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64296A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64296A1
WO2019164296A1 PCT/KR2019/002130 KR2019002130W WO2019164296A1 WO 2019164296 A1 WO2019164296 A1 WO 2019164296A1 KR 2019002130 W KR2019002130 W KR 2019002130W WO 2019164296 A1 WO2019164296 A1 WO 201916429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ver
groove
lens group
optical axis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1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종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주)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주)
Priority to US16/971,93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258931B2/en
Priority to CN201980015008.6A priority patent/CN111758070B/zh
Publication of WO201916429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64296A1/ko
Priority to US17/582,668 priority patent/US11706513B2/en
Priority to US18/334,770 priority patent/US2023041290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Definitions

  • Embodiments relate to a camera module for performing autofocusing and zooming up functions.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lens, an image sensor module, and a lens driving device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module.
  • Portab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have a compact camera module.
  • the camera module may perform autofocusing to align a focal length of the lens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lens.
  • the camera module may perform a function of zooming up, that is, increasing the magnification of a subject at a distance.
  • Embodiments relate to a camera module for performing autofocusing and zooming up function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 the camera module the first lens group to which light is incident; A second lens group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group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third lens group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A first mover coupled to the second lens group to move the second lens group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second mover coupled to the third lens group to move the third lens group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base accommodating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And a support ball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with respect to the base by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mover, the second mover, and the base.
  •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are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base and include a first groov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disposed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bas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It includes a second groove provided with, the support ball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may be at least one stopper protruding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movement distance of the support ball.
  • the base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grooves are formed in the pair of protrusions, respectively, and the first grooves are respectively.
  •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s, respectively.
  • the second groove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rus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groove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mover and the first mov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 respectively.
  • 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a driving magnet coupled to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respectively; And a coil unit coupled to the base and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magnet.
  • the coil unit, the yoke is mounted to the bas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movable coil wound around the yoke and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magnet.
  • the coil unit may be disposed in the protrus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 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the sensing magnet disposed under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And a position sensor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magnet.
  • the sensing magnet and the position senso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An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and the position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 the base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so that the sensing magnet and the position sensor face each other at a portion where the position sensor is disposed.
  • the base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lens group is fixedly coupled.
  • a camera module includes a first lens group into which light is incident; A second lens group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group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third lens group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A first mover for moving the second lens group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second mover for moving the third lens group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 base accommodating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A support ball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relative to the base by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mover, the second mover and the base; A driving magnet coupled to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respectively; And a coil unit coupled to the base and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magnet, wherein the coil unit is disposed on the base and includes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and the long side is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movable coil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magnet and wound along the short side of the yok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driving
  •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are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base, and include a first groov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disposed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base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It includes a second groov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e support ball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 At least one of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may have at least one stopper protruding from the optical axis moving distance of the support ball.
  • the base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pair of protrusions.
  • On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respective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grooves.
  • the second grooves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rusion, respectively, and the first grooves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mover and the first mov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s, respectively.
  • the coil unit may be disposed in the protrus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first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sensing magnet disposed under the first mover and the second mover; And a position sensor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magnet.
  • the sensing magnet and the position sensor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and the position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 the base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so that the sensing magnet and the position sensor face each other at a position where the position sensor is disposed.
  • the support ball in rolling contact stably supports the optical axis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movers,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to move the first and second movers can be reduced as compared to the sliding contact. Therefore, the generation of tilt can be effectively reduced.
  • the first mover is provided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rolling contact between the support ball and the first mover, a camera modul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performing an effective autofocusing and zooming-up function can be implemented.
  • the stopper is provided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ball to effectively suppress tilting, malfunction of the mover, noise caused by collision of the support balls, and failure of the camera modu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of an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removed from FIG. 1.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removed from FIG. 1.
  • FIG. 3 is a plan view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 FIG. 5 is a plan view of FIG. 2.
  • FIG. 6 is a front view of FIG. 5.
  • FIG. 7 is a plan view with a partial configuration removed from FIG. 5.
  • FIG. 8 is a plan view with a partial configuration removed from FIG. 7.
  • FIG. 8 is a plan view with a partial configuration removed from FIG. 7.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of one embodiment.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FIG. 10.
  • FIG. 12 is a plan view of FIG. 10.
  •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4.
  • the optical axis direction refers to a direction that is the same as or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ens group 100 to the third lens group 300 are align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of an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removed from FIG. 1.
  • FIG. 3 is a plan view of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viewed from the front.
  • 5 is a plan view of FIG. 2.
  • 6 is a front view of FIG. 5.
  • FIG. 7 is a plan view with a partial configuration removed from FIG. 5.
  •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base 600 to cover a part accommodated in the base 600.
  • the cover member may be bonded to the base 600 by adhesion, and may protect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module.
  •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rism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lens group 100 and accommodated in the base 600 and changing an optical path.
  • the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prism has an optical path chang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prism.
  • the first lens group 100, the third lens group 300,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Can pass in turn.
  • the prism has a total reflection surface arranged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diagonal direction, and the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prism causes total reflection on the total reflection surface, so that the optical path may be conver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camera modul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ns group 100, a second lens group 200, a third lens group 300, a first mover 400, and a second
  • the mover 500 may include a base 600, a support ball 700, and a circuit board 800.
  • Each of the first lens group 100 to the third lens group 300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lenses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form an optical system, and one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mounted on a barrel. It may be provided.
  • the first lens group 100, the third lens group 300,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are sequentially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on the first lens group 100 so that the third lens group ( 300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may be sequentially passed.
  • an image sensor may be disposed behind the second lens group 200, and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ens group 200 may be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and the image sensor may capture an image by incident light. Can be.
  • autofocusing and zooming up of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module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100, the third lens group 300,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have.
  • the second lens group 200 and the third lens group 300 ar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100 and the third lens group 300 and the third lens group 300 are adjusted. ) And autofocusing and zooming up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ens group 200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 the first lens group 100 to which external light is incident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amera module so as not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refore, the base 600 may include a mounting part 630 to which the first lens group 100 is fixedly coupled.
