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8846A1 -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8846A1
WO2020218846A1 PCT/KR2020/005375 KR2020005375W WO2020218846A1 WO 2020218846 A1 WO2020218846 A1 WO 2020218846A1 KR 2020005375 W KR2020005375 W KR 2020005375W WO 2020218846 A1 WO2020218846 A1 WO 20202188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lk
exosomes
skin
milk exosom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3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상훈
배인선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9407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20218846(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02188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88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0Milk; Whey; Colost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milk exosomes and a method for treating skin pigmentation disorders by administering milk exosomes.
  • melanin which determines the color of human skin, is produced in melanocytes.
  • melanin is a dark brown pigment formed by polymerization and oxidation reactions by enzymes such as tyrosinase present in melanocytes using tyrosine, an amino acid present in vivo, as a substrate.
  • the melanin formed in this way moves to epidermal cells called keratinocytes through dendritic processes of melanocytes.
  • Melanin that has migrated to keratinocytes can be removed by releasing them together from the skin as the keratinocytes break away from the epidermis.
  • melanin once formed is not degraded in vivo. Therefore, in order to brighten the skin, it can be said that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melanin is the ke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ncluding milk exosom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pigmentation diseases, including milk exosom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skin pigmentation disorders, comprising administering milk exosomes to an individual.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including milk exosomes.
  • the "milk exosome” refers to a vesicle of a lipid biworm derived from milk.
  • the exosomes contain milk-derived proteins and nucleic acids, and are biological nanoparticles having a size of 30 to 200 nm, and contain information including DNA, RNA, and peptides.
  • Exosomes safely transport internal substances from degrading enzymes in body fluids and transmit information to adjacent cells or distant cells, affecting the microenvironment around cells.
  • milk-derived milk exosomes have the advantage of not only being able to come into contact with food, but also extracting a large amount of exosomes and storing them in a stable state for a long time.
  • whitening means to whiten the skin, and to relieve or improve various pigmentation such as spots and freckles caused by excessive synthesis of melanin, activity of tyrosinase enzyme, excessive oxidation of L-DOPA, etc. Say that.
  • the milk exosom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miR-2478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1.
  • the milk exosomes may inhibit the expression of Ras-related protein Rap-1a (Rap1a).
  •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cytotoxic (FIG. 4), and when the milk exosomes were treated,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was inhibited, and a transcription factor that promotes melanin biosynthe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phosphorus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was also suppressed (FIGS. 5 to 7 ). In particular, it was directly confirmed that the synthesis of melanin, which darkens the skin by depositing a pigment on the skin, decreases (FIG. 8).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iR-2478, a micro RNA, was contained in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may be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external ointment, cream, foam, nutrient lotion, flexible lotion, pack, softening water, emulsion, makeup base, essence, soap, liquid detergent, bathing agent, sunscreen cream, sun oil, suspension, emulsion It can be prepared in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quid, paste, gel,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patch, and spray, but is limited thereto. no.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one or mor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s blended in general skin cosmetics, and as common ingredients, for example, oil, water, surfactants, moisturizers, lower alcohols, thickeners , A chelating agent, a colorant, a preservative, a fragrance,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one or mor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s blended in general skin cosmetics, and as common ingredients, for example, oil, water, surfactants, moisturizers, lower alcohols, thickeners , A chelating agent, a colorant, a preservative, a fragrance,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blen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includ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ntment,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etc.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polyamide powder, etc.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additional chlorofluorohard It may include a propellant such as locarbon,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a solvent, a solubiliz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and the like may be used, and in particular,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germ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 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transdermal administration method such as direct application or spraying on the skin, and the administration rout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 the amount of us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or formulations such as age and degree of lesion, and may be used from one week to several months by applying a small amount to the skin once to several times a day.
  • the skin whitening composi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 Foods to which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include sausage, meat, bread, chocolate, snacks, candy, confectionery, ramen, pizza, other noodles, gum,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beverages, tea ,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 the liquid component added in addition to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n additional component, such as a conventional beverage.
