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56358A1 -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 Google Patents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56358A1
WO2019156358A1 PCT/KR2019/000158 KR2019000158W WO2019156358A1 WO 2019156358 A1 WO2019156358 A1 WO 2019156358A1 KR 2019000158 W KR2019000158 W KR 2019000158W WO 2019156358 A1 WO2019156358 A1 WO 20191563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dule
screw
juice
rib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15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기
이차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DE212019000185.8U priority Critical patent/DE212019000185U1/de
Priority to US16/967,782 priority patent/US20200375386A1/en
Publication of WO20191563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563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screw and a juic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ion screw consisting of two modules and a juicer using the same.
  • the juicer includes a drive unit providing rotational force, a drum housing having a drive shaft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unit, a screw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nd screwed and pulverized the juice object by a screw spiral formed on a portion thereof, and a screw.
  • a juice drum is provided for separating the juice made by.
  • the drive unit f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to the juicer includes a motor and a reducer.
  • the motor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screw.
  • the drive shaft is connected to the screw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drum housing.
  • the juice drum has a mesh structure consisting of a net.
  • a mesh structure In the case of a juice drum having a mesh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juice efficiency is low because it is easily blocked by the residue of the juice object in the juice process.
  • the mesh since the mesh is densely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lean the residue of the juice object stuck on the mesh.
  • various filter structures can be assumed,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juicer of the compression method using a screw, such as performing a simple filtration function.
  • the side of the conventional drum drum was formed to form a fine circular net hole to discharge the juice generated inside the drum drum to the outside.
  • the debris stuck in the mangong is not cleanly cleaned, the debris may decay and bacteria may propagate.
  • Separation screw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juicer using the same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screw into two modules, the screw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mandrel and easy to wash the separation screw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juicer using the same.
  • the separation screw includes a first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lit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y a plurality of rods, and a second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ribs inserted into the slits of the first module.
  • the first module and the second module are detachably coupled, and when the second modul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module, the rib may be inserted into the slit to form a gap between the rib and the slit. have.
  • At least one first spiral protrus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and at least one second spiral protrus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ibs, and the second modul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module.
  • the first spiral protrusion of the rod and the second spiral protrusion of the rib may form a continuous screw spiral.
  •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dule may be open and the upper portion may be blocked.
  • a screw shaft may be formed at an inner center of the first module, and a shaft through hol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shaft may be formed at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to fit the screw shaft.
  • the screw shaft may be formed in a polygon.
  • a key protrus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dule, and a key groove into which the key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an outer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 a magnet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magnet is disposed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and a magnet or magnetic material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magnet disposed in the magnet accommodating part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module.
  • the width of the rod may be narrowed toward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first module.
  • a play may be form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dul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 Juic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screw groove.
  • a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below the second module, and a packing may be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 a first step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od, and a second step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ib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p.
  • a first bar step may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ar.
  • a second bar step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ib.
  • the rod of the first module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along the edge adjacent to the slit.
  • the plurality of rods include a relatively narrow bar and a relatively wide bar,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is a relatively narrow space into which the narrow bar is inserted and the wide bar. It may include a relatively wide space to be inserted.
  • the relatively narrow space and the relatively wide space may be formed periodically at each set angle.
  • An upper side of the rib may be formed with an annular flang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 the separation screw according to any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screw is accommodated therein, at least one rib jaw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ottom surface A drum hole is formed, and the juic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juice is discharged and the wast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residue is discharged are formed, and a juice discharge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juic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radial direction outside of the juice discharge groove And a main body including a drum housing having a waste discharge groov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waste discharge port, and a driving shaft inserted into the drum hole to transfer power to the separation screw.
  • the rib tuck may include a first rib tuck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and a second rib tuck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 Juice juiced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and the drum housing may be moved to the juice discharge groove through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screw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rib and the slit and discharged through the juice discharge port.
  • the remaining residue juiced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and the drum housing may be moved downwardly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and the drum housing and moved to the residue discharge groove, an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residue discharge port.
  • the separation screw is configured to couple the two modules, thereby easi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two modules. Therefore, the production of the juice drum is easy and the cleaning is easy.
  • the juice drum by forming the juice drum with a hard material it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juice drum in the juice process. Accordingly, the slit can be prevented from opening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lits from which the juice is discharged can be kept constant.
  • the housing and the screw of the juice juicer are vertically assemb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iving part, the material naturally descends by gravity and the rotation of the screw, so that the juice rate is high and there is no juice pooling phenomenon, so any kind of vegetable or fruit It can also be juiced.
  • FIG.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juic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drum housing of the jui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separating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separating scr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9 and 10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separation scr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other variant of the separation screw shown in FIGS. 5 and 6.
  • FIG.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drum housing assembly to which one embodiment of the separating scre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term 'top', 'top', 'top' or similar term refers to the side or stage close to or to which the material is injected
  • 'bottom', 'bottom', 'Bottom' or similar term is used to refer to the part or stage opposite or near the side to which the material is introduced.
  • FIG.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jui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jui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of a side-driven juicer that can be applied to the juice dr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jui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1, the hopper 100, the drum housing 200, Screw 300, and a juice drum 200.
  • the main body part 1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part 2, a lower support part 3, and a speed reducer accommodation part 4.
  • a drive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speed reduc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drive shaft 6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1.
  • the upper support part 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to support the side of the drum housing 200.
  • the lower support part 3 extends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200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On the lower support 3, a residue cup (not shown) may be disposed to contain the residue.
  • the reducer accommodating part 4 extends laterally toward the drum housing 200 from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art 1, and the reducer may be disposed therein.
  • the reducer accommodating portion 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so as to seat the drum housing 200 thereon.
  • the down-driven juic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the juicer shown in Figure 1 described above, but the juice drum 200 is the main body (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drive shaft 6 of the drive motor 5 seated on the top of 1) can transmit power to the screw 300 on the same axis.
  • the main body part 1 may include an upper support part 2 and a lower support part 3.
  • a drive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speed reduc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drive shaft 6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1.
  • the upper support part 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in order to connect the drive shaft 6 to the screw 300 while receiving the drum housing 200 thereon. Furthermore, the drive shaft 6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screw 300 through a hole penetrated in the center of the drum housing 200.
