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2272B1 -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2272B1
KR102582272B1 KR1020230028878A KR20230028878A KR102582272B1 KR 102582272 B1 KR102582272 B1 KR 102582272B1 KR 1020230028878 A KR1020230028878 A KR 1020230028878A KR 20230028878 A KR20230028878 A KR 20230028878A KR 102582272 B1 KR102582272 B1 KR 10258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ghulu
syrup
concentrate
produc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희
Original Assignee
조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희 filed Critical 조상희
Priority to KR1020230028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23L19/05Stuffed or cored products; Multilayered or coated products;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말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탕후루 시럽 제조시 기존의 설탕 대신 이소말트를 사용함으로써 상온에서 시럽이 잘 녹지 않아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치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탕후루의 제조방법은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매우 간편한 방법이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는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윤기, 식감, 풍미 등이 부여되고 칼로리가 낮아 비만을 억제할 수 있어 당뇨병 환자도 부담없이 시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anghulu syrup and method for producing Tanghulu syrup using Tanghulu syrup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탕후루 시럽 제조시 사용되던 설탕 대신 이소말트를 이용함으로써 탕후루 제조시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하고, 윤기, 식감, 풍미 등을 부여할 수 있는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탕후루는 중국 북경지역을 대표하는 전통 간식으로서, 긴 나무 막대에 산사나무 열매 등 여러가지 과일을 끼운 후 각종 달콤한 요리당을 바른 후 건조시켜 만든 것을 예시한다. 탕후루는 북경 지역을 대표하는 중국 전통 간식거리 중 하나로, 본래는 중국 송나라 때 시작된 황궁의 음식이었다. 북송시대의 황제인 광종에게는 애첩인 황귀비가 있었는데, 황귀비는 병에 걸려 어떠한 약제에도 회복되지 않았다. 그러던 중 한의사 한 명이 산사나무 열매와 설탕을 함께 달여 식전에 5 내지 10개씩 먹게 하였는데, 그 결과 황귀비는 완쾌하게 되었다. 이 소식이 민간에까지 전해지면서 백성들은 산사를 긴 나무에 엮어 팔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탕후루의 유래로 전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딸기, 토마토, 키위 등 여러 가지 과일로 만든 탕후루가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산사나무 열매는 소화를 돕는 데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름진 중국 음식을 먹은 뒤에 유용하므로, 산사나무 열매를 이용한 탕후루가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중국실용신안(CN 2912273 Y)은 "부드러운 스윗 당의를 입힌 산사나무"로서, 외면에 1층의 당의를 담그고 나서 당의 외면에 다시 1층 당의를 형성시켜 2층 구조의 젤리 사탕 과자 꼬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단지 꼬치에 과일을 고정한 후 과일 외면에 당의(요리당)를 2회 코팅함으로써 단순히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가지나,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이나 균열(크랙)이 형성되는 것이 자주 발생되고, 식감, 윤기, 풍미 등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하고, 윤기, 식감, 풍미 등을 부여할 수 있는 탕후루를 제조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기존의 탕후루 시럽 제조시 사용되던 설탕 대신 이소말트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치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윤기, 식감, 풍미 등을 부여하고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치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윤기, 식감, 풍미 등을 부여하고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탕후루 시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치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윤기, 식감, 풍미 등을 부여하고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탕후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소말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1) 이소말트, 수크랄로스, 구연산, 과일 농축액, 정제수, 향료 및 천연색소를 혼합하는 단계; 및
(S2)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단계 (S1)에서 이소말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 내지 30 중량부, 과일 농축액 0.5 내지 5 중량부,수크랄로스 0.01 내지 0.27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04 중량부, 향료 0.2 내지 1.2 중량부 및 천연색소 0.05 내지 0.4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과일 농축액은 딸기 농축액, 포도 농축액, 바나나 농축액, 거봉 농축액, 귤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방울토마토 농축액, 한라봉 농축액, 샤인머스캣 농축액, 파인애플 농축액, 체리 농축액, 사과 농축액, 망고 농축액 또는 키위 농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제공한다.
