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45230A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45230A1
WO2019045230A1 PCT/KR2018/005890 KR2018005890W WO2019045230A1 WO 2019045230 A1 WO2019045230 A1 WO 2019045230A1 KR 2018005890 W KR2018005890 W KR 2018005890W WO 2019045230 A1 WO2019045230 A1 WO 20190452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sket
detergent
dishwasher
tub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8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상수
김성진
이창욱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643,688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71023B2/en
Priority to CN201880055706.4A priority patent/CN111093455B/zh
Priority to KR1020197030192A priority patent/KR102486273B1/ko
Priority to EP18850474.0A priority patent/EP3649910A1/en
Publication of WO20190452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452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7Consumable products, e.g. detergent, rinse aids or sal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er having a structure with improved usability.
  • the dishwash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food waste from dishes using detergent and washing water.
  • the dishwash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ront opening and having a tub disposed therein, a door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a basket provided to receive the dish, And the like.
  • a dishwasher having a front loading type food wastes or the like adhered to the dishes may fall o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dishwasher during the loading of the dishes into the basket.
  • the dishwash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ing and having a tub disposed therein, a door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pening, a basket provided to receive the dish, And the like.
  • a top loading type dishwasher it may be difficult to load a dishware having a certain size or more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space of the tub and the door.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front loading and top loading of a tablewar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to which a basket drawable upward is applied.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enlarging a washing spac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capable of easily supplying detergent to a dishwasher through an upper door.
  • the dishwasher may be installed in a built-in system kitchen includ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nd a counter disposed on the cabinet to have an opening.
  • the dishwasher includes a tub having a front opening, a front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an upper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counter, a basket disposed inside the tub to be drawn out through the front opening, And an additional basket provided to be drawable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unter.
  • the additional basket may be disposed on the basket.
  • the additional basket is seated in the basket.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rame mounted to the opening so that the upper door is installed, and the drawing through the front opening of the additional basket may be restricted by the cover frame.
  • the additional basket includes a handle and withdrawal of the additional basket through the front opening may be limited by interference of the handle and the cover frame.
  • the additional basket is seated in the cover frame.
  •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cover fram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ver frame so that the additional basket can be spanned.
  • the additional basket is seated in the basket.
  • the additional basket may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ditional basket is received within the basket.
  • the basket includes an upper basket disposed adjacent to the additional basket and a lower basket disposed below the upper basket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hwasher, wherein the upper basket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additional basket, When accommodated in a basket, withdrawal from the tub may be restricted.
  • the upper baske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intersecting each other to receive a tableware therein, and the additional basket may have a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ires.
  • a dishwasher includes a tub having a front opening and a top opening, a front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a cover frame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top opening, An upper door installed on the cover frame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of the cover frame, and a top loading basket which can be drawn out through an opening of the cover frame and is restricted from being pulled out through the front opening by the cover frame .
  • the top loading basket comprises a top loading basket body adapted to receive a tableware and a handle coupled to the top loading basket body, wherein the draw through the front opening of the top loading basket is provided between the handle and the cover frame May be limited by interference.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ront loading basket disposed inside the tub to be drawn out through the front opening.
  • the top loading basket is seated in the front loading basket.
  • the top loading basket may be dispos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loading basket is received within the front loading basket.
  • the front loading basket may be restricted from withdrawing from the tub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loading basket is received in the front loading basket.
  • the top loading basket is seated in the cover frame.
  •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wardly of the cover fram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ver frame so that the top loading basket can be spanned.
  • a dishwasher includes a tub having a front opening and a top opening, a front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a cover frame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top opening, An upper door installed on the cover frame to open and close an opening of the cover frame, a basket which is drawn out through a front opening of the tub, and an additional basket which is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ver frame, The basket may be restricted from being withdrawn from the tub when at least a portion of the additional basket is received within the basket.
  • the dishwasher includes a tub having a front opening and an upper opening, a front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an upper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And a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on the door and including a detergent case and a detergent receiving member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detergent compartment, the detergent receiving member having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detergent is seated with the seating member,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detergent is detached from the seating member.
  • the detergent seat member includes a seat portion on which the detergent is seated and a rotat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tergent dispenser, wherein the rot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etergent seat member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Can be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vessel.
  •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is rot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upper do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upper door, and when the upper door is opened,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And when the upper door is closed,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can be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can be pivo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its own weight.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slidable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detergent container.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ean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tub, an additional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on the front do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nd the additional detergent supply device .
  • the controller may open the detergent container by sliding the cover.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dditional detergent supply device not to be driven.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basket disposed inside the tub so as to be drawn out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tub,
  • the detergent container can be opened by sliding the cover.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rinsing compartment and a rins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rinsing compartment and capable of receiving a rinsing gas when the upper door is opened.
  • the rinse seating member may include a rins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rinse is placed, and the rinse seating portion may be disposed so that the rinse is seated when the upper door is opened.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rame disposed between the upper door and the tub, and the upper door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ver frame.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door, and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a first cover for opening / closing the detergent container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upper door, As shown in FIG.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detergent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cover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door is closed.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etergent supply device, and the controller may open the detergent container by sliding the second cover when detergent is supplied to the detergent compartment from the outside.
  • the dishwasher includes a tub having a front opening and an upper opening, a clean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tub, a front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an upper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opening, A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upper door, a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front door, and a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upper door, wherein when the cleaning device is 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is not opened and clos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detergent supply unit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unit.
  • the controller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to be driven when the cleaning device is driven after the front door is opened and closed.
  •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basket disposed inside the tub so as to be drawn out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tub,
  • the detergent container can be opened by sliding the cover.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a detergent case and a detergent seat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detergent compartment and rotatably provided,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being disposed in a first position when the upper door is opened, And may be arranged to be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door is closed.
  • the dishwasher may be installed in a built-in system kitchen includ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and a counter disposed on the cabinet to have an opening.
  • the dishwasher includes a tub having a front opening, a front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front opening of the tub, a cover frame disposed on the top of the tub and mounted on the opening, an upper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disposed in the upper door to supply deterg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and a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disposed in the front door to supply deterg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ub.
  • the dishwasher can be cleaned not only in the first washing space but also in the second washing sp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large washing spa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ishwasher having only the first washing space.
  • the dishwasher includes a detergent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upper door to allow the user to open the upper door and easily supply the detergent to the dishwasher.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cludes a detergent seat portion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f the upper doo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upply the detergent with a simple structure.
  • FIG. 1 shows a system kitchen in which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door and the upper door of the first dishwasher are opened in the system kitchen of Fig. 1; Fig.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ystem kitchen of Figure 1;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ditional baske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ver frame of the dish 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 FIGS.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additional basket is taken ou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A and 9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drawing the additional baske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3A and 13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drawing the additional baske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view showing a system kitchen in which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ystem kitchen of Figure 14;
  •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frame of the dish 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8A is a view showing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a state where the upper door of the dish 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 18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Fig.
  • 18C is a view showing the rinse por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Fig.
  • FIG. 19A is a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in an opened state of an upper door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B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door of the dish 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Fig.
  • Fig. 19c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Fig.
  • FIG. 2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detergent supply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view showing a system kitchen in which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 FIG.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of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of the dishwasher is opened in the system kitchen of Fig. 22
  • Fig. 2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dishwasher of Fig. 22
  • 2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over of a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of a dishwasher is opened in a system kitchen in which a dishwash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t-
  • FIG. 2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dishwasher of Fig. 25
  •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hwasher of Fig. 27
  •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h wash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kitchen in which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 FIG. 2 is a side view of the system kitchen of FIG. 1, The door and the upper door are opened.
  • " X " represents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ystem kitchen 1, " Y " represents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ystem kitchen 1, and " Z "
  •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ystem kitchen 1 may be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ystem kitchen 1 may be referred to a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front-back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of the system kitchen 1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of the dishwasher 100, respectively.
  • a system kitchen 1 may include a cabinet 20 having a compartment 22 and a counter 10 disposed on the cabinet 20 have.
  • the counter 10 may have a flat plate shape.
  • the counter 10 may be referred to as a " countertop ".
  • An opening 11 may be formed in the counter 10.
  • the cabinet 20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22 in which various kitchen appliances can be stored.
  • the storage space 2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cabinet door 21.
  • the cabinet door 21 may be rotatably provided.
  • the cabinet 20 may include a partition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cabinet 20 to partition the compartment 22.
  • the partition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so as to partition the storage space 22 into a plurality of spaces.
  • the system kitchen 1 may further include a sink 30 provided to clean the tableware or to clean the food or the like.
  • the sink 3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nter 10.
  • the sink 30 may include a sink bowl 31 installed in the counter 10 to wash dishes, food, and the like.
  • the sink ball 31 may be provided with a drain hole (not shown) so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sink ball 31 can be drained.
  • the sink 30 may further include a water pipe 33 installed adjacent to the sink ball 31 to supply water to the sink ball 31.
  • a faucet 34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water pipe 33.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34 to the sink ball 31 can be drained through a drain hole and a drain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drain hole.
  • the system kitchen 1 may further include a dishwasher 100 installed in the system kitchen 1 in a built-in manner.
  • the dishwasher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oors 120 and 130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 the dishwasher 100 includes an upper door 120 provided to allow top loading of a tableware, and a front door 130 provided to allow front loading of the tableware .
  • the upper door 120 and the front door 1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 the mounting manner of the upper door 120 and the front door 1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the upper door 120 and the front door 130 may be installed to be opened or closed in a sliding manner.
  • one of the upper door 120 and the front door 130 is installed to be opened or closed in a sliding manner, and the other one of the upper door 120 and the front door 130 is opened It may be installed to be closed.
  • the upper door 1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ver frame 150.
  • the front door 1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tub 110.
  • the front door 13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detergent box 141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and a rinsing box 142 for supplying rinse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 the front door 13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131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shwasher 100 and the like.
  • the display unit 13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door 130.
  • the display unit 131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structure so that a user can input commands.
  • An operation unit 13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door 130.
  • the operating portion 132 may include a power button or the like of the dishwasher 100.
  • the operation unit 13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31.
  •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31 and the operation unit 13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door 130.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tub 110 in which a washing space 330 is formed.
  • the tub 110 may include a front opening 11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ront door 130.
  • the front opening 111 may be larger than the opening 11 formed in the counter 10.
  • the tub 11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rface opening 112 (see FIG. 3)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ing 11 formed in the counter 10.
  • a cover frame 15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bove the upper surface opening 112 and finally the upper surface opening 12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upper door 120.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rame 150.
  • the cover frame 150 can be mounted to the opening 11.
  • the upper door 120 may be installed on the cover frame 150.
  • the cover frame 150 can be mounted on the opening 11 while a part of the cover frame 150 is spread over the counter 10 around the opening 11.
  • the cover frame 150 may include a bent portion 156 formed at one end to be placed on the counter 10.
  • the bent portion 156 of the cover frame 15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width w1 of the cover frame 150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2 of the opening 11 formed in the counter 10.
  • the width w1 of the cover frame 150 and the width w2 of the opening 11 are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cover frame 150 can be mounted on the opening 11 with the bent portion 156 of the cover frame 150 being supported by the counter 10. [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asket 161 and 162 disposed inside the tub 110 to be drawn out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 At least one of the baskets 161,162 may be referred to as a " front loading basket ".
  • the dishwasher 100 includes an upper basket 161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and a lower basket 161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Z of the dishwasher, And a lower basket 162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the upper basket 16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additional basket 170 described below.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basket 170 provided to be drawable through the opening 11.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referred to as a " top loading basket ".
