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956A -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956A
KR20110133956A KR1020100053659A KR20100053659A KR20110133956A KR 20110133956 A KR20110133956 A KR 20110133956A KR 1020100053659 A KR1020100053659 A KR 1020100053659A KR 20100053659 A KR20100053659 A KR 20100053659A KR 20110133956 A KR20110133956 A KR 20110133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work vehic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454B1 (ko
Inventor
여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펙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펙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펙정보
Priority to KR102010005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5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현장 내의 각 구역에 설치되는 신원 인식 장치와 차량 인식 장치가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고, 제어 장치가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작업 차량 출입 정보에 따라 공정을 제어하고 출력 장치를 통해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이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공사 현장 내의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자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신원 인식 장치; 상기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량 인식 장치; 상기 신원 인식 장치가 생성하는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상기 차량 인식 장치가 생성하는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상기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기초로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자 출입 정보와 상기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상기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 OF CONSTRUCTION IN THE FIELD}
본 발명은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사 현장 내의 각 구역에 설치되는 신원 인식 장치와 차량 인식 장치가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고, 제어 장치가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작업 차량 출입 정보에 따라 공정을 제어하고 출력 장치를 통해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이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사고 중 건설 및 토목 공사 현장에서의 사고는 특히 대형 사고와 직결되기 때문에 최근 공사 재해에 대한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재해에 대한 예방 및 안전장치는 무수히 개발되는 첨단 기술에 비해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작업자의 공사 현장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기술로, 바코드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비밀 번호를 이용하는 출입 방식 등 다양한 출입 통제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바코드나 RFID 태그 또는 비밀 번호의 분실, 도난 및 복제로 인한 부정한 출입을 통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지문 인식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지문 인식을 이용한 상기 시스템은 건설 및 토목 공사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부적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지문이 지워진 작업자들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차량의 공사 현장 출입을 통제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수작업이나 종이 문서 기록에 의존하여 출입 차량 및 차량에 적재된 자재를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와 같은 출입 통제 방법은 차량의 출입 및 자재 파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자재 파악 시 정보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상술한 종래의 출입 통제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바코드 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바코드를 사용할 경우, 차량에 부착된 바코드 손상에 따라 판독이 불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도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터널 굴착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 대부분의 경우, 터널 굴착에 있어서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발파를 통한 굴착 방법이다. 발파를 이용한 터널 굴착은 먼저 다수 개의 구멍을 소정의 깊이로 뚫고서 여기에 폭약을 장착한 후, 이 폭약을 발파시켜 일정한 깊이만큼 굴착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만약, 작업자가 발파 사실을 모른 채 발파 현장 근처에 있는 경우, 매우 위험한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발파 작업 전에, 발파할 현장으로부터 영향이 미칠 수 있는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 또는 작업 차량의 유무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터널 밖에 있는 작업자에게도 발파 작업 중임을 통보해 줄 수 있어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사 현장의 미세한 환경 변화를 미리 예측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경우, 막대한 재산적 피해와 인명 사고로 이어지므로 공사에 의한 환경 변화를 신속하게 감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건설 및 토목 공사의 현장 관리 및 현황 파악은 실시간으로 이뤄져야 한다. 종래 방식은 관리자 또는 현장 요원이 직접 현장으로 파견되어 문서에 기록하거나, 사무실의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공사 현장을 관리했다. 이는 본사에서의 현장 관리 및 현황 파악이 늦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공사 현장 내의 각 구역에 설치되는 신원 인식 장치와 차량 인식 장치가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고, 제어 장치가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작업 차량 출입 정보에 따라 공정을 제어하고 출력 장치를 통해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또한 이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공사 현장 내의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자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신원 인식 장치; 상기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량 인식 장치; 상기 신원 인식 장치가 생성하는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상기 차량 인식 장치가 생성하는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상기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기초로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자 출입 정보와 상기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상기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원 인식 장치는 생체 인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원 인식 장치는 상기 공사 현장으로 들어가는 작업자의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1 신원 인식 장치; 상기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작업자의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2 신원 인식 장치; 및 상기 제1, 제2 신원 인식 장치가 인식한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에 따라 개폐되는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인식 장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FID 리더는 125KHz, 134KHz, 13.56MHz, 433MHz, 900MHz 및 2.45G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RFID 태그와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량 인식 장치는 상기 공사 현장으로 들어가는 작업 차량의 상기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1 차량 인식 장치; 상기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작업 차량의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2 차량 인식 장치; 및 상기 제1, 제2 차량 인식 장치가 인식한 상기 작업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개폐되는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구역의 영상을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생성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생성 장치는 카메라, 웹 카메라 및 CCTV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상기 각 구역의 환경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먼지 센서, 산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장치는 LED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정에 대한 정보는 현재 공정, 출입한 상기 작업자의 현황, 출입한 상기 작업 차량의 현황, 작업 진행 현황, 안전 사항, 산소 농도 및 유해 가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상기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상기 작업자 출입 정보와 상기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상기 공정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재해 방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신원 인식 장치는 정맥, 홍채, 지문 및 얼굴 인식 등의 생체 인식을 포함하므로 종래의 바코드나 RFID 또는 비밀 번호를 이용하는 방식보다 보완성이 높다.
