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947B1 - 출입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947B1
KR101521947B1 KR1020140101293A KR20140101293A KR101521947B1 KR 101521947 B1 KR101521947 B1 KR 101521947B1 KR 1020140101293 A KR1020140101293 A KR 1020140101293A KR 20140101293 A KR20140101293 A KR 20140101293A KR 101521947 B1 KR101521947 B1 KR 10152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assenger
information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관
Original Assignee
김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관 filed Critical 김동관
Priority to KR102014010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지역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출입자의 근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구역 또는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생체 인식을 통한 출입자의 출입을 단속하여 안전사고 및 장비 또는 물품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며, 출입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여 근무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노무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어,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에 따른 복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입자(근로자)의 안전위반사항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면 해당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또는 RFID 등)을 통해 작업 현장에 투입된 장비의 점검내역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인식카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안전위반사항에 해당하는 출입자(근로자)의 사진 및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확인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 및 관리 시스템{ACCESS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일정 지역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출입자의 근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구역 또는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생체 인식을 통한 출입자의 출입을 단속하여 안전사고 및 장비 또는 물품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며, 출입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여 근무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노무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어,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에 따른 복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출입자(근로자)의 안전위반사항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면 해당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또는 RFID 등)을 통해 작업 현장에 투입된 장비의 점검내역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인식카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안전위반사항에 해당하는 출입자(근로자)의 사진 및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확인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 현장, 건물 및 사무실 등과 같이 특정인만 출입이 허가되는 지역(장소)에는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건설 공사 현장은 일일 근로자를 채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근로자의 출입을 인증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근로자나 작업자의 현장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 키(key) 또는 카드(card) 등의 물리적인 도구를 이용한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물리적인 출입 통제 시스템은 분실, 파손 및 소지에 따른 불편함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난 및 복제 등에 따른 부정 출입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근래에는 물리적인 도구를 대신하여 생체인식을 통한 출입관리 장치가 많이 개발되었다.
생체인식을 통한 출입관리 장치는 사용자 신체의 특정부분을 읽고 분석한 후에,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해서 본인임을 확인하고 인증하는 기술을 말한다.
생체인식은 카드나 키와는 달리 개인의 고유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난이나 분실의 염려가 없고 위조 및 변조가 어렵기 때문에 보안분야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때 신체의 특정부분은 홍채, 지문 및 혈관 등 다양하다.
홍채인식 출입 관리는 사용자 안구의 홍채패턴을 인식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것으로, 설치에 따른 초기 비용이 많이 소요되나 유지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사용상 눈을 인식장치 가까이 근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며, 조명에 따라 에러율이 발생되고, 자연광(직사광성)에 민감하여 주로 실내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지문인식 출입 관리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것으로, 초기 설치비용 및 유지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으나, 일일 근로자의 작업 특성상 지문이 손실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동절기에 인식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혈관인식 출입 관리는 사용자의 혈관, 즉 손등의 혈관패턴을 인식하여 출입을 관리하는 것으로, 설치에 따른 초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나 유지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이 혈관인식을 통한 출입 관리는 사용자의 손을 인식장치에 근접시키는 것으로 사용상 불편함이 없으며, 혈관 손실이 발생되지 않아 홍채인식과 지문인식의 장점만을 수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생체 인식을 통한 출입 관리 장치의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465호에 개인 식별 문자 및 생체 인식 정보 비교를 통한 출입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었다.
