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4217A1 - 파이프 조인트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조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4217A1
WO2020204217A1 PCT/KR2019/003778 KR2019003778W WO2020204217A1 WO 2020204217 A1 WO2020204217 A1 WO 2020204217A1 KR 2019003778 W KR2019003778 W KR 2019003778W WO 2020204217 A1 WO2020204217 A1 WO 20202042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pe
jaw
coating layer
pipe joint
saw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37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주헌
손수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인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인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인탑
Priority to EP19923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910225B1/en
Priority to JP2019552869A priority patent/JP2021520471A/ja
Publication of WO20202042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42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joint device for fixing a pipe in a pipe joint device (piping connector) that connects a pipe (pipe) and a pipe, and more particularly, provides one-touch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insertion of the pipe, and improves the pipe interference structure And, it relates to a pipe joint device having a jaw for a pipe connector having improved tensile strength and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and hardness compared to the prior art.
  • a piping connector is used a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each unit pipe, and such a piping connector is mainly used a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pipe by connecting and fixing pipes and pipes on a pipeline through which fluid flows. It has various shapes such as straight, elbow, T-shape, and cross-shape depending on it.
  • the pipe connector includes a jaw holder and a jaw mounted therein so that the pipe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ed state when the pipe is inserted.
  • These jaw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aw blades and serve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ipe connector by pressing the saw bla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the conventional jaw is destroyed due to corrosion or hardness decrease and loses its func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pipe connector due to hydraulic pressure or tensile for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provides one-touch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insertion of a pipe, and improves a problem in which a jaw interferes with the pipe, a problem in which the pipe is scratched by the jaw, and furthermore, a leakage problem due to damage to the pipe. It aims to do.
  •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and featur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 joint device having a jaw holder, which is mounted on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pipe is inserted and a jaw holder that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fastens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to fix the jaw.
  •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holder, and a saw blad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aw blades, and a chamfered portion chamf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connected to the chamfered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saw blade portion, and And a front por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ipe.
  • the chamfering angle of the chamfer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be configured the same as the angle formed by the end of the saw blade and the valley.
  • the chamfering angle of the chamfered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hamfered at an angle of 30°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saw blade.
  • the jaw further includes a coating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the saw blade part, and the front part, wherein the coating part includes a first coating layer made of zinc, a second coating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coating layer and made of an alloy of zinc and cop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include a coating layer, a third coating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coating layer and made of copper, and a fourth coating layer laminated on the third coating layer and made of nickel.
  • the jaw may further include a tapered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tapered portion may have an inclination angle of 6 to 10°.
  •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provides one-touch attachment/detachment and insertion of the pipe, as well as improving the problem of the jaw interferes with the pipe when the pipe is inserted, and the problem of scratching the pipe through a chamfer provided on a part of the front part. Has.
  • the coating unit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unique composi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corrosion or decrease in the hardness of the jaws despite repeated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pipe, and through this, a pipe joint device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hardness and reliability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ovide.
  • FIG. 1 shows an embodiment of a pipe join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 1A and 1B show a pipe joi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1C is a pipe joi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FIG 2 is a side view of a j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ating unit.
  • 5 to 6 is a view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proving the effect of the coating.
  • FIG. 7 is a view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ensile for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jaw.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joint device having a jaw for a pipe connector to provide one-touch attachment/detachment and insertion of a pipe by fixing a pipe in a pipe joint device (pipe connector) connecting the pipe (pipe) and the pipe.
  • the pipe joint device (or pi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oth ends open, so that two pipes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to be interconnected.
  • the construction around both openings of the pipe joint device is the same, and the inserted pipe is assembled, fixed and supported inside the pipe joint device.
  • the pipe inserted into the pipe joint device may be separated from the device by using a separating member referred to as a remover or by pressing the jaw holder.
  • the device C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jaw (J),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device (C) to which the present jaw (J)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Figs. 1A to 1B), the first implementation
  • the device C according to the example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to which a pipe P is inserted, a jaw holder C2 provid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insertion part in the insertion part, and a primary backup ring C3 provided in the insertion part. ), secondary backup ring (C4), spring (C5), spring guide (C6) and O-ring (C7).
  • the insertion part means the space into which the pipe (P) is inserte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ipe (P), and generally has a polygonal shape including a circle or a squar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ipe (P).
  • the jaw holder (C2), primary backup ring (C3), secondary backup ring (C4), spring (C5), spring guide (C6) and O-ring (C7), etc. are also circular or It has a polygonal shape.
  • the jaw holder C2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is provid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insertion portion, and has a mounting portion in the center into which the jaw J is inserted.
  • the mounting portion has a shape of a spac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jaw J can bite the pipe P.
