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22480A1 -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22480A1
WO2020222480A1 PCT/KR2020/005510 KR2020005510W WO2020222480A1 WO 2020222480 A1 WO2020222480 A1 WO 2020222480A1 KR 2020005510 W KR2020005510 W KR 2020005510W WO 2020222480 A1 WO2020222480 A1 WO 20202224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juice
lingonberry
antioxidant
bilber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5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르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르나
Publication of WO20202224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224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bilberry juice, seabuckton juice, and lingonberry juice, and specifically relates to an antioxidant food composition comprising bilberry juice, seabuckton juice and lingonberry juice.
  • Registration Patent No. 10-1701636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flax seeds and berries, rice bran, rice bran, and Registration Patent No. 10-190671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sugar composition using berries and subsidiary materials, and There is a method for preparing a rice cake food composition containing liquid sugars thus prepared, but the antioxidant efficacy is not disclosed in detai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having high antioxidant activity, including a juice of bilberry, seabuckton, and lingonberry having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antioxidant composition.
  • a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bilberry juice, seabuckton juice, and lingonberry juice.
  • the antioxidant composition may be included in a concentration of 0.01 to 1 mg/ml, preferably 0.25 to 1 mg/ml, more preferably 0.5 to 1 mg/ml.
  • the antioxidant composition is not limited, but bilberry juice: Seabuckton juice: lingonberry juice may be included in a weight ratio of 1 to 2: 1 to 2: 1 to 2.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antioxidant composition.
  • the antioxidant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n additive or auxiliary material acceptable for food.
  • the additive or auxiliary material may include sugar, sweetener, milk cream, flavor,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may include crystalline glucose, crystalline cellulose, maltodextrin, fructo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crystalline fructose, lactose mixed powder, vegetable cream powder, bromelain, isomalt, xylitol,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antioxida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to various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by commonly known methods, for example, liquids (beverages, pouches), tablets, pills, capsules, sticks, films, jelly types, etc. Can be manufactured.
  •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ntioxidant activity, can provide an antioxidant composition that is recognized as a preservative effect, can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sition.
  • Figure 3 show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measurement results of lingonberry.
  • Figure 4 show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measurement results of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as a control.
  • Example 6 show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measurement results for each concentration of Example 1.
  • Example 7 show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measurement results for each concentration of Example 2.
  • It provides a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bilberry juice, seabuckton juice, and lingonberry juice.
  • Bilberry, seabuckton, and lingonberry were juiced in the following manner.
  • Bilberries are collected and cooled at 2 to 8°C. Frozen storage at -35 to -30°C for 20 to 22 hours, and then stored in a freezer at -22 to -18°C. Thereafter, the leaves and impurities are removed, washed, and heated to 35 to 40°C. 40 to 80 ml/ton of Fructozym color was added to the warmed bilberry, reacted for 2 to 8 hours to juice, and the juice was pasteurized at 84° C. for 30 seconds.
  • Seabuckton branches were cut and cooled at -35 to -30°C for 20 to 22 hours. Fruits were collected from the branches, and the collected fruits were heated at 35 to 40°C. Fruits were juiced and pasteurized at 84° C. for 35 seconds.
  • the lingonberries are collected and cooled at 2 to 8°C. Store frozen at -35 to -30°C for 20 to 22 hours. Thereafter, leaves, impurities, etc. are removed, washed, and heated to 35 to 40°C. 150ml/th. of panzyme was added to the heated lingonberry, followed by enzymatic reaction for 2 to 8 hours. Then, the juice was juiced, and the juice was pasteurized at 84° C. for 35 seconds.
  • DPPH (2,2-diphenyl-1-picryl 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by modifying the Blois method, and the specific method is as follows.
  • Free radical elimination rate (%) [(Acontrol-Asample)/Acontrol] X 100
  • Bilberry juice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among the juices at 96.53%, 95.04%, 89.45%, 74.56%, 50.73%, 33.60% and 32.49%, respectively, and Seabuckton juice was 93.67%, 93.55%, and 32.49%, respectively. It was found to be 90.57%, 66.37%, 42.04%, 33.72%, 31.86%, and lingonberry juice 68.97%, 60.16%, 48.37%, 45.64%, 34.34%, 28.63%, 11.26%, the lowest scavenging ability among the juices. Showed.
