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7419A1 -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7419A1
WO2019117419A1 PCT/KR2018/009036 KR2018009036W WO2019117419A1 WO 2019117419 A1 WO2019117419 A1 WO 2019117419A1 KR 2018009036 W KR2018009036 W KR 2018009036W WO 2019117419 A1 WO2019117419 A1 WO 20191174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mature
extract
composition
miryang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90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영민
박정환
최지은
주수지
심기석
임남희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91174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74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4Ebenaceae (Ebony family), e.g. persim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 Persimmon is a persimmon plant. It has been cultivated for a long time. Its origin is mainly in temperate Asia, Korea, China and Japan. In Korea, it is cultivated all over the country except the middle and north and some mountains.
  • the height of the persimmon tree is 6 ⁇ 14m, and the crust of the stem is divided into the shape of an umbrella, with small branches and brown hairs. Leaves are slanting, swollen and ovate ovate. Leaves are 7 ⁇ 17cm long, 4 ⁇ 10cm wide, no sawtooth, and petiole is 5 ⁇ 13mm long with hairs. Flowers are benign or monoploid in May to June, yellowish-white to axillary, stalk flowers have 16 stones, but benign stones have 4 to 16 stones.
  • the female pistil has a pistil length of 15 to 18 mm, a style has hair, a long crack, and ovary has 8 chambers. The fruit is oval or circular, and ripens in yellowish pink in October.
  • persimmon tapes in one room are used to treat hiccups, vomiting, enuresis, etc., and treat inflammatory diseases, swelling, burns and prevent hypertension.
  • Dried persimmon is used for treatment of dissolution, hematemesis, hemoptysis, Is known to have the efficacy of Jinhae and Gadam and to be used as a nourishing food. It has been reported that dried persimmons are eliminated from blood vessels and regulate fatigue, hemorrhoids, hemorrhoids, hemorrhoids and hemorrhoid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84159 discloses a composition for treating an immune-related disease containing an extract of persimmon or tannin as an active ingredien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122588 discloses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a persimmon extract
  •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which comprises the extract of immature ski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which comprises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Confirming that the extracts of the faucets have an excellent NO eliminative ability as compared with other cultivars such as Hamjang Gojong City or Hamyang Monju and reduce the expression amount of p-p65 (active NF ⁇ B subunit) induced by LPS induction,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which comprises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wherein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shows the NO elimination performance of nine kinds of extracts extracted from the immature, mature, and perspex nodules of three cultivars (Hamjang, Gojong, Hamyang, and Milyangbancheong).
  • FIG. 2 shows the increase of iNOS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by LPS induction and the expression of iNOS (nitric oxide synthase) by treatment of immature growth tap extract of three cultivars (Hamyang, Gojong, As well.
  • FIG. 3 shows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expression level of p-p65 (active NF ⁇ B subunit)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level of p-p65 (active NF ⁇ B subunit) by LPS induction and treating the concentration of immature growth tap extract of Miryangbansi (P ⁇ 0.05).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which comprises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lyangbanshi can be prepared by a metho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steps:
  • step (3) The step of extract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by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selected from water, a C 1 -C 4 lower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more preferably methanol, still more preferably 30 to 80% (v / v) Methanol,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can be repeated one to three times while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ion solvent.
  • any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such as filtration,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may be used.
  • the extraction solvent is added by 1 to 20 times, more preferably 5 to 15 times, the weight of the immature taste bud of the dried Miyangbanshi.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4 to 50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0.5 to 10 hours, more preferably 0.5 to 5 hours, most preferably 3 hours,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performed under reduced pressure, vacuum drying, boil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Said inflammatory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ronchitis, asthm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topic dermatitis, allergie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cleroderma, ulcerative colitis, Crohn's disease, psoriasis, anaphylaxis, dermatitis, diabetic retinopathy, retinitis, macular degeneration, Nephritis, Sjogren's syndrome, Crohn's disease, autoimmune pancreatitis, periodontal disease, graft versus host disease, chronic pelvic inflammatory disease, endomet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arthritis, rheumatoid arthritis, , Rhinitis, tonsillitis, otitis media, sore throat, cystitis, and chronic prostatit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mmature taste nipple is characterized by being a nipple nippl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icking is performed before the color of the crust is changed from green to orang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 the pharmacologically acceptable carrier to be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which is usually used at the time of formulation and includes saline, sterilized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But are not limited to, lactose, suc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calcium,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syrup, methyl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auxiliary selected from an antioxidant, a buffer, a bacteriostat, a diluent, a surfactant, a binder,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er,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
  • at least one auxiliary selected from an antioxidant, a buffer, a bacteriostat, a diluent, a surfactant, a binder, a lubricant, a wetting agent, a sweetener, a flavoring agent, an emulsifying agent, .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s preferably administered orally.
