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25643A1 -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25643A1
WO2021125643A1 PCT/KR2020/017615 KR2020017615W WO2021125643A1 WO 2021125643 A1 WO2021125643 A1 WO 2021125643A1 KR 2020017615 W KR2020017615 W KR 2020017615W WO 2021125643 A1 WO2021125643 A1 WO 20211256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nonwoven fabric
composite fiber
eco
derived pol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61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제득
서영석
김대희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80087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829690A/zh
Priority to JP2022533234A priority patent/JP2023505174A/ja
Publication of WO20211256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256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3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filaments or yarns secured together by chemical or thermo-activatable bonding agents, e.g. adhesives, applied or incorporated in liquid or solid for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a plant-derived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posite fiber manufactured by complex spinning plant-derived polypropylene and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and a spunbond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it's about
  • fiber raw material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are derived from fossil fuels such as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 fossil fuels such as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 petroleum-derived materials emit high carbon dioxide emissions during extraction from petroleum, making them an eco-friendly material. Substitution is being request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1985 discloses a composite long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by placing the filaments constituting the nonwoven fabric in the core sheath type, placing polypropylene in the core component, and placing polyethylene derived from plants in the sheath component. Discloses a method for preparing
  • the patent has a problem of lowering productivity due to poor spinnability of the polymer, and inability to achiev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other non-woven fabrics.
  • the nonwoven web formed as described above has a simple structure without crimps, thereby forming a thin nonwoven fabric in the heat bonding process. Therefore, since it is difficult to form a high loft nonwoven fabric with such a nonwoven web, there is a problem in that softness is lowered due to low bulky propertie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n eco-friendly composite fiber with improved softness while reduc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manufacturing, and a spunbond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 the above object is produced by compound spinning a first component containing polypropylene and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and the viscosity and melting point of the first component are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component.
  • An eco-friendly composite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This is achieved by fiber spunbond nonwovens.
  • the first component may have a melting point of 150 to 170° C. and a melt flow index of 25 to 60 g/10 min.
  •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component is 120 ⁇ 130 °C
  • the melt flow index may be 16 ⁇ 24 g / 10 minutes.
  • the melt flow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20 g/10 min or less.
  •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have a weight ratio of 70:30 to 50:50.
  • carbon dioxide is emitted at 1,350 kgCO 2 eq/ton or less
  •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has a carbon dioxide content of 4,000 kgCO 2 eq/ton or less when incinerated. can be emitted as
  •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may have a thickness of 0.6 to 0.8 mm.
  •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may be 2.5 to 4.5 gf as a result of HOM (Handle-o-meter) measurement.
  •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art of the second component is exposed to the outside or is spun in a side-by-side form.
  •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may be manufactured as a nonwoven fabric by imparting shape stability by thermal bonding using an embossing roll.
  •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melted with separate extruders, each polymer is spun with a nozzle capable of side-by-side spinning, and cooling air is applied to the spun filament to solidify it. have.
  • the above object is to melt each of the first component containing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component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with separate extruders to spin each polymer with a nozzle capable of side-by-side spinning, After solidification by applying cooling air to the filaments, the solidified filaments are stretched through a stretching process, and then the stretched filaments are integrated on a continuously driven porous screen belt to form a nonwoven web, and the integrated nonwoven web is thermally bonded. It is formed by imparting morphological stability to the nonwoven web, and is achieved by an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having a viscosity and melting point of the first component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component.
  • the above object is to melt each of the first component containing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component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with separate extruders and spinning each polymer with a nozzle capable of side-by-side spinning, spinning After solidification by applying cooling air to the filaments, the solidified filaments are stretched through a stretching process, and then the stretched filaments are integrated on a continuously driven porous screen belt to form a nonwoven web, and thermal bonding of the integrated nonwoven web It is achieved b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having a viscosity and melting point of the first component higher than the second component by bonding to the nonwoven fabric web.
  •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has eco-friendly characteristics by reduc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in the fiber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by us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together.
  •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can provide a high-loft non-woven fabric that maintains soft properties while having a thickness despite using an eco-friendly material.
  •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contains plant-derived polyethylene, and thus has a feature of low carbon dioxide emission when incinerated and discarded after use.
  • the eco-friendly composite material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can form a thick high-loft nonwoven fabric through a crimp structure, and has high bulky properties such as diapers and sanitary napkins It can be used for the back sheet of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awing state of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is manufactured by complex spinning a first component containing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and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 the viscosity and melting point of the first component containing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is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component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This is because it is easier to form crimps as the viscosity and melting point of heterogeneous raw materials are different when side-by-side composite spinning of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and plant-derived polyethylene.
