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711B1 - 세정기 - Google Patents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711B1
KR100271711B1 KR1019980030764A KR19980030764A KR100271711B1 KR 100271711 B1 KR100271711 B1 KR 100271711B1 KR 1019980030764 A KR1019980030764 A KR 1019980030764A KR 19980030764 A KR19980030764 A KR 19980030764A KR 100271711 B1 KR100271711 B1 KR 10027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d
locking
open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479A (ko
Inventor
요시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19990076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덮개(36)를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와의 연결구조로 하고, 열릴 때에 두 개로 접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키가 낮은 소형의 형태를 이루는 한편, 닫은 상태에서는 덮개(36)가 둘로 꺾인 상태에서 펴져서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고,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8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앞덮개체(38)의 양측에 설치한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와, 앞덮개체(38)의 전단부에 설치한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가 각각 세정조측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덮개(36)가 잠궈지도록 한 것으로서, 덮개를 상하회동식으로 하면서도 개방시에 매단 찬장에 닿을 우려가 없고, 또 덮개가 장해물이 되는 일도 없도록 하며, 닫은 상태에서는 덮개를 닫은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정기
본 발명은 세정조가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식기세정기 등의 세정기에 있어서, 세정조가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것은 피세정물의 출입이 그 세정조의 상면의 개구부에서 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일일이 몸을 구부려야 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사용하기 좋은 이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에 대해서는 덮개가 일반적으로 가로방향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세정조의 설치장소의 윗쪽에 매단 찬장 등 다른 설비가 있는 경우가 많고,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그 매단 찬장 등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가로방향 슬라이드식 덮개에서는 캐비넷의 천판(天板)에 덮개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식기세정기를 캐비넷의 뒤쪽에 부착하는 경우, 캐비넷의 천판에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식기세정기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 또는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이것을 피하려면 덮개를 예를 들면 후단측 추지(樞支)의 상하회동식으로 하는 것에 의해 천판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할 필요를 없애면 좋지만, 세정조의 상면의 개구부는 피세정물의 출입의 편리를 고려하여 상당히 크고, 이것을 폐쇄한 덮개도 꽤 대형이다. 이 때문에 덮개를 상하회동식으로 하면 덮개가 열릴 때에 상기한 매단 찬장 등에 닿아 버린다. 또, 매단 찬장 등에 닿지 않아도 열릴 때에서는 대형의 덮개가 기립상태가 되기 때문에 장해물이 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따라서 그 목적은 덮개를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필요가 없는 상하회동식으로 하면서도 그 덮개가 개방시에 매단 찬장 등에 닿을 우려가 없고, 또 장해물이 되는 경우도 없으며, 닫은 상태에서는 덮개를 닫은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세정기를 제공하고, 그 이외에 여러 가지 면에서 우수한 세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덮개의 닫기잠금 해제상태에서 나타낸 주요부분의 일부를 파단한 평면도,
도 2는 덮개의 닫기잠금 상태에서 나타낸 주요부분 반부의 일부를 파단한 평면도,
도 3은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나타낸 전체적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른 확대종단면도,
도 5는 주요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의 B-B선을 따른 확대종단면도,
도 7은 도 2의 C-C선을 따른 확대종단면도,
도 8은 도 3의 D-D선을 따른 확대종단면도,
도 9는 덮개의 추지 부분의 확대분해사시도,
도 10은 힌지(hinge)부재 부착부분의 확대분해사시도,
도 11은 덮개의 닫기잠금 상태에서 나타낸 주요부분의 사시도,
도 12는 덮개의 열림조작 상태에서 나타낸 주요부분의 사시도,
도 13은 덮개의 제 2 잠금용 걸기부재를 설치한 부분의 확대사시도,
도 14는 도 2의 E-E선을 따른 확대종단면도,
도 15는 도 2의 F-F선을 따른 확대종단면도,
도 16은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
도 17은 주 제어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18은 덮개의 개폐판단 스텝의 내용을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플로우 챠트,
도 19는 검지수단의 검사처리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 10 상당도,
도 21은 도 20의 G-G선을 따른 종단면도(a)와, 이것과는 다른 상태의 종단면도(b),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 14 부분 상당도,
도 23은 도 18 상당도 및
도 24는 도 19 상당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식기세정기 6: 세정조
27: 분수아암(arm)(세정기구) 32: 세정펌프(세정기구)
36: 덮개 37: 뒷덮개체(제 1 덮개체)
38: 앞덮개체(제 2 덮개체) 40: 샤프트
41: 힌지부재 43: 축
44: 탄성걸이(탄성편(片)) 53: 부착부
54: 걸어맞춤홈 58: 패킹(제 1 수봉(水封)부재)
59: 패킹(제 2 수봉부재) 60: 패킹(제 3 수봉부재)
63: 홈 64: 손잡이부
65: 소돌기 67, 68: 제 1 잠금용 걸기부재
72: 오목부(걸어맞추는 부분) 73: 제 2 잠금용 걸기부재
77: 자석 78: 돌출부
80: 조작부재 82: 링크 기구
93: 덮개개폐 검지수단 94: 자석
95: 리드 스위치
102: 잠금검지수단(제 2 잠금검지수단)
103: 리드 스위치 108: 제어장치
112: 표시유닛(이상알림수단) 113: 부저(이상알림수단)
201: 축 202: 고정축
203: 가동축 207: 밸브체
211: 실리콘 오일(점도가 높은 유체) 212: 댐퍼기구
301: 자석 302: 리드 스위치
303: 제 1 잠금검지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세정기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의 내부에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구와,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고, 일단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덮개체와, 이 제 1 덮개체의 타단측에 일단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덮개체에 의해 두 개로 꺾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열릴 때에는 두 개로 접히고, 닫을 때에는 펴져서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제 2 덮개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서 덮개를 닫은 상태로 잠그는 제 1 잠금용 걸기부재와, 상기 제 2 덮개체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서 덮개를 닫은 상태로 잠그는 제 2 잠금용 걸기부재와, 이러한 제 1 및 제 2 잠금용 걸기부재를 상기 걸어맞춤 방향 및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제 1 발명).
이것에 의하면 덮개는 열 때에 두 개로 접히기 때문에 키가 낮은 소형의 형태가 된다. 또, 닫은 상태에서는 덮개는 두 개로 꺾인 상태에서 펴져서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고,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 1 잠금용 걸기부재 및 제 2 잠금용 걸기부재가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지고, 제 2 덮개체의 양측과 제 2 덮개체의 타단측이 잠궈진다.
이 경우, 조작부재는 제 2 잠금용 걸기부재와 일체화되어 있으면 좋고(청구항 2의 발명), 이것은 구조를 보다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 잠금용 걸기부재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를 링크 기구에 의해 연동시키도록 하여도 좋고(청구항 3의 발명), 이것은 제 1 잠금용 걸기부재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를 따로따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또, 제 1 덮개체의 일단측을 추지하기 위한 힌지부재를 세정조의 개구부의 둘레부의 일단측에 회동가능하게 부착하여 구비하고, 이 힌지부재에 제 1 덮개체의 일단측을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면 좋다(청구항 4의 발명). 이것은 덮개가 더러워질 때의 세정을 덮개를 벗겨내어 덮개 단독의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덮개체의 일단측에는 힌지부재에 끼워맞추는 통(筒)형상의 부착부를 구비하고, 힌지부재가 그 끼워맞춘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편을 구비하면 좋다(청구항 5의 발명). 이것은 덮개의 부착, 벗겨내기가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외에 힌지부재는 댐퍼기구를 가지면 좋고(청구항 6의 발명), 이것은 덮개를 부드럽게 닫을 수 있다.
제 1 및 제 2 덮개체는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뒷면의 둘레부와 세정조의 개구부의 둘레부와의 사이를 수봉하는 제 1 및 제 2 수봉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 1 및 제 2 수봉부재의 어느 한쪽과 일체로 제 1 및 제 2 덮개체 사이를 수봉하는 제 3 수봉부재를 구비하면 좋다(청구항 7의 발명). 이것은 덮개가 폐쇄 상태에서의 수봉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수봉부재가 덮개의 중량으로 수봉하는 유연성을 갖고, 제 3 수봉부재가 그것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면 좋다(청구항 8의 발명). 이것은 덮개가 폐쇄 상태에서의 수봉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제 2 덮개체의 양측에는 손잡이부를 돌출형성하면 좋고(청구항 9의 발명), 이것은 덮개의 개폐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손잡이부의 상면에는 복수의 소돌기 또는 소오목부를 형성하면 좋고(청구항 10의 발명), 이것은 덮개의 개폐조작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제 1 잠금용 걸기부재가 덮개를 잠근 것을 검지하는 제 1 잠금검지수단과, 제 2 잠금용 걸기부재가 덮개를 잠그는 것을 검지하는 제 2 잠금검지수단을 구비하면 좋다(청구항 11의 발명). 이것은 덮개의 잠금을 각각 검지하여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은 비접촉 방식이고, 각각 잠금을 검지하는 것으로 하면 좋고(청구항 12의 발명), 이것은 덮개의 잠금을 방수성 좋게 검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이 모두 잠금을 검지한 것을 조건으로 운전을 실행하고, 모두 잠금을 검지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운전을 실행시키지 않고,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의 어느 한쪽이 잠금을 검지하고, 다른 쪽이 검지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이상알림을 하는 동시에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청구항 13의 발명). 이것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운전 종료후, 다시 운전의 개시까지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이 잠금을 검지한 채의 조건에서는 이상 알림을 하는 동시에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청구항 14의 발명). 이것도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정기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의 내부에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구와,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고, 일단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덮개체와, 이 제 1 덮개체의 타단측에 일단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덮개체에 의해 두 개로 꺾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열릴 때에는 두 개로 접혀지고, 닫을 때에는 펴져서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이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측에 걸어 맞춰서 덮개를 닫은 상태로 잠그는 잠금용 걸기부재와, 이 잠금용 걸기부재를 상기 걸어맞춤 방향 및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체 사이에 그 어느 한쪽의 덮개체에서 통을 연장시켜 형성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15의 발명).
