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354B1 -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354B1
KR100604354B1 KR1020040040770A KR20040040770A KR100604354B1 KR 100604354 B1 KR100604354 B1 KR 100604354B1 KR 1020040040770 A KR1020040040770 A KR 1020040040770A KR 20040040770 A KR20040040770 A KR 20040040770A KR 100604354 B1 KR100604354 B1 KR 100604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v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007A (ko
Inventor
최서형
이정식
강종구
권창주
Original Assignee
최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서형 filed Critical 최서형
Priority to KR1020040040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35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간 보호작용을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안정하기 때문에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간질환, 건강기능식품, 인진, 백출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crude drug extrac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
도 1은 사염화탄소 유발된 랫트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복합생약 추출물의 농도별 투여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혈청 GOT결과이고, 도 1b는 혈청 GPT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사염화탄소 유발된 랫트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복합생약 추출물의 농도별 투여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혈청 GOT결과이고, 도 2b는 혈청 GPT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간경변 유발된 랫트에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혈청 GOT결과이고, 도 3b는 혈청 GPT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간경변 유발된 랫트에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의 투여 후, 간조직의 교원섬유(Collagen) 분포를 조사한 도이다.
본 발명은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간은 인체에서 혈액 저장 및 순환, 혈액양 조절과 방어해독작용을 하며 정신적 활동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장기다. 우리 몸은 산업화에 따른 각종 공해물질, 유독 물질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간 또한 끊임없이 해독작용에 시달리고 있다. 더욱이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간손상은 심각한 문제로써, 정신적 휴식을 가질 경우 손상된 간세포는 다시 복구되지만 바쁜 현대사회에서는 정신적 휴식을 취할 여유를 가질 수 없으므로, 정신적 스트레스, 과음, 흡연으로 간 손상을 더욱 가중시켜 인체가 방어 해독 작용을 하지 못함으로 인해 면역 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간은 완충능력이 큰 기관으로 질환의 초기단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상당히 약화되어서야 발견된다.
간독성을 일으키는 유발물질에는 사염화탄소, D-갈락토사민 등이 있는데, 지방족 할로겐 탄화수소인 사염화탄소는 제노바이오틱스(xenobiotics)로써 생체막의 손상을 초래하여 간과 신장에 독성작용을 일으킨다(Bruckner, J. V., Fund. Appl. Toxicology, 6, pp16-34; Butler, T. C., J. Pharmacol. Exp. Ther., 134, pp311-319).
최근에는 이러한 간 독성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식용 및 약용 식물 등의 천연물을 통한 유리기(free radical) 생성 억제 작용에 대한 실험들이 많이 보고되 고 있다(Caragy, A. B., Food Technology, 46, pp65-68, 1992; Liang jun, Y., et al., Biochem. and Biophy. Res. com., 212, pp360-366, 1995; Kim, H. K., et al.,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pp80-85, 1995; Middleton, E., Int. J. Pharmacognosy, 34, pp344-348, 1996). 특히 실리마린(silymarin: SLM)은 국화과에 속하는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Carduus marianus)의 열매에서 분리된 물질이며, BDD(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BDD)는 오미자의 성분인 쉬잔드린(schizandrin)과 유사한 인공합성물질로써, 천연물 유래의 간질환 치료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상적으로 간 독성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한방 복합제제의 간기능 개선 효능을 관찰함으로써 향후 간기능 개선 또는 간 독성 치료 약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인진호(茵蔯蒿, Artemisiae Capillaris Herba)는 국화과 식물인 사철쑥으로 청열이습(淸熱利濕), 배석이담(排石利膽), 사간열(瀉肝熱), 소간울(疏肝鬱)의 효과를 가지고 있어 상한(傷寒), 급성간염(急性肝炎), 담낭염(膽囊炎), 습창소양(濕瘡瘙痒), 황달(黃疸), 소변불리(小便不利)등에 사용되어왔다. 인진호의 약효에 대한 연구는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고혈압, 비만, 뇌졸중등 순환기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간기능의 보호효과가 알려졌으며(Nam, S.M., et al., J. Kor. soc. food Sci. 27(2), 338(1998); Nam, S.M., J. Kor. soc. food Sci. 28(1), 199(1999)), 인진숙의 메탄올 추출물이 GOT와 GPT의 증가를 억제하고(Klimura, et al., Chem. Pharm. Bull., 33, 2028(1995)), 물추출물의 에탄올 수용층이 간손상과 간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한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Park, E.J., et al., Chem. Pharm. Bull., 33, 2028(1985).