  • concentrations of the control BHA showed high absorbance of 98.89%, 92.23%, 88.46%, 87.46%, 81.10%, 68.29% and 50.37%, respectively.
  • Examples 1 to 5 were prepared by mixing the juiced bilberry, sea buckton, and lingonberry as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 Bilberry Vaccinium myrtillus L.
  • Seabuckton Hydrophilicity
  • Lingonberry Vaccinium vitis-idaea L.
  • the concentrations of Examples 1 to 5 prepared above were 1.0, 0.5, 0.25, 0.125, 0.0625, 0.0313, and 0.0156mg/ml,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valuation method procee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al example,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S. 6 to 11.
  •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 the concentration of BHA as a control group was 1.0, 0.5, 0.25, 0.125, 0.0625, and 0.0313mg/ml, showing high absorbance.
  • the concentrations of 1.0, 0.5, and 0.25 mg/ml showed similar values to BH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방부제 효과가 인정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본 발명은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기술의 빠른 발달로 사람의 평균수명은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나 육식 위주의 식습관으로 인해 당뇨병, 비만, 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생명현상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은 노화를 비롯한 인체의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트레스, 환경오염, 흡연 등에 의해서도 생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생산되는 상당수의 건강관련 제품개발은 자유라디칼을 중화시키는 항산화 효능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실정이다.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과채류들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고, 실제도 이들은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들이 다수 출시된 상황이다.
그러나 이들 건강기능식품은 대부분 특정 과채류의 성분을 단일 성분으로 포함한 것일 뿐, 항산화 효능이 인정되는 여러 성분을 혼합하여 항산화 활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 중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현대인들의 건강 관련 니즈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항산화 조성물, 또는 항산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701636호 아마씨와 베리류, 쌀눈,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및 등록특허 제10-1906717호 베리류 및 부재료를 이용한 액상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액상당류를 포함하는 떡류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등이 있으나, 항산화 효능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빌베리, 씨벅톤 및 링곤베리의 착즙액을 포함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0.01 내지 1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제한되지 않지만 빌베리 착즙액 : 씨벅톤 착즙액 : 링곤베리 착즙액은 1~2 : 1~2 : 1~2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산화 조성물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 또는 부원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 또는 부원료에는 설탕, 감미료, 유크림, 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는 결정포도당, 결정셀룰로오스, 말토덱스트린, 프락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결정과당, 유당혼합분말, 식물성크림분말, 브로멜라인, 이소말트, 자일리톨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산화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액제(음료, 파우치), 정제, 환제, 캡슐, 스틱형, 필름형, 젤리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방부제 효과가 인정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빌베리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씨벅톤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링곤베리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대조구인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빌베리, 씨벅톤, 링곤베리의 농도별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농도별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농도별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농도별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4의 농도별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5의 농도별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대조군의 농도별 DPPH 라디컬 소거능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실시예 및 예비 실험예, 실험예 등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예비 실험예,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예비 실험예,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빌베리, 씨벅톤, 링곤베리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착즙하였다.
1. 빌베리 착즙
빌베리를 채취하여 2 내지 8℃에서 냉각시킨다. -35 내지 -30℃에서 20 내지 22시간 동안 냉동 저장하고, 이후 -22 내지 -18℃의 냉동고에서 저장시킨다. 이후 잎, 불순물 등을 가려내어 세척하고, 35 내지 40℃로 가온시킨다. 가온된 빌베리에 Fructozym color을 40 내지 80ml/ton을 투입하여 2 내지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착즙하고, 착즙액을 84℃에서 30초간 저온살균(pasteurization)하였다.
