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91396A1 -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91396A1
WO2020091396A1 PCT/KR2019/014401 KR2019014401W WO2020091396A1 WO 2020091396 A1 WO2020091396 A1 WO 2020091396A1 KR 2019014401 W KR2019014401 W KR 2019014401W WO 2020091396 A1 WO2020091396 A1 WO 20200913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meth
acrylate
pvdf
bind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44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대성
성동욱
정소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9878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848998A4/en
Priority to CN201980044812.7A priority patent/CN112385076A/zh
Priority to US17/251,413 priority patent/US20210280944A1/en
Publication of WO20200913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913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18Monomers containing fluorine
    • C08F214/22Vinylidene fluor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형성된 무기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PVdF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PVdF계 공중합체는 고분자 사슬에서 하나 이상의 수소가 아크릴계 단량체로 치환된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본 출원은 2018년 10월 29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8-013007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에 대한 것이며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일차 전지이거나 이차 전지일 수 있고, 상기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계 이차 전지는, 노트북,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있어서 이들 전지는 고(高)에너지밀도를 갖는다는 특징으로부터 자동차 등에의 적용도 검토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 기기의 소형화·경량화에 수반하여, 비수계 이차 전지의 외장의 간소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당초에는 외장으로서 스테인리스제의 전지캔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알루미늄캔제의 외장이 개발되어, 나아가 현재에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팩제의 소프트팩 외장도 개발되고 있다. 알루미늄 라미네이트제의 소프트팩 외장의 경우, 외장이 유연하기 때문에, 충방전에 수반하여 전극과 분리막 사이에 극간(隙間)이 형성될 경우가 있어, 사이클 수명이 나빠진다는 기술적 과제가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한다는 관점에서, 전극과 분리막을 접착하는 기술이 중요하며, 많은 기술적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만곡형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분리막과 전극이 결합된 상태의 전극 조립체를 굽히는 등 형태 변형을 가하게 되는데 이때 전극과 분리막의 결착력이 낮은 경우에는 형태의 변형시 전극과 분리막의 결합이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극과 분리막 사이에 전기화학 반응이 발생하지 않거나 효율이 낮은 dead space가 발생하여 전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전극 접착층용 바인더 수지로 PVdF(Polyvinylidene fluoride)계 수지를 사용하며, 가습 상분리 방법을 통해 분리막 표면으로 바인더 수지를 마이그레이션시킴으로써 무기 코팅층의 표면 부근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접착성 표층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PVdF계 수지는 수지 자체의 접착력은 높지 않아 높은 수준의 결착력을 확보하기는 어렵다. 접착력 개선을 위해 바인더 수지의 함량을 높이거나 코팅량을 높일 수 있으나 이로 인해 접착층의 두께가 두꺼워져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고 저항이 증가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분리막의 접착층은 얇은 두께로도 높은 접착력과 높은 이온 전도도를 모두 달성할 수 있어야 하며, 전지를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리막이 화학적, 전기화학적으로 안정적인 물질이어야 하고, 분리막 제조공정은 생산성이 좋아서 낮은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의 개발에 대한 요청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얇으면서도 전극과 분리막의 접착성이 개선된 무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성을 갖는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또는 방법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전기화학 소자용 분리막에 대한 것이다.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형성된 무기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중합체(PVdF계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PVdF계 중합체는 주사슬에서 하나 이상의 수소가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로 치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중합체(PVdF계 중합체)는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며, 아래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아래 (화학식 2)에서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0 이하의 알킬기인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14401-appb-img-000001
,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14401-appb-img-000002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제2 측면에 있어서, 상기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의 각 탄소에 결합된 수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소 이외의 다른 원소 또는 기능기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기능기는 에스테르기, 케톤기, 수산기, 에테르기 카르복실기 및 카르보닐기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3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PVdF계 중합체는 주사슬이 불화비닐리덴 및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인 것이며, 상기 단량체는 트리플루오로에틸렌(TrFE);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CTFE); 1,2-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PMVE), 퍼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PEVE) 및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PPVE) 등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1,3-디옥솔); 및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단량체에 의한 치환율이 1 내지 20 중량%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4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는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틸2-메틸렌펜탄디오네이트 (dimethyl 2-methylenepentanedionate)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5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PVdF 중합체는 PVdF 중합체 100중량% 대비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가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비율로 도입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6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상기 PVdF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600,000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8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와 무기물 입자의 총량 100중량% 대비 무기물 입자가 5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8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무기 코팅층 표면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접착성 표층부가 구비된 것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0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9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에 의해 무기물 입자들이 서로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무기물 입자간 형성된 인터스티셜 볼륨에서 기인한 다수의 미세 기공을 가지며 무기 코팅층 표면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접착성 표층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기 코팅층과 접착성 표층부가 일체 불가분의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1 측면은, 상기 제1 내지 제10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표층부는 분리막의 가습 조건하에서의 건조시 바인더 수지의 상분리 방법을 통해 유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2 측면은, 상기 제11 측면에 있어서, 상기 가습 조건은 상대 습도 40% 내지 80%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3 측면은,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제1 측면 내지 제12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것인 전기화학소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는 무기 코팅층에 아크릴계 단량체가 도입된 바인더가 사용됨으로써 분리막과 전극과의 접착력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구현된 높은 접착력을 이용하여, 접착력 저하의 문제없이 전기화학소자의 조립 공정에 다양한 배리에이션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의 도입으로 인해 무기 코팅층과 분리막 기재와의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분리막의 수축율이 감소되는 등 내열 안정성이 개선된다. 마지막으로 분리막의 박막화가 가능하므로 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잘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수록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축척 또는 비율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분리막의 단면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이들 모두」를 의미한다.
