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82736A1 - 의류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82736A1
WO2021182736A1 PCT/KR2021/000249 KR2021000249W WO2021182736A1 WO 2021182736 A1 WO2021182736 A1 WO 2021182736A1 KR 2021000249 W KR2021000249 W KR 2021000249W WO 2021182736 A1 WO2021182736 A1 WO 20211827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lothes
unloading
layer
folding
unload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02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채애경
김근주
육형규
김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767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19723A4/en
Priority to US17/910,708 priority patent/US20230148695A1/en
Publication of WO20211827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827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9/00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 D06F89/02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 D06F89/023Apparatus for folding textile articles with or without stapling of textile articles to be worn, e.g. shirts of shirts
    • D06F89/026Details, e.g. colla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9Clothes, clothes hang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vice for folding clothes.
  • Clothing is made of soft materials, such as natural or synthetic fibers, and must be folded to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for storage and transport.
  • the folded clothes are dropped and loaded on a seating plate of a draw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evice.
  • the mounting plate performs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approach the drop point of the clothing, the seating plate moves upward, and after the upward movement, a front-back movement is per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clothing can be sequentially seated.
  • the mounting plate in order for the entire area of one side of the garment to be stably seated on the mounting plate, the mounting plate must be able to sufficiently move forward or backward.
  • the overall size of the device particularly the front-rear width, must be sufficiently large, or otherwise, even if the size of the device is reduced, the drawer provided with the seating plate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order to secure a space for the seating plate to protrude. should be withdraw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device is unnecessarily increased in order to secure a spa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unloading is performed in the process of unloading and loading folded clothes in a clothes folding device, or the drawer repeatedly moves forward or backward. It aims to solve the problem that should protrude.
  • a clothing folding apparatus that functions to fold clothes during transport, comprising: a loading assembly for introducing clothes and seating them on a loading conveyor for transport; a folding assembly configured to perform folding while transporting the introduced clothes forward or backward; and an unloading assembly provided under the folding assembly to load the clothes discharged by the folding assembly, wherein the unloading assembly comprises: In the folding assembly, the clothes finally folded are first dropped and seated, and an upper unloading layer having an unloading conveyor, a rotation driving unit driving the unloading conveyor to rotate, and the upper unloading lay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 a clothing folding device comprising an upper front/rear drive unit that moves, a lower unloading layer in which the clothing seated on the upper unloading layer falls secondarily and is seated, and a vertical drive unit that moves the lower unloading layer upward or downward .
  • the rotational driving unit and the upper front-back driving unit are driven together while the second drop is performed, and the rotational driving unit and the upper front-back driving unit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unloading conveyor moves forward. and the upper unloading layer is driven to move backward when moving, or the upper unloading layer is driven to move forwar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unloading conveyor moves backward.
  • the vertical drive unit while the second fall is performed, from the top of the clothes loaded in the lower unloading layer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in which the clothes are not loaded
  • a clothing folding device in which a second drop interval that is an interval to the upper unloading layer is driven to maintain a first distance.
  • the vertical drive unit while the second fall is performed, from the top of the clothes loaded in the lower unloading layer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in which the clothes are not loaded
  • a clothing folding device that is driven so that a second drop interval that is an interval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increases from a second distance to a third distance.
  • a clothing fold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loading sensor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or the uppermost height of the clothing loaded in the lower unloading layer.
  •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rame forming an external skeleton of the clothing folding device and disposed at an outer edge to define a minimum working space of the clothing folding device, wherein the unloading assembly comprises: Provided is a clothing folding apparatus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clothes are loaded, and further includes a drawer for mounting the lower unloading layer and the vertical drive unit.
  • the upper front and rear driving unit includes a rack-and-pinion structure installed in one area of the frame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and both sides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 a clothing folding device is provided.
  • the vertical drive unit, the rack-and-pinion structu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rawer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and both sides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clothing including A folding device is provided.
  • a clothing folding apparatus including a scissor lift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drive un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awer and the lower unloading layer is coupled thereto.
  • a clothing folding device including a rack-and-pinion structure for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 it further comprises a pressure guid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wherein the vertical drive unit, the uppermost end of the clothes loaded in the lower unloading layer of the clothes to the pressure guide A clothing folding device driven to be pressurized is provided.
  • the unloading assembly further includes a drawer forming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tored, and when the drawer is opened to take out clothes, the vertical drive unit is the lower part without clothes.
  • a clothing folding device that is driven so that the uppermost surface of an unloading layer or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clothing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on which the clothing is loaded become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with respect to the space that the upper unloading layer can occupy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in the range of 0.28 to 0.36, and the upper unloading layer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fore-and-aft stroke distance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with respect to the space it can occupy is in the range of 0.5 to 0.65.
  • a loading assembly for pulling in clothes and placing them on a loading conveyor for transport; a folding assembly transported backward to perform folding; and an unloading assembly provided under the folding assembly to load clothes discharged by the folding assembly, wherein the unloading assembly is folded last in the folding assembly
  • the performed clothes fall first and are seated, an upper unloading layer having an unloading conveyor, a rotation driving unit driving the unloading conveyor to rotate, and the clothes seated in the upper unloading layer are secondly dropped and seated
  • a clothing folding cabinet including a lower unloading layer to be used, a lower front-back driving unit for moving the lower unloading lay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vertical driving unit for moving the lower unloading layer upward or downward.
  • the lower front and rear drive unit is implemented as a rack-and-pinion structure
  • the vertical drive unit is implemented as a scissor lift structure
  • the vertical drive unit is provided on the lower front and rear drive unit A clothing folding device is provided.
  • power consumption of the unloading assembly driving unit may be reduc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ing fol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the clothing folding device 10 of FIG. 1 .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clothing folding device 10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lding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osition at which folding is performed in the folding assembly.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folding clothes of a top as an embodiment.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lding clothes of lower garments as an embodiment.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lding clothes of towels as an embodiment.
  • 16A to 16C are views in chronological order of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clothes fall secondarily from an upper unloading layer to a lower unloading layer and are seated.
  • 17A to 17C are views in chronological order of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clothes fall secondarily from an upper unloading layer to a lower unloading layer and are seated.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load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9A and 19B are side views of an unload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ing fol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the clothing folding apparatus 10 of FIG. 1
  • FIG. 3 is a configuration of a folding assembl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clothing folding device 10 showing the.
  • the clothing folding apparatus 10 may be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frame 110 .
  • the frame 110 may function as an external skeleton of the clothing folding device 10 .
  • the frame 110 is disposed at the outer edge of the clothes folding device 10 to define a minimum working space of the clothes folding device 10 , and can stably attach and support various members constituting the clothes folding device 10 . .
  • the frame 110 includes an upper frame 111 , a lower frame 112 , and horizontal frames 113 , 114 , 115 , 116 , and 117 .
  • the frame 110 includes vertical frames 121 , 122 , 123 , and 124 that are vertically disposed to support an upper frame 111 , a lower frame 112 , and a horizontal frame.
  • a finishing cover (not shown) may be st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10 .
  • the finishing cover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clothing folding device 10 .
  • the clothing folding device 10 includes a loading assembly 100 , a folding assembly 200 , and an unloading assembly 300 .
  • the loading assembly 100 , the folding assembly 200 , and the unloading assembly 300 may be supported by the frame 110 .
  • the working space of the loading assembly 100 , the folding assembly 200 , and the unloading assembly 300 may be defined by the frame 110 .