  •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component comprising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is preferably 150 to 170 °C.
  •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component is less than 150 ° C., there is a problem of sticking to the embossing process in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rocess, and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component exceeds 170 ° C. There is a problem with rising
  • the melt flow index of the first component is between 25 and 60 g/10 min. If the melt flow index of the first component is less than 25 g/10 minutes, the flowability is not good, resulting in a spinning problem, and when the melt flow index of the first component exceeds 60 g/10 minutes, the flowability is too good, even in this case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of poor radiation.
  •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component compris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is 120 to 130°C. If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component is less than 120 °C, there is a problem of sticking to the embossing in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process, and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component exceeds 130 °C,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temperature must be increased a lot for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ed usage.
  • the second component has a melt flow index of 16 to 24 g/10 min. If the melt flow index of the first component is less than 16 g/10 min, there is a problem of poor spinning due to poor flowability, and if the melt flow index of the first component exceeds 24 g/10 min, the flowability is too good, even in this case This is because there is also a problem of poor radiation.
  • the melt flow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20 g/10 min or less. If the difference in the melt flow index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more than 20 g/10 min, the difference in the melt flow index becomes large and a spinning defect problem occurs, so it is preferable to be in the above range.
  •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posite fiber are composite spinn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have a weight ratio of 70:30 to 50:50.
  • the first component has a weight ratio of more than 70% in the weight ratio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the amount of eco-friendly material used in the entire composite fiber is lowered, which is undesirable because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effect is greatly reduced, and also, the first component
  • the weight ratio is less than 50%, the soft properties of the composite fiber and the nonwoven fabric made of the composite fiber are reduced, so that the commercial value of the product using the nonwoven fabric may be reduced.
  •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minimizes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the nonwoven fabric or composite fiber after use in order to increase eco-friendliness.
  • the carbon dioxide is emitted at 1,350 kgCo 2 eq/ton or less.
  •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prepared by composite spinning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preferably emits carbon dioxide at less than 4,000 kgCo 2 eq/ton during incineration.
  •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prepared by composite spinning the first component containing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component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0.6 to 0.8 mm. If the thickness of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is less than 0.6m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eeling of thickness is not felt well, 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0.8mm, there is a problem of poor processability when processing the nonwoven fabric to make a product.
  • the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is preferably 2.5 to 4.5 gf as a result of HOM (Handle-o-meter) measurement. If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HOM is less than 2.5 gf, there is a problem of poor processability when processing the nonwoven fabric to make a product, and if it exceeds 4.5 gf,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uch is not soft.
  • HOM Heandle-o-meter
  • the first component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as nee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Other ingredients may include known heat-resistant stabilizers, weather-resistance stabilizers, various stabilizers, antistatic agents, anti-blocking agents, anti-fogging agents, fillers, dyes, pigments, natural oils, synthetic oils, waxes, or combinations thereof.
  • Stabilizers include antioxidants such as 2,6-di-t-butyl-4-methylphenol (BHT); tetrakis[methylene-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 -(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ic acid phenolic antioxidants such as alkylesters and 2,2'-oxamidobis[ethyl-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fatty acid metal salts such as zinc stearate, calcium stearate, and calcium 1,2-hydroxystearate; polyhydric alcohol fatty acid esters such as glycerin monostearate, glycerin distearate, pentaerythritol monostearate, pentaerythritol distearate, and pentaerythritol tristearate; or a combination thereof.
  • Fillers include silica, diatomaceous earth, alumina, titanium oxide, magnesium oxide, pumice powder, pumice balloon,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basic magnesium carbonate, dolomite, calcium sulfate, potassium titanate, barium sulfate, calcium sulfite, talc, clay, mica, asbestos, calcium silicate, montmorillonite, bentonite, graphite, aluminum powder, molybdenum sulfid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above-described propylene-based polymer and the other components used as necessary may be mixed using a known method.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is a first component containing polypropylene and a plant-derived
  • Forming a nonwoven web by integrating drawn filaments having a small fiber diameter on a continuously driven porous screen belt through a process, and bonding the integrated nonwoven web by thermal bonding or needle punching to provide shape stability of the nonwoven web is comprised of
  • it is preferable that the viscosity and melting point of the first component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second component.
  • a composite fiber including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is prepared.
  • first component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 second component plant-derived polyethylene
  • two polymers first component polymer and second component polymer
  •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is preferably 70:30 to 50:50.
  • each filament is melted with a separate extruder and air for cooling is applied to the filaments spun through a nozzle to solidify them in a side-by-side form to prepare a composite fiber.
