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691A1 -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691A1
WO2019088691A1 PCT/KR2018/013098 KR2018013098W WO2019088691A1 WO 2019088691 A1 WO2019088691 A1 WO 2019088691A1 KR 2018013098 W KR2018013098 W KR 2018013098W WO 2019088691 A1 WO2019088691 A1 WO 20190886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obesity
present
metabolic diseases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30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호철
송정빈
이윤희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주) 뉴메드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90886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6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Peach Blossom and Water Chestnut combination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or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 Obesity is a state of excessive energy accumulation in the body due to high energy intake compared to energy consumption.
  • the pharmacological mechanisms of currently used obesity drugs are largely as follows: 1) suppression of fat absorption, 2) promotion of fat decomposition and heat generation, 3) control of appetite and satiety, 4) protein metabolism inhibition, and 5) emotional regulation related to food intake Can be divided.
  • Typical treatments for obesity include Xenical TM, which suppresses fat absorption, and Reductil TM, which stimulates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to suppress appetite.
  • side effects such as lipid peroxidation, abdominal pain, vomiting, itching and liver damage have been reported.
  • Reductil TM has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anorexia, insomnia and constipation as well as serious side effects It has been reported.
  • Diabetes is a disease caused by a lack of insulin secretion or a failure to function normally, and it is characterized by high blood sugar, which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blood, and that the glucose is released into the urine.
  • PPAR-gamma agonists, GLP-1 derivatives and DPP-IV inhibitors as diabetic drugs currently being used, but these conventional drugs are reported to have side effects that are toxic to weight gain and liver, kidney, muscle and heart have.
  • Hyperlipidemia is known to be a disease that causes many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d cerebral infarction as a result of accumulation of fatty substances in the blood and accumulation on the walls of blood vessels more than necessary.
  •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d cerebral infarction as a result of accumulation of fatty substances in the blood and accumulation on the walls of blood vessels more than necessary.
  • statin drugs that have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but they have been reported to have toxic side effects such as liver and muscle in long-term use.
  • Dyslipidemia is a state of increased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or triglyceride, or decreased HDL cholesterol level, and is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heart attack and stroke.
  • drugs that can be used as therapeutic agents for dyslipidemia include BAY13-9952 (implitapide), a drug that inhibits the activity of MTP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 MTP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 Nonalcoholic fatty liver is a fatty liver caused by causes other than alcohol in fatty liver, which means that fatty acid is accumulated in the parenchyma cells of the liver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in an amount of 5% or more.
  • Pathologically it is classified as simple hepatitis (simple steatosis) and inflammation accompanied by steatohepatitis. It is known that it can be converted to severe liver disease such as hepatitis, hepatic fibrosis and cirrhosis when left for a long time. Sinc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not clear yet,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treatment method.
  • the target liver is an organ in which a variety of detoxification processes are performed, there is a risk of damaging hepatocytes by using an agent having increased pharmacological activity It is not easy to develop effective drug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agents is urgently required.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extract of Pseudomonas sp.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n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an extract of Pseudomonas sp.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 of a combined extract of Pseudomonas sp. And Rhodiola sp. For producing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fractions are excellent in efficacy against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and are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and have no side effects, and can be used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Figure 1 is a graph comparing the total body weight and weight gain of a single extract (as shown), a single extract (shown as a black line), and a combin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ated as Compound 1 or Compound 2) in a high fat mouse model .
  • FIG. 2 is a graph showing the abnomal fat weight of the combin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d as Compound 1 or Compound 2), the periphery of the kidney Perirenal fat weight, mesentric fat weight, and total fat weight.
  • Figure 3 shows the liver (ALT and AST), blood glucose (glucose) levels of the single extract (shown as diagrams), single extract (shown as black) and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triglyceride (TG) leve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lex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food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lex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following, each will be examined in detail.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a metabolic disease, comprising the extract of Pseudomonas sp.