이어지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편의를 위한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우', '좌', '상면' 및 '하면'의 단어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들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내측으로' 및 '외측으로' 의 단어들은 각각 지정된 장치, 시스템 및 그 부재들의 기하학적 중심을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전방', '후방', '상방', '하방' 및 그 관련 단어들 및 어구들은 참조가 이루어진 도면에서의 위치들 및 방위들을 나타내며 제한적이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위에서 열거된 단어들, 그 파생어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표시가 없는 한 함량비는 중량비에 따른다.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일차 전지와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이차 전지는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것으로, 리튬 이온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1. 분리막
1) 분리막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100)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110)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상에 형성된 무기 코팅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PVdF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PVdF계 공중합체는 고분자 사슬에서 하나 이상의 수소가 아크릴계 단량체로 치환된 것이다. 즉, 상기 PVdF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단량체로 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표층부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아 분리막과 전극의 접착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두께가 5㎛ 내지 30㎛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5㎛ 이상 또는 2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막은 통기도가 약 50sec/100cc 내지 3000sec/100cc의 범위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통기도(permeability)"는 분리막 및 다공성 고분자 기재 등 통기도 측정 대상물에 대해서 100cc의 공기가 투과하는 시간을 의미하고, 그의 단위로서 초(second)/100cc를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도와 상호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Gurley 값 등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통기도는 JIS P8117에 준거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두께 T1을 가지는 대상물에서 측정된 공기 투과도 P1은 수식: P2=(P1Х20)/T1에 의해 대상물의 두께를 20㎛으로 할 경우의 투과도 P2로 환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기공도와 기공의 크기는 질소 등의 흡착 기체를 이용하여 BEL JAPAN사의 BELSORP (BET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수은 압입법(Mercury intrusion porosimetry) 또는 캐필러리 흐름 측정방법(capillary flow porosimetry)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수득된 무기 코팅층의 두께와 무게를 측정하여 이를 무기 코팅층의 이론 밀도로부터 기공도를 계산할 수 있다.
2) 다공성 고분자 기재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음극과 양극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하면서 이온을 통과시키는 이온 전도성 배리어(porous ion-conducting barrier)로 내부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된 기재를 의미한다. 상기 기공들은 상호간에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기재의 한쪽 면으로부터 다른 쪽 면으로 기체 또는 액체가 통과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다공성 고분자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유기 재료 혹은 무기 재료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기재에 셧다운 기능을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셧다운 기능이란, 전지 온도가 높아졌을 경우에, 열가소성 수지가 용해하여 다공질 기재의 구멍을 폐쇄함으로써 이온의 이동을 차단하여, 전지의 열폭주를 방지하는 기능을 말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융점 200℃ 미만의 열가소성 수지가 적당하며, 특히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외에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레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렌과 같은 고분자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부직포 또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이 중 둘 이상의 적층물 등이 있으나 특별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하기 a) 내지 e)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a) 고분자 수지를 용융/압출하여 성막한 다공성 필름,
b) 상기 a)의 다공성 필름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막,
c) 고분자 수지를 용융/방사하여 얻은 필라멘트를 집적하여 제조된 부직포 웹,
d) 상기 b)의 부직포 웹이 2층 이상 적층된 다층막,
e) 상기 a) 내지 d)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다공성 복합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두께가 3㎛ 내지 12㎛ 또는 5㎛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두께가 상기 수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도성 배리어의 기능이 충분하지 않으며, 반면에 상기 범위를 지나치게 초과하는 경우 (즉, 너무 두꺼우면) 분리막의 저항이 과도하게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만(g/mol) 내지 5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만보다 작으면, 충분한 역학 물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질 경우가 있다. 또한, 500만보다 커지면, 셧다운 특성이 나빠질 경우나, 성형이 곤란해질 경우가 있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Mw)를 말한다. 이의 단위로는 g/mo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자량은 예를 들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PL GPC220, Agilent Technologies)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돌자(突刺) 강도는,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300gf 이상일 수 있다. 다공질 기재의 돌자강도는 Kato tech KES-G5핸디 압축시험기를 이용하여 바늘 선단의 곡률 반지름 0.5 mm, 돌자속도 2 mm/sec의 조건에서 돌자 시험을 수행해 측정하는 최대돌자하중(gf)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는 전기화학소자에 사용되는 평면상의 다공성 고분자 기재라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예컨대,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10nm 내지 100nm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내지 12㎛인 절연성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3) 무기 코팅층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형성된 무기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 및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코팅층은 층 내부에 무기물 입자들이 서로 결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인더에 의해 서로 부착(즉, 바인더 수지가 무기물 입자 사이를 연결 및 고정)되어 있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들은 서로 밀집된 상태로 충진되어 있으며, 무기물 입자간 형성된 인터스티셜 볼륨에서 기인한 다수의 미세 기공을 가질 수 가질 수 있 다. 