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76076A1 -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76076A1
WO2020076076A1 PCT/KR2019/013252 KR2019013252W WO2020076076A1 WO 2020076076 A1 WO2020076076 A1 WO 2020076076A1 KR 2019013252 W KR2019013252 W KR 2019013252W WO 2020076076 A1 WO2020076076 A1 WO 20200760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ter
fine dust
conductive
filter module
dust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32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혜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링크
Priority to US17/283,78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833464B2/en
Publication of WO20200760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760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4Organic material, e.g. cellulose,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01D39/083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01D39/086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15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natural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8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03Glass or glassy material
    • B01D39/2017Glass or glassy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01D39/2031Metallic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01D39/2041Metallic material the material being filamentary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41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electrically conductive fibres o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25Fibr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41Particl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50Means for discharging electrostatic potenti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filter unit, a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a conductive filter unit, and a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more specifically project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cap 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ductive filter
  • the conductive filter unit provided with an electrode rod comprising a conductive member and a metal member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generates a strong electric field and a large amount of ions between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and the conductive filter. It relates to a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capable of realizing a high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electric power.
  • the fine dust is small in size and does not get caught in the mouth or nasal bronchi when breathing in the human body and penetrates deep into the alveoli. It has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efraction and scattering of light, which causes a lot of trouble in securing visibility.
  • fine dust contains many organic and inorganic harmful substances
  • the fine dust that has penetrated to the lungs remains in the lung and delivers various organic and inorganic harmful substances that contain and contains to the human body, which is a very serious respiratory disease such as pneumonia, lung cancer, and bronchitis.
  • Fine dust is not only a mobile pollution source such as automobiles in our country, but also a fixed source of pollution caused by domestic heating and industrial energy consumption. Because it lies in the interior, it suffers a lot of difficulties not only outdoors but also because of fine dust.
  • the HEPA filter shows a high fine dust filtration rate capable of collecting 99.97% of fine dust having a diameter of 0.3 ⁇ m.
  • the HEPA filter is very effective in removing fine dust, but the nano-sized fine polymer or glass fiber is very tightly entangled, so the filter efficiency of air is very low. That is, the pressure loss is very large. Therefore, when the HEPA filter is used in an air cleaning system that removes fine dust, a large-capacity blower is required, resulting in large power consumption, resulting in high noise and vibration, and additionally requiring equipment for soundproofing and dustproofing. In addition, the hepa filter once used cannot be reused, and there is a hassle that needs to be replaced every 6 to 12 months.
  • a typical filter material is an electret filter that effectively collects fine dust in the air through electrostatic force because the filter material itself has a positive or negative charge.
  • the electrical charge characteristic of the electrostatic filter disappears as dust is collected and accumulated, and it is not used for collecting particulate contaminants, but the electrical charge characteristic easily disappears even after being stored for a long time. Even when the surface of the electrostatic filter is exposed to water or alcohol, the charge property is very easily removed, and thus, the ability to remove fine dust is significantly reduced.
  • the conductive filter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filter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and positive and negative or negative, respectively.
  • a filter for air purification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dielectric filter is electrically polarized by applying a positive high voltage to activate electrostatically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8465).
  •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8465 the filter still suffers from the process hassle of making the filter into a total of three layers and the high pressure loss caused by the double layers.
  • a method of removing fine dust by applying a conductive filter to an electrostatic precipitating system by coating a metal on a general nonwoven filter with a pressure loss of 1/5 to 1/20 of that of a general hepa filter has been introduced.
  •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7, 9, 16495-16504 In order to solve the high pressure loss problem of the HEPA filter, a method of maximizing the electric field with charged microparticles by gi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by coating metal on a filter material having a low pressure loss. Although it is about / 10, fine dust could be removed at a level equivalent to the HEPA filter.
  • the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may be good.
  • the movement of ions generated in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is very fast, so there is a very high probability that it will be destroyed by contact with nearby objects, so there are not many ions entering the cylindrical module. That is, since only the particles charged by the ions generated in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can be removed from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fine particles that are not charged between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and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re not removed by the cylindrical conductive filter module. Can occur.
  • the present inventors as a result of diligent research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case of a fine dust removal system comprising a conductive filter unit having an electrode having a cylindrical filter module and a metal member disposed electrode,
  • the pressure loss is about 0.5 to 10pa, which can indicate a pressure loss of about 1/20 to 1/5 level than that of a normal hepa filter, and the particle charg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uctive filter unit and a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capable of realizing high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with low pressure los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a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same.
  • a second electrode cap
  • a conductive filter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cap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and forming an inner sp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cap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 It may include; a conductive member protru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cap to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ductive filter, and an electrode rod including a metal memb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surface.
  • a filter holding plate comprising at least one open air inlet
  • a conductive filter unit mounted on the filter fixing plate may include.
  •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or clean air is discharged from the housing;
  • It may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contaminated air inlet or clean air outlet of the housing to induce a flow of air.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re uniformly applied with an electric field inside the cylindrical conductive filter, together with the fine dust collecting mechanism of a general filter. Eve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ng effect can be exhibited, and the precipitating effect of the filter is further improved.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provid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re arranged as metal electrodes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as electrode rods, thereby providing a particle charging device and a conductive filter.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provid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re arranged as metal electrodes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thereb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ions.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fine dust particles and at the same time to induce a strong electric field between the electrode rod and the conductive filter, so that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is more compact by simultaneously charging and collecting fine dust inside the conductive filter unit without a separate particle charging device. Can be implemented.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provid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 the case of an electrode having a metallic member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an electrode having no metallic member disposed Contrast fine dust removal rate is more than 90%, it has an excellent fine dust removal effect.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ive filter material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HEPA filter, the fine particle size of 300 nm is 99.97 Equivalent to the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of the HEPA filter that can be removed by more than%, and a pressure loss of 0.1 to 0.2 times that of the HEPA filter (reduced pressure loss (0.5 Pa to 2 Pa at a filter pass rate of 5 cm / sec)) And three or more times the dust retaining effect.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have reduced pressure loss compared to the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and improved dust retention performance, resulting in blower power consumption 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costs can be reduced, and the service life can be extended by more than 2 times.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re easy to separate and clean the conductive filter and can be reused.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the outer housing is directed to the upper or lower opening of the window toward the clean air outlet
  • the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minated air inlet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and through an air purification action, it is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clean air outlet, thereby purifying air.
  •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re fixed so that the clean air outlet port faces the interior of the window frame where the window of the window is installed.
  •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and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re fixed so that the clean air outlet port faces the interior of the window frame where the window of the window is installed.
  • FIG. 1 and 2 show an electrode rod 115 including a metal member 115b disposed on a part of a surface of a conductive member 115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ductive filter unit 110 including the same It is a schematic diagram.
  • 3 and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upper fixing plate constituting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to 8 illustrate a method in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2 illustrate a mechanism for collecting fine dust when fine dust flows into the conductive filter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to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ne dust removal system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nductive filter unit includes a first electrode cap; A second electrode cap; A conductive filter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cap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and forming an inner sp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cap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And an electrode member including a conductive member protru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cap to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ductive filter, and a metal memb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surface. It may include.
