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561B1 - 음식물다지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다지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561B1
KR101548561B1 KR1020140082945A KR20140082945A KR101548561B1 KR 101548561 B1 KR101548561 B1 KR 101548561B1 KR 1020140082945 A KR1020140082945 A KR 1020140082945A KR 20140082945 A KR20140082945 A KR 20140082945A KR 101548561 B1 KR101548561 B1 KR 10154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per
chopping
cylinder
discharge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숙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파워생즙기
Priority to KR102014008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4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potato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다지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배출통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바닥면부와 상기 배출통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출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중앙에 다지기통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지기통바닥면부와 상기 다지기통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다지기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지기통측면부와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높이가 감소하고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하강안내리브를 가지고 상기 다지기통바닥면부를 통해 상기 배출통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다지기통배출구가 상기 배출통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다지기통과,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된 플라스틱회전체바디구간과 금속재질로 제작된 금속회전체바디구간으로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다가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회전체바디부와 상기 회전체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가공스크류와 상기 회전체바디부에 결합된 회전체축을 가지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와 협조하여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다지기재료를 압착하도록 상기 다지기통의 내부에 설치된 가공회전체와,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다지기재료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다지기통과 상기 가공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배출통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를 갖는 음식물다지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통측면부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가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보강관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관배출구의 상측에는 리브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관배출구가 상기 다지기통배출구에 연통하고 상단이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금속회전체바디구간에 대향하도록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다지기보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안내리브는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에 연결된 측면부리브구간과 상기 리브안내공을 통과하는 안내공리브구간과 상기 측면부리브구간과 상기 안내공리브구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다지기보강관의 내표면에 형성된 보강관리브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다지기재료에 대한 분쇄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다지기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다지기장치{Apparatus for Mincing Food}
본 발명은 음식물다지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강, 마늘 등의 음식물을 잘게 만들어 다지는 데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을 만드는 데에 생강, 마늘 등의 음식물을 다져서 첨가하는 경우가 있는바, 이를 위해 손쉽게 음식물을 다질 수 있는 음식물다지기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음식물다지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종래의 가공회전체, 배출통, 다지기통 및 투입부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2는 종래의 가공회전체, 배출통, 다지기통 및 투입부 영역의 종단면도이고, 도13은 종래의 배출통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4는 종래의 다지기통의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음식물다지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121)을 갖는 구동부(120)와, 하우징(1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배출통(140)과, 배출통(1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다지기통(190)과, 구동축(121)에 결합된 가공회전체(130)와, 배출통(1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180)와, 하우징(1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선반(115)과, 지지벽부(1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가압레버(15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1)은 상면에 배출통안착면(111a)이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안착면(111a)의 둘레영역에는 지지벽부(112)가 기립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부(112)는 외표면에 한 쌍의 레버작동홈(112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20)는 구동축(121)에 더하여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축(121)에 전달하는 전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전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다수의 기어조립체를 사용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축(121)에 전달한다.
구동축(121)은 하우징언덕부(111b)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후술하는 배출통바닥면부(141)를 통해 배출통(14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배출통(140)은 배출통바닥면부(141)와, 배출통바닥면부(14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배출통바닥면부(141)로부터 절곡 형성된 배출통측면부(142)를 갖고 있다.
배출통바닥면부(141)는 중앙영역에 배출통언덕부(141d)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언덕부(141d)의 둘레영역에는 다지기통안착홈(141f)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언덕부(141d)에는 배출통연락공(14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바닥면부(141)에는 2개의 정렬홈(141h)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측면부(142)는 하단에 배출통배출구(142a)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투입부고정턱(14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140)은 하우징언덕부(111b)가 배출통언덕부(141d)에 삽입되고, 회전체축(131)이 배출통연락공(141e)을 통과하고, 배출통바닥면부(141)가 배출통안착면(1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다지기통(190)은 다지기통바닥면부(191)와, 다지기통바닥면부(19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다지기통측면부(192)와, 다지기통측면부(192)에 형성된 다지기통배출관부(193)와, 다지기통측면부(192)의 내표면에 형성된 하강안내리브(194)와, 다지기통바닥면부(191)의 저면에 형성된 다지기통정렬돌기(195)를 갖고 있다.