특히, 배아 단계부터 결정되어 평생 동안 동일하게 유지되는 정맥 패턴을 검출하여 신원을 인식하면, 건설 현장에서 지문이 지워진 작업자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기계에 눈을 갖다 대어 인증해야 하는 홍채 인식은 부담감과 긴장감을 가지게 되는 반면, 정맥 인식은 누구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량 인식 장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므로 차량의 출입 및 자재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RFID 리더가 900MHz의 주파수로 RFID 태그와 통신하면, RFID 리더가 3~5m 정도의 거리에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 차량이 정지할 필요 없이 공사 현장을 빠르게 출입할 수 있다.
또한, 공사 현장을 일정 범위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에 신원 인식 장치와 차량 인식 장치를 설치하므로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어느 구역에 존재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널 발파와 같은 공정 작업 전에, 발파 작업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존재하면 발파 작업을 실행하지 않고 위험 구역 내에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발파 작업을 실행한다. 이렇게 실시함으로 인명 사고 및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재해 방지 시스템은 현재 공정, 출입한 작업자의 현황, 출입한 작업 차량의 현황, 작업 진행 현황, 안전 사항, 산소 농도 및 유해 가스 등의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므로 외부에서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 생성 장치가 생성한 각 구역의 영상을 확인하므로 작업 진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센서를 이용하여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를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게다가 센서는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력 장치로 출력되는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므로 공사 현장의 업무 관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공사 현장의 현황 파악을 위한 종래의 빈번한 본사 직원들의 출장을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사 현장의 문제점 발생 시 의사소통과 문제점 파악이 신속하여 위기 대처 능력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 재해 방지 시스템의 신원 인식 장치와 차량 인식 장치를 각 구역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의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의 네트워크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신원 인식 장치(100), 차량 인식 장치(200), 제어 장치(300) 및 출력 장치(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500), 영상 생성 장치(600), 센서부(700) 및 웹 서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원 인식 장치(100)는 공사 현장 내의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자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한다.
신원 인식 장치(100)는 정맥 인식, 홍채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및 음성 인식 등의 생체 인식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생체 인식은 분실, 도난 및 복제로 인한 부정한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중, 홍채 인식은 기계에 눈을 갖다 대야 하는 부담감과 긴장감이 발생할 수 있고, 지문 인식은 지문이 지워진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인식 중 배아 단계부터 결정되어 평생 동안 동일하게 유지되는 정맥 패턴을 검출하여 신원을 인식하면 부담감과 긴장감을 가질 필요 없고, 또한 지문이 지워진 작업자도 인식할 수 있다.