  • the primary backup ring (C3)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pipe (P), as shown in Figure 1,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pipe (P) is inserted.
  • the secondary backup ring (C4) is a configuration to support the middle of the pipe (P), as shown in Figure 1, provided in front of the primary backup ring (C3), also the pipe (P) It has an insertion part to be inserted.
  • the spring (C5) and the spring guide (C6)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 buffer when the pipe (P) is inserted, as shown in Figure 1, between the primary backup ring (C3) and the jaw holder (C2) It is provided in, and the spring (C5) is coupled across the spring guide (C6) and the jaw holder (C2).
  • the O-ring (C7) is a configuration provided to maintain airtightness,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mponents, prevent slipping, etc., between the primary backup ring (C3) and the secondary backup ring (C4), the secondary backup ring (C4) And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pring guide (C6),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both places.
  • the pipe (P) enters into the opened side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and the jaw holder (C2), spring guide (C6), secondary backup ring (C4), and primary backup ring (C3) It passes in order and is inserted to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part. Thereafter, when the pipe P is separated, separation is performed through a separation member called a remover.
  • FIG. 1A shows an implementation while the pipe P is being inserted
  • FIG. 1B shows an implementation after the insertion of the pipe P is completed.
  • FIG. 1C an implementation of the device C'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shown.
  • the device (C')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P) can be separated only by pressing the jaw holder (C2) without using a remover, and the shear pressing portion (C8) of the jaw holder (C2) Pressurizing the jaw holder (C2) is reversed.
  • the jaw (J) is raised by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jaw holder (C2), and the pipe (P) is easily moved by the elevation of the jaw (J). It becomes separabl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ey feature in a jaw mounted on the jaw holder (C2) to tighte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P) to maintain the insertion state of the pipe (P), so hereinafter, detailed features of the jaw (J)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jaw (J) is mounted on the jaw holder (C2) to tighte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P) to fix it, the body portion (1), It includes a saw blade 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 a chamfer 3 provided in front of the saw blade 2, and a front part 4 connected to the chamfer 3.
  • the body portion (1) is a configuration that is coupled to the jaw holder (C2), and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of the jaw holder (C2), corresponding to the base of the jaw (J), the other parts are the body portion (1) and It is composed in a form that forms a unity.
  • the saw blade (2) is a configuration to fix the pipe (P) by pressing the pipe (P), as shown in Figure 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 a plurality of saw blades Include.
  • one side of the body part 1 may be an upper or a lower part, and the saw blade part 2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vice C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device C
  • the jaws provided in the saw blade portion (2) is provided on the top, which only chang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 the chamfered portion 3 is provided so that the pipe P does not surface contact at a right angle when the pipe P is inserted, and as shown in FIG. 2, it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aw blade 2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hamfered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front portion 4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jaw (J), is connected to the chamfered portion (3), and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ipe (P). Based on the jaws provided in the upper part, the vertical wall surface exte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chamfered part 3 becomes the front part 4.
  • the pipe P is scratched by the chamfer 3 when the pipe P is inserted. This is prevented.
  • the pipe P is scratched by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4 when the pipe P is inserted, but the chamfered part 3 When is provided, the pipe P and the front part 4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occurrence of scratche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 the chamfering angle (a3) of the chamfered portion (3)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angle formed by the end of the saw blade and the valley, that is, the saw blade angle (a2), the chamfering angle (a3) I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saw blade angle (a2), since the chamfered portion 3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process as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saw blade, the ease of manufacture is improved.
  • the chamfering angle (a3) of the chamfered portion (3) is to be chamfered at an angle of 30°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saw blade portion (2), in which case the saw blade angle (a2) is also 30°, and the chamfering angle ( If a3) is less than 30°, there is a risk of scratching the pipe (P), and if the chamfer angle (a3) is greater than 30°, the saw blade angle (a2) rises and the tensile force of the pipe (P) decreases. There is.
  • the saw blade portion 2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w blade portion 2 has 4 saw blades, and the saw blade angle a2 of each saw blade is 30°.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pipe ( The tensile force of P) can be maximized.
  • the jaw (J) further includes a round portion 6 provided at the upper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dy portion 1 and a tapered portion 7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 the round portion 6 is provided at the upper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dy portion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und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such a round portion 6
  • the jaw (J) When the jaw (J) is inserted into the jaw holder (C2), it can be inserted more easily, and when the jaw rises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pipe (P),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evice (C) is reduced to prevent jamming. prevent.
  • the curvature of the round portion 6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radius of the virtual circle with the rounded portion as the circumference is 0.5 to 1 mm, and when the radius of the virtual circle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round portion (6) The overall size of (6) becomes too small, and if the radius of the virtual circle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re is no real benefit compared to the right-angled corner. As a result,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insertion ease and jamming due to round processing The prevention effect is lowered.
