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16567A1 -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16567A1
WO2019216567A1 PCT/KR2019/004635 KR2019004635W WO2019216567A1 WO 2019216567 A1 WO2019216567 A1 WO 2019216567A1 KR 2019004635 W KR2019004635 W KR 2019004635W WO 2019216567 A1 WO2019216567 A1 WO 20192165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ntin
peptide
composition
weight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46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주황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BR112020022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20022490B1/pt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Priority to MYPI2020005823A priority patent/MY193395A/en
Priority to US17/053,410 priority patent/US11612555B2/en
Priority to SG11202011068TA priority patent/SG11202011068TA/en
Priority to CA3099663A priority patent/CA3099663C/en
Priority to EP19800686.8A priority patent/EP3791857A4/en
Priority to CN201980031312.XA priority patent/CN112105339B/zh
Priority to RU2020140016A priority patent/RU2763938C1/ru
Priority to MX2020011735A priority patent/MX2020011735A/es
Priority to AU2019265168A priority patent/AU2019265168B2/en
Priority to JP2020560363A priority patent/JP7185332B2/ja
Publication of WO20192165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16567A1/ko
Priority to JP2022144807A priority patent/JP746982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oral cavity clea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al cleanin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hypersensitivity by inducing physiological remineralization of dentin defects constituting teeth.
  • Dentinic hypersensitivity commonly referred to as 'single'
  • 'single' Dentinic hypersensitivity
  • 'single' is a common symptom experienced by 8% to 57% of the adult population.
  • 72.5% to 98% of patients suffer from sickness (Sourc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Medical Information; http://health.cdc.go.kr/health /Main.do).
  • Dentinic hypersensitivity can be defined as pain caused by the dentinal tubules passing all external stimuli to the nerves in the pulp as they are, making them more sensitive to the same stimulus than usual. There is no nerve in the dentin itself, but we feel that it is cold because cold stimuli are transmitted through the dentin tubule to the nerves inside the pulp.
  • dentin tubules that run from pulp to enamel.
  • the inside of the tube is filled with liquid and has a larger diameter and dense structure toward the pulp, which allows the external stimulus to be quickly transmitted to the inner pulp nerve. If the dentin in contact with the outside is damaged and the area of the dentinal tubule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it may be more sensitive than usual to the same stimulus.
  • potassium phosphate salt (K 2 HPO 4 ) is widely used as a method for interfering with pain transmission of nerve signaling.
  • potassium phosphate salts are not only effective in reducing pain, but also have to be used repeatedly and repeatedly.
  • the method of occlusive tubular blockade uses a heterogeneous substance different from the dentin, so that a gap is formed in the peripheral boundary area or the nerve is exposed again from the blockage part, and the syringy symptoms recur.
  • mouthwashes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syringe) are mostly fluorine-containing products.
  • Fluoride coats teeth and binds the exposed dentinal tubules due to strong binding to calcium components present in saliva. It is known to have a relaxing effect. However, fluoride is known to have side effects that can cause damage to the human immune system, arthritis, back pain, osteoporosis, etc. after long-term u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oral cleaning comprising a peptide (peptide) to prevent or alleviate perceptual hypersensitivity by closing the defect of the dentin tube exposed by physiological remineralization of the dentin.
  • Oral cleansing composition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provides a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including a peptide consisting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general formula 1 do.
  • R 1 is arginine (R), lysine (K) or glutamine (Q);
  • R2 is arginine (R) or glutamine (Q);
  • R3, R4 and R5 are arginine (R) or lysine (K), respectively;
  • R6 is asparagine (N) or serine (S);
  • R7 and R8 are lysine (K) or tyrosine (Y).
  • the peptide may be composed of any on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to 96.
  • 0.00005-0.00015 parts by weight of the peptide may be inclu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 cetylpyridinium chloride may be includ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may include 85-87 parts by weight of purified water, 1.7-2.9 parts by weight of surfactant, and 0.0045-0.0055 parts by weight of citric acid hydra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surfactant may be poloxamer and / or polysorbate20.
  • the surfactant may comprise 12-14% by weight of the poloxamer407, 86-88% by weight of polysorbate20.
  •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may include 9-11 parts by weight of a humecta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humectant may be D-sorbitol solution and / or concentrated glycerin.
  • the humectant may include 45-55 wt% of the D-sorbitol solution and 45-55 wt% of the concentrated glyceri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comprising a peptide that prevents or alleviates perceptual hypersensitivity by closing the defect of the dentin tube exposed by physiological remineralization of dentin.
  • Figure 1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the peptide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DSPP expression, a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
  • Figure 1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DSPP gene, which is a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in the MDPC-23 cells treated with the peptid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rance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Figure 1c shows the dendritic marker markers of DSPP, Dmp1 and Nestin genes in MDPC-23 cells treated with the peptides of Groups 11 and 12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expression levels.
  • Figure 1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cytotoxicity to the pulp tissue cells of the peptide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dentinal tubular permeability of the oral cleansing composition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ixing the fluorescent dye reagent (Rhodamine B) for 1 minute to the exposed dentinal tubules The results observed with a fluorescence microscope are shown.
  • Figure 3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dentin capillary blockage ability of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in accordance with Comparative Example 3-1 and Comparative Example 3-2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C shows dentin dentin tubules treated with purified water only (Comparative Example 3-1), and DF is free of peptides in the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GI is showing the dentinal tubules reacted with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ing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ze bars: A, D, G, 100 ⁇ m; B, E, H, 20 ⁇ m; C, F, I, 10 ⁇ m).
  • the dentin tube exposed to the dentin tube was allowed to react for 1 day, once, and 1 minute, and then stored in artificial saliva. After repeating this procedure for 2 weeks, the capillary blockade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Figure 4 is an enlarged portion of the dentin capillary blocked by the oral cleansing composition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result of remineralization in the blocked dentin capillary and dentin surface.
  • an odontoblast may refer to a cell that synthesizes and secretes proteins and polysaccharides constituting the substrate of the dentin in a cell.
  • a columnar cell that forms a layer of cell layer at the periphery of the pulp in contact with the dentin (the calcified dentin), and faces the enamel group of the cells of the dermal papilla (becomes a cell derived from the mesodermal mesenchyme).
  • Peptide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exhibit cytotoxicity, but are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DSPP, Dmp1 and Nestin.
  •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may be increased, and when implanted in vivo with the pulp tissue cells, the pulp tissue cells may be characterized by forming dentin / dimension-like tissue.
  •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also includes a variant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which differs from one or more amino acid residues as long as it can exhibit dentin regeneration or therapeutic effect of dentin hypersensitivity.
  • amino acid exchanges in proteins and polypeptides that do not alter the activity of the molecule as a whole are known in the art.
  • the most commonly occurring exchanges are amino acid residues Ala / Ser, Val / Ile, Asp / Glu, Thr / Ser, Ala / Gly, Ala / Thr, Ser / Asn, Ala / Val, Ser / Gly, Thy / Phe, Ala / Exchange between Pro, Lys / Arg, Asp / Asn, Leu / Ile, Leu / Val, Ala / Glu, Asp / Gly.
  • the peptide may include a peptide having an increased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heat, pH, or the like, or an increased regeneration-promoting ability of dentin or pulp tissue due to variation or modification of the amino acid sequence.
  • glutamine an acidic amino acid located at No.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glutamine an acidic amino acid located at No.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glutamine an acidic amino acid located at No.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Arginine a basic amino acid located at positions 4 or 5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may exhibit the effect of the peptid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substituted with an acidic amino acid glutamine or a basic amino acid lysine
  • Lysine a basic amino acid located at Nos.