백출(白朮, 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 식물로서 건비(健脾), 난위(暖胃), 조습(燥濕), 화탁(化濁), 화중(和中), 지사(止瀉), 안태(安胎), 생진(生津), 소곡(消穀), 보요슬(補腰膝), 장기육(長肌肉), 축담수(逐痰水), 이소변(利小便), 제지만(除支滿), 구복(久服), 경신(輕身), 연년(延年), 불기(不飢) 등의 효능을 지닌 생약재로 비위기약(脾胃氣弱), 권태소기(倦怠少氣), 하리(下痢), 담음(痰飮), 수종(水腫), 황달(黃疸), 각기(脚氣), 소변난(小便難), 현훈(眩暈), 도한(盜汗), 태기불안(胎氣不安) 등에 사용된 약재이다(신동의학보감). 민간요법에서는 건위재, 위궤양예방, 담즙분비 촉진등에 이용되어왔고 특히 중국의 경우 강장재로 사용해왔다(Chen, Z.L., et al., Planta. med., 53, 493 (1987); Chen, Z.L., Phytochemistry, 45(4), 765 (1997).
운지(雲芝, Coriolus versicolor)는 담자균류 중 다공균과(polyporaceae)에 속하는 것으로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양권의 산악지대에서 활엽수나 침엽수 밑동에서 자라고, 창이자루가 없으며 기왓장처럼 겹쳐서 자란다. 근간에 영지버섯과 함께 항암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운지버섯의 작용기전이 직접적인 세포독성 작용보다는 생체내의 면역기전을 활성화하여 간접적으로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보고들이 있다(Kim, B.K., et al., Sing. Arch. pharm. Res. 2, 153(1979).
와송(瓦松, Orostachydis Herba)은 돌나무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청열해독(淸熱解毒), 이습소종(利濕消腫), 지혈(止血),등의 효과가 있어 토혈(吐血), 비혈( 鼻血), 간염(肝炎), 학질, 열림(熱淋), 구중건통(口中乾痛)에 한방에서 사용되어 왔다.
저령(Polyporus)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이수(利水), 삼습(渗濕), 해독(解毒), 이소변(利小便)의 효능을 지니고 있어 소갈(消渴), 상한(傷寒), 온역(瘟疫), 설사(泄瀉), 소변불리(小便不利), 백탁(白濁), 임종(淋腫), 각기(脚氣), 대하(帶下) 등의 치료에 이용된다. 최근 신기능 개선 작용 및 항암 항균작용이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다(Ha, Y.D., et al., 농산물유통학회지 8(4) 481, 2001).
상기와 같이, 오랜 옛날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사용되어온 인진, 백출, 운지, 와송, 저령 등에 대해서는 그 동안 과학적으로도 각각의 효능 및 독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어떠한 연구 문헌이나 기타 자료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연구 자체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의 간기능 개선용 식품연구에 주력한 결과,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혼합추출물을 필수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조성물이 우수한 간질환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의 혼합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필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간독성, 간경변 또는 간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수 유효성분에 명일엽, 택사, 후박, 백복령, 감초, 아가리쿠스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추출물은 분쇄물, 추출물 또는 그 분말엑스의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각 생약재의 단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또는 상기 각 생약재를 2종 이상 포함하는 식물을 함께 추출하여 제조되는 복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통상의 물 추출물, 알코올 등을 용매로 한 용매 추 출법 등을 적용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일 수 있으며, 또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한 분획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추출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알코올 또는 혼합용매에 의한 추출, 중탕이나 상온에 의한 추출법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건조 상태의 생약들을 재료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기에서 말린 후, 적절한 배합비로 혼합하고 이를 분쇄하여 생약 분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화된 복합 생약들의 5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배 부피/중량의 증류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단독 또는 10 내지 50%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0℃ 내지 상온,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의 온도에서, 12시간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4시간 동안 냉침을 하거나, 8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추출온도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시간 동안 무압력으로 열수추출법으로 추출 총량의 20 내지 50배의 물로 2 내지 5회 추출하여 극성 용매에 가용한 복합생약 추출물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추출 단계로부터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한 후, 이를 80 내지 90℃에서 감압 농축하여 얻어진 엑스를 엑스 총량의 10 내지 60배의 물로 1 내지 5회 공비 농축한 다음, 열풍건조 또는 진공건조, 바람직하게는 열풍건조하여 분말엑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추출물을 포함하는 필수 유효성분 외에 