신원 인식 장치(100)는 공사 현장으로 들어가는 작업자의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1 신원 인식 장치(110),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작업자의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2 신원 인식 장치(120) 및 제1, 제2 신원 인식 장치가 인식한 작업자 식별 정보에 따라 개폐되는 게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 인식을 포함하는 제1 신원 인식 장치(110)는 공사 현장으로 들어가는 작업자의 정맥을 인식하고 작업자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작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0)에 접속하여 작업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작업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작업자가 공사 현장으로 통과하도록 게이트(13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 출입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반대로, 정맥 인식을 포함하는 제2 신원 인식 장치(120)는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작업자의 정맥을 인식하고 작업자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작업자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0)에 접속하여 작업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작업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작업자가 공사 현장에서 밖으로 통과하도록 게이트(13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작업자 출입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게이트(130)는 삼발이 및 전신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130)에 카운터를 장착하여 공사 현장의 출입 인원을 통계할 수 있다.
차량 인식 장치(200)는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 차량의 출입을 통제한다.
차량 인식 장치(200)는 RFID 리더(미도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RFID 리더는 125KHz, 134KHz, 13.56MHz, 433MHz, 900MHz 및 2.45G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RFID 태그(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RFID 리더가 900MHz의 주파수로 상기 RFID 태그와 통신할 경우, 상기 RFID 리더가 3~5m 정도의 거리에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 차량이 공사 현장을 빠르게 출입할 수 있다.
차량 인식 장치(200)는 공사 현장으로 들어가는 작업 차량의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1 차량 인식 장치(210),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작업 차량의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2 차량 인식 장치(220) 및 제1, 제2 차량 인식 장치가 인식한 작업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개폐되는 차단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 인식 장치(210)는 상기 RFID 리더로 공사 현장에 들어가는 작업 차량에 장착된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고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0)에 접속하여 작업 차량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작업 차량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작업 차량이 공사 현장으로 통과하도록 차단기(23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반대로, 제2 차량 인식 장치(220)는 상기 RFID 리더로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작업 차량에 장착된 상기 RFID 태그를 판독하고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500)에 접속하여 작업 차량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작업 차량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작업 차량이 공사 현장에서 밖으로 통과하도록 차단기(23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차단기(230)는 비상시에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작업자 식별 정보 및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 식별 정보는 작업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및 직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차량 식별 정보는 차량 번호, 차종 및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신원 인식 장치(100)가 생성하는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차량 인식 장치(200)가 생성하는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기초로 공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터널 공사의 경우, 제어 장치(300)는 발파를 하기 전에 발파 장소로부터 일정 범위 안의 위험 구역에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없음을 확인한다. 제어 장치(300)는 신원 인식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작업자 출입 정보와 차량 인식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기초로 위험 구역에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없음을 확인하면 발파를 시작한다. 반대로, 위험 구역에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있으면 발파를 시작하지 않고, 출력 장치(400)를 통해 "발파 예정이오니 위험 구역으로부터 나가십시오." 등의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센서부(700)로부터 측정되는 환경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환경 파라미터를 기초로 출력 장치(400)를 통해 산소 농도 및 유해 가스 분포 지수 등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영상 생성 장치(600)가 생성하는 각 구역의 영상을 출력 장치(4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웹 서버(800)로 전송한다.
출력 장치(400)는 제어 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공정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현재 공정, 출입한 작업자의 현황, 출입한 작업 차량의 현황, 작업 진행 현황, 안전 사항, 산소 농도 및 유해 가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400)는 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생성 장치(600)는 제어 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역의 영상을 출력 장치(400)로 출력한다.
