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32401A1 -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32401A1
WO2020032401A1 PCT/KR2019/008427 KR2019008427W WO2020032401A1 WO 2020032401 A1 WO2020032401 A1 WO 2020032401A1 KR 2019008427 W KR2019008427 W KR 2019008427W WO 2020032401 A1 WO2020032401 A1 WO 20200324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evice
terminal
main body
terminal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84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트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트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트맥
Priority to EP19847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836339B1/en
Priority to CN201980050330.2A priority patent/CN112585836B/zh
Priority to JP2021507587A priority patent/JP6973969B2/ja
Publication of WO20200324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32401A1/ko
Priority to US17/167,634 priority patent/US1118996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since a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in the main body are manufactured in a state arranged in a housing, and then installed in the charging device together with the hous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production cost is lowered.
  • Charging device that reduces the probability of breakage even during frequent separation through elastic force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 portions of the terminal, and enables easy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due to the magnet coupling. It is about.
  • a plurality of pogo pin type terminals are provided in a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 the charging device having such pogo pin-type terminals has the trouble of manufacturing individual pogo pin-type terminals, arranging them in the charging device, and assembling them, and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due to this complicated procedure. have.
  • the pogo pin-type terminal has a problem of low durability due to the high rate of breakage during frequent removal because of the dat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in the main body portion arranged in the housing and then installed in the charging device together with the housing manufacturing process is Providing a charging device that is simple and low in production cost, and lowers the probability of breakage even during frequent detachment through the elastic force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of the terminal and facilitates the removal of the body portion. will b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device that facilitates the use by allowing easy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due to the magnet coupling.
  • the charging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portion at one end, a main body portion to which a cable is connected at the other end,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at one end, and And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ird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the device at the other end,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detachably coupled by a magnet.
  • the magnet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 the first terminal portion includes a housing and a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each pair of terminals being positioned such that two terminals face each other, each end of the two terminals having a first holding portion and A second gripping portion can be formed.
  • the first gripp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are curved to approach each other u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way from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determined position.
  • the housing may include an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are accommodated, and an extension part which is stepped downwar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and extends outward of the accommodating part.
  •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each pair of terminals may be accommodated in each region.
  •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ortion positioned on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housing.
  • the said magnet is provided in the said mounting part.
  •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part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erminal part and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part.
  • the magnet may be provided in the fitting portion.
  •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production cost is lowered.
  •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 the main body portion are bent toward each other until they reach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re bent so as to move away from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a predetermined position. Since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inserted, even if a force is applied in any direction when the body portion is remov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ody portion can be easily remov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portions.
  • the elastic force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first holding portion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has an advantage of lowering the probability of its breakage even with frequent separa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 the detachable coupling by the magnet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enables easy detachment and easy coupling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convenience of use.
  • FIG. 1 schematically shows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device of FIG. 1 is separated.
  •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ain body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n a main body of a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o a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terminal of FIG. 4.
  •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housing in a body por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body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eating portion is coupled to a housing in a main body por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nec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device of FIG. 1 is separated.
  • the charging device 1000 includes a main body part 100 and a connection part 200.
  •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are kept in a coupled state, and when not charging, the main body part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may be separated.
  •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are coupled by a magnetic for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may be separated. . That is,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of the charg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by a magnet.
  • FIG.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ain body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n a main body of a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o a substrate.
  • 5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terminal of FIG. 4.
  • the main body 100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terminal portion 110 provided at one end thereof, and a cable C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reof.
  • the first terminal unit 110 includes a housing 112 and a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114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2.
  • each pair of terminals is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terminal 114a and the second terminal 114b face each other.
  • a first gripping portion 114aa and a second gripping portion 114bb are formed.
  • the first gripping portion 114aa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114bb are bent toward each other until they reach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re bent toward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predetermined position.
  • Such a curved form induces an elastic force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portion (FIGS. 9 and 210)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reduce the breakage rate even during frequent separation.
  • FIG.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housing in a body por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using 112 in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charging devic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12a and an extension portion 112b.
  • the accommodating part 112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112aa, 112ab, 112ac, and 112ad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114.
  • the first terminal 114a and the second terminal 114b which are pairs of terminals are accommodated.
  • the extension portion 112b is terminally downward from the accommodation portion 112a, and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12a.