  • the appropriat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such factors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age, body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excretion rate, .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001 to 100 mg / kg on an adult basi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a unit dose form by further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according to a method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r may be manufactured by penetrating into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s may be in the form of solutions, suspensions, syrups or emulsions in oils or aqueous media, or in the form of excipients, powders, powders, granules, tablets or capsules, and may additionally contain dispersing or stabilizing agent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foo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improving an inflammatory disease.
  •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a nutritional supplement, It can be any type of food such as pharmafood, health food, nutraceutical, designer food, food additive and the like, preferably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 , Noodles,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 the method of adding is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and the amount to be added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various components other than the active component. These various component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include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ing agent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carbonating agents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It may also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o add palatability and / or functionality, and these ingredi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into any one form of powder, granule, ring, tablet, capsule, candy, syrup and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mprises an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Miryang Banshi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olution, a suspension, an emulsion, a paste, a gel, a cream, a lotion, a powder, a soap,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a powder foundation, a wax foundation and a spray Any one of the formulations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ach of these formulations may contain various bases and additives necessary for formulation of the formulation, and the kinds and amounts of these ingredients can be easi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a cream or a gel, an animal fiber, a plant fiber, a wax, a paraffin, a starch, a tragacanth, a cellulose derivative, a polyethylene glycol, a silicone, a bentonite, Etc. may be used.
  • lactose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Propellants such as hydrocarbons, propane-butanes or dimethyl ethers.
  • a solvent, a solvent or an emulsifier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 a carrier such as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sion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etc. may be used.
  • the carrier component may includ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c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taurate, sarcosinate ,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aliphatic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inolenic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n excipient including a fluorescent substance, a fungicide, a flavor-inducing substance, a fragrance, a perfume carrier, a protein, a solubilizer, a sugar derivative, a sunscreen, a vitamin, a plant extract and the like.
  • an excipient including a fluorescent substance, a fungicide, a flavor-inducing substance, a fragrance, a perfume carrier, a protein, a solubilizer, a sugar derivative, a sunscreen, a vitamin, a plant extract and the like.
  • the samples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three types of the gut of three cultivars (Hamyang, Gojong, Hamyangseong, and Milyangbanche), and immature taste tapes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September to October) and 9 kinds of extracts from persimmon head were used.
  • the reagents used in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filtered by 0.2 ⁇ m filter paper (Pall Corporation, Ann Arbor, MI, USA) using HPLC grade (J.Taker Inc., Phillipsburg, NJ, USA)
  • the nine cultivars (Hamyang, Gojong, Hamyang, and Milyangbansi) were classified into immature (collected in August and September) and maturation (collected in September and October) 20g of the persimmon head was prepared and dried in a drying oven at 65 ° C for 48 hours. The dried sample was crushed finely and transferred to an Erlenmeyer flask with a weight of 2.0g precisely weighed. The lyophilized extract was allowed to stand for 30 minutes to precipitate, and then extracted with a clear extract. The lyophilized extract was washed with water, The solution was filtered and the filtrate was evaporated to dryness, and then dissolved in 3 ml of 30% (v / v) methanol. The analytical sample was taken 2 ml prior to injection to yield 0.4 (PALL Corporation, Ann Arbor, MI, USA).
  • Example 2 Measurement of nitric oxide (NO) scavenging ability and measurement of iNOS (nitric oxide synthase ) expression level
  • NO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Griess reaction. (RAW 264.7 ATCC) in RPMI 1640 medium containing 1% penicillin, 1% streptomycin and 10% fetal bovine serum in a 5% CO 2 , 37 ° C incubator. No. TIB-71).
