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549B1 -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549B1
KR102360549B1 KR1020210045752A KR20210045752A KR102360549B1 KR 102360549 B1 KR102360549 B1 KR 102360549B1 KR 1020210045752 A KR1020210045752 A KR 1020210045752A KR 20210045752 A KR20210045752 A KR 20210045752A KR 102360549 B1 KR102360549 B1 KR 10236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ork
site
server
work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외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인토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인토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인토탈
Priority to KR102021004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작업 현장에 투입되는 사용자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은, 안전 장비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안전 장비의 종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와,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형성하는 사용자 인식부와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출입게이트와, 그리고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로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형성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 SITE}
본 발명은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위험지역이나 작업 현장에 투입되는 작업근로자(사용자)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작업 현장(건설 작업 현장, 화재 진압 작업 현장, 조선소 등)에 투입되는 작업근로자들(건설근로자, 소방관, 조선소 근로자 등)의 경우 다양한 위험 요인들에 노출되어 있고, 작업근로자들이 개인 안전장비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이들 작업근로자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나 관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고, 어떤 작업근로자가 어떤 작업 현장에 투입되었고, 작업 현장에 투입된 이후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였으며, 작업 현장에 적합한 안전장비를 구비하고 있는지 등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6892호(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2010.06.30.)
본 발명은 다양한 위험지역이나 작업 현장에 투입되는 작업근로자(사용자)들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은, 안전 장비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안전 장비의 종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안전 장비; 상기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형성하는 사용자 인식부와, 상기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출입게이트; 및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형성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입게이트는, 상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출입게이트가 설치된 작업 현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에 대해 통과하는 경우, 통과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작업 현장에 필요한 상기 안전 장비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게이트는, 상기 출입게이트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 상기 출입게이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부 하단에 마련된 구름 수단, 및 상기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약품 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안전 장비는, 작업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작업 영상을 형성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안전 장비의 이동 경로 정보를 형성하는 위치 인식 수단, 및 상기 작업 영상 및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제1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작업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작업 현장의 필요 작업 지시 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안전 장비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작업 현장의 지도 상에 상기 안전 장비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작업 현장에서 작업 중인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미리 학습된 제1 뉴럴 네트워크에, 상기 제2 촬영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얼굴 이미지를 적용하여 눈동자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눈동자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업 현장의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안전 장비의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작업에 필요한 문의 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사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안전 장비는,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형성하는 심박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심박 감지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작업 현장의 상기 사용자의 출입 관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안전 장비 착용 관리 및 상기 사용자의 동선 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할 수 있는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되는 현황을 관리자의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근로자(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 장비 및 위험 작업 현장별로 설치되는 출입게이트를 이용하여 작업근로자(사용자)가 투입된 작업 현장, 투입된 이후의 시간, 구비한 안전 장비 등을 인식하고 이를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작업 현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작업 현장에서의 인명 및 재해 사고를 사전 예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름 수단이 마련된 출입게이트를 이용하여 위험 작업 현장별로 출입게이트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는 작업근로자(사용자)에 대해 약품이나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마련하여 작업 현장이 방역 현장인 경우 