  • the mounting part 630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base 600, and a part of the image surface may have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lens group 100.
  • the first lens group 100 may be seated in the groove of the mounting portion 630 and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630 by an adhesive.
  • the second lens group 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group 1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third lens group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100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and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ens group 200 may be incident on the image sensor disposed behind the second lens group 200.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100 and the third lens group 300 and the third lens group 3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ens group 200 may be adjusted, and thus the camera module may be autofocused and zoomed up.
  • the first mover 4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lens group 200 to move the second lens group 2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first mover 400 may include a first member 401 and a second member 402.
  • the first member 401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driving magnet 4100 and the sensing magnet 5100 may be mounted.
  • the second member 402 may protrude from the first member 40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may be coupled thereto.
  • the first member 401 is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driving magnet 4100 and the coil part 4200, and accordingly a second coupled to the second member 402 and the second member 402.
  • the lens group 200 may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econd mover 500 may be combined with the third lens group 300 to move the third lens group 3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econd mover 500 also has a difference in whic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ember 402 of the first mover 400 is disposed forwar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an the second member 402 of the first mover 400.
  • There may be a structure similar to the first mover 400 as a whole.
  •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may be collectively described except in a special case.
  • the base 600 may accommodate the first lens group 100 to the third lens group 300,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 the first lens group 100 may include the first lens group 100.
  • 100 may be fixedly mounted to the mounting portion 630 provided in the base 600.
  • the circuit board 80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600.
  • the circuit board 8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coil 422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to supply a current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 the circuit board 800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ler provided separately.
  • a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800 to which both ends of the movable coil 4220 are connected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600.
  • a hole is formed in the circuit board 800, and a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8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00 through the hole, and both ends of the movable coil 4220 are formed of a circuit board ( The 80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800 at a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600.
  • Both ends of the movable coil 4220 and the circuit board 8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for example, a conductive adhesive or by soldering.
  • the support ball 700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mover 400, the second mover 500 and the base 600, and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with respect to the base 600.
  • the movement of 500 can be supported.
  •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may include a first groove 1000 formed in a portion facing the base 600,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base 600 may include a second groove 2000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1000.
  • the support ball 7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all 700 is dispos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4.
  • the first groove 10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member 401 of the first mover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that i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at is, the first groove 1000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401.
  • the base 600 may have a second groove 200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1000 at a portion facing the first groove 1000.
  •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except when the stopper 3000 is formed, the shape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is due to the stopper 3000 at the site where the stopper 3000 is formed. It can be different.
  • the stopper 3000 may protrude from the first groove 1000 or the second groove 2000 to limit the optical axis moving distance of the support ball 7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opper 30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hrough 11.
  • the base 600 may include a pair of protrusions 6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econd grooves 2000 may be formed in the pair of protrusions 610, respectively.
  • the first groove 10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s 2000, respectively.
  • the second grooves 2000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rusion 610, respectively, and the first grooves 1000 are positioned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s 2000. ) And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mover 400, respectively.
  • the first groove 1000 is provided in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two up and down, respectively, a total of four, and the second groove 2000 is a pair.
  • Each of the protrusions 610 may be provided with two up and down, a total of four.
  • the support ball 7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 space formed by each of the first grooves 1000 and the second grooves 2000.
  • the number of support balls 700 arrang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balls 70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camera module, the smooth movement of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and the like. .
  • the support ball 700 may support the optical axis movement of the first mover 400 with respect to the base 600.
  • the support ball 700 may roll with respect to the base 600 and the first mover 400.
  • the support ball 700 is constrained to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it is possible to linearly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ile rolling, but does not linearly move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upport module 700 is not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since the sliding contact occurs between the first mover 400 and the base 600 dur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mover 400, it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rolling contact. Friction may occur.
  • the support shaft 700 in rolling contact stably supports the optical axis movement of the first mover 400, it is consumed to move the first mover 400 as compared to the sliding contact.
  • the amount of current can be reduced and the generation of tilt can be effectively reduced.
  • the first mover 400 is supported and guided by the support ball 700 to move linear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a linear mo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separate rotary motion does not occur in the first mover 400.
  •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imple autofocusing and zoom-up function.
  • the camera module can be implemented.
  • the second mover 5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all 700 is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1000, similar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irst mover 400. Since the mover 400 has already been described,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may be collectively described as movers.
  • the driving device for moving the mov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may include a driving magnet 4100 and a coil unit 4200.
  • the driving magnet 4100 is coupled to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respectively, and the coil part 4200 is coupled to the base 600 and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magnet 4100. Can be.
  • the driving magnet 4100 is coupled to the first member 401 of the mover, and a part of the driving magnet 4100 protrudes laterally of the first member 401. It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groove 2000 disposed above and below the protrusion 610 of the base 600.
  • the driving magnet 4100 may be fixed to the first member 401 by an adhesive.
  • the driving magnet 4100 and the coil unit 4200 may include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Each may be provided separate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500.
  • the two driving magnets 4100 for driving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two coil parts 4200 disposed to face each of the two driving magnets 4100 and causing electromagnetic interaction are als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similarly to the two driving magnets 4100. Can be arranged.
  • the driving magnet 4100 may be coupled to the mover.
  • the driving magnet 4100 may be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the mov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so that the driving magnet 4100 is dispos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oil unit 4200.
  • the driving magnet 4100 may be a permanent magnet and may be provided as one, but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may be stack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coil unit 4200 may be coupled to the base 600 and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magnet 4100.
  • the coil part 4200 may be disposed in the protruding part 6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 the coil unit 4200 may include a yoke 4210 and a movable coil 4220.