다지기통바닥면부(191)는 중앙에 다지기통연락공(191a)이 형성되어 있다.
다지기통측면부(19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다지기통배출구(192a)가 형성되어 있다.
다지기통배출관부(193)는 다지기통배출구(192a)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하강안내리브(194)는 다지기통측면부(192)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높이가 감소하고 다지기통측면부(192)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다.
다지기통정렬돌기(195)는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지기통(190)은 다지기통바닥면부(191)가 다지기통안착홈(141f)에 안착되고, 다지기통정렬돌기(195)가 정렬홈(141h)에 안착되며, 다지기통배출구(192a)와 다지기통배출관부(193)가 배출통배출구(142a)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다지기통(190)은 아세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가공회전체(130)는 회전체축(131)과, 회전체축(131)에 결합된 회전체바디부(132)와, 회전체바디부(132)에 형성된 가공스크류(133)를 갖고 있다.
회전체바디부(132)는 아세탈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된 플라스틱회전체바디구간(132a))과,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된 금속회전체바디구간(132b)으로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바디부(132)는 전체적으로 볼 때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다가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공회전체(130)는 배출통(140)의 내부에서 회전체바디부(132)가 배출통연락공(141e)과 다지기통연락공(191a)을 통해 구동축(121)에 결합되고 다지기통측면부(192)와 협조하여 다지기통측면부(192)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다지기재료를 압착하도록 다지기통(19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가공회전체(130)는 회전체축(131)을 통해 후술하는 회전체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투입부(180)는 투입관부(181)와, 투입관부(18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판부(182)와, 투입관부(18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안내판부(183)를 갖고 있다.
투입관부(181)는 상단이 재료투입구(181a)가 된다.
덮개판부(182)는 저면에 회전체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입부(180)는 덮개판부(182)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리브(도시되지 않음)가 배출통측면부(142)에 형성된 투입부고정턱(142c)과 걸림작용을 하도록 배출통(140)에 결합된다.
투입부(180)는 배출통(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판부(182)에 의해 배출통측면부(142)의 개구영역이 폐쇄되고, 투입관부(181)를 통해 투입된 재료는 다지기통(190)과 가공회전체(130) 사이영역에 진입한다.
가압레버(150)는 승강레일부(151)와, 승강레일부(151)로부터 절곡 형성된 가압암(152)과, 승강레일부(151)를 하우징(111)을 향해 잡아당기도록 지지벽부(112)에 설치된 인장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레버(150)는 승강레일부(151)가 레버작동홈(112a)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압레버(150)를 상측으로 잡아당길 때 가압레버(150)는 분리위치(투입부를 배출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가압암이 덮개판부로부터 이탈하는 위치)로 상승하고 가압레버(15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해제할 때 인장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압레버(150)는 가압위치(가압암이 덮개판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음식물다지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오프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온상태로 조작하여 구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121)이 회전한다.
구동축(121)이 회전하면 가공회전체(130)가 회전한다.
다음에 투입관부(181)를 통해 다지기재료(마늘 등)를 다지기통측면부(192)와 가공회전체(130) 사이에 투입한다.
투입된 다지기재료는 가공회전체(130)와 다지기통(190)에 의해 압착된다.
다지기재료가 압착되는 동안 다지기재료는 하강안내리브(194)에 의해 다지기통바닥면부(191)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가공회전체(130)와 다지기통(190)에 의해 압착되는 동안 다지기재료는 잘게 분쇄되고, 이에 따라 다지기고형물(즙포함)이 생성된다.