  • the lower support part 3 extends in the juice outlet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 and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 FIG. 1C,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pport part 3 is not represented to extend in the juice outlet direction correctly. Did).
  • a juice cup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pport part 3 to contain juice.
  • the screw of the juic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1B is composed of a separating screw 600 to which two modules are coupled, and the drum housing 200 replaces the juice drum 200.
  • the drum housing 200 accommodates the separating screw 600 therein, and the driving motor (not shown) of the main body 1 transmits power to the separating screw 600 through a driving shaft (not shown).
  • the drive motor includes a reducer (not shown), and the reducer decelerates the rotation speed (about 1800 rpm) of the drive motor so that the separation screw 600 rotates at a low speed (about 80 rpm or less). This makes it possible to juice without destroying nutrients.
  • a juicer having such a batch structure is called a vertical slow juicer.
  • FIG. 3 an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in body is excluded from the juic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a and 1b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pper 100 is capable of injecting the juice object (for example, vegetables, grains, fruits, etc.) into the inside, the juice object is injected into the drum housing 200 To guide.
  • the juice object for example, vegetables, grains, fruits, etc.
  • the drum housing 2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 screw 300 may be disposed therein.
  • the lower portion of the drum housing 200, the juice outlet 220 and the residue outlet 230 is formed.
  • Juice outlet 22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pipe shape on the lower side of the drum housing 200 so that juice can be easily discharged.
  • the dregs outlet 23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to allow the dregs to be discharged vertically downward of the drum housing 200.
  • Juice outlet 220 may be opened or closed by the juic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240, the residue outlet 230 may be opened or closed by the residu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250).
  • the drum housing 200 may be pressed or pulverized the juice object by interaction with the screw 300 in a hollow cylindrical or truncated cone shape.
  • the drum hole 270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drum housing 200.
  • the drive shaft may be inserted into the drum hole 270 to be connected to the screw 300 and transmit power to the screw 300.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hole 27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rive shaft so that the drive shaft can be inserted.
  • the screw 30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shaft, and compress or crush the juice object.
  • At least one first spiral protrusion 310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300 to allow the juice object to contact the drum housing 200.
  • the juice object is transported downward by the first spiral protrusion 310, and the juice object is squeezed by a narrow gap between the screw 300 and the juice drum 200.
  • the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spiral protrusions 31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300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spiral protrusions 310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w 300.
  •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300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haft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pper 100 to allow the screw 300 is fixed in both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shaft to rotate. Accordingly, vibration of the screw and wear of the device can be prevented, and noise generated when the screw hits the inner wall of the drum housing 200 can be reduced.
  • a separation screw 600 is disposed in the drum housing 200, and the hopper 1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rum housing 200.
  • Juice objects eg, vegetables, grains, fruits, etc.
  • the drum housing 200 Juice objects (eg, vegetables, grains, fruits, etc.) are guided through the hopper 100 to the drum housing 200.
  • the drum housing 2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portion, and a separation screw 600 may be disposed therein.
  • the lower portion of the drum housing 200 is formed with a juice discharge port 220 for discharging the juice and a waste discharge port 230 for discharging the residue.
  • the juice object is separated into debris and juice by the drum housing 200 and the separating screw 600, the residue is left i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separating screw 600 and the juice moves in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of the separating screw 600. do.
  • the dreg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regs outlet 230, and the juice is discharged through the dregs outlet 220 through a different path from the dregs discharged path.
  • the drum hole 270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drum housing 200.
  • the drive shaft may be inserted into the drum hole 270 to transmit power to the separation screw 600.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hole 27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rive shaft so that the drive shaft can be inserted.
  • the first rib tuck 250 and the second rib tuck 26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irst rib tuck 250 and the second rib tuck 26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cute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econd rib jaw 260 may further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the juice obje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um housing 200.
  • the second rib jaw 260 may perform a func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adjusting the juice spac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compressing and crushing the material.
  • the second rib tuck 260 may be formed over the length of the drum housing 200, and the first rib tuck 250 may be formed only at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drum housing 200. That is, the length of the second rib jaw 26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rib jaw 250.
  • the juice object may be stagnant without falling down, or the compressive force or the grinding force may be low or may not occur.
  • the rib tuck 250 and 260 may prevent deformation of the drum housing 200, which may be generated by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and crushing the material by the spiral of the separating screw 600.
  • the rib jaw 250 and 260 serves to allow the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drum housing 200 to be inserted into the narrow portion where the material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crew 600 to descend.
  • the rib tuck 250 and 260 may perform a function of crushing the material well together with the screw 600 while lowering the material downward. Therefore, the rib jaw 250, 260 does not need to be form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drum housing 200, but crosses the spirals 613, 629 of the screw 600.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n inclined form having a constant slope with respect to.
  • the second rib jaw 26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and compress the material, as well as in the process of conveying and compressing the material by the spiral of the screw 600.
  • a reinforcing function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drum housing 200 due to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and a function of adjusting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screw 600 in the drum housing 200 and adjusting the juice space may be performed.
  •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second rib jaw 26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height from the top to the bottom, but is gradually lower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at least one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rib jaw 260.
  • the above step may be formed.
  •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ib jaw 260 may be low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ib jaw 260 based on the step difference.
  • Separation screw 600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e shaft, and compress or crush the juice object.
  • FIGS. 3 and 4 Next, an embodiment of a separating screw that can be applied to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the separating screw 600 includes two cylindrical first modules 610 and second modules 620.
  • a first spiral protrusion 6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crew spiral” for convenience) is form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lits 615 are longitudinally It is formed long.
  • the plate member in which the slit 615 is not formed in the first module 610 will be referred to as a bar 614.
  • a plurality of ribs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econd module 62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t 615.
  • the rib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620 will be referred to as a rib 621.
  • a second spiral protrusion 629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crew spiral” for convenienc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621.
  • the second spiral protrusion 629 may not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621.
  •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module 61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module 620 so that the first module 610 may replace the second module 620.
  • the rib 621 of the second module 620 is inserted into the slit 615 of the first module 610, and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slit 615 and the rib 621.
  • Juice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crew 600 through the gap, the juice is separated in the lower portion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the drum housing 2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screw spiral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parating screw 600 are continuously formed.