  • the yoke 4210 may be mounted to the base 600 and may be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movable coil 4220 may be wound around the yoke 4210, and a part of the movable coil 422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driving magnet 4100. Accordingly, the movable coil 4220 wound around the yoke 4210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us have a linear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yoke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cluding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and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long side is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movable coil may be wound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yoke and the surface facing the winding coil of the magnet facing the winding coil may be a permanent magnet magnetized by one pole (N pole or S pole). That is, the driving magnet may have a surface facing the driving coil with a first pole (N pole or S pole) and a reverse side with a second pole (S pole or N pole).
  • the coil unit 42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in the base 600.
  • the coil unit 4200 may be disposed in a mounting space formed in the protrusion 610 of the base 600.
  • the coil unit 4200 and the driving magnet 4100 may face each other, bu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both ends of the yoke 4210 may be fixed to the base 600.
  • the yoke 4210 may be formed by using an adhesive filler.
  • the movable coil 4220 may be fixed to the base 600.
  • Both ends of the movable coil 4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800, and the movable coil 4220 may receive curren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movable coil 4220 may be adjusted to adjust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mover, that is, move the mover toward the first lens group 100 or the opposite direction.
  •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ime that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movable coil 4220.
  •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er are adjus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vable coil 4220 and the driving magnet 4100, so that the camera module may perform auto focusing and zoom up functions.
  • the third lens group 300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are sequentially provided behind the first lens group 100, and the second lens group 200 and the third lens group are provided. Since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are separately adjusted by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respectively, the camera module 300 may perform an efficient and accurate autofocusing and zooming up function.
  • FIG. 8 is a plan view with a partial configuration removed from FIG. 7.
  • the means for sensing the optical axis movement position of the mover may include a sensing magnet 5100 and a position sensor 5200.
  • the sensing magnet 5100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magnet 5100.
  • the sensing magnet 51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are provided in two pairs, respectively.
  • the sensing magnet 51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be separately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 the two sensing magnets 5100 that detect movement of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Can be.
  • the two position sensors 5200 disposed to face the two sensing magnets 51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ensing magnet 51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7 and 8, two sensing magnets 5100 and two position sensors 5200 are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ensing magnet 51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are provided in plural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ensing module 51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are provid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e by one. The direction of movement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 the sensing magnet 5100 need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magnet 4100 in order to avoid magnetic interference with the driving magnet 4100.
  • the sensing magnet 5100 is disposed under the mover, the driving magnet 410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ver, and the sensing magnet 5100 and the driving magnet 4100 ar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t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 the position sensor 5200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magnet 5100 is also disposed below the sensing magnet 5100 so that the position sensor 5200 and the driving magnet 4100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Can be arranged.
  • the position sensor 5200 is disposed below the sensing magnet 5100 by coupl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800 disposed below the mover, and thus the position sensor 5200 is vertically aligned with the driving magnet 4100. It may be spaced apart.
  •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cause a malfunction due to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unit 4200, it is appropriate that the position sensor 5200 and the coil unit 4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coil part 4200 is disposed at the protrusion 610 of the base 6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is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800, and disposed below the mover.
  • the sensing magnet 51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magnet 5100.
  •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il part 420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ensing magnet 51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wo in relation to the first mover 400 and the second mover 500, have different arrangement positions, but have similar structures and functions. Since it will be described in a batch.
  • the sensing magnet 5100 is fixedly coupled to the mover, and thus can move toge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n the mover moves.
  • the sensing magnet 5100 may be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and may be provided as one, but may be provided 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s are stacked.
  •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be coupled to the circuit board 800 and disposed to face the sensing magnet 5100.
  •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detect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of the sensing magnet 5100 and may be provided as, for example, a hall sensor.
  • the circuit board 80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6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be coupled to and disposed at a portion facing the sensing magnet 5100.
  • the circuit board 8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or 5200 to apply a current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position sensor 5200.
  •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sensor 5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provided in the circuit board 800 or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800 through the circuit board 800.
  • sensing magnet 5100 moves together as the mover moves,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ccurs, and a sensing sensor fixedly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nsing magnet 5100 detects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sensing magnet 5100.
  • a sensing sensor fixedly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nsing magnet 5100 detects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sensing magnet 5100.
  • control unit may perform feedback control on the moving direction, the moving speed, and the moving position of the mover.
  • the camera module can perform an efficient and accurate autofocusing and zooming up func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ver 5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600 of one embodiment.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FIG. 10.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econd mover 5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600 of one embodiment.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of FIG. 10.
  • a stopper 30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groove 1000 of the mover or the second groove 2000 of the base 600.
  • the stopper 3000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or may be formed in both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 the stoppers 3000 formed in each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appropriate to be placed in.
  • the stopper 3000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filling a part of the first groove 1000 or the second groove 2000.
  • the stopper 3000 may limit the moving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ball 700.
  • the stopper 3000 is not formed, the following problem may occur. Since there is no stopper 3000, the support ball 700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may be pulled to a specific portion.
  • the plurality of support balls 700 may be directed to both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and this is a solim phenomenon. Therefore, the support ball 700 may not support the mover uniform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topper 3000 is provided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support ball 700 to generate a tilt, malfunction of the mover, noise due to collision of the support balls 700 and failure of the camera modul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 the first groove 1000 or the second groove 2000 may have a structu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one support ball 70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grooves 1000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excluding the center of the three first grooves 1000.
  • one support ball 70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1000.
  • each support ball 700 may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1000, as shown in FIG. 9, only one support ball (only one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1000) 700 may be inserted.
  • first and rear first grooves excluding the center of the three first grooves 1000. It is appropriate to insert the support ball 700 in the 1000 so that the support ball 700 uniformly supports the first mover 4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the second groove 2000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groove 1000.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 the stopper 3000 may not be formed in the second groove 2000 formed under the protrusion 610. Since the stopper 3000 is formed in the first groove 100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groove 2000 below the protrusion 610, the support ball 700 moves to the stopper 3000 of the first groove 1000. Since the distance can be sufficiently limited, the stopper 3000 is not formed in the second groove 2000 under the protrusion 610.