이들 미세 기공이 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한쪽의 면으로부터 다른쪽의 면으로 기체 혹은 액체가 통과 가능한 다공성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들은 바인더 수지에 의해 표면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가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바인더 수지를 매개로 하여 입자 상호간 면결착 및/또는 점결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바인더 수지와 무기물 입자의 총량 100중량% 대비 50중량% 이상의 비율로 무기 코팅층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기물 입자는 60중량% 이상 또는 70중량% 또는 80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95중량% 이하 또는 90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코팅층의 두께는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편면에서 1㎛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 내에서 전극과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그 결과 전지의 셀 강도가 증가된다. 한편, 상기 두께가 4㎛ 이하이면 전지의 사이클 특성 및 저항 특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후술하는 제조 방법적인 특성으로부터 표면부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전극 접착부(121)가 구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른 분리막(100)의 단면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막은 다공성 고분자 기재(110)의 표면에 무기 코팅층(120)이 형성되며, 상기 무기 코팅층의 표층부에는 바인더 수지가 다른 부분에 비해 고농도로 분포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인더 수지가 고농도로 분포된 표층부 부분을 ‘전극 접착부(121)'로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접착부는 가습 상분리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바인더 수지가 표층부로 마이그레이션된 결과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전극 접착부는 무기 코팅층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구조가 아니라 무기 코팅층의 일부로 무기 코팅층의 표면에 일체 불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 접착부의 두께는 고르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무기 코팅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최상부로부터 바인더 수지가 7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중량% 이상 포함된 부분을 전극 접착부로 구분할 수 있다.
B. 무기 코팅층의 소재
B1. 바인더 수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로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중합체(PVdF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PVdF계 중합체는 주사슬에서 하나 이상의 수소가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로 치환된 것이다. 상기 PVDF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의 도입이 없는 바인더 수지에 비해 접착력이 높아 동일 분자량 및/또는 HFP(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등 다른 모노머에 의한 동일 치환율의 PVdF계 바인더 수지에서 구현하지 못하는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아울러 전해액이 주액된 후의 wet 상태, 즉 전해액에 의해서 분리막이 함침된 상태에서의 접착력이 개선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VdF계 중합체는 주사슬(main chain)이 불화비닐리덴(VDF, vinylidene fluoride) 및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monomer)와의 공중합체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불소계 단량체 및/또는 염소계 단량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리플루오로에틸렌(TrFE);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CTFE); 1,2-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PMVE), 퍼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PEVE) 및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PPVE) 등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1,3-디옥솔); 및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 등이 있으며 이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PVDF계 중합체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프로필렌(PVDF-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VDF-CTF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PVdF-TrF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VdF-TFE)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PVdF 중합체는 상기 단량체에 의한 치환율이 1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15 중량%인 것이다. 치환율이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바인더 수지의 용융 온도(Tm)가 높아져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에 의한 치환율은 1H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스펙트럼에서 확인된 단량체의 특징 피크들의 적분값을 기반으로 측정될 수 있다. 치환율 분석에 대해서는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2012, 22, 341 또는 AMT-3412-0k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NMR 스펙트럼의 확인은 예를 들어 Bruker Avance III HD 700Mhz NMR이나 Varian 500MHz NMR 등 적절한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 기능기가 도입된 PVdF-HFP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래 (화학식 1)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은 PVdF-HFP의 주사슬의 수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로 치환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14401-appb-img-0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x, y 및 z는 1 이상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14401-appb-img-0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0 이하의 알킬기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의 각 탄소에 결합된 수소는 수소 이외의 다른 원소나 기능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기능기는 에스테르기, 케톤기, 수산기, 에테르기 카르복실기 및 카르보닐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틸2-메틸렌펜탄디오네이트 (dimethyl 2-methylenepentanedionate)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로부터 유래된 1종 이상이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PVdF계 중합체는 더욱 구체적으로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VdF 중합체에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3 중량%의 비율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의 함량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접착부의 형성이 방해될 수 있으며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의 도입량이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접착부가 형성되더라도 소망하는 접착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PVdF 중합체 중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의 도입량은 1H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 스펙트럼에서 확인된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의 특징 피크들의 적분값을 기반으로 측정될 수 있다. 치환율 분석에 대해서는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2012, 22, 341 또는 AMT-3412-0k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NMR 스펙트럼의 확인은 예를 들어 Bruker Avance III HD 700Mhz NMR이나 Varian 500MHz NMR 등 적절한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PVDF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8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600,000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분자량은 30만 내지 50만일 수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큰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기 코팅층의 표면에 접착부의 형성이 지연되어 접착력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분자량이 작은 경우에는 접착부는 빠르게 형성될 수 있으나 무기 코팅층 내부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적어 무기물간 결착력 또는 무기물과 분리막 기재와의 박리 강도(peel strength)가 저하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Mw)를 말한다. 