명일엽, 택사, 후박, 백복령, 감초, 아가리쿠스 또는 생강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복합생약 추출물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인진, 백출, 운지, 와송, 저령을 각 생약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1-10 : 1-10 : 0.1-5 : 0.5-5 : 0.5-10의 비율로 함유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약 추출물들은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조성물의 사염화탄소 유발 만성 간 장해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그 뛰어난 간 장해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간경변에 있어서 간조직의 섬유화 진행을 유의성 있게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 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독성, 간경변 또는 간경화 개선 및 예방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식품은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을 분쇄물, 추출물 또는 분말엑스의 형태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합생약추출물은 인진, 백출, 운지, 와송, 저령을 각 생약의 건조중량의 기준으로 1-10 : 1-10 : 0.1-5: 0.5-5 : 0.5-10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수 유효성분에 명일엽, 택사, 후박, 백복령, 감초, 아가리쿠스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간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생약추출물 1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을 깨끗하게 세척한 후, 인진 2 g, 백출 1.7 g, 운지 1 g, 와송 0.7 g, 저령 1 g을 추출장치에 10배량(생약무게± 10)의 물을 넣고 12시간이상 침지시킨 후, 105℃에서 2시간동안 1차로 무압력으로 환류추출하였다. 그후 추출액을 다시 여과한 후 잔사를 10배량의 물로 2차로 무압력으로 환류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기(여과 seive NO. : 140(106㎛))로 여과한 후, 각 여액을 모아 80-90℃에서 감압 농축하여 총 농축액량이 1L 정도( 농축액의 비중이 1.2-1.3정도, Brix : 60이상)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감압농축한 추출액을 60℃의 열풍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후, 시료를 분쇄하여 No. 50(φ300㎛)체를 통과시켜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2. 복합 생약추출물 2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인진, 백출, 운지, 와송, 저령, 명일엽, 택사, 후박, 백복령, 감초, 아가리쿠스 및 생강을 깨끗하게 세척한 후, 인진 2 g, 백출 1.7 g, 운지 1 g, 와송 0.7 g, 저령 1 g, 명일엽 0.7 g, 택사 1.7 g, 후박 0.7 g, 백복령 0.7 g, 감초 0.5 g, 아가리쿠스 1.3 g, 생강 0.3 g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실험예 1. 사염화탄소 유발 만성 간 장해에 미치는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간 장해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가지고 하기와 같은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랫트 간 장해에 대한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1-1. 시약 및 실험동물의 준비
시약은 CCl4(사염화탄소 Sigma Co.), 올리브유(Sigma Co.), 알라닌 아미노 트래스퍼라제(ALT, GPT, Stanbio Co.) 및 아스파테이트 아미노 트랜스퍼라제(AST, GOT, Stanbio Co.)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00g 내외의 SD(Sparague-Dawley)계 수컷 랫트를 사용하였고, 사료(Harlan, teklan. USA)와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사육장의 온도는 21~24℃, 상대습도는 60% 내외로 유지하였다. 또한 12시간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사육장내 빛을 조절하였다.
1-2. 사염화탄소 유발 만성 간 장해에 미치는 효과
정상군에는 식염수(saline)만을 4일간 투여하였다. 한편, 대조군에는 올리브유와 사염화탄소를 1:1(v/v)로 혼합한 용액을 각 랫트에 체중(kg)당 1.0mg/kg씩 3일간 복강투여하여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킨 후, 식염수(saline)를 투여하였다. 실험군 MC 에는 올리브유와 사염화탄소를 1:1(v/v)로 혼합한 용액을 각 랫트에 체중(kg)당 1.0mg/kg씩 3일간 복강투여하여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킨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1%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에 현탁시켜 사염화탄소 용액 투여 1시간 후에 6 ㎎/㎏, 30 ㎎/㎏, 60 ㎎/㎏을 4일간 경구투여하였다. 한편, 실험군 AC 에는 올리브유와 사염화탄소를 1:1(v/v)로 혼합한 용액을 각 랫트에 체중(kg)당 1.0mg/kg씩 3일간 복강투여하여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킨 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1%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에 현탁시켜 사염화탄소 용액 투여 1시간 후에 6 ㎎/㎏, 30 ㎎/㎏, 60 ㎎/㎏을 4일간 경구투여하였다. 시험 마지막날에 실험동물을 마취한 후 1.5㎖ 채혈하고 관류고정 하였다. 채혈된 혈액을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GOT 및 GPT를 CH100+(SEAC Co.)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군 설정 및 실험일정을 표 1에 기재하였다.
