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3551A - 작업 인력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 인력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3551A
KR20160053551A KR1020140152759A KR20140152759A KR20160053551A KR 20160053551 A KR20160053551 A KR 20160053551A KR 1020140152759 A KR1020140152759 A KR 1020140152759A KR 20140152759 A KR20140152759 A KR 20140152759A KR 20160053551 A KR20160053551 A KR 2016005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workplace
database
unique
perso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성진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진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진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2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3551A/ko
Publication of KR2016005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및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착용품에 부착되어,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 각 작업장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품을 착용한 근로자가 작업장 내로 진입시에 착용품에 부착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로부터 고유 아이디를 판독하여 인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장 수신기; 각 작업장별로 배치된 스피커; 및 각 작업장 수신기가 배치된 작업장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착용품을 착용한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입 허가된 근로자인지를 파악하여, 출입 허가된 근로자가 아닐 시에는 작업장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을 하며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인력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인력 관리 서버는, 작 작업장별로 출입 가능한 고유 아이디를 등록한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 각 작업장별로 위험 경고 음성을 저장한 위험 경고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작업장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가 상기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험 경고 음성을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근로자의 등록 및 이력, 경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협력사 또는 각 공정 및 직종의 근로자의 인원 관리 및 작업 실태 관리까지 가능하다.

Description

작업 인력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work manpower}
본 발명은 작업 인력 관리 장치로서, 각 작업 현장에 투입되는 작업 인원들을 작업 현장별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작업 인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작업 공정이 이루어지는 작업장들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대형의 산업 현장일수록 주관사의 감독하에 다수의 협력사들이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산업 현장에서 협력사들의 인원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각 작업장별로 어느 정도의 인원을 투입하여야 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각 작업장에 필요한 인원들이 투입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작업 인원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현장에 너무 많은 인원이 투입되며 반면에 작업 인원이 많이 필요한 현장에 너무 적은 인원이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이 진행이 되는 중에 투입 인원의 재조정이 이루어져 작업 공정이 늦추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업 현장의 인원관리에 있어서 현재는 각 협력사의 출력 일지 및 일일 작업 일지에 의존하여 관리하거나 현장의 안전 관리자에 의해서 인원 파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작업 일지 등에 의한 출입 관리가 근로자의 출입 상태, 건강 상태 및 이력에 의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여러 협력 업체의 작업에 의하여 대형 공정이 진행되는 산업 현장의 경우, 각각의 협력사 인원들이 계획된 인원이 정확하게 산업 현장에 투입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나중에 주관사와 협력사 간에 투입 인원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작업 현장에 투입된 인원 및 직급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있어, 나중에 동일한 작업 조건을 가지는 작업 현장에서 투입 인원 및 직급이 무작정 이루어져, 투입 인원의 재조정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번호 10-143557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업장의 투입 인원 및 직급을 협력사별로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업장의 투입 인원 및 직급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여, 추후에 작업 계획을 세울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및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착용품에 부착되어,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 각 작업장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품을 착용한 근로자가 작업장 내로 진입시에 착용품에 부착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로부터 고유 아이디를 판독하여 인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장 수신기; 각 작업장별로 배치된 스피커; 및 각 작업장 수신기가 배치된 작업장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착용품을 착용한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입 허가된 근로자인지를 파악하여, 출입 허가된 근로자가 아닐 시에는 작업장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을 하며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인력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인력 관리 서버는, 작 작업장별로 출입 가능한 고유 아이디를 등록한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 각 작업장별로 위험 경고 음성을 저장한 위험 경고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작업장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가 상기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험 경고 음성을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력 관리 서버는, 각 작업장별로 투입되는 작업 인원을 저장한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근로자의 소속사별로 투입된 작업장 및 작업 인원을 저장한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근로자의 직급별로 투입된 작업장 및 작업 인원을 저장한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및 요일별 및 월별로 각 작업장에 투입된 작업 인원을 저장한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력 