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914A -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914A
KR20060025914A KR1020040074799A KR20040074799A KR20060025914A KR 20060025914 A KR20060025914 A KR 20060025914A KR 1020040074799 A KR1020040074799 A KR 1020040074799A KR 20040074799 A KR20040074799 A KR 20040074799A KR 20060025914 A KR20060025914 A KR 20060025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abetes
diabetic
diabetes mellitus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현미
고양동
Original Assignee
하현미
고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현미, 고양동 filed Critical 하현미
Priority to KR1020040074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5914A/ko
Publication of KR20060025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9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이는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가지고 있어 식후 탄수화물의 소화 속도를 느리게 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혈당강하, 당뇨병,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lex crude extract(Bae Dang Su)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mellitus}
본 발명은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췌장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분비 장애 및 작용 부족에 의해 유발된 대사장애로 정의되며 포도당의 과잉생산, 체지방의 분해 및 단백질의 낭비를 수반하고 글루카곤의 분비를 비정상적으로 항진시켜 대사상의 혼란을 야기시킨다(Abrams, J.J., Ginsberg, H, et al., Diabetes, 31, pp903-910, 1982).
진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두 가지 유형으로 특징지워지는데, 제 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mellitus)은 혈액 내의 글루코스 조절 호르몬인 인슐린(Insulin)의 분비 결핍으로 야기되며, 주로 10 내지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발병 되기 때문에 소아당뇨병(juvenile diabetes)이라 불리기도 한다. 제 2형 당뇨병(type 2 diabetes mellitus)은 주로 40대 이후에 발병되며,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제 1형과는 달리 성인형 당뇨병이라 불리며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 요소가 함께 관여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 2형 당뇨병의 병인으로 췌장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장애와 표적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결함(인슐린 저항성)이 모두 관찰된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당치를 가능한 정상치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인데, 공복 혈당과 함께 식후 혈당조절이 당뇨병 증세의 개선과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며(Jenkins, D. J. A., Wolever et al.,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1, pp149-159, 1988; Menendez, C. M., Stoecker, B. J., The role of diet in improving glycemic control in Nutrition and Diabetes, Javanovic, L. and Peterson, C. M. (ed.), Alan R. Liss Inc., pp15-36, 1995), 치료 방법으로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이 있다.
현재 제 1형 및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되는 경구 혈당 강하제로 α-글리코시다제(α-glucosidase) 억제제,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제제 및 비구아니드(biguanide)제제가 있으며,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는 섭취한 식이 중의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및 혈중 인슐린의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는 고인슐린혈증이나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고, 인슐린분비를 촉진시키며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글루카곤-유사펩티드-1(glucagon-like peptide-1)의 소장에서의 분비를 촉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Mooradian, A.D., Thurman, J.E., Drugs, 57, pp19-29, 1999; Baron, A.D.,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40, ppS54-S55, 1998).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는 아카보스(acarbose), 보길리보스(voglibose) 및 미글리톨(miglitol) 등이 있으나, α-글리코시다제 저해제를 장기 복용한 경우 일부 환자에 있어서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등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Hanefeld, M.,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12, pp228-237, 1998).
본 발명의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 SACC.)는 동충하초균의 자실체와 거기에 기생하는 박쥐나방과 곤충인 초박쥐나방의 유충사체와의 복합체이다. 동충하초의 성분으로는 수분 10.84%, 지방 8.4, 단백질 25.32%, 조직유 18.53%, 탄수화물 28.90%, 회분 4.10%을 함유한다. 이 밖에 퀴닉산(quinic acid)의 이성체인 콜디세픽산(cordycepic acid) 약 7%를 함유한다. 동충하초는 결핵균 H37Rv에 대한 항균작용을 가진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45-46, 1998).
토사자는 새삼(Cuscuta japonica CHOISY) 및 동속 근록식물의 과실이다. 여기에는 아밀라아제(amylase), 비타민을 함유한다. 토사자는 청열(淸熱), 량혈(凉血), 이수(利水),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다. 토혈(吐血), 변혈(便血), 혈붕(血崩), 임탁(淋濁), 대하(帶下), 이질(痢疾), 황달(黃疸), 옹달(癰疸), 열독창진(熱毒瘡疹)을 치료한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882-883, 1998).
