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217A -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217A
KR20050107217A KR1020040032522A KR20040032522A KR20050107217A KR 20050107217 A KR20050107217 A KR 20050107217A KR 1020040032522 A KR1020040032522 A KR 1020040032522A KR 20040032522 A KR20040032522 A KR 20040032522A KR 20050107217 A KR20050107217 A KR 20050107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diabetes
present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286B1 (ko
Inventor
김정인
김묘정
장정순
주희정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인제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to KR102004003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28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6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 F26B11/047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for mixing, stirring or convey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e.g. mounted to the wall, rotating with the drum
    • F26B11/0481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for mixing, stirring or convey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e.g. mounted to the wall, rotating with the drum the elements having a screw- or auger-like shape, or form screw- or auger-lik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우수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식후 탄수화물의 소화 속도를 느리게 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Trapa japonica Flerov.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mellitus}
본 발명은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췌장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작용 부족에 의해 유발된 대사장애로 정의되며 포도당의 과잉생산, 체지방의 분해 및 단백질의 낭비를 수반하고 글루카곤의 분비를 비정상적으로 항진시켜 대사상의 혼란을 야기시킨다(Abrams, J.J., Ginsberg, H, et al., Diabetes, 31, pp903-910, 1982).
진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두 가지 유형으로 특징지워지는데, 제 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mellitus)은 혈액 내의 글루코스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Insulin)의 분비 결핍으로 야기되며, 주로 10 내지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소아당뇨병(juvenile diabetes)이라 불리기도 한다. 제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며,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 1형과는 달리 성인형 당뇨병이라 불리며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소가 함께 관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 2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췌장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장애와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결함(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된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당치를 가능한 정상치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인데, 공복혈당과 함께 식후 혈당조절이 당뇨병 증세의 개선과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며(Jenkins, D. J. A., Wolever et al.,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1, pp149-159, 1988; Menendez, C. M., Stoecker, B. J., The role of diet in improving glycemic control in Nutrition and Diabetes, Javanovic, L. and Peterson, C. M. (ed.), Alan R. Liss Inc., pp15-36, 1995), 치료 방법으로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이 있다.
현재 제 1형 및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되는 경구 혈당강하제로 α-글리코시다제(α-glucosidase) 억제제,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제제 및 비구아니드(biguanide)제제가 있으며,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섭취한 식이 중의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및 혈중 인슐린의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는 고인슐린혈증이나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고, 인슐린분비를 촉진시키며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글루카곤-유사-펩티드-1(glucagon-like peptide-1)의 소장에서의 분비를 촉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Mooradian, A.D., Thurman, J.E., Drugs, 57, pp19-29, 1999; Baron, A.D.,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40, ppS54-S55, 1998).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는 아카보스(acarbose), 보길리보스(voglibose) 및 미글리톨(miglitol) 등이 있으나, α-글리코시다제 저해제를 장기 복용한 경우 일부 환자에 있어서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등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Hanefeld, M.,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12, pp228-237, 1998).
본 발명의 마름(Trapa japonica Flerov.)은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수생식물로 한해살이 풀이다. 마름 열매는 민간요법에서 위장병, 치질, 식도암, 자궁암, 당뇨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나(鄧元錐, 中草藥治療癌腫. 北京:藥要書刊, p103, 1976; 정보성, 원색 천연약물 대사전, 남성당, p271, 1984), 과학적으로 그 효능을 규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어떤 문헌에서도 마름 추출물의 혈당조절관련 당뇨병 증세의 개선 및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나 교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식후혈당 억제작용이 우수한 물질을 제공하고자 마름 추출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실험한 결과, 마름 추출물의 탁월한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및 식후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마름(Trapa japonica Flerov.)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름을 구입하여, 동결건조하여 마쇄한 후 마름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의 메탄올로 실온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하여 감압여과에 의해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한 다음, 얻어진 잔사에 추출 시작 당시의 마름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의 메탄올로 실온에서 약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한 후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마름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마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마름 추출물의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아카보스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당뇨쥐를 이용한 생체내(in vivo) 실험에서도 유의적인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마름은 오랫동안 식용되거나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뇨병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마름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당뇨병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름 추출물의 제조
마름을 동결건조하여 마쇄한 후, 마름 시료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100% 메탄올을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감압여과하여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한 다음 얻어진 잔사에 추출 시작 당시의 마름 중량의 5배에 해당하는 100% 메탄올을 첨가하여 6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다시 감압여과한 후, 얻어진 잔사에 추출 시작 당시의 마름 중량의 3배에 해당하는 100% 메탄올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자석교반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최종 마름 추출액을 수득하였다(수득율 17.6%).