  • the natural carbohydrates described above are monosaccharides (e.g., glucose, fructose, etc.), disaccharides (e.g., maltose, sucrose, etc.) and polysaccharides (e.g., common sugars such as dextrin, cyclodextrin, etc.), and xylitol, sorbitol. And sugar alcohols such as erythritol.
  • the type of food may specificall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 the health functional foods include various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and enhancers (cheese, chocolate, etc.), pect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growth It may contain an agent, a pH adjuster, a stabilizer, a preservative, glycerin, alcohol, a carbonation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pulp for the manufacture of fruit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ese additives is generally selected from 0.001 to 50 parts by weight per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a food that emphasizes the biological regulation function of food, and is a food that has added value to act and express it for a specific purpose by using physical, biochemical, and bioengineering methods. Ingredients of these health functional foods are designed and processed to fully exert the body's control functions related to body defense, regulation of body rhythm, prevention and recovery of diseases to the living body, and food additives, sweeteners, or functional foods acceptable as foods. It may contain raw materials.
  •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health functional food (or a health functional beverage additive), the milk exosomes are added as they are or used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milk exosomes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improvement, therapeutic treatm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pigmentation diseases, including milk exosomes.
  • skin pigmentation disorder refers to all diseases that appear as skin pigments resulting from the production of melanin are deposited on the epidermis. Skin pigmentation results from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melanin in the epidermis. In mammalian melanocytes, melanin is synthesized in melanosomes containing the main pigment enzyme, tyrosinase.
  • the skin pigmentation disorder is related to abnormal accumulation of melanin pigment, and is caused by excessive exposure to ultraviolet rays, air pollution,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stress, spots, freckles, black spots, birthmarks, and drugs. Symptoms such as pigmentation, post-inflammatory pigmentation, hyperpigmentation occurring in dermatitis, and further, skin aging due to pigmentation, and skin cancer may be included.
  • the milk exosome may include miR-2478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and may inhibit the expression of Rap1a (Ras-related protein Rap-1a).
  • miR-2478 consisting of the nucleotide sequence of SEQ ID NO: 5, and may inhibit the expression of Rap1a (Ras-related protein Rap-1a).
  •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cytotoxic (FIG. 4), and when the milk exosomes were treated, the activity and expression of tyrosinase was inhibited, and a transcription factor that promotes melanin biosynthe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phosphorus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was also suppressed (FIGS. 5 to 7 ). In particular, it was directly confirmed that the synthesis of melanin, which darkens the skin by depositing a pigment on the skin, decreases (FIG. 8).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iR-2478, a micro RNA, was contained in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hibit hyperpigmentation by inhibiting melanin synthesis, and excellent treatment for skin pigmentation diseases caused by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can be exhibit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in addition to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dministration.
  • the carrier, excipient and diluent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in any formulation,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a parenteral formulation.
  • the parenteral formulation may be a spray type such as injection, application, or aerosol. More specifically, it may be in the form of an injectio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skin pigmentation disorders comprising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milk exosomes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Skin pigmentation disease' is as described above.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patient's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ge, type of disease, severity, drug Activity, sensitivity to drugs,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excretion,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ncurrent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a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capable of obtaining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in consideration of all the above factors, and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imals or humans with a skin pigmentation disorder whose symptoms can be improved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ministering the therapeu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nd treat skin pigmentation disorders.
  • administration means introduc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to humans or animals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therapeu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rough any general route as long as it can reach the target tissue. It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 the therapeu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by any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active ingredient to target cells.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the disease, the drug form,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composition containing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n-toxic and has excellent biocompatibility, and has excellent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enzym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and thus can be widely used in skin whitening and treatment of skin pigmentation diseases.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toxicity of milk exosomes through cell viability.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activity of the tyrosinase effect of the milk exosomes.
  • Figure 6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mRNA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nd MITF of milk exosomes ( Figure 6A: inhibition of mRNA expression of tyrosinase, Figure 6B: inhibition of mRNA expression of MITF).
  • Figure 8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milk exosomes.