맥문동(麥門冬)은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및 동속 근록식물의 괴 근이다. 소엽맥문동의 괴근에는 여러종류의 스테로이드계 사포닌(saponin)이 함유하고 그 어글리콘(aglycone)은 루스코게닌(ruscogenin)이다. 또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β-시토스테롤-β-d-글루코사이드(β-sitosterol-β-d-glucoside)을 함유하고 있다. 맥문동은 백색포도구균과 대장균에 어느정도의 항균작용을 가진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177-178, 1998).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의 성분은 주로 사포닌(saponin)이며, 지모의 근경에는 또 다량의 환원당, 점액질, 탄닌(tannin)산, 지방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지모의 전제(煎劑)는 한청 평판 배지에서 포도구균, 티푸스균에 대하여 비교적 강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해열작용도 지니고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203-204, 1998).
숙지황(熟地黃)은 지황(Rehmannia glutinosa)의 근경을 가공한 후 쪄서 햇볕에 말린 것으로서, 자음(滋陰), 보혈(補血)의 효능이 있다. 또한 음허혈소(陰虛血少), 유정(遺精), 붕루(崩漏), 월경불순(月經不順), 소갈(消渴) 등을 치료한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08-909, 1998).
선퇴(蟬退)는 매미가 벗은 허물로서 중국에서는 말매미속(Crypotympana)의 선퇴를 주로 약용으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옛날부터 해열제, 지양제(止痒劑)로 사용해 왔다. 감기, 두드러기 외에 소아의 야읍(夜泣)과 인두염, 후두염, 결막염, 백내장 등에도 이용된다(赤松 金芳, 화한약(和漢藥), pp925-926, 1970).
구척(Cibotium barometz)의 근경에는 약 30%의 전분과, 탄닌(tannin)을 함유 하고 있다. 구척은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제풍습(除風濕), 건요각(健腰脚), 이관절(利關節)의 효능이 있다. 또한 요배강(腰背强), 기관완급(機關緩急)을 주로 치료하며 특히 노인의 치료에 매우 좋은 효과를 낸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71-73, 1998).
자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구운 황기로서 황기에는 자당(蔗糖), 글루쿠론(glucuron)산, 점액질, 미량의 아미노(amino)산, 고미산, 콜린(choline)과 베타인(betaine)이 함유되어 있다. 황기는 강심작용을 가지며 정상 심장의 수축을 증강시켜 중독 및 지친 심장에의 효과는 더욱 현저하다. 하압작용, 이뇨작용, 모세혈관의 저항력 강화, 간장의 보호와 간글리코겐의 감소를 막는 작용이 있다. 또한 진정작용, 자궁수축,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662-64, 1998).
적소두(赤小豆)는 팥(Phaseolus angularis)의 종자로서 100g중에 단백질 20.7g, 지방 0.5g, 탄수화물 58g, 조섬유 4.9g, 회분 3.3g, 칼슘 67mg, 인 305mg, 철 5.2mg등이 함유되어 있다. 적소두는 이수(利水), 거습(祛濕), 화혈(和血), 배농(排膿), 소종(消腫),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699, 1998).
산약(山藥)은 마, 참마의 괴근으로 여기에는 사포닌(saponin), 콜린(cholin), 전분(16%),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고, 이는 자양(滋養), 강장(强壯), 강정(强瀞), 지사약(止瀉藥)으로서 건비(健脾), 보폐(補肺), 보신(補腎), 익정(益精)의 효능이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148-149, 1998).