실험예 1. 마름 추출물의 α-글루코시다제 저해 활성 측정
본 실험에 사용한 효모 α-글루코시다제는 시그마사(Sigma, Louis, MO, USA)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효소기질은 피라노사이드(para-nitrophenyl-alpha-D-glucopyranoside)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구로는 혈당상승억제제로서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카보스(상품명: 글루코바이, 바이엘-코리아)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름 메탄올 추출물을 건조시킨 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0.5㎎/㎖의 농도로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한 다음, 이를 효모(yeast) α-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한 효소반응액에 넣어 α-글루코시다제의 저해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0.5 ㎎/㎖에서 마름 메탄올 추출물 및 아카보스는 효소활성을 각각 56.6%, 43.9%로 α-글루코시다제를 유의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표 1 참조).
농도(㎎/㎖) 마름 메탄올 추출물 아카보스
0.50 56.6% 43.9%
실험예 2. 당뇨쥐에서의 마름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 측정
시험관내(in vitro) 실험에서 탁월한 α-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보인 마름 추출물의 생체내(in vivo) 혈당강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균 체중이 250-280g인 스프라그-도울리계(Sprague-Dawley) 수컷 흰쥐에게 0.1M 구연산염 완충액(citrate buffer, pH 4.5)에 용해시킨 스트렙토조토신(Sigma Co., USA) 65㎎/㎏을 복강에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하였으며, 1 주일 후 당뇨 유발 확인을 하였다. 평균 체중 260.3 ± 10.8g의 스프라그-도울리계 수컷 흰쥐를 대조군(n = 9)과 마름 추출물 투여군(n = 9)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전분(starch, 1g/㎏)만을, 마름 추출물 투여군은 전분(1g/㎏)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마름 추출물(500㎎/㎏)을 생리적 식염수에 용해하여 투여하였으며, 시료 투여액의 조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투여 후 30, 60, 90, 120, 180, 240분에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간이혈당계(아큐트렌드, 녹십자)로 측정하였고, 혈당증가곡선 면적을 구하였다.
모든 결과는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마름 추출물 투여군 사이의 유의성 검정은 스튜던트 T-검정(Student's t-test)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α = 0.05).
흰쥐를 이용한 혈당상승억제 효능 실험을 위한 시료투여액의 조성
성분 대조군 마름 투여군
수용성 전분 1.0 g 1.0 g
마름 추출물 - 0.5 g
증류수 7.5 ml 7.5 ml
마름 추출물을 전분과 함께 경구 투여시 혈당증가곡선의 차이
종류 식후 혈당변화 곡선의 면적(㎎·min/㎗)
전분 11,285 ± 1,110
전분 + 마름 7,992 ± 838
(평균 ± 표준오차)
그 결과, 마름 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식후 30, 60, 90, 120분 후에 혈당증가치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P < 0.05), 식후 혈당변화 곡선의 면적 또한 마름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 < 0.05). 즉, 당뇨동물에 있어서 마름 추출물의 식후 혈당조절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및 표 3 참조).
실험예 3.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을 100㎎/㎏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00㎎/㎏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0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마름 추출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마름 추출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마름 추출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마름 추출물 분말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마름 추출물 분말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마름 추출물 분말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마름 추출물 분말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름 추출물은 우수한 알파-글루코시다제 저해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식후 탄수화물의 소화 속도를 느리게 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당뇨쥐에서 마름 추출물(500㎎/㎏)을 전분(1g/㎏)과 함께 투여한 경우 및 전분(1g/㎏)만 투여한 경우의 식후혈당량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5)

  1.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마름(Saururus chinensis BAIL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마름 추출물을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4.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마름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32522A 2004-05-08 2004-05-08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05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22A KR100605286B1 (ko) 2004-05-08 2004-05-08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522A KR100605286B1 (ko) 2004-05-08 2004-05-08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217A true KR20050107217A (ko) 2005-11-11
KR100605286B1 KR100605286B1 (ko) 2006-07-26

Family

ID=3728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522A KR100605286B1 (ko) 2004-05-08 2004-05-08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2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14B1 (ko) 2017-10-31 2018-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314B1 (ko) 2017-10-31 2018-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88691A1 (ko) * 2017-10-31 2019-05-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화 및 마름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286B1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5990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63524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875247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67813B1 (ko) 나복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1464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39089B1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20070097867A (ko) 귀전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05286B1 (ko)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89045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1134781B1 (ko) 파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100706284B1 (ko)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과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00026600A (ko) 흑마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81014B1 (ko) 아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99377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116896A (ko)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당뇨병에의한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35322B1 (ko) 부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60025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847355B1 (ko) 장군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76869A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95183A (ko) 목초액을 포함하는 당뇨증세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40628B1 (ko) 초오 달인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성족부괴사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