  • the acidic amino acid, basic amino acid, or aromatic amino acid constituting the oocyte differentiation-promoting peptide may have the same effect even when substituted with another acidic amino acid, basic amino acid, neutral amino acid, or aromatic amino acid, thereby constituting the oocyte differentiation promoting peptide. It is apparent that variant peptides having a sequence in which the amino acid sequence differs from one or more amino acid residues are also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 the peptide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the effects of the peptid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peptide may have a form in which 1 to 300 amino acids are added to the N-terminus or C-terminus of the peptide, and as another example, 1 to 100 amino acids may be added to the N-terminus or C-terminus of the peptide. It may be in an added form,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a form in which 1 to 24 amino acids are added to the N-terminus or C-terminus of the peptide.
  •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which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mRNA level of the DSPP gene, is known as It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f promoting dentin regeneration (Taduru Sreenath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8, No. 27, Issue of July 4, pp. 24874-24880, 2003; William T. Butler et al, Connective Tissue Research, 44 (Suppl. 1): 171-178, 2003).
  • Peptide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peptide alone, the peptide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polypeptide that is repeatedly connected two or more times, It may also be used in the form of a complex in which a drug that exhibits the effect of differentiating or dentin regenerating the oblasts at the N- or C-terminus of the peptide.
  • Peptides (SEQ ID NO: 1) were synthesized by 9-fluorenylmethyloxycarbonyl (Fmoc) method, and the amino acids of the synthesized peptides were substituted to synthesize peptides of each group (Tables 1 to 12).
  • the peptide of group 1 was synthesized by substituting lysine or arginine for amino acids 5 to 7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or the peptide of SEQ ID NO: 1 (Table 1).
  • the peptide of group 2 was synthesized by substituting lysine or arginine for amino acids 5 to 7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and replacing amino acid 8 with serine (Table 2).
  • the peptide of Group 3 was synthesized by substituting amino acids 5 to 7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with lysine or arginine and substituting amino acid 9 with tyrosine (Table 3).
  • the peptides of Group 4 replace amino acids 5 to 7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with lysine or arginine, amino acid 8 with serine, amino acid 9 with tyrosine, and amino acid 10 with Synthesis by substitution with lysine (Table 4).
  • the peptide of group 5 was synthesized by replacing amino acid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with arginine, amino acid 4 with glutamine, and amino acids 5 through 7 with lysine or arginine (Table 5 ).
  • the peptide of group 6 replaces amino acid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with arginine, amino acid 4 with glutamine, amino acids 5 through 7 with lysine or arginine, and amino acid 8 with Synthesis by substitution with serine (Table 6).
  • the peptides of group 7 replace amino acid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with arginine, amino acid 4 with glutamine, amino acids 5-7 with lysine or arginine, amino acid 9 Substituted with tyrosine and synthesized by replacing amino acid 10 with lysine (Table 7).
  • the peptide of group 8 replaces amino acid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with arginine, amino acid 4 with glutamine, amino acids 5 through 7 with lysine or arginine, and amino acid 8 with Substituted with serine, amino acid 9 was replaced with tyrosine and amino acid 10 was replaced with lysine (Table 8).
  • the peptide of group 9 was synthesized by replacing amino acid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with lysine, amino acid 4 with glutamine, and amino acids 5-7 with lysine or arginine (Table 9 ).
  • the peptide of group 10 substitutes lysine for amino acid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replaces amino acid 4 with glutamine, replaces amino acids 5-7 with lysine or arginine, and amino acid 8 Synthesis by substitution with serine (Table 10).
  • Peptides of group 10 SEQ ID NO: Amino acid sequence (N-C) 7374757677787980 KYKQRKKSKYKYKQRKRSKYKYKQRRKSKYKYKQRRRSKYKYKQKKKSKYKYKQKRKSKYKYKQKKRSKYKYKQKRRSKY
  • the peptide of group 11 substitutes lysine for amino acid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replaces amino acid 4 with glutamine, replaces amino acids 5-7 with lysine or arginine, and amino acid 9 Substituted with tyrosine and synthesized by replacing amino acid 10 with lysine (Table 11).
  • the peptides of group 12 replace amino acid 3 of the peptide of SEQ ID NO: 1 with lysine, amino acid 4 with glutamine, amino acids 5-7 with lysine or arginine, amino acid 8 Substituted with serine, amino acid 9 was replaced with tyrosine and amino acid 10 was replaced with lysine (Table 12).
  • Example 2 Verification of the Promoting Effect of Dentin Using Dentin Cells
  • Example 2-1 Verification of Peptide Effects on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Promoter Activity
  • mouse-derived dendritic cells MDPC-23 cells, contained 10% FBS.
  • DMEM medium incubated at 5% CO 2 and 37 °C conditions.
  • the cultured MDPC-23 cells were dispensed in a 24-well plate at 5 X 10 4 cells per well, incubated for 24 hours, and then cultured into the cultured cells using lipofectamine Plus TM reagent, pGL3.
  • the vector was transformed by introducing a recombinant vector into which the DSPP promoter and luciferase gene were introduced.
  • the transformed MDPC-23 cells were treated with the peptides of Groups 1 to 12 synthesized in Example 1 and incubated for 48 hours, and then luciferase activity was measured in each of the transformed MDPC-23 cells. , And compared the average level calculated for each group (Fig. 1a). At this time, the transformed MDPC-23 cells not treated with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were used as a control.
  • Figure 1a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ffect of each peptid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on DSPP expression, a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 for each group.
  • each peptid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value of about 1.3 times or more of the luciferase activity level measured in the control group as a whole, but shows a difference for each group, the peptide of the group 12 has the highest Peptides that exhibited levels of luciferase activity and the next highest levels of luciferase activity were identified as group 11 peptides.
  • the peptid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exhibit the effect of activating the DSPP promoter.
  • the MDPC-23 cells cultured in Example 2-1 were treated with the peptides of each group synthesized in Example 1, incubated for 48 hours, and then were the 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expressed in the MDPC-23 cells.
  • MRNA levels of DSPP genes were measured, and the mRNA levels of each of the DSPP genes measured above were converted in relative proportion to the mRNA levels of DSPP genes measured in the control group (Tables 13-24).
  • the average value of the mRNA level of the DSPP gene measured according to the peptide of each group was compared for each group (Fig. 1b). In this case, MDPC-23 cells not treated with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were used as controls.
  • the synthesized cDNA was used for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in ABI PRISM 7500 sequence detection system (Applied Biosystems) using each primer below and SYBR GREEN PCR Master Mix (Takara, Japan).
  • Dspp_F 5'-ATTCCGGTTCCCCAGTTAGTA-3 '(SEQ ID NO: 97)
  • Gapdh_F 5'-AGGTCGGTGTGAACGGATTTG-3 '(SEQ ID NO: 99)
  • Gapdh_R 5'-TGTAGACCATGTAGTTGAGGTCA-3 '(SEQ ID NO: 100)
  • Figure 1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DSPP gene, which is an 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in MDPC-23 cells treated with the oocyte differentiation promoting peptide.
  • the treatment of the oocyte differentiation-promoting peptide increases the mRNA level of the DSPP gene, a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and similar to that of Figure 1a, a value of about 1.3 times greater than the DSPP gene mRNA level measured in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it represents.
  • Example 2-3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Peptides on the Expression Levels of DSPP, Dmp1, and Nestin Genes, the Tumor Differentiation Marker Gene
  •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can increase the mRNA level of the DSPP gene, and in particular, the peptides of groups 11 and 12 can increase the mRNA level of the DSPP gene by at least three times or more. It was confirmed.
  • each of the following primers was used, except that the peptides of groups 11 and 12 were used as peptides, follow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2-2, and the dendritic cells on the expression level of Dmp1 and Nestin gene The effect of the differentiation-promoting peptides was measured and the average level calculated for each group was compared (FIG. At this time, MDPC-23 cells not treated with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and mRNA level of DSPP gene was used as a comparison group.