영상 생성 장치(600)는 예컨대 카메라, 웹 카메라 및 CCTV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00)는 각 구역의 환경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센서부(700)는 예컨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먼지 센서, 산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서버(800)는 출력 장치(300)가 출력하는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 재해 방지 시스템의 신원 인식 장치와 차량 인식 장치를 각 구역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사 현장을 일정한 범위의 구역으로 분할한다. 각 구역은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등으로 식별이 가능하다. 신원 인식 장치(100) 및 차량 인식 장치(200)는 분할된 각 구역에 설치된다. 신원 인식 장치(100)가 작업자 식별 정보를 기초로 작업자의 출입을 허가할 경우, 신원 인식 장치(100)는 제어 장치(300)로 작업자 출입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차량 인식 장치(200)가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기초로 작업 차량의 출입을 허가할 경우, 차량 인식 장치(200)는 제어 장치(300)로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전송한다. 이로 인해, 제어 장치(300)는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위치하는 구역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공사 현장에서 발파를 하기 전에 발파 장소로부터 일정 범위 안의 위험 구역(제3 구역 및 제4 구역)에는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없음을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300)는 위험 구역의 신원 인식 장치(100) 및 차량 인식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작업 차량의 출입 정보를 확인한다. 위험 구역 안에 작업자 및 작업 차량이 없음이 확인되면 공정을 제어하여 발파 작업을 시작한다. 이로 인해, 인명 사고 및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사 재해 방지 시스템의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출력 장치는 작업자 출입 정보,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터널 공사의 경우, 발파, 굴착, 타설 및 천공 등의 현재 진행 중인 현재 공정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 착용" 또는 "발파 작업 주의" 등의 안전 사항을 출력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현재 습도가 높기 때문에 10분 동안 휴식을 취합니다." 또는 "현재 산소 농도가 높으므로 발파 중지" 등의 안전 사항을 출력할 수 있다. 출입한 작업자의 현황은 출입한 작업자의 이름, 직종 및 위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입한 작업 차량의 현황은 출입한 작업 차량의 번호, 차종 및 위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작업 차량: IN-35대"와 같이 해당 작업 구역 내에 현재 남아있는 작업 차량의 수를 출력할 수도 있다. 작업 진행 현황에는 영상 생성 장치(600)로부터 수신한 공사 현장의 영상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 및 관리자는 얼마만큼 공사가 완성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700)가 포함하는 센서로부터 환경 파라미터를 측정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산소 농도: 20.9%"와 같이 퍼센트로 출력할 수 있고, "가연성 가스: 0.8%", "일산화탄소: 45ppm" 및 "황화수소: 12ppm"과 같이 가연성 가스, 일산화탄소 및 황화수소 등의 유해 가스의 분포 지수에 대한 측정값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사 재해 방지 시스템의 네트워크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 재해 방지 시스템의 네트워크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00A, 300B, 300C 및 300D)는 도 1에 제시되는 신원 인식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작업자 출입 정보와 도 1에 제시되는 차량 인식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웹 서버(8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어 장치(300A)는 A 공사장에 대해서 배치되는 제어 장치이다.
따라서 웹 서버(800)는 다수의 공사장, 예컨대 A 공사장 내지 D 공사장에서의 작업자 출입 정보,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 장치(300A, 300B, 300C 및 300D)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공사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발주처 시스템(900A), CM/감리 시스템(900B), 건설사 시스템(900C) 및 협력 업체 시스템(900D)은 인터넷을 통해 웹 서버(800)에 접근하여 각 공사 현장의 작업자 출입 정보와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A 공사장 내지 D 공사장에서의 작업자 출입 정보,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공정에 대한 정보는 발주처 시스템(900A), CM/감리 시스템(900B), 건설사 시스템(900C) 및 협력 업체 시스템(900D)에 대응하는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로도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가 웹 서버(800)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신원 인식 장치 110: 제1 신원 인식 장치
120: 제2 신원 인식 장치 130: 게이트
200: 차량 인식 장치 210: 제1 차량 인식 장치
220: 제2 차량 인식 장치 230: 차단기
300: 제어 장치 300A: A공사 제어 장치
300B: B공사 제어 장치 300C: C공사 제어 장치
300D: D공사 제어 장치 400: 출력 장치
500: 데이터베이스 서버 600: 영상 생성 장치
700: 센서부 800: 웹 서버
900A: 발주처 시스템 900B: CM/감리 시스템
900C: 건설사 시스템 900D: 협력 업체 시스템

Claims (14)

  1. 공사 현장 내의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자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신원 인식 장치;
    상기 각 구역에 설치되며, 작업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작업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차량 인식 장치;
    상기 신원 인식 장치가 생성하는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상기 차량 인식 장치가 생성하는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자 출입 정보 및 상기 작업 차량 출입 정보를 기초로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작업자 출입 정보와 상기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상기 공정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 인식 장치는 생체 인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 인식 장치는