방역 약품의 소독액을 분사시키거나, 작업 현장이 화재 현장인 경우 물을 분사시켜 작업근로자(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촬영부를 통해 작업 현장을 촬영함으로써, 서버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근로자(사용자)의 작업 현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작업근로자(사용자)와 관리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심박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서버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근로자(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작업 현장이 밀폐된 구역이 포함된 현장이거나, 또는 화재 현장인 경우 해당 작업근로자의 건강 상태 및 작업 시간의 초과를 상시 모니터링하여 원치 않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현장에 설치된 제2 촬영부를 통해 작업근로자(사용자)가 작업 대상체에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작업 효율의 향상 및 부주의를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UI를 구성하여, 작업의 전체 현황은 물로, 공종별 현황, 일자별 현황, 사용자별 투입 현황 등 다양한 메뉴를 통해 작업 현장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게이트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작업 현장 관리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의 화면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안전 장비(110)의 사용자 정보 및 안전 장비의 종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110)와,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형성하는 사용자 인식부(121)와 인증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125)를 포함하는 출입게이트(120)와, 그리고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로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형성하는 서버(130)를 포함하여, 작업근로자(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 장비, 및 위험 지역별 또는 작업 현장별로 설치되는 출입게이트를 이용하여 작업근로자(사용자)가 투입된 작업 현장, 투입된 이후의 시간, 구비한 안전 장비 등을 인식하고 이를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작업 현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작업 현장에서의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110), 출입게이트(120), 서버(130), 관리자(140) 및 제2 촬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110)는, 안전모(111), 안전조끼(112), 안전대(113), 안전화(114), 화재 진압용 산소통(115), 방화복(116)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험 현장별 또는 작업 현장별(이하, 작업 현장별이라고만 기재되어 있는 경우라도 위험 현장별 또는 작업 현장별의 의미를 모두 포함함) 필요한 안전 장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인증 수단, 제1 촬영부, 위치 인식 수단, 제1 통신부 및 심박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수단은, 안전 장비(110)의 사용자(작업근로자) 정보 및 안전 장비(110)의 종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 수단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바코드(Bar code),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촬영부는, 안전 장비(110)에 부착되고, 작업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작업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촬영부는, 핸드헬드 카메라, 액션캠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 인식 수단은 안전 장비(110)에 부착되어 안전 장비(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동 경로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인식 수단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 갈릴레오(Galileo) 수신기, 글로나스(Glonass) 수신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통신부는, 제1 촬영부에서 형성된 작업 영상 및 위치 인식 수단에서 형성된 이동 경로 정보를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부는, 블루투스 모듈, 이동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의 방식에 따른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심박 감지부는,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110)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한 안전 장비(110)와는 별도의 심박수 측정수단을 전술한 안전 장비(110)의 일 종류로 포함할 수도 있다.
출입게이트(120)는, 사용자 인식부(121), 표시부(122), 디스플레이(123), 분사부(124), 제2 통신부(125) 및 지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게이트(120)는, 작업 현장별로, 작업의 종류별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로에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작업 현장에 투입될 때 출입게이트(120)를 지나고, 작업 현장에서 이탈할 때 출입게이트(120)를 지남으로써, 사용자의 신분, 사용자가 작업 현장에 투입되었는지 여부, 해당 작업의 종류(예를 들어, 출입게이트(120)가 설치될 때 위험 현장별 또는 작업 종류별로 설치되어 서버(130)에서 관리할 수 있음), 투입시간(예를 들어, 작업 현장이 화재 진압 현장의 경우, 사용자가 화재 진압용 산소통(115)을 소지하고 있으므로 화재 진압용 산소통(115)에 포함된 산소의 양이 투입시간을 통해 얼마나 소진됐는지, 산소의 양이 부족한 시점인데 아직 이탈하지 않았다면 근처에 위치한 동료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안전 장비(110) 등을 인식하고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게이트(120)에는 사용자 인식부(121)가 포함(사용자 인식부(121)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안전 장비(110)의 사용자 인증 수단을 잘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되어 있고, 서버(130)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121)는, 안전 장비(110)에 부착된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인증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부(121)는, 전술한 사용자 인증 수단에 대응하도록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QR 코드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부(122)는,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2)는 서버(130)의 제어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을 통과하였을 경우 초록색 램프를 작동시켜 출입이 허가된 사용자임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을 통과하지 못했을 경우 붉은색 램프를 작동시켜 해당 작업 현장에 투입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이거나, 해당 작업 현장에 투입을 위하여 필요한 안전 