  • the loading assembly 100 its working space is defined by an upper frame 111 and a horizontal frame 114 , and the unloading assembly 300 is disposed in a horizontal frame 116 and a lower frame 112 .
  • the unloading assembly 300 is disposed in a horizontal frame 116 and a lower frame 112 .
  • the loading assembly 100 is provided so that clothes are drawn in.
  • the loading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ut clothes can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0 .
  • the loading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20 of the first folding layer 210 between the upper frame 111 and the horizontal frame 114 .
  • clothings refers to tops or bottoms made of natural or synthetic fibers that can be worn by humans, as well as items that can be folded to a desired size and thickness through a clothing folding device, such as towels or blankets, and provided. do.
  • the plurality of conveyors 20 may be supported by horizontal frames 113 , 114 , 115 , 116 , 117 .
  • the folding assembly 200 is provided so that the introduced clothing is folded while being transported.
  • the folding assembly 200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folding layers so that the introduced clothing is folded in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while being transported. At least two or more folding layer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introduced clothes are transferred from the upper folding layer to the lower folding layer, folding occurs at least one time in each folding layer, and as a result, the clothes that have been fold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by the unloading assembly 300 are loaded. do.
  • the folding assembly 200 may include four folding layers 210 , 220 , 230 , and 240 .
  • the four folding layers 210 , 220 , 230 , and 240 may be dispos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s the introduced clothing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first folding layer 210 to the lower fourth folding layer 240 , a constant It functions to be folded into size and shape. At least one fold occurs in each folding layer.
  • the fourth folding layer 240 may be folded twice.
  • the folding layers 210 , 220 , 230 , and 240 are responsible for seating, transporting, and folding of clothes.
  • Each folding layer 210 , 220 , 230 , 24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veyor 20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conveying and folding.
  • two conveyors 20 adjacent to each other on one folding layer are folded by inserting clothes. This is implemented by a folding gap 201 between two adjacent conveyors 20 on one folding layer so that clothes can be folded or passed while being folded.
  • the four folding layers 210 , 220 , 230 , and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veyor 20 .
  • the third folding layer 230 may include two conveyors 20
  • the fourth folding layer 240 may include three conveyors 20 .
  • a folding gap 201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conveyors provided in the third folding layer 230 to allow the clothes to pass through while being folded.
  • Two folding gaps 201 may be formed between the three conveyors provided in the fourth folding layer 240 so that the clothes may be folded or passed while being folded.
  • Clothing may completely pass through the folding gap 201 to be folded and discharged to a lower layer at the same time, or may be inserted into the folding gap 201 and then pulled out again to maintain the layer and only folding may be performed.
  • only folding is performed in the folding gap 201, it is discharged to a lower layer through another folding gap 201, or through one end of the layer other than the folding gap 201 (for example, the rear end of the third folding layer 230). It can be discharged to the layer below.
  • the clothing in the upper two folding layers 210 and 220 among the four folding layers constituting the folding assembly 200 , the clothing is vertically folded (strictly, the primary vertical folding is the folding layer 210 ). ) is performed in the loading assembly 100 of the layer located), and the lower two folding layers 230 and 240 , the clothing may be folded horizontally.
  • the horizontal folding means folding by a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lothing.
  •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arment is not limited to a complete 90 degree angle between the advancing direction line and the folding line of the garment, but includes an error range of 0 degrees to 30 degrees.
  • the vertical folding means folding by a reference lin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lothing.
  • the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garment is not limited to the complete 0 degree of the advancing direction and the fold line of the garment, but includes an error range of 0 to 30 degrees.
  • FIG. 4 to 7 are views showing various methods of folding clothes by the apparatus for folding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folding is performed in the folding assembly
  • FIG. is a flow chart showing the
  •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folding clothes undergarments as an embodiment
  •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folding clothes of towels as an embodiment.
  • the clothing introduced into the clothing folding apparatus is folded in the first folding layer 210 in the first vertical folding step S1 and in the second folding layer 220 .
  • the first transverse folding steps ( S3 and S4 ) include a transfer step ( S3 ) of transferring to the lower fourth folding layer ( 240 ) without being folded, and a folding step ( S4 ).
  • the second transverse folding step (S5, S6) is a 1/3 folding step (S5) in which folding is performed at 1/3 point based o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1 folding step (S5) in which folding is performed at 1/2 point based on the transport direction.
  • /2 includes a folding step (S6).
  • vertical folding may be performed on the top brought in by the apparatus for folding cloth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vertical folding step S1 and the second vertical folding step S2, respectively. Thereafter, the upper garment is subjected to a transverse folding step, and tw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 the garment on which the vertical folding has been performed is transferred immediately without being folded in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step (S3), and then in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step (S5) and 1/
  • the top of the three-step horizontally folded top can be discharged (the left flow chart of FIG. 5).
  • the garment on which the vertical folding has been performed is transferred immediately without being folded in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step (S3), and then only the half folding step (S6) is performed in the fourth horizontal folding step.
  • the four-stage horizontally folded top can be discharged (the right flow chart of FIG. 5).
  • one vertical fold may be performed on the bottoms brought in by the clothing f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vertical folding step S1 and the second vertical folding step S2 . That is, in the second vertical folding step ( S2 ), the folding by the vertical folding assembly is not performed and directly transferred. After that, the bottom will perform a transverse folding step, tw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 the vertical folding of the garment is performed after the horizontal folding is performed in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step (S4), and then the horizontal folding of the half folding step (S6) is followed in the fourth horizontal folding step. , the bottom of the four-stage horizontal folding is completed can be discharged (the left flow chart of Fig. 6).
  • the garment on which the vertical folding has been performed is transferred directly without being folded in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step (S3), and then the third folding step (S5) and 1/ in the fourth horizontal folding step
  • the second folding step (S6)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second folding step (S6), the bottom of the three-stage horizontal folding is completed can be discharged (the right flow chart of FIG. 6).
  • the towels introduced by the clothing fol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vertical folding and horizontal folding steps, thre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 the introduced towels may be vertically folded onc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vertical folding step (S1) and the second vertical folding step (S2). That is, in the second vertical folding step ( S2 ), the folding by the vertical folding assembly is not performed and directly transferred. Then, after the horizontal folding is performed in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step (S4), by sequentially performing the 1/3 folding step (S5) and the 1/2 folding step (S6) of the fourth horizontal folding step, for storing the bathroom closet It can be discharged in the size and shape of the hand towel (the left flowchart of FIG. 7).
  • the introduced towels may be vertically folded onc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vertical folding step (S1) and the second vertical folding step (S2). That is, in the second vertical folding step ( S2 ), the folding by the vertical folding assembly is not performed and directly transferred. Then, after the horizontal folding is performed in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step (S4), by performing the half folding step (S6) of the fourth horizontal folding step immediately, the size and shape are reduced compared to the hand towel of the first embodiment It can be discharged to different hand towels (middle flow chart in FIG. 7).
  • the introduced towels are transferred directly without performing vertical fold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vertical folding step (S1) and the second vertical folding step (S2).
  • the horizontal folding is performed in the third horizontal folding step (S4)
  • the half folding step (S6) of the fourth horizontal folding step immediately, the size and It can be discharged with towels of different shapes (flow chart on the right in FIG. 7).