  • the tapered portion 7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ownward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such a tapered portion 7 is the device (C) It may be provided as it is configur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front, and an effect of providing ease of insertion of the present jaw (J) is also added. It is preferable that such a tapered portion 7 has an inclination angle of 6 to 10°.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pered portion 7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pered portion 7 is out of the above range,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tensile forc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are deteriorated. Further,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pered portion 7 is less than 6°, the length of the tapered portion 7 is It becomes longer,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main body, resulting in a problem of increasing the cost of materials, etc., and i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apered portion 7 exceeds 10°, the saw blade cannot bite evenly as the inclination becomes severe. Problems arise.
  •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method of adding corrosion resistance to the jaws through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as well as improving hardness, and further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material.
  • This jaw (J) is characterized in that pretreatment of chromium (Cr) components can be perfo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urface during the pretreatment process.
  • the jaw (J) may further include a coating part (5)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 the saw blade part (2) and the front part (4). To do.
  • the coating part 5 is laminated on the first coating layer 51 and the first coating layer 51 composed of zinc (Zn), and is formed of zinc (Zn) and copper (Cu).
  • the second coating layer 52 made of an alloy
  • the second coating layer 52 is laminated on top of the third coating layer 53 made of copper (Cu) and the third coating layer 53, and a third coating layer made of nickel (Ni).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four coating layers (54).
  • the first coating layer 51 is composed of zinc, zinc is a representative anticorrosive material, and the surface of the jaws prior to lamination of the first coating layer 51 is preferably subjected to solution heat treatment.
  • lamination may be completed to the first coating layer 51 made of zinc (Zn).
  • the second coating layer 52 is composed of an alloy of zinc and copper, and an alloy of zinc and copper is formed by a method such as wet etching or electrolytic etching while depositing copper on the first coating layer 51.
  • the third coating layer 53 is made of copper, and copper is used as a kind of bonding metal for bonding zinc and nickel.
  • the fourth coating layer 54 is made of nickel, and nickel is a material that adds corrosion resistance, and since the above-described zinc has a dark color and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nickel, which can provide a shiny appearance, is the outermost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4 coating layer 54.
  • the coating portion 5 may be composed of nickel and high phosphorus (High Phosphorus) electroless nickel.
  • the coating part 5 composed of nickel and high electroless nickel also provide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compared to the zinc plating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w blade of the saw blade portion 2 can be manufactured by precision carbide cutting.
  • This precision carbide cutting method has the effect that the shape of the saw blade is uniformly configured and the tensile forc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press method.
  • FIG. 7 shows a graph of the tensile force comparison result of a general jaw having a saw blade manufactured by a general press cutting method and a saw blade portion 2 manufactured by a precision carbide cutting.
  • the maximum load of the general jaw employing the press cutting method is 5947.7 (N)
  • the main jaw (J) employing the precision carbide cutting method as shown in Fig. 7b has a maximum load of 6688.1 (N) Then, it can be seen that the tensile force is more excell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의 원터치 착탈 및 삽입을 제공하고, 파이프 간섭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종래에 비해 인장력이 향상되고, 내식성 및 경도성을 향상시킨 배관연결구용 조우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조우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면을 조여서 고정시키는 조우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로, 상기 조우가, 상기 조우 홀더에 결합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톱날을 포함하는 톱날부, 그리고 상기 톱날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소정 각도로 면취된 면취부, 그리고 상기 면취부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삽입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09.04.2019] 파이프 조인트 장치
본 발명은 배관(파이프)과 배관을 연결하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배관연결구)에서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의 원터치 착탈 및 삽입을 제공하고, 파이프 간섭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종래에 비해 인장력이 향상되고, 내식성 및 경도성을 향상시킨 배관연결구용 조우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업소 등 건물에는 수도, 가스 등을 공급하기 위해 파이프가 설치되며, 이러한 파이프는 제조상 길이의 한계를 갖기 때문에, 소정 길이로 제작된 파이프들이 연결 시공된다. 상기와 같이 각 단위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서 배관연결구가 사용되며, 이러한 배관연결구는 유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 및 고정하여 파이프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주로 사용되며, 그 구조적 형태에 따라 직선형, 엘보형, T자형,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특히 배관연결구는 파이프의 삽입 시, 파이프가 삽입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조우 홀더와 이에 장착된 조우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우는 다수의 톱날을 구비하여 톱날이 파이프의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파이프가 배관연결구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조우는 파이프 삽입 시 파이프가 조우와 직각면으로 면접촉하여 파이프의 외면이 긁히는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파이프의 삽입 시 파이프가 조우에 의하여 간섭되는 문제는 파이프의 파손, 심한 경우 파이프의 부식은 물론 누출 사고까지 유발할 수 있는 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또한 종래의 조우는 부식 또는 경도 저하로 인하여 파괴되어 그 자체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있었고, 이에 수압 또는 인장력에 의하여 배관연결구로부터 파이프가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곤 하였다.