  • the metal member dispos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of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tal fibers and powder-shaped metal fibers, and the metal fibers have an average long direction.
  • the length may be 1 mm (millimeter) to 300 cm (centimeter), and the powdered metal fibers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um (micrometer) to 1000 um (micrometer).
  • the electrode rod of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electrode cap,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can be any degree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cap of the conductive filter unit is formed to allow air to enter the space inside the conductive filter.
  • the first electrode cap of the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es a filter fixing plate including at least one open air inlet; And a conductive filter unit mounted on the filter fixing plate. It may include.
  •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es a housing; A conductive filter module of claim 5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or discharged from clean air; It may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contaminated air inlet or clean air outlet of the housing to induce a flow of air.
  •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article charging device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or clean air is discharged from the housing.
  • the housing in whic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nd the blower are disposed is a contaminated air inlet And the clean air outlet are arranged inside the corresponding outer housing.
  •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includes a particle charging device
  •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the housing in whic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and the blower are disposed are contaminated This is achieved by arranging the air inlet and the clean air outlet inside the corresponding outer housing.
  • one side of the housing forms a partition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one inner wall provided with a contaminated air inlet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other side A partition wall is formed so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ther inner wall provided with the clean air outlet of the outer housing,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in a part of the lower portion, and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ontaminated air inlet,
  •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is arranged and fixed in a direct downward direction from an inner middle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blower is provided in a space between a communication portion below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a clean air outlet.
  • the outer housing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fixing the clean air outlet toward the room in the upper or lower opening of the window.
  • the housing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formed by fixing the clean air outlet toward the room on a window frame of a window.
  • the outer housing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es a first contaminated air inlet and a second contaminated air inlet disposed in two different places, and the first contaminated air By arranging the inlet and the second contaminated air inlet, it is formed to select the contaminated air to be introduced as outdoor or indoor air.
  • first contaminated air inlet and the second contaminated air inlet of the outer housing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to further include dampers disposed respectively.
  • the housing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is made by being provided in a stand shape on a fixed base or a rotating base rotated by a motor.
  • the housing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being provided 50 to 150 cm (centimeter) above the bottom surface.
  • the housing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a conductive filter module may separately install an air circulation fan that enhances indoor air circulation in a portion that is 50 cm (centimeter) from the bottom surface.
  •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air cleaning structure and the air circul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s needed.
  • FIG. 1 and 2 show a conductive filter unit 110 constituting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for collecting fine dust part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ductiv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cap; A second electrode cap;
  • a conductive filter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cap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and forming an inner sp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cap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And an electrode member including a conductive member protruding from the second electrode cap to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ductive filter, and a metal member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ductive member surface. It includes.
  • the metal is gold (Au), platinum (Pt), silver (Ag), osmium (Os), iridium (Ir), ruthenium (Ru), palladium (Pd), copper (Cu), zinc (Zn) , Gallium (Ga), Germanium (Ge), Nickel (Ni), Tin (Sn), Lead (Pb), Cobalt (Co), Manganese (Mn), Antimony (Sb), Magnesium (Mg), Aluminum (Al) , Iron (Fe), indium (In), silicon (Si), chromium (Cr), titanium (Ti), vanadium (V), lanthanum (La), cerium (Ce), tungsten (W), tungsten alloy, molybdenum (Mo), a molybdenum alloy, and tungsten-molybdenum alloy.
  • FIGS. 1 and 2 include a conductive filter unit 110 for high efficiency dust collection using a conductive filter used for removing fine dust through a filtration method and an electrostatic precipitation method,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conductive filter For high-efficiency dust collection through the conductive filter material, the conductive filter must be locat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in a limited space, and it is common to use a bent filter to install a larger area filter.
  • the filter 111 may use any material having a filter structur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pass electricity.
  • the filter structure is a structure composed of suitable pores and a support, which means that a fluid including particulate matter passes through, and some or all of the particulate matter is attached to the support and removed, and the flui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pores. do.
  • the conductive filter in order to satisfy the flexibility required for deformation such as bending and bending of the conductive filter, it is composed of polymer, natural yarn, glass fiber, paper, etc. rather than a bulk metal filter, and is conductive to a filter having flexibility. It is preferred that the material is supplied in a coated state.
  • the area of the electrode made of a high-conductivity material that contacts the filter so that a uniform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conductive filter rather than applying a voltage to one part of the conductive filter. It is desirable to widen.
  • the conductive filter 11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ductive filter unit 110 capable of realizing a large filtration area in a relatively narrow volume in a manner of winding the conductive filter 111 in a cylindrical shape.
  • the conductive filter unit 110 has a certain type of opening to allow air containing fine dust to flow between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115 on one side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filter 111 Formed, in particular, may include a ring-shaped first electrode cap 112 and a second electrode cap 113 sealed to prevent air from entering the electrode rods on the other side.
  • an electrod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first electrode cap 112 or that the first electrode cap 112 itself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a high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ter 111,
  • the conductive filter 111 is woun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cap 11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s of the first electrode cap 112, and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first electrode cap 112 are made of an adhesive material. This is to ensure that the application of high voltage is perfect by ensuring complete contact.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ductive filter 111 is prevented from escaping between the first electrode cap 112 and the conductive filter 111.
  •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serves to seal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o fix the electrode rod 115 and to closely fix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filter 111. That is, like the first electrode cap 112,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filter 111 is completely adhered and wound along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and air does not escap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and the conductive filter 111. Prevents sealing adhesion with adhesive material.
  •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serves to fix the electrode rod 115. can do.
  •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115. It may be made of a short-circuited structure.
  • the conductive filter unit 110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cap 112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support 114 for holding the conductive filter and the cylindrical coil wound around it. It may be to include a conductive filter 111 of.
  • the conductive filter 111 wound around the support body 114 is rolled in a cylindrical shape to perfectly adhere with an adhesive material so that air does not leak between both ends of the filter that meet each other.
  • the conductive filter unit 110 is located inside the conductive filter 111 by positioning the electrode rod 115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nductive filter 111 wound in a cylindrical shape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It may be to ensure that a uniform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rod 115 and the filter inner surface.
  •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115 plays a key role in allowing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conductive filter 111 to be collected in the conductive filter with high efficiency by the electric field.
  • an electrode In order to form a uniform electric field between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115, an electrode must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cap 112 so that a high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conductive filter 111 )
  • the electrode 115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should be provided with an electrode that allows the voltage of the pole opposite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lter to be applied or grounded.
  • the metal member 115b disposed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115a may be a metal fiber and a powdered metal fiber for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ions between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and the conductive filter, and the metal fiber
  • the averag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1 mm (millimeter) to 300 cm (centimeter)
  • the metal fiber of the powder shape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um (micrometer) to 1000um (micrometer).
  • the metal is gold (Au), platinum (Pt), silver (Ag), osmium (Os), iridium (Ir), ruthenium (Ru), palladium (Pd), copper (Cu), zinc (Zn) , Gallium (Ga), Germanium (Ge), Nickel (Ni), Tin (Sn), Lead (Pb), Cobalt (Co), Manganese (Mn), Antimony (Sb), Magnesium (Mg), Aluminum (Al) , Iron (Fe), indium (In), silicon (Si), chromium (Cr), titanium (Ti), vanadium (V), lanthanum (La), cerium (Ce), tungsten (W), tungsten alloy, molybdenum (Mo), a molybdenum alloy, and tungsten-molybdenum alloy.