위의 기술은 출입문을 잠금 및 해제하는 제1 개폐부 및 제2 개폐부와, 데이터베이스와, 개인 식별 문자 입력부와, 생체 인식 정보 획득부와, 개인 식별 문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개인 식별 문자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인증용 식별 문자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1 개폐부를 해제하고, 인증용 생체 인식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양 생체 인식 정보간의 일치 정확도가 기준 정확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제2 개폐부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위에 기재된 기술은 개인 식별 문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개인 식별 문자와 획득된 사용자 생체 인식 정보에 근거하여 개폐부를 해제하는 것으로, 다중 인증을 통한 보안성은 뛰어날 수 있으나, 개인 식별 문자와 생체 인식 수행에 따른 출입 조작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134454호에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이 기재되었다. 위의 기술은 공사 현장 내의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자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신원 인식 장치;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량 인식 장치; 신원 인식 장치가 생성하는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상기 차량 인식 장치가 생성하는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수신하여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공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장치; 및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위 기술은 공사 현장에 출입하는 인력 및 차량을 통제하는 것으로 통제에 따라 공사 현장의 재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생체 인식은 출입에 따른 정보로만 활용될 뿐이어서 이를 생체 인식을 통한 출입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다각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위에 기술된 종래의 장치들은 생체 인식 장치의 오류를 원격지에서 인지할 수 없으므로, 생체 인식 장치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출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출입에 따른 인력 관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노임 책정시 불이익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일 근로자의 노무를 관리하기 위해서 많은 서류가 꾸며진다. 예를 들어 근로자의 일별/월별 출근현황, 안전교육 실시 현황, 안전장구 지급 현황, 근로계약서, 노임체불 현황 및 노무비 지급 현황 등 많은 서류가 관리됨에 따라 이러한 서류들을 출입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온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나아가, 휴대 단말기를 더 구성하여 근로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안전사항을 위반하는 근로자를 감시할 수 있으며, 감시 사항을 촬영하여 증거로 활용할 수 있고, 안전사항의 위반이 일정 횟수 이상으로 누적되면 해당 근로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휴대 단말기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이에 따라 현장에 투입되는 장비의 점검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근로자의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465호(2010. 02. 01) 등록특허공보 제10-1134454호(2012. 04. 13.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체 인식을 통해 출입을 통제하는 한편, 출입에 따른 데이터를 노무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생체 인식 장치의 오류 여부를 확인하여 복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자(근로자)의 안전위반사항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면 해당 출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또는 RFID 등)을 통해 작업 현장에 투입된 장비의 점검내역을 휴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인식카드를 더 포함함으로써, 안전위반사항에 해당하는 출입자(근로자)의 사진 및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확인할 수 있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은, 생체 인식스캐너를 통해 추출된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과 카메라(140)로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한 안면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인식정보 및 출입자의 개인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등록용 단말기; 출입구에 설치되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생체 인식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을 인식하여 게이트를 단속하는 출입 통제장치; 1) 등록용 단말기로부터 생체 인식정보와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2) 출입 통제장치에 생체 인식정보를 전송하며, 3) 출입 통제장치로부터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의 개인정보에 근거하여 출입자의 출퇴근 관리 및 노임 관리를 수행하고, 4) 출입 통제장치와 동기화되어 출입 통제장치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표시하는 관리 서버; 및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서 관리되고 있는 출입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출입자를 관리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출입 통제장치는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을 인식하며, 저장된 손 혈관 패턴과 비교하여 매칭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매칭률에 따라 인식한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을 해당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으로 업데이트시키며, 손 혈관 패턴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2차적으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안면정보와 비교할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카메라(370)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출입자의 안전위반사항을 촬영하여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출입자의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제한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인식을 통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분실, 도난 및 복제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되어 보안성이 뛰어난 출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에 따른 인력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노무 관리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출입자의 생체를 인식하여 게이트를 단속하는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출입 통제장치를 오류를 신속한 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자(근로자)의 안전위반사항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첫째 휴대성이 용이하며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위반사항에 대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면 출입을 제한시킴으로써, 근로자들로 하여금 안전사항을 지키도록 항상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세부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를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근로자, 출입자 및 현장 출입자를 혼재하여 기재하였으나 근로자, 출입자 및 현장 출입자는 게이트를 통하여 출입하는 자로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
본 발명은 일정 지역의 출입을 통제하거나 출입자의 근무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정 구역 또는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생체 인식을 통한 출입자를 출입을 단속하여 안전사고 및 장비 또는 물품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며, 출입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하여 근무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노무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출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어,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에 따른 복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는 출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와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은 등록용 단말기(100), 게이트(200), 출입 통제장치(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록용 단말기(100)는 출입자의 생체를 인식하여 등록하며, 등록된 상기 출입자의 생체 인식정보와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원격지의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생체 인식스캐너(110), 입력모듈(120), 표시모듈(130) 및 카메라(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생체 인식스캐너(110)는 출입자의 생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생체 정보로는 혈관, 홍채, 지문, 음성 및 얼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공사 현장에 본 발명의 출입 통제장치(200)가 설치되는 경우, 사용이 간편하며 거부감이 덜한 혈관 생체 인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혈관 중에서도 손등 혈관을 인식하여 출입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모듈(120)은 출입자(근로자)의 정보, 예를 들면,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및 노임 지급 계좌 등을 입력하거나 성별, 나이 및 기타 신상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 마우스 및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표시모듈(13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입력장치(120)를 통해 해당 인터페이스에 정보를 입력하며, 입력된 정보가 표시된다.