  • the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114 are not assembled after being individually disposed in the charging device, but are manufactured in a state arranged in the housing 112 and then together with the housing 112 in the charging device. It is install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body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 schematical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eating portion is coupled to a housing in a main body por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body 110 of the charg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portion 120 positioned on the extension 112b of the housing 112.
  • the seating part 120 is positioned on the extension part 112b to surround the receiving part 112a of the housing 112.
  • the seating part 120 is provided with a penetrating part so that a part of the receiving part 112a protrudes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 a magnet M is provided in the seating part 120.
  • the magnet M enables a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connecting portion (see FIGS. 9 and 200) to be described later.
  • FIG. 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nection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part 200 of the charging device includes a second terminal portion 210 and a third terminal portion 220.
  •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1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20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FIGS. 3 and 110) described above during charging.
  • the third terminal unit 22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unit 200 and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requires charging.
  • connection part 200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part 230.
  • the fitting portion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10 and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10.
  • a magnet M is provided in the fitting portion 230.
  • the magnet M enables a detachable coupling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see FIGS. 3 and 110) of the body portion 100 described above.
  • the magnet M is provided in both the seating portion 120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fitting portion 230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but in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It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00.
  •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gnet so that a detachable coupling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possibl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00 of the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by magnetic force.
  • the fitting portion 230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enters into the space S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FIG. 7) and is coupled in contact with the seating portion 120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
  •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10 of the connecting portion 200 is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0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holding portion 114aa and the second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114.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holding portions 114bb to energize.
  • the main body 100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200 with a force stronger than that by the magnetic force.
  • the strong force may be applied in various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100, and the curved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114aa and 114bb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strong force is applied in any direc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the separation of the main body 100 is easy,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bability of the connection part being broken even if frequent separation is low.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harging,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airs of terminals in the body portio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installed in the charging device together with the hous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the production cost is lowered, the first wave of the terminal.
  • the elasticity due to the curved shape of the branch and the second gripper lowers the probability of breakage even during frequent separations, and can be used as a charging device that enables easy separation and coupling of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due to the magnet coupling.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단에 제1 단자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케이블이 접속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제3 단자부를 타단에 구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접속부는 자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충전 장치
본 발명은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 내의 복수 쌍의 단자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하우징과 함께 충전 장치 내에 설치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원가가 낮아지며, 단자의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의 굴곡진 형태로 인한 탄성력을 통해 잦은 분리시에도 파손의 확률을 낮추며, 자석결합으로 인해 본체부와 접속부의 용이한 분리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충전 장치에는 복수의 포고 핀 타입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포고 핀 타입의 단자를 구비한 충전 장치는, 개별 포고 핀 타입의 단자를 제조하고, 이를 충전 장치 내에 배열한 후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복잡한 절차로 인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충전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포고 핀 타입의 단자 중 1개만 불량이 발생하여도 그 단자만을 교체할 수 없고, 복수의 포고 핀 타입의 단자 모두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포고 핀 타입의 단자는 일자의 형태여서 잦은 분리시 파손율이 높아 내구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포고 핀 타입의 단자와 접속 단자의 접촉 부위에 먼지가 쌓이는 경우 스파크가 발생되고, 습기가 서리는 경우 녹이 스는 문제가 있으며, 발열로 인해 충전 장치가 타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 내의 복수 쌍의 단자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하우징과 함께 충전 장치 내에 설치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원가가 낮아지며, 단자의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의 굴곡진 형태로 인한 탄성력을 통해 잦은 분리시에도 파손의 확률을 낮출 뿐만 아니라 본체부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석결합으로 인해 본체부와 접속부의 용이한 분리와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는, 일단에 제1 단자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케이블이 접속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제3 단자부를 타단에 구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접속부는 자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 쌍의 단자를 포함하고, 각 쌍의 단자는 두 개의 단자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단자의 각 일단에는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는 소정 위치까지는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를 지나면서 서로를 향해 멀어지도록 굴곡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 쌍의 단자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져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영역에는 상기 각 쌍의 단자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연장부 위에 위치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에 상기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단자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단자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에 상기 자석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 내의 복수 쌍의 단자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하우징과 함께 충전 장치 내에 설치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원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 내 복수의 단자의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가 소정 위치까지는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를 지나면서 서로를 향해 멀어지도록 굴곡져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의 복수의 단자 내로 접속부의 제2 단자부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본체부가 접속부로부터 제거시 어느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의 탄성력으로 인해 본체부의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의 굴곡진 형태로 인한 탄성력은 본체부와 접속부의 잦은 분리에도 그 파손의 확률을 낮추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와 접속부의 자석에 의한 착탈가능한 결합은 본체부와 접속부의 용이한 분리와 용이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충전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 내의 단자가 기판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단자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 내의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 내의 하우징에 안착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도 2는 도 1의 충전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1000)는 본체부(100) 및 접속부(200)를 포함한다.
