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056A -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056A
KR20200075056A KR1020180156555A KR20180156555A KR20200075056A KR 20200075056 A KR20200075056 A KR 20200075056A KR 1020180156555 A KR1020180156555 A KR 1020180156555A KR 20180156555 A KR20180156555 A KR 20180156555A KR 20200075056 A KR20200075056 A KR 2020007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customer terminal
delivery service
arrival confirmation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0162B1 (ko
Inventor
주성신
심우성
박은경
Original Assignee
(주)엠앤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에스텍 filed Critical (주)엠앤에스텍
Priority to KR102018015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1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06Q50/2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20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배송품의 도난 발생 없이 안전하게 배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도착 확인 장치, IoT 디바이스 및 배송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도착 확인 장치는 배송지에 배치되고, 도착 확인용 번호의 입력에 의해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는 배송품과 함께 이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송지를 포함하는 송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에 의해 생성된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로써, 고객은 배송품의 도난 발생 없이 안전하게 배송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IoT DEVICE AND DELIVERY SERVICE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송품을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홈쇼핑이 발달함에 따라 택배 시스템을 통한 택배 물동량이 급속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택배 시스템을 통한 물건 배송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소비자인 고객이 온라인 홈쇼핑을 통해 물건을 구입하면, 해당 온라인 홈쇼핑 매장은 해당 물건을 박스에 포장하여 고객이 지정한 배송지로 택배 회사에 배송을 요청하고, 택배 회사는 택배 배송원을 통해 직접 해당 배달지로 해당 물건으로 운송하여 배송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택배 배송원이 해당 배송지에 도작하여 해당 물건으로 고객에 인도하려고 할 때, 해당 고객이 해당 배송지에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에 따라 배송 양태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고객이 해당 배송지에 있을 경우에는, 택배 배송원은 해당 고객을 직접 만나 해당 물건을 인도할 수 있다. 반면, 해당 고객이 해당 배송지에 없을 경우, 택배 배송원은 해당 배송지의 문 앞에 놓고 가거나, 경비실 또는 무인 물품 보관함에 보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경비실 또는 무인 물품 보관함이 없을 경우도 있고, 경비실이 존재하더라도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물품 보관 업무를 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택배 배송원은 해당 배송지의 문 앞에 해당 물품을 놓고 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제3자에 의한 해당 물품의 도난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택배 물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집안까지 배달해주는 홈인 배달 시스템의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홈인 배달 시스템에 의한 물품 배송은 택배 배달원인 타인이 집주인의 부재시에 집안에 들어옴에 따라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택배 배달원을 통해 범죄가 발생될 여지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IoT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배송품의 도난 발생 없이 안전하게 배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도착 확인 장치,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및 배송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도착 확인 장치는 배송지에 배치되고, 도착 확인용 번호의 입력에 의해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는 배송품과 함께 이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송지를 포함하는 송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에 의해 생성된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송장 정보에 포함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도난 기준 거리를 벗어나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난 발생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송장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IoT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물품 수령 신호를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물품 수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상기 도착 확인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도착 확인 장치는 상기 배송지의 출입문에 장착된 도어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가 입력될 때 상기 배송지의 출입문이 오픈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송 서비스 방법은 배송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객 단말기로부터 배송지를 포함하는 송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배송품과 함께 이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도착 확인용 번호를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지에 배치되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의 입력에 의해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에 의해 생성된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생성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송장 정보에 포함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서비스 방법은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도난 기준 거리를 벗어나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난 발생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송장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IoT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서비스 방법은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생성된 물품 수령 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 수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상기 도착 확인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배송 서비스 서버가 배송품에 대한 배송 상황 정보를 고객 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고객은 상기 배송 상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배송품의 배송 상황을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배송자가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제공된 도착 확인용 번호를 입력해야만 배송 완료 메시지가 고객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송자가 배송지가 아닌 다른 장소로 배송하여 도착 확인 장치가 아닌 다른 확인 장치에 입력할 경우, 상기 고객은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해 상기 배송품이 오배송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 후, 도난 방지 모드로 동작됨에 따라, 상기 배송품이 배송된 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했을 경우, 상기 고객은 상기 배송품에 대한 도난이 발생되었음을 용이하게 인지하여 이후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송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송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배송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도착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도착 확인용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도난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물품 수령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송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배송품(10)을 임의의 고객에게 배송시키는 시스템으로, 배송 서비스 서버(100), 고객 단말기(200), 배송자 단말기(300), IoT 디바이스(400) 및 도착 확인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유무선 통신,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200),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 및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IoT 디바이스(400)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배송품(10)을 상기 고객에게 배송시키는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상기 고객이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 및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상기 배송품(10)의 배송을 위한 송장 정보를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수행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노트북, 데스크탑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객 단말기(200)가 스마트 단말기일 경우,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배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배송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동작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는 상기 배송품(10)의 배송 작업을 수행하는 배송자가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고객 단말기(200) 및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수행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일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400)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 디바이스로,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볼(ball)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IoT 디바이스(400)는 GPS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IoT 디바이스(400)는 상기 배송품(10)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마다 전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400)는 상기 배송품(10) 내에 삽입되어 있거나, 상기 배송품(10)에 부착되어 상기 배송품(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IoT 디바이스(400)는 외부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충격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IoT 디바이스(400)는 상기 배송품(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충격 