  • Dmp1_F 5'-CATTCTCCTTGTGTTCCTTTGGG-3 '(SEQ ID NO: 101)
  • Dmp1_R 5'-TGTGGTCACTATTTGCCTGTG-3 '(SEQ ID NO: 102)
  • Figure 1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DSPP, Dmp1 and Nestin genes of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in MDPC-23 cells treated with peptides of groups 11 and 12.
  • the treatment of the oocyte differentiation-promoting peptide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DSPP, Dmp1 and Nestin genes, which are the oocyte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but showed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crease for each gene, rather than the peptide of group 11 It was found that the peptides of group 12 increased to higher levels.
  • the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are known as genes involved in the process of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dentin calcification, the peptid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analyzed to have an effect of promoting dentin regeneration.
  • Example 2-4 Cytotoxicity Evaluation of Peptides for Promoting Regeneration of Dentin or Pulp Tissue and Dentin Hypersensitivity to Pulp Cells
  • pulp tissue cells were divided into 96 well plates so as to have a number of about 3 ⁇ 10 3 cells per well, incubated for 24 hours, and then treated with a group 11 or 12 peptide at a concentration of 10 or 50 ⁇ g / ml. And again incubated for 1, 3 or 5 days. After the incubation was terminated, the cultured cells were washed with PBS, 20 ⁇ l of MTT solution was added, and then reacted at about 37 ° C. for 4 hours. After the reaction was completed, the MTT solution was removed, 100 ⁇ l of DMSO was added,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40 nm (FIG. 1D). In this case, pulp tissue cells cultured without the peptide were used as a control.
  • Figure 1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cytotoxicity of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against pulp tissue cells. As shown in Figure 1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ival rate of the pulp tissue cells showed the same level as the control group even when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romoting peptide was added.
  • Poloxamer 407 was added to purified water and stirred for about 30 minutes in a stirrer (stirring conditions: PADDLE 15-20 rpm, DISPERSE 400-500 rpm)
  • Polysorbate 20 (Tween 20), golden extract, green tea extract, chamomile extract, rosemary extract and mint flavor (HF-3585) are added to the mixture and stirred for about 30 minutes in a stirrer (stirring condition: PADDLE 15-20 rpm, DISPERSE) 400 ⁇ 500 rpm)
  • the oocyte differentiation promoting peptide (SEQ ID NO: 96) is mixed to about 0.0001%, and then citric acid hydrate (citric acid hydrate) is added to adjust the pH to 5.5-6.0.
  • Composition table of oral cleansing compositions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sion Raw material name Weight (Wt%) One solvent Purified water 86.25 Surfactants Poloxamer 407 0.3 Peptid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s 0.0001 2 Preservative Potassium Sorbate 0.1 chief ingredient Cetylpyridinium Chloride 0.055 Sweetener Xylitol One Acesulfame Potassium 0.05 pH regulator Citric Acid Hydrate (Citrate Hydrate) 0.005 coloring agent Blue 1 0.00025 Humectant D-sorbitol solution 5 Concentrated glycerin 5 3 Surfactants Polysorbate 20 2 (Tween 20) Flavor Golden extract 0.01 Green Tea Extract (Organic) 0.01 Chamomile Extract (Organic) 0.01 Rosemary Extract (Organic) 0.01 Mint flavor HF-6585 0.2 Sum 100
  • Example 3 The components of Example 3 were prepared so that all components other than the purified water were not included in th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romoting peptide (SEQ ID NO: 96).
  • the crown of the extracted tooth is cut horizontally with a diamond saw to expose the ivory tubules and then washed twice with phosphate buffer for about 5 minutes.
  • the previously cut tooth was reacted with 0.5 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pH 7.4) solution for about 5 minutes and washed twice with phosphate buffer for 5 minutes.
  •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 Oral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peptide (SEQ ID NO: 96) is added to the oral cleansing composition to alleviate the hypersensitivity of the dentin, so that 0.1% of fluorescent dye is included and mixed well.
  • the reacted cleaved teeth were washed twice in phosphate buffer for about 5 minutes, and then cut into a length of about 0.5 mm vertically so that the dentinal tubules of the cleaved teeth appeared long using a diamond saw (Fig. 2). Reference).
  • composition of the artificial saliva is shown in Table 26 below.
  • potassium phosphate (K 2 HPO 4 ) was added last.
  • ⁇ pH of artificial saliva is measured in the vicinity of 7.2, similar to human saliva.
  • a tooth of an extracted person was cut transversely using a diamond saw to fabricate a dentin specimen with 1 mm thick dentinal tubule exposed.
  • the dentin specimens were reacted with about 32% phosphoric acid solution for about 5 minutes to completely expose the dentin tubules and washed three times with purified water for 5 minutes. Then, the dentin specimens were washed six times in an ultrasonic cleaner for about five minutes to fully expose the dentin tubules.
  •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Example 3, reacted with the dentinal tubule specimens for about 1 minute and then reacted with artificial saliva for about 24 hours.
  •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3-2 reacted with ivory tubule specimens for about 1 minute and then reacted with artificial saliva for about 24 hours.
  • FIG. 3 show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entin capillary blockage ability of the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in accordance with Comparative Example 3-1 and Comparative Example 3-2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 AC shows dentin dentin tubules treated only with purified water (Comparative Example 3-1), DF is a peptide of the oral cleansing composition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dentinal tubules reacted with the contained oral cleaning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3-2), GI shows the dentinal tubules reacted with the oral cleaning composition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ze bars: A, D, G, 100 ⁇ m; B, E, H, 20 ⁇ m; C, F, I, 10 ⁇ m).
  • Figure 4 is an enlarged portion of the dentin capillary blocked by the oral cleansing composition for relieving dentin hypersensitivit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result of remineralization in the blocked dentin capillary and dentin surface.
  • Oral cleansing composition for relieving perceptual hypersensitivity forms a thin film in the dentin and strongly binds to the exposed dentin tube and dentin surface by binding strongly to the phosphate-calcium ions present in the dentin tube and saliva Induces anger to effectively block ivory tubules.
  • composition for oral cleansing for alleviating dentin hypersensitivity is effective in relieving and / or preventing symptomatic symptoms by inducing remineralization not only on the exposed dentinal tubule but also in the dentinal tubule. Can be represe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하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K-Y-R1-R2-R3-R4-R5-R6-R7-R8 (일반식 1) 상기 일반식 1에서, R1은 아르기닌(R), 리신(K) 또는 글루타민(Q)이고; R2는 아르기닌(R) 또는 글루타민(Q)이며; R3, R4 및 R5는 각각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R6는 아스파라긴(N) 또는 세린(S)이며; 및 R7 및 R8은 리신(K) 또는 타이로신(Y)임.

Description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본 발명은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치아를 구성하는 상아질 결손부의 생리적 재광화를 유도하여 지각과민증을 방지 또는 완화하기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흔히 '시린이'라 불리우는 상아질 지각과민증은 성인 인구의 8%에서 57%가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인 치주질환의 경우 환자들의 72.5%에서 98%가 시린이로 고통 받고 있다(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상아질 지각과민증은 상아세관이 외부의 모든 자극을 그대로 치수내 신경으로 전달하여 똑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평소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게 함으로써 유발되는 통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아질 자체에는 신경이 없지만 우리가 이가 시리다고 느끼는 것은 찬 온도자극이 상아세관을 거쳐 치수 내부의 신경까지 전달되기 때문이다.