관리 서버는, 착용품에 부착된 작업자 식별 발신기로부터 상기 고유 아이디를 수신하는 서버 수신기; 상기 서버 수신기에서 수신한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및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작업장별로 투입된 소속사 인원 및 직급을 파악하여 투입 인원 재조정 산출시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및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작업장별 투입 인원, 작업장별 직급 분포, 기간별 투입 인원수, 및 작업장별로 공정 시작부터 작업 종료시까지의 작업 기간과 작업 인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파악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사내망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인력 관리 장치는, 각 작업장에 복수개 마련되어 작업장에 출입하는 근로자를 촬영하여 근로자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는 고유 아이디마다 근로자 사진을 함께 저장하며, 상기 작업장 수신기는 상기 고유 아이디와 함께 근로자 영상 이미지를 상기 인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근로자 영상 이미지가 상기 근로자 사진과 다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하며 관리자에게 통보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력 관리 장치는, 각 작업장 내에서 외부 출구로 안내하는 안전 통로 안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가 상기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안전 통로 안내 표시부를 통하여 미등록 근로자를 외부 출구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근로자의 등록 및 이력, 경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협력사 또는 각 공정 및 직종의 근로자의 인원 관리 및 작업 실태 관리까지 가능하다. 또한, 산업현장의 모든 공정이 완료, 준공되었을시 어느 직종, 어느 협력사 인원이 몇 명 투입이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추후에 비슷한 작업 현장의 인원투입 예상이 가능하며 각 직종의 인원을 데이터베이스하여 경력자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현장 근로자 중에 등록되지 않은 사람이 현장에 출입을 하여도, 안내방송을 하여 안전통로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안전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바로 퇴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로 인력 관리 장치를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력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모에 근로자 식별 발신기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식별 메시지내의 구성 필드를 도시한 그림.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로 인력 관리 장치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력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모에 근로자 식별 발신기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로자 식별 메시지내의 구성 필드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인력 관리 서버(100)는,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 작업장 수신기(200), 스피커(210), 인력 관리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는,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착용품(30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모(301)의 외피 또는 내피에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착용품(300)이라 함은 산업현장에서 작업 전에 근로자가 착용하는 물품으로서, 안전모, 손목밴드 이외에 발목밴드, 신분증 목걸이, 신발, 장갑 등과 같이 다양한 착용품(300)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품(300)에는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마련된다.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는, 착용품(300)에 부착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의 고유 아이디, 작업장을 식별하는 작업장 식별 코드, 근로자 정보가 포함된 근로자 식별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근로자 정보는 근로자의 이름, 사진, 건강 상태, 소속사, 직급, 사번, 나이, 허가된 작업장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는 RFID 태그로 구현될 수 있다.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저장된 RFID 태그로 구현된 경우,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는 착용품(3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안전모, 손목밴드를 착용하고 벗는데 지장이 없도록 가벼운 소형으로 제작한다.
작업장 수신기(200)의 감지 영역에 근로자 RFID 태그로 된 식별 발신기(310)가 부착된 착용품(300)이 진입하였을 때 RFID 판독기인 작업장 수신기(200)는 RFID 태그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를 판독하여,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밖에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는 RF칩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별도로 마련되어 착용품(300)에 부착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인 RF칩이 읽어와서 RF안테나를 통해서 브로드캐스팅하며, RF 수신 안테나로 이루어진 작업장 수신기(200)는 브로드캐스팅되는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참고,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인 RFID 태그가 전송하는 근로자 식별 메시지에는, 도 4에 도시한 메시지 필드와 같이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의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고유 아이디 필드(41)와,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부착된 착용품(300)을 착용한 근로자가 담당할 작업장의 식별 코드가 기록된 담당 작업 필드(42)를 구비한다. 고유 아이디 필드에 기록되는 고유 아이디는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의 고유한 식별 아이디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부착되는 착용품(300)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가 고유 아이디로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담당 작업 필드에는, 근로자가 수행할 작업장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기록되는데, 예컨대, 제1착용품(300a)을 착용한 제1근로자와 제2착용품(300b)을 착용한 제2근로자가 제1작업장(10)으로 배정된 경우에는, 제1착용품(300a)에 부착된 제1근로자 식별 발신기(310a) 및 제2착용품(300b)에 부착된 제2근로자 식별 발신기(310b)에는 제1작업장(1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각각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제3착용품(300c)을 착용한 제3근로자와, 제4착용품(300d)을 착용한 제4근로자와, 제5착용품(300e)을 착용한 제5근로자가 제2작업장(20)을 작업장으로 배정된 경우에는, 제3착용품(300c)에 마련된 제3근로자 식별 발신기(310c), 제4착용품(300d)에 마련된 제4근로자 식별 발신기(310d), 및 제5착용품(300e)에 마련된 제5근로자 식별 발신기(310e)에는 작업장인 제2작업장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코드가 각각 저장된다.