그룹 투여군 (일)
1 2 3 4
정상군 식염수 + 식염수 식염수
대조군 CCl4-올리브유(1:1) + 식염수 식염수
HA MC* x 1 CCl4-올리브유(1:1) + HA MC HA MC
x 5
x 10
HA AC** x 1 CCl4-올리브유(1:1) + HA AC HA AC
x 5
x 10
* MC : 주생약 5종으로 구성 된 복합제 추출물
** AC : 주약 및 보조생약재 12종으로 구성된 복합제 추출물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 모델 동물에서 간세포에서 혈청으로 유된 GOT와 GPT 활성을 측정한 결과, HA를 구성하는 5종의 생약재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30 mg/kg 용량으로 투여한 시험군과 60 mg/kg 용량으로 투여한 시험군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P<0.05*, P<0.01**)(도 1a 및 1b). 또한,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질환 모델 동물에서 12종 복합제의 추출물은 용량 의존적으로 GOT 및 GPT의 활성을 낮추었고, 12 mg, 60 mg, 120 mg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P<0.05*, P<0.01**)(도 2a 및 2b).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기능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간조직의 교원섬유(Collagen) 분포 및 GOT 및 GPT의 개선효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간경변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가지고 하기와 같은 실험방법을 이용하여 랫트 간경변에 대한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2-1. 시약 및 실험동물의 준비
시약은 DMN(Dimethylnitrosamine, Sigma co.), 알라닌 아미노 트래스퍼라제(ALT, GPT, Stanbio Co.) 및 아스파테이트 아니노 트랜스퍼라제(AST, GOT, Stanbio Co.)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동물은 체중 270g 내외의 위스터 랫트(Wister rats)를 사용하였고, 사료(Harlan, teklan USA)와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사육장의 온도는 21~24℃, 상대습도는 60% 내외로 유지하였다. 또한 12시간마다 낮과 밤이 반복되도록 사육장내 빛을 조절하였다.
2-2. 간경화에 있어서 간조직의 교원섬유(Collagen) 분포 및 GOT 및 GPT의 개선효과
정상군에는 식염수(saline)만을 1주일에 3일간 4주동안 경구투여하였다. 한편, 대조군에는 1% DMN를 10 ㎕/㎏/일의 용량으로 복강내에 투여하여 간경변을 유 발시킨 후 식염수를 투여하고, 실험군 MC 에는 식염수 대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30 ㎎/㎏/일의 추출물을 4주동안 경구투여하고, 실험군 AC 에는 실시예 2에서 제조한 60 ㎎/㎏/일의 추출물을 4주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시험 마지막날에 실험동물을 마취한 후 1.5㎖ 채혈하고 관류고정한 후, 간조직을 분리하였다. 채혈된 혈액을 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GOT 및 GPT를 CH100+(SEAC Co.)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도 3a 및 3b 참조).
한편, 분리된 간 조직상의 교원섬유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교원섬유만을 염색하는 맛손 트리크롬(Masson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였다. 분리된 간조직을 자동조직처리기(Citadel 2000, Shandon Co.)를 이용하여 파라핀 포매하여 조직절편기(LEICA RM2145)로 4㎛의 두께로 세절한 후, 이미지 분석 시스템(image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각 조직당 5개 부분을 선택하여 섬유소 비율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하여 교원섬유의 양으로 표시하였다(도 4 참조).
그 결과, DMN으로 유발된 간경변모델 동물에서 5종의 주생액 복합제 추출물은 물론 12종 복합제의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GOT 및 GPT의 활성을 낮추었다. 또한, 교원섬유는 정상군의 경우 0.53정도로 정상범위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대조군은 2.93이었으나, HA MC(주약 5종)투여군에서는 1.21, HA-AC(전체 12종)에서는 1.05로 대조군에 비하여 간조직의 섬유화 진행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독성시험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의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에 의한 독성 존재 유무를 조사하기 위하여 SD계통의 웅성 및 자성 랫트에 각각 1 g/kg, 2 g/kg 및 5 g/kg 3개의 투여용량으로 5마리씩 단회 경구투여하고 14일간의 사망예, 일반증상, 체중변화 및 부검소견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 기간 중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든 투여군에서 시험 전기간동안 관찰시 사망예는 없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특이적으로 관찰된 일반증상의 변화도 없었다.