치아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상아질에는 치수에서부터 법랑질까지 이어지는 상아세관들이 존재한다. 이 관의 내부는 액체로 차 있으며 치수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고 밀집된 구조를 갖는데, 이러한 구조적 특징 때문에 외부 자극이 내부의 치수 신경으로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외부와 접한 상아질이 손상되어 상아세관이 외부와 접하는 면적이 넓어지면 똑같은 자극에 대해서도 평소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 시린이를 치료하기 위한 접근 방법은 크게 작용원리에 따라 두 종류로 나뉘는데 하나는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의 신호전달을 방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노출된 상아세관을 막아 주어 그 증상을 완화 시키는 방법이다.
우선,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의 신호전달을 방해하기 위한 방법에 제이인산칼륨염(K2HPO4) 성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이인산칼륨염은 통증차단의 효과가 낮을 뿐 아니라 계속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해야 하며, 저작과정에서의 씹는 감각을 제한하므로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보기 어렵다.
다음으로, 상아세관을 봉쇄하기 위한 방법을 위하여 칼슘 포스페이트(CaHPO4), 불소(fluorine ), 옥살레이트(oxalate ), 아미노산인 알지닌(arginine)과 칼슘 카보네이트(CaCO3)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아세관 봉쇄 방법도 상아질과는 다른 이질적 물질을 이용하게 되므로 주변 경계부위에 틈이 생기거나 또는 봉쇄부로부터 이탈하여 다시 신경이 노출되어 시린 증상이 재발하게 된다. 현재 상아질 지각과민증(시린이) 완화를 위한 구강청결제는 대부분 불소가 함유된 제품이 많은데, 불소는 치아를 코팅하고, 타액내에 존재하는 칼슘 성분과 결합력이 강하여 노출된 상아세관을 봉쇄함으로써 시린 증상을 완화 시키는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불소는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인체 면역체계를 손상시키거나, 관절염, 요통, 골다공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아질의 생리적인 재광화(remineralization)에 의하여 노출된 상아세관의 결손부를 폐쇄함으로써 지각 과민증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펩타이드(peptide)를 포함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K-Y-R1-R2-R3-R4-R5-R6-R7-R8 (일반식 1)
상기 일반식 1에서,
R1은 아르기닌(R), 리신(K) 또는 글루타민(Q)이고;
R2는 아르기닌(R) 또는 글루타민(Q)이며;
R3, R4 및 R5는 각각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R6는 아스파라긴(N) 또는 세린(S)이며; 및
R7 및 R8은 리신(K) 또는 타이로신(Y)임.
여기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펩타이드 0.00005-0.00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에 대하여 염화세틸피리디늄 0.0545-0.055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5-87 중량부, 계면활성제 1.7-2.9 중량부, 및 시트르산수화물 0.0045-0.005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및/또는 폴리소르베이트20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폴록사머407 12-14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86-8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습윤제 9-1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습윤제는 D-소르비톨액 및/또는 농글리세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습윤제는 상기 D-소르비톨액 45-55 중량%, 상기 농글리세린 45-5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아질의 생리적인 재광화에 의하여 노출된 상아세관의 결손부를 폐쇄함으로써 지각 과민증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된 펩타이드가 상아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인 DSPP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그룹별로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된 펩타이드가 처리된 MDPC-23 세포에서 상아모세포 분화마커인 DSPP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된 그룹 11 및 12의 펩타이드가 처리된 MDPC-23 세포에서 상아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인 DSPP, Dmp1 및 Nestin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된 펩타이드의 치수조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상아세관 투과도를 나타낸 것으로, 형광염색 시약(Rhodamine B)을 혼합하여 상아세관이 노출된 치아에 1분간 처리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3-1 및 비교예 3-2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상아세관 봉쇄능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A-C는 정제수로만 처리한의 상아질의 상아세관을 도시한 것(비교예 3-1)이고, D-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구성 중 펩타이드가 미함유된 구강 청결용 조성물과 반응한 상아세관을 도시한 것(비교예 3-2)이고, G-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과 반응한 상아세관을 도시한 것이다(크기바: A, D, G, 100 ㎛; B, E, H, 20 ㎛; C, F, I, 10 ㎛). 각각의 경우 상아세관이 노출된 상아질 시편에 1일, 1번, 1분간 반응 시킨 후 인공타액에 보관하였으며, 이 과정을 2주간 반복한 후 상아세관 봉쇄능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의하여 상아세관이 봉쇄된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봉쇄된 상아세관과 상아질 표면에서 재광화가 일어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아모세포(또는 상아질모세포)(odontoblast)는 상아질의 기질을 구성하는 단백질, 다당체를 세포내에서 합성, 분비하는 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상아전질(미석회화의 상아질)에 접하여, 치수의 주변부에 한 층의 세포층을 구성하는 원주모양의 세포로서, 치아유두의 세포 중 에나멜기에 면하고 있는 것(외배엽계 중간엽에 유래하는 세포가 됨)이 분화한 세포로, 또한 상아질의 석회화에도 관여하는 세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된 펩타이드(이하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상아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인 DSPP, Dmp1 및 Nestin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치수조직 세포와 함께 생체내에 이식할 경우, 상기 치수조직 세포가 상아질/치수조직-유사 조직을 형성하는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에는, 상아질의 재생촉진 또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한,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변이체 펩타이드도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 및 폴리펩타이드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상의 변이 또는 수식에 의해서 펩타이드의 열, pH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하거나 상아질 또는 치수조직의 재생촉진능이 증가한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에 위치한 산성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은 염기성 아미노산인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되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고;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4번 또는 5번에 위치한 염기성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은 산성 아미노산인 글루타민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인 리신으로 치환되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으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6번, 7번 또는 9번에 위치한 염기성 아미노산인 리신은 염기성 아미노산인 아르기닌 또는 방향족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으로 치환되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고;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8번에 위치한 산성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은 중성 아미노산인 세린으로 치환되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으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10번에 위치한 방향족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은 염기성 아미노산인 리신으로 치환되어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산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 또는 방향족 아미노산은 각각 이와 다른 산성 아미노산, 염기성 아미노산, 중성 아미노산 또는 방향족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도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변이체 펩타이드도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또한,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는 그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임의의 아미노산이 부가된 형태를 갖더라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의 효과를 그대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의 범주에 포함된다. 일 예로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1 내지 300개의 아미노산이 부가된 형태가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1 내지 100개의 아미노산이 부가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1 내지 24개의 아미노산이 부가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MDPC-23 세포(대조군)에서 측정된 상아모세포 분화마커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비하여,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한 MDPC-23 세포에서 상기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이 모두 1.3배 이상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13 내지 24).
지금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DSPP의 mRNA발현 수준이 증가되면, 상아모세포 분화 및 상아질 재생이 촉진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는 상아모세포 분화 및 상아질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Taduru Sreenath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8, No. 27, Issue of July 4, pp. 24874-24880, 2003; William T. Butler et al, Connective Tissue Research, 44(Suppl. 1): 171-178, 20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단독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펩타이드가 2회 이상 반복되어 연결된 폴리펩타이드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펩타이드의 N-말단 또는 C-말단에 상아모세포 분화 또는 상아질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이 결합된 복합체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상아모세포 분화촉진을 위한 펩타이드의 합성
펩타이드(서열번호 1)를 9-플루오르닐메틸옥시카보닐(9-fluorenylmethyloxycarbonyl, Fmoc) 방법으로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펩타이드의 아미노산을 치환하여 각 그룹의 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표 1 내지 12).
N-KYQRRKKNKY-C(서열번호 1)
먼저, 그룹 1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또는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1).
그룹 1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12345678 KYQRRKKNKYKYQRRKRNKYKYQRRRKNKYKYQRRRRNKYKYQRKKKNKYKYQRKRKNKYKYQRKKRNKYKYQRKRRNKY
다음으로, 그룹 2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8번 아미노산을 세린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2).