이러한 것에서도 덮개는 열릴 때에 두 개로 접히기 때문에, 키가 낮은 소형의 형태가 된다. 또, 열린 상태에서는 덮개는 두 개로 꺾인 상태에서 펴져서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고,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잠금용 걸기부재가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서 덮개가 잠궈진다.
덧붙여서 이 경우, 제 1 덮개체 및 제 2 덮개체 사이에서 물이 침입해도 그것이 아랫쪽의 패킹(packing)에 부착하거나, 세정조 내에 그대로 적하되는 일은 없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시스템 키친의 설겆이대용 캐비넷에 장착하는 식기세정기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는 시스템 키친의 설겆이대용 캐비넷(1)을 나타내고 있고, 이것의 예를 들면 스텐레스판으로 이루어지는 천판(2)에는 개수대(3)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개수대(3)의 옆부분에 위치하여 물빠짐 판부(4)를 형성하고, 그리고, 그 물빠짐 판부(4)의 옆부분에 위치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식기세정기(5)를 설치하고 있다.
식기세정기(5)는 세정조(6)를 주체로 구성한 것으로서, 세정조(6)는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것이고, 상세하게는 이 경우 세정조 주체(7)와, 상부 틀(8)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세정조 주체(7)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장방형 용기형상으로 형성한 것이고, 상부 틀(8)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장방형 프레임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것에 대해 상기 천판(2)의 물빠짐 판부(4) 옆쪽의 부분에는 장방형의 개구부(9)(도 4 참조)를 형성하고 있고, 이 개구부(9) 아래쪽의 캐비넷(1) 내에 세정조(6)를 수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식기세정기(5)는 시스템 키친의 설겆이대용 캐비넷(1)을 외부 상자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가장 바깥의 둘레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쪽으로 개방하는 홈(10)을 갖는 부착용의 플랜지부(11)를 형성하고 있고, 그 홈(10)에는 패킹(12)을 수납하고 있다. 또, 상부 틀(8)의 플랜지부(11)의 내부둘레부에서 아랫쪽으로는 중간 측벽부(13)를 형성하고, 이 중간 측벽부(13)의 내부둘레부에서 안쪽으로 계단부(14)를 형성하며 또 계단부(14)의 내부둘레부에서 아랫쪽으로 내측벽부(1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내측벽부(15)의 밑둘레부에는 아랫쪽으로 개방하는 홈(16)을 형성하고 있고, 이 홈(16)에는 패킹(17)을 수납하고 있다. 또, 그 이외에 상부 틀(8)에는 내측벽부(15)의 전방에 커버부(18)를 형성하고, 이러한 것 사이에 그러한 것을 연결하는 리브(19)와, 보스(20)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세정조 주체(7)의 윗둘레부의 외부둘레면에는 부착틀(21)을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고, 이것과 세정조 주체(7)의 윗둘레부에서 패킹(17)을 누르면서, 부착틀(21)을 상부 틀(8)의 리브(19)의 하단에 당접시키고, 이 상태에서 부착틀(21)을 보스(20)에 나사(22)에 의해 부착하고, 또 세정조 주체(7)와 상부 틀(8)을 수밀하게 결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부 틀(8)은 플랜지부(11)를 천판(2)의 개구부(9)의 둘레부에 존재하는 플랜지부(23)에 상기 패킹(12)을 통해 아랫쪽부터 당접시키고, 그 위에서 누름판(24)을 대어 복수개의 나사(25)에 의해 죄는 것에 의해 천판(2)에 부착하고 있다. 또, 상부 틀(8)의 누름판(24) 및 나사(25)의 윗쪽에는 이러한 것을 덮어 감추는 커버(26)를 장착하고 있다.
한편, 세정조(6)의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에 분수아암(27) 및 히터(28)를 배치하고 있고, 그 윗부분에 피세정물, 이 경우 식기를 수용하는 바구니(29)를 윗쪽부터 출입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다. 또, 세정조(6)에는 급수밸브(30)를 구비한 급수관(31)을 접속하고 있고, 그 급수밸브(30)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수도물이 급수관(31)에서 세정조(6)내로 소정 수위가 되기까지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물은 상기 히터(28)에 의해 소정 온도, 예를 들면 60[℃] 정도까지 가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세정조(6)의 바깥쪽에는 세정펌프(32)와 배수펌프(33)를 설치하고 있고, 그 세정펌프(32)에 의해 세정조(6) 내의 세정수를 세정조(6)의 바닥부에 설치한 필터부착 저수탱크부(34)에서 흡입하여 상기 분수아암(27)에 압력을 가해 보내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배수펌프(33)에 의해서 세정조(6) 내의 세정수를 상기 저수탱크부(34)에서 흡입하여 상기 개수대(3)의 도시하지 않은 배수관에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분수아암(27)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압력을 가해 보내져 오면, 그 세정수를 바구니(29) 내의 식기(피세정물)를 향해 분사하는 동시에 그 분사의 반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이 회전에 의해 식기에 세정수가 고르게 분사되고, 식기의 세정(세제액에 의한 씻기, 맑은 물에 의한 헹굼)이 실행된다. 따라서, 분수아암(27) 및 세정펌프(32)는 세정조(6)의 내부에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덧붙여서, 세정조(6)의 바깥쪽에는 송풍기(35)를 설치하고 있다. 이 송풍기(35)는 건조행정시에 세정조(6) 내에 외부 공기를 보내주는 것으로서, 그 보내진 공기는 상기 히터(28)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화되고, 이 열풍에 의해 세정후의 식기를 건조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세정조(6)의 상면의 개구부는 덮개(36)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덮개(3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덮개체인 뒷덮개체(37)와, 제 2 덮개체인 앞덮개체(38)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양덮개체(37, 38)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상부 외피(37a, 38a)와 하부 외피(37b, 38b)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부 외피(37a, 38a) 및 하부 외피(37b, 38b)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이지만, 그 중에서도 하부 외피(37b, 38b)는 내열 플라스틱제로 하고 있다(상부 외피(37a, 38a)도 내열 플라스틱제로 해도 좋다).
양덮개체(37, 38)는 이러한 상부 외피(37a, 38a)와 하부 외피(37b, 38b)를 각각 나사(39)에 의해 결합하여 속이 빈 편평한 장방형 상장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이고(이 경우, 나사(39)에 의한 결합구성은 도 6에 앞덮개체(38)에 대해서만 도시했지만, 뒷덮개체(37)도 마찬가지이다),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외피(37b)의 앞둘레부와 하부 외피(38b)의 뒷둘레부에는 통형상의 연결부(37c, 38c)를 교대로 배치하여 각각 가로 일렬형상으로 다수 형성하고, 이러한 것을 조합시켜 도 7에 나타낸 하나의 가는 봉형상 샤프트(40)를 통해 연결하는 것에 의해 양덮개체(37, 38)를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덮개(36)로서는 도 8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로 꺾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덮개(36)는 뒷덮개체(37)의 일단측인 후단부를 세정조(6)측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9에는 이 뒷덮개체(37)의 후단부를 추지하는 힌지부재(41)를 나타내고 있고, 이 힌지부재(41)는 U자형 판형상의 지지체(42)와, 이 지지체(42)에서 옆쪽으로 돌출설치한 원기둥형상의 축(43)을 갖는 것으로서, 그 지지체(42)에는 탄성편으로서 탄성걸이(44)를 깊이 절개된 홈(45)에 의해 양옆쪽 및 윗쪽에서 분리하여 형성하고 있고, 또 이 탄성걸이(44)에는 선단부에 조작돌기(46)를 형성하고 있다.