  • 1 ⁇ 10 5 mouse macrophage cells were cultured in 6 wells, and then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fresh medium.
  • Pretreatment of a sample of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was performed for 1 hour, LPS (stimulator) was treated for 24 hours at 1 ⁇ g / ml Respectively.
  • the NO produced during the culture was measured by using the Griess reagent and the total NO 2 - concentration present in the cell culture.
  • Fig. 1 there was an excellent NO scavenging activity in the immature taste bud extract of three cultivars (Hamjang, Gojong, Hamyangseong, Miryangbanche).
  • FIG. 2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iNOS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was increased by LPS induction, and three cultivars (Kojong, (Nitric oxide synthase) was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the immature nutrient extract of T. mushrooms, Mishyubanshi, and Milyangbanshi.
  • the extract of Milyangbansi mushroom extract showed a decrease in iNOS (nitric oxide synthase) More effectively.
  • the expression level of p-p65 (active NF ⁇ B subunit) in the macrophage cell line of Example 2 was increased by LPS induction and tre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immature growth tap extract of Miryangbanshi, ),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and confirmed by staining to confirm movement of p-p65 (active type NFkB) into the nucleus.
  • the expression of p-p65 was increased outside the nucleus by LPS induction.
  • the expression of p-p65 was reduced by treatment of the extract of Miriangbansi immatur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moved ins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은 NO(Nitric oxide)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염증에 효과가 있으며, 품종별(함양 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 미성숙 생감꼭지, 성숙 생감꼭지 및 곶감 꼭지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NO 소거능이 있으므로,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나무는 감나무과 식물로서, 오랫동안 재배되어 온 과실수로 원산지는 주로 온대 아시아 지역의, 한국, 중국 및 일본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중북부 및 일부 산간지방을 제외한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다.
감나무의 높이는 6~14m이고, 줄기의 겉껍질은 비즐 모양으로 갈라지며, 작은 가지에 갈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혁질이며 타원상 난형이다. 잎은 길이 7~17cm, 너비 4~10cm로서 톱니는 없고, 잎자루는 길이 5~13mm로서 털이 있다. 꽃은 양성 또는 단성으로 5~6월에 황백색으로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수꽃은 16개의 수술이 있으나, 양성화에는 4~16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의 암술 길이는 15~18mm이고 암술대에 털이 있으며, 길게 갈라지고 씨방은 8실이며, 열매는 난원형 또는 편구형이고, 10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 감꼭지(시체)는 딸꾹질·구토·야뇨증 등에 달여서 복용하며, 염증질환, 부스럼, 화상을 치료하고, 고혈압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고, 곶감은 해소·토혈·객혈·이질의 치료에 쓰이고, 곶감의 시설은 진해·거담의 효능이 있고 자양 식품으로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 본초강목, 본초비효 등 고문헌에서 곶감은 숙혈을 없애고 패열, 혈토, 반위, 장풍과 치질을 다스린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민간요법과 대한민국약전의 감꼭지는 딸꾹질, 감기예방, 동맥경화, 심장병 예방, 혈관강화, 폐와 기관지질환 등에 대한 효과가 기록되어 사용되어 왔다고 하는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09-0084159호에는 감추출물 또는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관련 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4-0122588호에 감꼭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밀양반시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이 타 품종인 함양고종시 또는 함양단성시에 비해 NO 소거능이 우수하며, LPS 유도에 의해 증가한 p-p65(활성형 NFκB의 subunit)의 발현량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은 NO(Nitric oxide)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염증에 효과가 있으며, 품종별(함양 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 미성숙 생감꼭지, 성숙 생감꼭지 및 곶감 꼭지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NO 소거능이 있으므로,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3품종(함양 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성숙 생감꼭지 및 곶감 꼭지로부터 추출한 9종의 추출물의 NO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LPS 유도에 의한 iNOS(nitric oxide synthase) 발현량의 증가 및 3 품종(함양 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iNOS(nitric oxide synthase) 발현량의 감소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LPS 유도에 의한 p-p65(활성형 NFκB의 subunit)의 발현량 증가 및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라 p-p65(활성형 NFκB의 subunit)의 발현량 감소 효과를 확인한 웨스턴 블랏 결과(A) 및 LPS 유도에 의한 p-p65(활성형 NFκB)의 핵으로 이동과 본 발명의 밀양 반시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처리에 따른 p-p65의 발현량 감소를 확인한 형광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건조 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0~80%(v/v) 메탄올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추출단계에서 