  • Exosomes were extracted from cow-derived milk using a centrifuge. More specifically, milk was dispensed into a tube, centrifuged at 2000 g and 10,000 g for 10 minutes, respectively, to collect the supernatant. The collected supernatant was filtered through a 0.45 ⁇ m, 0.2 ⁇ m filter, and the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was mixed. Thereafter, Exoquick exosome precipitation solution (System Biosciences) was mixed with PBS and put thereinto, then paused for 30 minutes, and centrifuged again at 1500 g for 30 minutes. The supernatant was removed, and the exosome pellet was dissolved in PBS and used in subsequent experiments.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the size of the exosomes was measured through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the exosomes was 80-190nm (FIG. 1).
  • Proteins were isolated from milk exosomes using 10% SDS polyacrylamide gel. The isolated protein was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GE Health care), and then reacted with 5% skim milk for 1 hour to prevent non-specific binding of the antibody.
  • the CD9 (abcam)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in a ratio of 1:1000 and bound to the membrane at 4° C. for 12 to 18 hours. Then, it was combined with the HRP-tagged anti-rabbit antibody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Protein bands were observed using an ECL kit (Santa Cruz Inc).
  • Example 2 The shape and size of the milk exosomes extracted in Example 1 were observed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osomes exist in a spherical shape within the 200nm size as shown in FIG. 2.
  • the exosomes were treated with PKH26 staining solution for 5 minutes, and the exosomes stained on B16F10 cells, which are melanocytes, were reacted for 3 hours, and fluorescence was observed.
  • the B16F10 cells were treated with milk exosomes 20 ⁇ g/ml and 50 ⁇ g/ml for 24 hours, respectively, to measure cell viability. .
  • the group not treated with milk exosomes was used as a control group (Mock).
  • B16F10 cells were dispensed to a 96 well plate at 5 ⁇ 10 4 cells/ml, and cultured for 24 hours in an incubator at 37°C, 5%, and CO 2 .
  • the cultured cells were treated with milk exosomes and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the effect on cell viabil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method using an EZ-Cyrox cell viability assay kit (Daeil Lab Service).
  • B16F10 cells were treated with 20 ⁇ g/ml and 50 ⁇ g/ml of milk exosomes, respectively, to measure the activity of tyrosinase, and the group not treated with milk exosomes was used as a control (Mock).
  • B16F10 cells were treated with milk exosomes by concentration,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the medium was removed and washed with PBS.
  • 80 ⁇ l of 0.1M phosphate buffer and 40 ⁇ l tyrosinase were added. After adding 40 ⁇ l of 10 mM DOPA as a substrate, the reaction was performed at 37° C. for 30 minutes,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475 nm using a plate reader.
  • tyrosinase an important enzyme in the melanin biosynthesis process,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 transcription factor, tyrosinase through real-time PCR. And mRNA expression of MITF was confirmed.
  •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 Tri reagent Bioline
  • dNTP, M-MLV reverse-transcriptase (Promega), etc. were added to 1 ⁇ g RNA and then reacted at 37° C. for 1 hour to synthesize cDNA.
  •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using SYBR Green PCR Master mix (Bioline) to measure TYR and MITF mRNA expression.
  • PCR conditions for amplifying a specific gene were performed as follows. The reaction was performed at 95° C. for 10 minutes, followed by amplification for 40 cycles in one cycle at 95° C. for 15 seconds, 60° C. for 15 seconds and 15 seconds at 72° C.
  • the target gene mRNA expression level was corrected by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 to the actin expression level.
  • the primers used are as shown in Table 1 below.
  • the B16F10 cell line was attached to a 6-well plate at 2 ⁇ 10 5 cells/well, and then treated with milk exosomes and cultured for 24 hours. The collected cells were centrifuged at 16,500 g for 15 minutes to take a supernatant, and the protein concentration was quantified with a BSA kit (Bio-rad).
  • the extracted protein was separated using a 10% SDS polyacrylamide gel.
  • the isolated protein was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GE Health care), and then reacted with 5% skim milk for 1 hour to prevent non-specific binding of the antibody.
  • Primary antibodies of TYR (abcam), MITF (abcam), and Actin (Sigma) were diluted in a ratio of 1:1000 and reacted with the nitrocellulose membrane at 4° C. for 12 to 18 hours. Thereafter, after washing with PBS, HRP-tagged anti-rabbit antibody was added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Protein bands were observed using an ECL kit (Santa Cruz Inc.).