  • a vertical folding layer may be add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ourth folding layer 240 so that vertical folding is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horizontal folding is completed. In this case, it is discharged as a hand towel having a reduced vertical width than the tow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nd can be properly accommodated in the intended bathroom closet.
  • FIGS. 8-15 illustrate several embodiments of an unloading assembly 3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0 and 11 relate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S. 12 and 13 relate to the third embodiment
  • FIGS. 14 and 15 to the fourth embodiment.
  • the unloading assembly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orm in which two members are independently driven, unlike the conventional form in which one member moves and loads folded clothes.
  • the unloading assembly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loading layer 310 that performs at least a part of seating, transporting, and folding of clothes, and the unloading layer 310 particularly removes clothes that fall after folding is completed. It is composed of an upper member for seating the secondarily and a lower member for seating the clothes falling secondarily from the upper member.
  • An upper member is defined as an upper unloading layer 311
  • a lower member is defined as a lower unloading layer 312 .
  •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may include a conveyor to transport clothes in one direction, and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may move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situation.
  • at least one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nd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rotation and front-back movement of the unloading conveyor 20B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clothes falling from the folding assembly 200 . do it free In the extreme, even when the clothes falling from the folding assembly 200 fall in a specific position and direction and thus the clothes have no choice but to be settled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above-described behavior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 Clothing can be placed in any desired position. For example, when clothes are discharged through steps S5 or S6 (refer to FIGS.
  • the position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when the seating of the clothes is finished varies depending on the case, but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fter the seating of the clothes is finished. ) can be moved to the front end or rear en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ccordingly,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that has moved to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may flexibly determine a position at which the clothes are to be secondarily dropped onto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
  • the position of the clothes falling into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nd the position of the clothes falling from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to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due to the behavior mechanism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re Since it can be determined flexibly, the amount of space requir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lothing folding apparatus 10 due to the corresponding area can be minimized.
  •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is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nd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strictly,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nd the lower unloading layer on which clothes are loaded)
  •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top surfaces of 312, hereinafter defined as the 'second drop interval') is determined so that the clothing can fall to an appropriate height.
  • the upper surface 3121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on which the clothes are not loaded or the top 1 ' of the loaded clothes are very adjacent to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
  • the top of the loading part is provided adjacent to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even if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folded clothing is short, it can be seated on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as stable as possible without floating in the air when falling. .
  • clothes may fall secondarily while the uppermost part of the loading unit and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re spaced apart by a specific distanc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part of the loading part and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secures a certain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lothes, even when the folded clothes have a long front-to-back direction, the space can be located without wrinkling.
  • the lower unloading Lowering the height of the loading layer 312 may bring about the same effect as increasing the front and rear width.
  •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may be implemented to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is means that the front-back direction movement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is beneficial to driving when the front-rear width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is smaller than the front-rear width of the clothing folding device 10 , and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 to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so that its position can be determined flexibly when it is dropped.
  • the rotation driving unit 410 and the translation driving unit 420 provide power for implementing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unloading assembly 300 .
  • Each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410 and the translation driving unit 420 may include at least one motor 30 .
  • the rotation driving unit 410 provides power for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unloading conveyor 20B provided in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
  • the translational driving unit 420 provides power for the translational motion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or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
  • the upper front-rear driving unit 421 provides power for the forward/backward motion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 the vertical driving unit 423 provides power for the vertical motion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 the lower front-rear driving unit 422 provides power for the front-rear motion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
  • the upper front/rear drive unit 421 and the lower front/rear drive unit 422 may include a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vertical drive unit 423, one of a scissors type lift structure 420A and a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may be alternatively included.
  • the upper front/rear drive unit 421 and the lower front/rear drive unit 422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the two. That is, only the lower front/rear driver 422 may be provid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or only the upper front/rear driver 421 may be provided as 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both the upper front/rear drive unit 421 and the lower front/rear drive unit 422 may be provide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vertical drive unit 423 and mov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y the lower front and rear drive unit 422 , whereas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is fixed to the frame 110 to perform only rotation of the unloading conveyor 20B.
  • the upper and lower drive unit 423 is implemented as a scissor lift structure 420A to move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up and down
  • the lower front and rear drive unit 422 is implemented as a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to lower unloading.
  • the layer 312 is moved back and forth.
  • the scissor lift structure 420A is formed in the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as well as the scissor lift structure 420A.
  • the second embodiment proposes a form in which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upper front-rear driver 421 .
  • the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constituting the upper front and rear drive unit 421 is installed in an area of the frame 11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nd both sides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 whereby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can move relative to the frame 110 .
  • the upper front/rear driving unit 421 positions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to meet the vertical line of the dropping point of the clothes (Fig. see 4). Thereafter, while the clothes fall to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and are seated, the rotation driving unit 410 rotates the unloading conveyor 20B so that the clothes can be seated on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without wrinkling.
  • the rotation driving unit 410 and the upper front and rear driving unit 421 operate simultaneously to rotate the unloading conveyor 20B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is simultaneously generated.
  • the rotation of the unloading conveyor 20B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410 allows the clothes to fall from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without friction, and the upper unloading layer by the operation of the upper front and rear driving unit 421 .
  • the movement of 311 allows the clothes to be seated on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without wrinkles.
  •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moves backward, and the upper surface 20' of the unloading conveyor 20B moves forward.
  •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may move forward.
  • the up-and-down driving unit 423 may be implemented by a scissor lift structure 420A, which includes two link bars 4201 of which one side is rotationally fixed and the other side is slide-fixed.
  • the two link bars 4201 ar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ons of the two link bars 4201 are rotatably fastened to form a cross axis 4202 .
  • the slide fixing point 4203 of one link bar 4201 and the rotation fixing point 4204 of the other link bar are fastened to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 fixing point 4203, the two link bars 4201 rotate relative to lift or lower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 the vertical drive unit 423 implemented by the scissor lift structure 420A has a simple structure and has the advantage of occupying a relatively small space.
  • the slide fixing point 4203 cannot be completely fixed to the frame 110 or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so it is structurally unstable, which in particular forms a biased center of gravity when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is raised. There is a problem to do.
  • a lot of initial torque is required to raise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from the bottom,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 the vertical driving unit 423 is proposed in the form of a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 the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of the upper and lower drive unit 423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rawer 502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and both sides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have.
  • both sides may mean both s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both sides in the left-right direction.
  • the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is preferably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do.
  • the drawer 502 refers to a member that forms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to be loaded in the unloading assembly 300 .
  • the space formed by the drawer 502 includes a lower unloading layer 312 and a vertical drive unit 423 . is mounted, and the loaded clothing can be stored. If necessary, the drawer 502 may be withdrawn from the fram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loaded clothes.
  • loading means clothes that are fully seated on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and can be taken out by a user, or a stacked state of such clothes.
  • a pinion gear (4206) is rotatably fixed to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an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502), the pinion gear is engaged to form a movable guide (rack gear, 4205) can be provided.
  • the rack gear 4205 and the pinion gear 4206 are preferably coupled to the drawer 502 through the bracket 504 so that they are not exposed to the exterior of the drawer 502 .
  • both the upper front and rear drive unit 421 and the lower front and rear drive unit 422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rack-and-pinion structure 420B,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wo unloading layers 310 is ensured. That is, unlike the scissor lift structure 420A, since the two points supporting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are not only distributed on both sides but also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generation of stress, particularly shear stress,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by the driving unit can be transmitted without loss.