한편, 조우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인 공개특허 제10-2009-0131519호(2009년12월29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의 원터치 착탈 및 삽입을 제공하고, 조우가 파이프를 간섭하는 문제, 조우에 의하여 파이프에 긁힘이 발생하는 문제, 나아가 파이프의 파손에 의한 누출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반복되는 파이프의 삽입 및 착탈에 의하여 부식 또는 경도 저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조우가 파괴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거나, 파이프가 수압 또는 인장력에 의해 이탈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조우에 비해 파이프의 인장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고, 나아가 내식성, 경도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조우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다.
본 발명은,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조우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면을 조여서 고정시키는 조우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로, 상기 조우가, 상기 조우 홀더에 결합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톱날을 포함하는 톱날부, 그리고 상기 톱날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소정 각도로 면취된 면취부, 그리고 상기 면취부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삽입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면취부의 면취각은 상기 톱날의 단부와 골이 이루는 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면취부의 면취각은 상기 톱날부의 단부에 대하여 30°의 각도로 면취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우는 상기 몸체부, 톱날부 및 전면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팅부는, 아연으로 구성된 제1코팅층, 상기 제1코팅층 상부에 적층되고 아연과 동의 합금으로 구성된 제2코팅층, 상기 제2코팅층 상부에 적층되고 동으로 구성된 제3코팅층 및 상기 제3코팅층 상부에 적층되고 니켈로 구성된 제4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코팅층의 두께는 다음의 조건, [제1코팅층의 두께 : 제2코팅층의 두께 : 제3코팅층의 두께 : 제4코팅층의 두께 = 100 : 10 ~ 20 : 60 ~ 70 : 20 ~ 30]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우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구비된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부는 경사각이 6 ~ 10°로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파이프의 원터치 착탈 및 삽입을 제공함은 물론, 전면부 일부에 구비된 면취부를 통해, 파이프 삽입 시 조우가 파이프에 간섭되는 문제, 파이프의 긁힘 문제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한 면취부 및 톱날부의 고유 구조를 통해, 종래의 조우에 비해 파이프의 인장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한 고유 조성으로 구성된 코팅부의 구비를 통해 반복되는 파이프의 착탈에도 불구하고 조우의 부식 내지는 경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내식성, 경도성 및 신뢰성이 우수한 조우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관한 실시예.
도 1a 및 도 1b는 제1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장치.
도 1c는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우에 관한 측면도.
도 3은 테이퍼 각도 한정에 따른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데이터.
도 4는 코팅부에 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코팅부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 결과를 비교한 도면.
도 7은 조우 제작 방식에 따른 인장력 차이를 비교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파이프)과 배관을 연결하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배관연결구)에서 파이프를 고정시켜 파이프의 원터치 착탈 및 삽입을 제공하는 배관연결구용 조우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연결구용 조우(이하 본 조우(J)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이하 본 장치(C))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조인트 장치(또는 배관연결구)는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어, 이 개구부를 통해 2개의 파이프를 삽입하여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파이프 조인트 장치의 양 개구부 부근의 구성은 동일하며, 삽입된 파이프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 내부에 조립 및 고정되고 지지된다. 또한 본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삽입된 파이프는 리무버라고 지칭하는 분리 부재를 이용하거나 또는 조우 홀더를 가압하는 형태로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 조인트 장치 중에서도 특히 배관연결구용 조우를 개선시킨 것으로,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며, 구체적인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관한 사항은 본 출원인의 선행 특허인 등록특허 제10-1905607호(2018년10월01일)를 참고할 수 있다.
본 조우(J)의 설명에 앞서, 본 조우(J)가 적용되는 본 장치(C)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도 1(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C)는 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 내에서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조우 홀더(C2), 그리고 삽입부 내에 구비된 1차 백업링(C3), 2차 백업링(C4), 스프링(C5), 스프링 가이드(C6) 및 오링(C7)을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삽입부는 파이프(P)가 삽입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파이프(P)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일반적으로 파이프(P)의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조우 홀더(C2), 1차 백업링(C3), 2차 백업링(C4), 스프링(C5), 스프링 가이드(C6) 및 오링(C7) 등 역시 삽입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조우 홀더(C2)는 삽입부의 전단에 구비되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중앙에는 본 조우(J)가 삽입되는 장착부를 갖는다. 도 1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장착부는 본 조우(J)가 파이프(P)를 물어줄 수 있도록 일 측이 개구된 공간의 형태를 갖는다.