추출용매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1~3번 반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4~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0.5~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0.5~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3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기관지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건선, 아나필락시스, 피부염, 당뇨병성 망막증, 망막염, 황반 변성, 포도막염, 결막염,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당뇨, 당뇨성 신장병, 신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크론씨 병, 자가 면역 췌장염, 치주질환, 이식편 대 숙주 질환, 만성 골반 염증 질환, 자궁내막염, 비염, 편도염, 중이염, 인후염, 방광염 및 만성 전립선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성숙 생감꼭지는 8~9월에 채취한 생감꼭지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채취시 감 껍질 색깔이 녹색에서 주황으로 변하기 전에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및 보존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보조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성인 기준으로 0.001~100㎎/kg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건강기능성 식품, 영양 보조제, 영양제, 파머푸드(pharmafood), 건강 식품, 뉴트라슈티칼(nutraceutical), 디자이너 푸드, 식품 첨가제 등의 모든 형태의 식품이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첨가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되고, 첨가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의 다양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들 다양한 성분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기호성 및/또는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재료 및 시약]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한 시료는 3품종(함양 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의 감꼭지를 다시 3가지로 분류하였는데, 미성숙 생감꼭지(8~9월 채취), 성숙 생감꼭지(9~10월 채취) 및 곶감 꼭지로부터 추출한 9종의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시약은 HPLC 급을 구입(J.T.Baker Inc., Phillipsburg, NJ, USA)하여 0.2㎛ 여과지(PALL Corporation, Ann Arbor, MI, USA)로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9종의 시료 추출물의 제조
상기 9종의 시료(함양고종시, 함양단성시 및 밀양반시의 3 품종 각각을 성숙시기에 따라 미성숙(8~9월 채취) 및 성숙(9~10월 채취)으로 분류하였으며, 미성숙, 성숙 및 곶감 꼭지는 생체 중 20g을 준비하여 65℃의 건조오븐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건조된 시료는 곱게 분쇄하여 채에서 선별한 것을 2.0g씩 정확히 무게를 달아 삼각플라스크에 옮겨 담았다. 시료를 담은 삼각플라스크에 70%(v/v) 메탄올 25㎖씩 넣어 잘 흔들어 준 후, 3시간 동안 환류 추출 후 동결건조하여 분석시료를 확보하였다. 동결건조된 추출물은 30분 동안 방치하여 침전시킨 후, 맑은 추출용액을 걸러내고, 잔류물에 80%(v/v) 메탄올 25㎖을 넣어 동일하게 반복하였다. 여과물은 농축기로 증발 및 건조한 후, 다시 30%(v/v) 메탄올 3㎖에 녹였다. 녹인 분석 시료는 주입하기 전에 2㎖를 취하여 0.45μm 여과지(PALL Corporation, Ann Arbor, MI, USA)에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Nitric oxide(NO) 소거능 측정 및 iNOS (nitric oxide synthase ) 발현량 측정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nitrite 농도를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 페니실린(penicillin), 1%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5% CO2, 37℃ 배양기에서 마우스 대식세포(RAW 264.7 ATCC 번호 TIB-71)를 배양하였다. 우선 6웰에 마우스 대식세포주 1×105개를 분주하여 배양한 후, 새 배지로 교체하고, 일정농도의 시료를 1시간 동안 전처리 후, LPS(stimulator)를 1㎍/㎖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배양 동안 생성된 NO는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전체 NO2 -의 농도로 측정하였는데, 세포배양 상층액 100㎕를 96웰에 덜어놓고 Griess 용액(0.5% sulfanilamide/0.5% 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2.5% H3PO4) 100㎕를 첨가하고 15분 후 ELISA reader(Wallac 1420, USA)를 통해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기를 세 번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3품종(함양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에서 우수한 NO 소거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밀양반시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이 50㎍/㎖ 이상에서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LPS 유도에 의한 iNOS(nitric oxide synthase) 발현량의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3 품종(함양 고종시, 함양 단성시,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iNOS(nitric oxide synthase) 발현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밀양반시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이 다른 품종에 비해 iNOS(nitric oxide synthase) 발현량의 감소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라 p-p65(활성형 NFκB의 subunit)의 발현량 감소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의 대식세포주에서, LPS 유도에 의한 p-p65(활성형 NFκB의 subunit)의 발현량 증가 및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라 p-p65(활성형 NFκB의 subunit)의 발현량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으며, p-p65(활성형 NFκB)의 핵으로 이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LPS 유도에 의해 핵 바깥쪽에 p-p65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본 발명의 밀양반시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처리에 의해 p-p65의 발현이 줄어 들었을 뿐만 아니라 