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458A -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458A
KR20170097458A KR1020160019240A KR20160019240A KR20170097458A KR 20170097458 A KR20170097458 A KR 20170097458A KR 1020160019240 A KR1020160019240 A KR 1020160019240A KR 20160019240 A KR20160019240 A KR 20160019240A KR 20170097458 A KR20170097458 A KR 2017009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sensor
boarding
opera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073B1 (ko
Inventor
이현철
박기범
허영범
김경수
안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0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9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03
    • B63B9/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G07C9/00111
    • G07C9/02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는, 건조 중인 선박의 승하선 경로에 구비되는 게이트장치에 있어서, 개방 모드로 유지되되, 기 설정된 차단조건이 만족된 경우 이동 경로를 차폐하도록 차단 모드로 전환되는 차단유닛, 상기 차단유닛보다 전방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을 인식하는 제1인증센서, 상기 차단유닛과 상기 제1인증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승선 동작을 센싱하는 승선감지센서 및 상기 차단유닛보다 후방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센싱하는 하선감지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Boarding Gate Apparatus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증된 작업자만을 허용하고, 신속한 승하선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 작업 중에는, 작업자들이 작업을 위해 선박을 계속하여 승하선하게 된다. 이때 인증된 작업자가 아닌 비인가자가 선박에 출입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승선 시 작업자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인증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화재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선박 내에 있는 작업자가 모두 탈출해야 하며, 또한 승선한 작업자가 모두 탈출하였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 선박에 승선한 작업자의 수를 정확하게 실시간으로 체크해야만 한다.
다만, 종래의 인증 시스템은 승선자의 수를 카운트하는 기능이 적용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작업자가 인증 절차를 수행한 경우에만 승하선이 가능하도록 경로를 개방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작업 공구를 휴대한 작업자에게 불편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에서 신속한 탈출을 방해하므로 안전을 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8947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신속한 승하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비인가자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는, 건조 중인 선박의 승하선 경로에 구비되는 게이트장치에 있어서, 개방 모드로 유지되되, 기 설정된 차단조건이 만족된 경우 이동 경로를 차폐하도록 차단 모드로 전환되는 차단유닛, 상기 차단유닛보다 전방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을 인식하는 제1인증센서, 상기 차단유닛과 상기 제1인증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승선 동작을 센싱하는 승선감지센서 및 상기 차단유닛보다 후방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센싱하는 하선감지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한 경우 상기 승선감지센서에 의한 작업자의 승선 동작 감지 여부에 관계 없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미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승선감지센서에 작업자의 승선 동작이 감지될 경우 차단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하선감지센서가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감지할 경우, 상기 승선감지센서에 의한 작업자 감지 여부에 관계 없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는, 작업자의 승하선 정보를 처리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한 경우 승선자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하선감지센서가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감지할 경우 승선자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인증센서보다 전방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을 인식하는 제2인증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2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한 후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할 경우 해당 작업자를 승선자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제2인증센서가 상기 승선자 리스트에 등록된 작업자의 인증수단을 인식할 경우 해당 작업자를 승선자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단유닛은 상시 개방된 상태에서 차단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만 승하선 경로를 차단하므로, 작업자의 신속한 승하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비인가자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승선자의 계수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차단유닛의 구동이 최소화되므로, 기구적인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에 있어서, 인가자의 승선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에 있어서, 비인가자의 승선에 따라 차단유닛이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에 있어서, 하선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조 중인 선박(10)의 승하선 경로(20)에 구비되는 게이트장치(100)로서, 차단유닛(120)과, 제1인증센서(130)와, 승선감지센서(132)와, 하선감지센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유닛(120)은 기 설정된 차단조건이 만족된 경우 이동 경로를 차폐하도록 차단 모드로 전환되며, 상시에는 개방 모드로 유지된다. 즉 개방된 상태에서 차단조건을 만족한 경우 일시적으로 차단 모드로 동작되므로, 작업자의 신속한 승하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기구적인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유닛(120)은, 승하선경로(20)의 입구부에 형성된 프레임(110) 일측에 구비되며, 차단조건을 만족한 경우 승하선경로(20)를 차단할 수 있도록 회전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은 복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이동할 수 없도록 협소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차단유닛(120)의 구동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인증센서(130)는 상기 차단유닛(120)보다 전방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을 인식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차단유닛(120)의 전방이라 함은, 상기 승하선경로(20)를 통해 승선 시 작업자가 차단유닛(120)보다 먼저 통과하게 되는 영역인 것으로 정의한다. 