다음으로, 1차 백업링(C3)은 파이프(P)의 전단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2차 백업링(C4)은 파이프(P)의 중간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백업링(C3)의 전방에 구비되고, 역시 파이프(P)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스프링(C5) 및 스프링 가이드(C6)는 파이프(P) 삽입 시의 완충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백업링(C3)과 조우 홀더(C2) 사이에 구비되고, 스프링(C5)은 스프링 가이드(C6)와 조우 홀더(C2)에 걸쳐 결합된다.
다음으로, 오링(C7)은 기밀 유지, 구성 간의 결합력 강화, 밀림 방지 등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1차 백업링(C3)과 2차 백업링(C4) 사이, 2차 백업링(C4)과 스프링 가이드(C6)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두 군데 모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장치(C)는 개구된 일 측으로 파이프(P)가 진입되어 삽입부에 삽입되고, 조우 홀더(C2), 스프링 가이드(C6), 2차 백업링(C4), 1차 백업링(C3) 순으로 통과하여 삽입부의 후단까지 삽입된다. 이 후 파이프(P)의 분리 시에는 리무버로 불리는 분리부재를 통해 분리가 이루어진다. 도 1a에는 파이프(P)가 삽입되는 도중에 관한 실시가, 도 1b에는 파이프(P)의 삽입이 완료된 후의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추가로, 도 1c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C')에 관한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예 따른 본 장치(C')는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조우 홀더(C2)의 가압만으로 파이프(P)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데, 조우 홀더(C2)의 전단 가압부(C8)를 가압하면 조우 홀더(C2)가 후진하게 되고, 이 때 본 조우(J)는 조우 홀더(C2)의 내면 경사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본 조우(J)의 상승에 의해 파이프(P)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조우 홀더(C2)에 장착되어 파이프(P)의 외면을 조여서 파이프(P)의 삽입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우에 핵심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조우(J)의 세부적인 특징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조우(J)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 2를 참고하면, 본 조우(J)는 조우 홀더(C2)에 장착되어 상기 파이프(P)의 외면을 조여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몸체부(1), 몸체부(1)의 일 측에 구비된 톱날부(2), 톱날부(2)의 전방에 구비된 면취부(3) 및 면취부(3)에 연결된 전면부(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는 조우 홀더(C2)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조우 홀더(C2)의 장착부에 삽입되며, 본 조우(J)의 베이스에 해당하여 기타 각 부는 몸체부(1)와 일체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톱날부(2)는 파이프(P)를 압박하여 파이프(P)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의 일 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톱날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몸체부(1)의 일 측이라는 것은 상부 또는 하부가 될 수 있고, 본 장치(C)의 상부에 구비된 조우는 톱날부(2)가 하부에 구비되고, 본 장치(C)의 하부에 구비된 조우는 톱날부(2)가 상부에 구비되는데, 이는 설치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것일 뿐이다.
다음으로, 면취부(3)는 파이프(P)의 삽입 시 파이프(P)가 직각면으로 면접촉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부(2)의 전방에 구비되고, 소정 각도로 면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전면부(4)는 본 조우(J)의 전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면취부(3)에 연결되고, 파이프(P)의 삽입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구성이다. 상부에 구비되는 조우를 기준으로, 면취부(3)의 상부로 연장된 수직 벽면이 전면부(4)가 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조우의 전방이 전면부(4)와 면취부(3)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이프(P)의 삽입 시 면취부(3)에 의해 파이프(P)의 긁힘이 방지되는데, 가령 전면부(4)만 구비되는 것을 가정했을 때, 파이프(P)의 삽입 시 전면부(4)의 하단에 의해 파이프(P)가 긁히는 문제가 발생하나, 면취부(3)가 구비되는 경우 파이프(P)와 전면부(4)가 직각으로 면접촉 되지 않기 때문에 긁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취부(3)의 면취각(a3)은 톱날의 단부와 골이 이루는 각, 즉 톱날각(a2)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면취각(a3)을 톱날각(a2)과 동일하게 구성하게 되면 톱날의 구비 과정과 동일한 과정에서 면취부(3)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용이성이 향상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면취부(3)의 면취각(a3)은 톱날부(2)의 단부에 대하여 30°의 각도로 면취되는 것인데, 이 때 톱날각(a2) 역시 30°가 되고, 면취각(a3)이 30°보다 작은 경우 파이프(P)의 긁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면취각(a3)이 30°보다 큰 경우 톱날각(a2)이 상승하여 파이프(P)의 인장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톱날부(2)에 관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톱날부(2)가 톱날의 수가 4개이고, 각 톱날의 톱날각(a2)이 3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건 하에서 파이프(P)의 인장력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으로, 본 조우(J)는 몸체부(1)의 상부 전후단에 구비된 라운드부(6) 및 몸체부(1)의 상단에 구비된 테이퍼부(7)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부(6)는 몸체부(1)의 상부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며,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라운드부(6)는 본 조우(J)가 조우 홀더(C2)에 삽입될 때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파이프(P) 삽입에 따라 조우가 상승할 때 본 장치(C)의 내면과의 접촉면을 줄여줌으로써 걸림을 방지한다. 