또, 축(43)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에 칼라부(47)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세정조(6)의 개구부의 둘레부의 일단측인 상부 틀(8)의 뒷변부에는 베어링부(48)를 형성하고 있고, 이 베어링부(48)는 축(43)을 선단의 칼라부(47)와 함께 수용하는 오목부(49)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오목부(49)에 축(43)을 선단의 칼라부(47)와 함께 수용하고, 그 위에서 누름판(50)으로 축(43)을 누르고, 상기 누름판(50)을 나사(51)에 의해 베어링부(48)에 고정부착하는 것에 의해 힌지부재(41)를 회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 힌지부재(4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뒷변부의 양측(2) 두군데에 부착하고 있고, 그 양부분 중의 각각 지지체(42)가 위치하는 부분은 상부 틀(8) 및 커버(26) 모두 축(43)의 회동에 수반되는 지지체(42)의 상하회동을 허용하는 후방 오목부(52)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해 덮개(36)의 뒷덮개체(37)의 후단부의 양측에는 부착부(53)를 상부 외피(37a) 및 하부 외피(37b)에서 연장시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 부착부(53)는 힌지부재(41)의 지지체(42)의 바깥쪽에 거의 밀착하여 끼우는 상태로 끼워 맞춘 장방형의 통형상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41)의 조작돌기(46)를 갖는 탄성걸이(44)와 걸어맞추는 T자형의 걸어맞춤홈(54)을 갖는 동시에 축(43)의 바깥쪽에 끼워맞추는 역U자형의 끼워맞춤홈(55)을 갖고 있다.
이 구성에서 부착부(53)를 힌지부재(41)의 지지체(42)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걸어맞춤홈(54)을 탄성걸이(44)에 걸어맞추는 동시에 끼워맞춤홈(55)을 축(43)에 끼워맞춘다. 그렇게 하여 뒷덮개체(37)의 후단부를 힌지부재(41)에 부착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는 뒷덮개체(37)의 후단부를 세정조(6)측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그 부착상태에서는 힌지부재(41)의 지지체(42)에 대한 부착부(53)의 끼워맞춘 상태를 탄성걸이(44)가 유지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탄성걸이(44)의 걸어맞추는 홈(54)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부착부(53)를 힌지부재(41)에서 벗겨내는 것이 가능하고, 요컨대 뒷덮개체(37)의 후단부는 힌지부재(41)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탄성걸이(44)의 걸어맞추는 홈(54)과의 걸어맞춤의 해제는 조작돌기(46)를 누르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후단부를 추지한 뒷덮개체(37)에 대해 상기한 앞덮개체(38)는 후단부(일단측)가 뒷덮개체(37)의 전단부(타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 도 1에는 덮개(36)의 길이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뒷덮개체(37)의 추지점인 힌지부재(41)의 축(43)의 중심에서 앞덮개체(38)의 전단부(덮개(36) 전체의 전단부)까지의 길이를 'L0'으로 하고, 상기 추지점에서 뒷덮개체(37)의 전단부까지의 길이를 'L1'로 할 때, 덮개(36)가 닫힌 상태에서의 자유단측의 벌어짐을 적게 하기 위해, 길이(L1)가 길이(L0)의 절반보다 큰, 즉 L1〉(L0/2)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덮개체(37)의 뒷면 및 앞덮개체(38)의 뒷면에는 서로 연결부분의 둘레부를 뺀 주위부분에 아랫쪽으로 개방하는 홈(56, 57)을 형성하고 있고, 이 홈(56, 57)에는 각각 제 1 수봉부재인 패킹(58) 및 제 2 수봉부재인 패킹(59)을 부착하고 있다. 이 패킹(58, 59)은 덮개(36)의 후술하는 폐쇄상태에서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계단부(14)에 밀접하고, 그러한 덮개(36)와 상부 틀(8)의 계단부(14)와의 사이의 수봉을 하는 것이고, 특히 덮개(36)의 중량으로 그 수봉을 하는 유연성을, 예를 들면 각각 경도 및 형상에 대해 갖고 있다.
또,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36)의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와의 합침부분에는 제 3 수봉부재인 패킹(60)을 설치하고 있다. 이 패킹(60)은 뒷덮개체(37)의 전단면부에 형성한 홈(61)에 부착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앞덮개체(38)의 후단면부에 밀접하고, 그러한 뒷덮개체(37)의 전단면부와 앞덮개체(38)의 후단면부와의 사이(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와의 합침부분)의 수봉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패킹(58, 59)과 같은 유연성을 마찬가지로, 각각 경도 및 형상에 대해 갖고 있다. 또, 이 패킹(60)은 패킹(58)(제 1 수봉부재)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데, 그것을 대신하여 패킹(59)(제 2 수봉부재)과 일체로 형성해도 좋고, 그 부착도 앞덮개체(38)측에서 실행하고, 그 앞덮개체(38)측에서 뒷덮개체(37)에 밀접하도록 해도 좋다.
또, 패킹(60)의 윗쪽에 위치하고, 뒷덮개체(37)의 전단면부에는 오목부(62)를 뒷덮개체(37)의 가로폭 전체 길이 부근에서 형성하고 있고, 이에 대응하여 앞덮개체(38)의 후단면부에서는 예를 들면 단면 L자 형상의 홈(63)을 연장시켜서 앞덮개체(38)의 가로폭 전체 길이 부근에서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또, 이 홈(63)은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와의 상면의 합친 부분의 아랫쪽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앞덮개체(38)의 후단면부에서로 제한하지 않고, 뒷덮개체(37)의 전단면부에서 연장시켜 그것과 일체로 형성해도 좋고, 이 경우 오목부(62)는 앞덮개체(38)의 후단면부에 형성하면 좋다.
덧붙여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덮개체(38)의 양측, 특히 전단에 치우친 양측의 상부에는 손잡이부(64)를 형성하고 있다. 이 손잡이부(64)는 모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이고, 그 상면에는 소돌기(65)를 복수 형성하고 있다. 이 소돌기(65)는 소오목부여도 좋다. 또 손잡이부(64)의 각 뒤쪽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66)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덮개체(38)의 양측, 특히 후단에 치우친 양측에는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는 가로로 긴 형상으로서 앞덮개체(38)의 하부 외피(38b)에 형성한 구멍(69) 및 가이드 리브(70)를 따라 각각 좌우로 슬라이드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그 슬라이드에 의해 선단의 걸어맞춤부(67a, 68a)가 앞덮개체(38)의 하부 외피(38b)의 양측에서 출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는 한쪽의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의 걸어맞춤부(68a)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고,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에는 그 이외에 상부에 리브(71)를 복수 형성하고 있고, 이 리브(71)가 앞덮개체(38)의 상부 외피(38a)의 뒷면에 접혀져 접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다른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한쪽의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와 마찬가지이고, 좌우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그러한 것에 대해 상기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중간 측벽부(13)에는 걸어맞추는 부분인 오목부(72)를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것에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가 돌출상태로 각각 걸어맞춤부(67a, 68a)를 걸어맞추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앞덮개체(38)의 타단측인 전단부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에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는 앞덮개체(38)의 상부 외피(38a)와 하부 외피(38b)와의 사이가 도 4에 나타낸 홈(74)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고, 그 홈(74)에서 뒤쪽(앞덮개체(38) 내)에 위치하는 제 1 돌출부(73a)와, 홈(74)에서 전방(앞덮개체(38) 밖)에 위치하는 제 2 돌출부(73b)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74)에서 전방이면서 좌우의 양옆쪽에 위치하는 제 3, 제 4 돌출부(73c, 73d)를 갖고 있다.
그 가운데, 제 3 돌출부(73c)에는 제 2 돌출부(73b)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걸어맞춤부(75)를 형성하는 동시에 자루부(76)를 형성하고, 이 자루부(76)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77)을 수납고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중간 측벽부(13)의 앞변부에는 걸어맞추는 부분인 돌출부(78)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부(78)는 상기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의 걸어맞춤부(75)가 오른쪽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하면에 걸어맞추는 것이고, 상면에는 좌우의 거의 전체 길이 부근에서 왼쪽으로 내려가는 경사면(79)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경사면(79)은 걸어맞춤부(75)가 실릴 때에 이 걸어맞춤부(75), 더 나아가서는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의 전체를 돌출부(78)의 좌단, 즉 걸어맞춤부(75)의 걸어맞춤 시작점 위치에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의 제 2 돌출부(73b)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80)를 일체화하고 있다. 이 조작부재(80)는 이 경우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와 일체로 형성한 것이고, 또 이러한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 및 조작부재(80)는 금속제의 보강판(81)을 삽입하여 플라스틱에 의해 틀성형한 것이다.