  • a high voltage of the same pole as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particle charging part is also applied to the conductive member 115a.
  • the voltage of the pole opposite to the pole of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ground or conductive member 115a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ter.
  • a negative or positive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115 on which the metal member 115b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member 115a, and the conductive filter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electrode of the ground or conductive member 115a.
  • a high voltag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applied high voltage is applied.
  • the conductive filter unit using the conductive member 115a on which the metal member 115b is disposed on the surface as the electrode rod 115 in addition to the role of forming an electric field in which charged particles are well trapped in the conductive filter, a large amount It also serves to improve the charge rate of fine dust particles by inducing the generation of ions.
  • the movement path of ions generated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 115a and the conductive filter that is, generated by the conductive member and moved to the conductive filter, the fine dust particles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se paths collide with the ions.
  • the probability is improved and the particle charge rate can be improved rapidly.
  •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ine dust particles is changed to the direction of the conductive filter, so that the collection efficiency by electrostatic force can be greatly improved.
  • a cylindrical filter module including an electrode rod on which a metal member is not disposed on a surface without a separate particle charging device when applied, only a ground is applied to a conductive filter without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 rod, and fine dust is generated.
  • the removal rate was an average of 6.7%.
  • the removal efficiency of each fine dust was measured. At this time, the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was 90 to 100%, indicating excellent fine dust removal efficiency.
  •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may include a filter fixing plate 120 in order to mount and fix a plurality of the conductive filter units 11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3 to 8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filter fixing plate 120 may include air inlets 121 as many as the number of conductive filter units 110 to be connected to mount the conductive filter unit 110.
  • the air inlet 121 is formed of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cap 112 of the conductive filter unit 110 can be connected, and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first so that a high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ter 111.
  • Between the electrode cap 112 and the filter fixing plate 120 may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not electrically shorted.
  • FIGS. 5 to 8 illustrate a method in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a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including a filter fixing plate 120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nductive filter unit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 a high voltage of 1 to 20 [kV]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in order to form an electric field necessary for removing fine dust.
  • the filter fixing plate 120, the first electrode cap 112, and the conductive filter 1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filter 111 in a structure that is not electrically shorted.
  • the electrode rod 115 is grounded or a high voltage of a pole opposite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lter fixing plate 120 is applied to form a uniform electric field between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115.
  • the conductive filter 111 is grounded or a high voltage of a pole opposite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rod 115 is applied.
  • the electric field between the conductive filter and the electrode rod is also strengthened to maximize the collection rate on the conductive filter of fine dust particles.
  • FIGS. 9 to 12 illustrate a mechanism for collecting fine dust when fine dust flows into the conductive filter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positely charged fine dust particles may be those that pass through the conductive filter 111 to the filter dust collection and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mechanism, and are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unit fiber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filter.
  • the electrode rod is applied with a pole (117 or 119) of a voltage having the same pole as the fine dust particles, so that the fine dust particles charged to the same pole are filtered dust and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mechanism, the fine dust is conductive filter 111 It may pass through and be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unit fiber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filter.
  •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is introduced into th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fine dust through the first electrode cap 112 to which the conductive filter 111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It is very important to allow fine dust to flow into the electric field region formed between (115).
  •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generates a large amount of ions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by using the electrode rod 115 on which the metal member 115b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member 115a. , It may not include a particle charging device.
  • an embodiment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0 is provided with a pressure blower 510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cap 112 of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as shown in Figure 1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housing 300 of the closed structure may be installed so as to prevent air leakage and inflow around the surroundings.
  • th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flows into a channel through the pressure blower 510 to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 fine dust present in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and is electrically charged.
  • the air containing the charged fine dust is all of the first electrode cap 112 by the housing 300 formed as a sealing wall between the pressure blower 510 and the filter fixing plate 120 for fixing the conductive filter unit 110.
  •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115 is introduced, the charged fine dust is mostly collec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ductive filter.
  • a functional filter for removing gaseous contaminants or odors present in the ai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r rear end of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 the rear end means all parts in the rear end of the particle charging apparatus 400 based on the air flow direction.
  • FIG. 1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ne dust removal system 10 provided with the conductive filter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manned blower 520 under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 And the housing 300 of the closed structure may be installed to prevent air leakage and inflow around the periphery.
  • the housing 300 of the sealed structure may be extended to be connected to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so that contaminated air containing fine dust can pass through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 the negative pressure is maintained inside the housing 300 of the sealed structure, and contaminated air containing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 the fine dust present in the introduced contaminated air passes through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and is electrically charged.
  • the contaminated air containing the charged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115 through the first electrode cap 112 by the housing 300 of the sealed structure, and the charged fine dust is charged. Most are collec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ductive filter.
  • a functional filter (not shown) for removing gaseous pollutants or odors present in the ai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r rear end of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 the conductive filter 111 is arranged in a square
  • the housing 300 of the closed structure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manned blower 520 is positioned on each of the four directions of the module, and the air blower and the inflow portion of the manned blower are not blocked.
  • the air inlet 121 may be provided with a housing 300 of a structure capable of sealing around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so that all ai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 the negative pressure is maintained inside the housing 300 of the closed structure, and air containing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 fine dust present in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and is electrically charged.
  • the air containing the charged fine dust is introduced between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electrode rod 115 through the first electrode cap 112 by the housing 300 of the sealed structure, and the charged fine dust is mostly the inner wall of the conductive filter Is captured in.
  • a functional filter for removing gaseous contaminants or odors present in the ai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r rear end of the particle charging device 400.
  • the conductive filter 111 is arranged and arranged in a rectangular shape.
  • the conductive filter 111, the manned blower 520, the conductive filter 111, and the particle charging apparatus The housing 300 of the closed structure that blocks air outflow and inflow through the path between the 400 and the outer housing 50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housing 300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first electrode cap 112 may be located at the top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but the first electrode cap 112 )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second electrode cap 113 may be located at the top.
  • the conductive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place of a fine dust removal device used in homes and industries or a fine dust removal filter included in an air purification dev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2 전극캡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필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전도부재, 및 상기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전극봉이 구비된 전도성 필터 유닛,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입자 하전 장치 및 전도성 필터 사이에 강한 전기장 및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켜 미세먼지의 하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미세먼지 제거 효율의 구현이 가능한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본 발명은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제 2 전극캡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필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전도부재, 및 상기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전극봉이 구비된 전도성 필터 유닛은, 입자 하전 장치 및 전도성 필터 사이에 강한 전기장 및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켜 미세먼지의 하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미세먼지 제거 효율의 구현이 가능한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크기가 작아 인체 호흡 시 입이나 코 기관지 등에 걸리지 않고 폐포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는 특성이 있으며, 빛의 굴절 및 산란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시야확보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미세먼지는 많은 유기 무기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폐까지 침투한 미세먼지는 폐 속에 잔류하며 포함하고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유기 무기 유해물질을 인체에 전달하여 폐렴, 폐암, 기관지염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미세먼지는 우리 나라의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오염원뿐만 아니라 가정용 난방, 산업용 에너지 소비 등에 의해 발생되는 고정오염원에 더불어 중국의 고비 사막으로부터 발생되어 넘어오는 황사 그리고 최근 중국의 대규모 산업화로 인해 동아시아 전체가 심각한 수준에 놓여있어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미세먼지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여과 장치는 대부분 필터를 이용한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필터 중, 헤파(HEPA) 필터는 직경이 0.3 ㎛ 급의 미세먼지를 99.97% 포집할 수 있는 높은 미세먼지 여과율을 보인다.