충전시에는, 본체부(100)와 접속부(20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비충전시에는 본체부(100)와 접속부(200)가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전시에는 자력에 의해 본체부(100)와 접속부(20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자력을 초과하는 외부 힘이 가해지면 본체부(100)와 접속부(200)는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1000)의 본체부(100)와 접속부(200)는 자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 내의 단자가 기판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단자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100)는 일단에 제1 단자부(110)가 구비되어 있고, 타단에 케이블(C)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부(110)는 하우징(112) 및 상기 하우징(112)에 수용되는 복수 쌍의 단자(114)를 포함한다.
이때, 각 쌍의 단자는 제1 단자(114a)와 제2 단자(114b)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있다.
제1 단자(114a)와 제2 단자(114b)의 각 일단에는 제1 파지부(114aa) 및 제2 파지부(114b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파지부(114aa)와 상기 제2 파지부(114bb)는 소정 위치까지는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를 지나면서 서로를 향해 멀어지도록 굴곡져 있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굴곡진 형태는 탄성력을 유발하여 후술할 제2 단자부(도 9, 210)와의 접속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잦은 분리시에도 파손률을 낮추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 내의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 내의 하우징(112)은 수용부(112a) 및 연장부(112b)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12a)는 상기 복수 쌍의 단자(114)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영역(112aa, 112ab, 112ac, 112ad)으로 구분되어 있다. 각 영역(112aa, 112ab, 112ac, 112ad)에는 각 쌍의 단자인 제1단자(114a)와 제2 단자(114b)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112b)는 상기 수용부(112a)로부터 하방으로 단자쳐 있으며, 상기 수용부(112a)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 쌍의 단자(114)가 충전 장치 내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후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하우징(112) 내에 배치된 상태로 제조된 후 상기 하우징(112)과 함께 충전 장치 내에 설치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생산 원가를 낮추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 내의 하우징에 안착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110)는 하우징(112)의 연장부(112b) 위에 위치하는 안착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하우징(112)의 수용부(112a)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연장부(112b) 상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120)에는 관통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112a)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20) 내에는 자석(M)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자석(M)은 후술할 접속부(도 9, 200 참조)와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접속부(200)는 제2 단자부(210) 및 제3 단자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자부(210)는 상기 접속부(200)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충전시 상술한 제1 단자부(도 3, 110)에 접속된다.
상기 제3 단자부(220)는 상기 접속부(200)의 타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충전이 요구되는 전자기기와 접속된다.
상기 접속부(200)는 끼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230)는 상기 제2 단자부(21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단자부(210)의 둘레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230) 내에는 자석(M)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자석(M)은 상술한 본체부(100)의 제1 단자부(도 3, 110 참조)와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M)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기 안착부(120)와 상기 접속부(200)의 상기 끼움부(230) 모두에 마련되어 있는 형태이나,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00) 및 상기 접속부(20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에는 자석이 마련되어 있어서 본체부와 접속부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기기의 충전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의 본체부(100)와 접속부(200)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부(200)의 끼움부(230)가 본체부(100)의 공간(S, 도 7)내로 들어가 본체부(100)의 안착부(120)와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접속부(200)의 제2 단자부(210)는 본체부(100)의 제1 단자부(110),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쌍의 단자(114)의 제1 파지부(114aa)와 제2 파지부(114bb) 사이로 끼워져 통전하게 된다.