2. 씨벅톤 착즙
씨벅톤 가지를 잘라 -35 내지 -30℃에서 20 내지 22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상기 가지로부터 열매를 채취하고, 채취한 열매를 35 내지 40℃에서 가온시켰다. 열매를 착즙하고, 84℃에서 35초간 저온살균(pasteurization)하였다
3. 링곤베리 착즙
링곤베리를 채취하여 2 내지 8℃에서 냉각시킨다. -35 내지 -30℃에서 20 내지 22시간 동안 냉동 저장한다. 이후 잎, 불순물 등을 가려내어 세척하고, 35 내지 40℃로 가온시킨다. 가온된 링곤베리에 팬자임(panzyme)을 150ml/th.를 투입하여 2 내지 8시간 동안 효소 반응시킨다. 이후에 착즙하고, 착즙액을 84℃에서 35초간 저온살균(pasteurization)하였다.
<예비실험예> 빌베리, 씨벅톤, 링곤베리 각각의 항산화능 평가
상기 제조예에서 착즙한 빌베리, 씨벅톤, 링곤베리의 각 착즙액의 항산화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DPPH(2,2-diphenyl-1-picryl hydrazyl) radical 소거능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고, 구체적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착즙액의 농도를 달리하여 희석한 시료 50㎕에 1.5×10-⁴mM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용액 150 ㎕을 가한 다음, 30분간 암실에서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으로는 방부제로 사용되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을 이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디칼 소거능(%)을 다음의 식으로 계산한 후 각 농도별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검량선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50%가 되는 농도인 IC50을 구하였다.
자유 라디컬 소거 비율(%) = [(Acontrol - Asample)/Acontrol] X 100
각 원료 착즙액과 대조군인 BHA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각각 1.0, 0.5, 0.25, 0.125, 0.0625, 0.0313, 0.0156mg/ml의 농도로 비교한 결과를 도 1 내지 5에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 각 농도별로 측정한 배리 착즙액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에 따라 높아졌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adical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빌베리 착즙액에서 농도별로 각각 96.53%, 95.04%, 89.45%, 74.56%, 50.73%, 33.60%, 32.49%로 착즙액 중에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씨벅톤 착즙액이 93.67%, 93.55%, 90.57%, 66.37%, 42.04%, 33.72%, 31.86%로 나타났으며, 링곤베리 착즙액 68.97%, 60.16%, 48.37%, 45.64%, 34.34%, 28.63%, 11.26%로 착즙액 중 가장 낮은 소거능을 보였다.
대조구인 BHA의 농도 별로 각각 98.89%, 92.23%, 88.46%, 87.46%, 81.10%, 68.29%, 50.37%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빌베리, 씨벅톤, 링곤베리의 착즙액은 모두 소거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 내지 5>
착즙한 빌베리, 씨벅톤, 링곤베리를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이 배합하여 실시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빌베리 (Vaccinium myrtillus L.) 씨벅톤 (Hippophae rhamnoides L.) 링곤베리 (Vaccinium vitis-idaea L.)