그러나 헤파 필터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데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나노 크기의 미세 폴리머 또는 유리섬유가 매우 조밀하게 얽혀있어 공기의 필터 투과 효율이 매우 낮다. 즉, 압력손실이 매우 크다. 그로 인해 HEPA 필터를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청정 시스템에 활용할 경우, 대용량 송풍기가 필요하며 그로 인한 동력 소비량이 크고 그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심해 방음 및 방진을 위한 설비도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번 사용된 헤파 필터는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6~12개월 간격으로 교체를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근래에 들어와서는 이러한 헤파 필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다양한 기능성 필터소재들이 소개되고 있다. 대표적인 필터소재로는 필터 소재 자체가 양(positive) 또는 음(negative)의 하전을 띠고 있어 정전기력을 통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하는 정전필터(electret filter)가 있다. 그러나 정전필터의 전기적 하전 특성은 먼지가 포집 되어 쌓일수록 없어지며, 입자상 오염물질 포집에 사용되지 않고 오랜 시간 보관만 되도 전기적 하전 특성이 쉽게 사라진다. 정전필터 표면이 물이나 알콜 등에 노출될 경우에도 하전 특성이 매우 쉽게 제거되어 미세먼지 제거 능력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정전 필터의 하전 특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또는 외부 손상에 의해 쉽게 소멸 내지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특성을 갖는 필터의 상,하부에 전도성 필터를 겹쳐 놓고 각각 양과 음 또는 음과 양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유전체 여과제를 전기적으로 분극하여 정전기적으로 활성화시킨 공기 정화용 필터가 개발된 바 있다 (공개특허 10-2011-0128465). 그러나 해당 필터는 필터를 총 3겹으로 만들어야 하는 공정상 번거로움과 겹겹의 필터로 인한 높은 압력손실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압력손실이 일반 헤파 필터의 1/5 ~ 1/20 수준인 일반 부직포 필터에 금속을 코팅하여 전도성 필터를 전기 집진 방식의 시스템에 적용하여 미세먼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도 소개된 바 있다(ACS Appl. Mater. Interfaces 2017, 9, 16495-16504). 헤파 필터의 높은 압력손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낮은 압력손실을 지닌 필터소재에 금속을 코팅하는 방법으로 높은 전기전도성을 부여하여 하전된 미세입자와의 전기장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압력 손실은 헤파 필터의 1/10 수준이지만 미세먼지는 헤파 필터와 동등한 수준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정한 부피의 공간에 많은 양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필터 절곡법을 금속이 코팅된 전도성 필터에 적용할 경우 균일한 전기장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적으로 하전된 미세먼지와 전도성 필터 사이의 전기적 인력이 제대로 발생하지 않아 미세먼지 제거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낮은 압력손실을 유지할 수 있는 전도성 필터소재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함유하는 다량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기존 필터 절곡법이 아닌 새로운 필터 모듈이 제공되어야 한다.
한편, 원통형 모듈 내부 전도성 필터와 전극봉 사이에는 이온 발생이 적어 전단의 입자하전장치(ionizer)에서 발생되는 이온이 원통형 모듈내부까지 존재해야만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좋을 수 있다. 그러나 입자하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이온의 움직임은 매우 빨라 인근에 존재하는 물체에 닿아 소멸될 확률이 매우 높아 원통형 모듈까지 유입되는 이온은 그리 많지 않다. 즉, 입자하전장치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해 하전된 입자만이 전도성 필터모듈에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입자하전장치와 전도성 필터 모듈 사이에서 하전되지 않은 미세먼지는 원통형 전도성 필터모듈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원통형 필터 모듈 및 금속부재가 배치된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전극봉이 구비된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으로 절곡되지 않은 필터 모듈를 통과하는 공기의 여과 속도가 5cm/sec일 때 압력손실이 약 0.5 ~ 10pa 정도로서 일반 헤파 필터 보다 약 1/20 ~ 1/5 수준의 압력 손실을 나타낼 수 있으며, 입자하전장치 및 전도성 필터 사이에 강한 전기장 및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입자하전장치와 전도성 필터 모듈 사이에서 하전 되지 않은 미세먼지까지도 하전 시킬 수 있어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다량의 공기를 고효율로 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압력 손실이 작으며 높은 미세먼지 제거 효율의 구현이 가능한 전도성 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도성 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유닛은
제 1 전극캡;
제 2 전극캡;
상기 제 1 전극캡 및 제 2 전극캡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극캡 및 제 2 전극캡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전도성 필터; 및
상기 제 2 전극캡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필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전도부재, 및 상기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전극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필터 고정판; 및
상기 필터 고정판에 장착되는 전도성 필터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 또는 청정공기 배출방향에 배치되는 상기 전도성 필터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 또는 청정공기 배출 방향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원통형의 전도성 필터 내부에 전기장이 고르게 인가되어 일반적인 필터의 미세먼지 포집 메커니즘과 함께 전기집진 효과까지 발휘할 수 있어, 필터의 집진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전극봉으로서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금속부재를 배치시켜 입자하전장치 및 전도성 필터 사이에 강한 전기장 및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입자하전장치와 전도성 필터모듈 사이에서 하전되지 않은 미세먼지까지도 하전시킬 수 있어, 필터의 집진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전극봉으로서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금속부재를 배치시켜 다량의 이온발생을 통해 미세먼지 입자를 하전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전극봉과 전도성 필터 사이에 강한 전기장을 유도할 수 있어 별도의 입자하전장치 없이도 전도성 필터 유닛 내부에서 미세먼지의 하전과 집진이 동시에 일어나게 하여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보다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전도부재 표면에 금속부재가 배치된 전극봉의 경우, 금속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전극봉 대비 미세먼지 제거율이 90% 이상으로, 우수한 미세먼지 제거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전도성 필터 소재가 종래 HEPA 필터와 비교할 경우, 300 nm 입자 크기의 미세먼지가 99.97% 이상 제거 가능한 HEPA 필터의 미세먼지 제거 효율과 대등하고, HEPA 필터 대비 0.1 내지 0.2배 수준의 압력손실(저감된 압력손실(5 cm/sec의 필터통과 유속일 때 0.5 Pa 내지 2 Pa 인)) 및 3배 이상의 분진 유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미세먼지 제거 효율 대비 저감된 압력 손실, 향상된 분진 유지 성능으로 인하여, 송풍기 동력 소비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고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사용기간도 2배 이상 장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상기 전도성 필터의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상기 외부 하우징이 창호의 상방 또는 하방 개구부에 청정공기 배출구가 실내를 향하도록 고정되어서 이루어짐으로써, 오염공기가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의 오염공기 유입구로 유입되어서, 공기 정화 작용을 거쳐, 청정공기 배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면서 공기 청정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창호의 창문이 설치되는 창틀 부분에 청정공기 배출구가 실내를 향하도록 고정되어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전용 창호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 창호의 창문이 탈거된 창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성을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부재(115a) 표면 중 일부에 배치된 금속부재(115b)를 포함하는 전극봉(115),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유닛(1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100)을 구성하는 상부 고정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100)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유닛(110)으로 미세먼지가 유입 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유닛은 제 1 전극캡; 제 2 전극캡; 상기 제 1 전극캡 및 제 2 전극캡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극캡 및 제 2 전극캡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전도성 필터; 및 상기 제 2 전극캡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필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전도부재, 및 상기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전극봉;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유닛의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금속부재는 금속섬유 및 분말 형상의 금속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섬유는 평균 장방향 길이가 1 mm(밀리미터) 내지 300cm(센티미터)이고, 상기 분말 형상의 금속섬유는 평균 입경이 1um(마이크로미터) 내지 1000um(마이크로미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유닛의 상기 전극봉은 상기 제 2 