  • the front and rear width W1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can be designed to have a minimum width for seating clothes.
  • the fact that the front and rear width W1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can be set to a minimum means that the area in which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covers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becomes small, so that the dead space can be minimized. .
  • the front and rear width W1 can be designed in the range of 200 to 250 mm, and the front and rear stroke distance W3 of the upper front and rear drive unit 421 at this time is about 400 mm.
  • the front and rear width W1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with respect to the space W2 that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can occupy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in the range of 0.28 to 0.36, and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 the front-rear stroke distance W3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with respect to the space W2 that can be occupi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in the range of 0.5 to 0.65.
  • the upper front/rear drive unit 421 and the lower front/rear drive unit 422 may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driving unit are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structures and features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may be equally applied.
  • FIGS. 17A to 17C are chronological views of two embodiments of a process in which clothes are secondly dropped and seated from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to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
  • the interval from the top of the loading unit to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ie, the secondary dropping interval, may maintain the first distance while the second drop is performed. This means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does not change in the secondary falling process.
  • the first distance may maintain a relatively narrow or wide state, and the advantages according to each state are as described above.
  • the second drop interval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second distance to the third distance.
  • the clothing folding apparatus 10 may include a loading sensor 501 .
  • the loading sensor 501 sense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or the uppermost height of the clothes loaded in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
  • the loading sensor 50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proximity sensor.
  • a loading sensor 501 in the form of a proximity sensor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t least one point on the side of the drawer 502, and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height, or when the loaded clothing is located, loading The sensor 501 may recognize this.
  • the above-described at least one point may be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 lower boundary value among upper and lower boundary values of the first distance, the second distance, and the third distance.
  •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loading assembly 3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a pressure guide 3111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unloading layer 311 .
  • the pressure guide 3111 allows the loaded clothes to be pressed to reduce the volume and to more stably maintain the folded state.
  • the pressure guide 3111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electively press various areas of the loaded clothes.
  • the vertical driving unit 423 may drive the uppermost end of the clothes loaded in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to be pressed by the pressing guide 3111 . That is, this drive may include a rising process.
  • the secondary drop interval is formed with a margin, and when the clothes are seated and loaded, the secondary dropping interval is narrowed so that the loading part can be pressurized.
  • the pressing state may be performed temporarily or may be repeatedly performed.
  • 19A and 19B are side views of an unloading assembly 30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awer 502 that forms a space in which folded clothes are stored may implement a structure in which clothes are pulled out. This may be automatically implemented by a driving unit that operates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or may be implemented manually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user.
  • the lower unloading layer 312 may be driven so that the uppermost end of the loading unit 423 is a preset distance H from the bottom surface 601 .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out the clothes without bending the waist too m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의류를 인입시켜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를 구비한 제1 폴딩 레이어에 안착시키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가 이송되면서 접힘이 수행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가 배출한 의류를 적재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어셈블리는, 입구측이 처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인입되는 의류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의류를 고정시켜 상기 제1 폴딩 레이어로 이동시키는 집게 어셈블리, 상기 제1 폴딩 레이어에 안착된 의류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한 상태에서 의류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의류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송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 어셈블리는 삽입된 의류를 양면에서 가압하는 집게 플레이트 및 휠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휠 어셈블리는 삽입되는 의류와 함께 회전하는 단방향 회전 휠을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 폴딩 장치
본 발명은 의류의 접힘을 수행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는 천연 또는 합성섬유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제조되며,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적절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folding)이 수행되어야 한다.
일상적으로, 의류는 세탁 후 수납하기 위하여 또는 계절 변화에 따른 장기 보관을 위하여 의류 접기 행위가 상당히 자주 또는 다량으로 요구되었다. 그런데 인력에 의한 직접적인 의류 접기 행위는 시간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숙달되지 않은 인력으로 인해 접혀진 의류의 모양과 크기가 일치되지 않게 되면 전시 또는 보관을 위해 추가적인 노동이 투입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의류 접기 행위를 신속하고 일률적으로 수행할 자동화 장치(이하 '의류 폴딩 장치'라 한다)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종래의 의류 폴딩 장치와 관련하여 2018. 7. 5. 발행된 PCT공개특허 제2018-122841호(발명의 명칭 :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가 개시되었다(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 선행문헌은 의류가 상부에 인입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된 후, 하부에서 배출되는 자동화 장치에 대한 기술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폴딩이 완료된 의류는 낙하되어 장치의 하단에 구비된 드로어(drawer)의 안착 플레이트에 적재된다. 의류는 적재 과정에 있어서 안착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안착 플레이트는 상하 및 전후 운동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의류의 낙하지점 근처로 접근하기 위해 안착 플레이트는 상승운동을 하고, 상승운동을 한 뒤 의류의 일면이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전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의류의 일면 전 영역이 안착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서는 안착 플레이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전체 크기, 특히 전후 방향 폭이 충분히 커져야 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장치의 크기를 줄이더라도 안착 플레이트가 돌출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안착 플레이트가 구비된 드로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의류 폴딩 장치에 있어서 폴딩된 의류를 언로딩 하여 적재하는 과정에서 언로딩을 수행시 전후 방향의 공간의 확보를 위해 장치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문제, 또는 드로어가 장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반복적으로 돌출되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의류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를 인입시켜 이송을 위한 로딩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키며 접힘을 수행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가 배출한 의류를 적재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는, 상기 폴딩 어셈블리에서 마지막으로 접힘이 수행된 의류가 1차 낙하하여 안착되고, 언로딩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 상기 언로딩 컨베이어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상부 전후 구동부,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에 안착된 의류가 2차 낙하하여 안착되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 및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시키는 상하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낙하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회전 구동부와 상부 전후 구동부는 함께 구동되고,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상부 전후 구동부는, 상기 언로딩 컨베이어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거나, 상기 언로딩 컨베이어의 상면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는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2차 낙하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에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 또는 의류가 적재되지 않은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까지의 간격인 2차 낙하 간격이 제1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동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2차 낙하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에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 또는 의류가 적재되지 않은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간격인 2차 낙하 간격이 제2 거리에서 제3 거리로 증가하도록 구동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의 높이 또는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에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 높이를 센싱하는 적재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 폴딩 장치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고, 외부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 폴딩 장치의 최소 작동 공간을 정의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는 의류가 적재될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 및 상하 구동부를 실장하는 드로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전후 구동부는,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양측 및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 일 영역에 