이러한 라운드부(6)의 곡률은 라운드 처리된 부분을 원주로 하는 가상의 원의 반지름이 0.5 ~ 1mm가 되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상의 원의 반지름이 상기 범위보다 작게 구성되는 경우 라운드부(6)의 전체 크기가 너무 작아지게 되고, 가상의 원의 반지름이 상기 범위보다 크게 구성되는 경우 직각 모서리에 비해 실익이 없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라운드 처리에 따른 삽입 용이성 및 걸림 방지 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7)는 몸체부(1)의 상단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테이퍼부(7)는 본 장치(C)가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조우(J)의 삽입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부가한다. 이러한 테이퍼부(7)는 그 경사각이 6 ~ 1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테이퍼부(7)의 경사각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품의 인장력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나아가 상기 테이퍼부(7)의 경사각이 6° 미만인 경우, 테이퍼부(7)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이는 본체의 길이 증가로 귀결되어 소재 등의 비용 증대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테이퍼부(7)의 경사각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경사가 심해짐에 따라 톱날이 균일하게 물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로서, 제품의 인장력 실험 결과가 하기 표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표 1 및 도 3을 참고하면, 테이퍼부(7)의 경사각을 6 ~ 10°로 구성한 실험그룹1(도 3의 종단 값 기준 중간)에서 평균 최대 인장력이 2930N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테이퍼부(7)의 경사각을 상기 범위 초과인 11 ~ 15°로 구성한 실험그룹2(도 3의 종단 값 기준 상부)에서는 일부 구간에서 최대 인장력이 실험그룹1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그 평균은 2300N으로 실험그룹1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테이퍼부(7)의 경사각을 상기 범위 미만인 3 ~ 5°로 구성한 실험그룹3(도 3의 종단 값 기준 하부)에서는 실험그룹1보다 대체적으로 최대 인장력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최대 인장력의 평균 역시 2500N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상기 인장력 실험을 통해 테이퍼부(7)의 경사각이 6 ~ 10°인 경우에서 인장력 특성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그룹 테이퍼 각도(°) 평균 최대 인장력(N)
1 6 ~ 10 2930
2 11 ~ 15 2300
3 3 ~ 5 2500
한편, 조우는 잦은 파이프(P)의 삽입 및 착탈에 의해 조우 표면에 긁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부식 또는 경도 저하로 인하여 파괴되는 등과 같은 기능 상실의 우려가 있고, 파이프(P)의 수압 또는 인장력에 의해 이탈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처리 및 후처리를 통해 조우에 내식성을 부가함은 물론 경도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소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조우(J)는 전처리 과정에서 표면의 내식성을 올리기 위해 크롬(Cr) 성분의 전처리를 시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내식성 부가를 위한 방안으로, 본 조우(J)는 몸체부(1), 톱날부(2) 및 전면부(4)의 외면에 구비되는 코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5)는 아연(Zn)으로 구성된 제1코팅층(51), 제1코팅층(51) 상부에 적층되고 아연(Zn)과 동(Cu)의 합금으로 구성된 제2코팅층(52), 제2코팅층(52) 상부에 적층되고 동(Cu)으로 구성된 제3코팅층(53) 및 제3코팅층(53) 상부에 적층되고 니켈(Ni)로 구성된 제4코팅층(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코팅층(51)은 아연으로 구성되며, 아연은 대표적인 방식성 소재로, 제1코팅층(51)의 적층 전 조우의 표면은 고용화 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크롬(Cr) 성분의 전처리 후 아연(Zn)으로 구성된 제1코팅층(51)까지 적층을 완료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코팅층(52)은 아연과 동의 합금으로 구성되며, 제1코팅층(51) 상부에 동을 적층시키면서 Wet 에칭, 전해 에칭 등의 방식으로 아연과 동의 합금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3코팅층(53)은 동으로 구성되며, 동은 아연과 니켈을 접합시키기 위한 일종의 본딩 메탈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제4코팅층(54)은 니켈로 구성되며, 니켈은 내식성을 부가하는 소재로, 상기한 아연은 색이 