  • Additional baskets 170 may be disposed on top of at least one basket 161,162. Specifically,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basket 161.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only be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11 and the draw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restricted by the cover frame 150.
  • the front door 130 of the dishwasher 100 may form an appearance of the system kitchen 1. Specifically, the front door 130 of the dishwasher 100 can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system kitchen 1 together with the cabinet door 21.
  • the upper end of the front door 130 and the upper end of the cabinet door 21 may be located on a reference line 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reference line R may be a hypothetical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ystem kitchen 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ounter 10.
  • the lower end of the front door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cabinet door 21 may also be located on a reference line 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reference line R ' may be a hypothetical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ystem kitchen 1 so as to be parallel to the counter 10. That is, the reference line R 'may be parallel to the reference line R.
  • the upper door 120 of the dishwasher 100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system kitchen 1. Specifically, the upper door 120 of the dishwasher 100 may form an upper surface appearance of the system kitchen 1 together with the counter 10.
  • the upper door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vel difference from the counter 10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is not large.
  • the upper door 120 is provided so as to be large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with respect to the counter 10, that is, when the upper door 120 is excessively project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ystem kitchen 1 If so, ease of use may be reduced. As an example, a user may hit the upper door 120, which is excessively project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ystem kitchen 1.
  •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ystem kitchen of FIG. 1,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ont door 130 is omitted in FIG.
  • the dishwasher 100 includes a tub 110 in which a washing space 330 is formed, a sump 18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ub 110 to store washing water, . ≪ / RTI >
  • At least one basket (161, 162) may be disposed inside the tub (11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at least one basket 161, 162 is drawn and stored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tub 110 by at least one rack 190 that slidably supports at least one basket 161, 162 .
  • At least one of the baskets 161 and 162 may be opened at the upper side so as to accommodate the dishes therein. At least one of the baskets 161 and 162 may be formed by a wire 163 arranged in a lattice shape so that the tableware stored therein can be easily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In other words, the at least one basket 161, 16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163 that intersect each other to receive the tableware therein.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praying device 210, 220 arranged to spray wash water. At least one of the injectors 210 and 220 includes a first injector 21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basket 161 and the lower basket 162 and a second injector 220 located below the lower basket 162 ).
  • the first injecting device 210 and the second injecting device 220 are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rotating shaft and can rotate and spray washing water.
  • a heater (not shown) and a heater mount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tub 110 to heat the washing water.
  • a heater mounting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ub 110, and a heater may be installed on the heater mounting groove.
  • the sump 18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tub 110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and pump it.
  • the sump 180 may include a washing pump 181 for pumping washing water to a high pressure and a pump motor 182 for driving the washing pump 181.
  • the cleaning pump 181 pumps the wash water to the first injector 210 via the first supply pipe 260. In addition, the cleaning pump 181 pumps the wash water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270 to the second injector 220 located below.
  • the sump 180 may include a turbidity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 a controller (not shown) of the dishwasher 100 can detec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using a turbidity sensor (not shown) and control the number of times of washing or rinsing. That is, the washing or rinsing step can be increased when the contamination degree is high, and the washing or rinsing step can be decreased when the contamination degree is low.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rame 150 mounted to the opening 11 of the counter 10.
  • the cover frame 150 may be mounted on the opening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ub 110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In other words, the cover frame 150 can be mounted on the opening 11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tub 110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cover frame 150 may include a cover frame body 158 and a bend 156 that is bent from the cover frame body 158 to be supported on the counter 10.
  • the bent portion 156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frame body 158 so as to be bent outwardly of the dishwasher 100.
  • the cover frame body 158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51 to which the upper door 120 is seated.
  • an upper door hinge 290 including a hinge shaft 291 may b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151 of the cover frame body 158.
  • the upper door 1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door hinge 29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shaft 291.
  • the hinge shaft 291 of the upper door hinge 290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cover frame body 158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ll 152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151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first wall 152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from the outside end of the seating portion 151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seating portion 151 may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door 120 and the first wall 152 may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door 120.
  • the seating portion 151 and the first wall 152 may define an upper door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upper door 120 is received.
  • the cover frame body 158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ll 153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151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Specifically, the second wall 153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151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second wall 153 may extend further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than the first wall 152. That is, the second wall 153 may have a higher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than the first wall 152.
  • the space defined by the first wall 152 may have a wider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ystem kitchen 1 than the space defined by the second wall 153.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frame 150 and the counter 10. [ In other words,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can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cover frame 150 and the counter 10.
  •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can prevent the external fluid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dishwasher 10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ver frame 150 and the counter 10, 150 and the counter 10 so a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liquid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10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ver frame 150 and the counter 10.
  •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s an example,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door 12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serves to supplement the sealing between the cover frame 150 and the upper door 120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tub 1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door 12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panel 800.
  • the housing panel 8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tub 110.
  • the housing panel 800 can be coupled to both side walls of the tub 110, i.e., the left wall and the right wall, respectively.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tub body 113 and a tub top 114 mounted on the tub body 113.
  • the tub 110 may include a tub body 113 and a tub top 114.
  • the tub top 11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ub body 113.
  • An upper opening 112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1 of the counter 10 may be formed in the tub top 114.
  • the tub top 11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tub body 113.
  • the tub top 114 may be formed of polypropylene (PP), and the tub body 113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STS).
  • PP polypropylene
  • STS stainless steel
  • the tub top 114 may be provided with a collecting part 115.
  • the collecting part 115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 top 114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 the water collecting part 115 may be formed on the tub tower 114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connecting member 310 to be described later. If the washing water can not flow into the tub 110 due to incomplete coupling or wear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and flows along the outer wall of the tub 110, it may cause unsafe and dangerous problems as well as fire.
  • the water collecting part 115 collects washing water which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ub body 113, that is, the tub top 114, and which has not flowed into the tub 110, and guides the wash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 the tub top 114 may be provided with a panel fixing portion 116.
  • the housing panel 800 can be coupled to the tub 110 to face both side walls of the tub 110.
  • the housing panel 800 may be coupled to the panel fixing portion 116 of the tub top 114 so as to face both side walls of the tub body 113.
  • the housing panel 800 may be secured to the panel fixing portion 116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310.
  •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cover frame 150 and the tub 110. [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310 can connect the cover frame 150 and the tub 110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have an elastic material.
  •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frame 150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the tub 110. In other words,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frame 150,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the tub top 114.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door 130.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serves to complement the hermeticity between the tub 110 and the front door 130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1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130.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 the upper door 120 may be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1 depending on whether the upper door 120 is opened or closed.
  • the control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door 120 to detect whether the upper door 120 is opened or closed.
  • the controller of the upper door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door 120 to detect whether the upper door 120 is open or closed.
  • the control unit of the upper door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components disposed in the lower module.
  • the cover frame 150 and the upper door 120 are referred to as an " upper module " in the structure of the dishwasher 100, and the cover frame 150,
  •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connecting member 120 and the connecting member 310 are referred to as " lower module ".
  • the lower module is mounted to the cabinet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of the system kitchen 1. Specifically, the lower module is housed in the cabinet 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of the system kitchen 1, and is fixed to the cabinet 20 with the front thereof opened. Thereafter, the upper module is mounted on the counter 10.
  • the cover frame 150 is mounted on the opening 11 of the counter 10, and the upper door 120 is mounted on the cover frame 150.
  •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310.
  • the cover frame 150 of the upper module and the tub 110 of the lower module may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310.
  • the additional basket 170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dditional baske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fram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opened on the upper side so as to accommodate the dishes therein.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formed by a wire 171 arranged in a lattice shape so that the tableware stored therein can be easily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171 that cross each other to receive the tableware therein.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include a basket body 172.
  • the basket body 172 may have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dishes can be stored.
  • the upper side of the basket body 172 can be opened so that the tableware can be easily accommodated.
  • the basket body 172 may be formed by a wire 171 arranged in a lattice pattern.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include a handle 173.
  • the handle 173 may be coupled to the basket body 172.
  • the handle 173 may have a closed loop.
  • the edge of the handle 173 can be rounded.
  • the shape of the handle 173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 the height h1 of the handle 173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h2 of the basket body 172.
  • the height h1 of the handle 173 and the height h2 of the basket body 172 can be measured with referen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i.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body 172.
  • the height h1 of the handle 173 may be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body 172 to the top surface of the handle 173 and the height h2 of the basket body 172 may be defined as the height May be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172 to the top surface of the basket body 172.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accessory 174 provided to receive the tableware.
  • the mounting accessory 174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basket body 172.
  • the mounting accessory 174 may have a mounting portion 175 capable of mounting a cutlery, a scoop, and the like.
  • the cover frame 15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154.
  • a support portion 154 protruding inwardly of the cover frame 15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ver frame 150 to allow the additional basket 170 to pass therethrough.
  •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wall 153 of the cover frame 150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154 protruding inwardly of the cover frame 150 so that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spanned.
  • the support portion 154 may be provided on the left inner wall and the right inner wall of the cover frame 150.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150.
  •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150 by placing the wire 171 of the basket body 172 over the support 154.
  • the additional basket 170 includes a first wire 171a position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wires 171 forming the right side wall of the basket body 172, And the second wire 171b positioned at the uppermo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171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154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inner walls of the cover frame 150, respectively.
  • the cover frame 150 may be provided with guides 155a and 155b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 [ 155b protruding inwardly of the cover frame 15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ver frame 150.
  • the guides 155a and 155b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inner wall and the rear inner wall of the cover frame 150.
  • the support portion 154 and the guides 155a and 155b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ver frame 150 so as to be alternately positio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frame 150.
  • the guides 155a and 155b may include a first guide 155a and a second guide 155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with the handle 173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guide 155a and the second guide 155b .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FIG.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leaning space 330 formed inside the tub 110.
  • the dishwas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leaning space 340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leaning space 330.
  • the second cleaning space 340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door 120 and the tub 110.
  • the second cleaning space 340 may be defined by the cover frame 150.
  • the second cleaning space 340 may be defined by the second wall 153 of the cover frame 15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leaning space 340 can be defined by the upper door 120, the second wall 153 of the cover frame 150, the connecting member 310, and the tub 110.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drawable through the opening 11.
  • a tableware D in which at least a part is located in the first washing space 330 can be accommodated. That is,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receive a tableware 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closer to the upper door 120 than the handle 173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receive a tableware 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closer to the upper door 120 than the handle 173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received within the at least one basket 161,162. Specifically,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dispos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received within the upper basket 161.
  • the withdrawal of the at least one basket 161,162 from the tub 110 may be restricted.
  • the upper basket 161 can be restricted from being drawn out of the tub 110.
  •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drawing the additional baske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the upper door 120 is omitted.
  •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drawn out and stored through the opening 11.
  • the withdrawal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limited by the cover frame 150.
  • withdrawal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limit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handle 173 and the cover frame 150.
  • the withdrawal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limit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handle 173 and the second wall 153 of the cover frame 150. That is, the cover frame 150 may serve as a stopper to prevent the drawer 100 from being pulled out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 Movement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guided by guides 155a and 155b.
  •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drawn or received through the opening 11 with the handle 173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guide 155a and the second guide 155b.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150. Specifically,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150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being received in the upper basket 161.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150 by the wire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being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154. More specifically,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formed by covering the cover frame 150 by placing the first wire 171a and the second wire 171b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on the support portion 154 of the cover frame 150, FIG. 9A and FIG. 9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additional basket is taken ou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duplicate descriptions of those in FIGS. 8A and 8B are omitted.
  • the additional basket 170a can be seated in at least one basket 161,162.