배합비
1 1 1 1
2 2 2 1
3 1 2 1
4 2 1 1
5 2 2 2
<실험예>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의 농도를 1.0, 0.5, 0.25, 0.125, 0.0625, 0.0313, 0.0156mg/ml로 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하여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예비 실험예의 항산화 활성 평가 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평가 결과는 도 6 내지 11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adical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조군인 BHA의 농도 1.0, 0.5, 0.25, 0.125, 0.0625, 0.0313mg/ml에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5의 농도 1.0, 0.5, 0.25 mg/ml에서 BHA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높은 항산화 활성이 인정되며, 천연보존료 및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4)

  1.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은 1~2 : 1~2 : 1~2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조성물의 농도는 0.25 내지 1mg/ml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CT/KR2020/005510 2019-05-02 2020-04-27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WO202022248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32A KR102070701B1 (ko) 2019-05-02 2019-05-02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019-0051432 2019-05-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2480A1 true WO2020222480A1 (ko) 2020-11-05

Family

ID=6932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510 WO2020222480A1 (ko) 2019-05-02 2020-04-27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0701B1 (ko)
WO (1) WO2020222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823B1 (ko) * 2020-07-15 2020-12-01 주식회사 오르나 블랙커런트, 링곤베리 및 씨벅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2590758B1 (ko) * 2021-02-16 2023-10-1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28028B1 (ko) * 2021-07-01 2021-11-17 (주)모노랩스 집중력 향상용 젤리형 조성물
KR20230115440A (ko) 2022-01-27 2023-08-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채류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5783A1 (en) * 2009-02-23 2010-08-26 Nutragenesis, Llc Antioxidant Compositions, Beverage Formulations Thereof, and Methods of Increasing Antioxidant Capability
KR20180075504A (ko) * 2015-09-23 2018-07-04 리옥신 이노베이션 그룹, 엘엘씨 플라보노이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36B1 (ko) 2015-10-01 2017-02-02 박호근 아마씨와 베리류, 쌀눈,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1906717B1 (ko) 2017-03-31 2018-10-11 송정부 베리류 및 부재료를 이용한 액상당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액상당류를 포함하는 떡류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5783A1 (en) * 2009-02-23 2010-08-26 Nutragenesis, Llc Antioxidant Compositions, Beverage Formulations Thereof, and Methods of Increasing Antioxidant Capability
KR20180075504A (ko) * 2015-09-23 2018-07-04 리옥신 이노베이션 그룹, 엘엘씨 플라보노이드 조성물 및 사용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2 July 2017 (2017-07-12),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gradium.co.kr/antioxidant-rich-berries> *
OLAS, B.: "Berry phenolic antioxidnats-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FRONTIERS IN PHARMACOLOGY, vol. 8, 7 September 2018 (2018-09-07), pages 1 - 14, XP055756378 *
WANG, W. D.: "Effects of different maceration enzymes on yield, clarity and anthocyanin and other polyphenol contents in blackberry juice",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44, 2009, pages 2342 - 2349, XP05575638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701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22480A1 (ko) 빌베리 착즙액, 씨벅톤 착즙액 및 링곤베리 착즙액를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Tril et al. Chemical, physicochemical, technologic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ich-fibre powder extract obtained from tamarind (Tamarindus indica L.)
WO2011007924A1 (ko) 신규한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및 이를 스타터로 사용한 발효식품 및 조성물
US20070202205A1 (en) Carbohydrase Inhibitors Derived From Chestnut And Use Thereof
DE10262018B4 (de) Zusammensetzungen, Nahrungs-, Lebens-, und Genussmittel, Süßwaren, Tierfuttermittel, diätische Spezial-Ernährung, Kinderernährung, Süßungsmittel und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kondensierte Palatinose
DE10242062B4 (de) Hydrierte kondensierte Palatinos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KR20060111561A (ko) 해조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당질 가수 분해 효소 저해제
DE19720767A1 (de) Pharmazeutisches Produkt, insbesondere zur Therapie und Prophylaxe von Herz-Kreislauf-Erkrankungen
JP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KR20130041636A (ko) 마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피로, 염증성 장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US20070053929A1 (en) Marine algae extract and lipase inhibitor containing the same
KR100760263B1 (ko) 자미고구마를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음료조성물의제조방법
JPH11180888A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菌用の抗菌剤、感染予防剤および食品
Bolotov et al. Effect of natural carotenoids and anthocyanins on properties of healthy food products
WO2018016912A1 (ko) 영양성분이 강화되고 혈당상승이 억제된 시리얼 바
KR20140108822A (ko)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KR101482044B1 (ko) 하수오 및 생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89432B1 (ko) 해조류로부터 분리된 황산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6691A (ko) 감자의 생리활성 화합물을 증가시키는 가공기술
IT202000015268A1 (it) Idrolizzato di fibra vegetale e suoi usi nell’alimentazione umana ed animale
RU2271125C1 (ru) Мармелад для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KR101780718B1 (ko) 도라지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064521A (ko) 죽염 및 쥐눈이콩을 포함하는 발효조성물
KR20140059961A (ko) 블루베리 국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국수
KR102582272B1 (ko)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82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82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2.04.202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82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