  • B16F10 cells were treated with milk exosomes to measure melanin content.
  • the B16F10 cell line was treated with milk exosomes at concentrations of 20 ⁇ g/ml and 50 ⁇ g/ml, respectively, and then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 cells were harvested. 1N NaOH containing 10% DMSO was added to the recovered cells and then reacted at 90° C. for 1 hour so that melanin could be sufficiently eluted,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405 nm using a plate reader.
  • B16F10 cells were treated with milk exosomes at concentrations of 20 ⁇ g/ml and 50 ⁇ g/ml, and then the expression of miR-2478 was confirmed.
  • the sequence of the miR-2478 is as follows.
  • B16F10 cells were dispensed on a 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2 ⁇ 10 5 cells/well, and milk exosomes were treated for 24 hours at each concentration. Thereafter, the cells were harvested, and cDNA was synthesized using a miScript Reverse Transcription kit (Qiagen) in 100 ng of total RNA extracted using 1 ml of TRI reagent (Bioline). 2 ⁇ l of the synthesized product was subjected to PCR reaction using miScript SYBR Green kit (Qiagen). The gene was amplified under the following PCR conditions.
  • a miScript Reverse Transcription kit Qiagen
  •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a whitening effect by inhibiting tyrosinase enzym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even without cytotoxicity. Accordingly, the milk exosom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for skin whit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우유 엑소좀을 투여하여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본 발명은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우유 엑소좀을 투여하여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melanin)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멜라닌은 생체 내 존재하는 아미노산인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멜라노사이트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등의 효소에 의한 중합화 산화 반응으로 형성되는 흑갈색의 색소이다. 이렇게 형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의 수지상 돌기를 통하여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세포로 이동하게 된다. 케라티노사이트로 이동한 멜라닌은 케라티노사이트가 표피에서 떨어져 나갈 때에 피부에서 함께 떨어져 나감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생체 내에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기 때문에 한번 형성된 멜라닌은 생체 내에서는 분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부를 밝게 하기 위하여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정서적으로 흰 피부를 선호하는 동양권의 생활 수준 향상과 더불어 피부 흑화가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로 인식되면서 미백 및 색소 침착 억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에 따라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글루타치온(glutathione), 알부틴(arbutin) 등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들이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중 대부분의 것은 효과가 불충분하거나 제형상 불안정한 면이 있어 활용도가 떨어진다. 특히 하이드로퀴논과 같은 화합물은 강한 탈색 작용을 나타내며 그 자체가 피부 감작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수 있고, 정상적인 피부의 기능을 변화시켜 백반증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어 피부에 대한 안전성 측면에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이라 하더라도 이러한 물질이 각질 형성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에 작용하여 멜라닌의 생합성을 촉진시키는 인자의 생성을 증가시킨다면, 결과적으로 미백 작용은 약화되거나 오히려 악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제가 좋은 미백제라고 볼 수 없으며, 이에 많은 티로시나아제 저해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거의 대부분이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미백 또는 색소 침착 억제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유 엑소좀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우유 엑소좀”은 우유 유래의 지질 이중충의 소낭을 말한다. 상기 엑소좀은 우유 유래의 고유의 단백질 및 핵산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30~200 nm 크기의 생체 나노입자로, 내부에 DNA, RNA, 펩타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정보가 담겨있다. 엑소좀은 내부의 물질을 체액 내 분해 효소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운반하여 인접 세포 또는 원거리 세포에 정보 전달을 하여 세포 주변의 미세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우유 유래의 우유 엑소좀은 식품으로도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양의 엑소좀이 추출되며, 긴 시간 동안 안정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미백”은 피부를 하얗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멜라닌의 과도한 합성이나, 티로시나아제 효소의 활성, L-DOPA의 과도한 산화 등으로 인한 기미, 주근깨 등의 다양한 색소 침착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우유 엑소좀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iR-2478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우유 엑소좀은 Rap1a(Ras-related protein Rap-1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이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도 4), 우유 엑소좀을 처리한 경우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및 발현이 억제되고, 멜라닌 생합성을 촉진하는 전사인자인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의 발현 역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도 7). 특히, 피부에 색소를 침착시켜 피부를 어둡게 하는 멜라닌의 합성이 감소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였다(도 8). 또한,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 내에 마이크로 RNA인 miR-2478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9).