그룹 2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910111213141516 KYQRRKKSKYKYQRRKRSKYKYQRRRKSKYKYQRRRRSKYKYQRKKKSKYKYQRKRKSKYKYQRKKRSKYKYQRKRRSKY
다음으로, 그룹 3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9번 아미노산을 타이로신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3).
그룹 3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1718192021222324 KYQRRKKNYKKYQRRKRNYKKYQRRRKNYKKYQRRRRNYKKYQRKKKNYKKYQRKRKNYKKYQRKKRNYKKYQRKRRNYK
다음으로, 그룹 4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8번 아미노산을 세린으로 치환하며, 9번 아미노산을 타이로신으로 치환하고, 10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4).
그룹 4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2526272829303132 KYQRRKKSYKKYQRRKRSYKKYQRRRKSYKKYQRRRRSYKKYQRKKKSYKKYQRKRKSYKKYQRKKRSYKKYQRKRRSYK
다음으로, 그룹 5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 아미노산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4번 아미노산을 글루타민으로 치환하며,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5).
그룹 5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3334353637383940 KYRQRKKNKYKYRQRKRNKYKYRQRRKNKYKYRQRRRNKYKYRQKKKNKYKYRQKRKNKYKYRQKKRNKYKYRQKRRNKY
다음으로, 그룹 6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 아미노산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4번 아미노산을 글루타민으로 치환하며,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8번 아미노산을 세린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6).
그룹 6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4142434445464748 KYRQRKKSKYKYRQRKRSKYKYRQRRKSKYKYRQRRRSKYKYRQKKKSKYKYRQKRKSKYKYRQKKRSKYKYRQKRRSKY
다음으로, 그룹 7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 아미노산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4번 아미노산을 글루타민으로 치환하며,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9번 아미노산을 타이로신으로 치환하며, 10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7).
그룹 7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4950515253545556 KYRQRKKNYKKYRQRKRNYKKYRQRRKNYKKYRQRRRNYKKYRQKKKNYKKYRQKRKNYKKYRQKKRNYKKYRQKRRNYK
다음으로, 그룹 8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 아미노산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4번 아미노산을 글루타민으로 치환하며,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8번 아미노산을 세린으로 치환하며, 9번 아미노산을 타이로신으로 치환하고, 10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8).
그룹 8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5758596061626364 KYRQRKKSYKKYRQRKRSYKKYRQRRKSYKKYRQRRRSYKKYRQKKKSYKKYRQKRKSYKKYRQKKRSYKKYRQKRRSYK
다음으로, 그룹 9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고, 4번 아미노산을 글루타민으로 치환하며,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9).
그룹 9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6566676869707172 KYKQRKKNKYKYKQRKRNKYKYKQRRKNKYKYKQRRRNKYKYKQKKKNKYKYKQKRKNKYKYKQKKRNKYKYKQKRRNKY
다음으로, 그룹 10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고, 4번 아미노산을 글루타민으로 치환하며,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8번 아미노산을 세린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10).
그룹 10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7374757677787980 KYKQRKKSKYKYKQRKRSKYKYKQRRKSKYKYKQRRRSKYKYKQKKKSKYKYKQKRKSKYKYKQKKRSKYKYKQKRRSKY
다음으로, 그룹 11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고, 4번 아미노산을 글루타민으로 치환하며,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9번 아미노산을 타이로신으로 치환하며, 10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11).
그룹 11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8182838485868788 KYKQRKKNYKKYKQRKRNYKKYKQRRKNYKKYKQRRRNYKKYKQKKKNYKKYKQKRKNYKKYKQKKRNYKKYKQKRRNYK
끝으로, 그룹 12의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의 3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고, 4번 아미노산을 글루타민으로 치환하며, 5번 내지 7번 아미노산을 리신 또는 아르기닌으로 치환하고, 8번 아미노산을 세린으로 치환하며, 9번 아미노산을 타이로신으로 치환하고, 10번 아미노산을 리신으로 치환하여 합성하였다(표 12).
그룹 12의 펩타이드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N-C)
8990919293949596 KYKQRKKSYKKYKQRKRSYKKYKQRRKSYKKYKQRRRSYKKYKQKKKSYKKYKQKRKSYKKYKQKKRSYKKYKQKRRSYK
실시예 2: 상아모세포를 이용한 상아질의 재생촉진 효과검증실시예 2-1: DSPP(dentin sialophosphoprotein) 프로모터 활성에 미치는 펩타이드의 영향 검증 먼저, 마우스 유래 상아모세포인 MDPC-23 세포를 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5%의 CO2 및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배양된 MDPC-23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5 X 104 세포수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리포펙타민 Plus™ 시약을 이용하여 상기 배양된 세포에, pGL3 벡터에 DSPP 프로모터와 루시퍼라제 유전자가 도입된 재조합 벡터를 도입하여 형질전환시켰다. 상기 형질전환된 MDPC-23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그룹 1 내지 12의 펩타이드를 각각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기 각각의 형질전환된 MDPC-23 세포에서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고, 각 그룹별로 산출된 평균수준을 비교하였다(도 1a). 이때, 대조군으로는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형질전환된 MDPC-23 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1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 펩타이드가 상아모세포 분화 마커 유전자인 DSPP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그룹별로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a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각 펩타이드는 전체적으로 대조군에서 측정된 루시퍼라제(luciferase) 활성수준의 약 1.3 배이상의 값을 나타내었으나, 각 그룹별로 차이를 나타내며, 그룹 12의 펩타이드가 가장 높은 수준의 루시퍼라제 활성을 나타내고, 다음으로 높은 수준의 루시퍼라제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는 그룹 11의 펩타이드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는 DSPP 프로모터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2: 상아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인 DSPP 유전자의 발현수준에 미치는 펩타이드의 영향 검증
상기 실시예 2-1에서 배양한 MDPC-23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된 각 그룹의 펩타이드를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기 MDPC-23 세포에서 발현되는 상아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각의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대조군에서 측정된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대한 상대적 비율로 환산하였다(표 13 내지 24). 또한, 각 그룹의 펩타이드에 따라 측정된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의 평균값을 각 그룹별로 비교하였다(도 1b). 이때, 대조군으로는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MDPC-23 세포를 사용하였다.
상기 DSPP 유전자의 발현수준은 RT-PCR 및 실시간 PCR 분석을 통해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TRIzol 시약을 이용하여 상기 MDPC-23 세포로부터 전체(total) RNA를 분리하였다. 2 ㎍의 전체 RNA와 역전사효소 1 ul와 0.5 ㎍의 올리고(oligo; dT)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이용하였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하기 각 프라이머와 SYBR GREEN PCR Master Mix(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ABI PRISM 7500 시퀀스 검출 시스템(sequence detection system)(Applied Biosystems)에서 진행되었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94℃, 1 분 ; 95℃, 15 초 - 60℃, 34 초를 40 사이클(cycles) 반복하는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comparative cycle threshold(CT)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때, 내부대조군으로는 Gapdh 유전자를 사용하였고, 측정값은 3회 반복실험을 수행한 후, 이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 값을 사용하였다.