전극캡 외부까지 연장 돌출된 것이며, 돌출 정도는 외부전극과 연결될 수 있는 정도이면 어떠한 정도의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전극캡은 상기 전도성 필터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유닛의 상기 제 1 전극캡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필터 고정판; 및 상기 필터 고정판에 장착되는 전도성 필터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 또는 청정공기 배출방향에 배치되는 제5항의 전도성 필터모듈; 상기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 또는 청정공기 배출 방향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 또는 청정공기 배출 방향에 배치되는 입자 하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이 입자 하전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송풍기가 배치된 하우징이 오염공기 유입구와 청정공기 배출구가 대응 마련된 외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이 입자 하전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입자 하전 장치와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송풍기가 배치된 하우징이 오염공기 유입구와 청정공기 배출구가 대응 마련된 외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면은 외부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일측 내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격벽을 형성하고, 타측 면은 외부 하우징의 청정공기 배출구가 마련된 타측 내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격벽을 형성하되, 하방 일부에 연통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입자 하전 장치는 오염공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하우징의 일측 면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은 하우징의 내측 중간 부분에서 직하방으로 배치 고정되고, 상기 송풍기는 하우징의 타측 면 하방 연통 부위와 청정공기 배출구 사이 공간에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의 상기 외부 하우징은 창호의 상방 또는 하방 개구부에 청정공기 배출구가 실내를 향하도록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은 창호의 창틀에 청정공기 배출구가 실내를 향하도록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의 상기 외부 하우징은 서로 다른 두 곳에 배치된 제1 오염공기 유입구 및 제2 오염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염공기 유입구 및 제2 오염공기 유입구를 배치함으로써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실외기 또는 실내 공기로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의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제1 오염공기 유입구 및 제2 오염공기 유입구에는 각각 배치된 댐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은 고정형 베이스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형 베이스 상에 스탠드 형태로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에서 50~150cm(센티미터) 상방에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의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에서 50cm(센티미터) 되는 부분에 실내 공기 순환을 강화하는 공기 순환팬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구조와 공기순환구조는 필요에 따라서 그 상부, 하부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100)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 중 전도성 필터 유닛(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입자의 포집을 위한 전도성 필터 모듈(100)을 구성하는 전도성 필터 유닛(110)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전도성 필터 유닛은, 제 1 전극캡; 제 2 전극캡;
상기 제 1 전극캡 및 제 2 전극캡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극캡 및 제 2 전극캡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전도성 필터; 및 상기 제 2 전극캡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필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전도부재, 및 상기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전극봉; 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부재에서 금속은 금(Au), 백금(Pt), 은(Ag), 오스뮴(Os), 이리듐(Ir), 루테늄(Ru), 팔라듐(Pd), 구리(Cu), 아연(Zn), 갈륨(Ga), 게르마늄(Ge), 니켈(Ni), 주석(Sn), 납(Pb), 코발트(Co), 망간(Mn), 안티몬(Sb),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철 (Fe), 인듐(In), 실리콘(Si), 크롬(Cr), 티타늄(Ti), 바나듐(V), 란탄(La), 세륨 (Ce), 텅스텐(W), 텅스텐 합금, 몰리브덴(Mo), 몰리브덴 합금, 텅스텐-몰리브덴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여과 방식 및 전기 집진 방식을 통한 미세먼지 제거에 사용되는 전도성 필터를 이용한 고효율 집진을 위하여, 전도성 필터 유닛(11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터 소재를 통한 미세먼지의 고효율 집진을 위해서는 전도성 필터가 제한된 공간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위치되어 있어야 하며, 더 넓은 면적의 필터를 설치하기 위해 절곡된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전도성 필터(111)는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필터 구조를 지닌 소재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필터 구조란 적절한 기공과 지지체로 구성된 구조로 입자상 물질을 포함한 유체가 통과하며 입자상 물질 일부 내지 전체가 상기 지지체에 부착 제거되고 유체는 기공을 통해 통과 배출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물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필터의 절곡 및 구부림과 같은 변형을 위해 요구되는 유연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벌크상태의 금속 재질의 필터보다는 폴리머, 자연사, 유리섬유, 종이 등으로 구성되어 유연성이 확보된 필터에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도성 필터 소재를 통한 미세먼지의 고효율 집진을 위해서는 전도성 필터의 한쪽 부분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보다는 전도성 필터 전 영역에 고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필터와 접촉하는 고전도성 소재로 구성된 전극의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도성 필터(111)를 일정 지름의 원통형으로 감는 방식으로 비교적 좁은 부피에 넓은 여과 면적의 구현이 가능한 전도성 필터 유닛(11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필터 유닛(110)은 상기 전도성 필터(111)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일측에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로 미세먼지를 함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된, 특히 링 형상의 제 1 전극캡(112) 및 나머지 일측에 전극봉이 설치되고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제 2 전극캡(11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필터(111)에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제 1 전극캡(112)에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이 설치되어 있거나 제 1 전극캡(112) 자체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도성 필터(111)는 제 1 전극캡(112)의 전극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 1 전극캡(112)에 밀착되도록 감아 원통형으로 만들고 접착 물질로 전도성 필터(111)와 제 1 전극캡(112)이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하여 고전압 인가가 완벽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필터(11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 1 전극캡(112)과 전도성 필터(111) 사이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캡(113)은 전도성 필터(111) 하부를 밀폐하며 전극봉(115)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도성 필터(111) 하부를 밀착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 전극캡(112)과 마찬가지로 전도성 필터(111) 하부가 제 2 전극캡(113)을 따라 완전히 밀착되어 감기도록 하고 제 2 전극캡(113)과 전도성 필터(111)사이로 공기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접착 물질로 밀봉 접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필터(111) 하부가 제 2 전극캡(113)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제 2 전극캡(113)은 전극봉(115)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전극캡(113)은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제 2 전극캡(113)은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전도성 필터 유닛(110)은 제 1 전극캡(112)과 제 2 전극캡(113)을 연결하는 동시에 전도성 필터를 잡아주기 위한 지지체(114)와 이를 중심으로 감겨있는 원통형의 전도성 필터(111)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필터(111)를 이용한 미세먼지의 고효율 집진에 있어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으로 들어오는 공기가 모두 필터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필터와 그 필터를 잡아주는 지지체와의 접합이 빈틈없이 이루어져야만 필터 내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 누출없이 필터를 통과해 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지지체(114)를 중심으로 감겨있는 전도성 필터(111)는 원통형으로 말려 서로 만나는 필터 양끝 부분 사이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접착물질로 완벽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필터 유닛(110)은 제 2 전극캡(113)의 중앙으로부터 원통형으로 감긴 전도성 필터(111)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전극봉(115)을 위치하게 함으로써, 전도성 필터(111) 내부에 전극봉(115)과 필터 내부면 사이에 균일한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에 전기장은 전도성 필터(111) 내부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전기장에 의해 전도성 필터에 고효율로 포집 되도록 하는 핵심이 되는 역할을 한다.