장비(110) 중 적어도 하나를 착용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3)는, 출입게이트(120) 상단에 설치되어, 출입게이트(120)가 설치된 작업 현장 번호, 작업 현장 위치, 작업 종류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작업 현장을 용이하게 인식하고 해당 출입게이트(120)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분사부(124)는, 출입게이트(120)를 통과하는 사용자에게 방역 현장에 출입게이트(120)가 설치된 경우 방역 약품의 소독액을 분사하거나, 화재 진압 현장에 출입게이트(120)가 설치된 경우 통과하는 사용자에게 물을 분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작업근로자(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2 통신부(125)는, 사용자 인식부(121)에서 형성된 인증 정보를 서버(130)로 송신하고, 서버(130)로부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부(125)는, 블루투스 모듈, 이동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위성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125)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의 방식에 따른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지부(126)는, 출입게이트(120)가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적 구조로 출입게이트(120)를 지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26)는, 출입게이트(1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부(126)의 하단에 구름 수단(예를 들어, 휠(whe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험 현장별로 또는 작업 현장별로 출입게이트(1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서버(13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출입게이트(120)의 제2 통신부(125)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로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다수의 안전 장비(110)로부터 작업 영상을 수신하여 필요 작업 지시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30)의 관리자(140)는 제1 촬영부에서 촬영된 작업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 작업에 대한 지시를 요청하여 서버(130)가 필요 작업 지시 정보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서버(130)는, 출입게이트(12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신분을 인식할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당일의 작업 내용을 브리핑하기 위한 브리핑 정보를 형성하여 다수의 안전 장비(110) 또는 출입게이트(1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작업에 필요한 문의 사항을 수신하고, 관리자(140)에 의해서 답변 사항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즉, 서버(130)는, 작업 현장에 위치한 사용자 및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140) 간의 원활한 의사 소통이 가능하도록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130) 화면상에 표시된 작업 현장의 지도 상에 안전 장비(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관리자(140)가 사용자의 움직이는 동선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에는 작업 현장의 지도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안전 장비(110)의 심박 감지부에서 형성된 심박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밀폐된 작업 현장이나 화재 진압 작업 현장에 사용자들이 투입된 경우 인명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서버(130)는,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업 현장의 출입 관리, 장비 착용 관리, 동선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30)는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내용을, 종합 및 집계하여 관리자가 소유한 휴대 단말기 등으로 송신 및 전송하여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작업 현장의 출입 현황이나, 장비 착용 현황, 동선 등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촬영부(150)는, 작업 현장에 설치되되, 사용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작업 현장에서 작업 중인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촬영부(150)는, 획득한 얼굴 이미지를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으나, 제2 촬영부(150)에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는 딥러닝과 같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얼굴 이미지들로부터 눈동자 객체를 추출하여, 작업 현장에 투입된 사용자가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지 않거나 졸고 있는 경우 등에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 하나 이상의 메모리(134) 및/또는 송수신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서버(130)의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아기 서버(130)에 추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additionally) 또는 대체적으로(alternatively),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130) 내, 외부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들은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을 주고받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소프트웨어(예: 명령, 프로그램 등)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32)에 연결된 서버(13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연산, 처리, 데이터 생성, 가공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2)는 데이터 등을 하나 이상의 메모리(134)로부터 로드하거나, 하나 이상의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송수신기(136)를 통하여 출입게이트(120)의 제2 통신부(125)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로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송수신기(136)를 통하여 다수의 안전 장비(110)로부터 작업 영상을 수신하여 필요 작업 지시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송수신기(136)를 통하여 다수의 안전 장비(110)로부터 작업에 필요한 문의 사항을 수신하고, 관리자(140)에 의해서 답변 사항을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 장비(110)로 송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송수신기(136)를 통하여 다수의 안전 장비(110)로부터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130) 화면상에 표시된 작업 현장의 지도 상에 안전 장비(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관리자(140)가 사용자의 움직이는 