작업장 수신기(200;200a,200b,200c)는, 각 작업장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품을 착용한 근로자가 작업장 내로 진입시에 착용품에 부착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로부터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력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작업장은 각각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적인 작업 현장의 구역을 말하는 것으로서, 제1작업장(10), 제2작업장(20), 제N작업장(N) 등이 있을 수 있다. 작업장은 실제로는 작업장 수신기(200)가 무선으로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구역이다. 작업장을 복수의 N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별로 작업장 수신기(200)가 배치되는데, 예컨대, 제1작업장(10)에는 제1작업장 수신기(200a)가 배치되며, 제2작업장(20)에는 제2작업장 수신기(200b)를 배치하며, 제N작업장(N)에는 제N작업장 수신기(200n)가 배치된다. 각 작업장 수신기(200)의 수신 범위는 배치된 구역 반경 범위 내에서 발생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작업장(10) 내에 위치한 제1근로자 식별 발신기(310a), 제2근로자 식별 발신기(310b)로부터 송신되는 근로자 식별 메시지는 제1작업장(10)에 배치된 제1작업장 수신기(200a)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제2작업장(20) 내에 위치한 제3근로자 식별 발신기(310c), 제4근로자 식별 발신기(310d), 제5근로자 식별 발신기(310e)로부터 송신되는 근로자 식별 메시지는 제2작업장(20)에 배치된 제2작업장 수신기(200b)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구역 설계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멀리 떨어져 있도록 설계하여, 구역별 수신 중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단일의 작업장에 하나의 작업장 수신기(200)를 구비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작업장 수신기(200)를 작업장별로 복수개 마련하여 공유함으로써 작업장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한편,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는 RFID 태그로 구현되지 않고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식별 태그(예컨대, 바코드, QR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작업장 수신기(200)는 식별 태그를 판독할 수 있는 카메라(미도시;이하, '태그 식별 카메라'라고 부르기로 함)로 구현된다. 태그 식별 카메라는 바코드, QR코드 등으로 된 식별 태그를 촬영하여 고유 아이디를 판독한 후 판독된 고유 아이디를 인력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한편, 작업장 수신기(200)는 작업장별로 근로자 작업 시의 위험을 알리는 경고 음성을 방송하는 스피커(210)가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스피커(210)는 허가 안 된 근로자가 작업장에 있을 시에 경고 방송을 한다. 예를 들어, 제1작업장(10)에 허가 안 된 근로자인 제3근로자가 있을 경우 제3근로자가 착용한 안전모(310)에 마련된 제3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로부터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데, 제3근로자가 허가 안 된 근로자인 경우 침입자로 판별하여 제1작업장에서 나갈 것을 음성 경고할 수 있다. 스피커(210)는 별도로 마련되거나 카메라에 부착되어 함게 마련될 수 있다.