  • the additional basket 170a may have a coupling portion 177 that is releasab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basket 161,162. That is, the additional basket 170a may have an engaging portion 177 that is releasably coupled to the upper basket 161.
  • the engaging portion 177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dditional basket 170a. In other words, the engaging portion 177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dditional basket 170a so as to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asket 161.
  • the coupling portion 177 of the additional basket 170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asket 161.
  • the coupling portion 177 of the additional basket 170a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ires 163 defi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asket 161.
  • the additional basket 170a may include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177, and the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177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wires 163 defining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basket 161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 the dishwasher may not be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in the system kitchen but may be provided in the kitchen itself.
  • This type of dishwasher is defined as a free standing type dishwasher.
  • a freestanding dishwasher will be mainly described.
  • FIG. 10 is a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ont door 130 is omitted.
  •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omitted.
  • the dishwasher 100a may include a housing 500 that forms an appearance.
  • the dishwasher 100a may further include a tub 110 in which a washing space 330 is formed.
  • the tub 1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500.
  • the tub 110 may include a front opening 11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ront door 130.
  • the front opening 111 may be larger than the opening 410 formed in the cover frame 400.
  • the tub 11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urface opening 112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410 formed in the cover frame 400.
  • the dishwasher 100a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oors 120 and 130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 the dishwasher 100a includes an upper door 120 provided to allow top loading of the tableware, and a front door 130 provided to allow front loading of the tableware .
  • the upper door 120 and the front door 1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 the installation of the upper door 120 and the front door 1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the upper door 120 and the front door 130 are rotatably installed will be mainly described.
  • the upper door 12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ver frame 400.
  • the front door 1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tub 110.
  • the front door 13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detergent box 141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and a rinsing box 142 for supplying rinse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 the upper door 12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700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upper door 120.
  • the dishwasher 100a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rame 400.
  • the cover frame 400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tub 110.
  • the upper door 120 may be installed in the cover frame 400.
  • the cover frame 40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51 to which the upper door 120 is seated.
  • an upper door hinge 290 including a hinge shaft 291 may b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151 of the cover frame 400.
  • the upper door 1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door hinge 29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shaft 291.
  • the hinge shaft 291 of the upper door hinge 290 may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Y of the dishwasher 100a.
  • the cover frame 4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ll 152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151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100a.
  • the first wall 15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100a from the out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151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dishwasher 100a.
  • the seating portion 151 may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door 120 and the first wall 152 may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door 120.
  • the seating portion 151 and the first wall 152 may define an upper door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upper door 120 is received.
  • the cover frame 4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ll 153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151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100a.
  • the second wall 153 can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100a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151 toward the bottom of the dishwasher 100a.
  • the first wall 152 may extend fur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100a than the second wall 153. [ That is, the first wall 152 may have a higher heigh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100a than the second wall 153.
  • the space defined by the first wall 152 may have a wider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Y of the dishwasher 100a than the space defined by the second wall 153.
  • the dishwasher 100a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door 12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door 120 to prevent the wash water in the tub 1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door 120 120 and the cover frame 40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the like. .
  • the dishwasher 100a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rame 600 disposed between the tub 110 and the cover frame 400.
  • the connection frame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frame 400 and the tub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100a to connect the cover frame 400 and the tub 110.
  • the dishwasher 100a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basket 161 and 162 disposed inside the tub 110 to be drawn out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 At least one of the baskets 161,162 may be referred to as a " front loading basket ".
  • the dishwasher 100a includes an upper basket 161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Z of the dishwasher 100a and a lower basket 162 dispos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Z of the dishwasher 100a, And a lower basket 162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asket 161.
  • the upper basket 16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additional basket 170 described below.
  • the description of at least one of the baskets 161 and 162 is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 the dishwasher 100a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basket 170 provid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410 of the cover frame 400.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referred to as a " top loading basket. &Quot;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disposed above the at least one basket 161, 162. Specifically,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pulled out only through the opening 410 of the cover frame 400 and the draw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removed from the cover frame 400 400.
  • the description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 the dishwasher 100a may further include a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door 130.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serves to complement the hermeticity between the tub 110 and the front door 130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1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130.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 the front door 130 of the dishwasher 100a may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dishwasher 100a.
  • the upper door 120 of the dishwasher 100a may form an upper surface appearance of the dishwasher 100a. Specifically, the upper door 120 of the dishwasher 100a may form an upper surface appearance of the dishwasher 100a together with the cover frame 400. FIG.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400.
  • the manner in which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seated in the cover frame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B.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seated in at least one basket 161,162.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at least one basket 161,162.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upper basket 161. The manner in which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seated on the upper basket 161 will be omitted from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and 9B.
  • 13A and 13B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drawing the additional basket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the upper door 120 is omitted.
  •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taken out and stored through the opening 410 of the cover frame 400.
  • the draw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restricted by the cover frame 400.
  • withdrawal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limit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handle 173 and the cover frame 400.
  • the withdrawal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can be limit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handle 173 and the second wall 153 of the cover frame 400. That is, the cover frame 400 may serve as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draw-out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 Movement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guided by guides 155a and 155b.
  •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410 of the cover frame 400 with the handle 173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guide 155a and the second guide 155b Can be accommodated.
  •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400. Specifically, the additional basket 170 may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400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being received in the upper basket 161. The additional basket 170 can be seated in the cover frame 400 by the wire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being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154. More specifically, the additional basket 17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wire 171a and the second wire 171b of the additional basket 170 are laid over the support portion 154 of the cover frame 400, Lt; / RTI >
  •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system kitchen in which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at described in Fig. 1 and Fig. 2 will be omitted.
  • the cover frame 150 may include a frame opening 159 that opens upward and downward. The user can take the utensil out of the tub 110 through the opening 11 of the counter 10 and the frame opening 159 and the top opening 112 of the tub 110.
  • the upper door 120 may include a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 the detergent supplied from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may be used to clean the tableware loaded on the upper basket 161 through the upper door 120. Details of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front door 130 may include a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may include a second detergent case 141 for supplying the detergent and a second rinsing case 142 for supplying the rinse into the tub 110.
  •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can be used to clean the dishes loaded on the lower basket 162 and the upper basket 161 mainly through the front door 130.
  • FIG. 1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ystem kitchen of FIG. 14, and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fram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he front door 130 is omitted.
  • the dishwasher 1000 includes a tub 110 in which a washing space 330 is formed, a sump 18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ub 110 to store washing water, . ≪ / RTI >
  • At least one basket (161, 162) may be disposed inside the tub (110)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at least one basket 161, 162 is drawn and stored through the front opening 111 of the tub 110 by at least one rack 190 that slidably supports at least one basket 161, 162 .
  • At least one of the baskets 161 and 162 may be opened at the upper side so as to accommodate the dishes therein. At least one of the baskets 161 and 162 may be formed by a wire 163 arranged in a lattice shape so that the tableware stored therein can be easily cleaned by the washing water. In other words, the at least one basket 161, 16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s 163 that intersect each other to receive the tableware therein.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praying device 210, 220 arranged to spray wash water. At least one of the injectors 210 and 220 includes a first injector 21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basket 161 and the lower basket 162 and a second injector 220 located below the lower basket 162 ).
  • the first injecting device 210 and the second injecting device 220 are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rotating shaft and can rotate and spray washing water.
  • a heater (not shown) and a heater mounting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tub 110 to heat the washing water.
  • a heater mounting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tub 110, and a heater may be installed on the heater mounting groove.
  • the sump 18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tub 110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and pump it.
  • the sump 180 may include a washing pump 181 for pumping washing water to a high pressure and a pump motor 182 for driving the washing pump 181.
  • the cleaning pump 181 pumps the wash water to the first injector 210 via the first supply pipe 260. In addition, the cleaning pump 181 pumps the wash water through the second supply pipe 270 to the second injector 220 located below.
  • the sump 180 may include a turbidity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 the controller 2000 of the dishwasher 1000 can detec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by using a turbidity sensor (not shown) and control the number of times of washing or rinsing. That is, the washing or rinsing step can be increased when the contamination degree is high, and the washing or rinsing step can be decreased when the contamination degree is low.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rame 150 mounted to the opening 11 of the counter 10.
  • the cover frame 150 may be mounted on the opening 1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ub 110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In other words, the cover frame 150 can be mounted on the opening 11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tub 110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cover frame 150 may include a cover frame body 158 and a bend 156 that is bent from the cover frame body 158 to be supported on the counter 10.
  • the bent portion 156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frame body 158 so as to be bent outwardly of the dishwasher 1000.
  • the cover frame body 158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51 to which the upper door 120 is seated.
  • an upper door hinge 290 including a hinge shaft 291 may be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151 of the cover frame body 158.
  • the upper door 1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door hinge 29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shaft 291.
  • the hinge shaft 291 of the upper door hinge 290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cover frame body 158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all 152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151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first wall 152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from the outside end of the seating portion 151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seating portion 151 may 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door 120 and the first wall 152 may face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door 120.
  • the seating portion 151 and the first wall 152 may define an upper door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upper door 120 is received.
  • the cover frame body 158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all 153 extending from the seating portion 151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Specifically, the second wall 153 may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ting portion 151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second wall 153 may extend further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than the first wall 152. That is, the second wall 153 may have a higher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than the first wall 152.
  • the space defined by the first wall 152 may have a wider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system kitchen 1 than the space defined by the second wall 153.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ver frame 150 and the counter 10. [ In other words,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can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cover frame 150 and the counter 10.
  •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can prevent the external fluid from flowing into the dishwasher 100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ver frame 150 and the counter 10, 150 and the counter 10 so a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liquid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100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over frame 150 and the counter 10.
  •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s an example, the cover frame sealing member 350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door 12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serves to supplement the sealing between the cover frame 150 and the upper door 120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tub 1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upper door 120.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 the upper door sealing member 300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panel 800.
  • the housing panel 8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tub 110.
  • the housing panel 800 can be coupled to both side walls of the tub 110, i.e., the left wall and the right wall, respectively.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tub body 113 and a tub top 114 mounted on the tub body 113.
  • the tub top 114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ub body 113.
  • the tub top 114 may have an upper surface opening 112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1 of the counter 10.
  • the tub top 11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tub body 113.
  • the tub top 114 may be formed of polypropylene (PP), and the tub body 113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STS).
  • the tub top 114 may be provided with a collecting part 115.
  • the collecting part 115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 top 114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 the water collecting part 115 may be formed on the tub tower 114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connecting member 310 to be described later. If the washing water can not flow into the tub 110 due to incomplete coupling or wear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and flows along the outer wall of the tub 110, it may cause unsafe and dangerous problems as well as fire.
  • the water collecting part 115 collects washing water which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ub body 113, that is, the tub top 114, and which has not flowed into the tub 110, and guides the wash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 the tub top 114 may be provided with a panel fixing portion 116.
  • the housing panel 800 can be coupled to the tub 110 to face both side walls of the tub 110.
  • the housing panel 800 may be coupled to the panel fixing portion 116 of the tub top 114 so as to face both side walls of the tub body 113.
  • the housing panel 800 may be secured to the panel fixing portion 116 by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310.
  •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cover frame 150 and the tub 110. [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310 can connect the cover frame 150 and the tub 110 so as to be stretchable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system kitchen 1.
  •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have an elastic material.
  •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frame 150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the tub 110. In other words,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frame 150,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310 may be coupled to the tub top 114.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see FIG. 14).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door 130.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serves to complement the hermeticity between the tub 110 and the front door 130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in the tub 11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130.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 the front door sealing member 320 may be formed of rubber or the like.