(2) 체중변화는 5 g/kg 용량군에서 투여 후 3일째에서 유의성있는 체중 감소를 나타내었을 뿐 그외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사망예 및 대조군에 비해 특이한 임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체중변화 및 부검시 해부학적 소견에서도 특이한 증상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5 g/kg 이하의 용량에서는 뚜렷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경구투여에 의한 랫트에서의 LD50(lethal dose)은 5 g/kg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 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 1000 ㎎
산화아연 1.5 ㎎
산화마그네슘 1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5 ㎎
피에이취칼라 I 9 ㎎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6.8 ㎎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35 ㎎
비타민 B 30 ㎎
비타민 C 12 ㎎
비타민 E 23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은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염화탄소 유발 간 장해에 있어서 우수한 간기능 보호작용을 나타내며, 간경변에 있어서도 유의성 있게 GOT, GPT 수치를 낮추면서도 인체에 안정하기 때문에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및 건강 기능 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필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간독성, 간경변 또는 간경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인진, 백출, 운지, 와송, 저령을 각 생약의 건조중량의 기준으로 1-10 : 1-10 : 0.1-5: 0.5-5 : 0.5-10의 비율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유효성분에 명일엽, 택사, 후박, 백복령, 감초, 아가리쿠스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로 가용된 약학 조성물.
  5. 인진, 백출, 운지, 와송 및 저령 추출물을 필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독성, 간경변 또는 간경화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인진, 백출, 운지, 와송, 저령을 각 생약의 건조중량의 기준으로 1-10 : 1-10 : 0.1-5: 0.5-5 : 0.5-10의 비율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 유효성분에 명일엽, 택사, 후박, 백복령, 감초, 아가리쿠스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건강보조식품인 건강 기능 식품.
KR1020040040770A 2004-06-04 2004-06-04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0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770A KR100604354B1 (ko) 2004-06-04 2004-06-04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770A KR100604354B1 (ko) 2004-06-04 2004-06-04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007A KR20050116007A (ko) 2005-12-08
KR100604354B1 true KR100604354B1 (ko) 2006-07-25

Family

ID=3728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770A KR100604354B1 (ko) 2004-06-04 2004-06-04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3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040B1 (ko) 2016-09-30 2017-07-05 강한은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14565A (ko) 2018-08-01 2020-02-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6185A (ko) 2018-12-19 2020-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00580T3 (es) * 2006-12-20 2013-04-10 Jung Sik Lee Una composición que comprende el extracto de hierbas combinadas para prevenir y tratar enfermedades hepáticas
KR100867320B1 (ko) 2007-04-09 2008-11-1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보호, 또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2493496B1 (ko) * 2022-09-16 2023-02-01 최윤서 천연물 유래의 간 손상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305B1 (ko) 2000-08-07 2003-03-17 한완석 간장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050023118A (ko) * 2003-08-29 2005-03-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305B1 (ko) 2000-08-07 2003-03-17 한완석 간장보호용 건강식품 조성물
KR20050023118A (ko) * 2003-08-29 2005-03-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040B1 (ko) 2016-09-30 2017-07-05 강한은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8062819A1 (ko) * 2016-09-30 2018-04-05 강한은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10603347B2 (en) 2016-09-30 2020-03-31 Han Eun Ka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ver disease
KR20200014565A (ko) 2018-08-01 2020-02-1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6185A (ko) 2018-12-19 2020-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장수식품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007A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55B1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77604B1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060025990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30128755A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60435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953813B1 (ko) 지질억제활성을 갖는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27555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96457B1 (ko)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97868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701124B1 (ko) 모로헤이야, 대황, 황련 및 당귀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108829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장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92444A (ko) 심혈관계 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5900B1 (ko) 복합생약추출물(occ-ⅰ) 또는 이의분말(occ-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060025914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610565B1 (ko) 포도씨 및 함초의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혈당강하 및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08561B1 (ko) 귀리를 포함하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547558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662776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