감지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실시간, 일정 시간마다 또는 상기 충격 감지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전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충격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품(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고객 단말기(200) 및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는 상기 배송품(10)가 배송될 배송지에 배치되고, 도착 확인용 번호의 입력에 의해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는 상기 배송지의 출입문에 장착된 도어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가 입력될 때 상기 배송지의 출입문이 오픈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는 이중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상기 배송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배송 서비스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도 1의 배송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송장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송 서비스 방법으로, 우선 상기 고객 단말기(200)가 상기 배송지를 포함하는 상기 송장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송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은 상기 고객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송장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IoT 디바이스(400)의 사용료를 포함하는 일정량의 수수료를 지불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송장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지만,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송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는 중간 서버, 예를 들어 상기 배송품(10)의 판매처 서버, 상기 배송품(10)의 중간 배송 서버 등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에 사용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송장 정보를 수신한 후, 복수의 위치 정보 생성 장치들 중에서 상기 배송품(10)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하나를 특정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400)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송장 정보에 포함된 상기 장착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생성 장치들 중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400)를 식별하여 특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송자는 상기 IoT 디바이스(400)를 상기 배송품(10) 내에 삽입시키거나 부착시켜 상기 배송품(10)의 배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배송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한 후 도착 예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도착 확인용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송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400)를 특정한 후, 상기 IoT 디바이스(400)에 접속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400)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마다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IoT 디바이스(400)로부터 상기 충격 감지 정보를 실시간, 일정 시간마다 또는 상기 충격 감지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 시간마다 수신되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품(10)이 상기 배송지로 도착할 예정 시간, 즉 도착 예정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배송 상황을 알려달라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일정 시점마다 자동으로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도착 예정 시간을 포함하는 배송 상황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고객은 상기 배송 상황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상기 배송품(10)의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충격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송품(10)의 파손 여부를 판단하여 파손 상태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배송 상황 정보는 상기 파손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400)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배송 기준 거리, 예를 들어 500m 내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IoT 디바이스(400)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배송품(10)이 상기 배송지로 곧 도착할 것임을 알리는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가 도어락일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도어락을 이중 잠금 모드로 설정하면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송장 정보에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동시에 또는 이후에 상기 송장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배송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가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수신하면, 상기 배송자는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에 입력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가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에 입력되면,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는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배송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송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가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에 입력되면,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는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킨 후 또는 동시에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배송자가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에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입력해야만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가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송자가 상기 배송지가 아닌 다른 장소로 배송하여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가 아닌 다른 확인 장치에 입력할 경우, 상기 고객은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해 상기 배송품(10)이 오배송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7는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도난 발생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한 후, 도난 방지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400)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도난 기준 거리, 예를 들어 5m의 거리를 벗어나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배송품(10)에 대한 도난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도난 발생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고객은 상기 도난 발생 메시지를 확인하여 상기 배송품(10)에 대한 도난이 발생되었음을 인지하여 이후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배송 서비스 방법 중 배송 서비스 서버가 물품 수령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지막으로, 상기 고객 단말기(200)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배송품(10)에 대한 수령을 알리는 물품 수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물품 수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상기 물품 수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400)와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IoT 디바이스(400)는 미사용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객이 상기 IoT 디바이스(400)를 인근 반납처, 예를 들어 편의점 등에 일정량의 비용을 받고 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배송품(10)에 대한 배송 상황 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고객은 상기 배송 상황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배송품(10)의 배송 상황을 언제든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자가 상기 고객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입력해야만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가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송자가 상기 배송지가 아닌 다른 장소로 배송하여 상기 도착 확인 장치(500)가 아닌 다른 확인 장치에 입력할 경우, 상기 고객은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해 상기 배송품(10)이 오배송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100)가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200)로 전송한 후, 도난 방지 모드로 동작됨에 따라, 상기 배송품(10)이 배송된 위치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했을 경우, 상기 고객은 상기 배송품(10)에 대한 도난이 발생되었음을 인지하여 이후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송품 100 : 배송 서비스 서버
200 : 고객 단말기 300 : 배송자 단말기
400 : IoT 디바이스 500 : 도착 확인 장치

Claims (17)

  1. 배송지에 배치되고, 도착 확인용 번호의 입력에 의해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도착 확인 장치;
    배송품과 함께 이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는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및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송지를 포함하는 송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에 의해 생성된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배송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송장 정보에 포함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도난 기준 거리를 벗어나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난 발생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송장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IoT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물품 수령 신호를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물품 수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장치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상기 도착 확인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확인 장치는
    상기 배송지의 출입문에 장착된 도어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가 입력될 때 상기 배송지의 출입문이 오픈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시스템.