  • the stopper 3000 may be formed in only one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 the stopper 3000 may be formed in both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 FIG. 12 is a plan view of FIG. 10. As shown in FIG. 12, a through hole 620 may be formed in the base 600. That is, the base 600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620 such that the sensing magnet 5100 and the position sensor 5200 face each other at a portion where the position sensor 5200 is disposed.
  • the position sensor 5200 is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620, and the through hole 620 is formed in the base 600, so that the position sensor 5200 is not disturbed by the base 600. By facing with,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moving distance, moving direction and moving speed of the optical axis in the mover.
  •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 FIG. 1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4.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has a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ball 700,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It is appropriate that it is formed to reduce as much as possible.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friction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mover can be reduced as the contact area is reduced.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toward the open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 any one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is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toward the opening, and the other one has an opening and an inner width. It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groove 1000 and the second groove 2000 is provided in various shapes. Can be.
  • the camera module of th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 portab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광이 입사하는 제1렌즈군과, 광축방향으로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렌즈군과,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제3렌즈군과, 제2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무버와, 제3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무버와, 제1무버 및 제2무버를 수용하는 베이스와, 제1무버, 제2무버 및 베이스와 롤링접촉하여 베이스에 대한 제1무버 및 제2무버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볼과, 제1무버 및 제2무버에 각각 결합하는 구동마그네트 및 베이스에 결합하고,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코일부는 베이스에 배치되고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고 장변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요크 및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요크의 상기 단변을 따라 권선되는 가동코일을 포함하고, 구동마그네트의 가동코일과 대면하는 면 전체는 제1 극일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실시예는, 오토포커싱 및 줌업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렌즈, 이미지 센서 모듈, 및 렌즈와 이미지 센서 모듈의 간격을 조절하는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다.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 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은 줌업(zoom up) 즉, 원거리의 피사체 배율을 증가시켜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초소형 카메라 모듈에서는 크기의 제한을 받으므로, 일반적인 대형카메라에서 적용되는 줌업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오토포커싱 및 줌업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광이 입사하는 제1렌즈군;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제3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과 결합하여 상기 제2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무버(mover); 상기 제3렌즈군과 결합하여 상기 제3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무버;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를 수용하는 베이스; 및 상기 제1무버, 상기 제2무버 및 상기 베이스와 롤링접촉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볼(support bal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는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볼은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볼의 광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은 각각의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홈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1무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에 각각 결합하는 구동마그네트;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코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일부는,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요크; 및 상기 요크에 권선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동코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센싱마그네트; 및 상기 센싱마그네트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센싱마그네트 및 상기 위치센서는 광축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결합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위치센서가 배치되는 부위에서 상기 센싱마그네트와 상기 위치센서가 서로 대면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렌즈군이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광이 입사하는 제1렌즈군;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제3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무버(mover); 상기 제3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무버;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제1무버, 상기 제2무버 및 상기 베이스와 롤링접촉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볼(support ball);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에 각각 결합하는 구동마그네트;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장변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요크; 및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요크의 상기 단변을 따라 권선되는 가동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의 상기 가동코일과 대면하는 면 전체는 제1 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는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볼은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볼의 광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될 수 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은 각각의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홈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1무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센싱마그네트; 및 상기 센싱마그네트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마그네트 및 상기 위치센서는 광축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결합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위치센서가 배치되는 부위에서 상기 센싱마그네트와 상기 위치센서가 서로 대면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볼은 베이스 및 제1무버에 대하여 롤링하므로, 제1,2무버의 이동시 베이스 및 제1,2무버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롤링접촉하는 지지볼을 사용하여 제1,2무버의 광축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슬라이딩접촉의 경우에 비해, 제1,2무버를 이동시키는데 소모되는 전류의 양을 줄일 수 있고, 틸트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지지볼과 제1무버 사이의 롤링접촉에 의해 제1무버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므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효율적인 오토포커싱 및 줌업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지지볼의 광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틸트발생, 무버의 작동불량, 지지볼들의 충돌로 인한 소음발생 및 카메라 모듈의 고장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구성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일부구성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일부구성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제2무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서, 광축방향은 제1렌즈군(100) 내지 제3렌즈군(300)이 정렬된 방향과 동일하거나 이와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구성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일부구성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 모듈은 상기 베이스(600)와 결합하여, 베이스(600)에 수용되는 부품을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베이스(600)와 접착에 의해 결합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구성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군(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베이스(600)에 수용되며, 광경로를 변경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프리즘에 입사하는 광은 광축방향 즉, 제1렌즈군(100) 내지 제3렌즈군(300)이 정렬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프리즘에 입사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에 입사한 외부광은 상기 프리즘에 의해 광경로가 광축방향으로 변경되어, 도 7을 참조하면, 제1렌즈군(100), 제3렌즈군(300) 및 제2렌즈군(200)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프리즘은 광축방향과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반사면을 구비하고, 프리즘에 입사한 외부광은 전반사면에서 전반사를 일으켜 광축방향으로 광경로가 변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군(100), 제2렌즈군(200), 제3렌즈군(300), 제1무버(400)(mover), 제2무버(500), 베이스(600), 지지볼(700)(support ball) 및 회로기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군(100) 내지 제3렌즈군(300)은 각각,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렌즈들이 광축방향으로 정렬되어 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고,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렌즈들은 배럴에 장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광축방향으로 제1렌즈군(100), 제3렌즈군(300) 및 제2렌즈군(200)이 순차적으로 정렬되고, 외부광은 제1렌즈군(100)으로 입사하여 제3렌즈군(300) 및 제2렌즈군(2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렌즈군(200)의 후방에는 이미지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제2렌즈군(200)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은 이미지센서에 입사되고, 이미지센서에서는 입사광에 의해 영상이 촬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군(100), 제3렌즈군(300) 및 제2렌즈군(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대한 오토포커싱 및 줌업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2렌즈군(200) 및 제3렌즈군(300)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렌즈군(100)과 제3렌즈군(300) 사이의 간격 및, 제3렌즈군(300)과 제2렌즈군(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오토포커싱 및 줌업이 가능하다.