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1일 1회 내지 수회 적댱량을 피부에 도포하여 1 주일 내지 수개월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은 소세지, 육류, 빵, 초콜릿류, 스넥류, 캔디류, 과자류, 라면, 피자,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음료수로 제형화할 경우에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 외에 첨가되는 액체 성분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예,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구체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점증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보존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 식품은 과일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조성물 전체 중량당 0.001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 생체 조절 기능을 강조한 식품으로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특정 목적에 작용 및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이다. 이러한 건강기능 식품의 성분은 생체 방어와 신체 리듬의 조절, 질환의 방지 및 회복에 관계하는 신체 조절 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하게 되며, 식품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 감미료 또는 기능성 원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을 건강기능식품(또는 건강기능 음료 첨가물)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우유 엑소좀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우유 엑소좀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개선,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은 멜라닌의 생성으로부터 기인된 피부 색소가 표피에 침착됨으로써 나타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한다. 피부 색소 형성은 표피 내 멜라닌의 생성과 분포로부터 기인한다. 포유류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은 주 색소 효소인 타이로시나제를 함유한 멜라노좀(melanosome) 내에서 합성된다.
상기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은 멜라닌 색소의 비정상적 축적과 관련되어 있으며, 자외선에의 과다 노출 또는 대기 오염, 스트레스 등 외부의 환경 변화에 의해 멜라닌이 과다하게 형성된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으로 등의 증상, 나아가 색소 침착에 의한 피부 노화, 피부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유 엑소좀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iR-2478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Rap1a(Ras-related protein Rap-1a)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이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으며(도 4), 우유 엑소좀을 처리한 경우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및 발현이 억제되고, 멜라닌 생합성을 촉진하는 전사인자인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의 발현 역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5 내지 도 7). 특히, 피부에 색소를 침착시켜 피부를 어둡게 하는 멜라닌의 합성이 감소하는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하였다(도 8). 또한,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 내에 마이크로 RNA인 miR-2478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9).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할 수 있으며,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 등에 기인한 피부 색소 침착 질환에 대해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비경구용 제형일 수 있다. 비경구용 제형으로는 주사용, 도포용, 에어로졸 등의 스프레이 형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사제 형태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병, 연령,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가진 동물 또는 인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인간 또는 동물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독성이 없어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억제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미백 및 피부 색소 침착 질환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우유 엑소좀의 크기 및 엑소좀 마커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우유 엑소좀의 형태 및 크기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우유 엑소좀의 B16F10 세포 내로의 흡수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우유 엑소좀의 독성 여부를 세포 생존율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우유 엑소좀의 티로시나아제 효과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우유 엑소좀의 티로시나아제 및 MITF 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도 6A: 티로시나아제의 mRNA 발현 억제, 도 6B: MITF의 mRNA 발현 억제).
도 7은 우유 엑소좀의 티로시나아제 및 MITF 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우유 엑소좀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우유 엑소좀 처리에 따른 miR-2478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유 엑소좀(milk exosome) 제조방법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소 유래 우유에서 엑소좀을 추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유를 튜브에 분주하여, 2000g와 10,000g에서 각각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거하였다. 수거한 상층액을 0.45 μm, 0.2 μm 필터로 여과한 다음,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혼합하였다. 이후, Exoquick exosome precipitation solution (System Biosciences)을 PBS와 혼합하여 넣어 준 후, 30분 동안 휴지시키고, 1500g에서 30분간 다시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엑소좀 펠렛을 PBS에 용해시켜 이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1. 우유 엑소좀의 특성 확인
1-1. 우유 엑소좀의 크기 측정
우유 엑소좀의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동적 광산란 측정(dynamic light scattering, DLS)을 통해 엑소좀의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80~190nm 크기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
1-2. CD9 단백질 발현 확인
엑소좀 마커인 CD9 발현 여부를 웨스턴블롯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엑소좀 마커인 CD9 단백질이 엑소좀에서는 뚜렷이 관찰되었으며, 엑소좀 외에 상층액에서는 CD9 발현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우유 엑소좀에서 10% SDS 폴리아크릴마이드 젤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단백질은 니트로셀룰로오스막(GE Health care)으로 옮긴 후, 항체의 비특이적 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1시간 동안 5% 탈지분유에 반응시켰다. CD9(abcam) 1차 항체를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4 ℃에서 12 ~ 18시간 동안 막에 결합시켰다. 이후, HRP-tagged anti-rabbit 항체와 결합시켜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ECL kit(Santa Cruz Inc)를 사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관찰하였다.