인력 관리 서버(100)는, 각 작업장 수신기(200;200a,200b,200n)가 배치된 작업장 정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1작업장(10)에 제1작업장 수신기(200a)가 배치되며, 제2작업장(20)에 제2작업장 수신기(200b)가 배치되며, 제N작업장(N)에 제N작업장 수신기(200n)가 배치된 경우, 각 작업장별로 배치된 수신기(200)의 고유번호를 기록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RFID 태그를 판독하는 작업장 수신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제1작업장 수신기(200a)로부터 제1근로자 식별 메시지 및 제2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작업장 수신기(200b)로부터 제3근로자 식별 메시지, 제4근로자 식별 메시지, 및 제4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인력 관리 서버(100)는 제1근로자 및 제2근로자가 제1작업장(10)에 위치하며, 제3,4,5근로자가 제2작업장(20)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한편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식별 태그(예컨대, 바코드, QR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작업장 수신기(200)는 태그 식별 카메라로 구현되는데, 이때, 태그 식별 카메라는 식별 태그로부터 판독한 고유 아이디를 인력 관리 서버(100)에 전송하게 된다. 인력 관리 서버(100)는 고유 아이디마다 근로자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하으며, 각 태그 식별 카메라가 배치된 작업장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력 관리 서버(100)는 작업장 수신기(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에 할당된 근로자의 근로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근로자 정보를 통하여, 예컨대, 제1근로자 및 제2근로자가 제1작업장(10)에 위치하며, 제3,4,5근로자가 제2작업장(20)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수 있게 된다.
한편, 인력 관리 서버(100)는, 근로자 식별 메시지를 발신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부착된 착용품(300)을 착용한 근로자가 출입한 작업장에 출입 허가된 근로자인지를 파악하여, 출입 허가된 근로자가 아닐 시에는 작업장의 스피커(210)를 통해 경고 방송을 하며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관리자로의 통보는 전화 통보,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의 다양한 통보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밖에 인력 관리 서버(100)는, 서버 수신기(120)에서 수신한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1),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2),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3),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4)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력 관리 서버(100)는,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140), 위험경고 데이터베이스(150), 서버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140)는, 작 작업장별로 출입 가능한 작업자가 착용한 착용품(300)에 마련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의 고유 아이디를 등록한 데이터베이스이다.
근로자 관리 담당자는 근로자 안전 교육 이후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를 부착한 착용품(300)을 근로자에게 지급한다. 근로자에게 지급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에 기록된 고유 아이디는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어, 고유 아이디별로 근로자의 이름, 사진, 건강 상태, 소속사, 직급, 사번, 나이, 허가된 작업장 종류 등의 근로자 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140)에는, 각 작업장별로 출입 가능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의 고유 아이디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1작업장(10)에 제1근로자 및 제2근로자만이 출입 허가된 경우, 제1근로자 식별 발신기(310a)의 고유 아이디와, 제2근로자 식별 발신기(310b)의 고유 아이디가 제1작업장(10)의 출입 가능한 고유 아이디로서 등록된다.
위험경고 데이터베이스(150)는, 각 작업장별로 위험 경고 음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작업장이 보안 구역인 경우, '귀하가 있는 제1작업장은 보안 지역입니다. 허가 안 된 근로자는 제1작업장을 벗어나시기 바랍니다'라는 위험 경고 음성이 제1작업장에 할당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10)는, 작업장 수신기(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가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하, '미등록 근로자 이벤트 발생한 경우'라 함), 위험경고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위험 경고 음성을 추출하여 스피커(210)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한다.
한편, 산업 스파이와 같이 불법 침입자의 경우, 다른 근로자의 착용품(300)을 착용하고 작업장(작업 현장)에 몰래 잠입할 수 있다. 이러한 불법 침입자를 색출하기 위하여, 인력 관리 서버(100)는, 각 작업장에 복수개 마련되어 작업장에 출입하는 근로자를 촬영하여 근로자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카메라(2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20)는 작업장 내에 있는 근로자의 신체 전체, 또는 근로자의 얼굴만을 촬영하여 근로자 영상 이미지로서 작업장 수신기(200)로 전달한다.