동선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송수신기(136)를 통하여 다수의 안전 장비(110)로부터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140)가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모니터링 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사용자가 안전 장비(110)로 화재 진압용 산소통(115)을 착용한 경우, 사용자가 출입게이트(120)를 통과한 시간을 이용하여 화재 진압용 산소통(115)의 산소 잔여량을 산출하고, 산소 잔여량이 임계값(예를 들어, 20%) 이하일 경우 알람 신호를 형성하며, 알람 신호를 제1 통신부를 통하여 해당 사용자 및 해당 사용자와 가장 인접한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미리 학습된 제1 뉴럴 네트워크에 제2 촬영부(150)에서 수신된 얼굴 이미지를 적용하여 눈동자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눈동자 객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업 현장의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가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딥러닝과 같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신된 얼굴 이미지들로부터 눈동자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눈동자 객체 추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100)은, 작업 현장에 투입된 사용자가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지 않거나 졸고 있는 경우 등에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추출된 눈동자 객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면을 기준으로 가장 돌출된 눈동자 부위의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좌표로부터 수선(垂線)을 생성하며, 생성된 수선이 작업 대상체와 교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생성된 수선이 작업 대상체와 교차하는 경우 사용자가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34)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4)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서버(13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획득되거나, 처리되거나,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소프트웨어(예: 명령, 프로그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4)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명령 내지 프로그램은 메모리(134)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서버(130)의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서버(130)의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미들 웨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134)는 상술한 다수의 안전 장비(110) 및 출입게이트(12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 인증 정보, 작업 영상, 이동 경로 정보, 심박수 정보, 문의 사항 및 얼굴 이미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에서 형성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 필요 작업 지시 정보,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사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13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에 의한 실행 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가 연산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서버(130)는 송수신기(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36)는, 다수의 안전 장비(110), 출입게이트(120), 서버(130), 제2 촬영부(150) 및/또는 기타 다른 장치 간의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36)는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iBro(Wireless Broadband),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방식에 따른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136)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의 방식에 따른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2)는 송수신기(136)를 제어하여 다수의 안전 장비(110), 출입게이트(120), 제2 촬영부(150)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수의 안전 장비(110), 출입게이트(120), 제2 촬영부(150)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34)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서버(13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30)는 휴대용 통신 장치, 컴퓨터 장치, 또는 상술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에 따른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130)는 전술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130)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각 실시예들은 경우의 수에 따라 조합될 수 있으며, 조합되어 만들어진 서버(130)의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130)의 내/외부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에 따라 추가, 변경, 대체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서버(130)의 내/외부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 장치는 얼굴 이미지가 포함하는 눈동자 인식을 위하여 뉴럴 네트워크(135)를 학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장치는 서버(130)와 다른 별개의 주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뉴럴 네트워크(135)는 트레이닝 샘플들이 입력되는 입력 레이어(131)와 트레이닝 출력들을 출력하는 출력 레이어(133)를 포함하고, 트레이닝 출력들과 레이블들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학습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블들은 특징점 객체에 대응하는 신체 부위 정보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135)는 복수의 노드들의 그룹으로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노드들 사이의 가중치들과 노드들을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함수에 의해 정의된다.
학습 장치는 GD(Gradient Decent) 기법 또는 SGD(Stochastic Gradient Descent) 기법을 이용하여 뉴럴 네트워크(135)를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 장치는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들 및 레이블들 의해 설계된 손실 함수(Loss Function)를 이용할 수 있다.