  • Peach Blossom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lower of a peach tree, a radiant tree, or a mountain radish belonging to Rosaceae . It is a bloomed flower with a diameter of about 2.5 ⁇ 3.5 cm and usually has a variety of colors such as light pink, white, and dark red. Plums are collected at the flowering stage in mid-April or early May, and then dried in the shade to be used as herbal medicines.
  • drawing may be a flower of a plant having the scientific name of Prunus persica or Prunus davidiana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red pepper extract means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 peach flower or bud with water or an organic solvent.
  • Water Chestnu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ennial herb that belongs to Hydrocaryaceae. It grows in water and roots in the mud. The stem grows to the surface of water and spreads leaves.
  • blight includes all of the Trapa genus plants, such as, for example, Trapa natans , Trapa japonica or Trapa incisa , but is not now limited.
  • the fruit of the fruit is called the fruit of the fruit, the fruit of the fruit is the fruit of the fruit, and the stem of the fruit is called the fruit of the fruit.
  • wilt extract means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dry matter with water or an organic solvent.
  • the wrinkle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from whole or part of the dryness, such as fruit, flesh, fruit husk, stem, leaf, flower, roots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wil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tracted from fruit, fruit and / or fruit husk,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 combined extract of Pseudomonas sp. &Quot; includes a mixture of the above-described Pseudomonas sp.
  • the phloem and extract extracts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 1 to 1:10, preferably 5: 1 to 1: 5, more preferably 3: : 1 to 1: 3.
  • the mixture of drawing and dried may be mixed at a weight ratio of 10: 1 to 1:10, preferably 5: 1 to 1: 5, more preferably 4: 1 to 1: 4 ≪ / RTI >
  •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 natural substance, a diluted solution or a concentrate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 preparation or a purified product of the extract, , The extract itself and extracts of all the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extract.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extraction method include hydrothermal extraction method,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filtration method, reflux extraction method, immersion extraction method,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steam extraction method, etc. These methods can be perform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have.
  • the kind of the extraction solvent used for extracting the natural subst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 the extraction solvent may be, for example, wat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alcohol is used as a solvent, it is preferably extracted with a C 1 -C 4 alcohol, more preferably with methanol or ethanol And most preferably water, extracts with 30% to 80% methanol (v / v) and 30% to 80% ethanol (v / v).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raction solvent is 2 to 20 times the dry weight of drawing or drying.
  • the combined extracts of Pseudomonas sp. And Rhodococcus sp. May be prepared by separately finely dividing the Pseudomonas sp. And Rhizobium sp. Dried extracts, placing them separately in an extraction container, adding water or a C 1 or C 2 low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50% methanol (v / v), 30% ethanol (v / v) or 70% ethanol (v / v) were added and the extraction was carried out at a constant temperature to prepare a single extract.
  •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extract of Pseudomonas sp. And combination extracts.
  • the extraction solvent is water
  • the temperature is 80 ° C for 50% methanol (v / v), 85 ° C for 30% ethanol (v / v / v)
  • the extrac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80 ° C.
  • the extract may be further subjected to filtration,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 the 50% methanol extract of Pseudomonas aeruginosa represents methanol extract of about 50% or more, and may contain 45% to 55% methanol extract.
  • the above-mentioned 30% ethanol extract and 30% ethanol extract of the dried and cut flowers means ethanol extracts of 25% to 35%.
  • the above-mentioned 70% ethanol extract of red beans and black beans refers to an ethanol extract of about 70% or more and may include an ethanol extract of 65% to 75%.
  • fraction means a product obtained by performing fractionation to separate a specific component or a specific component group from a mixture containing various components.
  • the fractionation method for obtaining the f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arried out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a method in which a fraction obtained from the extract is obtained by treating a predetermined substance with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ng a natural substance.