단삼(丹蔘)은 탄신논Ⅰ· ⅡA· ⅢB (tanshinone Ⅰ· ⅡA· ⅢB ), 디하이드로탄신논(dihydrotanshinone), 크립토탄신논(cryptotanshinone), 메틸 탄신노에이트(methyl tanshinonate) 및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을 함유한다. 단삼은 말초혈관을 확장해서 혈장을 강하시키고, 진정· 안정· 진통작용을 한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860-862, 1998).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의 근과 근경에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류가 함유되어 있고, 주로 크리스파놀(chrysphanol)과 에모딘(emodin), 레인(rhein), 레씨틴(lecith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하수오의 레씨틴은 신경조직을 구성하는 주된 성분이며, 혈구의 생장과 발육을 촉진하며 또한 부신피질호르몬작용과 유사한 작용을 보이며, F씨적리균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작용도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318-319, 1998).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혈당조절관련 당뇨병 증세의 개선 및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어떠한 개시나 교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식후 혈당 억제작용이 우수한 물질을 제공하고자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약리학적 효과를 동 물 실험 및 임상시험을 시행한 결과 탁월한 식후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저한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되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당뇨병 합병증은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 질환, 피부 감염, 세소혈관증, 신경병증, 치료약제에 의한 피부반응 등 에 의한 피부 증상 및 수정체의 혼탁과 백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의 질환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추출물은 분쇄물, 추출물 또는 그 분말엑스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각 생약재의 단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각 생약재를 2종 이상 포함하는 식물을 함께 추출하여 제조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통상의 물 추출물, 알코올 등을 용매로 한 용매 추출법 등을 적용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일 수 있으며, 또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한 분획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추출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알코올 또는 혼합용매에 의한 추출, 중탕이나 상온에 의한 추출법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건조 상태의 생약들을 재료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말린 후, 적절한 배합비로 혼합하고 이를 분쇄하여 생약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화된 복합 생약들의 1 내지 20배 부피/중량의 증류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20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배의 물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시간 동안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하여 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추출물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동충하초, 토사,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구운황기, 적소두, 산약, 담삼, 하수오를 각 생약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 1 내지 1.5 : 0.5 내지 1 : 1.5 내지 2 : 1.5 내지 2 : 0.5 내지 1 : 2.5 내지 3 : 1.5 내지 2 : 2.5 내지 3 : 1.5 내지 2 : 1 내지 1.5 : 2.5 내지 3의 비율로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약 추출물들은 오랫동안 식품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 추출물은 당뇨쥐를 이용한 생체내(in vivo) 실험 및 간이 임상 시험상에서 유의적인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당뇨병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되는 복합 생약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캡술제, 환제, 정제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당뇨병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구운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를 정선하여 세절한 후, 동충하초 15g, 토사 15g, 맥문동 10g, 지모 20g, 숙지황 20g, 선퇴 10g, 구척 30g, 구운황기 20g, 적소두 30g, 산약 20g, 단삼 15g 및 하수오 30g 씩 235g을 80℃ 물 2 ℓ를 가하여 40분 동안 3회에 걸쳐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58.63 g의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하기 실험예 및 임상예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당뇨쥐에서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혈당강하 효과 측정
실시예1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생체내(in vivo) 혈당강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균 체중이 250-280g인 스프라그-도울리계(Sprague-Dawley) 수 컷 흰쥐에게 0.1M 구연산염 완충액(citrate buffer, pH 4.5)에 용해시킨 스트렙토조토신(Sigma Co., USA) 65㎎/㎏을 복강에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하였으며, 1 주일 후 당뇨 유발 확인을 하였다. 평균 체중 260.3 ± 10.8g의 스프라그-도울리계 수컷 흰쥐를 대조군(n = 9)과 복합 생약 추출물 투여군(n = 9)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전분(starch, 1g/㎏)만을, 복합 생약 추출물 투여군은 전분(1g/㎏) 및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복합 생약 추출물(500㎎/㎏)을 생리적 식염수에 용해하여 투여하였으며, 시료 투여액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투여 후 30, 60, 90, 120, 180, 240분에 꼬리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을 간이 혈당계 (아큐트렌드, 녹십자)로 측정하였고, 혈당증가곡선 면적을 구하였다.
모든 결과는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대조군과 복합 생약 추출물 투여군 사이의 유의성 검정은 스튜던트 T-검정(Student's t-test)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α = 0.05).
흰쥐를 이용한 혈당상승억제 효능 실험을 위한 시료 투여액의 조성
성분 대조군 복합 생약 투여군
수용성 전분 1.0 g 1.0 g
복합 생약 추출물 - 0.5 g
증류수 7.5 ml 7.5 ml
복합 생약 추출물을 전분과 함께 경구 투여시 혈당증가곡선의 차이
종 류 식후 혈당변화 곡선의 면적(㎎·min/㎗)
전 분 13,165 ± 1,320
전분 + 복합생약 6,738 ± 297
(평균 ± 표준오차)
그 결과, 복합 생약 추출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식후 30, 60, 90, 120분 후에 혈당증가치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P < 0.05), 식후 혈당변화 곡선의 면적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 < 0.05). 즉, 당뇨동물에 있어서 복합 생약 추출물의 식후 혈당조절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100㎎/㎏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00㎎/㎏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0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임상예 1. 간이 임상 시험
1-1.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에 거주하는 50대 가정주부는 당뇨병으로 20년간 고생하면서 평상시 혈당치가 400 내지 500 수준으로 위험한 상태로서 매일 오전 중에 인슐린 3mg을 투여하고 오후에는 매일 글루코바이(바이엘 50mg) 3정을 복용하였으나, 2004. 06. 02부터 40일간 본 배당수환을 1일 3회 복용한 이후에 혈당치가 220 내지 230 정도로 안정한 상태로 하강하였다.