학습 장치는 미리 정의된 손실 함수를 이용하여 트레이닝 에러를 계산할 수 있다. 손실 함수는 레이블, 출력 및 파라미터를 입력 변수로 미리 정의될 수 있고, 여기서 파라미터는 뉴럴 네트워크(135) 내 가중치들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실 함수는 MSE(Mean Square Error) 형태, 엔트로피(entropy) 형태 등으로 설계될 수 있는데, 손실 함수가 설계되는 실시예에는 다양한 기법 또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학습 장치는 역전파(Backpropagation) 기법을 이용하여 트레이닝 에러에 영향을 주는 가중치들을 찾아낼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들은 뉴럴 네트워크(135) 내 노드들 사이의 관계들이다. 학습 장치는 역전파 기법을 통해 찾아낸 가중치들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레이블들 및 출력들을 이용한 SGD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장치는 레이블들, 출력들 및 가중치들에 기초하여 정의된 손실 함수의 가중치들을 SGD 기법을 이용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장치는 트레이닝 얼굴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트레이닝 얼굴 이미지들로부터 트레이닝 특징점 객체들을 추출할 수 있다. 학습 장치는 트레이닝 특징점 객체들에 대해서 각각 미리 레이블링 된 정보(제1 레이블들)를 획득할 수 있는데, 트레이닝 특징점 객체들에 미리 정의된 신체 부위 정보를 나타내는 제1 레이블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장치는 트레이닝 특징점 객체들의 외관 특징들, 패턴 특징들 및 색상 특징들에 기초하여 제1 트레이닝 특징 벡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특징을 추출하는 데는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장치는 제1 트레이닝 특징 벡터들을 뉴럴 네트워크(135)에 적용하여 트레이닝 출력들을 획득할 수 있다. 학습 장치는 트레이닝 출력들과 제1 레이블들에 기초하여 뉴럴 네트워크(135)를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 장치는 트레이닝 출력들에 대응하는 트레이닝 에러들을 계산하고, 그 트레이닝 에러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뉴럴 네트워크(135) 내 노드들의 연결 관계를 최적화하여 뉴럴 네트워크(135)를 학습시킬 수 있다. 서버(130)는 학습이 완료된 뉴럴 네트워크(135)를 이용하여 얼굴 이미지로부터 눈동자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게이트(120)의 다양한 위치에는 안전 장비(110)에 부착된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할 수 있도록 다수의 안테나(120-1,2,3,4)가 배치될 수 있고, 다수의 안테나(120-1,2,3,4)에서 형성된 인증 정보는 리더기(121-1,2)를 통하여 와이파이(WiFi) 확장기(extender)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인증 정보는 와이파이 공유기 및 다수의 와이파이 확장기(extender#1, #2)를 통하여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와이파이 공유기 및 WAN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Azure database)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게이트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게이트(120)는, 사용자 인식부(121), 표시부(122), 디스플레이(123), 분사부(124), 제2 통신부(125) 및 지지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121)는, 안전 장비(110)에 부착된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인증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부(121)는, 사용자 인증 수단의 인식이 용이하도록 출입게이트(120)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122)는,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2)는 서버(130)의 제어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램프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2)는 사용자 인증을 통과하였을 경우 초록색 램프를 점등시키고, 사용자 인증을 통과하지 못하였거나, 필요한 안전 장비를 구비하지 못했을 경우 붉은색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123)는, 출입게이트(120) 상단에 설치되어, 출입게이트(120)가 설치된 작업 현장 번호, 작업 현장 위치, 작업 종류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작업 현장을 용이하게 인식하고 해당 출입게이트(120)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분사부(124)는, 출입게이트(120)를 통과하는 사용자에게 방역 약품을 분사하거나, 화재 진압 현장에 출입게이트(120)가 설치된 경우 통과하는 사용자에게 물을 분사할 수도 있다.
제2 통신부(125)는, 사용자 인식부(121)에서 형성된 인증 정보를 서버(130)로 송신하고, 서버(130)로부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지지부(126)는, 출입게이트(120)가 쓰러지지 않도록 안정적 구조로 출입게이트(120)를 지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26)는, 출입게이트(1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부(126)의 하단에 구름 수단(예를 들어, 휠(wheel) 등)을 포함하여 출입게이트(120)를 다양한 작업 현장에 용이하게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작업 현장 관리 방법의 절차를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610)에서, 다수의 안정 장비에 부착된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인증 정보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출입게이트(120)의 사용자 인식부(121)는 출입게이트(120)를 통과하는 사용자가 장착한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인증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30)는 출입게이트(12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630)에서, 사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로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30)는 사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로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계(S640)에서,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출입게이트(120)의 표시부(122)는 서버(130)로부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22)는, 사용자 인증을 통과하였을 경우 초록색 램프를 작동시켜 출입이 허가된 사용자임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인증을 통과하지 못했을 경우 붉은색 램프를 작동시켜 해당 작업 현장에 투입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이거나, 해당 작업 현장에 투입을 위하여 필요한 안전 장비(110) 중 적어도 하나를 착용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S650)에서, 작업 영상을 수신하여 필요 작업 지시 정보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30)는 안전 장비(110)의 제1 촬영부로부터 작업 영상을 수신하여 필요 작업 지시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30)의 관리자(140)는 제1 촬영부에서 촬영된 작업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 작업에 대한 지시를 요청하여 서버(130)가 필요 작업 지시 정보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S660)에서,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현장의 지도 상에 안전 