카메라(140)는 현장 출입자(또는 근로자 등 현장을 출입하는 모든 사람)의 안면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 통제장치(300)를 관리 서버(400)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생체 인식모듈(210)이 오류에 의해서 작동되지 않는 경우, 카메라(140)에서 저장된 사진정보와 출입 통제장치(300)에 설치되는 카메라(37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비교하는 것으로, 관리 서버(400)에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출입 통제장치(300)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200)는 후술되는 출입 통제장치(3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출입자(또는 근로자)의 출입을 단속하는 장치로, 턴스타일 게이트, 풀하이트 게이트 및 바 게이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턴스타일 게이트, 풀하이트 게이트 및 바 게이트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턴스타일 게이트는 스피드 게이트라고도 하며, 3개의 바가 일정 각도로 설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며, 풀하이트 게이트는 출입장소의 상하 전체를 단속하기 위해 상하 길이방향으로 세워져 구성된 것이다.
또한 바 게이트는 출입문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바가 제어신호에 따라 회동되어 동작되는 게이트이다.
이와 같은 게이트는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한 게이트가 사용된다.
출입 통제장치(300)는 출입구에 설치되며, 수신된 출입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출입자의 생체를 인식하여 게이트를 단속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위하여 출입 통제장치(300)는 손혈관 인식모듈(310), 비교모듈(320), 게이트 동작모듈(330), 음성안내 모듈(340), 표시모듈(350) 및 싱크모듈(36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등록용 단말기(100)의 카메라(140)에 촬영된 영상 이미지와 출입자의 안면을 확인하여 비교하거나 출입자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3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손혈관 인식모듈(310)은 출입자의 손등 혈관을 인식하는 것으로, 손혈관 인식 스캐너를 통하여 출입자의 손 혈관에 대한 패턴을 인식한다.
손혈관(정맥)은 지문이나 홍채처럼 각기 고유한 패턴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의 생물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인증을 위한 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손혈관 인식 기술은 출입자마다의 독특하고 개인적인 인식 형판을 생성하기 위하여 피하 적외선 흡수 패턴을 기록하는 것으로서, 손혈관 인식기술은 가시광선 대역에 가까운 근적외선을 주로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손혈관 인식 기술은 적외선을 손등에 조사(照射)해 혈관을 투시 촬영한 뒤, 반사된 영상을 소형 CCD 카메라를 통해 디지털 영상 이미지로 변환된다. 여기서 영상 이미지는 손 혈관(정맥)의 패턴을 추출해 그 특성을 메모리 등의 저장부에 저장한다.
추출된 손혈관 패턴은 등록용 단말기(100)를 통해 저장된 손혈관 패턴과 비교모듈(320)에서 비교한다.