어두워서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반짝거리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니켈이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제4코팅층(54)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코팅부(5)의 구조적 안정성 및 최상의 보호 효율을 위해 이러한 제1 내지 제4코팅층의 두께(t51)(t52)(t53)(t54)는 다음의 조건, [제1코팅층의 두께(t51) : 제2코팅층의 두께(t52) : 제3코팅층의 두께(t53) : 제4코팅층의 두께(t54) = 100 : 10 ~ 20 : 60 ~ 70 : 20 ~ 30]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코팅부(5)에 관한 실시예에 따른 내식성 평가를 위해 통상의 아연 도금과 상기 코팅부(5) 간의 내식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시험 방식은 아래 표 2와 같고,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목적 도금의 내식성 평가
평가 규격 KS D 8334(도금 내식성 평가)
시험 규격 KS D 9502(염수 분무 시험 방법)
챔버 내 온도 35℃(?2℃)
공기 압력 0.07 ~ 0.17 Mpa
염수 농도 5% NaCl 99.98%(공업용 1급 정제염)
시험 시간 1440 시간
시험 결과, 도 5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연 도금 조우에서는 적청 현상 및 부식이 관찰되는 반면, 도 5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조우(J)에서는 적청 현상 및 부식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본 조우(J)의 코팅부(5)의 내식성 및 고경도성을 더 알아보기 위해 Galvanic 부식 평가, Acid 부식 평가, 경도 Test 등을 더 수행하였고, 그 결과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Galvanic 부식 평가 결과(이종접합 400시간 조건), 아연 도금에서는 이종접합 금속인 동과의 전위차로 인하여 급속하게 부식되는 것이 관찰되는 반면, 본 조우(J)의 코팅(EZ 도금으로 명명됨)에서는 부식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id 부식 평가 결과(염산 10%, 10분 침지 조건), 아연 도금에서는 침전 시 화학 반응으로 인하여 도금이 완전히 벗겨져 용액의 색깔이 변질된 것이 확인되는 반면, 본 조우(J)의 코팅에서는 도금 피막이 벗겨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코팅의 내산성이 더욱 우수함이 관찰되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도 Test Rock Well 시험 결과(최소 50, 최대 55 조건), 아연 도금 조우의 부식 테스트 후 경도는 33정도 수준으로 상당히 저하된 반면, 본 조우(J)의 경우 부식 테스트 후 경도가 51 수준으로 경도에 이상이 없음이 관찰되었다.
추가로, SUS 파이프를 결합 상태에서 상기 시험들을 추가로 진행한 결과, 아연 도금의 경우 노출된 부분 주변의 아연도금 층이 선택적으로 용해되어 노출된 부분의 직경 확대 및 빠른 부식 진행이 관찰되었으나, 본 조우(J)는 이러한 문제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내식성 부가를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코팅부(5)는 니켈 및 고인(High Phosphorus) 무전해 니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니켈 및 고인 무전해 니켈로 구성된 코팅부(5) 역시 아연 도금 방식에 비해 훌륭한 내식성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톱날부(2)의 톱날이 정밀 초경 커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정밀 초경 커팅 방식은 프레스 방식에 비하여 톱날의 형태가 균일하게 구성되어 인장력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일반 프레스 커팅 방식에 의해 제조된 톱날을 갖는 일반 조우와 정밀 초경 커팅에 의해 제조된 톱날부(2)를 갖는 본 조우(J)의 인장력 비교 결과 그래프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커팅 방식을 채용한 일반 조우는 최대 하중이 5947.7(N)인 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밀 초경 커팅 방식을 채용한 본 조우(J)는 최대 하중이 6688.1(N)이어서, 인장력이 더욱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조우 홀더에 장착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면을 조여서 고정시키는 조우를 구비한 파이프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우는,
    상기 조우 홀더에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다수의 톱날을 포함하는 톱날부;
    상기 톱날부의 전방에 구비되고, 소정 각도로 면취된 면취부; 및
    상기 면취부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의 삽입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전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취부의 면취각은 상기 톱날의 단부와 골이 이루는 각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면취부의 면취각은 상기 톱날부의 단부에 대하여 30°의 각도로 면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우는 상기 몸체부, 톱날부 및 전면부의 외면에 구비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팅부는, 아연으로 구성된 제1코팅층, 상기 제1코팅층 상부에 적층되고 아연과 동의 합금으로 구성된 제2코팅층, 상기 제2코팅층 상부에 적층되고 동으로 구성된 제3코팅층 및 상기 제3코팅층 상부에 적층되고 니켈로 구성된 제4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코팅층의 두께는 다음의 조건,
    [제1코팅층의 두께 : 제2코팅층의 두께 : 제3코팅층의 두께 : 제4코팅층의 두께 = 100 : 10 ~ 20 : 60 ~ 70 : 20 ~ 30]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우는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구비된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부는 경사각이 6 ~ 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조인트 장치.