외부광이 입사하는 제1렌즈군(100)은 카메라 모듈에 고정적으로 배치되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600)는 상기 제1렌즈군(100)이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장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630)는 베이스(600) 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면 중 일부는 제1렌즈군(10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군(100)은 장착부(630)의 상기홈에 안착되고, 접착제에 의해 상기 장착부(63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렌즈군(200)은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1렌즈군(10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렌즈군(300)은 상기 제1렌즈군(100)과 상기 제2렌즈군(200) 사이에 배치되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렌즈군(200)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은 제2렌즈군(200)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이미지센서에 입사할 수 있다.
제2렌즈군(200) 및 제3렌즈군(300)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렌즈군(100)과 제3렌즈군(300) 사이의 간격 및, 제3렌즈군(300)과 제2렌즈군(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인해 카메라 모듈은 오토포커싱 및 줌업이 가능하다.
제1무버(400)는 상기 제2렌즈군(200)과 결합하여 상기 제2렌즈군(200)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무버(400)는 제1부재(401) 및 제2부재(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401)는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마그네트(4100) 및 센싱마그네트(510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부재(402)는 제1부재(401)로부터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여기에 제2렌즈군(200)이 결합할 수 있다.
제1부재(401)는 구동마그네트(4100)와 코일부(4200)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부재(402) 및 제2부재(402)에 결합한 제2렌즈군(200)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무버(500)는 상기 제3렌즈군(300)과 결합하여 상기 제3렌즈군(300)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무버(500)도 제1무버(400)의 제2부재(402)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1무버(400)의 제2부재(402)보다 광축방향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으로 제1무버(40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와 관련된 내용을 일괄적으로 설명할 수도 있다.
베이스(600)는 제1렌즈군(100) 내지 제3렌즈군(300),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렌즈군(100)은 베이스(600)에 구비되는 장착부(630)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800)은 상기 베이스(600)의 하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가동코일(4220), 위치센서(520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메라 모듈의 작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800)에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회로기판(800) 중 가동코일(4220)의 양 끝선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6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로기판(800)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800)의 일부가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600)의 상면에 배치되며, 가동코일(4220)의 양 끝선은 회로기판(800)이 베이스(600)의 상면에 배치된 부분에서 회로기판(800)과 연결될 수 있다.
가동코일(4220)의 양 끝선과 회로기판(800)은, 예를 들어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거나,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볼(700)은 상기 제1무버(400), 상기 제2무버(500) 및 상기 베이스(600)와 롤링접촉하여 상기 베이스(600)에 대한 상기 제1무버(400) 및 상기 제2무버(500)의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무버(400) 및 상기 제2무버(500)는 상기 베이스(600)와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0)는 상기 제1홈(1000)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홈(2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볼(700)은 상기 제1홈(1000) 및 상기 제2홈(2000)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지지볼(700)이 배치되는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무버(400)의 제1부재(401)에 그 길이방향 즉, 광축방향으로 제1홈(10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홈(1000)은 제1부재(401)의 길이방향으로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600)는 상기 제1홈(1000)과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제1홈(1000)과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2홈(200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000)과 제2홈(2000)은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만, 예외적으로 스토퍼(3000)가 형성되는 경우, 스토퍼(3000)가 형성되는 부위에서는 스토퍼(3000)로 인해 그 형상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스토퍼(3000)는 상기 제1홈(1000) 또는 상기 제2홈(2000)에 돌출형성되어 지지볼(700)의 광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30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600)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홈(2000)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6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홈(1000)은 각각의 상기 제2홈(20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무버(400) 및 상기 제2무버(50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홈(2000)은 상기 돌출부(6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홈(1000)은 상기 제2홈(200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무버(400) 및 상기 제1무버(4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홈(1000)은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에 각각 상하로 2개, 총 4개가 구비되고, 제2홈(2000)은 한 쌍의 돌출부(610)에 각각 상하로 2개,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볼(700)은 각각의 제1홈(1000) 및 제2홈(2000)이 형성하는 공간에 광축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볼(700)의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볼(700)의 개수는 카메라 모듈의 무게,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의 원활한 이동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인해, 상기 지지볼(700)은 베이스(600)에 대한 제1무버(400)의 광축방향 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제1무버(400)의 이동시 지지볼(700)은 베이스(600) 및 제1무버(400)에 대하여 롤링할 수 있다.