다지기재료가 분쇄되는 동안 다지기재료는 하강안내리브(194)에 의해 다지기통바닥면부(191)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생성된 다지기고형물은 다지기통배출구(192a)와 다지기통배출관부(193)를 통과하여 컵받침판(113)에 설치된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으로 낙하한다
그런데 종래의 음식물다지기장치에 따르면, 다지기통측면부(192)와 가공회전체(130) 사이에 투입된 다지기재료에 대한 압착동작이 플라스틱 재질의 다지기통(190)과 가공회전체(130)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지기재료에 대한 분쇄력이 적고(다지기통측면부가 부분적으로 변형되어 다지기재료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감소하고 다지기통측면부와 가공회전체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음) 다지기통(190)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지기재료에 대한 분쇄력이 적어지면 다지기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가 제한된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0839호(등록일자 2014년01월 0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다지기통(190)을 갖는 다지기겸용 착즙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지기재료에 대한 분쇄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다지기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다지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배출통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바닥면부와 상기 배출통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출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중앙에 다지기통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지기통바닥면부와 상기 다지기통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다지기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지기통측면부와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높이가 감소하고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하강안내리브를 가지고 상기 다지기통바닥면부를 통해 상기 배출통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다지기통배출구가 상기 배출통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다지기통과,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된 플라스틱회전체바디구간과 금속재질로 제작된 금속회전체바디구간으로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다가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회전체바디부와 상기 회전체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가공스크류와 상기 회전체바디부에 결합된 회전체축을 가지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와 협조하여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다지기재료를 압착하도록 상기 다지기통의 내부에 설치된 가공회전체와,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다지기재료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다지기통과 상기 가공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배출통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를 갖는 음식물다지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통측면부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가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보강관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관배출구의 상측에는 리브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관배출구가 상기 다지기통배출구에 연통하고 상단이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금속회전체바디구간에 대향하도록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다지기보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안내리브는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에 연결된 측면부리브구간과 상기 리브안내공을 통과하는 안내공리브구간과 상기 측면부리브구간과 상기 안내공리브구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다지기보강관의 내표면에 형성된 보강관리브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다지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다지기보강관과 다지기통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지기보강관에는 다수의 결합보강공이 분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지기통은 상기 결합보강공에 각각 진입하도록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보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지기재료가 압착되는 동안 다지기재료를 효율적으로 다지기통바닥면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지기보강관은 내표면에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갈수록 점점 높이가 감소하고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보조안내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지기재료가 압착되는 동안 다지기재료가 다지기보강관에 의해 다지기통바닥면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다지기통측면부는 상기 다지기보강관의 결합영역이 상기 다지기보강관의 두께만큼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지기보강관은 내표면이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상기 단턱 아래 영역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브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다지기보강관을 다지기통측면부의 내표면에 결합하는 한편 다지기통측면부에 연결된 측면부리브구간과 리브안내공을 통과하는 안내공리브구간과 측면부리브구간과 안내공리브구간을 연결하도록 다지기보강관의 내표면에 형성된 보강관리브구간을 갖도록 하강안내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다지기재료에 대한 분쇄력이 증가하고(다지기통측면부의 변형이 적어지고 다지기보강관과 가공회전체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됨) 다지기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지기재료에 대한 분쇄력이 증가하면 다지기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가 확대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다지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다지기장치의 가공회전체, 배출통, 다지기통 및 투입부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회전체, 배출통, 다지기통 및 투입부 영역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통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통 및 다지기보강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보강관의 부분절단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통의 부분절단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통 및 다지기보강관의 결합사시도,
도9는 도8의 A-A선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음식물다지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11은 종래의 가공회전체, 배출통, 다지기통 및 투입부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12는 종래의 가공회전체, 배출통, 다지기통 및 투입부 영역의 종단면도,
도13은 종래의 배출통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종래의 다지기통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다지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다지기장치의 가공회전체, 배출통, 다지기통 및 투입부 영역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공회전체, 배출통, 다지기통 및 투입부 영역의 종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통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통 및 다지기보강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보강관의 부분절단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통의 부분절단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지기통 및 다지기보강관의 결합사시도이고, 도9는 도8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다지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21)을 갖는 구동부(20)와, 하우징(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배출통(40)과, 배출통(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다지기통(90)과, 다지기통(90)에 결합된 다지기보강관(99)과, 구동축(21)에 결합된 가공회전체(30)와, 배출통(40)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80)와, 하우징(11)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선반(15)과, 지지벽부(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가압레버(50)를 갖고 있다.