  • the kind of the fraction solvent used for obtaining the fra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olvent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fraction solvent include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and alcohol; And non-polar solvents such as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polar solvents such as water and alcohol
  • non-polar solvents such as 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and dichloromethan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a C 1 -C 4 alcohol can be preferably used.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first time have found that the extracts of Pseudomonas sp. And Matsuomi complex have a remarkable therapeutic effect on metabolic diseases including obesity, diabetes, hyperlipidemia, dyslip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 the combined extract of Pseudomonas aeruginosa and Pseudomonas aeruginosa was superior in weight loss and fat suppressing effect to high fat diet mice (Fig. 1 and Fig. 2) (FIG. 3), which is effective in inhibiting blood factors appearing in metabolic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lipidemia,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dyslipidemia.
  • metabolic diseas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collectively to diseases caused by metabolic disorders such as sugar, lipids, proteins, vitamins, minerals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obesity due to glucose metabolism abnormality, hyperlipidemia due to diabetes, Dyslip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 the diseases to be prevented or tre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but are mo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besity due to glucose metabolism abnormality, diabetes, hyperlipidemia, dyslip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
  • obesit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fers to a state in which fat is excessively accumulated in the body, and pathologically refers to a body mass index (BMI) , Divided by the square of height (m), is 25 or more in Korea and 30 or more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BMI body mass index
  •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weight means more than normal, but even if you are not overweight, the proportion of fat in your body is high, diagnosed as obesity.
  • Obesity is a disease that occurs in both adults and children. It is known that, in individuals with obesity symptoms, fatty acids and glucose, which have been introduced from plasma into adipocytes, are esterified and accumulate mainly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 diabetes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ease caused by insufficient secretion of insulin or a failure to perform a normal function, and is characterized by a symptom in which glucose is discharged into hyperglycemia and urine which have high blood glucose concentration, Retinopathy, renal dysfunction, neuropathy, and cardiovascular abnormalities.
  • hyperlipidemia refers to a disease in which many lipid ingredients are present in the blood and cause inflammation in the blood vessel wall, resulting in cardiovascular diseases. , But it is known that symptoms due to complications may occur.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pancreatitis may occur due to an increase in triglyceride in the blood, xanthoma in the Achilles tendon, or xanthelasma in the eyelid.
  • dyslipidemia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or triglyceride is increased or decreased in HDL cholesterol, and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heart attack, .
  • Dyslipidemia can be caused by smoking, drinking, genetic factors, and it is known that the risk of dyslipidemia is increased when obesity, diabetes and hypertension are present.
  • nonalcoholic fatty liv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atty liver caused by causes other than alcohol in fatty liver, wherein fatty acid is accumulated in the parenchyma cells in the form of triglyceride in an amount of 5% or more. Pathologically, it is classified as simple steatosis and inflammatory steatohepatitis. It is known that it can be converted to severe liver disease such as hepatitis, liver fiber and cirrhosis when left for a long time.
  • the compoun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markably excellent fat suppressing effect as compared with each of the extracts of red or black extracts (Fig. 1 and Fig. 2), as well as the effect of blood component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lipidemia, nonalcoholic fatty liver and dyslipidemia (Fig. 3). Therefore, the extract of Pseudomonas sp. And Rhodococcus sp.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its fractions may further compris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or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content of the complex extract or fraction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to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fraction thereof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oral preparations such a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nd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Can be used.
  • 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may also be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the suspending agent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 the suppository base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combine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disease, the type of drug,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period of time,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administration may be carried out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dos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in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may be expected, for example, by oral, rectal or intravenous, muscular, subcutaneous injection,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extract of Pseudomonas sp.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fragrant extract and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exhibits excellent weight loss efficacy and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ontains 10% by weight to 70% by weight of the total extract and fraction thereof.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dditional ingredients that are commonly used in food compositions and can improve odor, taste, visual appearance and the like.
  • it may include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calcium (Ca), chromium (Cr), magnesium (Mg), manganese (Mn) and copper (Cu)
  • It may also include amino acids such as lysine, tryptophan, cysteine, valine, and the like.