1-3. 엑소좀의 형태 및 크기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우유 엑소좀의 형태 및 크기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엑소좀이 200nm 크기 내에서 구형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4. 엑소좀의 세포 내 흡수 확인
우유에서 추출한 엑소좀이 세포 내로 흡수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엑소좀을 PKH26 염색액으로 5분동안 처리하고, 멜라닌 세포인 B16F10 세포에 염색한 엑소좀을 3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엑소좀 펠렛을 1ml Diluent C를 첨가하고, 따로 1ml의 Diluent C는 4 μl의 PKH26 (Sigma)으로 혼합시켜 stain solution을 만들었다. 상기 stain solution을 Diluent C를 첨가한 엑소좀과 혼합하여 5분 동안 반응시켰고, 1% bovine serum albumin이 더해지면서 반응을 멈추었다. PKH26으로 표지된 엑소좀은 Exoquick exosome precipitation solution(System Biosciences)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추출하였다. 이후 형광 현미경(CELENA S digital imaging system, Logos Biosystems)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B16F10 세포 내에 염색된 엑소좀이 들어간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유에서 엑소좀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엑소좀의 세포 내 흡수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우유 엑소좀의 세포 독성 확인
멜라닌 세포인 B16F10 세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에 독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B16F10 세포에 우유 엑소좀을 각각 20 μg/ml 및50 μg/ml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우유 엑소좀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Mock).
B16F10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5x10 4 cells/ml이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 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에 우유 엑소좀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EZ-Cyrox 세포생존율 분석키트(Daeil Lab Service)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세포 생존율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우유 엑소좀을 처리한 군 모두에서 생존율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바,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이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TYR) 효소 활성 억제
피부에서는 티로시나아제 효소에 의해 색소침착이 일어나며,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에 의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이 억제되는지를 확인하였다. B16F10 세포에 우유 엑소좀을 각각 20 μg/ml 및50 μg/ml을 각각 처리하여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우유 엑소좀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Mock).
구체적으로, B16F10세포에 우유 엑소좀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하였다. 1% Triton X-100, 5mM EDTA, 0.1% 0.1M PMSF(phenylmethyl sulfonyl fluoride)를 혼합한 0.1M 포스페이트 완충용액으로 상기 세포를 수거한 후 얼음에서 30분간 용해시켰다. 그 후, 4℃, 16,500g 조건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티로시나아제 활성 측정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상층액 40 μl에 80 μl의 0.1M 포스페이트 완충용액과 40 μl 티로시나아제를 첨가하였다. 기질로서 40 μl의 10mM DOPA를 첨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파장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유 엑소좀을 20 μg/ml 및 50 μ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티로시나아제 및 MITF의 발현 억제 확인
4-1.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
우유 엑소좀이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및 전사인자인 MITF(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time PCR)을 통해 티로시나아제 및 MITF의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B16F10세포에서 우유 엑소좀을 처리 하고 24시간 후에 세포를 수거하였다. 상기 수거한 세포에Tri 시약(Bioline)을 반응시켜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역전사 반응을 실시하기 위하여 1 μg RNA에 dNTP, M-MLV reverse-transcriptase (Promega) 등을 첨가한 다음 37℃에서 1시간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TYR과 MITF mRNA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SYBR Green PCR Master mix(Bioline)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수행하였다. 특정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한 PCR 조건은 다음과 같이 시행하였다. 9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15초 95℃, 15초 60℃, 72℃ 15초를 한 주기로 하여 40 cycles 동안 증폭하였다. 표적 유전자 mRNA 발현량은 actin 발현량에 대한 상대적인 발현량으로 보정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서열번호 프라이머 종류 서열
1 TYR Forward 5'- CGA GCC TGT GCC TCC TCT AA -3'