또, 이러한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의 제 2 내지 제 4 돌출부(73b∼73d)와 조작부재(80)에 대해 앞덮개체(38)의 하부 외피(38b)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러한 것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오목부(38d, 38e)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는 도 1에 나타낸 링크 기구(82)에 의해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82)는 제 1 링크(83)와 제 2 링크(84, 85)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가운데의 제 1 링크(83)의 뒤쪽의 일단부에 치우친 중간부를 앞덮개체(38)의 하부 외피(38b)에 형성한 보스(86)에 나사(8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앞쪽의 타단부를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의 제 1 돌출부(73a)에 나사(8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해, 한쪽의 제 2 링크(84)는 그 일단부를 제 1 링크(83)의 일단부에 핀(8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고, 타단부를 한쪽의 상기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의 기단부에 나사(9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 다른 쪽의 제 2 링크(85)는 그 일단부를 제 1 링크(83)의 앞쪽의 타단부에 치우친 중간부에 핀(9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고, 타단부를 다른 쪽의 상기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의 기단부에 나사(9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 도 6에는 덮개(36)의 개폐를 검지하는 덮개개폐 검지수단(93)을 나타내고 있다. 이 덮개개폐 검지수단(93)은 이 경우 자석(94)과 리드 스위치(95)가 대향하는 곳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자석(94)은 앞덮개체(38)의 하부 외피(38b)의 우측부에 형성한 자루부(96)에 수납하고, 상부 외피(38a)에 형성한 돌기(97)에 의해 눌러져 고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리드 스위치(95)는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내측벽부(15)의 바깥쪽 면중, 자석(94)이 덮개(36)의 폐쇄시에 근접하는 위치에 부착판(98)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부착판(98)은 내측벽부(15)의 바깥쪽 면에 돌출설치한 보스(99)에 나사(10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리드 스위치(95)의 바깥쪽에는 리드 스위치(95)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101)를 장착하고 있다.
한편, 도 15에는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가 덮개(36)를 잠그는 것을 검지하는 잠금검지수단(102)을 나타내고 있다. 이 잠금검지수단(102)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에 설치한 상기한 자석(77)과, 리드 스위치(103)와의 대향하는 곳에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리드 스위치(103)는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계단부(14)의 뒷면중, 덮개(36)의 폐쇄시 상태에서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조작할 때에 자석(77)이 근접하는 위치에서 부착판(104)에 의해 부착하고, 부착판(104)은 계단부(14)의 뒷면에 돌출설치한 보스(105)에다 나사(106)로 부착시킨다.
이외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조(6)의 상부 틀(8)에서 커버(26)에 걸쳐서 세정조(6)의 내부에서 뒤쪽의 외부로 개통하는 배기구(107)를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 식기건조시의 증기를 세정조(6)의 앞쪽에 선 사용자에게 쐬지 않도록 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덧붙여서 도 16에는 식기세정기(5)의 운전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인 제어장치(108)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어장치(108)는 예를 들면 세정조(6)의 전면부에 배치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져 있다. 이 제어장치(108)에는 예를 들면 캐비넷(1)의 전면부에 배치한 조작패널(도시하지 않음)이 갖는 각종 조작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가 입력부(109)에 의해 각종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동시에 세정조(6)내의 수위를 검지하도록 설치한 수위센서(110), 세정조(6)내의 온도를 검지하도록 설치한 온도센서(111) 및 상기 덮개개폐 검지수단(93)의 리드 스위치(95), 잠금검지수단(102)의 리드 스위치(103)에 의해 각각 검지신호가 입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러한 입력 및 새롭게 기억된 제어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장치(108)는 상기 조작패널이 갖는 각종 표시부에서 이루어진 이상알림수단의 기능을 포함하는 표시유닛(112)과, 이상알림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부저(113), 상기 급수밸브(30), 세정펌프(31), 히터(28), 배수펌프(32) 및 송풍기(35)의 전체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114)에 구동제어신호를 주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제어장치(108)는 기억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EEPROM 등(도시하지 않음)도 갖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서술한다.
도 1은 덮개(36)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덮개(36)는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가 평평하게 연결되어 세정조(6)의 상면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고, 그러한 뒷덮개체(37) 및 앞덮개체(38)의 상면은 시스템 키친의 설겆이대용 캐비넷(1)의 천판(2)과 거의 면일치하고, 천판(2)상에서의 작업에 덮개(36)가 방해가 되지 않는, 또는 그 작업이 덮개(36) 상에서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이 때 뒷덮개체(37) 뒷면의 패킹(58) 및 앞덮개체(38) 뒷면의 패킹(59)은 그러한 중량으로 도 4, 도 6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계단부(14)에 밀접하고, 그러한 덮개(36)와 상부 틀(8)의 계단부(14)와의 사이의 수봉을 하고 있다. 덧붙여서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와의 합침부분에서는 패킹(60)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에 의해 끼워져 눌리고, 뒷덮개체(37)의 앞단면부에서 앞덮개체(38)의 뒷단면부에 밀접하고, 그러한 뒷덮개체(37)의 앞단면부와 앞덮개체(38)의 뒷단면부와의 사이의 수봉을 하고 있다.
또, 이 때 덮개개폐 검지수단(93)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스위치(95)에 자석(94)이 근접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리드 스위치(95)가 온되고, 즉 덮개(36)의 폐쇄를 검지하여 폐쇄검지신호를 출력하고 있다.
이러한 덮개(36)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재(80)를 쥐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도 2에 각각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이것에 의해 링크 기구(82)에서는 제 1 링크(83)가 나사(87)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 2 링크(84, 85)가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를 바깥쪽으로 눌러낸다.
이것에 의해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는 선단부의 걸어맞춤부(67a, 68a)를 세정조 상부 틀(8)의 오목부(72)에 진입시켜 상기 상부 틀(8)과 걸어맞추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렇게 하여 덮개(36)를 닫힌 상태로 잠근다. 또,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는 도 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5)를 돌출부(78)의 아래쪽에 진입시켜 상기 돌출부(78)와 걸어맞추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서도 덮개(36)를 닫힌 상태로 잠근다.
또, 잠금검지수단(102)에서는 리드 스위치(103)에 자석(77)이 근접하고, 이것에 의해 리드 스위치(103)가 온되고, 즉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을 검지하여 잠금검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재(80)를 쥐고 왼쪽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이것에 의해 링크 기구(82)에서는 제 1 링크(83)가 나사(87)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 2 링크(84, 85)가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를 안쪽으로 당겨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는 선단부의 걸어맞춤부(67a, 68a)를 세정조 상부 틀(8)의 오목부(72)에서 이탈시켜 상기 상부 틀(8)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또,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는 걸어맞춤부(75)를 돌출부(78)의 아래쪽에서 이탈시켜 상기 돌출부(78)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이 해제된다.
또, 그것에 따라 잠금검지수단(102)에서는 리드 스위치(103)에서 자석(77)이 떨어져서 이것에 의해 리드 스위치(103)가 오프되고, 즉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검지가 정지(잠금해제가 검지)되고, 잠금검지신호의 출력이 정지된다.
그리고, 그 후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부(64)에 손을 대고 앞덮개체(38)를 들어올리면, 뒷덮개체(37)도 그것과 일체로 들어올려지고, 상기 뒷덮개체(37)는 힌지부재(41)의 축(43)을 중심으로 윗쪽으로 회동한다. 이어서 이 상태에서 앞덮개체(38)를 내리면 상기 앞덮개체(38)가 뒷덮개체(37)와의 샤프트(40)에 의한 연결부분에서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덮개(36)는 두 개로 접혀지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잇따라 앞덮개체(38) 및 뒷덮개체(37)를 뒤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조(6)의 상면의 개구부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덮개(36)가 개방되면 덮개개폐 검지수단(93)에서는 리드 스위치(95)에서 자석(94)이 떨어지고, 이것에 의해 리드 스위치(95)가 오프하고, 즉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검지가 정지(개방이 검지)되고, 폐쇄검지신호의 출력이 정지된다.
이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64)에 손을 대고 앞덮개체(38)를 바로 앞으로 당기면 뒷덮개체(37)가 힌지부재(41)의 축(43)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동하면서 앞덮개체(38)가 뒷덮개체(37)와의 샤프트(40)에 의한 연결부분에서 앞쪽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덮개(3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하게 펴진 상태가 되어 세정조(11)의 상면의 개구부를 덮어 폐쇄한다.
따라서, 그에 따라 뒷덮개체(37) 뒷면의 패킹(58) 및 앞덮개체(38) 뒷면의 패킹(59)이 덮개(36)와 상부 틀(8)의 계단부(14)와의 사이의 수봉을 하게 되어 패킹(60)은 뒷덮개체(37)의 전단면부와 앞덮개체(38)의 후단면부와의 사이의 수봉을 하게 된다. 또, 덮개개폐 검지수단(93)에서는 리드 스위치(95)가 온하고, 즉 덮개(36)의 폐쇄를 검지하여 폐쇄검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도 17은 제어장치(108)에 의한 제어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장치(108)는 식기세정기(5)가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 플러그가 전원콘센트에 끼워넣기 접속되는 것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면 그 작동을 개시(시작)하고, 맨 처음에 기억수단, 이 경우 EEPROM에 기억된 시작금지플랙의 판독을 한다(스텝(S1)).
이어서, 도시하지 않은 조작패널이 갖는 전원스위치가 온조작되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스텝(S2)), 온조작되지 않는다고(아니오) 판단되면 덮개(36)의 개폐판단을 한다(스텝(S3)).