  • the upper door 120 may be provided with communication means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1000 depending on whether the upper door 120 is opened or closed.
  • the controller 2000 of the dishwasher 10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nsor provided on the upper door 120 to detect whether the upper door 120 is open or closed.
  • the controller 20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components disposed in the lower module.
  • the cover frame 150 and the upper door 120 in the structure of the dishwasher 1000 will be referred to as an "upper module” and the cover frame 150, the upper door 120,
  • the lower module is first install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X) of the system kitchen 1, To the cabinet 20.
  • the lower module is housed in the cabinet 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X of the system kitchen 1, and is fixed to the cabinet 20 with the front thereof opened.
  • the upper module is mounted on the counter 10.
  • the cover frame 150 is mounted on the opening 11 of the counter 10
  • the upper door 120 is mounted on the cover frame 150.
  •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member 310.
  • the cover frame 150 of the upper module and the tub 110 of the lower module may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310.
  • FIG. 18A is a view showing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door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 FIG. 1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detergent container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FIG.
  • FIG. Fig. 18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nse tank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Fig. 18A is opened
  • Fig. 19A is a schematic view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n a state where the upper door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 Fig. Fig. 19B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with the upper door closed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C is a schematic sectional side view of the detergent dispenser in Fig. Fig.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door 120.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is disposed in a lower surface (or an inner surface) 122 of the upper door 120 so that the upper door 120 is closed when the upper door 120 is closed (See Figure 15).
  • ≪ RTI ID 0.0 >
  • the dishwasher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pen the upper door 120 on the sink 30 or the counter 10 to make it easier for the user to open the front door 13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loading and discharging the tableware inside the tub 110.
  • the dishwasher 10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ser can open only the upper door 120 to easily load the dishware, and at the same time, to supply the detergent and rinse to the dishwasher 1000, And a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disposed on the first detergent dispenser 120.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includes a first detergent dispenser 910 for supplying detergent from a user and supplying detergent to the tub 110, a first rinse dispenser 910 for supplying rinse from the user and supplying rinse to the tub 110, 920 < / RTI > And a front portion 950 in which an electrical component for driving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is disposed so as to drive the cover 940 to be described later and spray the rinse in the first rinse case 920.
  • a detergent seat member 93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etergent dispenser case 9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oad the detergent into the first detergent dispenser 910 and the loaded detergent is placed thereon.
  •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a rinse seat member 96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rinse case 9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load the rinse into the first rinse case 920 and seat the loaded rinse.
  •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includes an opening 911 that opens toward the tub 110 side when the upper door 120 is closed and the opening 911 of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is slidably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940 provided.
  • the user can slide the cover 940 to one side to open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and load detergent on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as shown in Fig.
  • the user can also rotate the first rinsing door 921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rinsing box 920 to open the first rinsing box 920 and load the rinsing on the rinsing member 960.
  • the cover 940 is slid by the user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as described above and is slidably controlled during the cleaning stroke of the dishwasher 1000 by the control unit 2000, 1
  • the detergent container 910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detergent seat member 930 includes a seating surface 933 on which the detergent is seated, a rotation portion 932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detergent receptacle 910, a space formed by the seating surface 933 and the rotation portion 932 And a detergent mounting portion 931 on which the detergent is mounted.
  • the rotary part 932 may protrude to one side from both ends of the seating surface 933 and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detergent case 910, respectively.
  • the rotary part 932 is not shown in the figure but is inserted into a groove provided in the first detergent case 910 including the rotary protrus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rotary protrusion so that the rotary part 93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detergent case 910 So that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can be rotated.
  • the rotating part 93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detergent case 910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a first detergent case 910 and a hinge combination.
  • the detergent seat member 930 When the detergent seat member 93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A, the user can easily supply the detergent to the detergent seat portion 931. [ This is because the seating surface 933 of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931 on which the detergent is placed faces upward and the detergent can be stably placed on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931.
  • the user slides the cover 940 as described above to open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and load the detergent into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931, and then, as shown in FIG. 19A, So that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can be closed again.
  • the detergent receiving member 930 when the upper door 120 is closed, the detergent receiving member 930 is interlocked with the closing of the upper door 120 so that the detergent receiving portion 93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direction And to be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B where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ing portions are disposed.
  • the detergent loaded on the seating surface 933 when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B can be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detergent receptacle 910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ing surface 933 have. That is,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can supply detergent to the first detergent box 910 when it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B.
  • the detergent loaded on the seating surface 933 is stacked on the inner surface 941 of the cover 940 along the slope so that it can be loaded inside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until the cover 940 is opened.
  •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is rotated from the first position A to the second position B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by the rotation part 932, (A) to the second position (B) by its own weight.
  • the cover 940 when the cover 940 is slid by the controller 2000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dishwasher 1000 to open the first detergent compartment 910, the first detergent compartment 910
  • the detergent may be supplied to the tub 110 by being dropped to the tub 110 side. Through such a cycle, the user can open the upper door 120 only and easily supply the detergent into the tub 110.
  • FIG. 2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hwasher 1000 may include an input unit 2100 that receives a user's input and transmits a start signal of the washing cycle of the dishwasher 1000 to the controller 2000.
  • the control unit 2000 can receive the signal from the input unit 2100 and control the washing stroke of the dishwasher 1000 by driving the washing pump 181 and at least one of the injectors 210 and 220.
  • the dishwasher 100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2200 including a door sensor for checking whether the front door 130 is open or closed and a sensor provided for the upper door 120.
  • the sensor unit 2200 ma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000 indicating whether the front door 120 has been opened or closed before a signal is received at the input unit 2100.
  • control unit 20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2100 and the sensor unit 2200, Can be controlled.
  • the front do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front door 130 has been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sensor unit 2200. If the front door 130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sensor unit 2200, The controller 2000 determines that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are both driven (S200). If the controller 2000 determines that the front door 130 has been opened or closed before the cleaning cyc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so as to control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 the controller 2000 determines that the front door 130 has not been opened or closed before the cleaning process, 2000 are provided with a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a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900 for driving only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or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000 during the clean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 the control of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of the control unit 2000 during the post-cleaning washing cycle can be terminated.
  • the control unit 2000 controls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user does not open or close the front door 130, It is possible to clean the tableware by driving only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without driving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tub 110 when loading the detergent in the tub 110 to be.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are efficiently driven through the control of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of the controller 2000, .
  • FIG. 22 is a view showing a system kitchen in which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 FIG. 23 is a view showing the system kitchen of FIG. 22, And the first cover of the feeding device is opened.
  • 2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 washer of Fig.
  • a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of the dishwasher 10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Except for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described 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dishwasher 1000 is the same as that of the dishwasher 1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of the dishwasher 1000'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123 'and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upper door 120 ' .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 may be provided such that both the top surface 123' side and the bottom surface 122 'side ar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includes a first cover 970 and a lower surface 122' that open and close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on the upper surface 123' side of the upper door 120 ' And a second cover 980 for opening / closing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
  • the first cover 97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123 'of the upper door 120', and the outer surface 971 of the first cover 970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upper door 120 ',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 the outer surface 971 of the first cover 97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surface 123 'of the upper door 120'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dishwasher 1000 '.
  • the first cover 970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23 'of the upper door 120' as shown in FIG. One side of the first cover 970 may be rotated about one side of the first cover 970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with the upper surface 123 'of the upper door 120'
  • the first cover 97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may be pivoted upward by a push-up method or the like through a configuration of a latch, a spring member, or the like.
  • the first cover 970 may be rotated toward the upper side to open the first detergent case 910 'and the first rinsing case 920'.
  • a detergent seat member 930 'and a rinse seat member 960'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972 of the first cover 97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detergent case 910 'and the first rinsing case 920'
  • the first cover 970 can be opened to easily load the detergent and the rinse into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
  •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 may include a detergent seating portion 931' on which the detergent is seated and a rotation portion 932 'rotatably engaged with the first cover 970.
  • the rotary part 932 ' may protrude to one side from both ends of the detergent receiving part 931' and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972 of the first cover 970, respectively.
  •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 When the first cover 970 is opened,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is moved in the first position A in which the detergent seating portion 931' is disposed to be oriented substantially upward,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of the first cover 970, And the user can easily supply the detergent to the detergent seat 931 '. This is because the seating surface 933 'of the detergent seating portion 931' on which the detergent is placed faces upward and the detergent can be stably placed on the detergent seating portion 931 '.
  •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 may be pivoted so as to be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B in which the detergent seating portion 931' is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ubstantially upward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f the first cover 970.
  •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 When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B, the detergent loaded on the seating surface 933' as shown in FIG. 24 is moved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ing surface 933 ' And can be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etergent container 910 '. That is,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930 'can supply the detergent to the first detergent box 910' when it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B.
  • the detergent loaded on the seating surface 933 ' is accumul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980 along the slope so that it can be loaded inside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until the second cover 980 is opened have.
  • the first detergent compartment 910 ' The loaded detergent drops to the tub 110 side and the detergent can be supplied to the tub 110.
  • the user can open the first cover 970 only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door 120 ', and can easily supply detergent and rinse into the tub 110. That is, even if the user opens the upper door 120 'to load the tableware on the upper basket 161 and closes the upper door 120' without inserting the detergent, the user can not open the upper door 120 ' The detergent can be supplied into the tub 110 by opening only the first cover 970.
  • FIG. 2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over of a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of a dishwasher is opened in a system kitchen in which a dishwash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t- And Fig. 26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dish washer of Fig.
  •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dishwasher 10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of the dishwasher 1000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123" and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upper door 120" as shown in FIGS. 25 and 26.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may be provided such that both the top surface 123" side and the bottom surface 122 "side ar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includes a first cover 97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on the upper surface 123" side of the upper door 120 "
  • the second cover 98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
  • the first cover 970 "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123 " of the upper door 120 “ and can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123 " of the upper door 120 &
  • the first rinsing box 970 " can open / close the first rinsing box 910 " and the first rinsing box 920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ixth embodiment, and the first cover 970 " can slide and move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 and the first rinse container 920 ".
  • the detergent supply device 900 " can load the detergent and the rinse directly in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 and the first rinse container 920 " without containing the detergent seating member or the rinse seating member .
  •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 and the first rinse container 920 " are opened directly through the first cover 970 " without the upper door 120 “ 910 ”) and the first rinsing compartment 920 ".
  • the detergent can be loaded in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 and the second cover 980 " is slid by the control unit 2000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dishwasher 1000 "
  • the detergent loaded in the first detergent container 910 " drops to the side of the tub 110 and the detergent may be supplied to the tub 110.
  • the rinsing unit 920 " can supply rinsing to the tub 110 through the cycle as described above,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dishwasher may not be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in the system kitchen but may be provided in the kitchen itself.
  • This type of dishwasher is defined as a free standing type dishwasher.
  • a freestanding dishwasher will be mainly described.
  •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hwasher of FIG.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scription of the built-in type dishwasher will be omitted.
  • the description of the dishwasher 100a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omitted.
  • &Quot; 1000a " refers to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 the upper door 120 may include a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As shown in FIG. The detergent supplied from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may be used to clean the tableware loaded on the upper basket 161 through the upper door 120.
  • the front door 130 may include a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for supplying detergent to the inside of the tub 110.
  •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may include a second detergent case 141 for supplying the detergent and a second rinsing case 142 for supplying the rinse into the tub 110.
  •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can be used to clean the dishes loaded on the lower basket 162 and the upper basket 161 mainly through the front door 130.