이의 단위로는 g/mo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자량은 예를 들어,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PL GPC220, Agilent Technologies)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 기능기가 도입된 PVdF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10-1298057의 제조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 기능기가 도입된 PVdF계 중합체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수중 매질 속에서 단량체를 중합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 반응은 반응기에 물, 하나 이상의 비불소화 계면활성제, 하나 이상의 단량체, 하나 이상의 아크릴계 화합물 및 중합 개시제를 투입하고 중합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불화비닐리덴(VDF, vinylidene fluoride) 및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monomer)로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불화비닐리덴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에 대해서도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비불소화 계면 활성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설폰산 및 폴리비닐 포스폰산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자유 라디칼 공급원을 제공할 수 있는 화학물질로서 과황산염이나 유기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약 35℃ 내지 13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약 2000 내지 11000kpa의 압력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교반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수득되는 중합체는 라텍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 기능기가 도입된 PVdF계 중합체는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 기능기가 도입되지 않은 PVDF계 중합체와 아크릴계 화합물의 광조사 또는 전자빔 조사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VDF-HFP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과립이나 분말 형태의 배합물을 준비한 후 이에 산소가 제거된 조건하에서 광양자나 전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아크릴계 화합물을 PVDF-HFP 사슬에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에 따르면, 필요한 경우 무기 코팅층은 바인더 고분자로 로 상기 PVdF계 공중합체외에 제2 바인더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polybutylacrylate), 폴리부닐메타아크릴레이트 (polybut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및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접착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 100중량% 대비 10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무기 코팅층 100중량% 대비 1중량 내지 3중량%의 범위로 분산제 및/또는 증점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olidone, PVP), 폴리비닐알콜(Polybinylalcohol, PVA), 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우즈(Hydroxy ethyl cellulose, HEC),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우즈(hydroxy propyl cellulose, HPC), 에틸히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즈(ethylhydroxy ethyl cellulose, EHEC), 메틸 셀룰로우즈(methyl cellulose, M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우즈(carboxymethyl cellulose, CMC), 히드록시 알킬 메틸 셀룰로우즈(hydroxyalkyl m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중 적절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B2. 무기물 입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하기만 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물 입자는 적용되는 전기화학소자의 작동 전압 범위(예컨대, Li/Li+기준으로 0~5V)에서 산화 및/또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무기물 입자로서 유전율이 높은 무기물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액체 전해질 내 전해질 염, 예컨대 리튬염의 해리도 증가에 기여하여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이유들로 인해, 상기 무기물 입자는 유전율 상수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인 고유전율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BaTiO 3, Pb(Zr,Ti)O 3 (PZT), b 1-xLa xZr 1-yTi yO 3(PLZT, 0<x<1, 0<y<1), Pb(Mg 1/3Nb 2/3)O 3-PbTiO 3(PMN-PT), 하프니아(HfO 2), SrTiO 3, SnO 2, CeO 2, MgO, NiO, CaO, ZnO, ZrO 2, SiO 2, Y 2O 3, Al 2O 3, SiC 및 TiO 2 또는 이들의 혼합체 등이 있다.
또한, 무기물 입자로는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즉 리튬원소를 함유하되 리튬을 저장하지 아니하고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는 무기물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리튬포스페이트(Li 3PO 4), 리튬티타늄포스페이트(Li xTi y(PO 4) 3, 0<x<2, 0<y<3), 리튬알루미늄티타늄포스페이트(Li xAl yTi z(PO 4) 3, 0<x<2, 0<y<1, 0<z<3), 14Li 2O- 9Al 2O 3-38TiO 2-39P 2O 5 등과 같은 (LiAlTiP) xO y 계열 glass (0<x<4, 0<y<13), 리튬란탄티타네이트(Li xLa yTiO 3, 0<x<2, 0<y<3), Li 3.25Ge 0.25P 0.75S 4 등과 같은 리튬게르마니움티오포스페이트(Li xGe yP zS w, 0<x<4, 0<y<1, 0<z<1, 0<w<5), Li 3N 등과 같은 리튬나이트라이드(Li xN y, 0<x<4, 0<y<2), Li 3PO 4-Li 2S-SiS 2 등과 같은 SiS 2 계열 glass(Li xSi yS z, 0<x<3, 0<y<2, 0<z<4), LiI-Li 2S-P 2S 5 등과 같은 P 2S 5 계열 glass(Li xP yS z, 0<x<3, 0<y<3, 0<z<7)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또한, 무기물 입자의 평균 입경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균일한 두께의 무기 코팅층 형성 및 적절한 공극률을 위하여, 0.1㎛ 내지 1.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미만인 경우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5㎛를 초과하는 경우 형성되는 무기 코팅층의 두께가 증가할 수 있다.
2. 무기 코팅층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 방법은, 무기물 입자,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무기 코팅층용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 기재의 적어도 일면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 상기 건조 단계는 가습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건조 단계는 상기 슬러리가 도포된 다공성 기재를 바인더 수지에 대한 비용매, 예를 들어 물이나 알코올 등에 침지하여 바인더 수지를 고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준비된 바인더 수지를 용매에 용해하여, 고분자 바인더 용액을 준비한다. 그 후 무기물 입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상기 고분자 바인더 용액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준비한다. 상기 무기물 입자들은 미리 소정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파쇄된 상태에서 첨가될 수 있다. 또는 무기물 입자가 투입된 후 볼밀법 등을 이용해서 소정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제어하면서 파쇄하여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물 및/또는 슬러리에는 필요에 따라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가 더 투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를 다공성 고분자 기재 위에 도포하고 가습 조건 하에서 소정 시간 정치하여 바인더 수지를 고화(건조)시킨다.