1-2.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양동에 거주하는 40대 남성은 5년 전에 당뇨병에 걸린 후부터 혈당치가 평균 160 내지 170 정도였으며, 시중 혈당강하제를 1일 1정씩 복용하면 약 120 정도로 내려갔으나, 2004. 6. 10일부터 40일간 본 배당수환을 1일 3회 복용한 이후에 혈당치가 평상시 혈당치가 110 내지 115 수준으로 거의 정상 상태로 회복되었다.
1-3. 대한민국 경남 나주시 영산동에 거주하는 50대 초반 남성은 17년간 당뇨병으로 고생하였는데, 평균 300정도의 혈당치였고 시중 혈당강하제를 복용시에는 약 220 내지 250을 강하하였으나, 2004. 7. 2일부터 30일간 본 배당수환을 1일 3회 복용한 이후에 혈당치가 약 140 내지 150 정도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 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 추출물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제예 8. 환제(배당수환으로 명명)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생약 추출물 200 ㎎을 당업계에 통상적인 찹쌀, 밀가루 등의 부형제와 혼합하여 환제 제조기에서 성형하여 약 200mg 중량의 환제를 제조하였고 이를 배당수환으로 명명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식후 탄수화물의 소화 속 도를 느리게 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혈당강하 효과를 갖는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되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하수오를 각 생약 건조중량의 기준으로 1 내지 1.5 : 1 내지 1.5 : 0.5 내지 1 : 1.5 내지 2 : 1.5 내지 2 : 0.5 내지 1 : 2.5 내지 3 : 1.5 내지 2 : 2.5 내지 3 : 1.5 내지 2 : 1 내지 1.5 : 2.5 내지 3의 비율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 합병증은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등의 심혈관 질환, 피부 감염, 세소혈관증, 신경병증, 치료약제에 의한 피부반응 등에 의한 피부 증상 및 수정체의 혼탁과 백내장,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질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4. 제 1항의 동충하초, 토사자, 맥문동, 지모, 숙지황, 선퇴, 구척, 자황기, 적소두, 산약, 단삼 및 하수오로 구성되는 복합생약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74799A 2004-09-18 2004-09-18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060025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799A KR20060025914A (ko) 2004-09-18 2004-09-18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799A KR20060025914A (ko) 2004-09-18 2004-09-18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14A true KR20060025914A (ko) 2006-03-22

Family

ID=3713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799A KR20060025914A (ko) 2004-09-18 2004-09-18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59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4282A (zh) * 2012-04-25 2012-08-01 董宜忠 一种治疗湿疹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257578B1 (ko) * 2010-12-24 2013-04-2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성 말초 신경증 치료를 위한 한약재 조성물
CN107823226A (zh) * 2017-12-01 2018-03-23 南京中医药大学 治疗和预防肠粘膜损伤的药物组合物与应用
KR20200053016A (ko) 2018-11-07 2020-05-18 이효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578B1 (ko) * 2010-12-24 2013-04-2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당뇨병성 말초 신경증 치료를 위한 한약재 조성물
CN102614282A (zh) * 2012-04-25 2012-08-01 董宜忠 一种治疗湿疹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7823226A (zh) * 2017-12-01 2018-03-23 南京中医药大学 治疗和预防肠粘膜损伤的药物组合物与应用
CN107823226B (zh) * 2017-12-01 2021-02-12 南京中医药大学 治疗和预防肠粘膜损伤的药物组合物与应用
KR20200053016A (ko) 2018-11-07 2020-05-18 이효준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5990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72164B1 (ko) 지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46916A (ko)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60025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939089B1 (ko) 시코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0435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89045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1464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0899377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97867A (ko) 귀전우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210064867A (ko) 인슐리나 및 허니부쉬의 조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10512382A (ja) シコニン系化合物を含む糖尿病予防及び治療のための医薬組成物、並びにその用途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605286B1 (ko)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93496B1 (ko) 천연물 유래의 간 손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0547558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610565B1 (ko) 포도씨 및 함초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 및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