반대로 후방은, 상기 승하선경로(20)를 통해 승선 시 작업자가 차단유닛(120)을 거쳐 나중에 통과하는 영역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인증센서(130)는,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의 종류에 대응되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이 RFID태그인 경우, 상기 제1인증센서(130)는 RFID리더기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증수단은 현재까지 공지된 통신방식, 그리고 향후 개발될 다양한 통신방식이 제한 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인증수단은, 작업자의 편의성 강화를 위해 사용자의 의복, 헬멧 등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다양한 장비를 비롯한 짐을 소지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승선감지센서(132)는, 상기 차단유닛(120)과 상기 제1인증센서(130) 사이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승선 동작을 센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승선감지센서(132)는 상기 차단유닛(120)과 상기 제1인증센서(130) 사이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1인증센서(130)를 거쳐 통과한 후 지속적으로 승선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선감지센서(132)로는 거리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승선감지센서(132)는 제1승선감지센서(132a) 및 제2승선감지센서(132b)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승선감지센서(132)는 상기 차단유닛(120)과 상기 제1인증센서(130)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선감지센서(134)는 상기 차단유닛(120)보다 후방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센싱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하선감지센서(134)는 상기 차단유닛(120)의 후방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선박(10)으로부터 하선할 경우 최초로 작업자의 동작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10)에 승선한 작업자가 하선 의지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하선감지센서(134)는 상기 승선감지센서(132)와 마찬가지로 거리센서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100)를 통해 작업자의 인증 및 승선자를 계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100)에 있어서, 인가자의 승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선박(10)에 승선하고자 할 경우 우선 상기 인증센서(130)를 통과하게 되며, 상기 인증센서(130)는 상기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을 인식하게 된다.
인식 결과 작업자가 승선 인가자인 경우, 상기 차단유닛(120)은 상기 승선감지센서(132)에 의한 작업자의 승선 동작 감지 여부에 관계 없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모드를 유지하게 되며, 작업자는 개방 모드 유지 시간 동안 선박(10)에 탑승하게 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인증센서(130)를 통해 인증을 받을 경우, 상기 승선감지센서(132)가 위치된 부분을 통과하더라도 상기 차단유닛(120)은 개방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100)에 있어서, 비인가자의 승선에 따라 차단유닛(120)이 구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과정 역시 전술한 인가자의 경우와 같이, 비인가자가 선박(10)에 승선하고자 할 경우 우선 상기 인증센서(130)를 통과하게 된다. 하지만 비인가자의 경우 인증수단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인증센서(130)는 인증수단을 미인식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비인가자가 상기 승선감지센서(132)를 통과할 경우, 상기 승선감지센서(132)는 비인가자의 승선 동작을 감지하게 되고, 차단유닛(120)은 차단 모드로 전환된다.
즉 특정 인물이 미인증된 상태로 상기 인증센서(130)를 통과할 경우, 상기 승선감지센서(132)가 위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순간에 차단유닛(120)이 작동되어 승선을 차단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에 있어서, 하선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과정은 하선 시 처리 과정으로서, 선박(10)에 승선한 작업자가 하선하고자 할 경우 우선 상기 하선감지센서(134)를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상기 인증센서(130) 또는 상기 승선감지센서(132)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하선감지센서(134)에 감지되므로, 승선하고 있던 작업자가 하선할 의도를 가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선감지센서(134)가 가장 먼저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감지할 경우, 상기 차단유닛(120)은 이후 상기 승선감지센서(132)에 의한 작업자 감지 여부에 관계 없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개방 모드 유지 시간 동안 선박(10)으로부터 하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차단유닛(120)은 상시 개방된 상태에서 차단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만 승하선 경로를 차단하므로, 작업자의 신속한 승하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작업자의 승하선 정보를 처리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인증센서(130)가 작업자의 인증수단을 인식한 경우, 승선자 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하선감지센서(134)가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감지할 경우, 승선자 수를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 연산부는 현재 선박(10)에 승선하고 있는 작업자의 수를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으므로, 비상 상황 시 승선한 작업자가 모두 탈출하였는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인증센서(130)보다 후방에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을 인식하는 제2인증센서(14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프레임(110b) 및 제2프레임(110a)을 포함하며, 제2프레임(110a)에는 제2인증센서(140)가, 제1프레임(110b)에는 전술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인증센서(130)와 상기 제2인증센서(140)를 서로 이격시키는 이유는, 작업자의 동작이 승선 상황인지 하선 상황인지를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연산부는 다음과 같은 판단 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상기 제1인증센서(130)가 작업자의 인증수단을 인식한 후, 상기 제2인증센서(140)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할 경우, 이는 작업자가 승선 의지를 가진 것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인증센서(130)가 작업자의 인증수단을 인식할 경우 우선 1차 승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이후 제2인증센서(140)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할 경우, 최종적으로 해당 작업자를 승선자 리스트에 등록하게 된다.