작업장 수신기(200)는, 고유 아이디와 함께 카메라(220)부터 전달받은 근로자 영상 이미지를 인력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
인력 관리 서버(100)의 서버 제어부(110)는, 작업장 수신기(200)로부터 수신한 근로자 영상 이미지가 근로자 사진과 다른 경우 스피커(210)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하며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즉, 서버 제어부(110)는, 근로자 영상 이미지에서 특징점(눈의 형상, 눈썹 형상, 코의 형상, 귀의 형상 등)을 추출하여,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근로자 사진의 특징점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스피커(210)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하며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한편, 인력 관리 서버(100)는, 작업장별로 투입되는 근로자 인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력 관리 서버(100)는 서버 수신기(120),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1),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2),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3),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4),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수신기(120)는, 착용품(300)에 부착된 작업자 식별 발신기로부터 고유 아이디, 작업장 식별 코드, 및 근로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로자 관리 담당자가 근로자 안전 교육 이후 근로자의 이름, 사진, 건강 상태, 소속사, 직급, 사번, 나이, 출입 허가된 작업장 종류 등의 근로자 정보를 기록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가 부착된 착용품(300)을 근로자에게 지급하기 전에, 근로자 정보가 기록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를 서버 수신기(120)에서 판독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30)는 서버 수신기(120)에서 수신한 고유 아이디, 작업장 식별 코드, 및 고유 아이디에 따라서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1),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2),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3), 및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4)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1)는 각 작업장별로 투입되는 작업 인원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30)는, 복수의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로부터 수신되는 고유 아이디, 작업장 식별 코드, 및 근로자 정보를 파악한 결과, 4개의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로부터 제1작업장(10)의 작업장 식별 코드를 수신하며, 7개의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로부터 제2작업장(20)의 작업장 식별 코드를 수신한 경우, 제1작업장(10)에는 4명의 작업 인원으로 저장되며, 제2작업장(20)에는 7명의 작업 인원이 저장된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1)가 생성된다.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2)는, 근로자의 소속사별로 투입된 작업장 및 작업 인원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30)는, 복수의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로부터 수신되는 고유 아이디, 작업장 식별 코드, 및 근로자 정보를 파악한 결과, A 소속사를 가지는 작업자가 투입되는 작업장의 종류 및 투입 인원을 저장한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2)를 생성할 수 있다.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3)는, 근로자의 직급별로 투입된 작업장 및 작업 인원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30)는, 복수의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로부터 수신되는 고유 아이디, 작업장 식별 코드, 및 근로자 정보를 파악한 결과, 과장 엔지니어 직급을 가지는 작업자가 투입되는 작업장의 종류 및 투입 인원을 저장한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3)를 생성할 수 있다.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4)는, 요일별 및 월별로 각 작업장에 투입된 작업 인원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생성부(130)는, 복수의 근로자 식별 발신기(310)로부터 수신되는 고유 아이디, 작업장 식별 코드, 및 근로자 정보를 파악한 결과, 월요일에 투입되는 제1작업장의 투입 인원과, 화요일에 투입되는 제1작업장의 투입 인원을 각각 저장한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4)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10)는 상기와 같이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투입 인원 재조정 및 투입 재원 공유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우선,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투입 인원 재조정에 활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서버 제어부(110)는,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2)를 통하여 작업장별로 투입된 소속사 인원 및 직급을 파악하여, 투입 인원 재조정 산출 시에 활용할 수 있다.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각 작업장에 필요한 인원들이 투입되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작업 인원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제1작업장(10)에 너무 많은 인원이 투입되며 반면에 작업 인원이 많이 필요한 제2작업장(20)에 너무 적은 인원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제1작업장(10)에는 경력직이 필요 없는데도 경력직이 투입되거나, 반대로 제2작업장(20)에는 최소 5명의 경력직이 필요한데도 경력직이 3명밖에 투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 제어부(110)는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2)를 통하여 작업장별로 투입된 소속사 인원 및 직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작업장에 적정한 인원 및 직급의 근로자들이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투입 재원을 공유하는 예를 설명한다. 