전자기기의 비 충전시,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전화가 와서 충전을 멈춰야 하는 경우에는, 자력에 의한 힘보다 강한 힘으로 본체부(100)를 접속부(200)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때, 상기 강한 힘은 본체부(100)에 대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가해질 수 있는데, 어느 방향으로 상기 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1 파지부(114aa)와 제2 파지부(114bb)의 굴곡진 형태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해 본체부(100)의 분리는 용이하고, 또 잦은 분리를 하여도 접속 부분이 파손되는 확률이 낮은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본체부
110 제1 단자부
112 하우징
112a 수용부
112aa 제1 영역
112ab 제2 영역
112ac 제3 영역
112ad 제4 영역
112b 연장부
114 단자
114a 제1 단자
114aa 제1 파지부
114b 제2 단자
114bb 제2 파지부
120 안착부
122 개구부
200 접속부
210 제2 단자부
220 제3 단자부
230 끼움부
M 자석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장치로서, 본체부 내의 복수 쌍의 단자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상태로 제조한 후 상기 하우징과 함께 충전 장치 내에 설치하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원가가 낮아지며, 단자의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의 굴곡진 형태로 인한 탄성력을 통해 잦은 분리시에도 파손의 확률을 낮추며, 자석결합으로 인해 본체부와 접속부의 용이한 분리와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충전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일단에 제1 단자부가 구비되고, 타단에 케이블이 접속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단자부에 접속되는 제2 단자부를 일단에 구비하고, 전자기기와 접속되는 제3 단자부를 타단에 구비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접속부는 자석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 쌍의 단자;를 포함하고,
    각 쌍의 단자는 두 개의 단자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단자의 각 일단에는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는 소정 위치까지는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다가 소정 위치를 지나면서 서로를 향해 멀어지도록 굴곡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 쌍의 단자가 수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져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영역에는 상기 각 쌍의 단자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연장부 위에 위치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상기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2 단자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단자부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에 상기 자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PCT/KR2019/008427 2018-08-08 2019-07-09 충전 장치 WO2020032401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47708.5A EP3836339B1 (en) 2018-08-08 2019-07-09 Charging device
CN201980050330.2A CN112585836B (zh) 2018-08-08 2019-07-09 充电装置
JP2021507587A JP6973969B2 (ja) 2018-08-08 2019-07-09 充電装置
US17/167,634 US11189965B2 (en) 2018-08-08 2021-02-04 Charg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608A KR102041573B1 (ko) 2018-08-08 2018-08-08 충전 장치
KR10-2018-0092608 2018-08-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7/167,634 Continuation US11189965B2 (en) 2018-08-08 2021-02-04 Charg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2401A1 true WO2020032401A1 (ko) 2020-02-13

Family

ID=6857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8427 WO2020032401A1 (ko) 2018-08-08 2019-07-09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9965B2 (ko)
EP (1) EP3836339B1 (ko)
JP (1) JP6973969B2 (ko)
KR (1) KR102041573B1 (ko)
CN (1) CN112585836B (ko)
WO (1) WO202003240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953A (ja) * 2009-03-13 2009-08-20 Hitachi Koki Co Ltd 電池パック、電動工具あるいは充電器と電池パックとの組み合わせ
KR20120080924A (ko) * 2011-01-10 2012-07-18 오토커넥터주식회사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
KR20140013773A (ko) * 2012-07-27 2014-02-05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영구자석식 커넥터
KR20160061013A (ko) * 2014-11-21 2016-05-31 서동진 자석을 이용한 커넥터
KR101873853B1 (ko) * 2017-10-27 2018-07-03 김기노 케이블용 착탈식 마그네틱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846A (en) * 1997-04-22 1999-10-19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s for electrical connector mated pair
TWM271291U (en) * 2004-10-04 2005-07-2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Connector