*비교모듈(320)은 손혈관 인식모듈에서 인식된 손혈관의 패턴과 저장된 손혈관의 패턴을 매칭하여 저장된 손혈관 각각에 대한 매칭률을 산정한다. 이에 가장 유사한 손혈관 패턴을 검출하고 설정된 매칭률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매칭률은 저장된 손혈관 패턴과 손혈관 인식모듈(310)에서 인식된 손혈관 패턴의 매칭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매칭률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람의 손혈관은 나이, 계절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손혈관의 변화는 급격히 변화되지는 않지만, 외부환경 또는 신체적 변화에 따라 서서히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매칭률이 소정의 값 이상으로 매칭되는 경우, 손혈관 인식모듈(310)에서 인식된 손혈관 패턴을 출입자의 손혈관으로 등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매칭률에 따라 출입자의 기존 입력된 손혈관이 새로운 손혈관으로 입력되어 업데이트 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손혈관의 변화에 따라 대응하여 관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이트 동작모듈(330)은 비교모듈(320)의 매칭률에 따라 게이트(200)로 동작신호를 전송한다.
음성안내 모듈(340)은 비교모듈(320)의 매칭률 결과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매칭률에 따라 다양한 음성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매칭률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된 경우, "출입문이 열렸습니다" 또는 "ooo님 환영합니다"라는 음성이 출력되거나, 매칭률이 설정 값 미만으로 검출된 경우,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입니다" 또는 "손등을 다시 스캔하여 주십시오"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장치(300)에서 오류가 발생될 경우에도 음성안내 모듈(340)을 통해 음성으로 이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모듈(350)은 비교모듈(320)의 매칭률 결과를 표시하거나, 출입 통제장치(300)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음성안내 모듈(340)과 연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매칭률이 설정 값 이상으로 검출된 경우, "승인" 또는 "열림"이라는 문자가 표시되거나, 매칭률이 설정 값 미만으로 검출된 경우, "미승인" 또는 "등록하세요"라는 문자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장치(300)에서 오류가 발생될 경우에도 표시모듈(350)을 통해 문자로 이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싱크모듈(360)은 관리 서버(400)와 동기화시키는 것으로, 관리 서버(400)에 등록된 출입자 정보(손혈관 패턴, 출입장 신상 정보 등)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출입 통제장치(300)를 통과하는 출입자를 관리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싱크모듈(360)은 관리 서버(400)와 주기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동기화되는 것으로, 싱크 신호가 출입 통제장치(300)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관리 서버(400)는 싱크 신호가 없는 출입 통제장치(300)가 고장(또는 오류)이거나 전원이 투입되지 않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공사 현장은 규모에 따라 복수의 출입 통제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출입 통제장치(300)는 다수의 게이트(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입자는 복수의 출입 통제장치(300) 중 하나의 출입 통제장치(300)에 의해서 제어되는 게이트(200)를 통해 현장에 진입한 후, 다른 출입 통제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게이트를 통해 공사 현장에서 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리 서버(400)와 동기화시키는 싱크모듈(360)을 통해 출입자가 현장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출입 통제장치(300)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등록용 단말기(100) 및 출입 통제장치(300)와 통신으로 생체 인식 정보를 송수신 받아 저장 관리하며, 출입 통제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출입자의 출입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출입자의 노임 관리 등의 출입 정보에 대한 관리를 수행한다.
이에, 관리 서버(400)는 등록용 단말기부터 출입자의 생체 인식정보 및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출입 통제장치(300)에 등록된 출입자의 생체 인식정보를 전송하며, 출입 통제장치(300)로부터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의 개인정보에 근거하여 출퇴근 관리 및 노임 관리를 수행하고 출입 통제장치(3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관리 서버(400)는 출입 관리 모듈(410) 및 출입 정보 모듈(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입 관리 모듈(410)은 출입 통제장치(300)로부터 출입자의 게이트 통과에 따라 상기 출입자의 출근 및 퇴근이 기록된다. 즉, 출입자의 출근 시간, 퇴근 시간 및 근무 일수 등을 관리한다.
출입 정보모듈(420)은 출입 관리 모듈(410)에 관리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근로자(출입자)의 일별/월별 출근현황, 안전교육 실시 현황, 안전장구 지급 현황, 근로계약서, 노임체불 현황 및 노무비 지급 현황 등을 관리한다.
출입 관리모듈(410)과 출입 정보 모듈(420)을 통한 인력 관리는 출퇴근에 따른 정보를 별도로 입력하지 않아도 출입 통제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출입 정보에 따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인력 관리가 수월할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임금 지급에 따른 투명성 및 지급되는 임금에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에는 출입 통제장치(300)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고장 관리모듈(430)이 구성된다.