  • the nonwoven web is formed by integrating the solidified filaments with the drawn filaments having a small fiber diameter on a continuously driven porous screen belt through the drawing process.
  • the nonwoven web is formed from the spun filaments in this way, shape stability is imparted to the nonwoven web through the process of bonding the nonwoven web to complete the nonwoven form.
  • a thermal bonding method and a needle punching method may be used, and preferably a thermal bonding method may be used.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nonwoven fabric after thermal bonding var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first component containing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component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and the productivity also show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hermal bonding conditions. was select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 the melting points and melt flow indi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 the physical properties can be improved by setting the thermal bonding temperature to 144 to 152°C. At this time, if the thermal bonding temperature is lower than 144°C, the adhesive strength due to heat between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and plant-derived polyethylene is low, so the strength may decrease and fluff may occur severely. It is undesirable because it causes a winding phenomenon to be wound on an adhesive driving roll, making production impossible.
  • processing using an embossing roll may be preferable.
  • the embossing process may b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a bonding rate (ie, embossing area ratio) of 13% or less, and a non-embossing unit area of 0.2 mm 2 or more, for example, 0.2 to 0.7 mm 2 .
  • the non-embossing unit area means the maximum area of a quadrangle inscribed in the embossing in the non-embossing unit of the minimum unit surrounded by the embossing unit on all sides.
  • the nonwoven fabric may include an embossing part and a non-embossing part, and the embossing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embossing pattern parts continuously arranged at the same or different intervals in an open embossing type.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awing state of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lted with a separate extruder, and the filaments spun with a nozzle capable of side-by-side spinning are cooled. After solidification, a nonwoven web is formed by integrating drawn filaments having a small fiber diameter on a continuously driven porous screen belt through a drawing process. At this time, the first component (A) containing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component (B)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generate crimp in the filament due to side-by-side spinning during stretching.
  • the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lex structure in which crimps are formed on the composite fiber filament to form a thick nonwoven fabric.
  •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high-loft nonwoven fabric through the crimp structure of the composite fiber filament.
  •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is a diaper, absorbent article, toilet article, sanitary napkin, support layer or top sheet, back sheet , may be Side Gather.
  • a nonwoven fabric having a weight of 25 gsm was prepar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through an embossing roll.
  • the polypropylene polymer (PP) is LG Chemical's trade name H7700, and the melt flow index (MI: Melt Index) is 34 g/10 min.
  • the plant-derived polyethylene polymer (Bio PE) is SHA7260 from Braskem, Brazil, and has a Melt Index (MI) of 20 g/10 min.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0% by weight of polypropylene resin and 50% by weight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resin were added.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80% by weight of polypropylene resin and 20% by weight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resin were added.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40% by weight of polypropylene resin and 60% by weight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resin were added.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lant-derived polyethylene resin had a melt flow index of 30 g/10 min.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lant-derived polyethylene resin had a melt flow index of 10 g/10 min.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propylene resin had a melt flow index of 70 g/10 min.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propylene resin had a melt flow index of 18 g/10 min.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etroleum-derived polyethylene resin was used instead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 the petroleum-derived polyethylene polymer (PE) is MM810 of SK Chemical, and the melt flow index (MI: Melt Index) is 30 g/10 min.
  •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petroleum-derived polyethylene resin was used instead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 the petroleum-derived polyethylene polymer (PE) is MM810 of SK Chemical, and the melt flow index (MI: Melt Index) is 30 g/10 min.
  • the weight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INDA Standard Test (IST) method number WSP 130.1 as a test method.
  •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according to INDA Standard Test (IST) method number WSP 110.4.
  • the HOM value was measured according to INDA Standard Test (IST) Method No. WSP 90.3.
  • the thickness was measured according to INDA Standard Test (IST) method number WSP 120.1.
  • the carbon emissions of petroleum-derived polypropylene and petroleum-derived polyethylene refer to the homo-polypropylene production data in the national LCI database information network.
  • Examples 1 and 2 use a polypropylene resin as the first component of the composite fiber and use a plant-derived polyethylene resin as the second component, and the weight ratio and melt flow index betwe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required in this specification. satisfy the condition that Such Examples 1 and 2 have a thickness of 0.71 mm and 0.62 mm, respectively, which satisfies the thickness condition of 0.6 to 0.8 mm, and the HOM measurement value is 2.9 gf and 3.3 gf, which satisfy the HOM condition, which is required as a high loft nonwoven fabric.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thickness and softness.
  •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hich do not satisfy the condition that the content (%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plant-derived polyethylene resin are 70:30 to 50:50, have a thickness of 0.48mm and 0.88mm, respectively, and the HOM measurement result is At 5.5 gf and 1.8 gf,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high-loft nonwoven fabric did not achieve adequate physical properties either because it was too thin and had excessively soft properties, or because it was too thick and had insufficient soft properties.