  • preservatives such as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 salicylic acid and dihydroxyacetate, disinfectants such as bleaching powder and highly bleached sodium hypochlorite, antioxidants such as butylhydroxyanilide (BHA), butylhydroxytoluene (BHT ), Coloring agent (tar color, etc.), coloring agent (such as sodium nitrite, sodium acetylate), bleaching agent (sodium sulfite), seasoning (MSG sodium glutamate, etc.), sweetener (hypodermic, cyclamate, saccharin, (Food additive) such as flavorings (vanillin, lactones, etc.), swelling agents (alum, potassium hydrogen D-tartrate), reinforcing agents, emulsifiers, thickeners, encapsulating agents, gum bases, foam inhibitors, Can be added.
  • the additiv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a health functional food or a health supplement.
  • health fo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food having an active health promotion effect or enhancement effect compared to a general food, and " health supplement food " do. In some cases, the terms functional foods, health foods, and health supplements are commonly used.
  • the food can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rings and the like in order to obtain useful effects.
  • the term "functional fo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It means foods with high effectivenes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ocessed food having improved storage properties while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livestock products or aquatic products by using the above-described Pseudomonas sp.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fragrance and the dried complex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ractions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includes margarine, fat continuous or water continuous or bicontinuous spread, Ice cream, ice cream coatings, ice cream ingredients, dressings, mayonnaise, cheese, cream substitutes, dried soups, drinks, cereal bars, sauces such as fat reduced spreads, chocolate or chocolate coatings or chocolate fillings or bakery products , A snack bar, a dairy product, a clinical nutrition food, a food for children,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fractions or fractions thereof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or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extract and its fractions or fractions thereof, , ≪ / RTI >
  • the subject includes mammals, particularly humans.
  • the dried product was placed in an extraction container, and water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refluxed twice at 100 ° C for 3 hours.
  • the extract was filtered through a filter pape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Japan), and lyophilized with a freeze dryer (OPR-FDY-8612, OPERON, KOREA) .
  • Composite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prepared at the weight ratios shown in the table below, using the single extract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and the single extract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 Example 1 Confirm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body fat percentage in the high fat diet mouse model
  • the mouse model fed with the extract of Pseudomonas aeruginosa and the combination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weight loss effect superior to that of the mouse model fed with the single extract of Pseudomonas sp.
  • the single extract of dried almonds did not show the weight loss effect, the amount of the algae contained in the combined extracts of Dahwa and Marum decreased by half compared to that of the single extract, Was superior to the single extract (Fig. 1).
  • the amount of fat in each part of the experimental animals was measured and recorded. Specifically, the fat tissue of the experimental animals was divided into abdominal fat, perirenal fat, and mesenteric fat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nd weighed.
  •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 the plasma isolated from the blood samples collected before harvesting the adipose tissue of the mouse used in Example 1 hepatic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blood sugar and triglyceride (TG) levels were measured.
  • ALT, AST, blood sugar and triglyceride which are elevated in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lipidemia, dyslip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TG) values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inhibitory effects exhibited by the mouse model fed with either the single-shot or single-dose extracts (Fig. 3).
  • Rhodia sinensis extrac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remarkably superior synergistic effects than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metabolic diseases of the single extract or single extract of Pseudomonas aeruginosa such as obesity or diabetes, hyperlipidemia, dyslipidemia, And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용도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에 대한 효능이 우수하며,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부작용이 없어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나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약제의 제조를 위한 용도 또는 치료 방법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도화 (Peach Blossom) 및 마름 (Water Chestnut)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육식 위주의 식생활로 변화되면서 열량 섭취는 과다해진 반면 운동량은 부족해져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등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발병이 급증하고 있다.
