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293A -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293A
KR20140028293A KR1020120094213A KR20120094213A KR20140028293A KR 20140028293 A KR20140028293 A KR 20140028293A KR 1020120094213 A KR1020120094213 A KR 1020120094213A KR 20120094213 A KR20120094213 A KR 20120094213A KR 20140028293 A KR20140028293 A KR 2014002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lipid
extract
dermis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697B1 (ko
Inventor
박주연
임동욱
송미경
Original Assignee
(주)뉴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메드 filed Critical (주)뉴메드
Priority to KR1020120094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697B1/ko
Priority to US14/424,991 priority patent/US10350257B2/en
Priority to EP13833473.5A priority patent/EP2891496B1/en
Priority to PCT/KR2013/005482 priority patent/WO2014035035A1/ko
Publication of KR2014002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관 내 지질을 감소시키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bined extract of Crataegi Fructus and Citri Pericarpium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order}
본 발명은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정신적 요인 등에 의해 지방 조직이 체내에 과잉으로 축적되어 건강에 이상을 초래하는 상태를 말하며, 고혈압, 고지혈증, 심장 질환, 당뇨, 암 등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1996년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하여 주요 만성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인식하고 있고, 국내 비만치료지침 2010 권고안에는 비만은 질환이며 반드시 치료되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러한 비만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WHO에서는 전 세계적인 비만 인구는 12억으로 2015년에는 15억까지 증가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또한,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발표에 따르면, 미국 인구의 31 %, 우리나라 인구의 3.2% 가 BMI 30 kg/m2이상의 고도 비만이다. 이에 따라 비만 치료제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세계 비만 치료제 시장은 2008년 기준 2,000천억 달러 규모에서 2014년까지 년간 약 20 %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비만 치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약물 선호현상을 들 수 있으며, 검증되지 않는 약물을 사용하거나, 약물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에도 남용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향정신성 비만 치료제는 몇 주 동안만 비만치료의 보조 요법으로 사용이 제한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되고 있지 않는 점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국내 비만치료제의 절반을 점유하였던 식욕억제제로 작용하는 시부트라민(Sibutramine) 성분의 혈압상승, 호흡증가, 의식 장애, 갑상선 기능저하 등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면서, 2010년 유럽, 미국에 이어 국내에서도 판매 중지 조치가 되었다. 이후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성분 공급량이 증가되면서 비만 치료제의 공급량은 평상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복용 시 나타나는 부작용이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비만 치료를 위한 체중 조절 방법으로는 상기 약물치료 이외에,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등이 있으며, 다이어트 관련 산업으로는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헬스센터, 비만클리닉 이용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특히 국내 다이어트 식품 시장 규모는 약 1,500 ~ 2,000 억원으로 매년 7 ~ 10 %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비만 치료제의 심각한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의약품보다는 접근이 용이하고,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식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체중 조절을 위한 대표적인 건강기능식품 중 복합리놀레산(Conjugated linolenic acid, CLA)은 리놀레산의 이중결합 공액 이성체들로서, 지단백분효소 억제에 따른 지방흡수 저하 및 지방축적 억제, 미토콘드리아 활성 증가에 따른 기초대사량 증가, 지방세포의 사멸(apoptosis) 증가에 따른 지방세포수 감소 등의 효과가 여러 실험을 통해 보고되었으며, 사람이 매일 3 g 내외 섭취 시 3 개월 후 체중이 평균 2.5 kg, 체지방 15 ~ 20 %가 감소되는 효과가 임상시험을 통해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체중 감소 효과는 일관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며,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어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비롯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되어 있는 환자에게 복합리놀레산 제품을 투여하는 것에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또 다른 체중 조절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인도가 원산지인 Garcinia 종의 식물로, 이 과일 껍질에는 ATP-citrate lyase의 작용을 억제하는 hydroxycitrate(HCA)가 약 10 ~ 30% 함유되어 있어, 지방산 생합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섭취량 또한 감소시켜 체중 증가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CA 섭취 기준으로 캄보지아 추출물을 임상시험에 적용시킨 결과, 체지방량 감소, 지방대사산물 배설 증가, 에너지섭취량 감소 등에 따른 체중 감소효과가 보고되었지만, 대부분 10일 ~ 12주 기간에 이루어진 단기 결과이며, 12주 임상시험에서 HCA 1,500 mg 섭취군이 위약과 비교하였을 때 체중감량 효과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CA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 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다.