  •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and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detergent supply device 900 of the dishwasher 1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plicate description of the second detergent supply device 140 is omitted.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추가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는, 전면(前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의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바스켓에 로딩하는 과정에서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이 식기세척기의 설치 면에 떨어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는, 상면(上面) 개구를 가지고, 내부에 터브가 배치되는 본체와,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도어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의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상부공간과 도어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상을 가지는 식기의 로딩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로딩 타입의 식기세척기와, 탑 로딩 타입의 식기세척기의 문제점을 개선한 새로운 타입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기대가 크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식기의 프론트 로딩 및 탑 로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방으로 인출 가능한 바스켓이 적용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세척공간의 확대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상부 도어를 통해 세제를 용이하게 식기세척기로 공급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 및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추가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에 안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상부 도어가 설치되도록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바스켓의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한 인출은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스켓은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바스켓의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한 인출은 상기 핸들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커버 프레임에 안착 가능하다.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벽에는 상기 추가 바스켓이 걸쳐질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에 안착 가능하다.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추가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추가 바스켓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 바스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스켓은, 상기 추가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바스켓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스켓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 및 상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상면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한 인출이 제한되는 탑 로딩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로딩 바스켓은, 식기가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탑 로딩 바스켓 바디 및 상기 탑 로딩 바스켓 바디에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탑 로딩 바스켓의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한 인출은 상기 핸들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론트 로딩 바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로딩 바스켓은 상기 프론트 로딩 바스켓에 안착 가능하다.
상기 탑 로딩 바스켓은, 상기 탑 로딩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론트 로딩 바스켓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로딩 바스켓은, 상기 탑 로딩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론트 로딩 바스켓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탑 로딩 바스켓은 상기 커버 프레임에 안착 가능하다.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벽에는 상기 탑 로딩 바스켓이 걸쳐질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 및 상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상면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부 도어, 상기 터브의 전면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및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추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추가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터브로부터의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와 상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와 상기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상부 도어에 마련되고, 세제 함과 상기 세제 함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세제 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안착부재는 세제가 상기 안착부재로 안착되는 제 1위치와 세제가 상기 안착부재에서 이탈되는 제 2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제 안착부재는 세제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세제 함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세제 안착부재가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 사이를 회전되도록 상기 세제 함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제 안착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의 개방 정도에 따라 상기 상부 도어에 연동되어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 사이에서 회동되고,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될 시 상기 세제 안착부재는 상기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될 시 상기 세제 안착부재는 상기 제 2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 안착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세제 공급장치는 상기 세제 함을 개폐하도록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는 세척 장치와, 상기 전방 도어에 마련되는 추가 세제 공급장치와, 상기 세제 공급장치와 상기 추가 세제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도어가 개폐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세척 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세제 함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세제 공급장치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터브의 상방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바스켓에 세척물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세척 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세제 함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세제 공급장치는 린스 함과 상기 린스 함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될 시 린스가 안착될 수 있는 린스 안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스 안착부재는 린스가 안착되는 린스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린스 안착부는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될 시 린스가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상부 도어와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도어는 상기 커버 프레임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제 공급장치는 상기 상부도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세제 공급장치는 상기 상부도어의 상면측에서 상기 세제함을 개폐하는 제 1커버와 상기 상부도어의 하면측에서 상기 세제함을 커버하는 제 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상부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커버를 통해 외부에서 세제를 공급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세제 공급장치는 상기 세제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 함에 외부에서 세제가 공급될 시 상기 제 2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세제 함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와 상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는 세척 장치와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와 상기 상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에 마련되는 제 1세제 공급장치와 상기 전방 도어에 마련되는 제 2세제 공급장치와 상기 프론트 도어가 개폐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세척 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제 1세제 공급장치만 구동되도록 상기 제 1세제 공급장치와 상기 제 2세제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론트 도어가 개폐된 후 상기 세척 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제 1세제 공급 장치와 상기 제 2세저 공급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터브의 상방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바스켓에 세척물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세척 장치가 구동될 시, 상기 커버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세제 함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세제 공급장치는 세제 함과 상기 세제 함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세제 안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안착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가 개방되었을 시 제 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도어가 폐쇄되었을 시 제 2위치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와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와 상기 터브의 상부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상부 도어에 배치되는 제 1세제 공급장치와 상기 터브의 전면으로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프론트 도어에 배치되는 제 2세제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구현함에 따라 식기의 프론트 로딩 및 탑 로딩이 모두 가능하다.
프론트 도어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 가능한 바스켓뿐만 아니라 상부 도어를 통해 상방으로 인출 가능한 추가 바스켓을 식기세척기에 적용함으로써 소비자의 사용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 1세척공간뿐만 아니라 제 2세척공간에서도 식기의 세척이 가능하므로 제 1세척공간만 가지는 기존의 식기세척기에 비해 넓은 세척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식기세척기는 사용자가 상부 도어를 개방하여 세제를 식기세척기에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 상부 도어에 마련되는 세제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세제 공급장치는 상부 도어의 개방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세제 안착부를 포함하여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제 1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추가 바스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추가 바스켓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추가 바스켓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추가 바스켓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의 사시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제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8b는 도 18a의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함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c는 도 18a의 세제 공급장치의 린스함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a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세제 공급장치의 개괄적인 측단면도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부 도어가 폐쇄된 상태의 세제 공급장치의 개괄적인 측단면도
도 19c는 도 19b의 세제 공급장치에서 세제함이 개방된 상태의 개괄적인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공급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공급장치의 제어흐름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제 1세제 공급장치의 제 1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22의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제 1세제 공급장치의 제 1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5의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제 1식기세척기의 프론트 도어 및 상부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X”는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을 나타내고, “Y”는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Z”는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시스템 키친(1)의 좌우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은, 각각 식기세척기(100)의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1)은 수납공간(22)을 가지는 캐비닛(20)과, 캐비닛(20)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운터(10)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카운터(10)는 “조리대”로 명명될 수 있다. 카운터(10)에는 개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0)에는 각종 주방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22)은 캐비닛 도어(2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캐비닛 도어(21)는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은 수납공간(22)을 구획하도록 캐비닛(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격벽은 수납공간(22)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식기를 세척하거나 식재료 등을 손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싱크(sink)(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싱크(30)는 카운터(1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식기나 식재료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카운터(10)에 설치되는 싱크볼(sink bowl)(31)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볼(31)에는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싱크(30)는 싱크볼(31)에 물을 공급하도록 싱크볼(3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수도관(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도관(33)의 일 단부에는 수도꼭지(34)가 결합될 수 있다. 수도꼭지(34)로부터 싱크볼(31)에 공급된 물은, 배수구와,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관(미도시)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시스템 키친(1)은 시스템 키친(1)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 중 어느 하나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되고,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 중 다른 하나는 회동 방식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1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1)는 프론트 도어(130)의 전면(前面)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조작부(13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조작부(132)는 식기세척기(100)의 전원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32)는 디스플레이부(131)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도어(130)에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조작부(13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tub)(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프론트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카운터(10)에 형성되는 개구(11)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면 개구(112)(도3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면 개구(112)의 상측에는 후술할 커버 프레임(150)이 배치되고, 최종적으로 상부 도어(120)에 의해 상면 개구(112)가 개폐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frame)(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15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150)의 일부가 개구(11) 주변의 카운터(10)에 걸쳐진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150)은 카운터(10) 상에 얹혀지도록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커버 프레임(150)의 너비(w1)는 카운터(10)에 형성된 개구(11)의 너비(w2)보다 클 수 있다. (도3참고) 이 때, 커버 프레임(150)의 너비(w1) 및 개구(11)의 너비(w2)는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을 기준으로 측정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150)의 절곡부(156)가 카운터(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는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161)은 후술할 추가 바스켓(17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개구(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추가 바스켓(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탑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상부 바스켓(16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개구(11)를 통해서만 인출 가능하고,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은 커버 프레임(15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프론트 도어(13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프론트 도어(130)는 캐비닛 도어(21)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는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 도어(130)의 상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상단부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가지는 깔끔한 이미지의 시스템 키친(1)의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프론트 도어(130)의 하단부 및 캐비닛 도어(21)의 하단부 역시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기준선(R')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기준선(R')은 카운터(10)와 평행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일 수 있다. 즉, 기준선(R')은 기준선(R)과 평행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20)는 시스템 키친(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의 상부 도어(120)는 카운터(10)와 함께 시스템 키친(1)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카운터(10)와의 단차가 크도록 마련될 경우, 즉, 상부 도어(120)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되도록 마련될 경우, 사용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가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여 지나치게 돌출된 상부 도어(120)에 부딪힐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4에서 프론트 도어(130)는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와, 터브(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190)에 의해 터브(11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6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163)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는, 상부 바스켓(161) 및 하부 바스켓(16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분사장치(210)와, 하부 바스켓(1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분사장치(210) 및 제 2분사장치(2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터브(110)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10)의 바닥에 히터 설치홈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에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섬프(180)는 터브(110)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섬프(180)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181)와, 세척펌프(181)를 구동하는 펌프모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181)는 제 1공급관(260)을 통해 제 1분사장치(21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또한, 세척펌프(181)는 제 2공급관(27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섬프(18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탁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이격되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오버랩 되지 않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 바디(158)와, 카운터(10) 상에 지지되도록 커버 프레임 바디(158)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56)는, 식기세척기(1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커버 프레임 바디(158)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 바디(158)의 안착부(15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안착부(151)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벽(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벽(152)은, 안착부(151)의 외측 단부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상부 도어(120)의 바닥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안착부(151) 및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가 수용되는 상부 도어 수용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안착부(151)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벽(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벽(153)은, 안착부(151)의 내측 단부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하방을 향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벽(153)은, 제 1벽(152)보다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벽(153)은, 제 1벽(152)보다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벽(15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보다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외부의 유체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하우징 패널(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패널(800)은 터브(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800)은 터브(110)의 양 측벽, 즉,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터브 바디(113)와, 터브 바디(113)에 장착되는 터브 탑(tub top)(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터브 바디(113) 및 터브 탑(114)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대응하는 상면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 탑(114)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브 바디(113)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STS)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집수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터브 탑(1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후술할 연결부재(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터브 탑(11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불완전한 결합, 마모 등을 이유로 세척수가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터브(110)의 외측벽을 따라 흐를 경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화재 등과 위험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터브 바디(113)의 최상단, 즉, 터브 탑(114)에 형성되어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 세척수를 모아 터브(110)의 내부로 안내한다.