도 18은 이 덮개(36)의 개폐판단의 내용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고, 즉 이 덮개(36)의 개폐판단은 덮개개폐 검지수단(93)의 리드 스위치(95)와 잠금검지수단(102)의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덮개(36)의 잠금해제가 검지되고, 또 개방이 검지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되었는지 (덮개(36)의 폐쇄가 검지되고, 또 잠금이 검지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는 것이고, 스텝(S3)에서는 덮개(36)가 개방되어 식기가 수용되고, 또는 배출되어 그 후 덮개(36)가 폐쇄되어 잠겼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스텝(S3)에서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되지 않는다고(아니오) 판단되면 스텝(S2)으로 되돌아가고, 반대로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되었다고(예) 판단되면 상기 시작금지플랙을 「0」으로 하여(스텝(S4)), 스텝(S2)으로 되돌린다.
또, 스텝(S2)에서 전원스위치가 온조작 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에 상기 조작패널이 갖는 시작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스텝(S5)), 온조작되지 않는다고(아니오) 판단되면 덮개(36)의 개폐판단을 한다(스텝(S6)). 이 스텝(S6)의 덮개(36)의 개폐판단은 스텝(S3)과 같고, 따라서 도 18에 나타낸 내용의 판단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스텝(S6)에서도 그것은 덮개(36)가 개방되어 식기가 수용되고 또는 배출되고, 그 후 덮개(36)가 폐쇄되어 잠겨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스텝(S6)에서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되지 않는다고(아니오) 판단되면 스텝(S5)으로 되돌아가고, 반대로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되었다고(예) 판단되면 스텝(S4)과 마찬가지로 시작금지플랙을 「0」으로 하여(스텝(S7)), 스텝(S5)으로 되돌린다.
또, 스텝(S5)에서 시작스위치가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에 시작금지플랙이 「0」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스텝(S8)), 「0」이라고(예) 판단되면 식기세정기(5)의 운전(씻기, 헹굼, 건조)을 실행한다(스텝(S9)).
또, 스텝(S9)의 다음에는 운전을 종료하는 시기에 이르렀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스텝(S10)), 이 스텝(S10)에서 운전을 종료하는 시기에 이르지 않는다고(아니오) 판단되는 사이에는 스텝(S9)으로 되돌아가지만, 운전을 종료하는 시기에 이르렀다고(예) 판단되면 운전을 종료하여 시작금지플랙을 「1」로 한다(스텝(S11)).
그리고, 그 후 소정시간, 예를 들면 30분이 경과했는지 안 했는지의 판단을 하고(스텝(S12)), 경과했다고(예) 판단되면 전원을 차단하여(스텝(S13)) 스텝(S1)으로 되돌린다.
또, 앞의 스텝(S8)에서 시작금지플랙이 「0」이 아니라고(아니오) 판단되면 예를 들면 조작패널이 갖는 표시부에 이상 표시를 하는 동시에 부저(113)를 작동시켜서 이상 알림을 하고(스텝(S14)), 그 후 덮개(36)의 개폐판단을 한다(스텝(S15)). 이 스텝(S15)의 덮개(36)의 개폐판단은 스텝(S3, S6)과 같고, 따라서 도 18에 나타낸 내용의 판단을 하며, 이 스텝(S15)에서도 그것은 덮개(36)가 개방되어 식기가 수용되고, 또는 배출되어 그 후 덮개(36)가 폐쇄되어 잠겼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또 이 경우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정상으로 작동하는지 아닌지의 판단도 하게 된다.
스텝(S15)에서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된다고(예) 판단되면 스텝(S14)에서 실행한 이상 알림을 정지하고(스텝(S16), 또 스텝(S4, S7)과 마찬가지로 시작금지플랙을 「0」으로 하여(스텝(S17)), 스텝(S5)으로 되돌린다.
또, 스텝(S15)에서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되지 않았다고(아니오) 판단되면 이 경우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조작 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스텝(S18)), 조작되지 않았다고(아니오) 판단되면 스텝(S15)으로 되돌리고, 조작되었다고(예) 판단되면 스텝(S1)로 되돌린다.
또, 상기 스텝(S12)에서 30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아니오) 판단되면 덮개(36)의 개폐판단을 한다(스텝(S19)). 이 스텝(S19)의 덮개(36)의 개폐판단은 스텝(S3, S6, S15)과 같고, 따라서 도 18에 나타낸 내용의 판단을 하며, 이 스텝(S19)에서는 일반적으로는 덮개(36)가 개방되어 식기가 배출되고, 그 후 덮개(36)가 폐쇄되어 잠겼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스텝(S19)에서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되지 않는다고(아니오) 판단되면 스텝(S5)으로 되돌리고, 반대로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된다고(예) 판단되면 시작금지플랙을 「0」으로 하여(스텝(S20)) 스텝(S5)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한 제어장치(108)의 작동(메인 루틴) 중에 수시로 실행하는 인터럽트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이 인터럽트 처리는 리드 스위치(95)와 리드 스위치(103)의 검사를 하는 것으로서, 리드 스위치(95)가 오프상태이고, 리드 스위치(103)가 온상태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스텝(T1)), 그렇지 않다고(아니오) 판단되면 메인 루틴으로 되돌리지만, 그렇다고(예) 판단되면 스텝(S14, S16)과 같은 이상 알림을 하고(스텝(T2)), 그리고 운전의 진행을 정지시킨다(스텝(T3)).
또, 이외에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어장치(108)는 식기세정기(5)의 운전중 리드 스위치(103)가 오프상태가 되면 그 시점에서 즉시 식기세정기(5)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서 덮개(36)는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필요가 없는 상하회동식이면서 열릴 때에는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도 두 개로 접혀지고, 키가 낮은 소형의 형태가 된다. 따라서, 그 윗쪽에 매단 찬장 등이 있어도, 덮개(36)가 그 매단 찬장에 닿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방해물이 되는 것도 피할 수 있다.
한편,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36)는 상기한 두 개로 꺾인 상태에서 펴져서 세정조(6)의 상면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고, 또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8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를 세정조(6)측에 걸어맞추게 하여 잠글 수 있고, 덮개(36)를 닫은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조(6) 내부에서의 세정운전에 의한 세정수의 비산 등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덮개(36)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 이 경우 덮개(36)의 잠금을 해제하는 조작을 하지 않는 한, 덮개(36)를 개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의 장난에 의한 덮개(36)의 개방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 닫힌 상태의 덮개(36)는 그 추지부에서 먼 부분 즉 자유단측인 만큼 벌어짐이 생기기 쉽지만, 그에 대해 본 구성은 그 자유단측인 앞덮개체(38)의 양측에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를 설치하고, 그리고 최자유단인 앞덮개체(38)의 전단부에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를 설치하여 덮개(36)를 닫은 상태로 잠그도록 하기 때문에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고, 세정수의 비산 등을 방지하는데 한층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덧붙여서 본 구성의 경우, 조작부재(80)를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와 일체화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구조를 보다 간소하게 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고, 또 그러한 것이 따로 떨어져 있는 것에 자주 보이는 「이상」도 생기지 않게 할 수 있어 동작의 문제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를 링크 기구(82)에 의해 연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그러한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를 따로따로 조작할 필요가 없고,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뒷덮개체(37)의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재(41)를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뒷변부에 회동가능하게 부착하여 구비하고, 이 힌지부재(41)에 뒷덮개체(37)의 후단부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36)가 더럽혀질 때의 세정을 덮개(36)를 벗겨내어 덮개(36) 단독의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용이하고 소망하는대로 그 청소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뒷덮개체(37)의 후단부에는 힌지부재(41)의 지지체(42)에 끼워맞춰진 통형상의 부착부(53)를 구비하고 있고, 힌지부재(41)는 그 끼워맞춘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걸이(44)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36)의 부착, 벗겨냄이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않을 수 있고, 용이하게 그 부착, 벗겨냄을 할 수 있다.