비만치료를 위해 복용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중 현재 비만치료를 위해 처방되고 있는 약물보다 더 효과적인 것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제품마다 가격의 편차가 크고 기능성에 대한 허위 광고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 제품선택에 혼란을 주고 치료효과까지 고려한다면 그렇게 저렴하지는 않은 형편이다. 체중감량 효과가 주장되고 있는 식품도 섭취자의 규칙적인 운동 및 식이조절과 병행해야 체중 감량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식품효능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에 효능이 입증되지 않는 제품들의 시장이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객관적으로 효능을 입증 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식품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산사(山査; Crataegi Fructus)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한 낙엽교목인 Crataegus pinnatifida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비, 위, 간경에 작용하여 식적(食積)을 없애고 음식의 소화를 촉진시키며 어혈(瘀血)을 제거하는데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재이다. 산사의 주요성분은 crataego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oleanolic acid 유기산과 quercetin, vitexin, epicatechin, rutin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이며 이 들 성분은 소화기에 대한 작용, 혈압강하, 항균, 강심 작용 등을 나타낸다. 현재 산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혈중 지질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었고, 특히 동물실험에서 체중 감소 효과가 보고되었다.
진피(陳皮; Citri Pericarpium)는 운향과(Rutaceae)에 속한 상록 소교목의 Citrus unshiu 의 성숙한 열매의 과피를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주로 비에 작용하여 이비화위(理脾和胃), 조습화담(燥濕化痰), 건비화중(健脾和中)의 효능으로 작용하여 소화를 촉진하고, 식적(食積)에 의한 통증을 제거하는데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재이다. 진피의 주요 성분은 limonene, α, β-pinen 등이며 Flavonoids 화합물로는 hesperidin이 약 8.4% 정도 함유되어 있고 neohesperidin, tangeritin, citromitin, 5-O- desmethyl citromitin 등이 있다. 이러한 성분은 위장평활근 이완, 위액분비 촉진, 항위궤양, 소염 작용 등을 나타내며, 현재 진피 추출물은 혈중 지질 억제 효과, 체중 감소 효과, 지방세포 합성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산사와 진피로 이루어진 조성물인 HT048이 개별 약재보다 높은 혈중 지질 감소 및 체중 감소에 유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사와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사와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지방간, 뇌졸중, 심혈관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산사 및 진피의 중량비는 7:1 내지 1:7가 바람직하며, 2:1 내지 1:2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C1 ~ C4의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산사 및 진피의 중량비 및 추출용매는 상기 약학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성 음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관 내 지질을 감소시키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고지방식이 비만동물모델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고지방식이 비만동물모델의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고지방식이 비만동물모델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산사 및 진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상기 복합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산사 및 진피를 건조 후 파쇄하는 단계;
(2) 파쇄된 산사 및 진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3)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및
(4)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 사용되는 산사 및 진피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의 추출은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온도는 4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간은 2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2회 이상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에 사용되는 추출용매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 C4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의 농도는 0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1)에서 준비된 산사 및 진피의의 5 내지 15배 중량 또는 부피의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4)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산사 및 진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고지방 식이에 의한 비만 환경에서도 체중 획득량(body weight gain)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도 1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만 환자의 체중을 정상 체중으로 가깝도록 조절하거나, 정상인이 비만 환자가 되는 것을 예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사 및 진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지방간, 뇌졸중, 심혈관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의 농도 및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레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은 산사 및 진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비만 환자의 체중을 정상 체중에 가깝도록 조절하거나 정상인이 비만에 이르지 못하도록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산사 및 진피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지질 농도 개선 효과가 있으므로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개선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내의 유효성분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음료, 껌, 비타민 복합제, 드링크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복합 추출물의 제조
산사와 진피는 약수당(서울 동대문구)에서 구입하였다. 산사 62.5g 및 진피 37.5g에 각각 10배 중량의 30% 에탄올을 넣고 80℃에서 3 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의 여과액을 60 brix로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 후 혼합하였다.
< 실시예 2> 복합 추출물의 제조
산사 50 g 및 진피 50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 후 혼합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복합 추출물에 포함된 산사 및 진피의 함량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비교예 1> 산사 추출물의 제조
산사 100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진피 추출물의 제조
진피 100 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추출물에 포함된 산사 및 진피의 함량은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pat00002
< 실시예 3> 복합 추출물의 체중감소 및 지질감소 효과 확인
1. 실험 개요
사람이 비만해지는 경우와 매우 유사한 과정이 나타나는 동물모델인 DIO (Diet induced obesity) 흰쥐 (rat) 모델을 이용하였다.