설치된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양측 및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드로어의 측면에 설치된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드로어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부에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가 결합된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시키는 하부 전후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후 구동부는,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 하면에 구비된 가압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구동부는, 의류가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이 상기 가압 가이드에 가압되도록 구동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는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어를 더 포함하고, 의류의 인출을 위해 상기 드로어가 개방되면, 상기 상하 구동부는 의류가 없는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 또는 의류가 적재된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의류 최상단이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구동 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가 전후 방향으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전후 폭은 0.28 내지 0.36 범위 이며,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가 전후 방향으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전후 스트로크 거리는 0.5 내지 0.65 범위인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의류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를 인입시켜 이송을 위한 로딩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키며 접힘을 수행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가 배출한 의류를 적재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는, 상기 폴딩 어셈블리에서 마지막으로 접힘이 수행된 의류가 1차 낙하하여 안착되고, 언로딩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 상기 언로딩 컨베이어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에 안착된 의류가 2차 낙하하여 안착되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하부 전후 구동부 및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시키는 상하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전후 구동부는 랙-앤-피니언 구조체로 구현되고, 상기 상하 구동부는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로 구현되며,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하부 전후 구동부 상에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 폴딩 장치의 전후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언로딩 어셈블리 구동부의 작동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언로딩 어셈블리 구동부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 어셈블리(200)의 구성을 나타낸 의류 폴딩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폴딩 어셈블리에 있어 접기가 수행되는 위치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실시예로서 상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예로서 하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예로서 타월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a내지 16c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에서 하부 언로딩 레이어로 의류가 2차 낙하하여 안착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시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a내지 17c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에서 하부 언로딩 레이어로 의류가 2차 낙하하여 안착되는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시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어셈블리"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에 관한 설명을 토대로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폴딩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 폴딩 장치(1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폴딩 어셈블리(200)의 구성을 나타낸 의류 폴딩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10)는 프레임(110)에 지지 및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부 골격과 같이 기능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부 모서리에 배치되어 의류 폴딩 장치(10)의 최소 작동 공간을 정의하고, 의류 폴딩 장치(10)를 이루는 여러 부재들을 안정적으로 부착 및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상하로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21, 122, 123, 124)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의 외곽면에는 마감 커버(미도시)가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마감 커버는 의류 폴딩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의류 폴딩 장치(10)는 로딩 어셈블리(loading assembly, 100), 폴딩 어셈블리(folding assembly, 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unloading assembly, 300)를 포함한다.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프레임(11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로딩 어셈블리(100), 폴딩 어셈블리(200) 및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프레임(110)에 의해 작동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딩 어셈블리(100)는, 그 작동 공간이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에 의해 정의되고,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수평 프레임(116) 및 하부 프레임(11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로딩 어셈블리(100)는 의류가 인입되도록 구비된다. 로딩 어셈블리(100)는 투입된 의류가 컨베이어(20)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딩 어셈블리(100)는 상부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 사이에서 제1 폴딩 레이어(210)의 컨베이어(20) 상면에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의류라 함은,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 재직되어 인간이 착용 가능한 상의 또는 하의를 의미함은 물론, 수건이나 이불과 같이 의류 폴딩 장치를 통해 원하는 크기와 두께로 접혀져 제공될 수 있는 물품이면 전부 포함된다.
복수의 컨베이어(20)는 수평 프레임(113, 114, 115, 116, 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폴딩 어셈블리(200)는,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접히도록 구비된다. 폴딩 어셈블리(200)는 인입된 의류가 이송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딩 레이어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 이상의 폴딩 레이어는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인입된 의류는 상부의 폴딩 레이어로부터 하부의 폴딩 레이어로 이송되면서 각 폴딩 레이어에서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언로딩 어셈블리(300)에 의해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힘이 완료된 의류들이 적재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폴딩 어셈블리(200)는,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를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상하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인입된 의류가 상부의 제1 폴딩 레이어(210)부터 하부의 제4 폴딩 레이어(240)까지 이송되면서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접혀지도록 기능한다. 각 폴딩 레이어에서는 적어도 1회 이상의 접힘이 발생한다. 특히,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는 2회의 접힘이 발생할 수 있다.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의류의 안착, 이송, 접힘을 담당한다. 각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하여 상술한 기능들, 특히 이송 및 접힘을 수행한다. 특히, 하나의 폴딩 레이어 상에서 인접한 두 컨베이어(20)는 의류가 삽입됨으로써 접혀지게 된다. 이는 하나의 폴딩 레이어 상에서 인접한 두 컨베이어(20)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거나 또는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폴딩 갭(gap, 201)에 의해 구현된다.
4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 230, 240)는 컨베이어(20)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는 2개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할 수 있고, 제4 폴딩 레이어(240)는 3개의 컨베이어(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폴딩 레이어(230)에 구비된 양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폴딩 갭(201)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폴딩 레이어(240)에 구비된 3개의 컨베이어 사이에는 의류가 접히거나 또는 접히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2개의 폴딩 갭(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의류는 폴딩 갭(201)을 완전히 통과하여 접힘과 아래 레이어로의 배출이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폴딩 갭(201)으로 삽입되었다 다시 인출되어 레이어를 유지하며 접힘만 수행될 수 있다. 폴딩 갭(201)에서 접힘만 수행한 경우 다른 폴딩 갭(201)을 통해 아래 레이어로 배출되거나 폴딩 갭(201)이 아닌 레이어의 일단(예를 들어 제3 폴딩 레이어(230)의 후단)을 통해 아래 레이어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폴딩 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4개의 폴딩 레이어 중 상부 2개의 폴딩 레이어(210, 220)에서는 의류가 세로접기되고(엄밀하게는 1차 세로접기는 폴딩 레이어(210)가 위치한 레이어의 로딩 어셈블리(100)에서 수행된다), 하부 2개의 폴딩 레이어(230, 240)에서는 의류가 가로접기 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인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수직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9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여기서 세로접기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평행한 기준선에 의해 접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의 진행방향과 평행이라 함은 의류의 진행방향선과 접힘선이 완전한 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도 내지 30도의 오차범위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한 다양한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 4는 폴딩 어셈블리에 있어 접기가 수행되는 위치를 표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실시예로서 상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6은 실시예로서 하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실시예로서 타월류의 의류 폴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폴딩 어셈블리(20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인입되는 의류는 제1 폴딩 레이어(21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제2 폴딩 레이어(22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 세로접기 단계(S2), 제3 폴딩 레이어(23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1 가로접기 단계(S3, S4) 및 제4 폴딩 레이어(240)에서 접힘이 이루어지는 제2 가로접기 단계(S5, S6)를 포함한다.
제1 가로접기 단계(S3, S4)는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하부의 제4 폴딩 레이어(240)로 이송되는 이송 단계(S3)와, 접힘 단계(S4)를 포함한다.
제2 가로접기 단계(S5, S6)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3 지점에서 접힘이 수행되는1/3 접힘 단계(S5)와,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1/2 지점에서 접힘이 수행되는 1/2 접힘 단계(S6)를 포함한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상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에서 각각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의는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3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상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5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2 접힘 단계(S6)만 수행함으로서, 4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상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5의 우측 순서도).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하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후 하의는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2 접힘 단계(S6)의 가로접힘이 후속함으로써, 4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하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6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접기가 수행된 의류는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접힘이 수행되지 않고 바로 이송된 다음(S3), 제4 가로접기 단계에서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3단 가로접힘이 완료된 하의가 배출될 수 있다(도 6의 우측 순서도).