2 TYR Reverse 5'- CCA GGA CTC ACG GTC ATC CA -3'
3 MITF Forward 5'- CAA ATG GCA AAT ACG TTA CCC G -3'
4 MITF Reverse 5'- CAA TGC TCT TGC TTC AGA CTC T -3'
그 결과,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유 엑소좀을 처리한 경우, 티로시나아제의 mRNA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처리된 우유 엑소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티로시나아제의 mRNA 발현 억제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티로시나아제 mRNA 발현이 20 μg/ml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49%, 50 μg/ml을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76%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티로시나아제의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유 엑소좀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중요한 전사인자인 MITF의 mRNA 발현 역시 억제됨을 확인하였으며, 처리된 우유 엑소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MITF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MITF mRNA 발현이 20 μg/ml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59%, 50 μg/ml을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85%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MITF의 mRNA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4-2. 웨스턴블롯(Western blot)
우유 엑소좀이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 중요한 전사인자인 티로시나아제 및 MITF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아제 및 MITF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확인하였다.
B16F10세포주를 2×10 5 cells/well로 6 웰 플레이트에 부착시킨 다음, 우유 엑소좀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수거한 세포를 16,500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단백질 농도를 BSA 키트(Bio-rad)로 정량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은 10% SDS 폴리아크릴마이드 젤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단백질은 니트로셀룰로오스막(GE Health care)으로 옮긴 후, 항체의 비특이적 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1시간 동안 5% 탈지분유에 반응하였다. TYR (abcam), MITF (abcam), Actin (Sigma)의 1차 항체를 1:1000의 비율로 희석하여 4℃에서 12 - 18시간 니트로셀룰로오스막과 반응시켰다. 이후, PBS로 세척한 다음 HRP-tagged anti-rabbit 항체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ECL 키트 (Santa Cruz Inc.)를 사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유 엑소좀을 처리한 경우, mRNA의 발현이 감소된 것과 마찬가지로, 티로시나아제 및 MITF의 단백질 발현이 모두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처리된 우유 엑소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티로시나아제 및 MITF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는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이 미백 효과를 유도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험예 5.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 확인
직접적으로 피부색을 결정하는 멜라닌을 억제시키는 우유 엑소좀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B16F10 세포에 우유 엑소좀을 처리하여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B16F10 세포주에 우유 엑소좀을 각각 20 μg/ml, 50 μg/ml 농도로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수거하였다. 회수한 세포에 10% DMSO를 포함하는 1N NaOH를 첨가한 다음 90℃에서 1시간 반응시켜 멜라닌이 충분히 용출될 수 있도록 한 후 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파장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유 엑소좀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합성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처리된 우유 엑소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우유 엑소좀20 μg/ml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43%, 50 μg/ml을 처리한 처리군에서는 58%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직접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우유 엑소좀 내의 miRNA(microRNA) 확인
피부 색소 침착에 관여하는 우유 엑소좀 내의 microRNA을 확인하였다. 소에 서 유래한 우유 엑소좀을 이용하여 microRNA 프로파일링을 조사한 결과, miR-2478이 가장 많이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음에 따라(Izumi, H., Tsuda, M., Sato, Y., Kosaka, N., Ochiya, T., Iwamoto, H., Namba, K., andTakeda, Y. (2015). Bovine milk exosomes contain microRNA and mRNA and are taken up by human macrophages. J. Dairy Sci. 98, 2920-2933.), 본 발명에서는 우유 엑소좀을 처리함에 따라 miR-2478이 증가하는지 확인하였다.
B16F10 세포에 우유 엑소좀을 20 μg/ml, 50 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miR-2478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상기 miR-2478의 서열은 아래와 같다.