상기한 또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탕후루 시럽 제조시 기존의 설탕 대신 이소말트를 사용함으로써 상온에서 시럽이 잘 녹지 않아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치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탕후루의 제조방법은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매우 간편한 방법이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는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윤기, 식감, 풍미 등이 부여되고 칼로리가 낮아 비만을 억제할 수 있어 당뇨병 환자도 부담없이 시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소말트(Isomalt)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설탕시럽은 흡습력이 높아 과일에서 나오는 수분과 결합하여 상온에서 녹아내리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소말트의 흡습력은 설탕보다 낮아 상온에서 잘 녹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탕후루 시럽 제조시 기존의 설탕 대신 이소말트를 사용함으로써 상온에서 시럽이 잘 녹지 않아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치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이소말트 (수소화 이소말툴로스)는 1,6-GPS 및 1,1-GPM을 주성분으로 하며, 비우식원성, 저발열량 및 당뇨병에 대한 적합성 때문에 유리한 당 대체물이다. 상기 이소말트는, 당알코올형 설탕 치환제로 설탕의 0.45배의 감미도를 나타낸다. 이소말트는 그의 낮은 칼로리 함량, 우수한 열 안정성 및 경질 사탕의 제조에 사용되는 여타 성분과 조합시 불활성인 성질으로 인하여 "무-당" 경질 사탕을 위한 수크로스의 직접적인 대체물로 사용될 수 있다 (문헌 [H. Schiweck, et al. (2005) SugarAlcohol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VCH]).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1) 이소말트, 수크랄로스, 구연산, 과일 농축액, 정제수, 향료 및 천연색소를 혼합하는 단계
(S2) 상기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상기 단계 (S1)에서 이소말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 내지 30 중량부, 과일 농축액 0.5 내지 5 중량부, 수크랄로스 0.01 내지 0.27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04 중량부, 향료 0.2 내지 1.2 중량부 및 천연색소 0.05 내지 0.4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본 발명의 목적효과를 수득할 수 없다.
상기 수크랄로스는 설탕보다 가격이 싸고 당도는 300배 이상 높으며 설탕 가격이 불안정했던 시기에 설탕의 대체품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수크랄로스는 인체에서 대사 작용하지 않으며 소화기에 흡수되지 않고 배설된다. 따라서 칼로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히 당뇨병 환자에게는 설탕을 섭취하지 않고도 단맛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그러나 수크랄로스가 방광암을 유발한다는 발표가 있은 이후 발암 물질이라는 논란이 있었으나, 1993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인체에 안전한 감미료임이라는 사실이 증명되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수크랄로스를 사용함으로써 탕후루 시럽의 단맛을 보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과일 농축액은 대상 과일의 농축액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딸기 농축액, 포도 농축액, 바나나 농축액, 거봉 농축액, 귤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방울토마토 농축액, 한라봉 농축액, 샤인머스캣 농축액, 파인애플 농축액, 체리 농축액, 사과 농축액, 망고 농축액 또는 키위 농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향료와 수크랄로스 및 구연산을 사용함으로써 시럽에 원물 맛이 보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향료 및 천연색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혼합물은 120 내지 180℃에서 가열하며 이러한 공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탕후루 제조시 기존의 설탕을 사용하게 되면 설탕 타서 탄맛이 강하게 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라 이소말트를 사용함으로써 180℃로 가열해도 타지 않아 탄맛이 전혀 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탕후루 시럽에 과일을 묻혀서 과일 탕후루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과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딸기, 포도, 바나나, 거봉, 귤, 블루베리, 방울토마토, 한라봉, 샤인머스캣, 파인애플, 체리, 사과, 망고 또는 키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탕후루 시럽 제조시 기존의 설탕 대신 이소말트를 사용함으로써 상온에서 시럽이 잘 녹지 않아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치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탕후루의 제조방법은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매우 간편한 방법이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는 과일 표면에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이 일어나지 않으며, 윤기, 식감, 풍미 등이 부여되고 칼로리가 낮아 비만을 억제할 수 있어 당뇨병 환자도 부담없이 시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탕후루 제조
이소말트 2kg에 정제수 400g, 딸기 농축액 40g, 수크랄로스 2g, 구연산 0.6g, 향료 10g 및 천연색소 2g를 혼합한 다음 180℃에서 가열하여 탕후루 시럽을 제조하였다.