  • some sections may break slightly, but generally form a continuous screw helix.
  • the diameter of the rod 614 and the diameter of the rib 621 may be the same, and the protruding heights of the screw spiral protrusions 613 and 629 may be the same.
  • the width of the rod 614 may have a shape that is generally narrowed toward the radial center.
  • the gap formed between the slit 615 of the first module 610 of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the rib 621 of the second module 620 is configured to become wider toward the radial center in the juice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logging the gap or hindering the flow of juice by the residue.
  • the cross section of the rod 614 of the first module 610 may be generally semi-circular, elliptical, or trapezoidal in order to narrow the width of the rod 614 toward the radial echo center.
  •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622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621.
  • the screw groove 622 may be shaped such that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entirely blocked.
  • the screw groove 622 may be a portion of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ticularly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groove 622.
  •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groove 6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614.
  • Juice collected through the juice discharge hole 628 at the lower portion between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crew 600.
  •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groove 622 may take an open form, so that the ope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serve as the juice discharge hole 628.
  • a shaft through hole 630 into which the screw shaft 611 is fitt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627 of the second module 620.
  • the shaft through hole 630 may be a rectangular hole in order to fix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and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 13A through 16 illustrate that the shaft through hole 630 is rectangular, the shape of the shaft through hole 630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may be fixed at four different positions by a screw shaft 611 that is a square shaft and a shaft through hole 630 that is a square hole. .
  • a mounting groove 625 may be formed below the second module 620 so that the separation screw 600 may be seated on the drum housing 200.
  • a mounting protrus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groove 62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groove 6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614 (that is,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620). Can be.
  • the clearance may be wide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screw 600. The play may secure a space in which juice may flow between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through the gap and may flow therethrough.
  • a first step 616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od 614 of the first module 610, and a second step 623 may be formed below the rib 621.
  • the separation screw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module 610 and a second module 620.
  •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may be detachably coupled.
  • the screw shaft 611 is dispos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module 610.
  • the screw shaft 611 may further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may be inserted into a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100.
  •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w shaft 611 is bored with a screw hole 612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shaft.
  • At least one screw thread 613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dule 610 to be in contact with the drum housing 200.
  • the first module 6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ods 614 separated by a plurality of slits 615.
  • the plurality of rods 614 may be formed at the entire length of the first module 610, but may be formed only at a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first module 610.
  • a plurality of slits 615 are formed by the plurality of rods 614.
  • the plurality of rods 614 may include a relatively narrow bar 614 and a relatively wide bar 614 to fix the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second module 620.
  • the width of the rod 614 may have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module 6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logging the gap or hinder the flow of juice by the residue in the juice process.
  • the cross section of the rod 614 may be generally formed in a semicircular, elliptical, or trapezoidal shape.
  • the first step 616 may be formed below the bar 614.
  • the second module 62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module 610.
  • the second module 6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opened at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 the second module 620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621 protruding radially outwardly, and a plurality of screw grooves 622 are formed by the plurality of ribs 621. Since the rib 621 is inserted into the slit 615 between the rod 614, a predetermined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slit 615 and the rib 621. Juice is introduced into the radially inward direction of the separation screw 600 through the gap, the residue remains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the drum housing 200 can be separated. The residue left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the juice drum 200 is moved downward through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300 and the drum housing 200.
  • a second spiral protrusion 629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621 to contact the drum housing 200.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such that the first spiral protrusion 613 formed in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spiral protrusion 629 formed in the second module 620 coincide with each other. May be constant. That is, it is assumed that the angle between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module 62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0 degrees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are completely coupled.
  •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reference point of the second module 620 have an angle (eg, 90 degrees, 180 degrees, 270 degrees) se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may be completely combined.
  • the first spiral protrusion 613 formed in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spiral protrusion 629 formed in the second module 620 may coincide (that is, form a continuous screw spiral).
  • the space between the ribs 621 having a relatively narrow space and a relatively large space are periodically set at an angle se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can be formed as.
  • a bar 614 having a relatively wide width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having a relatively larg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621. Accordingly, when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are coupled, the first spiral protrusion 613 formed in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spiral protrusion 629 formed in the second module 620 are formed. ) Can be aligned so that the screw helix is formed continuously.
  • the second spiral protrusion 629 may not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621.
  • the same or similar juice efficiency can be achie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cond spiral protrusion 629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b 621.
  • An annular flange 624 may be formed above the rib 621.
  • the flange 624 supports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621 to be fixed.
  • a mounting groove 625 may be formed below the second module 620 so that the separation screw 600 may be seated on the drum housing 200.
  • the packing may be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625. Accordingly, in the juice process, the residue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parating screw 600.
  • a gap may be form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module 61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620.
  • the clearance may be wide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screw 600. As the clearance is formed, a space in which juice may flow between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through a gap may be secured.
  • the separation screw 600 may have a magnet accommodating part 626 formed on an upper surface 627 of the second module 620.
  • the magnet is disposed in the magnet accommodating part 626 so that the second module 620 and the first module 610 are not easily separated.
  • the second module 6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module 610 by disposing magnets or magnetic bodies having opposite polarities inside the 610.
  • a key protrusion 64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odule 610 to fix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 the key groove 645 into which the key protrusion 64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dule 620. As the key protrusion 640 is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645, the coupling position, rotation, and tilting of the first module 610 and the second module 620 may be limited.
  • a first rod step 6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d 614.
  • a second rod step 655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rib 621.
  •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slit 615 and the rib 621 may be changed while the separation screw 600 is rotated in the juice process. In the juice process, the gap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in the juice process by the first rod step 650 and the second bar step 655.
  • the inclined portion 618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adjacent to the slit 615 of the first module 610. Forming the inclined portion 618 in this way prevents the juice object to smoothly fall and the debris to enter the separation screw gap.
  • FIG.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ing screw coupled to the drum housing.
  • the left cross section of FIG. 12 is expressed to better understan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ltered residue is discharged after being juiced between the separating screw 600 and the drum housing 200 and the right cross section is pressed into the space inside the separating screw 600 to filter the juice.
  • the juice draining path is shown well.
  • a drum hole 27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 the drum 270 may include a packing 261 for waterproof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may include a waterproof cylinder 280 protruding into the central space inside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inserted according to a design need.