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의 균일한 전기장 형성을 위해서는 전도성 필터(111)에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제 1 전극캡(112)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전도성 필터(111)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위치한 전극봉(115)은 필터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되는 극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접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전도부재(115a) 표면 중 일부에 배치된 금속부재(115b)는 입자 하전 장치 및 전도성 필터 사이에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섬유 및 분말 형상의 금속섬유일 수 있으며, 금속섬유는 평균 장방향 길이가 1 mm(밀리미터) 내지 300 cm(센티미터), 분말 형상의 금속섬유는 평균 입경이 1um(마이크로미터) 내지 1000um(마이크로미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금속섬유에서 금속은 금(Au), 백금(Pt), 은(Ag), 오스뮴(Os), 이리듐(Ir), 루테늄(Ru), 팔라듐(Pd), 구리(Cu), 아연(Zn), 갈륨(Ga), 게르마늄(Ge), 니켈(Ni), 주석(Sn), 납(Pb), 코발트(Co), 망간(Mn), 안티몬(Sb),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철 (Fe), 인듐(In), 실리콘(Si), 크롬(Cr), 티타늄(Ti), 바나듐(V), 란탄(La), 세륨 (Ce), 텅스텐(W), 텅스텐 합금, 몰리브덴(Mo), 몰리브덴 합금, 텅스텐-몰리브덴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부재(115a) 표면에 금속부재(115b)가 배치된 전극봉(115)이 사용된 전도성 필터유닛의 경우에는 전도부재(115a)에도 입자 하전부에 인가된 고전압과 같은 극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전도성 필터에는 접지 또는 전도부재(115a)에 인가된 고전압의 극과 반대되는 극의 전압을 인가한다.
별도의 입자 하전부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전도부재(115a) 표면에 금속부재(115b)가 배치된 전극봉(115)에 음 또는 양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전도성 필터에는 접지 또는 전도부재(115a) 전극봉에 인가된 고전압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의 고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금속부재(115b)가 표면에 배치된 전도부재(115a)를 전극봉(115)으로 사용하는 전도성 필터유닛의 경우는 하전입자가 전도성 필터에 포집이 잘되도록 유도하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역할 외에도 많은 양의 이온 발생을 유도하여 미세먼지 입자의 하전율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한다. 특히 이때는 전도부재(115a)와 전도성 필터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온의 이동 경로, 즉 전도부재에서 발생하여 전도성 필터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로에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미세먼지 입자는 이온과의 충돌 확률이 향상되어 입자 하전율이 급격하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온과의 충돌로 인해 미세먼지 입자의 이동 방향이 전도성 필터 방향으로 바뀌어 정전기력에 의한 포집 효율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입자 하전 장치 없이 표면에 금속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전극봉을 포함하는 원통형 필터 모듈을 사용하여 전극봉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전도성 필터에 접지만 했을 때, 미세먼지 제거율은 평균 6.7% 였다. 반면에, 전극부재 표면에 0.5cm(센티미터) 내지 7cm(센티미터)의 길이로 자른 금속부재, 1mm(밀리미터) 내지 3mm(밀리미터)의 길이로 자른 금속부재 및 10um(마이크로미터) 내지 30um(마이크로미터)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 형태의 금속이 배치된 전극봉을 포함하는 원통형 필터 모듈에서 전극봉에 -1kV 내지 -6kV의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고 전도성 필터에 접지를 한 경우, 각각의 미세먼지 제거효율을 측정하였을 때, 미세먼지 제거 효율이 90 내지 100%로서 우수한 미세먼지 제거 효율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본 발명 중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0)은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도성 필터 유닛(110)을 복수개로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필터 고정판(12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 고정판(120)은 전도성 필터 유닛(110)을 장착하기 위하여 연결되어야 할 전도성 필터 유닛(110)의 수만큼 공기 유입구(12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121)에는 전도성 필터 유닛(110)의 제 1 전극캡(112)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전도성 필터(111)에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전도성 필터(111)와 제 1 전극캡(112), 필터 고정판(120)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단락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전도성 필터 유닛(110)이 장착된 필터 고정판(120)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100)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미세먼지 제거에 필요한 전기장의 형성을 위하여, 전도성 필터 모듈(100)에 1 내지 20[kV]의 고전압을 인가한다. 필터 고정판(120)과 제 1 전극캡(112), 그리고 전도성 필터(111)는 서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지 않은 구조로 전도성 필터(111)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전극봉(115)은 접지되거나 필터 고정판(120)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되는 극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에 균일한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전극부재(115a) 표면에 금속부재(115b)가 배치된 전극봉(115)이 사용된 경우는 전도성 필터(111)가 접지되거나 전극봉(115)에 인가된 전압과 반대되는 극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극부재(115a)로부터 많은 양의 이온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전도성 필터와 전극봉 사이의 전기장도 강화하여 미세먼지 입자의 전도성 필터상 포집율을 극대화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유닛(110)으로 미세먼지가 유입 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도성 필터 유닛(110)으로 미세먼지가 유입될 경우, 전도성 필터(111)의 내벽과 전극봉(115)과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 영역으로 전도성 필터에 인가된 전압의 극(116 또는 118)과 반대되는 극으로 하전된 미세먼지 입자는 여과집진 및 전기집진 메카니즘에 상기 미세먼지가 전도성 필터(111)를 통과하며, 전도성 필터를 구성하는 단위 섬유 표면에 포집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극봉은 미세먼지 입자와 동일한 극을 갖는 전압의 극(117 또는 119)이 인가됨으로써 이와 동일한 극으로 하전된 미세먼지 입자가 여과집진 및 전기집진 메카니즘에 상기 미세먼지가 전도성 필터(111)를 통과하며, 전도성 필터를 구성하는 단위 섬유 표면에 포집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100)은 전도성 필터(111)가 연결된 제 1 전극캡(112)을 통해 미세먼지가 함유된 오염공기가 유입되어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 영역으로 미세먼지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 중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0)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인 전도성 필터 모듈(100)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전극부재(115a) 표면에 금속부재(115b)가 배치된 전극봉(115)을 사용함으로써 고전압 인가 시 많은 양의 이온을 발생시키므로, 입자 하전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먼지가 함유된 오염공기가 유입되어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 영역으로 미세먼지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인 전도성 필터 모듈(100)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의 일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0)의 제 1 전극캡(112) 상부에 가압 송풍기(510)를 위치시키고, 그 주변을 공기 유출 및 유입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미세먼지를 함유하는 오염공기는 가압송풍기(510)를 통해 전도성 필터 모듈(100)로 통하는 채널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공기 중 존재하는 미세먼지는 입자 하전 장치(400)를 통과하며 전기적으로 하전된다. 하전된 미세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는 가압송풍기(510)와 전도성 필터 유닛(110)을 고정하는 필터 고정판(120) 사이의 밀폐 벽으로 형성된 하우징(300)에 의해 모두 제 1 전극캡(112)을 통해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로 유입되며, 유입된 하전된 미세먼지는 대부분 전도성 필터 내벽에 포집된다. 이때, 공기 중 존재하는 가스상 오염물질 내지 악취 등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성 필터를 입자 하전 장치(400)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후단이란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입자 하전 장치(400) 후단부에 있는 모든 부분의 의미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도성 필터 모듈(100)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전극캡(113) 하부에 유인 송풍기(520)를 위치하도록 하고, 그 주변을 공기 유출 및 유입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미세먼지를 함유하는 오염공기가 입자 하전 장치(400)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을 입자 하전 장치(400)까지 연결되도록 연장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인 송풍기(520)를 구동할 경우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 내부는 음압이 유지되어 외부와 통하는 입자 하전 장치(400)로 미세먼지가 함유된 오염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오염공기 중 존재하는 미세먼지는 입자 하전 장치(400)를 통과하며 전기적으로 하전된다.