이러한 가습 조건에서 바인더 수지가 고화되면서 상기 슬러리 중 바인더 수지의 상분리가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습 조건은 상대 습도 약 40% 내지 80%의 조건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분리의 과정에서 용매가 무기 코팅층의 표면부로 이동하며 용매의 이동을 따라 바인더 수지가 무기 코팅층의 표면부로 이동되면서 표층부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전극 접착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PVdF계 바인더 수지에 의해 효과적으로 표층부에 바인더의 함량이 높은 전극 접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 접착부에 분포된 바인더 수지에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가 적정량 포함됨으로써 전극과 분리막간 높은 접착력이 발휘된다.
상기 용매는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를 용해할 수 있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매로는, 케톤계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극성 아미드 용매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슬러리의 도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마이어 바, 다이 코터, 리버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등의 종래의 도공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코팅층을 분리막의 양면에 형성할 경우, 도공액을 편면씩 도공하고 나서 가습 상분리 및 건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공액을 양면 동시에 다공질 기재 위에 도공하고 나서 가습 상분리 및 건조하는 쪽이,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3.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전지는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전술한 특징을 구비한 분리막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극은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층을 구비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망간복합 산화물(LiMn 2O 4, LiMnO 2 등),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 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 2)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 xMn yNi zCo (1-y-z)O 2(x는 0.5 내지 2, x+y+z=1), 화학식 Li 1+xMn 2-xO 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 3, LiMn 2O 3, LiMnO 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 2CuO 2); LiV 3O 8, LiV 3O 4, V 2O 5, Cu 2V 2O 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 1-xM xO 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및 Ga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 aNi xCo yMn zO 2(0<a<1.5, 0< [x,y,z]<1, x+y+z=1), LiMn 2-xM xO 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 2Mn 3MO 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 2O 4; 디설파이드 화합물; Fe 2(MoO 4) 3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구비한다.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로 리튬 금속산화물,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 등의 탄소; Li xFe 2O 3(0<x≤1), Li xWO 2(0<x≤1), Sn xMe 1-xMe' yO 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 2, PbO, PbO 2, Pb 2O 3, Pb 3O 4, Sb 2O 3, Sb 2O 4, Sb 2O 5, GeO, GeO 2, Bi 2O 3, Bi 2O 4 및 Bi 2O 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티타늄 산화물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예를 들어, 흑연, 카본블랙, 탄소 섬유 또는 금속 섬유, 금속 분말, 도전성 위스커, 도전성 금속 산화물, 활성 카본(activated carbon) 및 폴리페닐렌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도전성 재료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슈퍼 피(super-p),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덴카(denka) 블랙, 알루미늄 분말, 니켈 분말, 산화 아연, 티탄산 칼륨 및 산화 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도전성 재료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당업계에서 전극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eth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polyetylexyl acrylate),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polybutyl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cellulose acetatepropionate), 시아노에틸플루란 (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cyanoethylsucrose), 플루란 (pullulan) 및 카르복실 메틸 셀 룰로오스 (carboxyl methyl cellulose)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전극 조립체는 적절한 케이스에 장입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A +B -와 같은 구조의 염으로서, A +는 Li +,Na +,K +와 같은 알칼리 금속 양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고 B -는 PF 6 -, BF 4 -, Cl -, Br -, I -, ClO 4 -, AsF 6 -, CH 3CO 2 -, CF 3SO 3 -, N(CF 3SO 2) 2 -, C(CF 2SO 2) 3 -와 같은 음이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을 포함하는 염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 부티로락톤 (g-부티로락톤),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이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해리된 것이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유기 용매는 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 100 중량% 대비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30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또는 65 중량%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이소부틸 프로피오네이트, 이소아밀 프로피오네이트, 이소부틸 부티레이트, 이소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 메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프로피오네이트, 부틸프로피오네이트,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프로필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메틸부티레이트, 에틸부티레이트, 프로필부티레이트, 및 부틸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전지모듈, 상기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예로는, 전지적 모터에 의해 동력을 받아 움직이는 파워 툴(power tool);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을 포함하는 전기차; 전기 자전거(E-bike), 전기 스쿠터(E-scooter)를 포함하는 전기 이륜차; 전기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전력저장용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1) 분리막의 제조
실시예 1