이상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승선 처리 과정이며, 하선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승선 과정에 의해 승선자 리스트에 등록된 작업자가 상기 제1인증센서(130)를 통과할 경우 해당 인증수단을 인식하게 되며, 이는 작업자가 하선 의지를 가진 것으로 판단이 가능하다.
즉 다른 구성요소의 센싱 결과와 상관 없이 승선자 리스트에 등록된 작업자가 상기 제1인증센서(130)에 의해 인식된 경우에는 하선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연산부는 해당 작업자를 승선자 리스트에서 삭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인증센서(140) 및 상기 제1인증센서(130)가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어 구비되므로, 작업자의 동작 의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선박 20: 승하선경로
100: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110: 프레임
120: 차단유닛 130: 제1인증센서
132: 승선감지센서 134: 하선감지센서
140: 제2인증센서

Claims (8)

  1. 건조 중인 선박의 승하선 경로에 구비되는 게이트장치에 있어서,
    개방 모드로 유지되되, 기 설정된 차단조건이 만족된 경우 이동 경로를 차폐하도록 차단 모드로 전환되는 차단유닛;
    상기 차단유닛보다 전방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을 인식하는 제1인증센서;
    상기 차단유닛과 상기 제1인증센서 사이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승선 동작을 센싱하는 승선감지센서; 및
    상기 차단유닛보다 후방에 구비되며,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센싱하는 하선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한 경우 상기 승선감지센서에 의한 작업자의 승선 동작 감지 여부에 관계 없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모드를 유지하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미인식한 상태에서 상기 승선감지센서에 작업자의 승선 동작이 감지될 경우 차단 모드로 전환되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유닛은, 상기 하선감지센서가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감지할 경우, 상기 승선감지센서에 의한 작업자 감지 여부에 관계 없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 모드를 유지하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작업자의 승하선 정보를 처리하는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한 경우 승선자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하선감지센서가 작업자의 하선 동작을 감지할 경우 승선자 수를 감소시키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증센서보다 후방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작업자가 소유한 인증수단을 인식하는 제2인증센서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할 경우 해당 작업자를 1차 승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 뒤, 이후 상기 제2인증센서가 상기 인증수단을 인식할 경우 해당 작업자를 승선자 리스트에 등록하고,
    상기 제1인증센서가 상기 승선자 리스트에 등록된 작업자의 인증수단을 인식할 경우 해당 작업자를 승선자 리스트에서 삭제하는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KR1020160019240A 2016-02-18 2016-02-18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KR101885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40A KR101885073B1 (ko) 2016-02-18 2016-02-18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40A KR101885073B1 (ko) 2016-02-18 2016-02-18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458A true KR20170097458A (ko) 2017-08-28
KR101885073B1 KR101885073B1 (ko) 2018-08-03

Family

ID=5975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240A KR101885073B1 (ko) 2016-02-18 2016-02-18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0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475A (ko) 2006-02-28 2007-08-31 심규원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계수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3956A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코스펙정보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9475A (ko) 2006-02-28 2007-08-31 심규원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계수시스템 및 방법
KR20110133956A (ko) *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코스펙정보 공사 현장 재해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073B1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599B1 (ko)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CN109153533B (zh) 电梯装置
CN107249940A (zh) 用于监视处于自主运行模式中并且位于停车场上的车辆的方法和设备
CN106585674A (zh) 一种列车动态测试的全自动防护方法及系统
KR101670489B1 (ko) 철도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장애상황 영상확인시스템
KR101999289B1 (ko) 스크린도어 표시 제어 장치
CN107835778A (zh) 阻遏装置抑制钥匙
JP2013107749A (ja) エレベーター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6702575B1 (ja) 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および運転システム
CN106672767A (zh) 一种汽车电梯的汽车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885073B1 (ko) 선박의 승하선 게이트장치
JP596241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保護具検知システム
CN107438548B (zh) 用于将机械式缝隙填充器、导引式车辆门及站台屏蔽门联锁的系统和方法
CN108861935A (zh) 一种矿井罐笼提升安全控制系统
CN105513235A (zh) 一种电梯机房入侵检测系统
KR101724600B1 (ko) 스크린도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9186791A1 (ja) ビル設備の制御装置
JP6016411B2 (ja) 進入者検知システム、進入者検知方法、および進入者検知プログラム
KR101744941B1 (ko)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경광등 신호 자동인식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1621336U (zh) 一种自动检票闸机装置
JP458469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20153589A2 (ko) 커넥티드 차량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차량의 안전운행 관리장치 및 차량의 안전운행 방법
JP2700375B2 (ja) プラットホーム安全確認装置
JP5170825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ステーションのシールド方法
KR101608943B1 (ko) 천정크레인 탑승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