2. 실험 동물
실험동물은 80 ~ 100 g의 스프라그 도우리(Spraque-Dowley, (주) 샘타코 BIO KOREA) 종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3. 실험군 설정
- 정상군(AIN-93G, 정상 식이 + 2차 증류수 투여)
- 대조군(60 % Kcal의 고지방 식이 + 2차 증류수 투여)
- 양성대조군(60 % Kcal의 고지방식이 + HCA 390 mg/kg 투여)
- 산사 추출물 투여군(고지방식이 + 비교예 1의 산사 추출물 100 mg/kg 투여)
- 진피 추출물 투여군(고지방식이 + 비교예 2의 진피 추출물 100 mg/kg 투여)
- 복합 추출물 투여군(고지방식이 + 실시예 1 또는 2의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
4. 실험 조건
온도는 22 ± 2℃, 상대습도는 50 ± 10 %이었고, 명암 싸이클(07:00 점등 ~ 19:00 소등)은 형광등 조명으로 조절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1일 2회 경구투여로 8주간 진행하였으며, 실험진행 기간 동안 1일 1회 몸무게 측정, 3일 1회 사료 섭취량 측정을 하였으며, 8주 투여 후 모든 실험군을 희생하여 혈액을 채취 후 혈청을 분리하여, 혈중 Triglyceride (mg/dL)과 Total cholesterol (mg/dL)을 생화학 분석 장비 (VetTest 8008, IDEXX,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5. 실험 결과
투여군 별로 8주간 시료를 투여한 결과, 8주 후 산사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의 body weight gain (g) 감소율은 각각 3.2%, 5.7% 로 통계적으로 대조군과 대비하여 유의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의 body weight gain (g)의 감소율은 대조군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13% 감소하였으며(359.3±10.5 g VS 311.5±18.5 g, P < 0.01)(mean ± SD), 양성 대조군인 HCA 390 mg/kg 투여군 보다 높은 감소 효과를 확인 하였다(도 1 참조).
또한, 8주간 투여 후 모든 실험군을 희생하여 혈액 채취 후 혈청 분석을 한 결과, 산사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의 혈중 Triglyceride(mg/dL) 농도는 각각 12.7%, 10%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대조군 대비하여 유의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의 혈중 Triglyceride(mg/dL) 농도는 대조군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21.7% 감소가 나타났다(158.4±23.9 mg/dL VS 124±5.8 mg/dL, P<0.05)(도 2 참조).
또한, 혈중 Total cholesterol(mg/dL) 농도를 비교한 결과 산사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2.5% 감소하였으나, 진피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의 경우 아무런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복합 추출물 100 mg/kg 투여군의 경우 통계적으로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28.4%의 감소가 나타났다(72.9±13.6 mg/dL VS 52.2±8.7 mg/dL, P < 0.01)(도 3 참조).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 및 표 4와 같이 정리된다.
[표 3]
Figure pat00003
[표 4]
Figure pat00004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추출물 .......................200㎎
유당..........................................100㎎
전분..........................................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추출물 .......................200㎎
유당...........................................50㎎
전분...........................................50㎎
탈크............................................2㎎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3>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추출물.......................1000㎎
설탕..........................................20g
이성화당......................................20g
레몬향........................................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0㎖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 제제예 4>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추출물.........................1000 ㎎
비타민 혼합물.....................................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1.0 ㎎
비타민 B1........................................0.13 ㎎
비타민 B2........................................0.15 ㎎
비타민 B6.........................................0.5 ㎎
비타민 B12........................................0.2 ㎍
비타민 C...........................................10 ㎎
비오틴.............................................10 ㎍
니코틴산아미드.....................................1.7 ㎎
엽산................................................50 ㎍
판토텐산 칼슘.......................................0.5 ㎎
무기질 혼합물.......................................적량
황산제1철..........................................1.75 ㎎
산화아연...........................................0.82 ㎎
탄산마그네슘.......................................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55 ㎎
구연산칼륨...........................................90 ㎎
탄산칼슘............................................100 ㎎
염화마그네슘.......................................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예, 영양캔디 등)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5> 건강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추출물........................1000 ㎎
구연산........................................1000 ㎎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0)

  1.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지방간, 뇌졸중, 심혈관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질환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산사 및 진피의 중량비는 7:1 내지 1:7인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비는 2:1 내지 1:2인 약학 조성물.