Al 2O 3, PVdF-HFP(Arkema) 및 분산제(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를 중량비로 90:9:1로 아세톤에 투입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PVdF-HFP는 HFP 치환율이 8wt% 이고,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dimethyl 2-methylenepentanedioate)가 도입된 것으로서 이의 도입량은 1wt% 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PVdF-HFP는 분자량(Mw)이 45만(g/mol) 이었다.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폴리에틸렌, 기공도 45%, 두께 9㎛) 위에 분리막 면적 대비 15g/m 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상대습도 55%의 가습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Al 2O 3, PVdF-HFP(Arkema) 및 분산제(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를 중량비로 84:15:1로 아세톤에 투입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PVdF-HFP는 HFP 치환율이 8wt% 이고,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dimethyl 2-methylenepentanedioate)가 도입된 것으로서 이의 치환율은 1wt% 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PVdF-HFP는 분자량(Mw)이 45만 이었다.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폴리에틸렌, 기공도 45%, 두께 9㎛) 위에 분리막 면적 대비 15g/m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상대습도 55%의 가습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Al 2O 3, PVdF-HFP(Arkema) 및 분산제(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를 중량비로 78:20:2로 아세톤에 투입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PVdF-HFP는 HFP 치환율이 8wt% 이고,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dimethyl 2-methylenepentanedioate)가 도입된 것으로서 이의 치환율은 1wt% 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PVdF-HFP는 분자량(Mw)이 45만 이었다.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폴리에틸렌, 기공도 45%, 두께 9㎛) 위에 분리막 면적 대비 15g/m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상대습도 55%의 가습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Al 2O 3, PVdF-HFP(Arkema) 및 분산제(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를 중량비로 90:9:1로 아세톤에 투입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PVdF-HFP는 HFP 치환율이 8wt% 이고,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dimethyl 2-methylenepentanedioate)가 도입된 것으로서 이의 치환율은 3wt% 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PVdF-HFP는 분자량(Mw)이 38만 이었다.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폴리에틸렌, 기공도 45%, 두께 9㎛) 위에 분리막 면적 대비 15g/m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상대습도 55%의 가습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Al 2O 3, PVdF-HFP(Arkema) 및 분산제(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를 중량비로 90:9:1로 아세톤에 투입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PVdF-HFP는 HFP 치환율이 15wt% 이고,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dimethyl 2-methylenepentanedioate)가 도입된 것으로서 이의 치환율은 1wt% 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PVdF-HFP는 분자량(Mw)이 50만 이었다.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폴리에틸렌, 기공도 45%, 두께 9㎛) 위에 분리막 면적 대비 15g/m 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상대습도 55%의 가습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Al 2O 3, PVdF-HFP 및 분산제(시아노에틸 폴리비닐알콜)를 중량비로 90:9:1로 아세톤에 투입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PVdF-HFP는 HFP 치환율이 15wt% 였다. 한편, 상기 PVdF-HFP는 실시예 1 내지 5와 달리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가 도입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PVdF-HFP는 분자량(Mw)이 45만 이었다.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폴리에틸렌, 기공도 45%, 두께 9㎛) 위에 분리막 면적 대비 15g/m 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상대습도 55%의 가습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Al 2O 3, PVdF-HFP 및 분산제(시아노에틸 폴리비닐알콜)를 중량비로 90:9:1로 아세톤에 투입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PVdF-HFP는 HFP 치환율이 8wt% 였다. 한편, 상기 PVdF-HFP는 실시예 1 내지 5와 달리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가 도입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PVdF-HFP는 분자량(Mw)이 38만 이었다.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폴리에틸렌, 기공도 45%, 두께 9㎛) 위에 분리막 면적 대비 15g/m 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상대습도 55%의 가습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Al 2O 3, PVdF-HFP 및 분산제(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를 중량비로 90:9:1로 아세톤에 투입하여 무기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PVdF-HFP는 HFP 치환율이 22wt% 였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로 사용된 PVdF-HFP는 분자량(Mw)이 40만 이었다. 상기 슬러리를 분리막(폴리에틸렌, 기공도 45%, 두께 9㎛) 위에 분리막 면적 대비 15g/m 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상대습도 55%의 가습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분리막을 수득하였다.
(2) 전극의 제조
천연흑연, SBR 및 CMC (중량비로 90:9:1)를 물에 투입하여 음극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상기 음극 슬러리를 구리 박막(두께 10㎛) 위에 125mg/cm 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이를 90㎛의 두께가 되도록 압연하고 60mm(길이)x 25mm(폭)으로 절단하여 음극을 수득하였다.
(3) 결과 분석
1) 바인더 전극 접착력 평가
각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사용된 각 바인더 수지를 각각 DMC(디메틸카보네이트)에 투입하여 바인더 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바인더 용액을 유리판(두께 200㎛)위에 4g/cm 2의 로딩량으로 도포한 후 건조하였다. 다음으로 60mm(길이)x25mm(폭)으로 절단하여 바인더 필름을 수득하였다. 상기 바인더 필름을 상기 제조예에서 준비된 음극의 표면에 배치하고 90℃의 온도 조건 및 8.5Mpa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 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상기 시편을 70 mm (길이) x 15 mm (폭) 의 크기로 절단하여 양면 테이프를 바른 유리판 위에 전극면이 부착되도록 접착시킨 시편을 준비하였다. 각 시편을 접착강도 측정기 (LLOYD Instrument, LF plus)에 고정시키고 전극을 25℃에서 15mm/min 속도로 180°의 각도로 박리하고 이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2) 전극 접착력 ((-)- 접착력)
2-1) Dry 접착력
상기 각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하여 수득한 분리막을 70mm(길이)x 25mm(폭)으로 절단하여 준비된 음극과 분리막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70℃ 4MPa 조건으로 라미네이션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준비된 시편을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유리판에 부착하여 고정하였으며 이때 음극이 유리판에 대면하도록 배치하였다. 시편의 분리막 부분을 25℃에서 15mm/min 속도로 180°의 각도로 박리하고 이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2-2) Wet 접착력
상기 각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하여 수득한 분리막을 70mm(길이)x 25mm(폭)으로 절단하여 준비된 음극과 분리막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70℃ 4MPa 조건으로 라미네이션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준비된 시편을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에 장입하고 4 시간 유지하여 시편을 전해액으로 함침시켰다. 상기 전해액은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피오네이트가 부피비로 7:3 혼합되고 LiPF 61M 농도로 준비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시편을 케이스에서 꺼낸 후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유리판에 부착하여 고정하였으며 이때 음극이 유리판에 대면하도록 배치하였다. 시편의 분리막 부분을 25℃에서 15mm/min 속도로 180°의 각도로 박리하고 이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3) 열수축율 측정
3-1) dry 열수축율 측정
상기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를 통하여 수득한 분리막을 70mm(길이)x 25mm(폭)으로 절단하여 준비된 음극과 분리막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70℃ 4MPa 조건으로 라미네이션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각 시편을 150℃ 오븐에 30분(min) 동안 방치한 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수축율을 측정하였다. 수축율은 하기 [계산식 1]을 통해 계산하였다.