도 7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의류 폴딩 장치에 의해 인입된 타월류는 세로접기 및 가로접기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세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3 접힘 단계(S5) 및 1/2 접힘 단계(S6)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욕실장 보관용 핸드타월 크기와 모양으로 배출될 수 있다(도 7의 좌측 순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1회의 세로접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세로접기 단계(S2)는 세로접기 어셈블리에 의한 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바로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2 접힘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제1 실시예의 핸드타월과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상이한 핸드타월로 배출될 수 있다(도 7의 중간 순서도).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인입된 타월류는 제1 세로접기 단계(S1) 및 제2 세로접기 단계(S2)를 통과하면서 세로접기가 수행되지 아니하고 바로 이송된다. 이후, 제3 가로접기 단계에서 가로접힘이 수행된 후(S4), 바로 제4 가로접기 단계의 1/2 접힘 단계(S6)를 수행함으로서, 제1, 2 실시예의 핸드타월과 비교하여 크기와 모양이 상이한 타월로 배출될 수 있다(도 7의 우측 순서도). 다른 실시예로서, 가로접기가 완료된 후 세로접기가 추가로 수행되도록 제4 폴딩 레이어(240)의 하부에는 세로접기 레이어가 부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실시예에 따른 타월보다 세로폭이 감소한 핸드타월로 배출되어 의도한 욕실장에 적절히 수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300)의 몇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제1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제2 실시예, 도 12 및 도 13은 제3 실시예, 도 14 및 도 15는 제4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하나의 부재가 거동하여 폴딩된 의류를 적재하던 종래의 형태와 달리 두 부재가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형태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언로딩 어셈블리(300)는 의류의 안착, 이송, 접힘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언로딩 레이어(310)를 포함하며, 언로딩 레이어(310)는 특히 폴딩이 완료되어 낙하하는 의류를 1차적으로 안착시키는 상부 부재와 상부 부재로부터 2차 낙하하는 의류를 안착시키는 하부 부재로 구성된다. 상부 부재를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로 정의하고, 하부 부재를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로 정의한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의 공통점은 하기와 같다.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는 컨베이어를 구비하여 의류를 일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황에 맞게 높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 및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 중 적어도 하나는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컨베이어를 통해 의류를 이송시킬 수 있는 특징,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언로딩 레이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특징은 언로딩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언로딩 컨베이어(20B) 회전과 전후 이동은 폴딩 어셈블리(200)로부터 낙하하는 의류의 위치를 자유롭게 한다. 극단적으로, 폴딩 어셈블리(200)로부터 낙하하는 의류가 특정한 위치 및 방향으로 낙하함에 따라 의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치우쳐 안착될 수 밖에 없는 경우에도,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상기와 같은 거동을 통해 원하는 위치로 의류를 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S5 또는 S6단계(도 4 내지 도 7 참조)를 거쳐 의류가 배출되는 경우, 의류의 배출 하단이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상면에 도달하도록 하기만 하면, 낙하하는 동안 언로딩 컨베이어(20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폴딩된 의류는 구김 발생 없이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에 안착될 수 있다.
의류 폴딩 장치(10)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의류의 안착이 종료되는 때의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위치는 경우에 따라 달라지나, 의류의 안착이 종료된 이후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전방 단부, 또는 후방 단부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전방 단부 또는 후방 단부로 이동한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의류를 2차 낙하시킬 위치를 유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거동 메커니즘으로 인해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로 낙하되는 의류의 위치와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에서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로 낙하되는 위치가 유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므로, 해당 영역으로 인한 의류 폴딩 장치(10)의 전후 방향 공간 요구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상하 이동은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상하 거리(엄밀하게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와 의류가 적재된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최상면 사이의 상하 거리, 이하 '2차 낙하 간격'으로 정의한다)를 결정하여 의류가 적절한 높이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의류가 적재되지 않은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3121) 또는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1')(이하 '적재부 최상단'으로 정의한다)은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에 매우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적재부 최상단이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에 인접하게 구비되면, 폴딩된 의류의 전후폭이 짧은 경우에도 낙하시 공중에 떠있는 시간 없이 최대한 안정적으로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적재부 최상단과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는 특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의류가 2차 낙하할 수 있다. 적재부 최상단과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거리 이격은 의류의 전후 방향에 대한 일정 길이를 확보하므로, 폴딩된 의류의 전후 방향 길이가 긴 경우에도 그 의류가 구김 발생하지 않고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한다. 따라서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 전후 길이가 길거나 의류 폴딩 장치(10)의 전후 공간이 좁아서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의류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안정적으로 낙하되지 않을 상황에서도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전후방 폭을 늘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전후 방향 이동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전후 폭이 의류 폴딩 장치(10)의 전후 폭 보다 작게 구성되는 경우 구동의 실익이 있으며,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로부터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로 의류가 낙하될 때 그 위치가 유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구동부(410) 및 병진 구동부(420)는 언로딩 어셈블리(300)의 구동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회전 구동부(410) 및 병진 구동부(420)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모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410)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에 구비된 언로딩 컨베이어(20B)의 회전 운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한다.
병진 구동부(420)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 또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병진 운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한다. 특히, 상부 전후 구동부(421)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전후 방향 운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고, 상하 구동부(423)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상하 방향 운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며, 하부 전후 구동부(422)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전후 방향 운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부 전후 구동부(421) 및 하부 전후 구동부(422)는 랙-앤-피니언(rack and pinion) 구조체(42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하 구동부(423)의 경우 가위식(scissors type) 리프트(lift) 구조체(420A) 및 랙-앤-피니언 구조체(420B) 중 하나를 택일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언로딩 컨베이어(20B)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410) 및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를 상하 방향 운동 시키는 상하 구동부(423)의 구비는 필수적이나, 상부 전후 구동부(421) 및 하부 전후 구동부(422)는 둘 중 적어도 하나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와 같이 하부 전후 구동부(422)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같이 상부 전후 구동부(421)만 구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4 실시예와 같이 상부 전후 구동부(421) 및 하부 전후 구동부(422)가 모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도 8 및 도 9)의 경우,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는 상하 구동부(42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 전후 구동부(42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는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언로딩 컨베이어(20B)의 회전만을 수행한다.
상하 구동부(423)는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420A)로 구현되어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를 상하 운동시키며, 하부 전후 구동부(422)는 랙-앤-피니언 구조체(420B)로 구현되어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를 전후 운동시킨다. 특히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420A)는 랙-앤-피니언 구조체(420B) 내에 형성되어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뿐만 아니라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420A)까지 함께 전후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고정되고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가 전후 운동을 수행하더라도 2차 낙하시 의류의 낙하 지점을 결정하는데 무리가 없다. 하지만 1차 낙하시 폴딩 어셈블리(200)에서 낙하되는 의류의 지점은 정해져 있음에도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전후 운동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또, 제1 실시예와 같이 상하 구동부(423) 및 하부 전후 구동부(422)가 동시에 구현되는 경우 하부 전후 구동부(422)의 구조 상에 상하 구동부(423)를 구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구조적 불안정성과 동력 전달 공간 확보를 위한 어려움이 더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제2 실시예(도 10 및 도 11)에서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상부 전후 구동부(421)에 의해 전후 운동하는 형태를 제안한다.
상부 전후 구동부(421)를 구성하는 랙-앤-피니언 구조체(420B)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양측 및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양측에 대응하는 프레임(110)의 일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는 프레임(110)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다.
폴딩 어셈블리(200)로부터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로 의류가 낙하되는 1차 낙하시, 상부 전후 구동부(421)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를 의류의 낙하지점 수직선과 만나도록 위치시킨다(도 4 참조). 이후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로 의류가 낙하하여 안착되는 동안, 회전 구동부(410)는 언로딩 컨베이어(20B)를 회전시켜 의류가 구김없이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로부터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로 의류가 낙하되는 2차 낙하시, 회전 구동부(410)와 상부 전후 구동부(421)는 동시에 작동하여 언로딩 컨베이어(20B)의 회전과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전후 방향 이동을 동시에 발생시킨다.