  • a guide jaw 282 is formed around the drum hole 270 to which the separation screw 600, the lower ring 390 can be seated.
  • the guide jaw 282 is formed at a constant height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ring 390 of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forms a guide groove 291 on the top surface of the guide jaw 282. can do. This ensures that the juice drum is held but does not enter the drive shaft.
  • the separating screw collects the juice into the juice discharge groove 297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housing extruded into the screw inner space.
  • Juice collected here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juice outlet (220).
  • Juice storage unit 281 may be a storage space formed by the outer wall is an annular guide jaw of the inner wall is a waterproof cylinder 280.
  • the waste discharge groove 298 is formed i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juice discharge groove (297).
  • the residue discharge groove 198 communicates with the residue discharge port 230. That is, the juice other than the juice juiced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the drum housing 200 moves downward between the separation screw 6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housing 200 and flows along the waste discharge groove 289.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regs outlet 230.
  •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drum.
  • it is easy to wash by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dru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juice efficiency.
  • the conveyance of the material by the juice screw in the pressing process is facilitated, the juice efficiency is improved through the fine grinding and pressing of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further input of the material.
  • the juice drum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deformation such as a slit of the juice drum spreads in the juice process can be prevented.
  • the juice scr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mbine the two modu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two modules is easy and easy to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스크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막대에 의하여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의 슬릿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본 발명은 수직형 저속 착즙기에 사용되는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 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된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콩을 맷돌로 갈아서 그 즙을 짜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착즙 대상을 강판에 눌러 짜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착즙기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축을 구비한 드럼 하우징, 구동축과 연결되며 그 일부에 형성된 스크류 나선에 의하여 착즙 대상을 압착 및 분쇄하는 스크류, 그리고 스크류에 의하여 만들어진 즙을 분리하는 착즙 드럼이 구비되어 있다. 착즙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스크류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구동축은 드럼 하우징의 하부를 관통하여 스크류와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착즙 드럼은 망공으로 이루어진 메시 구조(mesh structure)를 갖는다. 메시 구조를 갖는 착즙 드럼의 경우, 착즙 과정에서 착즙 대상의 찌꺼기에 의해서 쉽게 막히기 때문에 착즙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시가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시에 낀 착즙 대상의 찌꺼기를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 다양한 필터구조를 상정할 수 있으나 단순한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등 스크류를 이용한 압착방식의 착즙기에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망드럼의 측면에는 미세한 원형의 망공을 형성하여 망드럼 내부에서 생성된 착즙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망공에 끼인 찌꺼기가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으면 찌꺼기가 부패되고 세균이 번식할 수가 있는데, 종래의 망드럼 구조에서는 망공에 끼인 찌꺼기의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크류를 두 개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스크류가 종래의 망드럼의 기능을 수행하고 세척이 간편한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 스크류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막대에 의하여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의 슬릿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나선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나선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막대의 제1 나선 돌기와 상기 리브의 제2 나선 돌기는 연속적인 스크류 나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막힐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부 중앙에는 스크류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상면에는 상기 스크류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스크류축과 대응되는 형상의 축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축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측 상면에는 키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외측 상면에는 상기 키 돌기가 삽입되는 키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상면에는 자석이 배치되는 자석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모듈의 내측에는 상기 자석 수용부에 배치되는 자석과 반대 극성의 자석 또는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막대의 폭은 상기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모듈의 외주면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리브들 사이에는 복수 개의 스크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홈의 하측에는 즙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듈의 하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패킹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막대의 하단에는 제1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단턱에 대응하는 제2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의 상부 측면에는 제1 막대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하부 측면에는 제2 막대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의 막대에는 상기 슬릿과 인접한 모서리를 따낸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막대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막대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폭이 좁은 막대가 삽입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공간과 상기 폭이 넓은 막대가 삽입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공간과 상기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공간은 설정된 각도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의 상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간격을 고정 지지하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리 스크류, 상기 분리 스크류를 내부에 수용하고, 그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턱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드럼홀이 형성되며, 즙이 배출되는 즙 배출구와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 배출구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기 즙 배출구와 연통하는 즙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즙배출홈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찌꺼기 배출홈이 형성되는 드럼 하우징, 및 상기 드럼홀에 삽입되어 상기 분리 스크류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턱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1 리브턱, 및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2 리브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스크류와 상기 드럼 하우징의 사이에서 착즙된 즙은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상기 분리 스크류의 내측을 통해 상기 즙배출홈으로 이동되고 상기 즙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스크류와 상기 드럼 하우징의 사이에서 착즙되고 남은 찌꺼기는 상기 분리 스크류와 상기 드럼 하우징의 사이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찌꺼기 배출홈으로 이동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발명한 각각의 해결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용하여 착즙기를 발명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이들에 공통된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에 