터브 탑(114)에는 패널 고정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800)은 터브(110)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800)은 터브 바디(113)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 탑(114)의 패널 고정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800)은 스크루(screw)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패널 고정부(116)에 고정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연결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커버 프레임(150)과 터브(1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부재(310)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 탑(114)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에 따라 식기세척기(1)의 작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술할 “하부 모듈”에 제어부가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에 제어부가 위치하는 경우, 상부 도어(120)의 제어부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120)의 제어부는 하부 모듈에 배치되는 각종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식기세척기(100)를 빌트 인 방식으로 시스템 키친(1)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를 “상부 모듈”이라 명명하고, 식기세척기(1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상부 도어(120) 및 연결부재(3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하부 모듈”이라 명명한다. 먼저 하부 모듈을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캐비닛(2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모듈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20)에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수납되어 캐비닛(20)에 고정된다. 그 후, 상부 모듈이 카운터(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카운터(10)의 개구(11)에 커버 프레임(150)이 장착되고, 커버 프레임(150)에 상부 도어(120)가 설치된다. 상부 모듈 및 하부 모듈은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모듈의 커버 프레임(150) 및 하부 모듈의 터브(110)는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추가 바스켓(170)에 대해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추가 바스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바스켓(170)은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내부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7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추가 바스켓(170)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171)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바스켓 바디(172)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바디(172)의 내부에는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식기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바스켓 바디(172)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바스켓 바디(172)는,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7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핸들(173)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73)은 바스켓 바디(172)에 결합될 수 있다. 핸들(173)은 폐루프 형상(closed loop)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핸들(173)의 모서리는 라운드(round) 처리될 수 있다. 다만, 핸들(173)의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핸들(173)의 높이(h1)는 바스켓 바디(172)의 높이(h2)보다 높을 수 있다. 핸들(173)의 높이(h1) 및 바스켓 바디(172)의 높이(h2)는 추가 바스켓(170)의 바닥면, 즉, 바스켓 바디(17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73)의 높이(h1)는 바스켓 바디(172)의 바닥면으로부터 핸들(173)의 최상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고, 바스켓 바디(172)의 높이(h2)는 바스켓 바디(172)의 바닥면으로부터 바스켓 바디(172)의 최상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식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 액세서리(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 액세서리(174)는 바스켓 바디(17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거치 액세서리(174)는 커트러리(cutlery), 국자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75)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150)에는 지지부(154)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150)의 내벽에는 추가 바스켓(170)이 걸쳐질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54)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의 내면에는 추가 바스켓(170)이 걸쳐질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54)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부(154)는 커버 프레임(150)의 좌측 내벽과 우측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커버 프레임(150)에 안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바스켓 바디(172)의 와이어(171)가 지지부(154) 상에 걸쳐짐으로써 커버 프레임(15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바스켓 바디(172)의 우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171)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 1와이어(171a)와, 바스켓 바디(172)의 좌측벽을 형성하는 와이어(171)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 2와이어(171b)가 각각 커버 프레임(150)의 우측 내벽 및 좌측 내벽에 마련되는 지지부(154) 상에 지지됨으로써 커버 프레임(150)에 안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에는 추가 바스켓(17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155a,155b)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150)의 내벽에는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Z)으로 추가 바스켓(17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155a,155b)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의 내면에는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Z)으로 추가 바스켓(17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도록 커버 프레임(15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155a,155b)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이드(155a,155b)는 커버 프레임(150)의 전방 내벽과 후방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54) 및 가이드(155a,155b)는 커버 프레임(15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위치하도록 커버 프레임(150)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155a,155b)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 1가이드(155a) 및 제 2가이드(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핸들(173)이 제 1가이드(155a) 및 제 2가이드(155b)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시스템 키친(1)의 상하방향(Z)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는 터브(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 1세척공간(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는 제 1세척공간(33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세척공간(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척공간(340)은 상부 도어(120) 및 터브(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세척공간(340)은 커버 프레임(15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세척공간(340)은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세척공간(340)은, 상부 도어(120),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 연결부재(310) 및 터브(11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개구(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에는, 적어도 일부가 제 1세척공간(330)에 위치하는 식기(D)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추가 바스켓(170)에는, 적어도 일부가 추가 바스켓(170)의 핸들(173)보다 상부 도어(120)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는 식기(D)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바스켓(170)에 커다란 식기(D)가 수납되더라도, 추가 바스켓(170)의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의 인출은 커버 프레임(150)에 의해 제한되므로, 추가 바스켓(170)에 수납된 식기(D)는 추가 바스켓(170)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 바스켓(161)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수용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터브(110)로부터의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 바스켓(161)에 수용되는 경우, 상부 바스켓(161)은 터브(110)로부터의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추가 바스켓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서 상부 도어(120)는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바스켓(170)은 개구(11)를 통해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다.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은 커버 프레임(15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은 핸들(173)과 커버 프레임(150)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은, 핸들(173)과 커버 프레임(150)의 제 2벽(153) 사이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150)은,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의 움직임은 가이드(155a,155b)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핸들(173)이 제 1가이드(155a) 및 제 2가이드(155b)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개구(11)를 통해 인출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커버 프레임(15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 바스켓(161)에 수용된 상태로 커버 프레임(150)에 안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와이어가 지지부(154) 상에 지지됨으로써 커버 프레임(15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제 1와이어(171a) 및 제 2와이어(171b)가 커버 프레임(150)의 지지부(154) 상에 걸쳐짐으로써 커버 프레임(150)에 안착될 수 있다.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추가 바스켓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a 및 도 8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바스켓(170a)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안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a)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77)를 가질 수 있다. 즉, 추가 바스켓(170a)은 상부 바스켓(16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77)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77)는 추가 바스켓(170a)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부(177)는 상부 바스켓(161)의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추가 바스켓(170a)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a)의 결합부(177)는 상부 바스켓(161)의 바닥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a)의 결합부(177)는, 상부 바스켓(161)의 바닥면을 정의하는 복수의 와이어(163)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추가 바스켓(170a)은 복수의 결합부(177)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결합부(177)는 상부 바스켓(161)의 바닥면을 정의하는 복수의 와이어(163)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고 그 자체로서 주방에 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프리 스탠딩 타입(free standing type)의 식기세척기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프리 스탠딩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빌트 인 타입(built-in type)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서 프론트 도어(130)를 생략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에서, 추가 바스켓(170)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a)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housing)(500)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0)는 하우징(5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110)는 프론트 도어(130)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전면 개구(1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 개구(111)는 커버 프레임(400)에 형성되는 개구(410)보다 더 클 수 있다. 터브(110)는 커버 프레임(400)에 형성되는 개구(410)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상면 개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도어(120,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a)는 식기의 탑 로딩(top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120)와, 식기의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의 설치 형태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부 도어(120) 및 프론트 도어(1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130)에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함(141) 및 터브(110)의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함(142)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에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핸들(700)이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커버 프레임(cover frame)(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0)은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0)은,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400)의 안착부(15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식기세척기(100a)의 좌우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0)은, 안착부(151)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벽(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벽(152)은, 안착부(151)의 외측 단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방을 향하도록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상부 도어(120)의 바닥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안착부(151) 및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가 수용되는 상부 도어 수용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400)은, 안착부(151)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벽(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벽(153)은, 안착부(151)의 내측 단부로부터 식기세척기(100a)의 하방을 향하도록 식기세척기(100a)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벽(152)은, 제 2벽(153)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1벽(152)은, 제 2벽(153)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벽(15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보다 식기세척기(100a)의 좌우방향(Y)으로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0는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도어(120) 및 커버 프레임(40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터브(110)와 커버 프레임(40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프레임(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600)은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커버 프레임(400) 및 터브(11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 프레임(400)과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는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프론트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식기세척기(100a)는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터브(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61)과, 식기세척기(100a)의 상하방향(Z)으로 상부 바스켓(16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161)은 후술할 추가 바스켓(17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식기세척기(100a)는 커버 프레임(400)의 개구(410)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추가 바스켓(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탑 로딩 바스켓"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상부 바스켓(16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커버 프레임(400)의 개구(410)를 통해서만 인출 가능하고,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은 커버 프레임(40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식기세척기(100a)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의 프론트 도어(130)는 식기세척기(100a)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a)의 상부 도어(120)는 식기세척기(100a)의 상면(上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세척기(100a)의 상부 도어(120)는 커버 프레임(400)과 함께 식기세척기(100a)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커버 프레임(400)에 안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이 커버 프레임(400)에 안착되는 방식은 도 1 내지 도 8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추가 바스켓(170)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안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상부 바스켓(16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이 상부 바스켓(161)에 안착되는 방식은 도 9a 및 도 9b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바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일 예로서, 추가 바스켓(170)이 커버 프레임(400)에 안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추가 바스켓이 인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에서 상부 도어(120)는 생략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바스켓(170)은 커버 프레임(400)의 개구(410)를 통해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다.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은 커버 프레임(40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은 핸들(173)과 커버 프레임(400)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은, 핸들(173)과 커버 프레임(400)의 제 2벽(153) 사이의 간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400)은, 추가 바스켓(17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한 인출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의 움직임은 가이드(155a,155b)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핸들(173)이 제 1가이드(155a) 및 제 2가이드(155b)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커버 프레임(400)의 개구(410)를 통해 인출되거나 수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커버 프레임(40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 바스켓(161)에 수용된 상태로 커버 프레임(400)에 안착될 수 있다.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와이어가 지지부(154) 상에 지지됨으로써 커버 프레임(40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바스켓(170)은, 추가 바스켓(170)의 제 1와이어(171a) 및 제 2와이어(171b)가 커버 프레임(400)의 지지부(154) 상에 걸쳐짐으로써 커버 프레임(40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150)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프레임 개구(1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참고) 사용자는 카운터(10)의 개구(11)와 프레임 개구(159) 및 터브(110)의 상면 개구(112)를 통해 터브(110) 상측으로 식기를 인출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장치(900)에서 공급되는 세제는 주로 상부 도어(120)를 통해 상부 바스켓(161)에 적재된 식기를 세척할 시 이용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장치(9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 2세제 공급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제 공급장치(140)는 세제를 공급하는 제 2세제함(141)과 터브(110)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제 2린스함(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제 공급장치(140)는 주로 프론트 도어(130)를 통해 하부 바스켓(162) 및 상부 바스켓(161)에 적재된 식기를 세척할 시 이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커버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6에서 프론트 도어(130)는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0)는, 내부에 세척공간(330)이 형성되는 터브(110)와, 터브(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터브(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190)에 의해 터브(110)의 전면 개구(111)를 통해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수납된 식기가 세척수에 의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와이어(16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바스켓(161,162)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163)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는, 상부 바스켓(161) 및 하부 바스켓(162) 사이에 위치하는 제 1분사장치(210)와, 하부 바스켓(1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분사장치(210) 및 제 2분사장치(22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터브(110)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와, 히터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터브(110)의 바닥에 히터 설치홈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에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섬프(180)는 터브(110)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섬프(180)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181)와, 세척펌프(181)를 구동하는 펌프모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181)는 제 1공급관(260)을 통해 제 1분사장치(21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또한, 세척펌프(181)는 제 2공급관(27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제 2분사장치(220)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섬프(18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의 제어부(2000)는 탁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이격되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150)은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터브(110)와 오버랩 되지 않도록 개구(11)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50)은, 커버 프레임 바디(158)와, 카운터(10) 상에 지지되도록 커버 프레임 바디(158)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56)는, 식기세척기(1000)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커버 프레임 바디(158)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상부 도어(12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프레임 바디(158)의 안착부(151)에는, 힌지축(291)을 포함하는 상부 도어 힌지(2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힌지축(29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부 도어 힌지(29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힌지(290)의 힌지축(291)은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안착부(151)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벽(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벽(152)은, 안착부(151)의 외측 단부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상방을 향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상부 도어(120)의 바닥면과 마주할 수 있고,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의 측면과 마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안착부(151) 및 제 1벽(152)은 상부 도어(120)가 수용되는 상부 도어 수용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바디(158)는 안착부(151)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벽(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벽(153)은, 안착부(151)의 내측 단부로부터 시스템 키친(1)의 하방을 향하도록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벽(153)은, 제 1벽(152)보다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제 2벽(153)은, 제 1벽(152)보다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벽(152)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은, 제 2벽(153)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보다 시스템 키친(1)의 너비방향(Y)으로 더 넓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는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외부의 유체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틈을 통해 식기세척기(100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카운터(1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커버 프레임 실링부재(35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는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상부 도어(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상부 도어(12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도어 실링부재(30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는 하우징 패널(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패널(800)은 터브(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800)은 터브(110)의 양 측벽, 즉, 좌측벽 및 우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는 터브 바디(113)와, 터브 바디(113)에 장착되는 터브 탑(tub top)(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카운터(10)의 개구(11)에 대응하는 상면 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터브 탑(114)은 터브 바디(113)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 탑(114)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형성될 수 있고, 터브 바디(113)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STS)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 탑(114)에는 집수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터브 탑(11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후술할 연결부재(3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터브 탑(114)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불완전한 결합, 마모 등을 이유로 세척수가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터브(110)의 외측벽을 따라 흐를 경우,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화재 등과 위험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집수부(115)는 터브 바디(113)의 최상단, 즉, 터브 탑(114)에 형성되어 터브(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 세척수를 모아 터브(110)의 내부로 안내한다.