이외에 뒷덮개체(37) 및 앞덮개체(38)는 닫힌 상태이고, 그러한 뒷면의 둘레부와 세정조(6)의 상부 틀(8)과의 사이를 수봉하는 패킹(58, 59)을 구비하고 있고, 또 그러한 어느 한쪽과 일체로 뒷덮개체(37) 및 앞덮개체(38) 사이를 수봉하는 패킹(60)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36)가 닫힌 상태에서의 수봉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고, 세정수의 비산 등을 방지하는데 또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경우 패킹(58, 59)은 덮개(36)의 중량으로 수봉하는 유연성을 갖는 것이고, 패킹(60)은 그것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36)의 폐쇄상태에서의 수봉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고, 또 이 경우 덮개(36)를 폐쇄하는 것만으로 그 수봉을 할 수 있고, 패킹(58, 59)을 특별히 강하게 누르는 조작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덮개(36)의 잠금도 덮개(36)를 폐쇄한 후, 조작부재(8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할 수 있고,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앞덮개체(38)의 양측에는 손잡이부(64)를 돌출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36)를 좌우의 구별없이 개폐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개폐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손잡이부(64)에 손을 대고 앞덮개체(38)를 들어올리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덮개체(37)도 그것과 일체로 들어올려져서 덮개(36)의 전체가 한 장 덮개와 같이 올려지기 때문에, 덮개(36)의 상면에 물방울이 있으면 그것은 도 1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흘러서 뒷덮개체(37)의 뒷둘레부에서 떨어지는 것이고, 이와 같이 하여 덮개(36) 상면의 물방울을 떨어뜨린 후, 덮개(36)를 두 개로 꺾어 전체를 열 수 있기 때문에 그 때까지의 사이에 덮개(36) 상면의 물방울이 앞부분에서 세정조(6) 내에 떨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세정조(6) 내의 건조 후의 식기를 적시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손잡이부(64)의 상면에는 복수의 소돌기(65) 또는 소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36)를 개폐할 때의 손잡이 부분이 좋게 되어 예를 들면 손에 세제가 부착되어 있어도 좀처럼 미끄러지지 않고, 또 덮개(36)의 개폐조작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손잡이부(64) 상면의 복수의 소돌기(65) 또는 소오목부는 시각에 장해가 있는 사용자에게 덮개(36)의 손잡이부(64)의 위치를 가르쳐 나타내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덧붙여서 덮개(36)의 개폐를 검지하는 덮개개폐 검지수단(93)과,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가 덮개(36)를 잠그는 것을 검지하는 잠금검지수단(102)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36)의 개폐 및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을 각각 검지하여 운전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세정수의 비산 등을 방지하는데도 한층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잠금검지수단(102)에 만일 고장(오프하지 않는다)이 있어도 덮개개폐 검지수단(93)에 고장이 없다면 이것이 유효하게 기능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그러한 덮개개폐 검지수단(93) 및 잠금검지수단(102)은 각각 자석(94, 77)과 리드 스위치(95, 103)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요컨데 비접촉방식이고, 덮개(36)의 개폐 및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을 검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그러한 설치부분에 검지를 위한 구멍과 개구부를 설치할 필요를 없앨 수 있고, 그러한 검지를 방수성이 좋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덮개개폐 검지수단(93)과 잠금검지수단(102)은 그 위치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어린이의 장난 등으로 그러한 것을 고의로 작동시키는 것도 보통 그 한쪽만을 고정할 수 있고, 양쪽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을 곤란하게 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장난 등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비접촉방식으로 덮개(36)의 개폐 및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을 검지하는 것으로서는 자석과 리드 스위치에 의한 것 이외에, 예를 들면 자석과 호울소자 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의한 것도 좋고, 특히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의한 것은 발광소자가 세정조(6)측에서 발한 광을 덮개(36)측에서 반사시키고, 수광소자로 받도록 하면 덮개(36)에 전기배선의 필요가 없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덮개개폐 검지수단(93) 및 잠금검지수단(102)이 모두 온상태인(덮개(36)의 폐쇄가 검지되고, 또 잠금이 검지된 상태로서, 스텝(S3, S6)으로 「예」인) 것을 조건으로 운전을 실행하고, 모두 온상태가 아닌(덮개(36)의 잠금해제 및 개방의 양쪽이 검지되고, 또는 그 가운데의 한쪽만이 검지된 상태로서, 스텝(S3, S6)에서 「아니오」인) 조건으로는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또 덮개개폐 검지수단(93)이 오프상태이고, 잠금검지수단(102)이 온상태인(덮개(36)의 잠금이 검지되는데도 불구하고, 폐쇄 검지가 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스텝(T1)에서 「예」인) 조건에서는 이상 알림을 하는 동시에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그 덮개(36)의 잠금이 검지되는데도 불구하고 폐쇄의 검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보통 있을 수 없기 때문으로서, 이 경우 덮개개폐 검지수단(93)에 고장이 생겼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고, 이것에 의해 덮개개폐 검지수단(93)이 고장난채 운전을 계속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사용상의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운전의 종료 후, 다시 운전의 개시까지의 사이에 덮개개폐 검지수단(93) 및 잠금검지수단(102)이 한 번도 오프상태가 되는 일이 없는(스텝(S19, S6)에서 「아니오」) 조건에서는 시작스위치를 조작할 때, 이상 알림을 하는(스텝(S14)) 동시에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운전의 종료 후, 다시 운전을 개시하기 까지의 사이에 식기의 출입을 하는 것이 보통이고, 그 경우 덮개(36)는 적어도 한 번은 개방되기 때문에 덮개개폐 검지수단(93) 및 잠금검지수단(102)은 적어도 한 번은 오프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덮개개폐 검지수단(93) 및 잠금검지수단(10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장이 생기고, 그것이 온상태인 것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태에 대처하는 것에 의해 사용상의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이 경우 스텝(S19, S6)에서의 판단의 대상은 덮개개폐 검지수단(93) 및 잠금검지수단(102)의 양쪽이 아닌, 덮개개폐 검지수단(93)만으로 좋다.
그리고, 덮개(36)의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와의 사이에는 그러한 어느 한쪽에서 홈(63)을 연장시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그러한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와의 사이에서 물, 특히 덮개(36)의 상면을 조리대 등으로 하여 사용할 때의 오염수와 즙류가 침입해도 그것을 홈(63)에서 받아 그 양단의 개방부에서 상부 틀(8)상에 떨어뜨리는 것에 의해 아래쪽의 패킹(60)에 부착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패킹(60)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패킹(60)이 존재하지 않고 덮개(36)의 뒷덮개체(37)와 앞덮개체(38)와의 사이에서 건조시의 증기의 배출을 하도록 한 것은 상기한 오염수와 즙류가 세정조(6) 내에 그대로 떨어지는일이 없도록 하고, 세정조(6) 내의 건조 후의 식기를 적시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또, 이 경우 잠금용 걸기부재는 세정조(6)측에 걸어맞춰서 덮개(36)를 닫은 상태로 잠그는 일까지 되면 좋고,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7, 68)만이어도, 또는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만이어도 좋고, 또 그러한 것 대신으로 뒷덮개체(37)를 닫은 상태로 잠그는 것도 좋다.
이상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각각 제 1 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제 2 실시예]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덮개(36)를 추지하는 힌지부재(41)의 지지체(42)에 대해서 축(201)을 상기한 축(43) 대신 따로 떨어져 형성하고 있고, 또 이 축(201)을 도 21에 나타낸 고정축(202)과 가동축(203)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가운데 고정축(202)은 원통형상이고, 내부둘레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예를 들면 두 개의 간막이 리브(204)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그에 대해 가동축(203)은 고정축(202)내에 위치한 주체부분(203a)이 원기둥형상이고, 그 외부둘레면이 고정축(202)의 간막이 리브(204) 선단면에 각각 원둘레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밀접하고 있다. 또, 이 가동축(203)의 외부둘레면에는 예를 들면 두 개의 날개형상 리브(205)를 돌출설치하고 있고, 이 날개형상 리브(205)의 각 선단부에는 절개부(206)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 날개형상 리브(205)의 각 절개부(206)부분에는 밸브체(207)를 각각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있고, 이 밸브체(207)에는 양단부에 각각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기(208, 209)를 형성하고, 이 경우 시계방향측의 계단부의 돌기(209)에는 각각 절개부(210)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축(202) 내의 간막이 리브(204)와 가동축(203)의 날개형상 리브(205)와의 사이, 그 중에서도 도 21의 (a)에 나타낸 상태에서 날개형상 리브(205)의 각각 반시계방향측의 공간에는 점도가 높은 유체, 예를 들면 실리콘 오일(211)을 충전하고, 또 댐퍼기구(212)를 구성하고 있다.
이외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축(202)에서 돌출한 가동축(203)의 일단부에는 단면 비원형의 연결부(213)를 형성하고, 이에 대해 힌지부재(41)의 지지체(42)에는 비원형의 연결구멍(214)을 형성하고, 이러한 것을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지지체(42)와 가동축(203)이 일체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또, 반대측 고정축(202)의 타단부에는 볼록부(215)를 형성하고 있고, 이것을 상기 베어링부(48)에 반원통형상의 오목부(216)에 연결하여 소오목부(217)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216)에 고정축(202)을 수용하는 동시에 소오목부(217)에 볼록부(215)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고정축(202)을 회전불능으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 오목부(216)에 수용한 고정축(202)은 상기한 축(43)과 마찬가지로 그 위에서 누름판(50)으로 누르고, 상기 누름판(50)을 나사(51)에 의해 베어링부(48)에 고정부착하는 것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 덮개(36)를 닫을 때, 힌지부재(41)의 지지체(42)가 그것에 따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축(201)에서는 가동축(203)이 도 21의 (a)에 화살표(M)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나, 이 방향의 가동축(203)의 회동에 의해서는 날개형상 리브(205)가 각각 밸브체(207)의 절개부(210)를 갖지 않는 측의 돌기(208)에 걸어맞춰서 밸브체(207)를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고, 이 때 그 슬라이드 앞에 존재하는 실리콘 오일(211)이 화살표(N)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슬라이드 앞쪽의 공간으로 옮기는데, 이에 대해 날개형상 리브(205)는 각각 밸브체(207)의 절개부(210)를 갖지 않는 측의 돌기(208)에 걸어맞추기 때문에 날개형상 리브(205)의 절개부(206)가 그 돌기(208)에 의해 폐쇄될 것 같이 되고 실리콘 오일(211)의 이동이 빠르게는 실행되지 않고, 이 결과 이 방향의 가동축(203)의 회동에 대해 실리콘 오일(211)이 큰 저항이 되어 덮개(36)의 폐쇄가 천천히 실행된다.