의하면, 분리 스크류를 두 개의 모듈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두 개의 모듈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착즙 드럼의 제작이 용이하고 세척이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압착과정에서 스크류에 의한 재료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재료의 미세한 분쇄와 압착을 통해 착즙률을 높이며, 재료의 투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즙 과정에서 제1 슬릿에 형성되는 제1 리브턱과 경사부를 통해 착즙 드럼에 찌꺼기가 끼는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찌꺼기가 착즙된 즙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착즙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즙 드럼을 단단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착즙 과정에서 착즙 드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릿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즙이 배출되는 슬릿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의 결합, 및 키 돌기와 키 홈의 결합을 통해 두 개의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두 개의 모듈의 결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고, 착즙 과정에서 두 개의 모듈 사이의 상대적 회전 및 틸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에 의한 파쇄방식 대신에 스크류가 저속으로 회전하며 재료를 압착 및 분쇄하여 착즙을 형성하므로, 재료 고유의 맛과 영양을 살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착즙주스기의 하우징 및 스크류가 구동부 상측으로 수직으로 조립되므로, 재료가 중력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려가도록 하여 착즙 속도가 빠르고, 즙 고임 현상이 없어서 어떠한 종류의 야채나 과일도 착즙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드럼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스크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스크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스크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분리 스크류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분리 스크류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드럼 하우징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 또는 이에 대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상측', '상부', '상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재료가 투입되는 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며, '하측', '하부', '하단'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재료가 투입되는 측의 반대측 또는 이에 가까운 부 또는 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즙 드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드럼이 적용될 수 있는 측방 구동형착즙기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부(1), 호퍼(100), 드럼 하우징(200), 스크류(300), 및 착즙 드럼(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는 상측 지지부(2), 하측 지지부(3), 및 감속기 수용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구동축(6)으로 전달하는 감속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2)는 드럼 하우징(200)의 측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드럼 하우징(200)의 외주면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3)는 본체부(1)의 하부에서 드럼 하우징(200)의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며,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3) 상에는 찌꺼기를 담을 수 있는 찌꺼기 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 수용부(4)는 본체부(1)의 중앙에서 드럼 하우징(200)을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감속기가 배치될 수 있다. 감속기 수용부(4)는 그 상에 드럼 하우징(20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드럼 하우징(200)의 하부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방 구동형 착즙기는 대체로 앞에서 설명한 도 1에 도시된 착즙기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나 착즙 드럼(200)이 본체부(1)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동 모터(5)의 구동축(6)이 동일 축선 상에서 스크류(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본체부(1)는 상측 지지부(2)와 하측 지지부(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구동축(6)으로 전달하는 감속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측 지지부(2)는 그 상부에 드럼 하우징(200)을 수용하면서 구동축(6)을 스크류(300)에 연결하기 위하여 드럼 하우징(200)의 하측면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구동축(6)이 드럼 하우징(200)의 중앙에 관통된 구멍을 통해 스크류(300)의 축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하측 지지부(3)는 본체부(1)의 하부에서 즙 배출구 방향으로 연장되며,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1c에는 하측 지지부(3)의 방향이 정확하게 즙배출구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는 표현되지 않았다). 하측 지지부(3) 상에는 즙을 담을 수 있는 즙 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 1 및 도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착즙기의 스크류는 두개의 모듈이 결합되는 분리 스크류(600)로 구성되고, 드럼 하우징(200)이 착즙드럼(200)을 대신한다. 드럼 하우징(200)은 그 내부에 분리 스크류(600)을 수용하며, 본체부(1)의 구동 모터(미도시)는 구동축(미도시)을 통해 동력이 분리 스크류(600)에 전달된다. 구동모터는 감속기(미도시)를 포함하며, 감속기는 구동모터의 회전수(약 1800rpm)를 감속시켜 분리 스크류(600)는 저속으로(약 80rpm이하)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영양소의 파괴없이 착즙이 가능해진다. 보통 이와 같은 배치 구조를 가진 착즙기를 수직형 저속착즙기라고 한다.
도 3와 도 4는 본 발명의 도1a 및 1b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에서 본체부가 제외된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00)는 그 내부로 착즙 대상(예를 들어, 채소, 곡물, 과일 등)을 투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투입된 착즙 대상을 드럼 하우징(200)으로 안내한다.
드럼 하우징(20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스크류(30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 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즙 배출구(220) 및 찌꺼기 배출구(230)가 형성된다. 즙 배출구(220)는 즙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드럼 하우징(200)의 하부 측면에서 파이프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구(230)는 찌꺼기가 드럼 하우징(200)의 수직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드럼 하우징(2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즙 배출구(220)는 즙 개폐기구(24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고, 찌꺼기 배출구(230)는 찌꺼기 개폐기구(25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드럼 하우징(200)은 중공의 원통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서 스크류(30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할 수 있다. 드럼 하우징(200)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270)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은 드럼홀(270)에 삽입되어 스크류(300)와 연결되고, 스크류(3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드럼홀(270)의 내주면은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동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300)는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한다. 스크류(300)의 외주면에는 착즙대상이 드럼 하우징(200)과 접촉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나선 돌기(310)이 형성된다. 제1 나선 돌기(310)에 의해 착즙 대상은 하부로 이송되며 스크류(300)와 착즙 드럼(200) 사이의 좁은 틈새에 의하여 착즙 대상이 압착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류(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이웃하는 제1 나선 돌기(310) 사이의 간격은 스크류(300)의 하부에 형성된 이웃하는 제1 나선 돌기(310)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스크류(300)의 상부는 호퍼(100)의 하면에 형성된 축공(미도시)에 삽입 지지되어 스크류(300)가 축의 상하 양방향에서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의 진동 및 장치의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고, 스크류가 드럼 하우징(200) 내벽에 부딪힐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드럼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분리 스크류(600)가 배치되고, 호퍼(100)는 드럼 하우징(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착즙 대상(예를 들어, 야채, 곡물, 과일 등)은 호퍼(100)를 통해 드럼 하우징(200)으로 안내된다.
드럼 하우징(20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분리 스크류(60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 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즙을 배출할 수 있는 즙 배출구(220)와 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는 찌꺼기 배출구(230)가 형성된다. 착즙 대상은 드럼 하우징(200)과 분리 스크류(600)에 의하여 찌꺼기와 즙으로 분리되고, 찌꺼기는 분리 스크류(600)의 경방향 외측에 남게 되고 즙은 분리 스크류(600)의 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 찌꺼기는 찌꺼기 배출구(230)를 통하여 배출되고, 즙은 찌꺼기가 배출되는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상기 즙 배출구(220)를 통하여 배출된다.