[계산식 1]
열 수축율(%) = [(열 수축전의 길이 - 수축 후의 길이) / 열 수축 전의 길이]X100
3-2) wet 열수축율 측정
상기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를 통하여 수득한 분리막을 70mm(길이)x 25mm(폭)으로 절단하여 준비된 음극과 분리막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70℃ 4MPa 조건으로 라미네이션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준비된 시편을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에 장입하고 4시간 유지하여 시편을 전해액으로 함침시켰다. 상기 전해액은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피오네이트가 부피비로 7:3 혼합되고 LiPF 61M농도로 준비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시편을 전지 케이스에서 꺼낸 후 상기 각 시편을 150℃ 오븐에 30분(min) 동안 방치한 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수축율을 측정하였다. 수축율은 상기 [계산식 1]을 통해 계산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접착력 및 열수축 측정 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의 분리막은 비교예 1 및 3의 분리막에 비해서 높은 박리 강도 및 전극 접착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wet 상태에서 비교예의 분리막은 전극 접착력이 전혀 발현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수축율의 경우 dry 상태 및 wet 상태에서 모두 실시예 1 내지 5의 분리막이 열수축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한 두께와 로딩량으로 코팅된 경우 분리막 기재와 무기 코팅층의 접착력이 강한 분리막에서 수축율이 적다. 주로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분리막 기재는 가열이 되면 연신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수축)을 나타낸다. 분리막 기재의 표면에 무기 코팅층이 형성된 분리막의 경우, 분리막 기재와 무기 코팅층의 결착력이 높을수록 분리막 기재가 무기 코팅층에 잘 부착되어 무기 코팅층이 분리막 기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분리막에 열이 가하여지더라도 분리막 기재의 수축이 방지되며 그 결과 분리막이 수축되지 않고 원형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의 분리막은 dry 상태 및 wet 상태 모두 분리막 기재와 무기 코팅층의 결착력이 우수하므로 두 상태 모두 분리막의 열수축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착력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바인더 sheet 전극 접착력박리 강도(gf/15mm) 84 102 121 87 95 35 33 50
(Dry) SRS 전극 접착력(gf/15mm) 60 82.3 90 67.3 75.2 59 40 20
(wet) SRS 전극 접착력(gf/15mm) 17 22 24.5 18.3 20.7 측정 불가 측정불가 측정불가
열수축율(길이방향/폭방향)(%) 9.5/7 11.3/9.7 14.5/12.3 9/6.3 10/7 11.7/10 12.3/11.7 16.7/14
(Wet)접착후 열수축율(길이방향/폭방향)(%) 5/3.3 6/5.3 7/6.7 4.3/2.7 5.3/4 8.5/7 9/10.5 15.3/12.7

Claims (13)

  1. 다공성 고분자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기재의 적어도 일측 표면에 형성된 무기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무기 코팅층은 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중합체(PVdF계 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PVdF계 중합체는 주사슬에서 하나 이상의 수소가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로 치환된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중합체(PVdF계 중합체)는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며,
    아래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아래 (화학식 2)에서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0 이하의 알킬기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화학식 1)
    Figure PCTKR2019014401-appb-img-000005
    ,
    (화학식 2)
    Figure PCTKR2019014401-appb-img-000006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의 각 탄소에 결합된 수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수소 이외의 다른 원소 또는 기능기로 치환된 것이며, 상기 기능기는 에스테르기, 케톤기, 수산기, 에테르기 카르복실기 및 카르보닐기 중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dF계 중합체는 주사슬이 불화비닐리덴 및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인 것이며, 상기 단량체는 트리플루오로에틸렌(TrFE);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CTFE); 1,2-디플루오로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PMVE), 퍼플루오로(에틸비닐)에테르(PEVE) 및 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PPVE) 등의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퍼플루오로(1,3-디옥솔); 및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 중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단량체에 의한 치환율이 1 내지 20 중량%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5. 제1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는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n-아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아크릴레이트, n-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아밀메타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틸2-메틸렌펜탄디오네이트 (dimethyl 2-methylenepentanedionate)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dF 중합체는 PVdF 중합체 100중량% 대비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 유래의 기능기가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비율로 도입된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PVdF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600,000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와 무기물 입자의 총량 100중량% 대비 무기물 입자가 5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무기 코팅층 표면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접착성 표층부가 구비된 것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코팅층은 바인더 수지에 의해 무기물 입자들이 서로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무기물 입자간 형성된 인터스티셜 볼륨에서 기인한 다수의 미세 기공을 가지며 무기 코팅층 표면에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높은 접착성 표층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기 코팅층과 접착성 표층부가 일체 불가분의 관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표층부는 분리막의 가습 조건하에서의 건조시 바인더 수지의 상분리 방법을 통해 유래된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조건은 상대 습도 40% 내지 80%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13.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양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막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인 전기화학소자.