회전 구동부(410)의 작동에 의한 언로딩 컨베이어(20B)의 회전은 의류가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로부터 마찰없이 낙하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전후 구동부(421)의 작동에 의한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이동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구김없이 의류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인 동작으로 살펴보면, 언로딩 컨베이어(20B)의 상면(20')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언로딩 컨베이어(20B)의 상면(20')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하 구동부(423)는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420A)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420A)는 일측이 회전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슬라이드 고정되는 두 링크 바(4201)를 포함한다. 두 링크 바(4201)는 서로 교차하여 구비되며, 두 링크 바(4201)의 교차점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교차축(4202)을 형성한다. 한 링크 바(4201)의 슬라이드 고정점(4203) 및 다른 한 링크 바의 회전 고정점(4204)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체결된다. 슬라이드 고정점(4203)의 이동에 따 두 링크 바(4201)는 상대 회전하여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린다.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420A)로 구현되는 상하 구동부(423)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슬라이드 고정점(4203)이 프레임(110) 또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완전히 고정될 수 없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며, 이는 특히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가 상승한 경우 일측으로 치우친 무게 중심을 형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를 최하단에서 상승시키기 위한 초기 토크가 많이 필요하여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이러한 문제점 보완을 위해, 제3 실시예(도 12 및 도 13)에서는 상하 구동부(423)가 랙-앤-피니언 구조체(420B) 형태인 것을 제안한다. 상하 구동부(423)의 랙-앤-피니언 구조체(420B)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양측 및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양측에 대응하는 드로어(drawer, 502)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양측은 전후 방향의 양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좌우 방향의 양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의류 폴딩 장치(10)의 좌우측에는 장치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리브(503)가 구비되어야 하는 점을 고려했을 때, 랙-앤-피니언 구조체(420B)는 전후 방향 양측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드로어(502)는 언로딩 어셈블리(300)에 있어서 의류가 적재될 공간을 형성하는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드로어(502)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 및 상하 구동부(423)가 실장되며, 적재된 의류가 보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드로어(502)는 프레임(1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인출되어 사용자가 적재된 의류를 꺼내기 쉽기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재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완전히 안착되어 사용자가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 의류, 또는 그러한 의류의 적층 상태를 의미한다.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 4206)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드로어(502)의 양측에는 피니언 기어가 맞물려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를 형성하는 랙 기어(rack gear, 4205)가 구비될 수 있다. 랙 기어(4205) 및 피니언 기어(4206)는 브라켓(504)을 통해 드로어(502)에 결합함으로써 드로어(502)의 외관에 드러나지 않도록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전후 구동부(421) 및 하부 전후 구동부(422)가 모두 랙-앤-피니언 구조체(420B) 형태로 구비되는 본 실시예의 경우 두 언로딩 레이어(310)의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된다. 즉,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420A)와 달리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를 받치는 두 지점이 양측에 분산될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받치게 되므로 스트레스, 특히 전단 응력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구동부에 의한 동력이 손실없이 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전후 방향 운동이 가능한 점은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전후 폭 W1을 의류의 안착을 위한 최소한의 폭으로 설계할 수 있다.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전후 폭 W1을 최소로 설정 가능하다는 것은,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를 가리는 영역이 작아져 사장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 의류 폴딩 장치(10) 상에서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전후 방향으로 차지할 수 있는 폭 W2의 설계 조건이 약 600~650mm의 범위라고 하면, 전후 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전후 구동부(421)의 전후 폭 W1은 200~250mm의 범위로 설계 가능하고, 이때의 상부 전후 구동부(421)의 전후 스트로크(stroke) 거리 W3는 400mm 정도가 된다. 이를 비율의 관점에서 본다면,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전후 방향으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 W2에 대한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전후 폭 W1은 0.28 내지 0.36 범위가 되고,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전후 방향으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 W2에 대한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전후 스트로크 거리 W3는 0.5 내지 0.65 범위가 된다.
한편, 제4 실시예(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부 전후 구동부(421) 및 하부 전후 구동부(422)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각 구동부의 구체적인 특징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 및 특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와 도 17a 내지 도 17c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에서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로 의류가 2차 낙하하여 안착되는 과정에 대한 두 실시예를 시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2차 낙하가 수행되는 동안 적재부 최상단으로부터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까지의 간격, 즉, 2차 낙하 간격이 제1 거리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2차 낙하 과정에 있어서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높이가 변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1 거리는 상대적으로 좁거나 넓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각 상태에 따른 이점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반면 도 17을 참조하면, 2차 낙하가 수행되는 동안 2차 낙하 간격은 제2 거리에서 제3 거리로 서서히 증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점은 의류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최초 안착할 때에는 좁은 간격을 유지하여 의도치 않은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최종적으로 안착할 때에는 높이 방향에 대해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전후 방향의 공간이 확장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어 복합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2차 낙하 간격을 파악하기 위해서, 의류 폴딩 장치(10)는 적재 센서(501)를 구비할 수 있다. 적재 센서(501)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상면의 높이 또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에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 높이를 센싱한다. 적재 센서(501)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로어(502)의 측면 적어도 하나의 지점 부근에 근접 센서 형태의 적재 센서(501)가 구비되고, 해당 높이에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가 위치하거나, 적재된 의류가 위치하면 적재 센서(501)가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은 제1 거리, 제2 거리 및 제3 거리의 상단 및 하단 경계값 중 하단 경계값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300)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의 하면에는 가압 가이드(3111)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 가이드(3111)는 적재된 의류가 눌러져 부피를 감소시키고 폴딩된 상태를 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부 언로딩 레이어(311)가 전후 방향 운동하는 경우, 가압 가이드(3111)도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압 가이드(3111)는 적재된 의류의 여러 영역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하 구동부(423)는 의류가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의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이 가압 가이드(3111)에 가압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이 구동은 상승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가 안착될 때에는 2차 낙하 간격을 여유있게 형성하고, 의류가 안착되어 적재된 상태에서는 2차 낙하 간격을 좁혀 적재부가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 상태는 일시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언로딩 어셈블리(300)에 대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폴딩이 완료된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어(502)는 의류를 꺼내기 위해 인출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전기 및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구동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 등의 외력에 의해 수동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의류의 인출을 위해 드로어(502)가 개방되면, 상하 구동부(423) 적재부 최상단이 바닥면(60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H가 되도록 하부 언로딩 레이어(31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의류를 꺼낼 시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의류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를 인입시켜 이송을 위한 로딩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키며 접힘을 수행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가 배출한 의류를 적재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는,
    상기 폴딩 어셈블리에서 마지막으로 접힘이 수행된 의류가 1차 낙하하여 안착되고, 언로딩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
    상기 언로딩 컨베이어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상부 전후 구동부;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에 안착된 의류가 2차 낙하하여 안착되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 및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시키는 상하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낙하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회전 구동부와 상부 전후 구동부는 함께 구동되고,
    상기 회전 구동부 및 상기 상부 전후 구동부는, 상기 언로딩 컨베이어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거나, 상기 언로딩 컨베이어의 상면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는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의류 폴딩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2차 낙하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에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 또는 의류가 적재되지 않은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까지의 간격인 2차 낙하 간격이 제1 거리를 유지하도록 구동되는 의류 폴딩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2차 낙하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에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 또는 의류가 적재되지 않은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간격인 2차 낙하 간격이 제2 거리에서 제3 거리로 증가하도록 구동되는 의류 폴딩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의 높이 또는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에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 높이를 센싱하는 적재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폴딩 장치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고, 외부 모서리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 폴딩 장치의 최소 작동 공간을 정의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는 의류가 적재될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 및 상하 구동부를 실장하는 드로어를 더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후 구동부는,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양측 및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프레임 일 영역에 설치된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양측 및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양측에 대응하는 상기 드로어의 측면에 설치된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드로어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부에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가 결합된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시키는 하부 전후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후 구동부는,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랙-앤-피니언 구조체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 하면에 구비된 가압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 구동부는,
    의류가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적재된 의류의 최상단이 상기 가압 가이드에 가압되도록 구동되는 의류 폴딩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는 의류가 보관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어를 더 포함하고,
    의류의 인출을 위해 상기 드로어가 개방되면, 상기 상하 구동부는 의류가 없는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상면 또는 의류가 적재된 하부 언로딩 레이어의 의류 최상단이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가 되도록 구동 되는 의류 폴딩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가 전후 방향으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전후 폭은 0.28 내지 0.36 범위 이며,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가 전후 방향으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의 전후 스트로크 거리는 0.5 내지 0.65 범위인 의류 폴딩 장치.