  10. 배송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배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배송지를 포함하는 송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배송품과 함께 이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도착 확인용 번호를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지에 배치되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의 입력에 의해 배송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에 의해 생성된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송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상기 배송 기준 거리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도착 예정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생성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송장 정보에 포함된 상기 도착 확인용 번호를 상기 배송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가 상기 배송지로부터 도난 기준 거리를 벗어나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면, 도난 발생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기 송장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IoT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고객 단말기에서 생성된 물품 수령 신호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물품 수령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IoT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장 정보는
    상기 도착 확인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장착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상기 도착 확인 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도착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송 완료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배송 완료 메시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송 서비스 방법.
KR1020180156555A 2018-12-07 2018-12-07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KR102190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55A KR102190162B1 (ko) 2018-12-07 2018-12-07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555A KR102190162B1 (ko) 2018-12-07 2018-12-07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056A true KR20200075056A (ko) 2020-06-26
KR102190162B1 KR102190162B1 (ko) 2020-12-11

Family

ID=7113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555A KR102190162B1 (ko) 2018-12-07 2018-12-07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1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93B1 (ko) * 2020-08-07 2020-12-31 주식회사 시냅틱웨이브 스마트 도어락 기반 임시출입키를 이용한 출입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87077B1 (ko) * 2022-01-19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9B1 (ko) * 2021-10-18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6B1 (ko) * 2022-01-19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067U (ko) * 2010-08-05 2012-02-15 이한승 물품의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KR20170007225A (ko) * 2016-12-27 2017-01-18 전대연 스마트물품보관함을 이용한 물품입반출시스템
KR20180058524A (ko) * 2016-11-24 2018-06-01 유미나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067U (ko) * 2010-08-05 2012-02-15 이한승 물품의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KR20180058524A (ko) * 2016-11-24 2018-06-01 유미나 비접촉식 태그를 이용한 물품 보안 시스템
KR20170007225A (ko) * 2016-12-27 2017-01-18 전대연 스마트물품보관함을 이용한 물품입반출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93B1 (ko) * 2020-08-07 2020-12-31 주식회사 시냅틱웨이브 스마트 도어락 기반 임시출입키를 이용한 출입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87079B1 (ko) * 2021-10-18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8B1 (ko) * 2021-10-18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7B1 (ko) * 2022-01-19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KR102387076B1 (ko) * 2022-01-19 2022-04-18 주식회사 위펀 임직원 복지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지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162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162B1 (ko) IoT 디바이스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송 서비스 방법
EP3603009B1 (en) Automated delivery security system
CN105117882A (zh) 智能物流派送方法、装置以及系统
JP2019530038A (ja) 重複ジオフェンスを利用した配送確認
KR101581914B1 (ko) 능동형 무인 택배 서비스 시스템
KR20160095552A (ko) 무인택배 보관함,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택배 시스템
KR101902548B1 (ko) 비콘을 이용한 택배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93358B1 (ko) 가구별 택배물품 보관함과 이를 이용한 원격 택배 관리 통제 시스템
CN105005920A (zh) 一种运输和销售一体化的智能网络系统及构建方法
US11164410B2 (en) Smart home delivery and services
KR101496296B1 (ko) 무인 택배 시스템을 이용한 무인 배송 방법
JP2020053047A (ja) 自動ドア制御サーバ
KR20160053681A (ko) 무인 택배 보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69943A (ko) 방문배달 보안시스템
KR20170027688A (ko) 전달코드를 이용한 물품전달 시스템
US20210287167A1 (en) Locker management system
KR102164303B1 (ko) 챗봇을 이용한 무인 보관함 시스템의 고객센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39655A (ko) 주거용 빌딩의 택배물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858403B2 (ja) 収納装置
US202200765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to a secured building and a secured locker system
US75185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objects
KR20080071227A (ko) 물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9034089A (ja) 収納装置
KR101797726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문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N109242388A (zh) 一种社区点对点配送服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