PCT/KR2019/003778 2019-04-01 2019-04-01 파이프 조인트 장치 WO2020204217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923249.7A EP3910225B1 (en) 2019-04-01 2019-04-01 Pipe joint apparatus
JP2019552869A JP2021520471A (ja) 2019-04-01 2019-04-01 パイプジョイン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31 2019-04-01
KR1020190037631A KR102180752B1 (ko) 2019-04-01 2019-04-01 파이프 조인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4217A1 true WO2020204217A1 (ko) 2020-10-08

Family

ID=7266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3778 WO2020204217A1 (ko) 2019-04-01 2019-04-01 파이프 조인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10225B1 (ko)
JP (1) JP2021520471A (ko)
KR (1) KR102180752B1 (ko)
WO (1) WO202020421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190A (ja) * 2007-08-13 2009-03-05 Benex Corp 管継手
KR20090039630A (ko) * 2007-10-18 2009-04-22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의 연결장치, 연결방법 및 죠 홀더의 죠 제조방법
KR20090131519A (ko) 2008-06-18 2009-12-29 롯데건설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구용 죠
KR20130126728A (ko) * 2009-01-27 2013-11-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파이프 조인트
KR20180017966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 조인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5607B1 (ko) 2016-08-03 2018-10-08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 조인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285B1 (ko) * 2004-08-16 2006-06-26 김석윤 파이프 고정장치
JP2011007204A (ja) * 2009-06-23 2011-01-13 Kubota Corp 離脱防止管継手およびこの管継手に用いられる押圧爪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190A (ja) * 2007-08-13 2009-03-05 Benex Corp 管継手
KR20090039630A (ko) * 2007-10-18 2009-04-22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의 연결장치, 연결방법 및 죠 홀더의 죠 제조방법
KR20090131519A (ko) 2008-06-18 2009-12-29 롯데건설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구용 죠
KR20130126728A (ko) * 2009-01-27 2013-11-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파이프 조인트
KR101905607B1 (ko) 2016-08-03 2018-10-08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 조인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17966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 조인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0225A4 (en) 2022-07-20
KR20200116208A (ko) 2020-10-12
JP2021520471A (ja) 2021-08-19
KR102180752B1 (ko) 2020-11-19
EP3910225A1 (en) 2021-11-17
EP3910225B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92998B1 (en) Pipe with threaded ends
WO2015099455A1 (ko) 액체금속취화에 의한 크랙 저항성이 우수한 용융아연도금강판
WO2011096678A2 (en) Flexible pipe connected with flexible pipe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ng flexible pipe connecting structure with flexible pipe
WO2011099667A1 (ko) 조임량 확인이 가능한 튜브 피팅
WO2020204217A1 (ko) 파이프 조인트 장치
WO2015194792A1 (ko) 전력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JPH01286457A (ja) ピン・グリッド・アレーのメッキ方法とその装置
WO2018088646A1 (ko)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36173A (ko) 접촉저항이 낮은 표면처리 강철판 및 이를 이용한 접속 단자 부재
WO2011055902A2 (ko) 와이어 쏘 및 와이어 쏘의 제조방법
WO2017039070A1 (ko) 아연 이온 수처리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9988A (ko) 가공성이 우수한 내열·내식성 도금층을 갖는 배관
CN110079809A (zh) 一种铜面抗氧化剂
WO2023048336A1 (ko) 구리 코팅층이 구비되는 스테인리스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0274686B1 (ko) 어닐링하는동안에밀착방지처리된니켈도금스틸시이트및그제조방법
WO2022092640A1 (ko) 본체부와 단관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복합관 및, 이 복합관의 연결구조
CN216738541U (zh) 一种埋地钢制管道阴极保护装置
RU2782723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WO2024053784A1 (ko) 에칭공정을 이용한 통전용, 부스바용 이종금속접합시트 또는 코일 제조방법
CN216664665U (zh) 一种幕墙骨架用镀锌钢管
CN213425660U (zh) 一种托盘式垂直凹凸耐蚀合金复合弯通
WO2022245087A1 (ko) 스트랩 및 그 제조 방법
CN216903055U (zh) 一种蓄电池生产用取放定位夹具
CN215339476U (zh) 一种汽车管路的视觉检测工装
CN216733284U (zh) 一种耐腐蚀抗氧化拉光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5286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32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2324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81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