장비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서버(130)는 안전 장비(110)의 위치 인식 수단으로부터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작업 현장의 지도 상에 안전 장비(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30)는 화면상에 표시된 작업 현장의 지도 상에 안전 장비(1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관리자(140)가 사용자의 움직이는 동선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의 화면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30)에서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로그인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관리자(140) 또는 사용자가 오른쪽 상단의 아이디(ID) 및 비밀번호(PW)를 입력하고 엔터(Enter)키를 입력하거나 아래 자물쇠 모양의 버튼을 클릭할 경우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로그인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에 로그인한 관리자(140)는 관리자 등록 기능을 이용하여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기존의 사용자를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등록 시에는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예를 들어, 전체현황, 공종별현황, 일자별현황, 사용자등록 등)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서버 매니저, 연결, 태그 모니터, 전체 현황, 공종별 현황, 일자별 현황, 사용자 등록, 관리자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등록” 기능은, 작업 현장에서 안전 장비(110)를 착용한 사용자를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등록은 개인키(Personal Key, PK)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증 수단(예를 들어, 태그) 정보를 입력해야 사용자 등록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등록된 사용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 실행 및 사용자 정보 갱신 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체 사용자 정보를 인출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매니저” 기능은 사용자 인식부(121)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IP”에는 사용자 인식부(121)의 IP 주소를 기재하고, “현장이름”에는 출입게이트(120)의 이름을 기재하며, “Port”에는 스트리밍 서버(130)의 포트 번호를 기재하고, “Antenna”에는 안테나의 세기(예를 들어, 0~100)를 기재할 수 있다. “IP”, “현장이름”, “Port”, “Antenna” 등의 설정을 변경한 후에는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의 초기화를 위하여 재부팅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게이트(120)의 IP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박스에 IP, 현장이름, Port, 안테나 세기를 입력한 후 “게이트IP 추가“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출입게이트(120)의 IP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IP를 수정하기 원하는 출입게이트 목록 중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출입게이트(120)를 선택하고, 텍스트 박스에 수정을 원하는 값을 입력한 후 “게이트IP 수정“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출입게이트(120)의 삭제를 위해서는 출입게이트 목록 중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출입게이트(120)를 선택하고, “게이트 삭제”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출입게이트(120)의 등록을 위해서는 우측 상단 체크박스에서 원하는 항목을 체크하고, 텍스트 박스에 출입게이트 라벨을 입력한 후 “게이트 등록”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현장 등록 또는 수정을 위해서는 우측 상단 체크박스에서 원하는 항목을 체크하고, 현장이름을 입력한 후 “현장등록”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기능은 “서버 매니저”를 이용하여 설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인식부(121) 및 스트리밍 서버(130)에 접속하고, 서버(130) 접속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자(140) 또는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식부(121)가 서버(130)에 올바르게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안테나 상태 및 접속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출입게이트(120)의 사용자 인식부(121)에 대한 접속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 인식부(예를 들어, RFID) 접속 상태를 회색으로 표시하고, 일부 출입게이트(120)의 사용자 인식부(121)에 대한 접속이 실패한 경우 접속에 성공한 출입게이트(120)의 사용자 인식부(121)에 대해서만 안테나 및 접속 상태를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그 모니터” 기능은 사용자 인식부(121)에서 감지되는 모든 사용자 인증 수단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PC ID”는 사용자 인증 수단의 아이디를 나타내고, “RSSI”는 신호 강도(단위: dB)를 나타내며, “GATE”는 출입게이트(120) 번호를 나타내고, “시간경과”는 마지막 업데이트까지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시정지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인증 수단에 대한 기록 업데이트를 중단시킬 수 있고, 선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등록 절차에서 특정 사용자 인증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현황” 또는 “공종별 현황” 기능은 현재까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인증 수단의 출입 기록을 이용하여 특정 출입게이트(120), 작업 구역, 소속 회사, 공종별 사용자들의 출입 현황을 행렬 형태의 목록으로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주 인원은 출입게이트(120)를 통하여 들어간 인원수(“(입)”)와 출입게이트(120)를 통하여 나온 인원수(“(출)”)의 차로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현황 목록의 입/출 셀을 선택하면 해당 목록의 로그 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입”에 2가 표시된 경우 2를 선택하면, 해당 출입게이트(120)를 통해서 작업 현장에 들어간 사용자의 이름, 출입게이트(120) 이름, 공종,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별 현황” 기능은 시작 날짜, 종료 날짜를 입력하여 해당 기간 동안의 사용자들에 대한 근무일수, 근무 시간 등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종, 이름을 입력하여 추가적인 필터링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작업근로자(사용자)가 착용하는 안전 장비 및 작업 현장별로 설치되는 출입게이트를 이용하여 작업근로자(사용자)가 투입된 작업 현장, 투입된 이후의 시간, 구비한 안전 장비 등을 인식하고 이를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작업 현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작업 현장에서의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다.