상기 탕후루 시럽을 딸기에 묻혀서 딸기 탕후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이소말트 대신에 설탕을 사용하는 것을 제조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탕후루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관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탕후루의 관능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탕후루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단맛, 풍미,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 윤기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검사 방법으로는 5 점 비교 척도법을 사용하였으며, 아주 좋다는 5 점, 좋다 는 4 점, 보통이다는 3 점, 싫다는 2 점, 아주 싫다는 1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고, 최종 응답된 점수를 합하여 산술평균값을 연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단맛 5.0 2.9
풍미 5.0 4.1
설탕의 탄맛 5.0 1
-18℃ 냉동 보관시 시럽의 흘러내림 문제 5.0 2.2
이에 붙음 5.0 1.9
윤기 5.0 2.9
전체적인 기호도 5.0 2.7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단맛, 풍미,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 윤기 및 전체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탕후루가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는 단맛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설탕 결정, 시럽의 흘러내림 및 균열(크랙) 형성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윤기가 흘러 기호도를 증대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탕후루 시럽 제조시 이소말트를 사용함으로써 180℃로 가열해도 타지 않아 탄맛이 전혀 나지 않은 반면 비교예 1의 설탕을 사용한 경우에는 탄맛이 강하게 나타났다.
<시험예 2> 체중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평가
실험동물로 ICR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탕후루를 첨가한 사료를 식이 급여하면서 사육 비교하였다.
본 실험에서 기본 식이는 AIN-76을 기본으로 단백질급원은 카제인(Japan), 탄수화물급원은 옥수수전분(제일제당), 지방급원으로 옥수수유(대상)을 사용한 정상군과 시험대조군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탕후루를 첨가한 사료는 매일 일정시간에 1 ml씩 경구 급여하였으며 식수는 임의로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동물 사육환경은 항온(20±2℃), 항습(50±5%)하고 12 시간 광주기로 일정 조건을 유지하면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서 2 마리씩 분리하여 사육하였다. 동물에서 콜레스테롤은 혈류를 따라 순환하며 몇몇 기관에서 합성되며 혈류 내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크면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분석항목은 (1)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사육이 끝난 실험동물은 12시간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er)를 흡입시켜 마취시킨 다음 복부 하대정맥으로부터 채혈하였으며, 헤파린을 처리하여 원심분리(15 mins, 3,000 RPM)로 혈장을 분리하여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동물의 내장(간, 부고환, 신장)을 혈액채취 후 즉시 적출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으로 수차례 헹군 후 표면 수분을 제거하여 비교 정량하였다. 혈장 중성지질은 McGowan 등(1983)의 효소법을 이용한 발색방식의 중성지방 측정용 시액(Asan kit)을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장 총 콜레스테롤은 Allain 등(1974)의 효소법을 응용한 총콜레스테롤 측정용 시액(Asan kit)를 사용하여 발색처리하여 5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콜레스테롤 표준곡선과 비교 정량하는 방식으로 하였으며, 장기의 지질은 Folch 등(1957)의 방법으로 잘게 자른 후 2 ml, Chloroform: Methyl alcohol 2:1 용액하에서 추출하여 중성지질, 콜레스테롤은 혈장에서와 동일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각 항목은 통계처리하여 평균값으로 하였다.