하우징(11)은 상면에 배출통안착면(11a)이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안착면(11a)의 둘레영역에는 지지벽부(12)가 기립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부(12)는 외표면에 한 쌍의 레버작동홈(12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20)는 구동축(21)에 더하여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축(21)에 전달하는 전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전동부(도시되지 않음)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다수의 기어조립체를 사용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축(21)에 전달한다.
구동축(21)은 하우징언덕부(11b)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후술하는 배출통바닥면부(41)를 통해 배출통(4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배출통(40)은 배출통바닥면부(41)와, 배출통바닥면부(4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배출통바닥면부(41)로부터 절곡 형성된 배출통측면부(42)를 갖고 있다.
배출통바닥면부(41)는 중앙영역에 배출통언덕부(41d)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언덕부(41d)의 둘레영역에는 다지기통안착홈(41f)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언덕부(41d)에는 배출통연락공(41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바닥면부(41)에는 2개의 정렬홈(41h)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통측면부(42)는 하단에 배출통배출구(42a)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투입부고정턱(4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40)은 하우징언덕부(11b)가 배출통언덕부(41d)에 삽입되고, 회전체축(31)이 배출통연락공(41e)을 통과하고, 배출통바닥면부(41)가 배출통안착면(11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다지기통(90)은 다지기통바닥면부(91)와, 다지기통바닥면부(9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다지기통측면부(92)와, 다지기통측면부(92)에 형성된 다지기통배출관부(93)와, 다지기통측면부(92)의 내표면에 형성된 하강안내리브(94)와, 다지기통바닥면부(91)의 저면에 형성된 다지기통정렬돌기(95)와, 다지기통측면부(92)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보강돌기(97)를 갖고 있다.
다지기통바닥면부(91)는 중앙에 다지기통연락공(91a)이 형성되어 있다.
다지기통측면부(9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다지기통배출구(9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지기통측면부(92)는 다지기보강관(99)의 결합영역이 다지기보강관(99)의 두께만큼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내표면에 단턱(92b)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보강돌기(97)는 후술하는 결합보강공(99c)에 각각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다지기통배출관부(93)는 다지기통배출구(92a)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하강안내리브(94)는 다지기통측면부(92)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높이가 감소하고 다지기통측면부(92)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다.
하강안내리브(94)는 다지기통측면부(92)에 연결된 측면부리브구간(94a)과, 후술하는 리브안내공(99b)을 통과하는 안내공리브구간(94b)과, 측면부리브구간(94a)과 안내공리브구간(94b)을 연결하도록 다지기보강관(99)의 내표면에 형성된 보강관리브구간(94c)을 갖도록 형성된다.
다지기통정렬돌기(95)는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지기통(90)은 다지기통바닥면부(91)가 다지기통안착홈(41f)에 안착되고, 다지기통정렬돌기(95)가 정렬홈(41h)에 안착되며, 다지기통배출구(92a)와 다지기통배출관부(93)가 배출통배출구(42a)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다지기통(90)은 아세탈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다.
다지기보강관(99)은 다지기통측면부(92)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가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보강관배출구(99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지기보강관(99)은 보강관배출구(99a)의 상측에 리브안내공(99b)이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결합보강공(99c)이 분산 형성되어 있다. 리브안내공(99b)은 하강안내리브(94)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적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지기보강관(99)은 내표면에 다지기통측면부(92)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갈수록 점점 높이가 감소하고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보조안내리브(99d)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다지기보강관(99)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된 판재료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리브안내공(99b), 결합보강공(99c) 및 보조안내리브(99d)는 에칭액을 금속판에 접촉시켜 습식에칭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리브안내공과 결합보강공이외 영역은 부분에칭되도록).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지기보강관(99)은 다지기통(90)을 제작할 때 다지기보강관(99)을 인서트물로 금형내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다지기통(9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지기보강관(99)의 금형내 설치는 보강관배출구(99a)가 다지기통배출구(92a)에 연통하고 상단이 다지기통측면부(92)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며 금속회전체바디구간(32b)에 대향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지기보강관(99)의 금형내 설치는 다지기통측면부(92)의 단턱(92b) 아래 영역에 결합되고 후술하는 금속회전체바디구간(32b)에 대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다지기보강관(99)이 다지기통측면부(92)의 단턱(92b) 아래 영역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다지기보강관(99)의 내표면은 다지기통측면부(92)의 내표면에 대하여 평면을 이루게 된다.