비만은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많아 체내에 과잉된 에너지가 지방으로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의 약리기전은 크게 1) 지방흡수 억제, 2) 지방 분해 및 열 발생 촉진, 3) 식욕 및 포만감의 조절, 4) 단백질 대사 저해 그리고 5) 음식물의 섭취와 관련된 정서 조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는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제니칼™ (Xenical™),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식욕을 억제하는 리덕틸™ (Reductil™)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제니칼™의 경우에는 지방변, 복부통증, 구토, 가려움증, 간 손상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으며, 리덕틸™의 경우에는 두통, 식욕부진, 불면, 변비 등의 부작용뿐만 아니라 심각한 심혈관계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질병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 및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당뇨병 치료제로는 PPAR-γ 활성제, GLP-1 유도체, DPP-IV 저해제 등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약제들은 체중 증가 및 간, 신장, 근육, 심장 등에 독성을 나타내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 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 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근경색, 뇌졸중이나 뇌경색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지혈증 치료제로는 HMG-CoA 환원효소 억제활성을 갖는 '스타틴' 계열의 약물이 있으나, 이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간이나 근육 등에 독성을 나타내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상지질혈증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이 증가된 상태, 또는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심장마비,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상지질혈증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는 약물은 MTP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약물인 Bayer 사의 BAY13-9952 (implitapide) 등이 있으나, 이러한 약물은 세포 내에서의 작용 기작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어 있지 않아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지방간 중에서 알코올 이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방간으로, 지방산이 중성지방의 형태로 간의 실질세포 내에 5% 이상 축적된 경우를 의미한다.  병리학적으로는 단순 지방간 (simple steatosis)과 염증을 동반한 지방간염 (steatohepatitis)으로 분류되는데, 장기간 방치 시 간염, 간 섬유, 간경변 등의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행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아직 발병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치료법 개발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표적 기관인 간은 다양한 해독 과정이 수행되는 기관이기 때문에, 약리활성을 증가시킨 약제를 사용하면 간세포가 손상될 위험이 있어 효과적인 약제의 개발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전반적인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에 대한 탁월한 치료제의 개발이 미비한 상태이고, 개개의 구체적인 질환에 대한 치료제들 역시 위와 같은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에 대한 치료 효능이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에 대한 효능이 우수하며,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부작용이 없어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지방 마우스 모델에서 도화 단일 추출물 (도화로 표시), 마름 단일 추출물 (마름으로 표시) 및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복합 1 또는 복합 2로 표시)의 총 체중 및 체중 증가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고지방 마우스 모델에서 도화 단일 추출물 (도화로 표시), 마름 단일 추출물 (마름으로 표시) 및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복합 1 또는 복합 2로 표시)의 복부 지방량 (abnominal fat weight), 콩팥주위 지방량 (perirenal fat weight), 장간막 지방량 (mesentric fat weight) 및 총 지방량 (total fat weight)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고지방 마우스 모델에서 도화 단일 추출물 (도화로 표시), 마름 단일 추출물 (마름으로 표시) 및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복합 1 또는 복합 2로 표시)의 간수치 (ALT 및 AST), 혈당 (glucose) 및 중성지방 (TG) 수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에 대하여 상세히 살핀다.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도화 (Peach Blossom)"는 장미과 (Rosaceae)에 속하는 복숭아 나무, 복사나무 또는 산복사나무의 꽃을 의미한다. 도화는 양성화로서 지름이 약 2.5 ~ 3.5 cm인 꽃으로 보통 담홍색, 백색, 농홍색 등의 품종이 있다. 도화는 4월 중순이나 5월 초순인 개화기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 생약재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도화는 Prunus persica 또는 Prunus davidiana의 학명을 갖는 식물의 꽃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도화 추출물"은 복숭아꽃 또는 꽃봉오리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마름 (Water Chestnut)"은 마름과(Hydrocary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으로, 물 속에서 자라고 진흙 속에 뿌리를 박고 있으며 줄기는 수면까지 자라나 잎을 펼친다. 