서열번호 miRNA 서열
5 miR-2478 5'-GUAUCCCACUUCUGACACCA-3'
6웰 플레이트 상에 B16F10 세포를 2x10 5 cells/well 의 농도로 분주하고, 우유 엑소좀을 농도 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세포를 수거하고, 1ml의 TRI 시약(Bioline)을 이용하여 추출한 총 RNA 100ng에 miScript Reverse Transcription kit(Qiagen)을 활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생산물 2 μl를 miScript SYBR Green kit(Qiagen)를 사용하여 PCR 반응을 실시하였다. 다음과 같은 PCR 조건 하에서 유전자를 증폭시켰다. 즉, Roto gene Q PCR 기기(Qiagen)을 이용하여 94°C 에서15 분, 그 후 94°C에서 15초, 55°C에서 30초 및 70°C에서 20 초의 40주기로 증폭시켰다. 유전자 발현은 SNORD61 발현으로 보정하였으며, miR-2478 검출용 miRNA 특이적 프라이머는 QIAGEN(miScript primer assay)으로 부터 구매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유 엑소좀을 처리한 경우, miR-2478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처리된 우유 엑소좀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miR-2478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우유 엑소좀이 세포에 들어가면 세포내의 miR-2478이 우유 엑소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은 세포 독성이 없으면서도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우유 엑소좀은 피부 미백용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엑소좀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iR-2478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엑소좀은 소 유래인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엑소좀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iR-2478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엑소좀은 소 유래인 것인,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우유 엑소좀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엑소좀은 소 유래인 것인,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엑소좀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miR-2478을 포함하는 것인,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방법.
PCT/KR2020/005375 2019-04-25 2020-04-23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021884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320A KR102186872B1 (ko) 2019-04-25 2019-04-25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9-0048320 2019-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8846A1 true WO2020218846A1 (ko) 2020-10-29

Family

ID=7294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375 WO2020218846A1 (ko) 2019-04-25 2020-04-23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6872B1 (ko)
WO (1) WO2020218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0920A1 (en) * 2019-11-28 2023-01-05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Novel use of milk exosomes
KR20220041543A (ko)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휘발성 윤활제 공급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제조 방법
KR102590415B1 (ko) 2021-07-23 2023-10-18 주식회사 팜스킨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590413B1 (ko) 2021-11-30 2023-10-19 주식회사 팜스킨 초유의 가수분해 산물과 이를 함유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793A1 (en) * 2012-05-18 2013-11-2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Umbilical cord mesenchymal stem cell exosomes
KR20160086253A (ko) * 2015-01-08 2016-07-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또는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829A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301 우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70035771A (ko) * 2015-09-23 2017-03-31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80048431A (ko) * 2017-11-16 2018-05-10 (주)프로스테믹스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793A1 (en) * 2012-05-18 2013-11-2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 Research Umbilical cord mesenchymal stem cell exosomes
KR20160086253A (ko) * 2015-01-08 2016-07-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줄기세포로부터 추출된 엑소좀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또는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829A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301 우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20170035771A (ko) * 2015-09-23 2017-03-31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80048431A (ko) * 2017-11-16 2018-05-10 (주)프로스테믹스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96A (ko) 2020-11-04
KR102186872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18846A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7052155A1 (ko) 베타-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13180526A1 (ko)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모발 성장 촉진제
TWI747280B (zh) 余甘子萃取發酵物及其製備與應用
TWI481422B (zh) 抑制皮膚色素沉著之組合物及其用途
US10532018B2 (en) Method of whitening skin using tranexamic acid-peptide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WO2019031655A1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32970A1 (ko) 우유 엑소좀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20256381A1 (ko) 옥타데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73027B1 (ko)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및항비만용 조성물
WO2019151585A1 (ko) 5-아이오도튜베르시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2004203812A (ja) 経口組成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美白剤
WO2020111540A1 (ko)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92961B1 (ko) microRNA-2478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억제용 조성물
KR102144859B1 (ko) 핑클루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색소성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82528A1 (ko) 삼백초 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3191471A1 (ko) 미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방법
WO2023055053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55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KR101376197B1 (ko) 수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저해용 조성물
WO2023277629A1 (ko)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23055056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WO2023055060A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의 용도
KR10261380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WO2022158809A1 (ko) 아트라릭산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41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41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