가공회전체(30)는 회전체축(31)과, 회전체축(31)에 결합된 회전체바디부(32) 와, 회전체바디부(32)에 형성된 가공스크류(33)를 갖고 있다.
회전체바디부(32)는 아세탈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된 플라스틱회전체바디구간(32a))과,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된 금속회전체바디구간(32b)으로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체바디부(32)는 전체적으로 볼 때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다가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공회전체(30)는 배출통(40)의 내부에서 회전체바디부(32)가 배출통연락공(41e)과 다지기통연락공(91a)을 통해 구동축(21)에 결합되고 다지기통측면부(92)와 협조하여 다지기통측면부(92)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다지기재료를 압착하도록 다지기통(9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가공회전체(30)는 회전체축(31)을 통해 후술하는 회전체지지홈(도시되지 않음)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투입부(80)는 투입관부(81)와, 투입관부(8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덮개판부(82)와, 투입관부(8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안내판부(83)를 갖고 있다.
투입관부(81)는 상단이 재료투입구(81a)가 된다.
덮개판부(82)는 저면에 회전체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입부(80)는 덮개판부(82)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리브(도시되지 않음)가 배출통측면부(42)에 형성된 투입부고정턱(42c)과 걸림작용을 하도록 배출통(40)에 결합된다.
투입부(80)는 배출통(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판부(82)에 의해 배출통측면부(42)의 개구영역이 폐쇄되고, 투입관부(81)를 통해 투입된 재료는 다지기통(90)과 가공회전체(30) 사이영역에 진입한다.
가압레버(50)는 승강레일부(51)와, 승강레일부(51)로부터 절곡 형성된 가압암(52)과, 승강레일부(51)를 하우징(11)을 향해 잡아당기도록 지지벽부(12)에 설치된 인장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레버(50)는 승강레일부(51)가 레버작동홈(12a)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압레버(50)를 상측으로 잡아당길 때 가압레버(50)는 분리위치(투입부를 배출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가압암이 덮개판부로부터 이탈하는 위치)로 상승하고 가압레버(5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해제할 때 인장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압레버(50)는 가압위치(가압암이 덮개판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다지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오프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온상태로 조작하여 구동부(2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21)이 회전한다.
구동축(21)이 회전하면 가공회전체(30)가 회전한다.
다음에 투입관부(81)를 통해 다지기재료(마늘 등)를 다지기통측면부(92)와 가공회전체(30) 사이에 투입한다.
투입된 다지기재료는 가공회전체(30), 다지기통(90) 및 다지기보강관(99)에 의해 압착된다.
즉, 다지기재료가 압착되는 동안 다지기재료는 하강안내리브(94)와 보조안내리브(99d)에 의해 다지기통바닥면부(91)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다지기재료는 다지기통측면부(92)의 내표면 중 다지기보강관(99)의 상부영역과 가공회전체(30)에 의한 압착동작과 다지기보강관(99)과 가공회전체(30)에 의한 압착동작에 의해 압착된다.
가공회전체(30)와 다지기통(90)에 의해 압착되는 동안 다지기재료는 잘게 분쇄되고, 이에 따라 다지기고형물(즙포함)이 생성된다.