이에 대해 덮개(36)를 열 때, 축(201)에서는 가동축(203)이 도 21의 (b)에 화살표(O)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나, 이 방향의 가동축(203)의 회동에 의해서 날개형상 리브(205)가 각각 밸브체(207)의 절개부(210)를 갖는 측의 돌기(209)에 걸어맞춰져서 밸브체(207)를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이 때 그 슬라이드 앞에 존재하는 실리콘 오일(211)이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슬라이드 앞쪽의 공간으로 옮겨지는데, 이 경우 날개형상 리브(205)는 각각 밸브체(207)의 절개부(210)를 갖는 측의 돌기(209)에 걸어맞춰지기 때문에 날개형상 리브(205)의 절개부(206)와 돌기(209)의 절개부(210)가 합치되어 이러한 것을 통해 실리콘 오일(211)의 이동이 빠르게 실행된다. 이 결과, 이 방향의 가동축(203)의 회동에 대해 실리콘 오일(211)은 큰 저항은 되지 않고, 덮개(36)의 개방이 빠르게 실행된다.
그리하여 본 구성의 경우, 덮개(36)의 폐쇄가 완충작용을 수반하여 부드럽게 이루어지고, 특히 덮개(36)의 폐쇄가 덮개(36)의 중량에 맡겨서 자연히 실행될 때 사용자가 손가락이 끼여 아픈 것을 느끼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댐퍼기구(212)는 두 개 있는 힌지부재(41)의 한쪽측에 대해서만 설치한 것이고, 이것에 의해 비용의 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지만, 그러한 것에 제한하지 않고 힌지부재(41)의 양쪽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제 3 실시예]
도 22 내지 도 24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쪽의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의 걸어맞춤부(68a)에 자석(301)을 부착하고, 이에 대해 세정조(6)의 상부 틀(8)의 계단부(14)의 뒷면중, 덮개(36)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가 압출 조작될 때에 자석(301)이 근접하는 위치에 리드 스위치(302)를 부착하고 이것에 의해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가 덮개(36)를 잠그는 것을 검지하는 제 1 잠금검지수단(303)을 구성하고 있다. 또, 리드 스위치(302)는 부착판(304)에 의해 부착되고, 부착판(304)은 상부 틀(8)의 내측벽부(15)의 바깥쪽 면에 돌출설치한 보스(305)에 나사(30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제 1 잠금검지수단(303)에 대해 상기한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가 덮개(36)를 잠그는 것을 검지하는 잠금검지수단(102)을 제 2 잠금검지수단으로 한다.
또, 이 경우 상기한 스텝(S3, S6, S15, S19)에서 실행한 덮개(36)의 개폐판단으로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잠금검지수단(303)의 리드 스위치(302)와 제 2 잠금검지수단(102)의 리드 스위치(103)와의 양쪽이 모두 오프상태가 된(덮개(36)의 잠금해제가 모두 검지된) 후, 모두 온상태가 되었는지(덮개(36)의 잠금이 모두 검지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8)의 작동(메인 루틴)중에 수시로 실행하는 인터럽트 처리의 내용으로서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스위치(302)와 리드 스위치(103)의 검사를 하는 것으로서, 리드 스위치(302)와 리드 스위치(103)와의 어느 한쪽이 온상태이고, 다른 쪽이 오프 상태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하고(스텝(T11)), 그렇지 않다고(아니오) 판단되면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오고, 그렇다고(예) 판단되면 스텝(T2), 그리고 스텝(T3)으로 진행한다.
또, 이외에 도시는 하지 않지만, 이 경우 제어장치(108)는 식기세정기(5)의 운전중, 리드 스위치(303)와 리드 스위치(103)의 어느 한쪽이 오프상태가 되면 그 시점에서 즉시 식기세정기(5)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제 1 잠금용 검기부재(68)에 의한 덮개(36)의 닫힌 상태의 잠금 및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에 의한 덮개(36)의 닫힌 상태의 잠금을 모두 검지하여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고, 또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세정수의 비산 등을 방지하는데 한층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양 잠금검지수단(303, 102)의 어느 한쪽에 만일 고장(오프하지 않는다)이 있어도 다른 쪽에 고장이 없다면 이것이 유효하게 기능하여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이 경우 제 1 잠금검지수단(303)과 제 2 잠금검지수단(102)은 각각 자석(301, 77)과 리드 스위치(302, 103)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요컨데 비접촉방식으로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에 의한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 및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에 의한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을 검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그러한 설치부분에 검지를 위한 구멍과 개구부를 설치할 필요를 없앨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검지를 방수성이 좋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제 1 잠금검지수단(303)과 제 2 잠금검지수단(102)은 그 위치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어린이의 장난 등으로 그러한 것을 고의로 작동시키는 것도 보통 그 한쪽측만으로 고정할 수 있고, 양쪽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을 곤란하게 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장난 등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비접촉방식이고, 제 1 잠금용 걸기부재(68)에 의한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 및 제 2 잠금용 걸기부재(73)에 의한 덮개(36)가 닫힌 상태의 잠금을 검지하는 것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석과 리드 스위치에 의한 것 이외에 예를 들면 자석과 호울소자, 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의한 것 등이어도 좋고, 특히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에 의한 것으로는 발광소자가 세정조(6)측에서 발한 광을 잠금용 걸기부재(68, 73)측에서 반사시켜 수광소자로 받도록 하면 덮개(36)에 전기배선의 필요가 없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303, 102)이 모두 온상태인(덮개(36)의 잠금이 모두 검지된 상태로서, 스텝(S3, S6)에서 「예」인) 것을 조건으로 운전을 실행하고, 모두 온상태가 아닌(덮개(36)의 잠금해제가 모두 검지된 상태로서, 스텝(S3, S6)에서 「아니오」인) 조건에서는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또 리드 스위치(302)와 리드 스위치(103)의 어느 한쪽이 온상태이고, 다른 쪽이 오프상태인(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303, 102)의 어느 한쪽이 고장난 상태로서, 스텝(T11)에서 「예」인) 조건에서는 이상 알림을 하는 동시에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그 덮개(36)의 잠금조작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잠금의 검지가 모두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보통 있을 수 없기 때문으로, 이 경우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303, 102)의 어느 한쪽이 고장났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고,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303, 102)의 어느 한쪽이 고장난채 운전을 계속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사용상의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운전의 종료 후 다시 운전의 개시까지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303, 102)이 한 번도 오프상태가 되는 일이 없는(스텝(S19, S6)에서 「아니오」) 조건으로는 시작 스위치를 조작할 때, 이상 알림을 하는(스텝(S14)) 동시에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운전의 종료 후 다시 운전을 개시하기까지의 사이에 식기의 출입을 하는 것이 보통이고, 그 경우 덮개(36)는 적어도 한 번은 개방되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303, 102)은 적어도 한 번은 오프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303, 102)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장이 생겨서 그것이 온상태인 것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태를 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용상의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고, 하기의 변경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덮개(36)는 우측단부 또는 좌측단부가 추지되어 가로로 열어 개방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캐비넷(1)은 부엌용 이외의 것이어도 좋고, 또 시스템 키친용이 아닌, 세정기 전용의 것이어도 좋다.
피세정물도 식기 이외에 예를 들면 야채, 과일 등이어도 좋은 것으로서, 세정방식도 분수타입으로는 제한하지 않고, 피세정물을 수중에 침지시켜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세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덮개개폐 검출수단은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것으로서, 하기의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가 가이드레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상하회동식이면서, 열 때에는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로 두 개로 접히고, 키가 낮은 소형의 형태가 되기 때문에 덮개가 윗쪽의 매단 찬장 등에 닿는 일을 피할 수 있고, 방해물이 되는 일도 피할 수 있다. 또, 열린 상태에서는 덮개가 두 개로 꺾이는 상태에서 펴져서 세정조의 상면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고, 또 이상태에서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덮개를 잠궈서 닫힌 상태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 내부에서의 세정운전에 의한 세정수의 비산 등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덮개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 이 경우 덮개의 잠금을 해제하는 조작을 하지 않는한, 덮개를 개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아이의 장난에 의한 덮개의 개방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 닫힌 상태의 덮개는 그 추지부에서 먼 부분, 즉 자유단측인 만큼, 벌어짐을 일으키기 쉽지만, 그 자유단측을 효과적으로 잠글 수 있기 때문에 세정수의 비산 등을 방지하는데 한층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의 세정기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재를 설치하는데 대해 그것을 보다 간소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부재의 조작에 대해서는 「이상」이 생기지않도록 할 수 있고, 동작의 문제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세정기에 의하면 제 1 잠금용 걸기부재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를 따로따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가 더러울 때, 덮개를 벗겨내어 덮개 단독의 상태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용이하고 소망하는 대로 그 청소를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의 부착, 벗겨냄이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덮개를 부착, 벗겨냄을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의 폐쇄가 완충작용을 수반하여 이루어지고, 특히 덮개의 폐쇄가 덮개의 중량에 맡겨 자연스럽게 실행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이 껴서 아픈 것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의 폐쇄상태에서의 수봉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고, 세정수의 비산 등을 방지하는데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를 폐쇄하는 것만으로 그 수봉을 할 수 있는 동시에 수봉부재를 특별히 강하게 누르는 조작이 필요없기 때문에 덮개의 잠금도 덮개가 폐쇄된 후, 조작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할 수 있고,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를 좌우의 구분없이 쥐고 개폐조작할 수 있고, 그 개폐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덮개의 전체를 최초 한 장 덮개와 같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덮개의 상면에 물방울이 있을 때에 그 물방울을 떨어뜨리고, 그 후에 덮개를 두 개로 접어서 완전히 열 수 있다. 따라서, 그때까지의 사이에 덮개 상면의 물방울이 앞부분에서 세정기 내에 떨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세정기 내의 건조 후의 식기를 적셔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를 개폐할 때의 손잡이가 좋아져서, 손에 세제가 부착되어도 좀처럼 미끄러지지 않고, 덮개의 개폐조작성을 한층 좋게 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시각에 장해가 있는 사용자에게 덮개의 손잡이부분의 위치를 가르쳐 나타낼 수 있다.