드럼 하우징(200)의 하부 중앙에는 드럼홀(270)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은 드럼홀(270)에 삽입되어 분리 스크류(6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드럼홀(270)의 내주면은 구동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동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드럼 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 리브턱(250) 및 제2 리브턱(2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턱(250) 및 제2 리브턱(260)은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에 예각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분리 스크류(600)가 회전함에 따라 나선 돌기(613, 629) 및 제1, 제2 리브턱(250, 260)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재료가 압착 또는 분쇄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턱(260)는 착즙 대상을 드럼 하우징(200) 하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브턱(260)는 재료를 압착 분쇄하는 기능 외에 분리 스크류(600)의 위치를 조정하고 착즙 공간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턱(260)은 드럼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제1 리브턱(250)은 드럼 하우징(200)의 길이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리브턱(260)의 길이는 제1 리브턱(25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턱(250, 260)이 없다면 착즙 대상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정체되거나, 압착력 또는 분쇄력이 낮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턱(250, 260)은 분리 스크류(600)의 나선에 의해 재료가 이송 및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드럼 하우징(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대체로 리브턱(250, 260)은 드럼 하우징(200)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료가 스크류(600)와 맞닿는 좁은 부분에 재료가 끼어 아래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리브턱(250, 260)은 재료를 아래로 내려가게 하면서 스크류(600)와 함께 재료를 잘 으깨어 짜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리브턱(250, 260)은 드럼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스크류(600)의 나선(613, 629)과 교차되는 형태로서 재료의 효율적인 이송 및 압착을 위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진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리브턱(260)은 드럼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재료를 안내하고 압착하는 기능은 물론 스크류(600)의 나선에 의해 재료가 이송 및 압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착력에 의한 드럼 하우징(20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기능과 드럼 하우징(200) 내에 스크류(600)의 수용 위치를 조정하고 착즙 공간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리브턱(260)의 돌출높이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낮아지거나 제2 리브턱(26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차를 기준으로 제2 리브턱(260)의 상부의 돌출높이는 제2 리브턱(260)의 하부의 돌출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분리 스크류(600)는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하며,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적용될 수 있는 분리 스크류의 실시예를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리 스크류(600)는 두 개의 원통형상의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을 포함한다. 중공의 제1모듈(610)의 외주면에는 제1 나선 돌기(613)(이하에서 편의상'스크류 나선'이라고 칭하기도 한다)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슬릿(615)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모듈(610)에서 슬릿(615)이 형성되지 않은 판부재를 막대(614)라고 칭하기로 한다. 원통형상의 제2모듈(6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슬릿(615)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복수개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2 모듈(6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리브를 리브(621)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때 리브(621)의 외주면에는 제2 나선 돌기(629)(이하에서 편의상'스크류 나선'이라고 칭하기도 한다)가 형성될 수도 있다. 스크류 나선의 형상과 리브(621)의 위치에 따라서, 일부 리브(621)의 외주면에는 제2 나선 돌기(629)가 형성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이 결합될 때 제1 모듈(610)의 내경이 제2 모듈(620)의 외경보다 커서 제1 모듈(610)이 제2 모듈(620)을 감싸 결합되며, 이때 제1 모듈(610)의 슬릿(615) 안으로 제2 모듈(620)의 리브(621)가 삽입되면서 슬릿(615)과 리브(621)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된다. 상기 틈을 통해 즙이 분리 스크류(600) 내측으로 유입되며, 분리 스크류(600)와 드럼 하우징(200) 사이의 하부에 즙이 분리된 찌꺼기가 모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는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이 결합될 때 분리 스크류(6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 나선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 구간이 조금씩 끊기는 경우는 있으나 대체로 연속적인 스크류 나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막대(614)의 직경과 리브(621)의 직경은 동일하고 스크류 나선 돌기들(613, 629)의 돌출 높이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막대(614)의 폭은 대체로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 스크류(600)의 제1 모듈(610)의 슬릿(615)과 제2 모듈(620)의 리브(621) 사이에 형성된 틈이 반경 방향 중심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에 의하여 상기 틈이 막히거나 즙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서, 반경 반향 중심으로 갈수록 막대(614)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1 모듈(610)의 막대(614)의 단면을 대체로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분리 스크류(600)의 제2 모듈(620)은 복수개의 리브(621)들 사이에 복수개의 스크류 홈(622)이 형성된다. 하나의 양상에서, 스크류 홈(622)은 그 내주면이 전체적으로 막혀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상에서, 스크류 홈(622)은 그 내주면의 일부, 특히 스크류 홈(622)의 하부 내주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스크류 홈(622)의 내주면과 막대(614)의 내주면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격을 통하여 즙이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 사이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홈(622)의 하측에는 즙 배출홀(628)이 형성될 수 있다. 즙 배출홀(628)을 통해 즙이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 사이의 하부에 모인 즙이 분리 스크류(6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스크류 홈(622)의 하부 내주면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여 개방된 내주면이 즙 배출홀(628)의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제2 모듈(620)의 상면(627)에는 스크류축(611)이 끼워지는 축 관통홀(6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고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 관통홀(630)은 각형홀일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6에는 상기 축 관통홀(630)이 사각형인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축 관통홀(630)의 형상은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각 형상의 축인 스크류축(611)과 사각 형상의 홀인 축 관통홀(630)에 의해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은 네 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2 모듈(620)의 하측에는 분리 스크류(600)가 드럼 하우징(2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625)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하우징(200)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홈(625)에 대응되는 안착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625)이 상기 안착돌기를 감싸도록 결합함으로써, 착즙 과정에서 분리된 찌꺼기가 스크류(6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크류 홈(622)의 내주면과 막대(614)의 내주면 사이(즉, 상기 제1 모듈(610)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모듈(6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격은 분리 스크류(600)의 하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유격에 의하여 즙이 틈을 통해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의 사이에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상기 유격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듈(610)의 막대(614)의 하단에는 제1단턱(616)을 형성하고 이에 상응하여 리브(621)의 하측에 제2 단턱(623)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모듈(620)의 제2 단턱(623)과 내측 모듈(10)의 제1 단턱(616)이 결합함으로써 스크류(600)로 전달되는 압력을 견디고 찌꺼기가 스크류(60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스크류의 일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리 스크류(600)는 제1 모듈(610) 및 제2 모듈(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모듈(610)의 내부 중앙에는 스크류축(611)이 배치된다. 스크류축(611)은 분리 스크류(600)의 상면으로부터 더욱 돌출되어 호퍼(100)의 저면에 형성된 수용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축(611)의 하부에는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크류홀(612)이 천공되어 있다.
제1 모듈(610)의 외주면에는 드럼 하우징(200)과 접촉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 나선(613)이 형성된다.
제1 모듈(610)에는 복수의 슬릿(615)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개의 막대(614)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막대(614)는 제1 모듈(610)의 전체 길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 모듈(610)의 길이방향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막대(614)에 의하여 복수개의 슬릿(615)이 형성된다. 제2 모듈(620)과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막대(614)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막대(614)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막대(614)를 포함할 수 있다.