이때, 지지볼(700)은 제1홈(1000) 및 제2홈(2000)에 구속되므로, 롤링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지만, 광축방향과 수직한 평면을 따라 직선이동 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 지지볼(700)은 베이스(600) 및 제1무버(400)에 대하여 롤링하므로, 제1무버(400)의 이동시 베이스(600) 및 제1무버(40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만약, 카메라 모듈에 지지볼(70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1무버(400)의 이동시 제1무버(400)와 베이스(600) 사이에는 슬라이딩접촉이 발생하므로, 롤링접촉에 비해, 현저히 큰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슬라이딩접촉에 의해 큰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 제1무버(400)를 이동하는데 소모되는 전류의 양이 증가하고, 큰 마찰로 인해 제1무버(400)가 광축방향과 평행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틸트(tilt) 현상이 발생하여 제1무버(400)의 정확한 이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롤링접촉하는 지지볼(700)을 사용하여 제1무버(400)의 광축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슬라이딩접촉의 경우에 비해, 제1무버(400)를 이동시키는데 소모되는 전류의 양을 줄일 수 있고, 틸트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무버(400)는 지지볼(700)에 의해 지지 및 가이드되어 광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별도의 회전운동은 제1무버(400)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는 지지볼(700)과 제1무버(400) 사이의 롤링접촉에 의해 제1무버(400)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므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효율적인 오토포커싱 및 줌업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제2무버(500)에도, 상기 제1무버(400)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지지볼(700)이 제1홈(1000)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 구체적인 구조는 제1무버(400)에 대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의 구조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를 무버로 통칭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무버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는 구동마그네트(4100)와 코일부(4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마그네트(4100)는 상기 제1무버(400) 및 상기 제2무버(500)에 각각 결합하고, 코일부(4200)는 상기 베이스(600)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410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마그네트(4100)는 무버의 제1부재(401)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4100)의 일부는 상기 제1부재(401)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베이스(600)의 돌출부(610) 상하에 배치되는 제2홈(20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마그네트(4100)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1부재(40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무버(400)와 제2무버(500)는 광축방향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이 별도로 제어되므로, 상기 구동마그네트(4100)와 코일부(4200)는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를 구동하는 2개의 구동마그네트(4100)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구동마그네트(4100)와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2개의 코일부(4200)도, 2개의 구동마그네트(4100)와 마찬가지로,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동마그네트(4100)는 상기 무버에 결합할 수 있다. 구동마그네트(4100)는 상기 무버에서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외측에 구비되어 코일부(420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구동마그네트(4100)는 영구마그네트일 수 있고,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영구마그네트가 적층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코일부(4200)는 상기 베이스(600)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410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부(4200)는 상기 돌출부(610)에 배치되고, 상기 제1홈(1000) 및 상기 제2홈(2000)에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부(4200)는 요크(4210) 및 가동코일(4220)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4210)는 상기 베이스(600)에 장착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동코일(4220)은 상기 요크(4210)에 권선되고, 일부가 상기 구동마그네트(410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요크(4210)에 권선된 가동코일(4220)은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어 길이방향이 선형을 가질 수 있다.
요크는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장변이 광축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동코일은 요크의 단변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고 권선 코일과 대면하는 마그네트의 권선 코일과 대면하는 면은 하나의 극(N극 또는 S극)으로 자화된 영구자석 일 수 있다. 즉, 구동마그네트는 구동코일과 마주보는 면은 제1극(N극 또는 S극)이고 반대면은 제2극(S극 또는 N극)일 수 있다.
상기 코일부(4200)는 베이스(600)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부(4200)는 베이스(600)의 돌출부(610)에 형성되는 장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코일부(4200)와 구동마그네트(4100)는 서로 대향되지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코일부(4200)를 베이스(600)에 결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요크(4210)의 양단을 베이스(600)에 고정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 접착성 충진재를 사용하여 요크(4210) 및 가동코일(4220)을 베이스(600)에 접착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가동코일(4220)의 양 끝선은 회로기판(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동코일(4220)은 외부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가동코일(4220)에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코일(4220)과 구동마그네트(4100) 사이에 전자기적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에 따라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구동마그네트(4100)가 결합한 무버는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코일(4220)에 전류가 인가되는 방향을 조절하여 무버의 광축방향 이동방향 즉, 무버가 제1렌즈군(100) 쪽으로 이동할지 아니면,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할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동코일(4220)에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무버의 광축방향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코일(4220)과 구동마그네트(4100)의 상호작용에 의해 무버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은 오토포커싱 및 줌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1렌즈군(100) 후방에 순차적으로 제3렌즈군(300) 및 제2렌즈군(200)이 구비되고, 제2렌즈군(200) 및 제3렌즈군(300)은 각각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에 의해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가 별도로 조절되므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오토포커싱 및 줌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의 광축방향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서 일부구성을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무버의 광축방향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수단은 센싱마그네트(5100), 위치센서(5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마그네트(5100)는 상기 제1무버(400) 및 상기 제2무버(5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위치센서(5200)는 상기 센싱마그네트(5100)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무버(400)와 제2무버(500)는 광축방향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이 별도로 제어되므로, 상기 센싱마그네트(5100) 및 위치센서(5200)는 각각 2쌍으로 구비되고, 2쌍의 상기 센싱마그네트(5100) 및 위치센서(520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의 이동을 감지하는 2개의 센싱마그네트(5100)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센싱마그네트(5100)와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2개의 위치센서(5200)도, 2개의 센싱마그네트(5100)와 마찬가지로,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마그네트(5100) 및 상기 위치센서(5200)는 광축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7 및 도 8에서는 광축방향으로 2개의 센싱마그네트(5100) 및 2개의 위치센서(5200)가 배치되었다.
센싱마그네트(5100) 및 위치센서(5200)가 광축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센싱마그네트(5100) 및 위치센서(5200)가 광축방향으로 하나씩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카메라 모듈은 무버의 이동위치 및 이동방향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센싱마그네트(5100)는 구동마그네트(4100)와 자기적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구동마그네트(4100)와 이격되어 배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마그네트(5100)는 무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구동마그네트(4100)는 무버의 측면에 배치되며, 센싱마그네트(5100)와 구동마그네트(4100)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싱마그네트(510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센서(5200)도 센싱마그네트(5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위치센서(5200)와 구동마그네트(4100)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위치센서(5200)는 무버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800)의 상면에 결합함으로써, 센싱마그네트(5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따라서 위치센서(5200)는 구동마그네트(4100)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위치센서(5200)는 코일부(4200)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치센서(5200)와 코일부(42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4200)는 베이스(600)의 돌출부(610)에 배치되고, 위치센서(5200)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결합하고, 무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센싱마그네트(510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인해, 상기 위치센서(5200)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평면상에서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상기 코일부(42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무버(400) 및 제2무버(500)에 각각 관련되어 각각 2개로 구비되는 센싱마그네트(5100) 및 위치센서(5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위치가 서로 다르지만,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하므로 일괄하여 설명한다.
센싱마그네트(5100)는 상기 무버에 고정적으로 결합하고, 따라서, 무버의 이동시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센싱마그네트(5100)는 영구마그네트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복수의 마그네트가 적층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위치센서(5200)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결합하고, 상기 센싱마그네트(5100)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5200)는 센싱마그네트(5100)의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홀센서(hall sensor)로 구비될 수 있다.