Dspp_F: 5'-ATTCCGGTTCCCCAGTTAGTA-3'(서열번호 97)
Dspp_R: 5'-CTGTTGCTAGTGGTGCTGTT-3'(서열번호 98)
Gapdh_F: 5'-AGGTCGGTGTGAACGGATTTG-3'(서열번호 99)
Gapdh_R: 5'-TGTAGACCATGTAGTTGAGGTCA-3'(서열번호 100)
그룹 1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12345678 1.7541.6461.4641.8551.6391.7461.8641.639 0.1320.0920.2210.1020.0570.0910.1320.032
그룹 2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910111213141516 1.8541.7461.6391.5481.6851.8461.9641.739 0.0320.0520.2010.0270.0770.1410.2790.092
그룹 3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1718192021222324 2.1172.3191.9312.5531.8932.4122.1712.212 0.2090.0920.1020.0990.1320.0720.2810.111
그룹 4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2526272829303132 2.3712.1931.9932.4531.8832.5122.3712.219 0.0890.0520.2020.1920.1010.2090.1390.302
그룹 5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3334353637383940 1.7121.9311.9832.3191.5972.1161.7122.219 0.0910.1720.1020.2920.3010.2110.1910.212
그룹 6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4142434445464748 1.5461.5861.6691.7931.5321.8871.6971.558 0.0910.1030.0950.2030.3100.0770.0090.201
그룹 7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4950515253545556 1.9231.8871.6012.0191.5921.4371.6631.701 0.1920.0070.0820.1350.2220.3410.0940.109
그룹 8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5758596061626364 2.0391.9981.7922.1072.3011.6721.7691.967 0.0820.1720.0070.2010.0190.3080.0850.039
그룹 9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6566676869707172 1.7231.6271.7771.4322.0111.9271.8792.011 0.0720.2910.0270.4100.0810.1050.0600.009
그룹 10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7374757677787980 2.0352.0111.9972.3511.7292.6352.2311.837 0.0210.0630.0590.1090.1110.0910.0770.201
그룹 11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8182838485868788 3.0923.3613.5723.7023.6703.7053.8884.021 0.1520.0980.2090.3010.0880.1370.0720.301
그룹 12의 펩타이드가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미치는 효과
서열번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
평균 표준편차
8990919293949596 4.2114.8114.3624.2114.5253.8364.6205.211 0.4130.3020.1820.2870.2500.0990.4010.371
상기 표 13 내지 24에서 보듯이,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MDPC-23 세포(대조군)에서 측정된 상아모세포 분화마커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비하여,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할 경우, 상기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이 모두 1.3배 이상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룹 11의 모든 펩타이드는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비하여 3배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고, 그룹 12의 모든 펩타이드는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에 비하여 3.8배 이상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도 1b는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가 처리된 MDPC-23 세포에서 상아모세포 분화마커인 DSPP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b에서 보듯이,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할 경우, 상아모세포 분화마커인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이 증가되고, 도 1a의 것과 비슷하게, 대조군에서 측정된 DSPP 유전자 mRNA 수준의 약 1.3 배이상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상아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인 DSPP, Dmp1 및 Nestin 유전자의 발현수준에 미치는 펩타이드의 영향검증
상기 실시예 2-2의 결과로부터,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는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그룹 11 및 12의 펩타이드는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적어도 3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그룹 11 및 12의 펩타이드가 다른 상아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인 Dmp1 및 Nestin 유전자의 mRNA 수준도 증가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대략적으로, 하기 각 프라이머를 사용하고, 펩타이드로서 그룹 11 및 12의 펩타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Dmp1 및 Nestin 유전자의 발현수준에 미치는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의 효과를 측정하고, 각 그룹별로 산출된 평균수준을 비교하였다(도 1c). 이때, 대조군으로는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MDPC-23 세포를 사용하였고, 비교군으로서 DSPP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사용하였다.
Dmp1_F: 5'-CATTCTCCTTGTGTTCCTTTGGG-3'(서열번호 101)
Dmp1_R: 5'-TGTGGTCACTATTTGCCTGTG-3'(서열번호 102)
Nestin_F: 5'-CCCTGAAGTCGAGGAGCTG-3'(서열번호 103)
Nestin_R: 5'-CTGCTGCACCTCTAAGCGA-3'(서열번호 104)
도 1c는 그룹 11 및 12의 펩타이드가 처리된 MDPC-23 세포에서 상아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인 DSPP, Dmp1 및 Nestin 유전자의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c에서 보듯이,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처리하면, 상아모세포 분화마커 유전자인 DSPP, Dmp1 및 Nestin 유전자의 발현수준이 모두 증가되었으나, 각 유전자별로 증가수준에 차이를 나타내고, 그룹 11의 펩타이드 보다는 그룹 12의 펩타이드가 더욱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각 분화마커 유전자는 상아모세포 분화와 상아질의 석회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펩타이드는 상아질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2-4: 치수조직 세포에 대한 상아질 또는 치수조직의 재생촉진 및 상아질 지각과민증 치료용 펩타이드의 세포독성 평가
먼저, 사람 치수 줄기세포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성인 10명(18-22세)의 사랑니에서 치수조직 세포를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든 실험은 임상연구심의위원회(hospital's Institutional Review Board)에서 승인을 받은 후 환 자의 동의를 받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Jung HS et al(J Mol Histol.(2011))의 방법에 따라 사랑니는 절단하여, 치수를 노출시켜 포셉으로 치수조직을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치수조직을 양면도로 잘게 세절하고, 60 mm 접시에 넣고, 커버 슬립으로 덮은 후, DMEM 배지에서 배양하여, 배양된 치수조직 세포를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수득한 치수조직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약 3 × 103 세포수가 되도록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그룹 11 또는 12의 펩타이드를 10 또는 50㎍/㎖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1, 3 또는 5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이 종료된 후, 배양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20㎕의 MTT 용액을 가하였으며, 이후 약 37℃에서 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100㎕의 DMSO를 가한 후, 54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1d). 이때, 대조군으로는 상기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고 배양한 치수조직 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1d는 치수조직 세포에 대한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의 세포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d에서 보듯이,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를 가하여도 치수조직 세포의 생존율은 대조군과 동일한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제조
1 단계:
폴록사머 407을 정제수에 첨가하여 교반기에서 약 30분간 교반 (교반 조건: PADDLE 15~20 rpm, DISPERSE 400~500 rpm)
2 단계:
소르빈산 칼륨, 염화세틸피리디늄, 자일리톨, 아세설팜카륨 착색제(청색 1호), D-소르비톨액, 농글리세린을 첨가하여 교반기에서 약 30 분간 교반 (교반 조건: PADDLE 15~20 rpm, DISPERSE 400~500 rpm)
3 단계:
폴리소르베이트 20 (Tween 20), 황금추출물, 녹차액스, 카모마일추출물, 로즈마리엑스, 민트향 (HF-3585)을 가온 하여 첨가하여 교반기에서 약 30 분간 교반 (교반 조건: PADDLE 15~20 rpm, DISPERSE 400~500 rpm)
4 단계: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서열번호 96)를 약 0.0001%로 혼합한 후 시트르산수화물(구연산 수화물)을 첨가하여 pH 5.5~6.0 사이로 맞추어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조성표
구 분 원 료 명 중 량 (Wt%)
1 용제 정제수 86.25
계면활성제 폴록사머407 0.3
 펩타이드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 0.0001
2 보존제 소르빈산 칼륨 0.1
주성분 염화세틸피리디늄 0.055
감미제 자일리톨 1
아세설팜칼륨 0.05
pH조절제 시트르산수화물 (구연산수화물) 0.005
착색제 청색 1호 0.00025
습윤제 D-소르비톨액 5
농글리세린 5
3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20 2
(Tween 20)
착향제 황금추출물 0.01
녹차엑스(유기농) 0.01
카모마일추출물(유기농) 0.01
로즈마리엑스(유기농) 0.01
민트향 HF-6585 0.2
  합 계 100
비교예에 사용되기 위한 조성물의 준비
비교예 3-1:
실시예 3과 같은 부피의 정제수를 준비하였음.