  • Comparative Example 3 in which the melt flow index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is higher than the condition, has a thickness of 0.39 mm and a HOM measurement result of 5.1 gf, indicating that the thickness is too thin and the nonwoven fabric does not have softness.
  •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melt flow index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is lower than the condition, cannot form a normal nonwoven fabric because spinning is impossible.
  •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difference in the melt flow index between the plant-derived polyethylene and the polypropylene is excessively large, cannot be spun and thus cannot form a normal nonwoven fabric.
  • Comparative Example 6 in which the melt flow index of the polypropylene resin is lower than 25 g/10 min and lower than the melt flow index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has a thickness of 0.38 mm and a HOM measurement result of 5.2 gf, which is too thin and lacks softness. It can be seen that proper physical properties were not achieved with the loft nonwoven fabric.
  • Comparative Examples 7 and 8 using petroleum-derived polyethylene instead of plant-derived polyethylene produced 4595 and 4708 kgCo 2 eq/t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during incineration, respectivel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arbon dioxide emission was excessive, so that eco-friendly characteristics could not be achieved.
  • an eco-friendly composite fiber spunbond nonwoven fabric containing plant-derived polyethyle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lant-derived polyethylene (Bio-PE), an eco-friendly material, compared to the existing high-loft nonwoven fabric Thickness and soft properties are improved, including carbon dioxide reduction effect.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side-by-side high loft made of a conventional polypropylene material, the thickness is about 0.62mm, 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thicker than about 0.62mm to 0.71mm, and the HOM value is softer to 2.9gf to 3.2gf. can be checked
  • A Filament spun with a first component comprising 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각각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고,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연신한 후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고,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식물유래 폴리프로필렌 및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을 복합 방사하여 제조되는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원료는 대부분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같은 화석 연료에서 유래된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오염 문제가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 소재의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석유에서 유래되는 소재는 석유로부터 추출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높아 친환경 소재로의 대체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친환경 소재는 폐기시 분해가 용이한 생분해성에 초점을 맞추어 제품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어, 일반적인 석유 유래 소재와 비교하여 성능이나 물성이 떨어지거나 심미감 및 내구성이 낮아 다양한 분야에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31985호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를 심초형으로 하여 심성분에는 폴리프로필렌을 위치시키고 초 성분에는 식물에서 유래한 폴리에틸렌을 위치시켜 복합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폴리머의 방사성이 떨어져 생산성 저하 문제가 있으며, 기타 부직포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진다. 특히, 이와 같이 형성된 부직포 웹은 크림프(Crimp)가 없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가열 접착 과정에서 얇은 형태의 부직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부직포 웹으로는 하이 로프트(High Loft) 부직포를 형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벌키(Bulky)성이 낮아 소프트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시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시키고, 두께감을 가지면서도 소프트성이 향상된 친환경 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을 복합 방사하여 제조되며, 제1성분의 점도 및 융점이 제2성분보다 높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성분의 융점은 150~170℃이고, 용융 흐름 지수는 25~60g/10분일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2성분의 융점은 120~130℃이고, 용융 흐름 지수는 16~24g/10분일 수 있다. 이때 제1성분 및 제2성분 사이의 용융 흐름 지수 차이가 20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성분 및 제2성분은 70:30 내지 50:50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성분은 단독으로 방사하여 소각할 시 이산화탄소가 1,350kgCO2eq/ton 이하로 배출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소각 시 이산화탄소가 4,000 kgCO2eq/ton 이하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0.6 내지 0.8m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HOM(Handle-o-meter)의 측정 결과 2.5 내지 4.5gf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제2성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방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엠보롤을 이용한 열접착에 의해 형태안정성이 부여되어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성분 및 제2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각각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고,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각각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고,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연신한 후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고,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여 형성되며, 제1성분의 점도 및 융점이 제2성분보다 높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각각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연신한 후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성분의 점도 및 융점이 제2성분보다 높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섬유 소재 제조 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여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두께감을 가지면서도 부드러운 성질을 유지하는 하이 로프트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 후 소각하여 폐기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소재 스펀본드 부직포는 크림프 구조를 통해 두꺼운 형태의 하이 로프트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어, 높은 벌키(Bulky)성을 가져 기저귀 및 생리대의 백 시트(Back Sheet)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연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을 복합방사하여 제조된다.