터브 탑(114)에는 패널 고정부(116)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800)은 터브(110)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패널(800)은 터브 바디(113)의 양 측벽과 마주하도록 터브 탑(114)의 패널 고정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패널(800)은 스크루(screw)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패널 고정부(116)에 고정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는 연결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커버 프레임(150)과 터브(11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310)는 시스템 키친(1)의 높이방향(Z)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커버 프레임(150) 및 터브(11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연결부재(310)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재(310)의 상단부는 커버 프레임(15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310)의 하단부는 터브 탑(114)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는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도 14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프론트 도어(13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터브(110) 내부의 세척수가 프론트 도어(130)의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터브(110) 및 프론트 도어(130) 사이의 밀폐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론트 도어 실링부재(320)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에 따라 식기세척기(1000)의 작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통신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후술할 식기세척기(1000)의 제어부(2000)는, 상부 도어(1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하부 모듈에 배치되는 각종 전장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및 상부 도어(120)를 "상부 모듈”이라 명명하고, 식기세척기(1000)의 구성 중 커버 프레임(150), 상부 도어(120) 및 연결부재(3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하부 모듈”이라 명명할 때, 식기세척기(1000)를 빌트 인 방식으로 시스템 키친(1)에 설치하기 위해 먼저 하부 모듈을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캐비닛(2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모듈은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20)에 시스템 키친(1)의 전후방향(X)으로 수납되어 캐비닛(20)에 고정된다. 그 후, 상부 모듈이 카운터(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카운터(10)의 개구(11)에 커버 프레임(150)이 장착되고, 커버 프레임(150)에 상부 도어(120)가 설치된다. 상부 모듈 및 하부 모듈은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모듈의 커버 프레임(150) 및 하부 모듈의 터브(110)는 연결부재(3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에 대해 상술한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제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b는 도 18a의 세제 공급장치의 세제함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c는 도 18a의 세제 공급장치의 린스함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a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세제 공급장치의 개괄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상부 도어가 폐쇄된 상태의 세제 공급장치의 개괄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19c는 도 19b의 세제 공급장치에서 세제함이 개방된 상태의 개괄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세제 공급장치(900)는 상부 도어(12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는 상부 도어(120)의 하면(또는 '내면'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122)에 배치되어 상부 도어(120)가 폐쇄 상태일 시 터브(110)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15참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0)는 싱크(30) 또는 카운터(10)에 적재된 식기를 상부 도어(120)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프론트 도어(130)를 개방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터브(110) 내측으로 식기를 적재하고 인출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를 통해 용이하게 식기를 터브(110) 내부에 적재하고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세제 함이 배치되는 프론트 도어를 개방할 경우, 결과적으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번거롭게 프론트 도어를 개방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부 도어(120)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0)는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만을 개방시켜 식기를 용이하게 적재함과 동시에 세제 및 린스를 용이하게 식기세척기(1000)에 공급하기 위해 상부 도어(120)에 배치되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장치(900)는 사용자로부터 세제를 공급 받고 터브(110)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 1세제함(910)과 사용자로부터 린스를 공급 받고 터브(110)로 린스를 공급하는 제 1린스함(9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커버(940)를 구동시키며, 제 1린스함(920)에서 린스가 분사되도록 제 1세제 공급장치(900)를 구동시키는 전장품이 배치되는 전장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제함(910)의 내부 공간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세제를 제 1세제함(910)에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적재된 세제가 안착되는 세제 안착부재(930)가 마련될 수 있다. 세제 안착부재(930)는 제 1세제함(9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 1린스함(920)의 내부 공간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린스를 제 1린스함(920)에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적재된 린스가 안착되는 린스 안착부재(9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120)가 개방될 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세제함(910)은 상부 도어(120)가 폐쇄 상태일 시 터브(110)측을 향해 개방되는 개구(911)를 포함하고 제 1세제함(910)의 개구(911)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9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940)를 일측으로 슬라이딩 시켜 제 1세제함(910)을 개방하고, 세제 안착부재(930)에 세제를 적재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1린스함(920)을 개폐하는 제 1린스함 도어(921)를 회동시켜 제 1린스함(920)을 개방하고, 린스 안착부재(960)에 린스를 적재시킬 수 있다.
커버(9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제 1세제함(910)을 개폐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2000)에 의해 식기세척기(1000)의 세척 행정 중에 슬라이딩 제어되어 자동으로 제 1세제함(910)을 개폐할 수 있다.
세제 안착부재(930)는 세제가 안착되는 안착면(933)와 제 1세제함(91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932)와 안착면(933)과 회전부(9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세제가 적재되는 세제 안착부(93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932)는 안착면(933)의 양단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제 1세제함(91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932)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회전 돌기를 포함하여 제 1세제함(910)에 회전 돌기와 대응되게 마련되는 홈에 삽입되어 회전부(932)가 제 1세제함(910)에 대해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제 안착부재(930)가 회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932)는 제 1세제함(910)과 힌지 결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 1세제함(9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20)가 개방될 시, 세제 안착부재(930)는 상부 도어(120)의 개방에 연동되어 세제 안착부(931)가 대략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1위치(A)에 배치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세제 안착부재(930)가 제 1위치(A)에 배치될 시 사용자는 용이하게 세제를 세제 안착부(931)에 공급할 수 있다. 세제가 안착되는 세제 안착부(931)의 안착면(933)이 상측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세제가 안정적으로 세제 안착부(931)에 적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940)를 슬라이딩시켜 제 1세제함(910)을 개방시키고 세제 안착부(931)에 세제를 적재시킨 후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커버(940)를 슬라이딩시켜 제 1세제함(910)을 다시 폐쇄시킬 수 있다.
이 후,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20)가 폐쇄될 시, 세제 안착부재(930)는 상부 도어(120)의 폐쇄에 연동되어 세제 안착부(931)가 대략 상측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위치(B)에 배치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세제 안착부재(930)가 제 2위치(B)에 배치될 시 안착면(933)에 적재되어 있던 세제는 안착면(933)의 경사를 따라 제 1세제함(910) 내부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세제 안착부재(930)는 제 2위치(B)에 배치될 시 제 1세제함(910)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안착면(933)에 적재된 세제는 경사를 따라 커버(940)의 내면(941)에 쌓이게 되어 커버(940)가 개방되기 전까지 제 1세제함(910) 내부에 적재될 수 있다.
세제 안착부재(930)는 회전부(932)에 의해 제 1세제함(910)의 일 측에 회전 결합되는 바 제 1위치(A)에서 제 2위치(B)까지 회전되며 이는 세제 안착부재(930)의 자중에 의해 제 1위치(A)에서 제 2위치(B)까지 회동될 수 있다.
이 후,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0)의 세척 행정 중 제어부(2000)에 의해 커버(940)가 슬라이딩되어 제 1세제함(910)이 개방될 시, 제 1세제함(910)에 적재되어 있던 세제는 터브(110)측으로 낙하되어 터브(110)에 세제가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클을 통해 사용자는 상부 도어(120)만을 개방하여 용이하게 세제를 터브(11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20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공급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제 공급장치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식기세척기(1000)의 세척 행정의 시작 신호를 제어부(2000)에 전달하는 입력부(2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0)는 입력부(21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세척펌프(181)와 적어도 하나의 분사장치(210,220)를 구동시켜 식기세척기(1000)의 세척 행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1000)는 프론트 도어(130)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 센서와 상술한 상부 도어(120)에 마련되는 센서 등이 포함되는 센서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200)는 프론트 도어(120)가 입력부(2100)에서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개폐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0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2100)와 센서부(2200)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0)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0)의 세척 행정 내에서 제어부(2000)의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의 제어과정이 시작되면, 센서부(2200)를 통해 프론트 도어(130)가 세척 행정 전에 개폐된 적이 있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S100) 이 후, 제어부(2000)에서 센서부(2200)를 통해 프론트 도어(130)가 개폐되었는지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제어부(2000)가 세척 행정 전에 프론트 도어(130)가 개폐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00)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가 모두 구동되도록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S300) 제어부(2000)가 세척 행정 전에 프론트 도어(130)가 개폐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00)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만 구동되도록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S400) 이와 같이 세척 행정 중 제어부(2000)에 의해 제 1세제 공급장치(900) 또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 및 제 2세제 공급장치(140)가 구동된 후 세척 행정 중의 제어부(2000)의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의 제어는 종료될 수 있다.
제어부(20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를 제어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프론트 도어(130)를 개폐하지 않고 상부 도어(120)만을 통해 식기를 터브(110) 내부에 적재할 시 터브(110)의 전면측에 배치되는 제 2세제 공급장치(140)를 구동시키지 않고 제 1세제 공급장치(900)만 구동시켜 식기를 세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만을 개폐하면서 식기를 터브(110)에 적재할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식기를 상부 바스켓(161)에만 적재시키고 식기세척기(1000)를 구동시킬 수 있는데 이 때, 하부 바스켓(162)에는 식기가 적재되지 않아 제 2세제 공급장치(140)를 구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어부(2000)의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의 제어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제 1세제 공급장치의 제 1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2의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0')의 제 1세제 공급장치(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 외의 구성은 상술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0)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000')의 제 1세제 공급장치(900')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과 하면(122')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장치(900')는 상하 방향으로 상면(123')측과 하면(122')측이 모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세제 공급장치(900')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측에서 제 1세제 공급장치(900')를 개폐하는 제 1커버(970)와 하면(122')측에서 제 1세제 공급장치(900')를 개폐하는 제 2커버(9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커버(970)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 상에 배치되고, 제 1커버(970)의 외면(971)은 상하 방향으로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과 대응되는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커버(970)의 외면(971)은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어 식기세척기(100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커버(970)는 도 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커버(970)의 일측이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과 힌지 결합을 통해 제 1커버(97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커버(97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래치, 스프링부재 등의 구성을 통해 푸시업(push-up) 등의 방식을 통해 상측을 향해 회동될 수 있다.
제 1커버(970)는 상측을 향해 회동되어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 1커버(970)의 내면(972)에는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과 대응되도록 세제 안착부재(930')와 린스 안착부재(960')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제 1커버(970)를 개방시켜 용이하게 세제와 린스를 제 1세제 공급장치(900')에 적재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장치(900')의 세제 안착부재(930')와 린스 안착부재(960')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제 1세제 공급장치의 세제 안착부재(930)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세제 안착부재(930')는 세제가 안착되는 세제 안착부(931')와 제 1커버(97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9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932')는 세제 안착부(931')의 양단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제 1커버(970)의 내면(972)과 결합될 수 있다.