회로기판(800)은 상기 베이스(600)의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센싱마그네트(5100)와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위치센서(5200)가 결합 및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800)은 위치센서(5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상기 위치센서(5200)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5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회로기판(800)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800)에 구비되거나 상기 회로기판(800)과 연결된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센싱마그네트(5100)가 무버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함으로써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고, 센싱마그네트(5100)와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감지센서는 이러한 센싱마그네트(5100)의 자기장의 변화추이를 감지하여, 무버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 이동에 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센서(5200)가 감지한 무버의 이동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상기 이동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무버의 이동방향, 이동속도 및 이동위치에 대한 피드백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한 무버의 피드백제어를 통해 카메라 모듈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오토포커싱 및 줌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홈(1000) 및 제2홈(200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제2무버(5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베이스(6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무버의 제1홈(1000) 또는 상기 베이스(600)의 제2홈(2000)에는 스토퍼(30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000)는 상기 제1홈(1000) 및 제2홈(20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홈(1000) 및 제2홈(2000)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스토퍼(3000)가 제1홈(1000) 및 제2홈(2000)에 모두 형성되는 경우, 제1홈(1000)과 제2홈(2000) 각각에 형성되는 스토퍼(300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스토퍼(30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1000) 또는 제2홈(2000)의 일부를 채우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000)는 지지볼(700)의 광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토퍼(3000)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다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스토퍼(3000)가 없으므로, 제1홈(1000)과 제2홈(2000)에 삽입된 지지볼(700)은 특정한 부위로 쏠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지볼(700)이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지지볼(700)은 제1홈(1000)과 제2홈(20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모두 쏠릴 수 있고, 이러한 솔림현상으로 인해, 지지볼(700)은 광축방향으로 무버를 균일하게 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지지볼(700)의 불균일한 지지로 인해, 제1무버(400)가 광축방향과 평행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틸트 현상이 발생하고, 이러한 틸트로 인해, 무버의 작동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볼(700)들이 제1홈(1000) 및 제2홈(2000)의 특정부위에 쏠리면, 지지볼(700)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충돌은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고, 카메라 모듈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3000)를 구비하여 지지볼(700)의 광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틸트발생, 무버의 작동불량, 지지볼(700)들의 충돌로 인한 소음발생 및 카메라 모듈의 고장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홈(1000) 또는 제2홈(2000)에 스토퍼(3000)가 형성됨에 따라, 제1홈(1000) 또는 제2홈(2000) 광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복수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 9를 참조하면, 3개의 제1홈(1000) 중 중앙부를 제외한 전방부와 후방부에 위치한 제1홈(1000)에 각각 하나의 지지볼(700)이 삽입되었다.
지지볼(700)들 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제1홈(1000)에는 각각 1개의 지지볼(700)이 삽입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제1홈(1000) 모두에 각각 1개의 지지볼(700)을 삽입할 수도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홈(1000) 일부에만 각각 1개의 지지볼(700)을 삽입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홈(1000) 일부에만 각각 1개의 지지볼(700)을 삽입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1홈(1000) 중 중앙을 제외한 전방 및 후방의 제1홈(1000)에 지지볼(700)을 삽입하여 지지볼(700)이 제1무버(400)를 광축방향으로 균일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제2홈(2000)의 경우도, 제1홈(1000)에 대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1을 참조하면, 돌출부(6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홈(2000)에는 스토퍼(3000)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돌출부(610) 하부의 제2홈(2000)과 대응하는 제1홈(1000)에 스토퍼(3000)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제1홈(1000)의 스토퍼(3000)로 지지볼(700)의 이동거리를 충분히 제한할 수 있으므로, 돌출부(610) 하부의 제2홈(2000)에는 스토퍼(3000)를 형성하지 않은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볼(7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면, 스토퍼(3000)는 제1홈(1000) 및 제2홈(200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홈(1000) 및 제2홈(2000) 모두에 스토퍼(30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0의 평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00)에는 관통홀(6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600)는 상기 위치센서(5200)가 배치되는 부위에서 상기 센싱마그네트(5100)와 상기 위치센서(5200)가 서로 대면하도록 관통홀(6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620)에 위치센서(5200)가 배치되고, 베이스(600)에 관통홀(620)이 형성됨으로써, 위치센서(5200)는 베이스(600)의 방해를 받지않고 센싱마그네트(5100)와 대면함으로써, 무버의 광축방향 이동거리,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1000) 및 제2홈(2000)의 단면형상은 지지볼(700)과 제1홈(1000) 및 제2홈(2000)의 접촉면적을 되도록 줄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접촉면적이 줄어들수록 무버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의 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홈(1000) 및 제2홈(2000)의 단면형상은,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홈(1000) 및 제2홈(2000) 중 어느 하나는 개구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개구부와 내측의 폭이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기타, 지지볼(700)과 제1홈(1000) 및 제2홈(2000)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는 것이라면 제1홈(1000) 및 제2홈(2000)의 단면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는 전술한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 충분히 설명되었다.