이때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성분의 점도 및 융점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과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복합방사시 이종의 원료의 점도 및 융점이 차이가 있을수록 크림프를 형성하기 쉽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성분의 융점은 150 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성분의 융점이 150℃ 미만인 경우 열압착공정에서 엠보롤에 달라붙는 문제를 가지며, 제1 성분의 융점이 170℃를 초과하는 경우 열압착을 하기 위해서 열압착 온도를 많이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1 성분의 용융 흐름 지수는 25 내지 6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성분의 용융 흐름 지수가 25g/10분 미만인 경우 흐름성이 좋지 않아 방사 불량 문제가 생기고, 제1 성분의 용융 흐름 지수가 6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 흐름성이 너무 좋아 이 경우에도 역시 방사 불량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또한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의 융점은 120 내지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성분의 융점이 120℃ 미만인 경우 열압착 공정에서 엠보롤에 달라붙는 문제가 생기고, 제2 성분의 융점이 130℃를 초과하는 경우 열압착을 하기 위해서 열압착 온도를 많이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 사용량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제2 성분의 용융 흐름 지수는 16 내지 24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성분의 용융 흐름 지수가 16g/10분 미만인 경우 흐름성이 좋지 않아 방사 불량 문제가 있으며, 제1 성분의 용융 흐름 지수가 24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흐름성이 너무 좋아 이 경우에도 역시 방사 불량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성분 및 제2 성분 사이의 용융 흐름 지수 차이는 20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성분 및 제2 성분 사이의 용융 흐름 지수 차이는 20g/10분 초과인 경우 용융 흐름 지수 차이가 커져 방사 불량 문제가 발생하므로 위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합섬유를 구성하는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이 복합방사 시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은 70:30 내지 50:50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성분 및 제2 성분 사이의 중량비에서 제1 성분이 70%를 초과하는 중량비를 가지면 전체 복합섬유에서 친환경 소재의 사용량이 떨어져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크게 감소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제1 성분이 50% 미만의 중량비를 가지면 복합섬유 및 복합섬유로 제조되는 부직포의 부드러운 특성이 감소되어 부직포를 이용하는 제품의 상품 가치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후 부직포 또는 복합섬유를 폐기하는 과정에서 소각 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은 단독으로 방사하여 소각할 시 이산화탄소가 1,350 kgCo2eq/ton이하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이 복합 방사되어 제조된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소각 시 이산화탄소가 4,000 kgCo2eq/ton이하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을 복합 방사하여 제조되는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0.6 내지 0.8mm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두께가 0.6mm 미만인 경우 두께감이 잘 느껴지지 않는 문제를 가지며, 두께가 0.8mm를 초과하는 경우 부직포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들 때 가공성이 불량한 문제를 가진다.
또한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HOM(Handle-o-meter)의 측정 결과 2.5 내지 4.5gf인 것이 바람직하다. HOM의 측정 결과가 2.5gf 미만인 경우 부직포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들 때 가공성이 불량한 문제를 가지며, 4.5gf를 초과하는 경우 촉감이 부드럽지 않은 문제를 가진다.
제1 성분은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 성분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기타 성분은 공지된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각종 안정제, 대전 방지제, 안티블록킹제, 방운제, 충전제, 염료, 안료, 천연유, 합성유,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제는 2,6-디-t-부틸-4-메틸페놀(BHT) 등의 노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메탄, 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알킬에스테르, 2,2'-옥사미도비스[에틸 -3-(3,5-디-t-부틸-4- 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칼슘,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칼슘 등의 지방산 금속염;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디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모노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디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제는 실리카, 규조토, 알루미나, 산화티탄, 산화마그네슘, 경석분, 경석 밸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백운석, 황산칼슘, 티탄산칼륨, 황산바륨, 아황산칼슘, 활석, 클레이, 운모, 석면, 규산칼슘, 몬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그래파이트, 알루미늄분, 황화몰리브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상기 기타 성분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섬유를 사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각각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 또는 니들펀칭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성분의 점도 및 융점이 상기 제2성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먼저,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제1 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제2 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Extruder)를 통해 용융시킨 후, 용융된 두 개의 폴리머(제1 성분 폴리머 및 제2 성분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의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이때, 복합섬유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복합방사할 때,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중량 비율은 70:30 내지 50: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되어 노즐로 방사된 필라멘트에 이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부여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고체화하여 복합섬유를 제조한다. 