GB2420659B (en) * 2004-11-25 2006-10-11 Simon Richard Daniel Collapsible rechargeable battery assembly with integral connector
KR200397426Y1 (ko) 2005-07-14 2005-10-04 (주)지온네트웍스 이동통신 단말기용 통신케이블
US7628655B1 (en) * 2008-06-11 2009-12-08 Lotes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inserting method thereof
CN101609949A (zh) * 2008-06-19 2009-12-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装置
USD645817S1 (en) * 2009-12-11 2011-09-27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charger
US8292664B2 (en) * 2010-09-30 2012-10-23 Apple Inc. Internal edge connector
KR101180755B1 (ko) 2011-04-26 2012-09-07 주식회사 타이스일렉 다수의 접촉핀을 구비한 이차 전지 충전용 커넥터
KR20130042253A (ko) 2011-10-18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 충전용 케이블 어셈블리
DE112014005221T5 (de) * 2013-11-17 2016-08-18 Apple Inc. Steckverbinderbuchse mit einer Zunge
CN203760771U (zh) * 2013-11-25 2014-08-06 罗森伯格(上海)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usb连接器
JP3190493U (ja) * 2014-01-31 2014-05-15 ストローブ株式会社 直流マグネチックコネクタ
WO2015197003A1 (zh) * 2014-06-24 2015-12-30 蔡周贤 正反双向电连接器
JP3203642U (ja) * 2014-09-18 2016-04-07 Nekton合同会社 磁力支援式コネクタアダプタ
CN204720676U (zh) * 2015-04-22 2015-10-21 周利明 Micro USB插头磁性转接装置
US9723877B2 (en) * 2015-05-29 2017-08-08 Shanghai Green Vaper Technology Co., Ltd. Electronic cigarette
KR20170024359A (ko) 2015-08-25 2017-03-07 (주)모비덴트 이동통신 단말기용 다기능 유에스비 케이블
CN205282767U (zh) * 2015-11-18 2016-06-01 苏州拓康精密电子有限公司 8pin针耳机连接机构
CN105896168B (zh) * 2016-05-31 2018-11-13 东莞市巨柏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
US9918385B2 (en) * 2016-05-31 2018-03-13 Toshiba Memor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KR200482852Y1 (ko) 2016-09-01 2017-03-09 (주)파이오텍코리아 플렉서블 외부케이블이 구비된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953A (ja) * 2009-03-13 2009-08-20 Hitachi Koki Co Ltd 電池パック、電動工具あるいは充電器と電池パックとの組み合わせ
KR20120080924A (ko) * 2011-01-10 2012-07-18 오토커넥터주식회사 전자기 전기 접속 장치
KR20140013773A (ko) * 2012-07-27 2014-02-05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영구자석식 커넥터
KR20160061013A (ko) * 2014-11-21 2016-05-31 서동진 자석을 이용한 커넥터
KR101873853B1 (ko) * 2017-10-27 2018-07-03 김기노 케이블용 착탈식 마그네틱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9965B2 (en) 2021-11-30
CN112585836A (zh) 2021-03-30
US20210159637A1 (en) 2021-05-27
CN112585836B (zh) 2021-11-23
JP6973969B2 (ja) 2021-12-01
JP2021526005A (ja) 2021-09-27
EP3836339C0 (en) 2023-09-06
EP3836339A1 (en) 2021-06-16
EP3836339B1 (en) 2023-09-06
KR102041573B1 (ko) 2019-11-07
EP3836339A4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7744A1 (ko)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및 터미널 연결장치
WO2017122971A1 (ko) 카메라 모듈
WO2015149275A1 (zh) 动力电池及其电芯状态采集装置
WO2015137568A1 (ko) 고전압 수형 커넥터
WO2013129808A1 (ko)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WO2017094983A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1033902A1 (ko) Fpcb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WO2009145416A1 (ko) 반도체 칩 검사용 소켓
WO2017057924A1 (ko) 냉각 덕트의 실링성이 개선된 전지 모듈
WO2020122462A1 (ko) 모터
WO2017086604A1 (ko) 분리형 변류기
WO2018097672A1 (ko) 회전이 가능한 커넥터
WO2020032401A1 (ko) 충전 장치
WO2021020625A1 (ko) 원포드 지퍼락용 클램프 모듈
WO2015076614A1 (ko) 하나의 절연성 몸체로 구성되는 소켓
WO2015002405A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WO2015062050A1 (zh) 一种电子烟充电装置及其充电方法
WO2021118017A1 (ko) 중공형 테스트 핀
WO2018169152A1 (ko) 휠 밸런스 웨이트
WO2020004775A1 (ko) 확장형 커넥터 조립체
WO2020050645A1 (ko) 전기적 검사용 프로브 카드 및 프로브 카드의 프로브 헤드
WO2012077948A2 (en) Tool-protective case for machanical connector
WO2014185633A1 (ko)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WO2015194783A1 (ko) 무선 통신 기기의 연결 장치
WO2015174631A1 (ko) 온도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메모리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47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0758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477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