    상기 공사 현장으로 들어가는 작업자의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1 신원 인식 장치;
    상기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작업자의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2 신원 인식 장치; 및
    상기 제1, 제2 신원 인식 장치가 인식한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에 따라 개폐되는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식 장치는 RFID 리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는 125KHz, 134KHz, 13.56MHz, 433MHz, 900MHz 및 2.45GHz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RFID 태그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인식 장치는
    상기 공사 현장으로 들어가는 작업 차량의 상기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1 차량 인식 장치;
    상기 공사 현장에서 나오는 작업 차량의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제2 차량 인식 장치; 및
    상기 제1, 제2 차량 인식 장치가 인식한 상기 작업 차량 식별 정보에 따라 개폐되는 차단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작업 차량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구역의 영상을 출력 장치로 출력하는 영상 생성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 장치는 카메라, 웹 카메라 및 CCTV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역의 환경 파라미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먼지 센서, 산소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는 LED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에 대한 정보는 현재 공정, 출입한 상기 작업자의 현황, 출입한 상기 작업 차량의 현황, 작업 진행 현황, 안전 사항, 산소 농도 및 유해 가스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상기 작업자 출입 정보와 상기 작업 차량 출입 정보 및 상기 공정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KR1020100053659A 2010-06-08 2010-06-08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KR10113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59A KR101134454B1 (ko) 2010-06-08 2010-06-08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659A KR101134454B1 (ko) 2010-06-08 2010-06-08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956A true KR20110133956A (ko) 2011-12-14
KR101134454B1 KR101134454B1 (ko) 2012-04-13

Family

ID=4550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659A KR101134454B1 (ko) 2010-06-08 2010-06-08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458A (ko) * 2016-02-18 2017-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KR102037246B1 (ko) 2018-12-04 2019-11-26 여순구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698B1 (ko) 2014-02-20 2016-09-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 구역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73834B1 (ko) * 2015-11-16 2017-09-01 노윤아 비콘을 이용한 출입 및 위험 관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8202B1 (ko) * 2016-12-23 2018-07-1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안벽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CN110148252A (zh) * 2019-05-07 2019-08-20 嘉兴聚变信息科技有限公司 瓶装燃气自助售卖机及其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567A (ko) * 2007-04-27 2009-0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출입 통제 시스템
KR20090041619A (ko) * 2007-10-24 2009-04-29 주식회사 두올테크 출입 통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458A (ko) * 2016-02-18 2017-08-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KR102037246B1 (ko) 2018-12-04 2019-11-26 여순구 안전 관리 장치 세트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454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454B1 (ko)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US8525678B2 (en) Behavior monitoring system and behavior monitoring method
CN103995507B (zh) 变电站设备检修安全监控系统及方法
CN112489272A (zh) 一种专用于园区的智能安防控制系统
JP2019505058A (ja) 物理空間へのアクセス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785959B (zh) 基于近场通信的现代化工厂设备管理方法
CN108765621B (zh) 人防门移动运维的安全巡检系统及巡检方法
KR102093805B1 (ko) 건설현장 근로자 얼굴과 특수라벨 번호 분석 모듈을 이용한 운영플랫폼
KR102162943B1 (ko)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CN105405186A (zh) 一种安防管理方法及装置
KR101521947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JP2009035994A (ja) 物品管理システム、物品管理方法、車両管理システム、および車両管理方法
CN112381435A (zh) 水电站作业过程动态风险的网格化定向推送管理方法
CN208705952U (zh) 一种权限管理设备
US202003120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access
US10636264B2 (en) Office building security system using fiber sensing
KR102076357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93364A1 (en)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557156B1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게이트 관리 방법
JP2017151730A (ja) 警備システム
JPWO2017175268A1 (ja) 入退出管理システム
KR102602862B1 (ko) 모바일출입증 기반 방문자-방문차량 통합 출입보안관리시스템
JP6618827B2 (ja) 警備システム
EP3929884B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593555B1 (ko) 선로 출입 통제 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로 출입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