본 발명에서 마름은 마름속 (Trapa genus) 식물을 모두 포함하며, 예컨대 Trapa natans, Trapa japonica 또는 Trapa incisa 등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마름의 열매를 능실 또는 능인, 마름의 열매 껍질을 능각, 마름의 줄기를 능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마름 추출물"은 마름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마름 추출물은 마름의 전체 또는 일부 부위, 예컨대 열매, 과육, 열매 껍질, 줄기, 잎, 꽃, 뿌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마름의 열매, 과육 및/또는 열매 껍질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은 상기 도화 추출물 및 상기 마름 추출물의 혼합물이거나, 도화와 마름 혼합물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화 추출물 및 마름 추출물의 혼합물 내에 도화 추출물 및 마름 추출물은 10:1 내지 1:10 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내지 1:3으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화와 마름의 혼합물 역시 10:1 내지 1:10 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4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천연 물질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침지 추출법, 고온 및 고압 증기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천연 물질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C4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30% 내지 80% 메탄올 (v/v), 30% 내지 80% 에탄올 (v/v)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도화 또는 마름의 건조 중량의 2배 내지 2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은 도화 또는 마름 건조물을 각각 세절한 후 따로 추출 용기에 넣고 물 또는 C1 또는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50% 메탄올 (v/v), 30% 에탄올 (v/v) 또는 70% 에탄올 (v/v)을 넣고 일정 온도에서 추출을 진행하여 단일 추출물을 제조한 뒤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하나의 예시로써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은 당해 기술 분야 또는 유사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모든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용매가 물인 경우는 100 ℃, 50% 메탄올 (v/v)인 경우는 80 ℃, 30% 에탄올 (v/v)인 경우는 85 ℃, 70% 에탄올 (v/v)인 경우는 80 ℃에서 추출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및 건조 분말화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화 및 마름의 50% 메탄올 추출물은 50% 내외의 메탄올 추출물을 의미하며, 45% ~ 55% 메탄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화 및 마름의 30% 에탄올 추출물은 30% 내외의 에탄올 추출물을 의미하며, 25% ~ 35%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화 및 마름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70% 내외의 에탄올 추출물을 의미하며, 65% ~ 75%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천연 물질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C4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이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에 대한 현저한 치료 효과가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화 및 마름의 복합 추출물은 도화 또는 마름 단일 추출물 각각에 비해 고지방 식이 마우스의 체중 감소 효과 및 지방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1 및 도 2),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및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성질환에서 나타나는 혈중 인자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사성 질환"은 당, 지질,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대사 이상으로 인한 질환을 총칭하며, 구체적인 예로 혈당 대사 이상에 의한 비만, 당뇨병, 지질 대사 이상에 의한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한 예방 또는 치료의 대상이 되는 질환은 모든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을 포함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혈당 대사 이상에 의한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만"은 일반적으로는 살이 찐 상태 즉, 체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병리학적으로는 신체 비만 지수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체중 (kg)을 신장 (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한국의 경우에는 25 이상, 세계보건기구 (WHO)에 의하면 30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 체중이 정상치보다 많이 나가는 것을 뜻하지만 과체중이 아니더라도 몸의 구성성분 중 지방의 비율이 높은 경우 비만으로 진단한다. 비만은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서 발병하는 질환으로, 비만 증상이 발생한 개체에서는 통상적으로 혈장으로부터 지방세포로 유입된 지방산과 포도당이 에스테르화하여 주로 중성지방의 형태로 축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질병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 및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망막병증, 신기능장애, 신경병증, 심혈관계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 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 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질병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자체로는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합병증에 의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혈액 내 중성 지방의 증가에 의해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아킬레스건에 황색종 (xanthoma)이 발생하거나, 눈꺼풀에 황색판종 (xanthelasma)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상지질혈증"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이 증가된 상태, 또는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심장마비,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상지질혈증은 흡연, 음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비만, 당뇨병, 고혈압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이상지질혈증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지방간 중에서 알코올 이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방간으로, 지방산이 중성지방의 형태로 간의 실질세포 내에 5% 이상 축적된 경우를 의미한다. 