생성된 다지기고형물은 다지기통배출구(92a)와 다지기통배출관부(93)를 통과하여 컵받침판(13)에 설치된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으로 낙하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다지기기능만을 갖는 음식물다지기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의 음식물다지기장치에는 등록실용신안 20-0470839호와 같이 다지지기능에 더하여 착즙기능이 추가된 장치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안내공(99b)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다지기보강관(99)을 다지기통측면부(92)의 내표면에 결합하는 한편 다지기통측면부(92)에 연결된 측면부리브구간(94a)과 리브안내공(99b)을 통과하는 안내공리브구간(94b)과 측면부리브구간(94a)과 안내공리브구간(94b)을 연결하도록 다지기보강관(99)의 내표면에 형성된 보강관리브구간(94c)을 갖도록 하강안내리브(94)를 형성함으로써, 다지기재료에 대한 분쇄력이 증가하고(다지기통측면부의 변형이 적어지고 다지기보강관과 가공회전체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됨) 다지기통(9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지기재료에 대한 분쇄력이 증가하면 다지기할 수 있는 음식물의 종류가 확대된다.
그리고 다지기보강관(99)에 다수의 결합보강공(99c)이 형성하고, 결합보강공(99c)에 각각 진입하도록 다지기통측면부(92)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보강돌기(97)를 갖도록 다지기통(90)을 형성함으로써, 다지기보강관(99)과 다지기통(9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지기보강관(99)의 내표면에 다수의 보조안내리브(99d)를 형성함으로써, 다지기재료가 압착되는 동안 다지기재료를 효율적으로 다지기통바닥면부(91)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지기보강관(99)은 내표면이 다지기통측면부(92)의 내표면에 대하여 평면을 이루도록 다지기통측면부(92)의 단턱(92b) 아래 영역에 다지기보강관(99)을 결합함으로써, 다지기재료가 압착되는 동안 다지기재료가 다지기보강관(99)에 의해 다지기통바닥면부(91)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11, 111 : 하우징 12, 112 : 지지벽부
20, 120 : 구동부 21, 121 : 구동축
30, 130 : 가공회전체 31, 131 : 회전체축
32, 132 : 회전체바디부 33, 133 : 가공스크류
40, 140 : 배출통 41, 141 배출통바닥면부
42, 142 : 배출통측면부 80, 180 : 투입부
81, 181 : 투입관부 90, 190 : 다지기통
91, 191 : 다지기통바닥면부 92, 192 : 다지기통측면부
94, 194 : 하강안내리브 97 : 결합보강돌기
99 : 다지기보강관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배출통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바닥면부와 상기 배출통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하단에는 배출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통측면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배출통과, 중앙에 다지기통연락공이 형성되어 있는 다지기통바닥면부와 상기 다지기통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다지기통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다지기통측면부와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높이가 감소하고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하강안내리브를 가지고 상기 다지기통바닥면부를 통해 상기 배출통의 바닥면에 지지되고 상기 다지기통배출구가 상기 배출통배출구에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다지기통과,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된 플라스틱회전체바디구간과 금속재질로 제작된 금속회전체바디구간으로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상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다가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회전체바디부와 상기 회전체바디부의 외표면에 형성된 가공스크류와 상기 회전체바디부에 결합된 회전체축을 가지고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와 협조하여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와의 사이로 진입하는 다지기재료를 압착하도록 상기 다지기통의 내부에 설치된 가공회전체와, 재료투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료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다지기재료가 상측으로부터 상기 다지기통과 상기 가공회전체 사이영역에 진입하고 상기 배출통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투입부를 갖는 음식물다지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통측면부보다 작은 길이구간을 가지고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보강관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관배출구의 상측에는 리브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관배출구가 상기 다지기통배출구에 연통하고 상단이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금속회전체바디구간에 대향하도록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내표면에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다지기보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안내리브는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에 연결된 측면부리브구간과 상기 리브안내공을 통과하는 안내공리브구간과 상기 측면부리브구간과 상기 안내공리브구간을 연결하도록 상기 다지기보강관의 내표면에 형성된 보강관리브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다지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보강관에는 다수의 결합보강공이 분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지기통은 상기 결합보강공에 각각 진입하도록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내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보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다지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보강관은 내표면에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갈수록 점점 높이가 감소하고 상호간은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보조안내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다지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지기통측면부는 상기 다지기보강관의 결합영역이 상기 다지기보강관의 두께만큼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지기보강관은 내표면이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내표면에 대하여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다지기통측면부의 상기 단턱 아래 영역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다지기장치.