고장 관리모듈(430)은 출입 통제장치(300)의 싱크모듈(360)과 동기화되어 출입 통제장치(300)의 고장 여부를 표시한다.
이때, 설계조건에 따라 출입 통제장치(300)의 제어를 받는 복수 개의 게이트(200) 중에서 오류(고장)가 발생된 게이트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의 관리 서버에서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 또는 게이트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어, 오류에 따른 이들의 복구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관리 서버(400)는 인터넷에 연결되어 출입 정보 모듈(420)에서 관리되는 정보를 인력 공급 업체 등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인력 관리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생체인식 정보와 개인 정보를 종합하여 관리하되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출입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장치(300)의 기능 중에서 일부 고장에 대하여, 원격으로 게이트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관리 서버(400)가 인터넷 또는 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기(예, 스마트 폰 등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 등)를 통하여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400)에서 관리되고 있는 출입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근로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여 등록하거나 등록된 근로자의 신상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컴퓨터)를 이용하여도 관리 서버(400)에서 관리되고 있는 출입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근로자를 등록하거나 신상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에서 근로자를 등록하고 관리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따르면, 근로자에 대한 정보 및 손혈관을 등록 관리할 수 있으며, 출퇴근에 따른 근태 관리뿐만 아니라 근로자에게 지급된 출입장비, 근로자가 속해있는 업체 및 근로자를 팀 별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를 통해 근로자의 안전위반사항을 감시할 수 있으며,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으로 누적되면 출입을 제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으로 누적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하는 것은, a)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근로자(출입자)의 출입을 제한시키거나 b) 관리 서버를 통해 출입을 제한시키거나 c) 휴대 단말기가 근로자(출입자)별 안전위반사항을 누적 저장하다가 어느 출입자의 안전위반사항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만큼 누적되면 해당 출입자의 출입을 자동으로 제한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횟수는, 3번 정도의 경고를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3번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는 현장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으로 출입자의 출입이 제한되면, 관리자의 변경 설정하에 출입 제한을 풀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안전위반사항을 휴대 단말기로 감시함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보유할 수 있다.
첫째, 휴대성이 용이하며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위반사항에 대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면 출입을 제한시킴으로써, 근로자들로 하여금 안전사항을 지키도록 항상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400)에 접속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휴대 단말기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 예로서,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연동모듈; 안전위반사항 저장모듈; 출입자정보 저장모듈; 안전위반사항 판단모듈; 및 출입제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연동모듈;은 카메라 기능과 연동하여 촬영된 사진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안전위반사항 저장모듈;은 안전위반사항을 저장할 수 있으며, 출입자정보 저장모듈;은 근로자(출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거나, 관리서버(400)로부터 출입자의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안전위반사항 판단모듈;은 저장된 안전위반사항과 출입자 정보에 따라 해당 출입자의 누적된 안전위반사항을 판단할 수 있다.