PCT/KR2019/014401 2018-10-29 2019-10-29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20091396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78162.7A EP3848998A4 (en) 2018-10-29 2019-10-29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ITS PRODUCTION PROCESS
CN201980044812.7A CN112385076A (zh) 2018-10-29 2019-10-29 用于电化学装置的隔板和制造该隔板的方法
US17/251,413 US20210280944A1 (en) 2018-10-29 2019-10-29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72 2018-10-29
KR20180130072 2018-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396A1 true WO2020091396A1 (ko) 2020-05-07

Family

ID=7046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4401 WO2020091396A1 (ko) 2018-10-29 2019-10-29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80944A1 (ko)
EP (1) EP3848998A4 (ko)
KR (1) KR102404749B1 (ko)
CN (1) CN112385076A (ko)
WO (1) WO20200913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7883A (zh) * 2021-03-24 2022-03-1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粘结剂及包括该粘结剂的电化学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4494B2 (ja) * 1997-04-28 2006-06-14 株式会社クレハ 電池用バインダー、バインダー溶液、電極合剤、電極構造体および電池
KR101298507B1 (ko) 2004-06-25 2013-08-22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4-(벤즈이미다졸릴메틸아미노)벤즈아미딘의 제조방법
JP2015076350A (ja) * 2013-10-11 2015-04-20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KR20160129762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701332B1 (ko) * 2015-06-17 2017-02-02 울산과학기술원 리튬 이차 전지용 바인더,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70098146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리튬 이차 전지용 권회 소자,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80130072A (ko) 2017-05-26 2018-12-06 한국화학연구원 아연 산화물 및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히드록실기 알킬화용 다공성 촉매, 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히드록실기의 알킬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32364C (en) * 2005-12-06 2014-02-18 Lg Chem, Ltd. Organic/inorganic composite separator having morphology gradie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2156318B1 (ko) * 2013-09-23 2020-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양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마그네슘이차전지
KR101785263B1 (ko) * 2013-12-02 2017-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바인더 조성물, 이에 의해 형성된 바인더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상기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및 상기 바인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04296B1 (ko) * 2015-12-22 2018-1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공성 접착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KR102008898B1 (ko) * 2016-05-11 2019-08-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8147714A1 (ko) * 2017-02-13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층을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용 분리막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4494B2 (ja) * 1997-04-28 2006-06-14 株式会社クレハ 電池用バインダー、バインダー溶液、電極合剤、電極構造体および電池
KR101298507B1 (ko) 2004-06-25 2013-08-22 베링거 인겔하임 인터내셔날 게엠베하 4-(벤즈이미다졸릴메틸아미노)벤즈아미딘의 제조방법
JP2015076350A (ja) * 2013-10-11 2015-04-20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電池パック、電動車両、電力貯蔵システム、電動工具および電子機器
KR20160129762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함침성이 향상된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상기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1701332B1 (ko) * 2015-06-17 2017-02-02 울산과학기술원 리튬 이차 전지용 바인더,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 상기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70098146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리튬 이차 전지용 권회 소자, 및 리튬 이차 전지
KR20180130072A (ko) 2017-05-26 2018-12-06 한국화학연구원 아연 산화물 및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히드록실기 알킬화용 다공성 촉매, 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히드록실기의 알킬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vol. 22, 2012, pages 341
See also references of EP3848998A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07883A (zh) * 2021-03-24 2022-03-1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粘结剂及包括该粘结剂的电化学装置
WO2022198472A1 (zh) * 2021-03-24 2022-09-2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粘结剂及包括该粘结剂的电化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48998A1 (en) 2021-07-14
KR20200049649A (ko) 2020-05-08
US20210280944A1 (en) 2021-09-09
EP3848998A4 (en) 2021-11-24
CN112385076A (zh) 2021-02-19
KR102404749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4130A1 (ko)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WO2020067778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7034353A1 (ko)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복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7039385A1 (ko) 점착력이 상이한 점착 코팅부들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WO2016159724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융착형 복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13675A1 (ko) 저저항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20060310A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20013671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20159296A1 (ko) 절연필름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210922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9009564A1 (ko) 분리막,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및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20140050877A (ko) 바인더층을 갖는 분리막,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WO2020067845A1 (ko) 개선된 전극접착력 및 저항 특성을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15076573A1 (ko) 이차 전지
WO2020138627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20235969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21206431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21172774A1 (ko) 탭 상에 형성된 절연필름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0226367A1 (ko) 바인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WO2021034060A1 (ko) 내열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WO2019240501A1 (ko) 무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21071125A1 (ko) 리튬 이차 전지 및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WO2021101221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22045858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20091396A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81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781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406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