KR1020140082945A 2014-07-03 2014-07-03 음식물다지기장치 KR10154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945A KR101548561B1 (ko) 2014-07-03 2014-07-03 음식물다지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945A KR101548561B1 (ko) 2014-07-03 2014-07-03 음식물다지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561B1 true KR101548561B1 (ko) 2015-09-01

Family

ID=5424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945A KR101548561B1 (ko) 2014-07-03 2014-07-03 음식물다지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56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674A1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19156357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착즙기
WO2019156359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WO2019156355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착즙기
WO2019156354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주스기
WO2019156358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CN111358266A (zh) * 2017-10-31 2020-07-03 株式会社惠人 分离螺杆及利用分离螺杆的榨汁机
KR20220099158A (ko) 2021-01-04 2022-07-13 양안모 다지기용 가열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39Y1 (ko) 2012-12-06 2014-01-13 김성문 다지기겸용 착즙기
KR200472867Y1 (ko) 2012-12-06 2014-05-27 김성문 음식재료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39Y1 (ko) 2012-12-06 2014-01-13 김성문 다지기겸용 착즙기
KR200472867Y1 (ko) 2012-12-06 2014-05-27 김성문 음식재료가공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3603A (zh) * 2017-10-31 2020-06-09 株式会社惠人 榨汁筒及利用该榨汁筒的榨汁机
CN111263603B (zh) * 2017-10-31 2022-09-16 株式会社惠人 榨汁筒及利用该榨汁筒的榨汁机
CN113425151B (zh) * 2017-10-31 2022-09-16 株式会社惠人 榨汁筒及利用该榨汁筒的榨汁机
WO2019088674A1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CN111358266B (zh) * 2017-10-31 2021-10-26 株式会社惠人 分离螺杆及利用分离螺杆的榨汁机
CN113425151A (zh) * 2017-10-31 2021-09-24 株式会社惠人 榨汁筒及利用该榨汁筒的榨汁机
CN111358266A (zh) * 2017-10-31 2020-07-03 株式会社惠人 分离螺杆及利用分离螺杆的榨汁机
WO2019156355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0491537Y1 (ko) * 2018-02-07 2020-04-23 주식회사 휴롬 착즙주스기
KR20190002092U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휴롬 착즙주스기
WO2019156358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WO2019156354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주스기
WO2019156359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WO2019156357A1 (ko) * 2018-02-07 2019-08-15 주식회사 휴롬 착즙 드럼 및 착즙기
KR20220099158A (ko) 2021-01-04 2022-07-13 양안모 다지기용 가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561B1 (ko) 음식물다지기장치
EP2839763B1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US8046908B2 (en) Press for attaching nuts to pipes
EP1336365B1 (en) Removable distributor for coffee machines
CN109127863A (zh) 一种自带废料收集装置的钣金件冲压模具
US9750278B2 (en)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CN209939789U (zh) 一种液压管接头送料装置的上料机构
KR101733782B1 (ko) 피펫팁 탈착 장치 및 피펫팁 탈착 장치 어셈블리
KR200490467Y1 (ko) 착즙기
US9814257B2 (en) Frame for main body of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and frame assembly using the same
KR101575543B1 (ko) 채유기
CN205834012U (zh) 一种射孔弹壳体压丝铆接装置
CN219074167U (zh) 一种具有防飞溅功能的冲压模具
CN111112992B (zh) 一种自动铆压设备
KR200470211Y1 (ko) 착즙기
CN217671302U (zh) 一种方便收料清理的泡腾片压片装置
KR20130053266A (ko) 프레스 금형용 캠 피어스 장치
EP2944235A1 (en)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CN202285362U (zh) 转子冲片外圆定位自动冲裁装置
KR200466655Y1 (ko) 착즙기
KR200463482Y1 (ko) 음식재료가공장치
KR20140005975U (ko) 착즙기
SU1045990A1 (ru) Штамп с разъемной матрицей
CN117698193A (zh) 一种动物油渣回收压饼装置
CN108013722B (zh) 食物料理杯及食物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