청구항 11의 세정기에 의하면 제 1 잠금용 걸기부재에 의한 덮개가 닫힌 상태의 잠금 및 제 2 잠금용 걸기부재에 의한 덮개가 닫힌 상태의 잠금을 모두 검지하여 운전을 제어할 수 있고, 사용상의 안전성 확보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세정수의 비산 등의 방지도 한층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청구항 12의 세정기에 의하면 상기 덮개가 닫힌 상태의 잠금의 검지를 양쪽 모두 방수성 좋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어린이가 장난 할 경우 그 양쪽을 동시에 작동시키지 못 하게 하여, 어린이의 장난 등에 대한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 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청구항 13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의 잠금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의 어느 한쪽이 고장날 때의 판단을 할 수 있고, 그 어느 한쪽이 고장난 채 운전을 계속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고, 사용상의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청구항 14의 세정기에 의해서도 덮개의 잠금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에 고장이 생길 때의 판단이 이루어지고, 이것은 고장난 채 운전을 계속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고, 사용상의 안전성의 확보, 세정수의 비산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청구항 15의 세정기에 의하면 덮개의 자유단측을 효과적으로 잠글 수 있는 효과 이외에 청구항 1의 세정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제 1 덮개체와 제 2 덮개체와의 사이에서 오염수와 즙류가 침입한다고 해도 그것이 아래쪽의 패킹에 부착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세정기 내에 그대로 떨어지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으며, 패킹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는 세정조 내의 건조 후의 식기를 적셔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Claims (15)

  1.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의 내부에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구와,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고, 일단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추지된 제 1 덮개체와, 이 제 1 덮개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덮개체에 의해 두 개로 꺾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열릴 때에는 두 개로 접히고, 닫힐 때에는 펴져서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상기 제 2 덮개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서 덮개를 닫은 상태로 잠그는 제 1 잠금용 걸기부재와,
    상기 제 2 덮개체의 타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서 덮개를 닫은 상태로 잠그는 제 2 잠금용 걸기부재와,
    이러한 제 1 및 제 2 잠금용 걸기부재를 상기 걸어맞춤 방향 및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부재를 제 2 잠금용 걸기부재와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잠금용 걸기부재와 제 2 잠금용 걸기부재가 링크 기구에 의해 연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덮개체의 일단측을 추지하기 위한 힌지부재를 세정조의 개구부의 둘레부의 일단측에 회동가능하게 부착하여 구비하고, 이 힌지부재에서 제 1 덮개체의 일단측을 착탈가능하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덮개체의 일단측에서 힌지부재에 끼워맞추는 통형상의 부착부를 구비하고, 힌지부재가 그 끼워맞춘 상태를 유지하는 탄성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6. 제 4 항에 있어서,
    힌지부재가 댐퍼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덮개체가,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덮개의 뒷면의 둘레부와 세정조의 개구부의 둘레부와의 사이를 수봉하는 제 1 및 제 2 수봉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 1 및 제 2 수봉부재의 어느 한쪽과 일체로 제 1 및 제 2 덮개체 사이를 수봉하는 제 3 수봉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수봉부재가 덮개의 중량으로 수봉하는 유연성을 갖고, 제 3 수봉부재가 그것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덮개체의 양측에 손잡이부를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손잡이부의 상면에 복수의 소돌기 또는 소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잠금용 걸기부재가 덮개를 잠그는 것을 검지하는 제 1 잠금검지수단과, 제 2 잠금용 걸기부재가 덮개를 잠그는 것을 검지하는 제 2 잠금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을 비접촉방식으로 각각 잠금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세정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이 모두 잠금을 검지한 것을 조건으로 운전을 실행하고, 모두 잠금을 검지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운전을 실행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의 어느 한쪽이 잠금을 검지하고, 다른 쪽이 검지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이상 알림을 하는 동시에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운전의 종료 후, 다시 운전의 개시까지의 사이에 제 1 및 제 2 잠금검지수단이 잠금을 검지한 조건에서는 이상 알림을 하는 동시에 운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15. 상면에 개구부를 갖는 세정조와,
    이 세정조의 내부에서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정기구와,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고, 일단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추지된 제 1 덮개체와, 이 제 1 덮개체의 타단측에서 일단측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덮개체에 의해 두 개로 꺾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열릴 때에 두 개로 접혀지고, 닫을 때에는 펴져서 상기 세정조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와,
    이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조측에 걸어맞춰서 덮개를 닫은 상태로 잠그는 잠금용 걸기부재와,
    이 잠금용 걸기부재를 상기 걸어맞춤 방향 및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체 사이에 그 어느 한쪽의 덮개체에서 홈을 연장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
KR1019980030764A 1998-03-27 1998-07-24 세정기 KR100271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164698A JP3472967B2 (ja) 1998-03-27 1998-03-27 洗浄機
JP10-081646 199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479A KR19990076479A (ko) 1999-10-15
KR100271711B1 true KR100271711B1 (ko) 2001-05-02

Family

ID=13752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764A KR100271711B1 (ko) 1998-03-27 1998-07-24 세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72967B2 (ko)
KR (1) KR100271711B1 (ko)
CN (1) CN1180743C (ko)
TW (1) TW38602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230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9045211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9045231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4492B2 (ja) 2000-03-24 2009-03-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DE102004002008A1 (de) * 2003-11-14 2005-06-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mit Kindersicherung
JP4958728B2 (ja) * 2007-10-24 2012-06-20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6008074B2 (ja) * 2011-08-10 2016-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CN203089043U (zh) * 2011-09-21 2013-07-3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门锁和安装有门锁的洗碗机
CN102726945B (zh) * 2012-06-27 2014-10-08 浙江工业大学 一种自清洁餐桌
CN107242844A (zh) * 2017-06-09 2017-10-13 中山市逸臣电器科技有限公司 槽式清洗及加热盖盒
CN109363595A (zh) * 2018-07-27 2019-02-22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清洗机
CN110367891B (zh) * 2019-07-26 2020-12-29 浙江鼎兴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可更换拖头的拖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230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9045211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19045231A1 (ko) * 2017-08-31 2019-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3669740A4 (en) * 2017-08-31 202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US11259682B2 (en) 2017-08-31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US11471022B2 (en) 2017-08-31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er
US11471023B2 (en) 2017-08-31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ont and top loading dishwasher with restricted basket m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0390A (zh) 1999-10-06
JP3472967B2 (ja) 2003-12-02
KR19990076479A (ko) 1999-10-15
JPH11276407A (ja) 1999-10-12
CN1180743C (zh) 2004-12-22
TW386025B (en)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711B1 (ko) 세정기
US7896972B2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 cleaning cycle in the dishwasher
US8808466B2 (en)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US6622896B2 (en) Dishwasher detergent dispenser
JP3572224B2 (ja) 食器洗浄機
US5178172A (en) Dishwasher lid
EP3653101B1 (en) Dishwasher
KR100269558B1 (ko) 세정기
JP2006263174A (ja) 食器洗浄機および扉の開閉検知装置
KR100577030B1 (ko) 식기 세정기
US7207341B2 (en) Dishwasher with shielded dispenser
JP2000139797A (ja) 食器洗浄機
JP2001070218A (ja) 食器洗浄機
CN212089464U (zh) 门体密封组件、密封门及洗碗机
CN111050620B (zh) 洗碗机
JP3635958B2 (ja) 食器洗浄装置
KR101294777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808261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JP2002010961A (ja) 食器洗浄機
KR970002541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960008434Y1 (ko) 식기세척기의 실링재
CN114795053A (zh) 餐具清洗机的水位监测装置
JP2022060656A (ja) 食器洗浄機
JP2000023892A (ja) 洗浄機
KR19990010253U (ko) 식기세척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