제 1커버(970)가 개방될 시, 세제 안착부재(930')는 제 1커버(970)의 개방에 연동되어 세제 안착부(931')가 대략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1위치(A)에 배치되도록 회동될 수 있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세제를 세제 안착부(931')에 공급할 수 있다. 세제가 안착되는 세제 안착부(931')의 안착면(933')이 상측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세제가 안정적으로 세제 안착부(931')에 적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후, 사용자는 제 1커버(970)를 가압하여 제 1커버(97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세제함(910')은 제 1커버(97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세제 안착부재(930')는 제 1커버(970)의 폐쇄에 연동되어 세제 안착부(931')가 대략 상측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위치(B)에 배치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세제 안착부재(930')가 제 2위치(B)에 배치될 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933')에 적재되어 있던 세제는 안착면(933')의 경사를 따라 제 1세제함(910') 내부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세제 안착부재(930')는 제 2위치(B)에 배치될 시 제 1세제함(910')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안착면(933')에 적재된 세제는 경사를 따라 제 2커버(980)의 내면에 쌓이게 되어 제 2커버(980)가 개방되기 전까지 제 1세제함(910') 내부에 적재될 수 있다.
이 후, 식기세척기(1000')의 세척 행정 중 제어부(2000)에 의해 제 2커버(980)가 슬라이딩되어 제 1세제함(910')이 개방될 시, 제 1세제함(910')에 적재되어 있던 세제는 터브(110)측으로 낙하되어 터브(110)에 세제가 공급될 수 있다. 린스 안착부재(960')도 위와 같은 사이클을 통해 터브(110)로 린스를 공급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사이클을 통해 사용자는 상부 도어(120')를 개폐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커버(970)만을 개방하여 용이하게 세제와 린스를 터브(11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부 도어(120')을 개방하여 식기를 상부 바스켓(161)에 적재하고 세제를 넣지 않고 상부 도어(120')를 폐쇄하여도 사용자는 다시 상부 도어(120')를 개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 1커버(970)만을 개방하여 터브(110) 내에 세제를 공급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식기세척기의 제 1세제 공급장치의 제 1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의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제 1세제 공급장치(900") 외의 구성은 제 5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0')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식기세척기(1000")의 제 1세제 공급장치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과 하면(122")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장치(900")는 상하 방향으로 상면(123")측과 하면(122")측이 모두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세제 공급장치(900")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측에서 제 1세제 공급장치(900")를 개폐하는 제 1커버(970")와 하면(122")측에서 제 1세제 공급장치(900")를 개폐하는 제 2커버(9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커버(970")는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 상에 배치되고, 상부 도어(120")의 상면(12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커버(970")는 회전을 통해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을 개폐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커버(970")는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을 개폐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이 상측을 향해 개방된 경우 사용자는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에 바로 세제와 린스를 적재시킬 수 있다. 즉, 세제 공급장치(900")는 세제 안착부재나 린스 안착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직접 사용자가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에 세제와 린스를 적재할 수 있다.
상부 도어(120")가 개방되지 않고 제 1커버(970")를 통해 직접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이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용이하게 제 1세제함(910")과 제 1린스함(920")에 세제와 린스를 직접 적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가 제 1세제함(910")에 적재될 수 있으며 식기세척기(1000")의 세척 행정 중 제어부(2000)에 의해 제 2커버(980")가 슬라이딩되어 제 1세제함(910")이 개방될 시, 제 1세제함(910")에 적재되어 있던 세제는 터브(110)측으로 낙하되어 터브(110)에 세제가 공급될 수 있다. 제 1린스함(920")도 위와 같은 사이클을 통해 터브(110)로 린스를 공급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식기세척기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고 그 자체로서 주방에 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프리 스탠딩 타입(free standing type)의 식기세척기라고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프리 스탠딩 타입의 식기세척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빌트 인 타입(built-in type)의 식기세척기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 3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a)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1000a”는 제 7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지칭한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20)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 1세제 공급장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장치(900)에서 공급되는 세제는 주로 상부 도어(120)를 통해 상부 바스켓(161)에 적재된 식기를 세척할 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130)는 터브(110)의 내측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제 2세제 공급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제 공급장치(140)는 세제를 공급하는 제 2세제함(141)과 터브(110) 내측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제 2린스함(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세제 공급장치(140)는 주로 프론트 도어(130)를 통해 하부 바스켓(162) 및 상부 바스켓(161)에 적재된 식기를 세척할 시 이용될 수 있다.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의 구성 및 구동되는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000)의 제 1세제 공급장치(900)와 제 2세제 공급장치(140)와 동일한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수납공간을 가지는 캐비닛과, 개구를 가지도록 상기 캐비닛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키친에 빌트 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면 개구를 가지는 터브;
    상기 전면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프론트 도어;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상부 도어;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스켓; 및
    상기 카운터의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추가 바스켓;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의 상부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에 안착 가능한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가 설치되도록 상기 개구에 장착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바스켓의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한 인출은 상기 커버 프레임에 의해 제한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바스켓은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바스켓의 상기 전면 개구를 통한 인출은 상기 핸들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간섭에 의해 제한되는 식기세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커버 프레임에 안착 가능한 식기세척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벽에는 상기 추가 바스켓이 걸쳐질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에 안착 가능한 식기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추가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추가 바스켓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상부 바스켓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스켓은, 상기 추가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부 바스켓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터브로부터 인출이 제한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스켓은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상기 추가 바스켓은 상기 복수의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가지는 식기세척기.
PCT/KR2018/005890 2017-08-31 2018-05-24 식기세척기 WO20190452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43,688 US11471023B2 (en) 2017-08-31 2018-05-24 Front and top loading dishwasher with restricted basket movement
CN201880055706.4A CN111093455B (zh) 2017-08-31 2018-05-24 洗碗机
KR1020197030192A KR102486273B1 (ko) 2017-08-31 2018-05-24 식기세척기
EP18850474.0A EP3649910A1 (en) 2017-08-31 2018-05-24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442 2017-08-31
KR10-2017-0111458 2017-08-31
KR20170111458 2017-08-31
KR20170111442 2017-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230A1 true WO2019045230A1 (ko) 2019-03-07

Family

ID=6552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890 WO2019045230A1 (ko) 2017-08-31 2018-05-2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71023B2 (ko)
EP (1) EP3649910A1 (ko)
KR (1) KR102486273B1 (ko)
CN (1) CN111093455B (ko)
WO (1) WO20190452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309625B2 (en) * 2019-07-05 2024-01-04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Distributor and wash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0620B (zh) * 2017-08-31 2023-10-27 三星电子株式会社 洗碗机
CN110755012A (zh) * 2019-10-16 2020-02-07 广州江水清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碗篮隐藏式洗碗水槽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661A (ja) * 1997-12-18 1999-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KR100271711B1 (ko) * 1998-03-27 2001-05-02 니시무로 타이죠 세정기
KR20110006400U (ko) * 2009-12-18 2011-06-24 김선화 빌트인용 식기세척기
KR20160020334A (ko) * 2014-08-13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인 조절 및 가변 세척 행정 제어
KR101643740B1 (ko) * 2015-02-24 2016-07-28 이병희 씽크대용 살균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2134A (en) * 1958-11-13 1963-06-04 Hobart Mfg Co Drain and inlet hose arrangement for dishwasher
DE6910220U (de) * 1968-03-16 1969-08-21 Giovanni Borghi Geschirrspuelmaschine
US3727622A (en) * 1971-11-12 1973-04-17 Gen Motors Corp Dishwasher with top loading utensil compartment
JP3292660B2 (ja) * 1996-07-16 2002-06-17 株式会社東芝 食器洗浄機
JPH10179286A (ja) * 1996-12-27 1998-07-07 Toshiba Corp 厨房装置
JPH10257931A (ja) * 1997-03-17 1998-09-29 Toshiba Corp 厨房装置
JPH11197083A (ja) * 1998-01-07 1999-07-27 Toshiba Corp 洗浄機
JP2000051133A (ja) * 1998-08-05 2000-02-22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1000377A (ja) * 1999-06-22 2001-01-09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0037337A (ja) * 1999-07-08 2000-02-08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US20020139809A1 (en) * 2000-12-27 2002-10-03 Barry Rodney J. Dishwasher silverware basket with swivel handle
DE60130882T2 (de) * 2001-08-01 2008-07-17 Candy S.P.A., Monza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zusätzlichen Besteckkorb
US7040329B2 (en) * 2002-05-03 2006-05-09 Whirlpool Corporation Low-noise in-sink dishwasher
JP2004154219A (ja) * 2002-11-05 2004-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US7398788B2 (en) * 2003-03-03 2008-07-15 Dehart Harold F Table-dishwasher apparatus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by the handicapped
JP2004329249A (ja) 2003-04-30 2004-11-25 Yamaha Livingtec Corp 食器洗浄等機器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US7766175B2 (en) * 2007-11-09 2010-08-0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helf accessory for a dishwasher rack
KR101070500B1 (ko) * 2009-08-22 2011-10-05 이승백 액츄에이터
EP2364636B2 (en) * 2010-03-12 2020-08-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utlery tray, dishwasher basket and dishwasher
EP2368479A1 (en) * 2010-03-24 2011-09-28 Candy S.p.A. Dishwasher with additional basket
KR101810837B1 (ko) * 2011-08-12 201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TWI568400B (zh) * 2012-02-09 2017-02-01 Panasonic Corp Tableware cleaning machine
US9924851B2 (en) * 2016-02-10 2018-03-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odular dishwasher rack system
US10149595B2 (en) * 2016-11-07 2018-12-11 Whirlpool Corporation Utensil rack for a dishwasher
CN110367893B (zh) * 2018-04-14 2023-12-26 李明龙 一种洗碗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661A (ja) * 1997-12-18 1999-07-06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乾燥機付き流し台
KR100271711B1 (ko) * 1998-03-27 2001-05-02 니시무로 타이죠 세정기
KR20110006400U (ko) * 2009-12-18 2011-06-24 김선화 빌트인용 식기세척기
KR20160020334A (ko) * 2014-08-13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인 조절 및 가변 세척 행정 제어
KR101643740B1 (ko) * 2015-02-24 2016-07-28 이병희 씽크대용 살균건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649910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309625B2 (en) * 2019-07-05 2024-01-04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Distributor and wash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9910A4 (en) 2020-05-13
US11471023B2 (en) 2022-10-18
KR102486273B1 (ko) 2023-01-10
KR20200037739A (ko) 2020-04-09
EP3649910A1 (en) 2020-05-13
CN111093455A (zh) 2020-05-01
US20210153714A1 (en) 2021-05-27
CN111093455B (zh)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37172A1 (ko) 세탁기
WO2020190038A1 (ko) 전기 주전자
WO2020190039A1 (ko) 전기 주전자
WO2015167073A1 (ko) 세탁기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5133798A1 (en) Washing machine
WO2019045230A1 (ko) 식기세척기
WO2017119592A1 (ko)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세탁제공급방법
WO2018088810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0209480A1 (ko) 식기 세척기
WO2019139454A1 (ko) 세탁기
WO2020218878A1 (en) Dishwasher
WO2019045210A1 (ko) 식기세척기 및 가전제품
WO2021251645A1 (ko) 단말 장치, 식기 세척기,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WO2020122630A1 (en) Dishwasher
WO2011056031A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WO2024071782A1 (ko) 컵세척기
WO2024005315A1 (ko) 식기세척기
WO2021162407A1 (en) Dishwasher
WO2019039775A1 (ko) 세탁기
WO2019045231A1 (ko) 식기세척기
WO2024101523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005314A1 (ko) 식기세척기
WO2024117350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005421A1 (ko) 식기세척기
WO2023013912A2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504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504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00203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