그리고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방사된 필라멘트로부터 부직포 웹이 형성되면 부직포 웹을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부직포 웹에 형태안정성을 부여하여 부직포 형태를 완성한다. 이때 부직포 웹에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열접착 방식 및 니들펀칭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접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열접착 후 부직포의 물성이 달라지며, 생산성 또한 열접착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을 밝혀내어, 최적의 조건을 선정하여 생산성 및 물성을 향상시켰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을 통해 제1 성분 및 제2 성분 각각의 비율을 달리하여 사용하고, 또한,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융점과 용융 흐름 지수를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며, 그에 따른 열접착 온도를 144 내지 152℃ 로 하여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열접착 온도를 144℃ 미만으로 하게 되면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과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사이에 열에 의한 접착력이 낮아 강도가 저하되고 보풀이 심하게 발생할 수도 있으며, 152℃ 이상으로 하게 되면 열접착된 부직포 층이 열접착 구동 롤에 감기는 권부현상을 초래하여 생산이 불가능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부직포 웹을 열접착하는 방법으로 엠보롤을 이용한 가공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엠보싱 가공은 본딩율(즉, 엠보싱 면적률)이 13% 이하이고, 비엠보싱 단위 면적이 0.2mm2이상, 예를 들어, 0.2 내지 0.7mm2의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비엠보싱 단위 면적이란, 사방이 엠보싱부로 둘러싸인 최소 단위의 비엠보싱부에 있어서, 엠보싱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최대 면적을 의미한다. 이 범위의 조건에서 엠보싱 가공을 행하면, 필요한 부직포 강도를 유지한 채 더욱 벌키성이 큰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본딩율 및 비엠보싱 단위 면적은 엠보싱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가공의 결과, 상기 부직포는 엠보싱부 및 비엠보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부는 오픈 엠보싱 타입으로 동일 또는 상이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단위 엠보싱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연신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되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된 필라멘트를 냉각하여 고체화한 후, 연신과정을 통해 작은 섬유 직경을 가지는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한다. 이때,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성분(A)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성분(B)는 연신 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의 방사로 인해 필라멘트에 크림프(Crimp)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복합섬유 필라멘트에 크림프가 형성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두꺼운 형태의 부직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은 복합섬유 필라멘트의 크림프 구조를 통해 하이 로프트 부직포로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기저귀, 흡수용품, 배변용품, 생리대, 지지층(Support Layer) 또는 탑 시트(Top Sheet), 백 시트(Back sheet), 사이드 게더(Side Gather)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 70중량%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수지 30중량%를 각각의 익스트루더에 투입하여 혼련한 후 복수의 홀이 있는 노즐을 통하여 각각 용융 방사한 후 다공성의 컨베이어벨트에 필라멘트를 랜덤하게 집적하여 엠보롤을 통과시켜 열압착하여 중량이 25gsm인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프로필렌 중합체(PP)는 엘지화학(LG Chemical)의 상품명 H7700이며, 용융흐름지수(MI: Melt Index)가 34g/10분이다. 또한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중합체(Bio PE)는 브라질의 브라스켐(Braskem)의 SHA7260이며 용융흐름지수(MI: Melt Index)가 20g/10분이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 수지 50중량%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수지 50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 80중량%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수지 20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프로필렌 수지 40중량%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수지 60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 흐름 지수가 30g/10분인 것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 흐름 지수가 10g/10분인 것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 흐름 지수가 70g/10분인 것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 흐름 지수가 18g/10분인 것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대신 석유유래 폴리에틸렌 수지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석유유래 폴리에틸렌 중합체(PE)는 에스케이 케미칼(SK Chemical)의 MM810이며, 용융흐름지수(MI: Melt Index)는 30g/10분이다.
[비교예 8]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대신 석유유래 폴리에틸렌 수지로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석유유래 폴리에틸렌 중합체(PE)는 에스케이 케미칼(SK Chemical)의 MM810이며, 용융흐름지수(MI: Melt Index)는 30g/10분이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각각의 물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1) 중량(Weight) 측정
시험 방법으로 INDA 스탠다드 테스트(INDA Standard Test, IST) 방법 번호 WSP 130.1에 따라 중량을 측정하였다.
(2) 인장강신도(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측정
시험 방법으로 INDA 스탠다드 테스트(INDA Standard Test, IST) 방법 번호 WSP 110.4에 따라 인장강신도를 측정하였다.
(3) HOM(Handle-o-meter)의 측정
시험 방법으로 INDA 스탠다드 테스트(INDA Standard Test, IST) 방법 번호 WSP 90.3에 따라 HOM 값을 측정하였다.
(4) 두께 측정
시험 방법으로 INDA 스탠다드 테스트(INDA Standard Test, IST) 방법 번호 WSP 120.1에 따라 두께를 측정하였다.
(5) 탄소배출량 측정
석유유래 폴리프로필렌 및 석유유래 폴리에틸렌의 탄소배출량은 국가 LCI 데이터베이스 정보망내 Homo-polypropylene 생산 부분 자료를 참조하였다.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의 탄소배출량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SHA7260의 제조사인 브라질의 브라스켐(Braskem)에서 제공한 자료를 참조하였다.