  6.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지방간, 뇌졸중, 심혈관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질환인 건강기능식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C1 ~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것인 건강기능식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되는 산사 및 진피의 중량비는 7:1 내지 1:7인 건강기능식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비는 2:1 내지 1:2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20094213A 2012-08-28 2012-08-28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1415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13A KR101415697B1 (ko) 2012-08-28 2012-08-28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US14/424,991 US10350257B2 (en) 2012-08-28 2013-06-21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 of Crataegi fructus and Citri pericarpiu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EP13833473.5A EP2891496B1 (en) 2012-08-28 2013-06-21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COMPLEX EXTRACT OF CRATAEGI FRUCTUS and CITRI PERICARPIU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OBESITY OR LIPID-RELATED METABOLIC DISEASES
PCT/KR2013/005482 WO2014035035A1 (ko) 2012-08-28 2013-06-21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13A KR101415697B1 (ko) 2012-08-28 2012-08-28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93A true KR20140028293A (ko) 2014-03-10
KR101415697B1 KR101415697B1 (ko) 2014-07-04

Family

ID=5018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213A KR101415697B1 (ko) 2012-08-28 2012-08-28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50257B2 (ko)
EP (1) EP2891496B1 (ko)
KR (1) KR101415697B1 (ko)
WO (1) WO20140350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008A1 (ko) * 2015-02-02 2016-08-11 홍삼나라(주) 지방배출 효능의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88691A1 (ko) * 2017-10-31 2019-05-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265B1 (ko) * 2014-08-25 2022-07-26 에이뮨 테라퓨틱스, 인코퍼레이티드 난 단백질 제형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727138A (zh) * 2016-03-24 2016-07-06 成都富豪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肝郁脾虚型脂肪肝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22067B1 (ko) 2017-10-18 2019-09-18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에 아가위 열매 추출물이 포집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또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817B1 (ko) 2001-04-16 2003-11-14 한국과학기술원 광대역 광증폭기
KR100495361B1 (ko) 2001-04-30 2005-06-14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측정장치 및 성막가공방법
KR100402735B1 (ko) 2001-12-20 2003-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응용계층 스크립트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시스템 및단대단 보안 세션정보 관리방법
KR20030005129A (ko) * 2002-12-13 2003-01-15 이종선 함초,오가피를 주제로 한 건강식품
KR20030008184A (ko) * 2002-12-18 2003-01-24 김대곤 함초,다시마 를 주제로 한 건강식품
US20040132816A1 (en) * 2003-01-06 2004-07-08 Liao Medical Corporation Lipid metabolism and fructus crataegus
KR101043145B1 (ko) * 2003-07-28 2011-06-20 김영찬 한약재를 이용한 비만 치료 조성물
KR100912849B1 (ko) 2004-02-12 2009-08-18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2 차 전지용 부극재료 및 그 제조 방법과 리튬 2 차전지용 부극 재료를 이용하는 리튬 2 차 전지용 부극 및리튬 2 차 전지
JP3979405B2 (ja) 2004-07-13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実装構造体及び電子機器
KR20060010603A (ko) 2004-07-28 2006-02-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EP1846011B1 (en) 2005-01-25 2011-08-24 Neumed In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having neuroprotective activity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troke
US20070059386A1 (en) * 2005-09-12 2007-03-15 Tsun-Nin Lee Modular system for novel Chinese herbal formulas
KR100577674B1 (ko) * 2006-02-03 2006-05-10 신흥묵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약제학적 조성물
KR100787175B1 (ko) * 2006-06-02 2007-12-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및 희렴을 포함하는한약제제 혼합물의 동맥경화 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및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0786122B1 (ko) * 2006-11-17 2007-12-21 주식회사 휴온스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47343B1 (ko) 2006-12-08 2008-07-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복합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길이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08119130A1 (en) * 2007-04-02 2008-10-09 Medcina Group Pty Ltd Herb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emenstrual syndro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6008A1 (ko) * 2015-02-02 2016-08-11 홍삼나라(주) 지방배출 효능의 천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088691A1 (ko) * 2017-10-31 2019-05-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1496A4 (en) 2016-03-16
WO2014035035A1 (ko) 2014-03-06
US20150202244A1 (en) 2015-07-23
EP2891496B1 (en) 2018-08-01
KR101415697B1 (ko) 2014-07-04
EP2891496A1 (en) 2015-07-08
US10350257B2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4805A1 (en) Compositions of Hoodia Gordonii and Pinolenic Acid Derivatives
WO2006023646A1 (en) Nutritional supplement for body fat reduction
KR101415697B1 (ko)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CN101129196B (zh) 一种具有减肥功能的保健品
EP3705127A2 (en) Composition comprisingsalvia miltiorrhiza
CN102423374B (zh) 一种具有减肥作用的药物组合物
CN102652801A (zh) 一种降血糖及防治糖尿病并发症的中草药袋泡茶
EP285989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uscular disorders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1766274B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CN101185706B (zh) 具有延缓衰老作用的沙棘营养复合剂及其制备工艺
KR101565964B1 (ko) 아위버섯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6350B1 (ko) 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10105627A (ko)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851586B1 (ko) 락토바실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997018A (zh) 一种红豆杉酵素保健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2660A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7416750B1 (en) Composition to provide maintenance and nutritional support in glycemic control deficits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