병리학적으로는 단순 지방증 (simple steatosis)과 염증을 동반한 지방간염 (steatohepatitis)으로 분류되는데, 장기간 방치시 간염, 간 섬유, 간경변 등의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행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도화 또는 마름 단일 추출물 각각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지방 억제 효과 뿐만 아니라(도 1 및 도 2),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및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성질환을 나타내는 혈중 인자의 억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도 3). 따라서,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은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복합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복합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복합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그의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식품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체중 감소 효능이 우수하며 탁월한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 개선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 (niacin), 비오틴 (biotin), 폴레이트 (folate), 판토텐산 (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 (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디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 (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 (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등), 착색제 (타르색소 등), 발색제 (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 (아황산나트륨), 조미료 (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 (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 (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 (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 (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 (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식품 (health food)"은 일반 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 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하고, "건강보조식품 (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 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기능성 식품,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호용된다. 상 기 식품은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능식품 (functional food)"은 특정보건용 식품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변형시키는 동시에 저장성을 좋게 한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마가린, 지방 지속성 (fat continuous) 또는 물 지속성 (water continuous) 또는 양쪽 지속성(bicontinuous) 스프레드, 지방 감소된 스프레드, 초콜렛, 또는 초콜렛 코팅 또는 초콜렛 속 (fillings) 또는 베이커리 속과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 아이스크림 코팅, 아이스크림 함유물, 드레싱, 마요네즈, 치즈, 크림 대체물, 건조 스프, 드링크, 시리얼 바, 소스, 스낵바, 유제품, 임상 영양식품, 소아용 식품 등의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용도,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한 치료 방법
본 발명은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사용을 위한,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치료적으로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포유류, 특히 인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단일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 도화 단일 추출물의 제조
도화 건조물을 세절한 후 추출 용기에 넣고, 물을 넣어 100 ℃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2회 반복하여 환류 (reflux)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진공증발기 (Rotary vacuum evaporator) (EYELA, japan)로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기 (OPR-FDY-8612, OPERON, KOREA)로 동결 건조하여 도화 단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마름 단일 추출물의 제조
능인 및 능각 건조물을 세절하여 제조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추출 및 동결 건조하여 마름 단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도화 단일 추출물과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마름 단일 추출물을 아래 표에 기재된 중량비로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8013098-appb-T000001
제조예 4: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의 제조
도화와 마름의 건조물을 세절하여 아래 표 2에 기재된 중량비로 혼합하고, 제조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추출 및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8013098-appb-T000002
실시예 1: 고지방 식이 마우스 모델에서 체지방률 감소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의 체중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1일령 (3주령)의 수컷 마우스 C57BL/6를 구입하여 1주일간 물과 사료 (chow diet)를 자유급식하도록 하면서 적응시켰다. 실험동물이 4주령이 되었을 때,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케이지 당 평균체중 편차가 0.1 g 이내로 고르게 섞일 수 있도록 배치한 다음, 하기 표 3과 같이 식이 조건을 달리하여 총 6그룹 (각 n = 8)으로 나누었다. 이후, 총 8주간 하기 표 3의 각 군에 해당하는 추출물이 섞인 고지방 사료 (60% kcal fat)를 3 ~ 4일에 한 번씩 공급하였다.
Figure PCTKR2018013098-appb-T000003
그 결과,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섭식시킨 마우스 모델은 도화 단일 추출물을 섭식시킨 마우스 모델보다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마름 단일 추출물 자체는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의 경우, 도화 단일 추출물에 비해 함유된 도화의 양이 1/2로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 감소효과는 도화 단일 추출물보다 우수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도 1).