핵안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의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기관지염,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경피증,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건선, 아나필락시스, 피부염, 당뇨병성 망막증, 망막염, 황반 변성, 포도막염, 결막염, 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당뇨, 당뇨성 신장병, 신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 크론씨 병, 자가 면역 췌장염, 치주질환, 이식편 대 숙주 질환, 만성 골반 염증 질환, 자궁내막염, 비염, 편도염, 중이염, 인후염, 방광염 및 만성 전립선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성숙 생감꼭지는 8~9월에 채취한 생감꼭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밀양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8/009036 2017-12-12 2018-08-08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1741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9904 2017-12-12
KR10-2017-0169904 2017-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7419A1 true WO2019117419A1 (ko) 2019-06-20

Family

ID=6682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9036 WO2019117419A1 (ko) 2017-12-12 2018-08-08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8661B1 (ko)
WO (1) WO201911741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159A (ko) * 2008-01-31 2009-08-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추출물 또는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면역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20031695A (ko) * 2010-09-27 2012-04-04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2588A (ko) * 2013-04-10 2014-10-20 (주)튜링겐코리아 감꼭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159A (ko) * 2008-01-31 2009-08-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감 추출물 또는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면역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20031695A (ko) * 2010-09-27 2012-04-04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22588A (ko) * 2013-04-10 2014-10-20 (주)튜링겐코리아 감꼭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I JI EUN: "Changes in tannic acid contents of the stalks from astringent persimmon .....", JOURNAL OF AGRICULTURE AND SCIENCES, vol. 51, no. 3, June 2017 (2017-06-01), pages 49 - 60 *
CHOI JI EUN: "Microbial Identificatiou, Tanuic Acid Content, and Anti-inflamatory Activities of Astringent Persimmons stalks based on the cultival types and stages of maturity in the gyeongnam province", MASTER'S THESIS FOR KOREAN MEDICINE LIFE SCIENCE, 31 August 2017 (2017-08-31) *
CHOI JI EUU: "Analysis of tannic acid contents from astrigent persimmou.", KOREAN HERBAL MEDICINE INFORMATION, vol. 4, no. 1, 2016, pages 35 - 4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296A (ko) 2019-06-20
KR102158661B1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20003317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세포의 과립 분비 억제용 조성물
MX2008012230A (es) Composicion de extracto de plantas naturales para la prevencion y recuperacion de hiperlipidemia y de trastornos cerebrovasculares, te natural que la contiene como ingrediente activo, y metodo para preparar el te natural.
KR10215341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10075742A (ko) 하수오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촉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9924B1 (ko) 섬초롱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36538A (ko) 백자채(gynura divaricata)의 간염 치료 약물 또는 건강식품 제조에의 응용
CN105901738A (zh) 一种发酵葡萄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含其制剂
KR102120220B1 (ko) 천연식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부 비만 감소용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
KR101919161B1 (ko) 두피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70055758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WO2019117419A1 (ko)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1334B1 (ko)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82362A (ko) 증숙된 더덕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된 더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용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20190048794A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20105403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세포의 과립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877413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31794B1 (ko) 조록나무, 돌뽕나무 및 벌등골나물의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또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08250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04905B1 (ko) 새싹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30039470A (ko) 백미증법을 이용한 인삼 추출물의 추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80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80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