출입제한모듈;은 상기 안전위반사항이 기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누적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제한모듈은 상술된 바와 같이 출입 제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으로 누적된 것으로 판단되는 출입자에 한해서 자동으로 출입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NFC 통신을 적용할 수 있는데, 근로자들로 하여금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는 근로자 인식카드(NFC, RFID 등)를 소지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기와 같이 안전위반사항을 체크함과 동시에 해당 근로자(출입자)의 사진 및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근로자가 근무하는 작업장에 투입된 장비들의 점검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이는 장비에, 휴대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는 수단(NFC 또는 RFID 태그 등)을 부착하고, 상기 수단에 장비의 점검내역이 저장되도록 설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통해 장비의 점검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적용함으로써, 근로자(출입자)들의 출근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장소(출입구, 출퇴근 버스 등)에 휴대 단말기를 구비해 놓거나 특히, 출퇴근 버스의 경우, 운전자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로자(출입자)의 출/퇴근 현황과 차량 탑승 현황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잔고장이 많은 PDA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증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은 현장에 설치된 터치 단말기와 연동될 수 있는데, 이를 다른 실시예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상술된 설명 중 중복되는 설명은 중복 기재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단말기는 현장의 안전교육장, 안전체조장 및/또는 근로자 휴게실 등에 설치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터치 단말기를 통해 근로자는, 현장에서 발생한 위험발생 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데, 상기 입력된 위험발생 사항은 통계자료로 집계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6a 내지 도 6d를 통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및 관리 시스템의 터치 단말기를 통해 위험발생 사항을 입력하고, 그 통계자료가 표시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6a와 같이, 근로자는 터치 단말기를 통해 위험발생 사항에 대한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즉 터치 단말기는, 위험발생 사항에 대한 날짜 및 시간을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버튼을 터치하면, 도 6b에 따른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b는 상기 위험발생 사항에 대한 장소 및 유형(충돌/협착, 낙하/비래, 전도/전복, 붕괴/도괴, 화재/폭발, 감전 및 무리한 동작 등)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도 6c와 같이 위험발생 사항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개요)과 이에 대한 대책을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개요 및 대책의 작성은 터치 단말기에서 키패드가 형성되도록 하여, 터치를 통해 작성하거나, 펜글씨를 통해 작성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 위치한 근로자들은 터치 단말기를 통해 위험발생 사항을 공유하고, 그 대책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근무조건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근로자 역시 위험성을 인지할 수 있어서 위험발생 사항에 해당하는 장소에서는 더 조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6d에 따른 본 발명의 터치 단말기는, 위의 위험발생 사항을 입력하는 경우, 입력하는 근로자(출입자)가 익명으로 기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위험발생 사항을 입력하는 근로자가 자신을 "공개"하거나 "비공개"할 수 있는데, "비공개"의 경우, 비공개에 대한 활성버튼을 클릭하고 "다음"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익명으로 위험발생 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개"의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인식카드를 인식시킴으로써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여 작성하는 근로자의 정보가 공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인식을 통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므로, 분실, 도난 및 복제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되어 보안성이 뛰어난 출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에 따른 인력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노무 관리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출입자의 생체를 인식하여 게이트를 단속하는 출입 통제장치의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출입 통제장치를 오류를 신속한 복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자(근로자)의 안전위반사항을 촬영하여 감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더 포함함으로써, 첫째 휴대성이 용이하며 카메라 기능을 통해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위반사항에 대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둘째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면 출입을 제한시킴으로써, 근로자들로 하여금 안전사항을 지키도록 항상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d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d의 구성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등록용 단말기 110: 생체 인식스캐너
120: 입력모듈 130: 표시모듈
140: 카메라 200: 게이트
300: 출입 통제장치 310: 손혈관 인식모듈
320: 비교모듈 330: 게이트 동작모듈
340: 음성안내모듈 350: 표시모듈
360: 싱크모듈 370: 카메라
400: 관리 서버 410: 출입 관리모듈
420: 출입 정보모듈 430: 고장 관리모듈

Claims (3)

  1. 생체 인식스캐너를 통해 추출된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과 카메라(140)로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한 안면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인식정보 및 출입자의 개인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등록용 단말기;
    출입구에 설치되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생체 인식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을 인식하여 게이트를 단속하는 출입 통제장치;
    1) 상기 등록용 단말기로부터 생체 인식정보와 개인정보를 수신하고, 2) 상기 출입 통제장치에 생체 인식정보를 전송하며, 3) 상기 출입 통제장치로부터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의 개인정보에 근거하여 출입자의 출퇴근 관리 및 노임 관리를 수행하고, 4) 상기 출입 통제장치와 동기화되어 출입 통제장치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표시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에서 관리되고 있는 출입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출입자를 관리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출입 통제장치는,
    -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을 인식하며, 저장된 손 혈관 패턴과 비교하여 매칭률을 산정하고,
    - 산정된 매칭률에 따라 인식한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을 해당 출입자의 손 혈관 패턴으로 업데이트시키며,
    - 상기 손 혈관 패턴의 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2차적으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안면정보와 비교할 출입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카메라(370)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출입자의 안전위반사항을 촬영하여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출입자의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는 경우,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출입자의 안전위반사항이 일정 횟수 이상 누적되면,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출입자의 안전위반사항을 누적 저장하되,
    상기 출입자의 안전위반사항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만큼 누적되면 상기 출입자의 출입을 자동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및 관리 시스템.