(1) 체중변화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량을 하기 표 2 및 3에 각각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의 경우 실험 전에 비하여 체중이 유사 또는 저하되었고, 반면, 비교예 1의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경우 실험 전에 비하여 체중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3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를 경구 급여한 실험동물 및 정상군의 식이섭취량은 모두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전(g) 실험후(g)
실시예 1 27.55 25.52
비교예 1 27.53 28.33
식이섭취량(g)
실시예 1 4.0
비교예 1 4.0
이를 통하여 모든 실험동물의 식이 섭취량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1의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를 섭취한 실험동물의 체중이 모두 증가하지 않고, 실험 전과 유사하거나 실험 전에 비하여 감소하여 항비만 탕후루로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2)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실험동물의 혈장 중성지질, 혈장 콜레스테롤, 부고환 중성지질, 신장 조직의 중성지질 및 간조직에서의 콜레스테롤을 하기 표 4 및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를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실험전에 비해 혈장 중성지질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비교예 1의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를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전(mg/dL) 실험후(mg/dL)
실시예 1 121 110
비교예 1 121 127
하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를 섭취한 시험대조군은 실험 전에 비해 혈장 콜레스테롤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비교예 1의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전(mg/dL) 실험후(mg/dL)
실시예 1 156 132
비교예 1 156 151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탕후루를 포함하는 식이는 중성지질의 양의 감소현상을 확인할 수 있어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키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미생물 검출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탕후루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탕후루를 -18℃ 냉동조건에서 보관하면서 1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제품의 미생물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미생물 검출 분석은 미생물 확인시험은 식품공전에 준하는 표준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품질관리 항목인 총균수, 대장균군, 황색포도상구균 총 3가지에 대한 미생물 항목을 시험 확인하였다. 저장기간이 12주 이상 경과된 시료는 곰팡이 항목을 추가하여 확인하였다. 시료 10g과 멸균된 생리식염수(0.85%) 90ml을 미생물 시료 균질기 백(Stomacher bag)에 담고 미생물 시료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시킨 후 시험액으로 사용하였고, 이 시험액 1ml을 3M사의 페트리필름지에 분주하여 Incubator (37±1℃)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콜로니 형성 균체를 계수한 후 2~3회 반복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시료 g당 세균수 (CFU/g)로 표시하였다. 곰팡이는 인큐베이터 (28±1℃)에서 3주 이상 배양 후 검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시험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1주 후 일반 세균수 1.2x10 2.4x10
대장균군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2주 후 일반 세균수 1.8x10 2.7x10
대장균군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3주 후 일반 세균수 2.8x10 4.6x10
대장균군 N.D N.D
황색포도상구균 N.D N.D
곰팡이 N.D N.D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주 보관 후 총 균수는 비교예 1의 탕후루의 경우 각각 2.4x10 CFU/g로 실시예 1의 탕후루의 1.2x10 CFU/g에 비해 총 균수가 다소 많이 검출되었고, 대장균군과 황색포도상구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S1) 이소말트, 수크랄로스, 구연산, 과일 농축액, 정제수, 향료 및 천연색소를 혼합하는 단계; 및
    (S2) 상기 혼합물을 120 내지 180℃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S1)에서 이소말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 내지 30 중량부, 과일 농축액 0.5 내지 5 중량부, 수크랄로스 0.01 내지 0.27 중량부, 구연산 0.01 내지 0.04 중량부, 향료 0.2 내지 1.2 중량부 및 천연색소 0.05 내지 0.4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농축액은 딸기 농축액, 포도 농축액, 바나나 농축액, 거봉 농축액, 귤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방울토마토 농축액, 한라봉 농축액, 샤인머스캣 농축액, 파인애플 농축액, 체리 농축액, 사과 농축액, 망고 농축액 또는 키위 농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탕후루 시럽.