산업 현장의 인원관리에 있어서 현재는 각 협력사의 출력 일지 및 일일 작업 일지에 의존하여 관리하거나 현장의 안전 관리자에 의해서 인원 파악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작업 일지 등에 의한 출입 관리가 근로자의 출입 상태, 건강 상태 및 이력에 의한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여러 협력 업체의 작업에 의하여 대형 공정이 진행되는 산업 현장의 경우, 각각의 협력사 인원들이 계획된 인원 및 직급이 정확하게 산업 현장에 투입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나중에 주관사와 협력사 간에 투입 인원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작업 현장에 투입된 인원 및 직급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있어, 나중에 동일한 작업 조건을 가지는 작업 현장에서 투입 인원 및 직급이 무작정 이루어져, 투입 인원의 재조정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버 제어부(110)는,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1),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3), 및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134)를 이용하여, 작업장별 투입 인원, 작업장별 직급 분포, 기간별 투입 인원수, 및 작업장별로 공정 시작부터 작업 종료시까지의 작업 기간과 작업 인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사내망을 통해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작업 공정을 진행하는 다른 작업 현장에서는 사내망을 통하여 공유되는 정보를 활용하여, 각 근로자의 직종 및 소속을 주별, 월별, 연별 가산하여 각 작업 현장별 직종에 소요되는 인원을 예상하여 작업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인력 관리 장치는, 각 작업장 내에서 외부 출구로 안내하는 안전 통로 안내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110)는, 작업장 수신기(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가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안전 통로 안내 표시부(미도시)를 통하여 미등록 근로자를 외부 출구로 안내할 수 있다. 작업장 내에 위험 요소가 존재하고 있는데, 허가된 근로자가 아닌 미등록 근로자일 경우 해당 작업장의 지리적 요소를 모르기 때문에 위험 요소에 접근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 요소에 접근하지 않고 퇴장할 수 있도록 안전 통로 안내 표시부를 통하여 미등록 근로자를 외부 출구로 안내할 수 있다.
결국,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근로자의 등록 및 이력, 경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협력사 또는 각 공정 및 직종의 근로자의 인원 관리 및 작업 실태 관리까지 가능하다. 또한, 산업현장의 모든 공정이 완료, 준공되었을시 어느 직종 어느 협력사 인원이 몇 명 투입이 되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협력사 정산시 인원 산출이 출력 일보에 적힌 인원보다도 정확하여 인원 분쟁을 줄 일수 있으며 추후 비슷한 현장의 인원투입 예상이 가능하며 각 직종의 인원을 데이터베이스하여 경력자를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현장 근로자 중에 등록되지 않은 사람이 현장에 출입을 하여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근로자는 미출입자로 파악하여 안내방송을 하여 안전통로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안전 관리자에게 SMS로 송신하여 바로 퇴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고 발생시도 위와 동일하게 SMS로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인력 관리 서버 110:서버 제어부
120:서버 수신기 130:데이터베이스 생성부
131: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132: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133: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134: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140: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 150:위험 경고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근로자가 착용하는 안전모 및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착용품에 부착되어, 고유 아이디가 기록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
    각 작업장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품을 착용한 근로자가 작업장 내로 진입시에 착용품에 부착된 근로자 식별 발신기로부터 고유 아이디를 판독하여 인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장 수신기;
    각 작업장별로 배치된 스피커; 및
    각 작업장 수신기가 배치된 작업장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착용품을 착용한 근로자가 작업장에 출입 허가된 근로자인지를 파악하여, 출입 허가된 근로자가 아닐 시에는 작업장의 스피커를 통해 경고 방송을 하며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인력 관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인력 관리 서버는,
    작 작업장별로 출입 가능한 고유 아이디를 등록한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
    각 작업장별로 위험 경고 음성을 저장한 위험 경고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작업장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가 상기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위험 경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험 경고 음성을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하는 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근로 인력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 관리 서버는,
    각 작업장별로 투입되는 작업 인원을 저장한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근로자의 소속사별로 투입된 작업장 및 작업 인원을 저장한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근로자의 직급별로 투입된 작업장 및 작업 인원을 저장한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요일별 및 월별로 각 작업장에 투입된 작업 인원을 저장한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로 인력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력 관리 서버는,
    착용품에 부착된 작업자 식별 발신기로부터 상기 고유 아이디를 수신하는 서버 수신기;
    상기 서버 수신기에서 수신한 고유 아이디를 이용하여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및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소속별 인원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작업장별로 투입된 소속사 인원 및 직급을 파악하여 투입 인원 재조정 산출시에 활용하는 근로 인력 관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직급별 인원 데이터베이스, 및 날짜별 인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작업장별 투입 인원, 작업장별 직급 분포, 기간별 투입 인원수, 및 작업장별로 공정 시작부터 작업 종료시까지의 작업 기간과 작업 인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파악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사내망을 통해 공유하는 근로 인력 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 관리 장치는,
    각 작업장에 복수개 마련되어 작업장에 출입하는 근로자를 촬영하여 근로자 영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카메라;
    를 포함하는 근로 인력 관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는 고유 아이디마다 근로자 사진을 함께 저장하며,
    상기 작업장 수신기는 상기 고유 아이디와 함께 근로자 영상 이미지를 상기 인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근로자 영상 이미지가 상기 근로자 사진과 다른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경고 방송을 하며 관리자에게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로 인력 관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력 관리 장치는, 각 작업장 내에서 외부 출구로 안내하는 안전 통로 안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작업장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고유 아이디가 상기 근로자 등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안전 통로 안내 표시부를 통하여 미등록 근로자를 외부 출구로 안내하는 근로 인력 관리 장치.