실시 예의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광이 입사하는 제1렌즈군;
    광축방향으로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제3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무버(mover);
    상기 제3렌즈군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무버;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제1무버, 상기 제2무버 및 상기 베이스와 롤링접촉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볼(support ball);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에 각각 결합하는 구동마그네트;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장변과 단변을 포함하고 상기 장변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요크; 및
    상기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요크의 상기 단변을 따라 권선되는 가동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마그네트의 상기 가동코일과 대면하는 면 전체는 제1 극인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는 상기 베이스와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볼은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볼의 광축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길이방향이 광축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은 각각의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에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은 상기 돌출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은 상기 제2홈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1무버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에 광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버 및 상기 제2무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센싱마그네트; 및
    상기 센싱마그네트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위치센서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마그네트 및 상기 위치센서는 광축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결합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위치센서가 배치되는 부위에서 상기 센싱마그네트와 상기 위치센서가 서로 대면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PCT/KR2019/002130 2018-02-23 2019-02-21 카메라 모듈 WO201916429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71,938 US11258931B2 (en) 2018-02-23 2019-02-21 Camera module
CN201980015008.6A CN111758070B (zh) 2018-02-23 2019-02-21 相机模块
US17/582,668 US11706513B2 (en) 2018-02-23 2022-01-24 Camera module
US18/334,770 US20230412906A1 (en) 2018-02-23 2023-06-14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126A KR102497828B1 (ko) 2018-02-23 2018-02-23 카메라 모듈
KR10-2018-0022126 2018-02-23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971,938 A-371-Of-International US11258931B2 (en) 2018-02-23 2019-02-21 Camera module
US17/582,668 Continuation US11706513B2 (en) 2018-02-23 2022-01-24 Camera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4296A1 true WO2019164296A1 (ko) 2019-08-29

Family

ID=6768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130 WO2019164296A1 (ko) 2018-02-23 2019-02-21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1258931B2 (ko)
KR (1) KR102497828B1 (ko)
CN (1) CN111758070B (ko)
WO (1) WO20191642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1210A (zh) * 2019-10-08 2022-06-21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致动器和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08987A (zh) * 2017-05-12 2023-10-20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机构
KR102497828B1 (ko) * 2018-02-23 2023-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118709A (ko) * 2019-04-08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56047B2 (en) * 2019-08-16 2023-01-17 Tdk Taiwan Corp. Optical member driving mechanism including matrix structure that corresponds to noise
KR20210125767A (ko) * 2020-04-09 2021-10-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1913265A (zh) * 2020-07-09 2020-11-10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一种变焦镜头组
KR20220042528A (ko) * 2020-09-28 2022-04-05 자화전자(주) 줌 구동 액추에이터 및 줌 구동을 위한 위치제어방법
US20220100058A1 (en) * 2020-09-29 2022-03-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JP7453570B2 (ja) 2022-03-08 2024-03-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722A (ko) * 2003-11-04 2005-05-10 최두희 휴대폰용 디지털 카메라의 초점 변환장치
JP2006098576A (ja) * 2004-09-29 2006-04-13 Kyocera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JP2008185913A (ja) * 2007-01-31 2008-08-14 Sony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12032810A (ja) * 2010-07-06 2012-02-16 Shicoh Engineering Co Ltd 光照射装置、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KR20170123051A (ko) * 2016-04-28 2017-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746B1 (ko) * 2003-12-19 2006-05-23 주식회사 하이소닉 영상 촬영 장치
WO2005060242A1 (en) 2003-12-19 2005-06-30 Hysonic Co., Lt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WO2006035435A2 (en) * 2004-09-29 2006-04-06 Nanomotion Ltd. Camera modules with lens drive device
JP4804040B2 (ja) * 2005-05-31 2011-10-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インパクト駆動アクチュエータ
US8363324B2 (en) * 2008-01-10 2013-01-29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Lens positioning system
KR101643771B1 (ko) 2008-10-30 2016-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145831B1 (ko) * 2013-11-05 2020-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51663A (ko) 2013-11-05 201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KR101484586B1 (ko) 2014-10-27 2015-01-28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412258B1 (ko) * 2015-10-20 2022-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765212B2 (ja) 2016-04-25 2020-10-07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EP3451055B1 (en) * 2016-04-28 2023-07-0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mechanism,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063411B1 (ko) * 2016-05-30 2020-01-07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회전식 볼-가이드 음성 코일 모터
KR102390572B1 (ko) * 2016-07-07 2022-04-25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폴디드 옵틱용 선형 볼 가이드 음성 코일 모터
KR102367554B1 (ko) * 2016-07-26 2022-02-25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구동장치
KR102067069B1 (ko) * 2017-06-16 2020-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97828B1 (ko) * 2018-02-23 2023-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573391B2 (en) * 2019-04-30 2023-02-07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722A (ko) * 2003-11-04 2005-05-10 최두희 휴대폰용 디지털 카메라의 초점 변환장치
JP2006098576A (ja) * 2004-09-29 2006-04-13 Kyocera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こ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用いた携帯端末
JP2008185913A (ja) * 2007-01-31 2008-08-14 Sony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2012032810A (ja) * 2010-07-06 2012-02-16 Shicoh Engineering Co Ltd 光照射装置、カメラ装置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KR20170123051A (ko) * 2016-04-28 2017-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1210A (zh) * 2019-10-08 2022-06-21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致动器和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装置
CN114651210B (zh) * 2019-10-08 2024-02-09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致动器和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762A (ko) 2019-09-02
US20230412906A1 (en) 2023-12-21
US20210092264A1 (en) 2021-03-25
US11706513B2 (en) 2023-07-18
US11258931B2 (en) 2022-02-22
US20220146783A1 (en) 2022-05-12
CN111758070A (zh) 2020-10-09
KR102497828B1 (ko) 2023-02-08
CN111758070B (zh)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64296A1 (ko) 카메라 모듈
WO2019151700A1 (ko) 카메라 모듈
WO2020027588A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036450A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7122993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4142622A1 (ko) 렌즈 액츄에이터
WO2017188771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9031817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WO2015133731A1 (ko)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WO2015046761A1 (ko)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WO2019143116A1 (ko)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8056770A1 (ko) 카메라 렌즈 배럴, 카메라 모듈 및 광학 장치
WO2013002521A1 (en) Camera module
WO2017010745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17119760A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20122594A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004975A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WO2018021740A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WO2021246708A1 (ko)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9221447A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WO2020251203A1 (ko) 렌즈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12057435A1 (en) Camera module and estimation method of auto focus search range thereof
WO2021020738A2 (ko) 카메라 모듈
WO2013065980A1 (en) Camera module
WO2021054725A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571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571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