막대(614)의 폭은 제1 모듈(61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에 의하여 상기 틈이 막히거나 즙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막대(614)의 단면을 대체로 반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막대(614)의 하측에는 제1 단턱(6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듈(620)의 제2 단턱(623)과 제1 모듈(610)의 제1 단턱(616)이 결합함으로써 스크류(600)로 전달되는 압력을 견디고 찌꺼기가 스크류(60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제2 모듈(620)은 제1 모듈(6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모듈(620)은 대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서 상/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제2 모듈(620)은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리브(621)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리브(621)에 의하여 복수개의 스크류 홈(622)이 형성된다. 상기 막대(614) 사이의 슬릿(615)에 상기 리브(62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릿(615)과 리브(621)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틈을 통해 즙이 분리 스크류(600)의 경방향 내측으로 유입되며, 분리 스크류(600)와 드럼 하우징(200) 사이에는 찌꺼기가 남아 분리될 수 있다. 분리 스크류(600)와 착즙 드럼(200) 사이에 남은 찌꺼기는 분리 스크류(300)와 드럼 하우징(2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하부로 이동한다.
리브(621)의 외주면에는 드럼 하우징(200)과 접촉 가능한 제2 나선 돌기(62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듈(610)에 형성된 제1 나선 돌기(613)와 제2 모듈(620)에 형성된 제2 나선 돌기(629)가 일치하도록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의 결합 위치는 일정할 수 있다. 즉,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이 완전히 결합된 위치에서 제1 모듈(610)의 기준점과 제2 모듈(620)의 기준점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루는 각도가 0도라고 가정할 때, 제1 모듈(610)의 기준점과 제2 모듈(620)의 기준점이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90도, 180도, 270도)를 가질 때에만,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이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모듈(610)에 형성된 제1 나선 돌기(613)와 제2 모듈(620)에 형성된 제2 나선 돌기(629)가 일치(즉, 연속된 스크류 나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의 결합 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리브(621)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과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된 각도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리브(621)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막대(614)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이 결합할 때 제1 모듈(610)에 형성된 제1 나선 돌기(613)와 제2 모듈(620)에 형성된 제2 나선 돌기(629)가 정렬되어 스크류 나선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리브(621)의 외주면에 제2 나선 돌기(629)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리브(621)의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리브(621)의 외주면에 제2 나선 돌기(629)가 형성된 경우와 비교할 때 동일 또는 유사한 착즙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리브(621)의 상측에는 환형의 플랜지(624)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624)는 복수개의 리브(621) 사이의 간격이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제2 모듈(620)의 하측에는 분리 스크류(600)가 드럼 하우징(2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625)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625)에는 패킹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가 분리 스크류(6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610)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모듈(6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격은 분리 스크류(600)의 하측으로 갈수록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유격이 형성됨으로써 즙이 틈을 통해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 사이에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분리 스크류(600)는, 제2 모듈(620)의 상면(627)에 자석 수용부(6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듈(620)이 제1 모듈(610)에 결합하면 제2 모듈(620)과 제1 모듈(61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자석 수용부(626)에 자석을 배치하고 제1 모듈(610)의 내측에 반대 극성의 자석 또는 자성체을 배치함으로써 제2 모듈(620)을 제1 모듈(610)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의 결합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1 모듈(610)의 상부면의 저면에는 키 돌기(640)가 형성되고, 제2 모듈(620)의 상면에는 상기 키 돌기(640)가 삽입되는 키 홈(6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 홈(645)에 키 돌기(640)가 끼워짐으로써 제1 모듈(610)과 제2 모듈(620)의 결합 위치, 회전, 및 틸팅을 제한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스크류(600)의 또 다른 제2 변형 실시예는 막대(614)의 상부 측면에 제1 막대 단턱(6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브(621)의 하부 측면에는 제2 막대 단턱(655)이 형성될 수 있다. 착즙 과정에서 분리 스크류(600)가 회전하는 동안 슬릿(615)과 리브(621) 사이의 틈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착즙 과정에서 상기 제1 막대 단턱(650)과 제2 막대 단턱(655)에 의하여 착즙 과정에서도 상기 틈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6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듈(610)의 슬릿(615)에 인접한 모서리를 따낸 경사부(6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경사부(618)를 형성하면 착즙 대상이 원할하게 넘어가 찌꺼기가 분리 스크류 틈새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2은 분리 스크류를 드럼 하우징에 결합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의 좌측 단면은 분리 스크류(600)와 드럼 하우징(200) 사이에서 착즙된 후 걸러진 찌꺼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되었고 우측 단면은 분리 스크류(600) 내부 공간으로 압착되면서 걸러진 즙이 즙 배출되는 즙배출로가 잘 나타나 있다.
또한 드럼 하우징(200)의 내측 바닥면의 중앙에는 드럼홀(270)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홀(270) 내주면에 방수를 위한 패킹(261)을 포함할 수 있고 설계의 필요에 따라 분리 스크류(600) 내측 중앙 공간으로 돌출되어 삽입되는 방수원통(2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드럼홀(270) 주변에는 분리 스크류(600) 하단 링(390)이 안착할 수 있는 안내턱(282)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턱(282)은 분리 스크류(600)의 하단 링(390)의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드럼 하우징(20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안내턱(282) 상면에 안내홈(29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착즙 드럼이 고정지지되면서도 구동축으로 끼꺼기가 들어가지 않게 된다.
분리 스크류는 즙이 스크류 내부 공간으로 압출되고 드럼 하우징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된 즙배출홈(297)으로 흘러 모인다. 여기에 모인 즙은 즙배출구(22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즙 저장부(281)은 외벽은 환형의 안내턱으로 내벽은 방수원통(280)으로 형성된 저장공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즙배출홈(297)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찌꺼기 배출홈(298)이 형성된다. 찌꺼기 배출홈(198)은 찌꺼기 배출구(230)과 연통한다. 즉, 분리 스크류(600)과 드럼 하우징(200) 사이에서 착즙된 즙 외의 찌꺼기는 분리 스크류(600)와 드럼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에서 아래 쪽으로 이동하여 찌꺼기 배출홈(289)을 따라 유동하면서 찌꺼기 배출구(230)를 통해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망드럼을 삭제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망드럼을 삭제함으로써 세척이 간편하며,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과정에서 착즙 스크류에 의한 재료의 이송이 원활해지고, 재료의 미세한 분쇄와 압착을 통해 착즙 효율이 향상됨으로써, 재료의 추가적인 투입이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착즙 과정에서 착즙 드럼에 찌꺼기가 끼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찌꺼기가 추출되는 즙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착즙 드럼이 단단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착즙 과정에서 착즙 드럼의 슬릿이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 스크류는 두 개의 모듈을 상하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두 개의 모듈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세척이 간편해진다.