상술한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8에 따른 물성과 위 실험예에 따라 측정한 실험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Figure PCTKR2020017615-appb-T000001
Figure PCTKR2020017615-appb-T000002
실시예 1 및 2는 복합섬유의 제1 성분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고 제2 성분으로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고, 제1 성분 및 제2 성분 사이의 중량비 및 용융 흐름 지수가 본 명세서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및 2는 두께가 각각 0.71mm 및 0.62mm로 두께 조건인 0.6 내지 0.8mm 두께를 만족하고, HOM 측정값이 2.9gf 및 3.3gf로 HOM 조건을 만족하여, 하이 로프트 부직포로서 요구되는 두께 및 소프트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유량(중량%)이 70:30 내지 50:50인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2는 두께가 각각 0.48mm 및 0.88mm이고, HOM 측정 결과가 각각 5.5gf 및 1.8gf로, 두께가 너무 얇아 과도하게 부드러운 물성을 가지거나, 너무 두꺼워 부드러운 물성이 부족하여 하이 로프트 부직포로 적절한 물성을 달성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물 유래 폴리에틸렌의 용융 흐름 지수가 조건 보다 높은 비교예 3은 두께가 0.39mm이고, HOM 측정 결과가 5.1gf로 나타나, 두께가 너무 얇고 부직포가 소프트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물 유래 폴리에틸렌의 용융 흐름 지수가 조건 보다 낮은 비교예 4는 방사가 불가능하여 정상적인 부직포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물유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사이의 용융 흐름 지수 차이가 과도하게 큰 비교예 5는 방사가 불가능하여 정상적인 부직포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 흐름 지수가 25g/10분보다 낮고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의 용융 흐름 지수보다 낮은 비교예 6은 두께가 0.38mm이고 HOM 측정 결과가 5.2gf로 두께가 너무 얇고 소프트성이 부족하여 하이 로프트 부직포로 적절한 물성을 달성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이 아닌 석유유래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비교예 7 및 8은 소각 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각각 4595 및 4708 kgCo2eq/ton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과다하여 친환경적인 특성을 달성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하이 로프트 부직포와 비교하여 친환경 소재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Bio-PE)를 포함하여 두께 및 부드러운 물성(Soft)이 향상되며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 하이로프트의 경우 두께가 0.62mm정도 나오는 반면에 본원발명은 0.62mm 내지 0.71mm 정도로 보다 두꺼우면서도, HOM 값이 2.9gf 내지 3.2gf로 더욱 부드러워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A: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성분이 방사된 필라멘트
B: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성분이 방사된 필라멘트

Claims (14)

  1.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
    을 복합 방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제1성분의 점도 및 융점이 상기 제2성분보다 높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의 융점은 150~170℃이고, 용융 흐름 지수는 25~60g/10분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의 융점은 120~130℃이고, 용융 흐름 지수는 16~24g/10분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4. 제2항 또는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 사이의 용융 흐름 지수 차이가 20g/10분 이하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은 70:30 내지 50:50의 중량비를 갖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은 단독으로 방사하여 소각할 시 이산화탄소가 1,350kgCO2eq/ton 이하로 배출되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소각 시 이산화탄소가 4,000 kgCO2eq/ton 이하로 배출되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0.6 내지 0.8mm 두께를 갖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HOM(Handle-o-meter)의 측정 결과 2.5 내지 4.5gf인,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방사되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엠보롤을 이용한 열접착에 의해 부직포로 제조되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 및 상기 제2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각각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고,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하여 형성되는,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13.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각각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고,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연신한 후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고,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성분의 점도 및 융점이 상기 제2성분보다 높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14.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성분 및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성분을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로 용융시켜 각각의 폴리머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방사가 가능한 노즐로 방사하는 단계;
    방사된 필라멘트에 냉각공기를 부여하여 고체화시킨 후, 고체화된 필라멘트를 연신과정을 통해 연신한 후 연신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 스크린 벨트에 집적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집적된 부직포 웹을 열접착으로 결합하여 부직포 웹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성분의 점도 및 융점이 상기 제2성분보다 높은,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PCT/KR2020/017615 2019-12-18 2020-12-04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12564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87428.8A CN114829690A (zh) 2019-12-18 2020-12-04 包含植物来源的聚乙烯的生态友好型复合纤维纺粘非织造织物以及用于制造其的方法
JP2022533234A JP2023505174A (ja) 2019-12-18 2020-12-04 植物由来ポリエチレンを含有する親環境複合纎維スポンボンド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631 2019-12-18
KR1020190169631A KR102294746B1 (ko) 2019-12-18 2019-12-18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643A1 true WO2021125643A1 (ko) 2021-06-24

Family

ID=7647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615 WO2021125643A1 (ko) 2019-12-18 2020-12-04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3505174A (ko)
KR (1) KR102294746B1 (ko)