  6. 제 5 항에 따른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30028878A 2023-03-06 2023-03-06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KR10258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878A KR102582272B1 (ko) 2023-03-06 2023-03-06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878A KR102582272B1 (ko) 2023-03-06 2023-03-06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272B1 true KR102582272B1 (ko) 2023-09-25

Family

ID=88190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878A KR102582272B1 (ko) 2023-03-06 2023-03-06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2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216A (ko) * 2013-08-02 2016-04-08 테이트 앤드 라일 인그리디언츠 어메리카즈 엘엘씨 감미 조성물
KR20170026340A (ko) * 2014-05-04 2017-03-08 피르메니히 에스아 가향 식품 및 음료 제품
KR20200130898A (ko) * 2019-05-13 2020-11-23 왕래순 딸기 탕후루 제조방법 및 그 딸기 탕후루
KR20210034404A (ko) * 2019-09-20 2021-03-30 (주)영수식품 탕후루 전용 요리당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8624A (ko) * 2020-06-24 2021-12-31 (주)영수식품 과일에 캔디코팅하는 전용시럽인 과일코팅액 및 그 제조방법(탕후루, 애플캔디, 링고아메 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216A (ko) * 2013-08-02 2016-04-08 테이트 앤드 라일 인그리디언츠 어메리카즈 엘엘씨 감미 조성물
KR20170026340A (ko) * 2014-05-04 2017-03-08 피르메니히 에스아 가향 식품 및 음료 제품
KR20200130898A (ko) * 2019-05-13 2020-11-23 왕래순 딸기 탕후루 제조방법 및 그 딸기 탕후루
KR20210034404A (ko) * 2019-09-20 2021-03-30 (주)영수식품 탕후루 전용 요리당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58624A (ko) * 2020-06-24 2021-12-31 (주)영수식품 과일에 캔디코팅하는 전용시럽인 과일코팅액 및 그 제조방법(탕후루, 애플캔디, 링고아메 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der Benders’ dictionary of nutrition and food technology
Bender A dictionary of food and nutrition
Yudkin Pure, white, and deadly: how sugar is killing us and what we can do to stop it
JPS63502558A (ja) 甘味菓子製品とその製法
CN107410648B (zh) 一种乳矿物盐凝胶糖果及其制备方法
KR102642871B1 (ko) 쇼트한 조직감의 캬라멜
RU2446709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го желе
US20140106034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andied fruit and vegetables and dried fruit and vegetables without sucrose by using sucrose substituent agents and respective candied fruit and vegetables
Barclay et al. The ultimate guide to sugars and sweeteners: Discover the taste, use, nutrition, science, and lore of everything from agave nectar to xylitol
KR102582272B1 (ko) 탕후루 시럽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탕후루 시럽을 이용하여 탕후루를 제조하는 방법
US20200329734A1 (en) Protein food product
CN116138435A (zh) 绿茶乳清蛋白Pickering乳液的沙拉酱及其制备方法
CN110326730A (zh) 一种改善肠道功能的海藻膳食纤维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401338B1 (ko) 신규한 꿀딸기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1308B1 (ko)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튀밥강정 제조방법
Silva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green banana-based fondant icing
KR100895629B1 (ko) 블루베리 엿 및 그 제조방법
Taleb Evaluation of some products from tartufi (Jerusalem artichoke) tubers
KR101219779B1 (ko)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는 다이어트용 양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38184B1 (ko) 호박차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호박차
CA3092729A1 (en) Protein food bar
KR102486201B1 (ko) 과일 숙성 진액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과일빵
KR102552842B1 (ko) 천연 추출물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789010C1 (ru) Варенье из ягод паслена черного и плодов хеномелеса с ядрами кедрового ореха
US20230079812A1 (en) COMPOSITION OF (D)-ß-HYDROXYBUTYRIC ACID, (D)-1,3 BUTANEDIOL AND DIGESTIBLE CARBOHYD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