*
비교예 3-2:
실시예 3의 성분 중 정제수 이외에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서열번호 96)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 이외의 성분은 모두 동일하게 함유되도록 준비하였음
실험예 1:
실시예 3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상아세관 투과도 관찰
가. 상아세관이 노출되도록 치아를 절단
발치된 사람의 치아의 치관부를 다이아몬드 톱을 이용하여 가로로 절단하여 상아세관을 노출한 다음, 인산염 완충 용액으로 약 5분간 2회 세척
나. 절단된 치아를 세척
앞서 절단한 치아를 0.5 M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pH 7.4) 용액에 약 5분간 반응 시킨 후 인산염 완충용액으로 약 5분간 2회 세척
*
다. 실시예 3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형광염색시약 첨가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서열번호 96)가 함유된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형광염색시약이 0.1%가 포함되도록 첨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상아세관이 노출된 절단 치아를 약 1분간 반응시킴
라.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침투정도 관찰
반응시킨 절단 치아를 인산염 완충용액에 약 5분간 2회 세척한 다음 다이아몬드 톱을 이용하여 절단 치아의 상아세관이 길게 보이도록 세로로 약 0.5 mm 두께로 자른 후 형광현미경으로 침투 정도를 관찰 (도 2 참조).
실험예 2:
실시예 3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상아세관 봉쇄능 관찰
가. 인공타액의 제조
인공타액의 조성은 하기 표 26와 같음.
※ 정제수에 하기 표2의 각 성분의 최종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였으며, 인산칼륨(K2HPO4)은 마지막에 첨가하였음.
※ 인공타액의 pH는 사람의 타액과 유사한 7.2 부근에서 측정됨.
성분 농도(mM)
CaCl2 0.7
Mgcl2 0.2
K2HPO4 4
KCl 30
NaN3 0.3
HEPES 20
나. 상아세관 시편의 제작
발치된 사람의 치아를 다이아몬드 톱을 이용하여 가로로 절단하여, 1mm 두께의 상아세관이 노출된 상아질 시편을 제작하였음.
※ 상아질 시편은 상아세관을 완전히 노출 시키기 위하여 약 32% 인산(phosphoric acid) 용액에 약 5분간 반응시킨 후 정제수로 약 5분간 3회 세척하였음. 그런 다음, 상아질 시편은 초음파 세척기에서 약 5분간 6회 세척하여 상아세관을 완전히 노출되도록 하였음.
이후, 인산염 완충 용액으로 3회 세척하여 보관함.
다.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상아세관 봉쇄능 관찰
실시예 3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아세관 시편에 약 1분간 반응 시킨 다음 인공타액에 약 24 시간 반응 시킴.
이 과정을 2 주 동안 반복한 후, 증류수로 3회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주사전자 현미경(S-4700, HITACHI, Tokyo, Japan)으로 상아세관 봉쇄 정도를 관찰함(도 3, G-I).
비교실험예 2-1:
비교예 3-1에서 준비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아세관 시편에 약 1분간 반응 시킨 다음 인공타액에 약 24 시간 반응 시킴.
이 과정을 2 주 동안 반복한 후, 증류수로 3회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상아세관 봉쇄 정도를 관찰함(도 3, A-C).
비교실험예 2-2:
비교예 3-2에서 준비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아세관 시편에 약 1분간 반응 시킨 다음 인공타액에 약 24 시간 반응 시킴.
이 과정을 2 주 동안 반복한 후, 증류수로 3회 세척한 다음 건조하여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상아세관 봉쇄 정도를 관찰함(도 3, D-F).
상기 실험예 1에 의하면, 실시예 3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상아세관 투과도를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상아모세포 분화촉진 펩타이드가 함유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이 처리된 치아의 경우 상아질 표면에서 형광이 강하게 관찰 되었다. 뿐만 아니라 노출된 상아세관의 하방을 따라 형광 염색 시약의 침투가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실험예 2와 비교실험예 2-1 및 2-2를 비교한 결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비교예 3-1 및 비교예 3-2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상아세관 봉쇄능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C는 정제수로만 처리한의 상아질의 상아세관을 도시한 것(비교예 3-1)이고, D-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의 구성 중 펩타이드가 미함유된 구강 청결용 조성물과 반응한 상아세관을 도시한 것(비교예 3-2)이고, G-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과 반응한 상아세관을 도시한 것이다(크기바: A, D, G, 100 ㎛; B, E, H, 20 ㎛; C, F, I, 10 ㎛).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반응시킨 상아질의 상아세관에 재광화가 일어나 상아세관이 봉쇄되어 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에 의하여 상아세관이 봉쇄된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봉쇄된 상아세관과 상아질 표면에서 재광화가 일어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실험예 3에 의한 상아세관의 모습을 보다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데, 상아세관과 상아질 표면 모두에서 재광화가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상아질에 얇은 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아세관 안쪽 및 타액에 존재하는 인산-칼슘 이온과 강하게 결합하여 노출된 상아세관 및 상아질 표면에 재광화를 유도하여 상아세관을 효과적으로 봉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은 노출된 상아세관의 표면뿐만 아니라 상아세관 내부에서 재광화를 유도하여 시린이 증상을 완화 및/또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17년도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개발사업 지원에 의한 연구임 [S2462696]"

Claims (9)

  1. 하기 일반식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K-Y-R1-R2-R3-R4-R5-R6-R7-R8 (일반식 1)
    상기 일반식 1에서,
    R1은 아르기닌(R), 리신(K) 또는 글루타민(Q)이고;
    R2는 아르기닌(R) 또는 글루타민(Q)이며;
    R3, R4 및 R5는 각각 아르기닌(R) 또는 리신(K)이고;
    R6는 아스파라긴(N) 또는 세린(S)이며; 및
    R7 및 R8은 리신(K) 또는 타이로신(Y)이고,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펩타이드 0.00005-0.00015 중량부, 정제수 85-87 중량부, 계면활성제 1.7-2.9 중량부, 및 시트르산수화물 0.0045-0.005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은 상아질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아세관 안쪽 및 타액에 존재하는 인산-칼슘 이온과 결합하여 상아세관 및 상아질 표면에 재광화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세틸피리디늄 0.0545-0.55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또는 폴리소르베이트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407 12-14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86-8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습윤제 9-1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는 D-소르비톨액 및/또는 농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는 상기 D-소르비톨액 45-55 중량%, 상기 농글리세린 45-5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9. 제1항에 따른 구강 청결용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의 구강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 방법.
PCT/KR2019/004635 2018-05-09 2019-04-17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WO20192165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800686.8A EP3791857A4 (en) 2018-05-09 2019-04-17 ORAL CARE COMPOSITION FOR THE RELIEF OF DENTIN HYPERESTHESIA
MYPI2020005823A MY193395A (en) 2018-05-09 2019-04-17 Oral care composition for alleviating dentin hyperesthesia
US17/053,410 US11612555B2 (en) 2018-05-09 2019-04-17 Oral care composition for alleviating dentine hyperesthesia
SG11202011068TA SG11202011068TA (en) 2018-05-09 2019-04-17 Oral care composition for alleviating dentin hyperesthesia
CA3099663A CA3099663C (en) 2018-05-09 2019-04-17 Oral care composition for alleviating dentin hyperesthesia
BR112020022490-1A BR112020022490B1 (pt) 2018-05-09 2019-04-17 Composição para cuidado oral e método para aliviar hiperestesia dentinária
CN201980031312.XA CN112105339B (zh) 2018-05-09 2019-04-17 用于缓解牙本质感觉过敏的口腔清洁用组合物
AU2019265168A AU2019265168B2 (en) 2018-05-09 2019-04-17 Oral care composition for alleviation of dentine hyperesthesia
MX2020011735A MX2020011735A (es) 2018-05-09 2019-04-17 Composicion de cuidado bucal para aliviar la hiperestesia dentinaria.