한편, 상기 체중 감소 효과가 지방 억제 효과임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동물의 부위별 지방량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 동물의 지방조직은 실험 종료 후 복부지방 (abdominal fat), 콩팥주위 주변 지방량 (perirenal fat), 장간막 지방량 (mesentric fat)으로 구분하여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섭식시킨 마우스 모델은 도화 단일 추출물 또는 마름 단일 추출물을 섭식시킨 마우스 모델보다 모든 부위의 지방량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2).
상기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은 도화 단일 추출물 또는 마름 단일 추출물이 나타내는 것보다 현저히 우수한 지방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고지방 식이 마우스 모델에서의 혈중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 지표 감소 효과 확인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이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임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에 사용된 마우스의 지방조직을 적출하기 전 채취한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혈장에서 간수치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및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혈당량, 및 중성지방 (TG) 수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고지방 식이 섭취 마우스 모델에 섭식시킨 경우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등 대사성 질환에서 만성적으로 높아지는 혈중 ALT, AST, 혈당 및 중성지방 (TG) 수치 모두 도화 단일 추출물 또는 마름 단일 추출물을 섭식시킨 마우스 모델이 나타내는 억제 효과보다 현저히 우수한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3).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은 도화 단일 추출물 또는 마름 단일 추출물의 대사성 질환 치료 효과보다 현저히 우수한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바, 비만, 또는 당뇨병,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등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10)

  1.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도화 추출물 및 마름 추출물의 혼합물이거나, 도화와 마름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약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이고, 상기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체중 감소 효능을 갖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인 식품 조성물.
  9.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0.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용도.
PCT/KR2018/013098 2017-10-31 2018-10-31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886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854A KR101886314B1 (ko) 2017-10-31 2017-10-31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7-0143854 2017-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691A1 true WO2019088691A1 (ko) 2019-05-09

Family

ID=6344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3098 WO2019088691A1 (ko) 2017-10-31 2018-10-31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6314B1 (ko)
WO (1) WO201908869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217A (ko) * 2004-05-08 2005-11-11 학교법인 인제학원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116896A (ko) * 2005-05-11 2006-11-16 학교법인 인제학원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당뇨병에의한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270096A (ja) * 2009-05-19 2010-12-02 Miyuki Shirosaki グルコース吸収抑制剤
KR20140028293A (ko) * 2012-08-28 2014-03-10 (주)뉴메드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21B1 (ko) 2004-12-17 2007-03-12 스마트전자 주식회사 표면실장형 소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41927A (ko) 2005-10-17 2007-04-20 안봉전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0804104B1 (ko) 2006-07-06 2008-02-18 주식회사 워터비스 복숭아꽃 추출물과 해양 심층수 주요 미네랄로 조성된 음료및 건강 식품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217A (ko) * 2004-05-08 2005-11-11 학교법인 인제학원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116896A (ko) * 2005-05-11 2006-11-16 학교법인 인제학원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당뇨병에의한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270096A (ja) * 2009-05-19 2010-12-02 Miyuki Shirosaki グルコース吸収抑制剤
KR20140028293A (ko) * 2012-08-28 2014-03-10 (주)뉴메드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DU JIN: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Trapa Japnica Extract", MASTER'S THESIS, February 2016 (2016-02-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314B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0760A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9248157B2 (en) Extracts of cynara scolymus, coffea ssp. and olea europaea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WO2007094497A1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改善剤
KR20130102295A (ko)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3047958A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16180B1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1706017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약학적 조성물
WO2019088381A1 (ko)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03204A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WO2019088691A1 (ko)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2947B1 (ko)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543245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KR20140114950A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049410A (ko)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3318B1 (ko) 멀꿀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콜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기능을 갖는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
KR102152959B1 (ko)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03248A1 (ko) 섬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49409A (ko) 도화 및 하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1161B1 (ko)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건강 개선 및 보호용 조성물
CN106163535B (zh) 包含胡桃萃取物的抗肥胖剂
WO2024063239A1 (ko) 홍삼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및 결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44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44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