KR1020140101293A 2014-08-06 2014-08-06 출입 및 관리 시스템 KR10152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93A KR101521947B1 (ko) 2014-08-06 2014-08-06 출입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93A KR101521947B1 (ko) 2014-08-06 2014-08-06 출입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947B1 true KR101521947B1 (ko) 2015-05-20

Family

ID=5339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93A KR101521947B1 (ko) 2014-08-06 2014-08-06 출입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9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97B1 (ko) 2015-11-13 2017-02-07 (주) 오토이노텍 출입관리시스템
KR20190001488A (ko) 2017-06-26 2019-01-04 김동관 생체신호 셀프 자동등록기
KR20200011118A (ko) * 2018-07-24 2020-02-03 (주)코리센 초음파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전자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77473A (ko) 2020-06-10 2020-06-30 천정서 범용 모바일 키락 시스템
KR102161844B1 (ko) * 2019-10-22 2020-10-06 심왕섭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KR102259174B1 (ko) * 2020-09-23 2021-06-02 심왕섭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128A (ko) * 2003-06-27 2005-01-06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7260A (ko) * 2009-06-22 2010-12-30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Rfid와 손혈관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출역관리 시스템
KR20110095687A (ko) * 2010-02-19 2011-08-25 손대권 근로자 근태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128A (ko) * 2003-06-27 2005-01-06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7260A (ko) * 2009-06-22 2010-12-30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Rfid와 손혈관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출역관리 시스템
KR20110095687A (ko) * 2010-02-19 2011-08-25 손대권 근로자 근태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97B1 (ko) 2015-11-13 2017-02-07 (주) 오토이노텍 출입관리시스템
KR20190001488A (ko) 2017-06-26 2019-01-04 김동관 생체신호 셀프 자동등록기
KR20200011118A (ko) * 2018-07-24 2020-02-03 (주)코리센 초음파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전자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11697B1 (ko) * 2018-07-24 2020-05-15 (주)코리센 초음파센서를 포함하는 생체인증모듈을 이용한 전자출결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61844B1 (ko) * 2019-10-22 2020-10-06 심왕섭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KR20200077473A (ko) 2020-06-10 2020-06-30 천정서 범용 모바일 키락 시스템
KR102259174B1 (ko) * 2020-09-23 2021-06-02 심왕섭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내외국인 근태 관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947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JP6246403B1 (ja) 入場管理システム
US11341794B2 (en) Unattended touchless health-check screening systems incorporating biometrics and thermographic technologies
KR101536816B1 (ko) 차폐 통로를 이용한 보안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US20200410791A1 (en) Site supervisor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JP2012069023A (ja) 異常検知装置
Patoliya et al. Face detection based ATM security system using embedded Linux platform
EP3811339A1 (en) Improv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ontrolling access of persons into restricted areas
KR20130042802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인증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5513234B2 (ja) 入場者管理装置
CN105205888A (zh) 具有密码锁的保全系统
KR101496944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KR20160076724A (ko) 건물 내 위험지역 출입자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96411B1 (ko) 핀과 생체인식을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RU2676884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доступа на территорию
KR20180074434A (ko) 홍채인식을 이용한 감성도어락 제어방법
JP6218671B2 (ja) 自動ドアの電子錠制御システム
CN210262831U (zh) 一种闸机
JP2007310681A (ja) 出入り管理システム及び出入り管理機能付き携帯端末
KR20130133531A (ko) 디지털 도어락
KR100774029B1 (ko) 보안구역의 출입 통제 장치
US10636264B2 (en) Office building security system using fiber sensing
AU201924692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and Authorisation for a Person to Perform Specific Instructions (Tasks)
US20200184047A1 (en) Authenticate a first and second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