  14. 의류의 이송 과정에서 접힘이 수행되도록 기능하는 의류 폴딩 장치에 있어서,
    의류를 인입시켜 이송을 위한 로딩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로딩 어셈블리;
    상기 인입된 의류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시키며 접힘을 수행하는 폴딩 어셈블리; 및
    상기 폴딩 어셈블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 어셈블리가 배출한 의류를 적재하는 언로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언로딩 어셈블리는,
    상기 폴딩 어셈블리에서 마지막으로 접힘이 수행된 의류가 1차 낙하하여 안착되고, 언로딩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상부 언로딩 레이어;
    상기 언로딩 컨베이어가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
    상기 상부 언로딩 레이어에 안착된 의류가 2차 낙하하여 안착되는 하부 언로딩 레이어;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하부 전후 구동부; 및
    상기 하부 언로딩 레이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 시키는 상하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 폴딩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후 구동부는 랙-앤-피니언 구조체로 구현되고,
    상기 상하 구동부는 가위식 리프트 구조체로 구현되며,
    상기 상하 구동부는 상기 하부 전후 구동부 상에 구비되는 의류 폴딩 장치.
PCT/KR2021/000249 2020-03-10 2021-01-08 의류 폴딩 장치 WO202118273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67636.0A EP4119723A4 (en) 2020-03-10 2021-01-08 DEVICE FOR FOLDING CLOTHES
US17/910,708 US20230148695A1 (en) 2020-03-10 2021-01-08 Clothes fol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590A KR20210114200A (ko) 2020-03-10 2020-03-10 의류 폴딩 장치
KR10-2020-0029590 2020-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2736A1 true WO2021182736A1 (ko) 2021-09-16

Family

ID=7767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0249 WO2021182736A1 (ko) 2020-03-10 2021-01-08 의류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48695A1 (ko)
EP (1) EP4119723A4 (ko)
KR (1) KR20210114200A (ko)
WO (1) WO20211827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6463A (zh) * 2022-01-21 2022-05-20 江苏国范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纵向叠衣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8471A (zh) * 2021-11-04 2022-02-01 浙江瑞峰智能物联技术有限公司 折衣机卸载系统及卸载方法
CN114000332B (zh) * 2021-11-04 2024-01-30 浙江瑞峰智能物联技术有限公司 一种折衣机装载系统及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400A (ja) * 1998-07-07 2000-01-25 Tokai:Kk 布類折畳み装置
JP2008121142A (ja) * 2006-11-13 2008-05-29 Purex:Kk 布類展張搬送機
JP2010051428A (ja) * 2008-08-27 2010-03-11 Aloka Co Ltd 汚染衣類仕分け装置
JP6049119B2 (ja) * 2009-10-16 2016-12-21 エルブイエムエイチ レシェルシェ 化粧品活性薬剤としてのランのバンダ・セルレア
WO2019038752A1 (en) * 2017-08-25 2019-02-28 Foldimate Inc.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RECEIVING CONVEYORS AND FOLD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1424A (en) * 1964-12-08 1968-01-02 Chicago Dryer Co Cross folder with sheet elevating means
WO2018122841A1 (en) * 2016-12-30 2018-07-05 Foldimate Inc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stacked conveyor layers and folding method therefor
DE102017216233A1 (de) * 2017-09-14 2019-03-14 BSH Hausgeräte GmbH Fördereinrichtung für eine Faltvorrichtung zum Falten von Textilien
CN108611838B (zh) * 2018-03-21 2020-07-31 浙舞产业发展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式折收设备
CN109736061B (zh) * 2018-12-28 2021-03-12 东莞理工学院 一种桌面式叠衣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400A (ja) * 1998-07-07 2000-01-25 Tokai:Kk 布類折畳み装置
JP2008121142A (ja) * 2006-11-13 2008-05-29 Purex:Kk 布類展張搬送機
JP2010051428A (ja) * 2008-08-27 2010-03-11 Aloka Co Ltd 汚染衣類仕分け装置
JP6049119B2 (ja) * 2009-10-16 2016-12-21 エルブイエムエイチ レシェルシェ 化粧品活性薬剤としてのランのバンダ・セルレア
WO2019038752A1 (en) * 2017-08-25 2019-02-28 Foldimate Inc. DOMESTIC COMPACT ARTICLE FOLDING MACHINE HAVING RECEIVING CONVEYORS AND FOLD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119723A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6463A (zh) * 2022-01-21 2022-05-20 江苏国范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纵向叠衣装置
CN114516463B (zh) * 2022-01-21 2023-07-18 江苏国范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纵向叠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48695A1 (en) 2023-05-18
EP4119723A4 (en) 2024-03-06
KR20210114200A (ko) 2021-09-23
EP4119723A1 (en)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82736A1 (ko) 의류 폴딩 장치
JP6389686B2 (ja) 布類展開装置
WO2021101150A1 (ko) 의류 폴딩 장치
WO2011102648A2 (ko) 기판 처리 시스템 및 기판 반송 방법
WO2010008151A2 (ko) 이동 작업차용 로더 어태치먼트 장착장치 및 그 장착장치가 설치된 로더
KR20200006982A (ko) 직물류 전장 장치
JP2007092255A (ja) 布類展張方法および布類展張機
WO2021118290A1 (ko) 슬라이딩 타입의 마사지 장치
JP5156513B2 (ja) 布類展張搬送機
JP4043346B2 (ja) 布類展張機
JP3332936B2 (ja) パイル交換装置
JP2004162217A (ja) 布類展張方法及び布類展張機
WO2019009457A1 (ko) 접이식 컨테이너
WO2020101050A1 (ko) 압연기의 롤 교체장치
CN212355678U (zh) 显示屏玻璃板贴合固定设备
JP6719613B1 (ja) 搬入出システム
WO2020184896A1 (ko) 자동 전개 가능한 양봉 장치
JP5329117B2 (ja) 布類展張搬送方法及び布類展張搬送機
US3553861A (en) Flatwork ironer feeding mechanism and apparatus
JP2009045205A (ja) 矩形布片の短辺出し装置
CN217348375U (zh) 一种盒体输送装置
JP3014607B2 (ja) シャツ折りたたみ機
JP4974808B2 (ja) 矩形布片の角端出し装置及び角端出し方法
JP2927261B2 (ja) 捺染装置
JP2002114402A (ja) 矩形布片の供給装置における芯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676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676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