또한, 구름 수단이 마련된 출입게이트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별로 출입게이트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는 작업근로자(사용자)에 대해 약품이나 물을 분사하는 분사부를 마련하여 작업 현장이 방역 현장인 경우 방역 약품의 소독액을 분사시키거나, 작업 현장이 화재 현장인 경우 물을 분사시켜 작업근로자(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촬영부를 통해 작업 현장을 촬영함으로써, 서버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근로자(사용자)의 작업 현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작업근로자(사용자)와 관리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심박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서버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근로자(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작업 현장이 밀폐된 구역이 포함된 현장이거나, 또는 화재 현장인 경우 해당 작업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원치 않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현장에 설치된 제2 촬영부를 통해 작업근로자(사용자)가 작업 대상체에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작업 효율의 향상 및 부주의를 의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UI를 구성하여, 작업의 전체 현황은 물로, 공종별 현황, 일자별 현황, 사용자별 투입 현황 등 다양한 메뉴를 통해 작업 현장을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상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한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110: 안전 장비
120: 출입게이트 130: 서버
140: 관리자 150: 제2 촬영부
111: 안전모 112: 안전조끼
113: 안전대 114: 안전화
115: 화재 진압용 산소통 116: 방화복
121: 사용자 인식부 122: 표시부
123: 디스플레이 124: 분사부
125: 제2 통신부 126: 지지부
131: 입력 레이어 132: 프로세서
133: 출력 레이어 134: 메모리
135: 뉴럴 네트워크 136: 송수신기

Claims (9)

  1. 산소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 출입게이트 및 서버를 포함하며, 방역 현장, 밀폐 현장 및 화재 진압 현장 중 어느 하나의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는,
    상기 안전 장비의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안전 장비의 종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인증 수단;
    상기 작업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작업 영상을 형성하는 제1 촬영부;
    상기 안전 장비의 이동 경로 정보를 형성하는 위치 인식 수단;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형성하는 심박 감지부; 및
    상기 작업 영상, 상기 이동 경로 정보, 상기 심박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게이트는 상기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안전 장비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업 현장에 투입 및 이탈 시 통과하며,
    상기 출입게이트는,
    상기 사용자 인증 수단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증 정보를 형성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작업 현장으로의 투입 시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작업 현장으로부터의 이탈 시간, 상기 출입게이트가 설치된 상기 작업 현장에 대한 현장 정보를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
    상기 출입게이트가 설치된 상기 작업 현장에 대한 상기 현장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약품 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출입게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의 수행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를 형성하여 상기 출입게이트로 송신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작업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작업 현장의 필요 작업 지시 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안전 장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 인식 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이동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작업 현장의 지도 상에 상기 안전 장비를 착용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심박 감지부에 의해 형성된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출입게이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작업 현장으로의 투입 시간에 기해 상기 산소통에 포함된 산소의 잔여량을 산출하여 상기 산소의 잔여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일 경우 알람 신호를 형성하여,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해당 사용자 및 상기 해당 사용자의 위치에 기해 상기 해당 사용자와 최단 거리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출입게이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작업 현장으로의 투입 시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작업 현장으로부터의 이탈 시간에 기해 상기 작업 현장 내 남아 있는 잔여 사용자를 모니터링하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의 통과 여부에 대해 통과하는 경우, 통과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작업 현장에 필요한 상기 안전 장비를 구비하지 못한 경우를 표시하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게이트는,
    상기 출입게이트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 및
