상기 물품의 영상에 상기 물품에 대한 정보를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구현하는 증강현실을 수행하고, 상기 증강현실에 의해 구현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태그는, 상기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에 속하는 보관소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상기 식별자를 전송하고, 상기 식별자를 전송 받은 단말은 상기 식별자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자를 전송한 단말로 상기 비접촉식 태그에 매칭된 물품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17. 청구항 1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에 속하는 보관소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비접촉식 태그의 식별자 및 상기 비접촉식 태그가 부착된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고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물품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물품의 보관을 의뢰한 고객이 소지한 고객 단말,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소에 속하는 보관소 단말 및 상기 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속하는 관리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KR1020160157607A 2016-11-24 2016-11-24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KR10194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607A KR101942076B1 (ko) 2016-11-24 2016-11-24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607A KR101942076B1 (ko) 2016-11-24 2016-11-24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524A true KR20180058524A (ko) 2018-06-01
KR101942076B1 KR101942076B1 (ko) 2019-01-24

Family

ID=6263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607A KR101942076B1 (ko) 2016-11-24 2016-11-24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0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056A (ko) * 2018-12-07 2020-06-26 (주)엠앤에스텍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KR20220111522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티허브 데이터로거를 이용한 물류 보관창고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479A (ko) * 2005-01-13 2006-06-23 로저 흄벨 인터넷 플랫폼 또는 트랜스시버들을 갖는 이동 전화들에연결되는 모바일 록킹들에 대해 실행되는 인증-록킹,레귤레이션-록킹, 지정-록킹, 검출-록킹, 록킹-록킹 및도난-록킹 안전 시스템
KR20060132300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지 실시간 감시 및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60613A (ko) * 2007-12-10 2009-06-15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객체 위치정보 태그 장치 및 객체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KR100933690B1 (ko) * 2008-11-06 2009-12-23 김익상 무선인식 모듈을 이용한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343635B1 (ko) * 2013-05-28 2013-12-20 이한표 분실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4578A (ko) * 2015-08-04 2015-08-19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컨테이너 전자봉인 장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0479A (ko) * 2005-01-13 2006-06-23 로저 흄벨 인터넷 플랫폼 또는 트랜스시버들을 갖는 이동 전화들에연결되는 모바일 록킹들에 대해 실행되는 인증-록킹,레귤레이션-록킹, 지정-록킹, 검출-록킹, 록킹-록킹 및도난-록킹 안전 시스템
KR20060132300A (ko) * 2005-06-17 2006-12-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원격지 실시간 감시 및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60613A (ko) * 2007-12-10 2009-06-15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객체 위치정보 태그 장치 및 객체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KR100933690B1 (ko) * 2008-11-06 2009-12-23 김익상 무선인식 모듈을 이용한 자전거 도난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343635B1 (ko) * 2013-05-28 2013-12-20 이한표 분실 방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94578A (ko) * 2015-08-04 2015-08-19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컨테이너 전자봉인 장치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056A (ko) * 2018-12-07 2020-06-26 (주)엠앤에스텍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KR20220111522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티허브 데이터로거를 이용한 물류 보관창고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076B1 (ko)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6394B2 (en) Wireless tracking system for merchandise security
JP5780570B1 (ja) デジタルロス・アクシデントデフェンス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60965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lost or stolen devices
CA2965477C (en) Store intelligence platform using proximity sensing
US20150379795A1 (en) Active Detection Typ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mart Door Lock Controller
US20070289012A1 (en) Remotely controllable security system
KR100920477B1 (ko) Rfid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캐비넷
EP1829002B1 (en) Anti-theft method and apparatus with wireless technologies
CN101868810A (zh) 用于普遍配置智能锁管理的系统
US10332371B2 (en) Identification system
US98304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t least one machine
US9024762B2 (en) Portable deactivator for security tag deactivation
KR101942076B1 (ko)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KR20140021874A (ko)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9147B1 (ko) 보안 태그 분리기 활성 시스템
KR101843712B1 (ko) 출입 통제 시스템
US984701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from an alarm system to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GB2446178A (en) An electronic seal
KR1015230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활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KR101917381B1 (ko) 함체 통합 관리 시스템
GB2387744A (en) Transponder alarm system
CN113795645B (zh) 用于储存包裹的安全容器、操作安全容器的方法和系统
Fan et al. A design of bi-verification vehicle access intelligent control system based On RFID
KR100791054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개인이용물 부정사용 방지 시스템
US20240078885A1 (en) Monitoring and advanced asset recovery devices an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