또한, 착즙스크류에 형성된 경사부를 통해 두 개의 모듈 사이에 형성되어 즙이 배출되는 틈에 찌꺼기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착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23)

  1. 외주면에 복수 개의 막대에 의하여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모듈의 슬릿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는 제2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2 모듈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리브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나선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나선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모듈이 상기 제1 모듈에 삽입되어 결합될 때, 상기 막대의 제1 나선 돌기와 상기 리브의 제2 나선 돌기는 연속적인 스크류 나선을 형성하는 분리 스크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하부는 개방되고, 상부는 막힌 분리 스크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내부 중앙에는 스크류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상면에는 상기 스크류축이 끼워지도록 상기 스크류축과 대응되는 형상의 축 관통홀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은 다각형으로 형성된 분리 스크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내측 상면에는 키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모듈의 외측 상면에는 상기 키 돌기가 삽입되는 키 홈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상면에는 자석이 배치되는 자석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모듈의 내측에는 상기 자석 수용부에 배치되는 자석과 반대 극성의 자석 또는 자성체가 배치되는 분리 스크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의 폭은 상기 제1 모듈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분리 스크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내주면과 상기 제2 모듈의 외주면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리브들 사이에는 복수 개의 스크류 홈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홈의 하측에는 즙 배출홀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의 하측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패킹이 배치되는 분리 스크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의 하단에는 제1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단턱에 대응하는 제2 단턱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의 상부 측면에는 제1 막대 단턱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하부 측면에는 제2 막대 단턱이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막대에는 상기 슬릿과 인접한 모서리를 따낸 경사부가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막대는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막대와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간격은 상기 폭이 좁은 막대가 삽입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공간과 상기 폭이 넓은 막대가 삽입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공간을 포함하는 분리 스크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공간과 상기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공간은 설정된 각도마다 주기적으로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상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간격을 고정 지지하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되는 분리 스크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 스크류;
    상기 분리 스크류를 내부에 수용하고, 그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브턱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드럼홀이 형성되며, 즙이 배출되는 즙 배출구와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 배출구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바닥면에 상기 즙 배출구와 연통하는 즙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즙배출홈의 반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찌꺼기 배출홈이 형성되는 드럼 하우징; 및
    상기 드럼홀에 삽입되어 상기 분리 스크류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본체부;
    를 포함하는 착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턱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1 리브턱; 및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2 리브턱;
    을 포함하는 착즙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스크류와 상기 드럼 하우징의 사이에서 착즙된 즙은 상기 리브와 상기 슬릿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상기 분리 스크류의 내측을 통해 상기 즙배출홈으로 이동되고 상기 즙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착즙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스크류와 상기 드럼 하우징의 사이에서 착즙되고 남은 찌꺼기는 상기 분리 스크류와 상기 드럼 하우징의 사이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찌꺼기 배출홈으로 이동되고, 상기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착즙기.
PCT/KR2019/000158 2018-02-07 2019-01-04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191563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12019000185.8U DE212019000185U1 (de) 2018-02-07 2019-01-04 Trennbare Schraube und Entsafter, der diese verwendet
US16/967,782 US20200375386A1 (en) 2018-02-07 2019-01-04 Separable screw and juicer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91 2018-02-07
KR20-2018-0000605 2018-02-07
KR2020180004491U KR200489360Y1 (ko) 2018-09-28 2018-09-28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6358A1 true WO2019156358A1 (ko) 2019-08-15

Family

ID=6681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158 WO2019156358A1 (ko) 2018-02-07 2019-01-04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9360Y1 (ko)
WO (1) WO2019156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42U (ko) * 2019-09-17 2020-07-23 주식회사 휴롬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KR20210001067U (ko) * 2021-04-26 2021-05-17 주식회사 휴롬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38A (ko) * 2010-07-30 2012-0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조립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2040A (ko) * 2010-07-30 2012-0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42606A (ko) * 2010-10-25 2012-05-03 이승룡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548561B1 (ko) * 2014-07-03 2015-09-01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음식물다지기장치
KR20160016368A (ko) * 2014-08-05 2016-02-15 코웨이 주식회사 솔리드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038A (ko) * 2010-07-30 2012-0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조립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2040A (ko) * 2010-07-30 2012-02-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42606A (ko) * 2010-10-25 2012-05-03 이승룡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548561B1 (ko) * 2014-07-03 2015-09-01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음식물다지기장치
KR20160016368A (ko) * 2014-08-05 2016-02-15 코웨이 주식회사 솔리드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60Y1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0745A1 (ko) 주스기용 착즙모듈
WO2012091235A1 (ko) 착즙장치
WO2014193036A1 (ko) 망드럼 및 이를 포함하는 착즙 주스기
WO2012036381A2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WO2014196690A1 (ko) 착즙 주서기
WO2014193035A1 (ko)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WO2019156358A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16013792A9 (ko) 착즙기
WO2014003447A1 (ko) 원액기
WO2017111516A1 (ko) 착즙기
WO2013107011A1 (zh) 一种榨汁机
WO2016021837A1 (ko) 솔리드망을 포함하는 착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WO2022231197A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15156503A1 (ko) 상부구동형 착즙기
CN104382471A (zh) 一种易清洗挤压式榨汁机
WO2012165713A1 (ko) 주스기
WO2020204306A2 (ko) 착즙 주스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 주스기
KR200490466Y1 (ko) 착즙기
EP3041388A1 (en) Detachable juice extracting screw assembly and juicer comprising same
WO2014196691A1 (ko) 착즙 주서기
WO2019156355A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WO2020251125A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WO2019156359A1 (ko) 착즙기
KR102465519B1 (ko) 분리 스크류 및 분리 스크류를 사용한 착즙기
WO2019156357A1 (ko) 착즙 드럼 및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515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515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