KR1020140152759A 2014-11-05 2014-11-05 작업 인력 관리 장치 KR20160053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59A KR20160053551A (ko) 2014-11-05 2014-11-05 작업 인력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759A KR20160053551A (ko) 2014-11-05 2014-11-05 작업 인력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51A true KR20160053551A (ko) 2016-05-13

Family

ID=5602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759A KR20160053551A (ko) 2014-11-05 2014-11-05 작업 인력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355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393A (ko) *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실내 작업장의 작업 관리 시스템
KR20190041651A (ko) * 2017-10-13 2019-04-23 울랄라랩 주식회사 기계에 설치된 센서와 근로자 장치 간의 인식을 통한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7452A (ko) * 2018-11-16 2020-05-26 (주)월드정보기술 생체 정보를 활용한 현장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393A (ko) *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씨앤씨솔루션 실내 작업장의 작업 관리 시스템
KR20190041651A (ko) * 2017-10-13 2019-04-23 울랄라랩 주식회사 기계에 설치된 센서와 근로자 장치 간의 인식을 통한 근로자 작업현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7452A (ko) * 2018-11-16 2020-05-26 (주)월드정보기술 생체 정보를 활용한 현장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4603A (zh) 用于提供人身安全的自动系统和过程
US9654908B2 (en) Wireless entity tracking and protection
Gnoni et al. Integrating IoT technologies for an “intelligent” safety management in the process industry
US10701520B2 (en) Smart commissioning for first responders in incident command system
KR101745670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CN109472190A (zh) 跟踪和/或分析与设施相关的活动的设备和方法
Kritzler et al. Wearable technology as a solution for workplace safety
TWI421787B (zh) 人員定位追蹤及管理系統及其方法
JP2018081637A (ja) 作業現場管理システム
KR101631980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무선 피폭 선량 안전 관리 시스템
CN110070155A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服刑人员综合行为识别方法及系统
KR20160053551A (ko) 작업 인력 관리 장치
US20230387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f released individual
KR20150047656A (ko) Rfid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의 무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6046328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maintenance activities
JP6832289B2 (ja) 原子力発電所格納容器に係わる作業のサーバとクライアント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遠隔操作管理
KR20150123587A (ko) 출입증 연계 보안 시스템
US20200125813A1 (en) System and method of near field tracking, feedback and control
KR101946306B1 (ko) 출입구 관제 시스템
Bauk et al. RFID and PPE: Concerning workers' safety solutions and cloud perspectives a reference to the Port of Bar (Montenegro)
EP2962930A1 (en) Improving the safety on-board of large vehicles for many passengers
WO2021250297A1 (es) Sistema para garantizar la adecuación y el correcto uso de las medidas de seguridad en el puesto de trabajo
CN110460817A (zh) 基于人脸识别和地理围栏的数据中心视频监控系统及方法
KR101678902B1 (ko)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WO2022202408A1 (ja) 建設現場端末、労務管理システム、および労務管理アプリケー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46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26

Effective date: 2018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