CN (1) CN114829690A (ko)
TW (1) TWI764442B (ko)
WO (1) WO20211256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341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열접착성 섬유웹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열접착성 섬유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55B1 (ko) 2021-07-23 2024-03-06 남춘환 외부 경관과 태양광 발전 효율이 조화된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KR20230059022A (ko) 2021-10-25 2023-05-03 남춘환 면상 감지 레인 센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602A (ko) * 2011-04-27 2012-11-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한 복합 친환경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3359A (ko) * 2012-12-26 2014-07-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생산성이 향상된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한 복합 친환경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385B1 (ko) * 2013-05-21 2014-10-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하는 친환경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18522149A (ja) * 2015-07-31 2018-08-0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成形された不織布
JP2018199886A (ja) * 2017-05-30 2018-12-20 東レ株式会社 不織布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813B1 (ko) * 1999-06-08 2006-09-29 도레이 가부시끼가이샤 소프트 스트레치사 및 제조 방법
US20040201125A1 (en) * 2003-04-14 2004-10-14 Nordson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high-loft spunbond non-woven webs and product formed thereby
US20050166451A1 (en) * 2003-07-09 2005-08-04 Stachnik Mieczyslaw M. Breathable plant container
WO2009145778A1 (en) * 2008-05-30 2009-1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olylactic acid fibers
KR101231960B1 (ko) * 2011-07-18 2013-02-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락트산의 복합방사를 통한 친환경성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5851787B2 (ja) * 2011-09-30 2016-02-03 帝人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複合繊維および不織布
CN107106355B (zh) * 2014-11-06 2020-11-03 宝洁公司 卷曲纤维纺粘非织造网/层压体
JP6946441B2 (ja) * 2017-01-31 2021-10-0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成形不織布及び成形不織布を含む物品
CN107215034A (zh) * 2017-04-26 2017-09-29 博爱(中国)膨化芯材有限公司 一种在线热复合速渗导流材料
US10577722B2 (en) * 2017-06-30 2020-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haped nonwove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602A (ko) * 2011-04-27 2012-11-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한 복합 친환경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3359A (ko) * 2012-12-26 2014-07-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생산성이 향상된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한 복합 친환경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385B1 (ko) * 2013-05-21 2014-10-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하는 친환경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18522149A (ja) * 2015-07-31 2018-08-0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成形された不織布
JP2018199886A (ja) * 2017-05-30 2018-12-20 東レ株式会社 不織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1341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열접착성 섬유웹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열접착성 섬유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64442B (zh) 2022-05-11
KR20210078017A (ko) 2021-06-28
CN114829690A (zh) 2022-07-29
JP2023505174A (ja) 2023-02-08
KR102294746B1 (ko) 2021-08-26
TW202136605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25643A1 (ko) 식물유래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친환경 복합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4350258B2 (ja) 染色性に優れた軽量繊維
US5993714A (en) Method of making low density microfiber nonwoven fabric
WO2020147232A1 (zh) 一种吸水擦拭巾及其制造方法
JPS5584420A (en) Method of making side by side conjugate fiber with no crimp
WO2020147229A1 (zh) 一种纺粘擦拭巾及其制造方法
WO2013048077A1 (en) Polyester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203484A1 (en) Non-woven fabric of crimped composite fiber and laminate thereof, and article including the laminate
WO2020147230A1 (zh) 一种擦拭巾及其制造方法
KR960007849A (ko) 용융접착성 복합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퓨즈 직물 또는 표면재
WO2014208900A1 (ko) 담배필터용 라이오셀 소재 및 그 제조방법
WO2023070981A1 (zh) 一种丝柔细旦无纺布及其制造方法
KR101261690B1 (ko)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06527A1 (ko)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WO2023090916A1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물품
WO2023090674A1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물품
JPH10266056A (ja) ポリオレフィン複合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241913A1 (ko)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부직포를 사용한 위생용품
WO2023090917A1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물품
WO2021006528A1 (ko)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WO2023090914A1 (ko) 복합 부직포 및 물품
WO2023090913A1 (ko) 부직포,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물품
JPH0811864B2 (ja) 熱接着性繊維からなる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127989A1 (ko) 생분해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140766A (ja) ポリオレフィン複合長繊維不織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09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323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009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