상기와 같이 하전된 미세먼지를 함유하는 오염공기는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에 의해 모두 제 1 전극캡(112)을 통해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로 유입되어 하전된 미세먼지는 대부분 전도성 필터 내벽에 포집된다. 이때 공기 중 존재하는 가스상 오염물질 내지 악취 등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성 필터(미도시)를 입자 하전 장치(400)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0)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필터(111)가 배열 정리된 사각형태의 모듈 네 방향 면 각각에 유인 송풍기(520)를 위치하도록 하고, 유인 송풍기가 막지 못하는 부분은 공기 유출 및 유입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121)에도 모든 공기가 입자 하전 장치(40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입자 하전 장치(400) 주변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물의 하우징(30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유인 송풍기(420)을 구동할 경우,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 내부는 음압이 유지되어 외부와 통하는 입자 하전 장치(400)로 미세먼지가 함유된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공기 중 존재하는 미세먼지는 입자 하전 장치(400)를 통과하며 전기적으로 하전된다. 하전된 미세먼지를 함유하는 공기는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에 의해 모두 제 1 전극캡(112)을 통해 전도성 필터(111)와 전극봉(115) 사이로 유입되어 하전된 미세먼지는 대부분 전도성 필터 내벽에 포집된다. 이때 공기 중 존재하는 가스상 오염물질 내지 악취 등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성 필터를 입자 하전 장치(400)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전도성 필터 모듈(100)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1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필터(111)가 배열 정리된 사각형태의 모듈의 상방에 유인송풍기(520)가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하방에 입자 하전 장치(400)가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에서, 전도성 필터(111)와 유인송풍기(520) 및 전도성 필터(111)와 입자 하전 장치(400) 사이의 경로로 공기 유출 및 유입을 차단하는 밀폐 구조물의 하우징(300) 및 하우징(300) 외부를 감싸는 외부 하우징(500)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도성 필터(111)가 배열 정리된 사각형태의 모듈의 구조는 제 1 전극캡(112)이 상부에 위치하며 제 2전극캡(113)이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제 1 전극캡(112)이 하부에 위치하며 제 2전극캡(113)이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도성 필터 유닛은 가정 및 산업에서 사용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또는 공기정화장치에 포함된 미세먼지 제거필터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제 1 전극캡;
    제 2 전극캡;
    상기 제 1 전극캡 및 제 2 전극캡을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극캡 및 제 2 전극캡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전도성 필터; 및
    상기 제 2 전극캡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필터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전도부재, 및 상기 전도부재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전극봉; 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금속섬유 및 분말 형상의 금속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섬유는 평균 장방향 길이가 1 mm (밀리미터) 내지 300 cm(센티미터)인,
    전도성 필터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형상의 금속섬유는 평균 입경이 1um(마이크로미터) 내지 1000um(마이크로미터) 인,
    전도성 필터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은 상기 제 2 전극캡 외부까지 연장 돌출된 것인,
    전도성 필터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캡은 상기 전도성 필터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인,
    전도성 필터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캡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인,
    전도성 필터 유닛.
  8.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필터 고정판; 및
    상기 필터 고정판에 장착되는 제1항에 의한 전도성 필터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
  9.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 또는 청정공기 배출방향에 배치되는 제5항의 전도성 필터모듈;
    상기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 또는 청정공기 배출 방향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송풍기; 를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 또는 청정공기 배출 방향에 배치되는 입자 하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송풍기가 배치된 하우징이 오염공기 유입구와 청정공기 배출구가 대응 마련된 외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 하전 장치와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송풍기가 배치된 하우징이 오염공기 유입구와 청정공기 배출구가 대응 마련된 외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3. 제 11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면은 외부 하우징의 오염공기 유입구가 마련된 일측 내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격벽을 형성하고, 타측 면은 외부 하우징의 청정공기 배출구가 마련된 타측 내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격벽을 형성하되, 하방 일부에 연통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입자 하전 장치는 오염공기 유입구와 대응되는 하우징의 일측 면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은 하우징의 내측 중간 부분에서 직하방으로 배치 고정되고, 상기 송풍기는 하우징의 타측 면 하방 연통 부위와 청정공기 배출구 사이 공간에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창호의 상방 또는 하방 개구부에 청정공기 배출구가 실내를 향하도록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창호의 창틀에 청정공기 배출구가 실내를 향하도록 고정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서로 다른 두 곳에 배치된 제1 오염공기 유입구 및 제2 오염공기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염공기 유입구 및 제2 오염공기 유입구를 배치함으로써 유입되는 오염공기를 실외기 또는 실내 공기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인,
    전도성 필터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염공기 유입구 및 제2 오염공기 유입구에 각각 배치된 댐퍼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8.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고정형 베이스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형 베이스 상에 스탠드 형태로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것인,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바닥면에서 50~150cm 상방에 마련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실내 공기 순환을 돕는 공기 순환팬이 별도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PCT/KR2019/013252 2018-10-10 2019-10-10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WO20200760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83,783 US11833464B2 (en) 2018-10-10 2019-10-10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conductive filte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335A KR102066479B1 (ko) 2018-10-10 2018-10-10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KR10-2018-0120335 2018-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6076A1 true WO2020076076A1 (ko) 2020-04-16

Family

ID=6915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3252 WO2020076076A1 (ko) 2018-10-10 2019-10-10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33464B2 (ko)
KR (1) KR102066479B1 (ko)
WO (1) WO2020076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7109926U (zh) * 2021-05-12 2022-08-02 微喂苍穹(上海)健康科技有限公司 一段式空气消毒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1372B2 (ja) * 1990-01-26 1995-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オン化ユニット
KR20060080599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20120027543A (ko) * 2009-07-24 2012-03-2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정전 필터