RU2020140016A RU2763938C1 (ru) 2018-05-09 2019-04-17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для ослабления гиперестезии дентина
JP2020560363A JP7185332B2 (ja) 2018-05-09 2019-04-17 象牙質知覚過敏症緩和のための口腔衛生用組成物
JP2022144807A JP7469821B2 (ja) 2018-05-09 2022-09-12 象牙質知覚過敏症緩和のための口腔衛生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012 2018-05-09
KR1020180053012A KR101956578B1 (ko) 2018-05-09 2018-05-09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567A1 true WO2019216567A1 (ko) 2019-11-14

Family

ID=6575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4635 WO2019216567A1 (ko) 2018-05-09 2019-04-17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612555B2 (ko)
EP (1) EP3791857A4 (ko)
JP (2) JP7185332B2 (ko)
KR (1) KR101956578B1 (ko)
CN (1) CN112105339B (ko)
AU (1) AU2019265168B2 (ko)
BR (1) BR112020022490B1 (ko)
CA (1) CA3099663C (ko)
MX (1) MX2020011735A (ko)
MY (1) MY193395A (ko)
RU (2) RU2763938C1 (ko)
SG (1) SG11202011068TA (ko)
WO (1) WO20192165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11919C1 (ru) * 2020-06-09 2024-01-18 Хайсенсбай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пародонтоза или 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вывиха зуб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578B1 (ko) 2018-05-09 2019-03-1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KR101956579B1 (ko) 2018-05-09 2019-03-1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치약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2105A1 (en) * 2015-10-26 2017-05-04 Basf Se Oral care products and methods comprising hydroxyapatite binding proteins
KR101772449B1 (ko) * 2016-12-27 2017-08-30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신규한 펩타이드
KR101956578B1 (ko) * 2018-05-09 2019-03-1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906A (en) * 1994-12-08 1997-04-29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Oral hygiene compositions comprising heteroatom containing alkyl aldonamide compounds
JPH1017449A (ja) 1996-07-05 1998-01-20 Sangi Co Ltd 知覚過敏症用組成物
JP2003160457A (ja) 2001-11-27 2003-06-03 Lion Corp 象牙質知覚過敏予防・治療剤
CA2469498C (en) 2002-01-03 2009-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casein phosphopeptide complexes and fluoride
JP2006518744A (ja) 2003-02-21 2006-08-17 ローディア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抗感受性、抗カリエス、抗しみ、抗歯垢、ウルトラマイルド口腔衛生物質
CN1822810B (zh) 2003-07-15 2010-09-29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组合物
EP2249794A4 (en) 2008-02-08 2014-01-08 Colgate Palmolive Co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BASIC AMINO ACID PEPTIDES AND PROTEASES
KR101039802B1 (ko) 2008-10-08 2011-06-09 주식회사 나이벡 치아 지각과민 방지용 조성물
EP2281543A1 (en) 2009-07-27 2011-0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which comprise stannous and potassium salts
RU2467739C1 (ru) * 2011-10-31 2012-1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елгор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остав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для лечения гиперестезии зубов
KR101401718B1 (ko) 2012-08-08 2014-06-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상아질 재생 촉진용 조성물 및 방법
AU2012387171B2 (en) 2012-08-10 2015-05-07 Colgate-Palmolive Company Mouthwash comprising peroxy compound, a first acid and a second acid
US10105303B2 (en) * 2012-12-19 2018-10-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zinc amino acid halides
MY180534A (en) 2014-04-21 2020-12-01 Lion Corp Liquid composition for oral use and method for improving resilience to freezing thereof
CA2960007C (en) 2015-01-16 2019-01-08 Kabushiki Kaisha Sangi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wax and a calcium phosphate
US10952940B2 (en) * 2016-01-15 2021-03-23 University Of Washington Reagents and methods for mineralization of tooth enamel
KR101943978B1 (ko) 2017-12-28 2019-01-30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신규한 펩타이드
KR101956579B1 (ko) 2018-05-09 2019-03-1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2105A1 (en) * 2015-10-26 2017-05-04 Basf Se Oral care products and methods comprising hydroxyapatite binding proteins
KR101772449B1 (ko) * 2016-12-27 2017-08-30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신규한 펩타이드
KR101956578B1 (ko) * 2018-05-09 2019-03-1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BREATHAWAY MOUTH RINSE FRESH MINT- cetylpyridinium chloride mouthwash", DAILYMED, 23 February 2018 (2018-02-23), pages 1 - 5, XP055651567,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dailymed.nlm.nih.gov/dailymed/drugInfo.cfm?setid=37b2c031-ecc9-4420-9d84-e71c0e529187> *
JUNG HS ET AL., J MOL HISTOL, 2011
PORTO, IC ET 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ntinal hypersensitivity", JOURNAL OF ORAL SCIENCE, vol. 51, no. 3, September 2009 (2009-09-01), pages 323 - 332, XP055651569 *
TADURU SREENATH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78, no. 27, 4 July 2013 (2013-07-04), pages 24874 - 24880
WILLIAM T. BUTLER ET AL., CONNECTIVE TISSUE RESEARCH, vol. 44, 2003, pages 171 - 17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11919C1 (ru) * 2020-06-09 2024-01-18 Хайсенсбай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пародонтоза или травматического вывиха зуб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1252A (ja) 2021-08-26
RU2763938C1 (ru) 2022-01-11
US11612555B2 (en) 2023-03-28
SG11202011068TA (en) 2020-12-30
AU2019265168B2 (en) 2021-08-19
CA3099663C (en) 2023-08-01
BR112020022490A2 (pt) 2021-02-09
CN112105339B (zh) 2024-04-30
JP7185332B2 (ja) 2022-12-07
BR112020022490B1 (pt) 2023-12-26
JP7469821B2 (ja) 2024-04-17
CN112105339A (zh) 2020-12-18
RU2021138615A (ru) 2022-02-09
KR101956578B1 (ko) 2019-03-11
US20210154123A1 (en) 2021-05-27
EP3791857A4 (en) 2022-05-11
EP3791857A1 (en) 2021-03-17
AU2019265168A1 (en) 2020-11-26
MX2020011735A (es) 2021-01-08
JP2022177133A (ja) 2022-11-30
CA3099663A1 (en) 2019-11-14
MY193395A (en)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6568A1 (ko)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치약 조성물
WO2019103203A1 (ko)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WO2018124425A1 (ko) 신규한 펩타이드
WO2016190660A1 (ko) 신규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한 조성물
WO2015156649A1 (ko) 섬유증 억제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132352A1 (ko) 신규한 펩타이드
WO2016137162A1 (ko) 청력 손상 방어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6105086A1 (ko) 안질환 치료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19216567A1 (ko) 상아질 지각과민증 완화를 위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WO2018155997A1 (ko) 에리스로포이에틴 유래 펩티드의 세포손상방지에 효과를 통한 활용
WO2018088813A9 (ko) Nkx3.2 단편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0004745A1 (ko) 약물이 코팅된 마이크로 니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56706A1 (ko) 티오레독신 결합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또는 이를 암호화 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줄기세포의 역노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16167600A1 (ko) 구강용 조성물
WO2019132353A1 (ko) Cpne4 단백질을 포함하는 상아질-치수질환 또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51790A1 (ko) 항비만 활성을 가지는 디옥시콜산-펩타이드 결합체 및 이의 용도
WO2023054817A1 (ko) 항노화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8021778A1 (ko) Lrg1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을 함유하는 발기부전, 허혈성 질환 또는 말초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58315A1 (ko) Cpne7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상아질 접착용 조성물 및 치수복조용 조성물
WO2021045520A1 (ko)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17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38674A1 (ko) 근육 이완용 조성물
WO2023171900A1 (ko) 치아우식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39630A1 (ko) 폴리스타틴 유래 생리활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20222315A1 (ko) 피부 또는 세포 투과능이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11388A1 (ko) 페리오스틴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006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56036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099663

Country of ref document: C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0022490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265168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90417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80068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1209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0022490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0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