    상기 출입게이트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부 하단에 마련된 구름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작업 현장에서 작업 중인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미리 학습된 제1 뉴럴 네트워크에, 상기 제2 촬영부를 통해 획득된 상기 얼굴 이미지를 적용하여 눈동자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눈동자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업 현장의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작업 대상체를 주시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안전 장비의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작업에 필요한 문의 사항을 수신하고, 상기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 사항을 송신하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작업 현장의 상기 사용자의 출입 관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안전 장비 착용 관리 및 상기 사용자의 동선 관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할 수 있는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작업 현장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되는 현황을 관리자의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210045752A 2021-04-08 2021-04-08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6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52A KR102360549B1 (ko) 2021-04-08 2021-04-08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52A KR102360549B1 (ko) 2021-04-08 2021-04-08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549B1 true KR102360549B1 (ko) 2022-02-10

Family

ID=8025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752A KR102360549B1 (ko) 2021-04-08 2021-04-08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419A (ko) * 2022-04-14 2023-10-2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작업자 출입 관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92B1 (ko) 2009-03-27 2010-06-30 (주)영우산업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20110080726A (ko) * 2010-01-07 2011-07-13 이동인 소독분무장치
KR101282669B1 (ko) * 2012-11-12 2013-07-12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549599B1 (ko) * 2014-06-02 2015-09-02 고권태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KR20160006350A (ko) * 2014-07-08 2016-01-1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작업 안전 및 보호 장비 관리 방법
JP2016166074A (ja) * 2015-03-10 2016-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保守作業支援装置
KR102093805B1 (ko) * 2019-08-30 2020-03-26 김동관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92B1 (ko) 2009-03-27 2010-06-30 (주)영우산업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KR20110080726A (ko) * 2010-01-07 2011-07-13 이동인 소독분무장치
KR101282669B1 (ko) * 2012-11-12 2013-07-12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1549599B1 (ko) * 2014-06-02 2015-09-02 고권태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KR20160006350A (ko) * 2014-07-08 2016-01-1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작업 안전 및 보호 장비 관리 방법
JP2016166074A (ja) * 2015-03-10 2016-09-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保守作業支援装置
KR102093805B1 (ko) * 2019-08-30 2020-03-26 김동관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419A (ko) * 2022-04-14 2023-10-2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작업자 출입 관제 장치 및 방법
KR102681813B1 (ko) 2022-04-14 2024-07-04 국립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작업자 출입 관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396B2 (en) Emergency response augmented reality-based notification
Zhang et al. Real-time alarming, monitoring, and locating for non-hard-hat use in construction
US9536407B2 (en) Emergency monitoring of tagged objects
US20200234014A1 (en) Identity card holder and system
US20210343182A1 (en) Virtual-reality-base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raining system
EP32643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commissioning, testing, and maintaining a fire alarm control panel via a mobile device
CN112488488A (zh) 基于工作票的行为处理方法、装置、计算机和存储介质
WO2013023283A1 (en) Audit tool for smartphone devices
KR102360549B1 (ko) 작업 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50083480A (ko) 3차원 입체 영상을 활용한,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20133620A (ko)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제 시스템
KR20180085256A (ko) 산업 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헬멧
KR20160050992A (ko) 구조정보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0991944B (zh) 一种区域化草坪维护管理系统及方法
CN112367397A (zh) 外勤作业的监控预警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1725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nel accountability and tracking during public safety incidents
EP39079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houlder speaker microphone device with an integrated thermal imaging device
KR20150123587A (ko)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US10699810B2 (en) Employee visit verification system
JP6832289B2 (ja) 原子力発電所格納容器に係わる作業のサーバとクライアント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遠隔操作管理
KR20130142646A (ko) Qr코드를 이용한 그룹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63992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ociating, assigning, and authenticating users with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ing biometrics
US11842618B2 (en) Confined spa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DK2946371T3 (en) A CONTROL SYSTEM TO DETECT THE EXISTENCE OF EQUIPMENT DEVICES
KR20160100740A (ko) 미아 위치 추적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