JP5198701B2 (ja) * 1999-10-19 2013-05-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電子濾過装置
KR101506324B1 (ko) * 2013-03-08 2015-03-26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레인지 후드형 플라즈마 전기 집진 필터 장치
KR20160143049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나노렉스 열교환 환풍기 및 이를 포함한 공기질 관리시스템
KR20180076711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대명이앤지 방사성 기체 및 먼지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0631C2 (de) * 1992-09-12 1996-08-08 Amann & Soehne Verfahren zur Entfernung von elektrisch leitenden Teilchen aus einem Gasstrom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H07121372A (ja) * 1993-10-20 1995-05-12 Hitachi Ltd クラス継承関係導出システム
US6221136B1 (en) 1998-11-25 2001-04-24 Msp Corporation Compact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droplet aerosol collection
FR2798303B1 (fr) * 1999-09-14 2001-11-09 Daniel Teboul Dispositif de traitement d'un milieu gazeux, en particulier des gaz d'echapp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t vehicule equipe d'un tel dispositif
JP3443733B2 (ja) 2000-08-04 2003-09-08 敬 山口 ディーゼル自動車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GB0221989D0 (en) * 2002-09-21 2002-10-30 Tec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as cleaning devices
US6902604B2 (en) 2003-05-15 2005-06-07 Fleetguard, Inc.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internal power supply
JP2004355885A (ja) * 2003-05-28 2004-12-16 Serumi Medical Instruments Co Ltd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JP4404654B2 (ja) * 2003-06-17 2010-01-27 京セラ株式会社 イオン発生用セラミック基板およびイオン発生装置
FR2861802B1 (fr) 2003-10-30 2006-01-20 Renault Sas Dispositif electronique pour controler le fonctionnement d'un filtre electrostatique dispose dans la ligne d'echappement d'un vehicule automobile
WO2007116131A1 (fr) 2006-04-11 2007-10-18 Renault S.A.S Dispositif et procede de capture et d’elimination de particules agglomerees issues d’un filtre a particules de vehicule automobile
FR2915234B1 (fr) * 2007-04-18 2013-08-02 Renault Sas Systeme de filtration electrostatique pour les gaz d'echapp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202007016125U1 (de) * 2007-11-19 2009-05-28 Burkhardt, Roswitha Rußpartikelfilter mit variabel gesteuerter Rußabbrennung
US7582145B2 (en) 2007-12-17 2009-09-01 Krigmont Henry V Space efficient hybrid collector
US7582144B2 (en) 2007-12-17 2009-09-01 Henry Krigmont Space efficient hybrid air purifier
DE102008011949A1 (de) 2008-02-29 2010-01-21 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Elektrostatischer Abscheider
KR100937944B1 (ko) 2009-03-10 2010-01-21 한국기계연구원 탄소섬유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064242B1 (ko) * 2009-09-23 2011-09-14 한국기계연구원 공기를 이용하는 절연 고정장치가 구비된 전기집진장치
KR20110118367A (ko) 2010-04-23 2011-10-31 (주)엘지하우시스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창호용 환기 장치
KR101231574B1 (ko) 2010-05-24 2013-0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공성 전극 적용 공기정화용 필터
KR101183945B1 (ko) 2010-07-15 2012-09-19 한국기계연구원 이온발생기의 조절이 용이한 전기집진장치
KR20140002280U (ko) * 2012-10-12 2014-04-22 화밍 류 유연 분해를 위한 조합 방전 반응기
US9234112B2 (en) * 2013-06-05 2016-01-12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Metal precursor powder, method of manufacturing conductive metal layer or pattern,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NL2011012C2 (en) * 2013-06-19 2014-12-22 Virus Free Air B V Gas flow cleaning device.
KR101579668B1 (ko) * 2014-01-13 2015-12-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입자 분급 시스템
KR101641296B1 (ko) 2014-10-14 2016-07-21 한국기계연구원 유해 가스 및 입자를 동시에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2481567B1 (ko) * 2015-02-27 2022-12-26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집진 장치
KR101684860B1 (ko) * 2015-03-26 2016-12-09 한국기계연구원 전도성 필터 및 전도성 필터의 제조 방법
KR102165516B1 (ko) * 2015-12-08 2020-10-14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셀 구조체 및 링 커넥터 구조의 집진 전극의 제조 방법
KR102267445B1 (ko) * 2016-02-15 2021-06-18 질리카 페어파렌스테크니크 게엠베하 오염물이 함유된 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49459B1 (ko) * 2016-07-15 2018-04-17 재단법인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대전체 세라믹필터
KR101975183B1 (ko) * 2017-09-01 2019-05-13 주식회사 알링크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1372B2 (ja) * 1990-01-26 1995-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オン化ユニット
JP5198701B2 (ja) * 1999-10-19 2013-05-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電子濾過装置
KR20060080599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20120027543A (ko) * 2009-07-24 2012-03-2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정전 필터
KR101506324B1 (ko) * 2013-03-08 2015-03-26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레인지 후드형 플라즈마 전기 집진 필터 장치
KR20160143049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나노렉스 열교환 환풍기 및 이를 포함한 공기질 관리시스템
KR20180076711A (ko) * 2016-12-28 2018-07-06 주식회사 대명이앤지 방사성 기체 및 먼지제거가 가능한 친환경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479B1 (ko) 2020-01-15
US11833464B2 (en) 2023-12-05
US20220258087A1 (en)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4677B (zh) 用于提高空气净化效率的设备、系统和方法
CN111032224B (zh) 导电性过滤器单元、带该过滤器单元的导电性过滤器模块及带该过滤器模块的微尘去除系统
KR20180072749A (ko) 공기 정화 디바이스 및 장치
EP3097363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308333B1 (ko) 마찰 정전기 집진장치
WO2020076076A1 (ko)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JP2006525113A (ja) 導電性のガス精製フィルターおよび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ー
CN107649290A (zh) 一种高压极板涂覆绝缘涂层的静电集尘模块
WO2019045278A2 (ko)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WO2014084632A1 (ko) 전기집진시스템에 구비된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전기집진장치를 이용한 집진방법
JP2004286418A (ja) 空気浄化装置
JP4507405B2 (ja) 厨房排気装置
JP3216699B2 (ja) 空気清浄装置
JPH0910628A (ja) 空気清浄装置
WO2012077887A1 (ko) 무동력 사이클론 방식과 전기 집진 방식을 채택한 공기 정화 장치
JPH08266928A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3634178B2 (ja) 電気集塵装置
CN220552055U (zh) 空气净化设备
CN207025573U (zh) 一种可自清洁的静电除尘装置
WO2024039077A1 (ko) 전기 집진 장치
WO2023128297A1 (ko) 전기집진장치
WO2021107399A1 (ko) 흡입형 집진 장치
CN220552059U (zh) 空气净化设备
WO2024085571A1 (ko) 공기조화기용 입자 하전 장치
KR0146943B1 (ko) 열교환기의 먼지흡착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04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04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